KR100330119B1 - 벼 종자 소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벼 종자 소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119B1
KR100330119B1 KR1019940008085A KR19940008085A KR100330119B1 KR 100330119 B1 KR100330119 B1 KR 100330119B1 KR 1019940008085 A KR1019940008085 A KR 1019940008085A KR 19940008085 A KR19940008085 A KR 19940008085A KR 100330119 B1 KR100330119 B1 KR 10033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rice
seeds
composi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362A (ko
Inventor
나카지마요시히데
요코미조칸지
타마키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케미칼 컴패니 리미티드
노바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케미칼 컴패니 리미티드, 노바티스 아게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케미칼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4002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활성 성분으로서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르보니트릴 및 5-에틸-5,8-디히드로-8-옥소[1,3]디옥솔로[4,5-g]퀴놀린-7-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은 2종의 활성 성분을 조합 사용함으로써 고도의 상조 효과를 나타내며 벼와 밀과 같은 곡류의 벼키다리병, 도열병, 모의 썩음, 잎 점무늬병 및 겉깜부기병 등에 대해 적은 양으로로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벼 종자 소독제 조성물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르보니트릴(이하 화합물 A라고 함) 및 하기 일반식(II)으로 표현되는 5-에틸-5,8-디히드로-8-옥소[1,3]디옥솔로[4,5-g]퀴놀린-7-카르복시산(이하 화합물 B라고 함)을 포함하는 벼 종자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화합물 A 및 B로 벼 또는 밀과 같은 곡류의 파종 전에 그 종자를 소독함으로써 종자에 기생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을 죽일 수 있고, 토양에 서식하며 종자 및 파종 후의 어린 모에 침범하여 피해를 입히는 토양 서식균으로부터 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득제 조성물은 농업에서 유용하다.
일본 특허 공개소 62-483 및 「Brighton Crop Protection Conference "Pests and Diseases 1990", Vol 2」에는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인 화합물 A가 보트리티스(Botrytis), 모닐리니아(Monilinia), 스클레로티니아(Sclerotinia), 리조크토니아(Rhizoctonia), 알테르나리아(alternaria) 등과 같은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력(antibacterial activity)을 가지며 벼키다리병, 도열병, 잎 점무늬병과 같은 벼에 관한 질병에 대해 고도의 종자 소독 효과를 낸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반면에, 「"Agricultural Chemicals Business", March 15, 1989, 제 852호, 페이지 1 내지 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활성 성분인 화합물 B가 에르위니아(Erwinia), 슈도모나스(Pseudomonas) 등과 같은 병원성 진균에 대해 고도의 항균력을 나타내며 모 썩음(슈도모나스 글루마에(Pseudomonas glumae))에 대한 종자 소독제로서 간주된다.
지금까지, 벼 종자 소독제로서 벤즈이미다졸 화합물을 널리 사용해왔다. 그러나, 최근에 이 혼합물을 오랫동안 계속하여 사용해 온 결과, 벤즈이미다졸 화합물에 내성이 있는 문제의 벼키다리병 세균이 생겨났다.
더욱이, 벤즈이미다졸 화합물은 침투성이 불량하므로, 이들은 심하게 감염된 종자에 대해 다소 미약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에르고스테롤 합성 억제제와 같은 수 많은 종자 소득제가 개발되었고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계속 사용함으로써 내성-진균이 출현하는 것이 우려된다.
종래의 종자 소독제가 그 효과에 있어서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므로, 더 개선된 소독제가 끊임없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보완하고, 저농도에서도, 내성 진균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식물병원성 진균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을 방지하는 신규의 종자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반식에 의해 표현되는 화합물 A 및 화합물 B, 즉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르보니트릴 및 5-에틸-5,8-디히드로-8-옥소[1,3]디옥솔로[4,5-g]퀴놀린-7-카르복시산을 종자 소독제와 함께 사용하면 저농도에서 고도의 종자 소독 효과를 얻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종자 소독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절한 담체 및 보조제, 예컨대 계면활성제, 결합제, 안정화제 등과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조합한 다음 습윤성 분말, 에멀젼, 유동제, 습윤성 과립제 등에 배합시킨다. 화합물 A 및 B는 단독으로 배합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배합하여 사용할때 적절이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의 혼합 중량비는 통상 화합물 A 1부에 대해 화합물 B 0.1 내지 20부이다. 이것은 실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한 비는 A:B = 2:1 내지 1:10이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1:2 내지 1:10이다. 즉시 사용가능한 혼합물의 대표적인 A:B의 비는 1:8, 1:6, 1:4, 2:5, 1:3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담체는 농업적 배합물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예컨대, 고체 담체는 광물성 분말(카올린, 벤토나이트, 찰흙, 활석, 규조토, 실리카, 베어미클라이트, 탄산칼슘등), 천연 중합체류(밀가루, 전분, 결정성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젤라틴등), 당류(포도당, 엿당, 젖당, 설탕등), 황산 암모늄, 우레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는 물, 에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벤질알코올,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나프탈렌,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헥산, 석유 에테르, 용매 나프타, 케로센, 경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습윤성 배합물, 유동제 등의 배합에 있어서, 유화, 분산, 가용성, 습윤, 발포 및 현탁을 위해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형태가 있다.
이어서, 산화방지제, 광-분해방지제, 활성 성분의 안정화제, 점도 조절제, 부동제와 같은 여러가지 부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살균적 성분, 살충적 성분 및 식물 생장 조절 성분을 본 발명의 종자소독제와 함께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 예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는 중량부이다.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균일 혼합기에 의해 분산시킨 다음, 여기에 2% 크산탄 검 수용액 10부를 부가하여 유동제를 제조한다.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균일 혼합기에 의해 분산시킨 다음, 여기에 2% 크산탄 검 수용액 10부를 부가하여 유동제를 제조한다.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충분히 분쇄하여 습윤성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균일 혼합기에 의해 분산시킨 다음, 여기에 2% 크산탄 검 수용액 10부를 부가하여 유동제를 제조한다.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균일 혼합기에 의해 분산시킨 다음, 여기에 2% 크산탄 검 수용액 10부를 부가하여 유동제를 제조한다.
따라서, 제제 A 및 B를 포함하는 2-제제형 배합물이 제조된다.
실시예(사용 방법)
상기 언급한 배합물이나 유사한 배합물을 사용하는 소득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방법은 희석된 소독제의 부피가 종자의 0.7 내지 4배가 되도록 물 10 내지 1000배로 희석시킨 본 발명의 종자 소독제에 껍질채의 벼 종자를 침지하거나, 또는 습윤성 분말 0.1 내지 4.0중량%(종자 기준)로 껍질체의 벼 종자를 피복하는 방법, 또는 분무량을 종자의 3중량%가 되도록 하여 본 목적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스프레이로 종자에 5 내지 40배로 희석된 소독제를 분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의 침지 방법에서, 껍질채의 벼 종자를 장시간(6 내지 72시간) 동안 저농도(100 내지1000배로 희석)에서 또는 단시간(10 내지 30분) 동안 고농도(10 내지 100배로 희석)의 소독제에 침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 중 어느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시판 배합물 또는 2-제제형 배합물을 사용하여, 후속적으로 2개의 활성 성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물에 종자를 침지시킨 다음 활성 성분 중 또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물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도 유사한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혼합비를 갖는 두 배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종자를 침지시키고 혼합된 배합물로 도포 또는 분무하는, 동시 처리도 가능하다.
활성 성분 2가지를 조합 사용함으로써 고도의 상조 효과를 우선적으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벼키다리병, 도열병, 잎 점무늬병 및 모 썩음(슈도모나스 글루마에)과 같은 벼 질병에 대해 고도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소독제는 더 적은 양으로도 벼키다리병 및 잎 점무늬병에 대해, 오래동안 기다려 왔던, 완벽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두번째, 본 소독제는 벼키다리병 진균의 벤즈이미다졸 감성 종에 대한 효과와 같이 벼키다리병 진균의 벤즈이미다졸 내성 종에 대해서도 고도의 효과를 나타낸다.
생물학적 실시예
본 발명 조성물의 종자 소득 효과는 하기 시험에 의해 예증된다.
시험 1
벼 키다리 병원성 세균(벤즈이미다졸 내성 종)에 의해 심하게 감염된 논으로부터 수집된, 천염 감염된 껍질채의 벼 종자(품종: Nipponbare)를 20℃에서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유동제에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소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종자를 소독한다. 이때, 껍질채의 종자:용액(V/V)의 비는 1:1이다.
처리한 후에, 시험 용액을 제거하고 20℃에서 4일간 껍질채 종자 2배의 수도물에 종자를 침지시킨다. 그 후에, 처리된 껍질채의 벼 종자를 15시간 동안 30℃에서 빠르게 발아시켜서 1블럭(30cm2) 당 종자 3g을 시판되는 인공 과립형 토양에 파종한다. 2일간 32℃에서 발아시킨 다음, 시험 종자를 온실에 방치한다.
파종 후 30일째 날에, 감염된 모의 수와 비감염된 모의 수를 센다. 모의 감염을 (%)을 하기식에 따라 계산한다(이 시험을 3회 반복하고 그 평균을 감염율로 취함).
발아율, 생장 형태 등에 기초한 부효과도 조사한다(하기 언급되는 시험에도 동일하게 적용함). 그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시험 2
벼 키다리 병원성 세균에 의해 심하게 감염된 논에서 수집한 천연 감염된 껍질채의 벼 종자(품종: Nipponbare)를 실시예 H-1에 따라 제조된 유동제의 슬러리로 처리한 다음 소정의 농도(건조된 껍질체의 종자 3중량%의 제제)로 희석시킨다. 본 시험의 껍질채의 벼 종자를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다.
처리한 후에, 20℃에서 5일간 시험 종자 2배 부피의 수도물에 종자를 침지시킨다. 그 후에, 처리된 껍질채의 벼 종자를 15시간 동안 30℃에서 빠르게 발아시켜서 1블럭(30cm2) 당 종자 3g을 시판되는 인공 과립형 토양에 파종한다. 2일간 32℃에서 발아시킨 다음, 시험 종자를 온실에 방치한다.
파종 후 30일째 날에, 벼키다리병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된 모의 수와 비감염된 모의 수를 센다. 모의 감염율(%)과 방제율을 시험 1에 따른 식에 따라 계산한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시험 3 모 썩음(슈도모나스 글루마에)에 대한 종자 소독 효과
본 시험의 껍질채의 벼 종자(품종: Nipponbare)를 4시간 동안 썩은 모(103cfu/ml)의 접종원에 침지시킨 다음 실시예 F-1에 따라 제조된 유동제에 20℃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소정의 농도로 희석시켜 종자를 소독한다. 이때, 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종자 : 용액(V/V)의 비는 1:1이다.
처리한 후에, 20℃에서 4일간 껍질채의 종자 2배의 수도물에 종자를 침지시킨다. 그 후에, 처리된 껍질채의 벼 종자를 15시간 동안 30℃에서 빠르게 발아시켜서 1블럭(30cm2) 당 종자 3g을 시판되는 인공 과립형 토양에 파종한다. 2일간 32℃에서 발아시킨 다음, 시험 종자를 온실에 방치한다.
파종 후 13일째 날에, 모가 썩는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된 모의 수와 비감염된 모의 수를 센다. 모의 감염율(%)을 시험 1에 따라 계산한다. 이 시험을 3회 반복하여 그 평균 값을 하기에 나타낸 감염율로 취한다.
그 결과가 표 3에 나타나있다.
표 3
시험 4
슈도모나스 플란타리이(Pseudomonas plantarii)에 의해 감염된 벼의 박테리아성 모 마름병에 대해 본 발명의 배합물로 종자를 처리했을 때의 소독 효과.
슈도모나스 플란타리이(105cfu/ml)를 포함하는 용액에 4시간 동안 담근다. 그 다음 벼 종자(품종: Nipponbare)를 실시예 1 및 4의 방법에 의해 특정 농도로 제조된 유동성 배합물로 희석시켜 제조된 용액에 20℃에서 24시간 동안 담근다. 이 소독 처리에서 침지 용액 대 벼 종자의 비는 부피 기준으로 1:1이다. 종자를 처리한 후에 3일간 물(종자 부피의 2배)에 담근다.
그 다음 처리된 종자를 어두운 상태에서 15시간 동안 30℃에서 방치하여 발아시키고 종자 3g을 시판 과립형 토양이 들어 있는 30cm2의 플롯 크기에 파종한다. 파종된 종자를 2일 동안 32℃에서 방치하여 발아시키고 온실에서 재배한다.
파종 후 20일째 날에 벼의 박테리아성 모 마름병의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된 모의 수와 비감염된 전체 모의 수를 세어 질병 여부를 평가하고, 플롯 당 감염된 모의 비율을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각 플롯을 3회 반복하며, 그 평균값은 본 시험의 감염된 모의 비율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나있다.
시험 5
슈도모나스 아베나에(Pseudomonas avenae)에 의해 감염된 벼의 박테리아성 갈색 줄무늬병에 대해 본 발명의 배합물로 종자를 처리했을때의 소독 효과.
슈도모나스 아베나에(105cfu/ml)를 포함하는 용액에 4시간 동안 담근다. 벼 종자(품종: Kinmaze)를 실시예 1 및 4의 방법에 의해 특정 농도로 제조된 유동성 배합물로 희석시켜 제조된 용액에 20℃에서 24시간 동안 담근다. 이 소독 처리에서 침지 용액 대 벼 종자의 비는 부피 기준으로 1:1이다. 종자를 처리한 후에 3일간 종자를 물(종자 부피의 2배)에 담근다.
그 다음 처리된 종자를 어두운 상태에서 15시간 동안 30℃에서 방치하여 발아시키고 종자 3g을 시판 과립형 토양이 들어 있는 30cm2의 플롯 크기에 파종한다. 파종된 종자를 2일 동안 32℃에서 방치하여 발아시키고 온실에서 재배한다.
파종 후 13일째 날에 벼의 박테리아성 갈색 줄무늬병의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된 모의 수와 비감염된 전체 모의 수를 세어 질병 여부를 평가하고, 플롯 당 감염된 모의 수를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각 플롯을 3회 반복하며, 그 평균 값은 본 시험의 감염된 모의 비율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나있다.
표 4
표 5

Claims (8)

  1. 적절한 담체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 A)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르보니트릴 및 B) 5-에틸-5,8-디히드로-8-옥소[1,3]디옥솔로[4,5-g]퀴놀린-7-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종자 소독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화합물 A:화합물 B의 중량비가 1:0.1 내지 20부인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중량비 A:B가 2:1 내지 1:10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중량비 A:B가 1:2 내지 1:10인 조성물.
  5. A)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르보니트릴 및 B)5-에틸-5,8-디히드로-8-옥소[1,3]디옥솔로[4,5-g]퀴놀린-7-카르복시산을 순차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곡류, 이들의 종자 또는 재배 위치에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벼 키다리병, 도열병, 잎 점무늬병, 및 모썩음병의 방제 및 방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곡류가 벼, 밀 또는 보리인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처리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적절한 담체와 함께 A) 및 B)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19940008085A 1993-04-17 1994-04-16 벼 종자 소독제 조성물 KR100330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13607A JP3066516B2 (ja) 1993-04-17 1993-04-17 イネ種子用消毒剤
JP93/113607 1993-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362A KR940023362A (ko) 1994-11-17
KR100330119B1 true KR100330119B1 (ko) 2004-12-23

Family

ID=1461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085A KR100330119B1 (ko) 1993-04-17 1994-04-16 벼 종자 소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066516B2 (ko)
KR (1) KR100330119B1 (ko)
CN (1) CN1067519C (ko)
BR (1) BR9401493A (ko)
TW (1) TW2390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3638B (zh) * 2014-09-26 2016-01-20 常德市科农农业物资有限公司 一种生物丛枝泡囊菌根导入稻种胚胎的催芽方法
CN106719692A (zh) * 2016-12-28 2017-05-31 联保作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种菌唑与咯菌腈的水稻用悬浮种衣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362A (ko) 1994-11-17
BR9401493A (pt) 1994-10-25
CN1096158A (zh) 1994-12-14
CN1067519C (zh) 2001-06-27
JP3066516B2 (ja) 2000-07-17
JPH06298610A (ja) 1994-10-25
TW239062B (ko) 199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586B1 (ko) 살균제
JPS6069001A (ja) 殺線虫・殺虫組成物
KR100330119B1 (ko) 벼 종자 소독제 조성물
JP4471264B2 (ja) 混合燻蒸剤
JPS6261561B2 (ko)
CN107668054A (zh) 一种杀线虫剂组合物及其使用方法
JPH03284601A (ja) 農園芸用殺菌組成物
JP4964508B2 (ja) 種子消毒剤
JPS5826883B2 (ja) 水稲種もみ用消毒剤組成物
JPH08104602A (ja) 植物の生体防御増強剤
JP4602491B2 (ja) 害虫駆除剤
JPS59106406A (ja) 種子消毒剤
JPS6399005A (ja) 農園芸用殺菌剤
JPS61225104A (ja)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CN111345309A (zh) 一种杀虫杀菌组合物、制剂及其用途
JPS59104302A (ja) 種子消毒剤
JPS6156104A (ja) ジスルフイドを有効成分とする種子殺菌剤
JPS5928529B2 (ja) 土壌殺菌用組成物
JPS6218521B2 (ko)
JPS617204A (ja) 種子消毒剤
JPH026723B2 (ko)
JPH01121203A (ja) 畑作用除草剤
JPS5840921B2 (ja) 農園芸用殺菌剤
CN107668044A (zh) 一种杀线虫剂组合物及其使用方法
JPH04193808A (ja) 種子消毒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