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323B1 -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323B1
KR100329323B1 KR1019980011716A KR19980011716A KR100329323B1 KR 100329323 B1 KR100329323 B1 KR 100329323B1 KR 1019980011716 A KR1019980011716 A KR 1019980011716A KR 19980011716 A KR19980011716 A KR 19980011716A KR 100329323 B1 KR100329323 B1 KR 10032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ar phone
area
control signal
mobile phon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564A (ko
Inventor
히데토 오우라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 시코
Publication of KR1998008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Abstract

전자기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3)이, 예를 들어 의료기기가 설치된 보호영역(1)의 입구에 설치된다. 상기 차폐영역(3) 내부의 전송기(1)는 휴대전화(5)에 대해 제어신호(11)를 송신하고, 휴대전화는 제어신호(11)에 응답하여 응답신호(12)를 전송한다. 수신기(7)는 응답신호(12)를 수신하여, 휴대전화(5)가 동작중이라는 것을 경보기(8)에 통보한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5)의 전원차단을 나타내는 경보에 의해 휴대전화의 소지자(2)가 보호영역(1) 안으로 휴대전화(5)를 가지고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영역으로 들어가는 휴대전화를 소지한 사람에게 휴대전화의 전원을 끄도록 요구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는 이동 중의 중요한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휴대전화는 비교적 강한 마이크로파를 방사하기 때문에, 각종의 전자기기에 대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자장치가 설치된 항공기, 병원 및 공공 장소 등의 몇몇 영역에는 확성기와 경보기를 사용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휴대전화의 소지자가 휴대전화의 전원을 켠 상태로 금지영역으로 들어가게 되면, 확성기와 경보기는 휴대전화 소지자에게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촉구할 수는 있지만, 휴대전화 소지자가 외부의 전화 가입자로부터 발생한 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는 없다. 금지영역에서 휴대전화를 소지한 것을 검출하는 방법들 중에서, 호를 발생한 휴대전화로부터 방사되는 송신 전파를 검출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휴대전화로부터 방출된 송신 전파를 검출함으로써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방법으로는, 전자기기의 고장 발생을 피할 수 없는데, 즉 송신 전파에 의해 이미 전자기기가 영향을 받은 상태가 된다. 한편, 대기상태 중에 휴대전화에서 방사된 누설전파를 검출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누설전파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는 견고한 외장재로 차폐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전파를 누설하지 않으며, 누설한다 해도 약간의 전파를 외부로 누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방법으로는 휴대전화로부터의 누설전파를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사용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차폐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휴대전화에 의한 위치등록 호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사용관리 시스템의 동작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사용관리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호영역 2 : 휴대전화 소지자
3 : 차폐영역 5 : 휴대전화
6 : 송신기 7 : 수신기
8 : 경보기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영역에서 휴대전화를 소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은,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보호영역의 입구에 설치되고, 전자기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과, 상기 차폐영역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전화에 대해 응답신호를 요구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휴대전화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휴대전화의 소지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송신기는 차폐영역 내부에서 휴대전화에 대해 차폐영역의 외부와 다른 관리영역으로 진입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다른 관리영역에 진입할 때 휴대전화가 발생하는 위치등록 호를 수신하며, 상기 경보기는 상기 위치등록 호를 수신하여 휴대전화의 소지자에 대해 경보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은,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보호영역의 입구에 설치되고, 전자기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과, 상기 차폐영역 내부에서 휴대전화에 대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휴대전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휴대전화의 작동용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은,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보호영역의 입구에 설치되고, 전자기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과, 상기 차폐영역 내부에서 휴대전화에 대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휴대전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시 휴대전화의 발신을 금지하는 발신금지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 사용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차폐영역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b는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a에 있어서, 보호영역(1)은 예를 들어 의료기관에 있어서 정밀 의료기기가 설치된 방이다. 이러한 방의 내부 또는 그 방 근처에서 휴대전화를 가지고 들어가 전파를 이용하여 호를 발생하거나 호를 수신하게 되면, 정밀 의료기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오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전화 사용관리 시스템은 휴대전화를 그것의 전원이 켜진 상태로 보호영역(1) 안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영역(1)의 전방에는, 휴대전화(5)의 소지자(2)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일정한 진입로가 설치되어 있는데, 차폐영역(3)은 이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차폐영역(3)은 외부의 전파로부터 차폐되고, 또한 내부의 전파를 외부로 누설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폐영역(3)에 대해서는 어떠한 종래의 차폐방법도 사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어떠한 송신전파, 즉 어떠한 발생 호도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휴대전화(5)에 도달할 수 없는 한편, 어떠한 송신전파도 휴대전화(5)로부터 외부로 누출될 수 없게 된다. 더구나, 상기 차폐영역(3) 내부에는 송신기(6)와 수신기(7)가 설치되고, 그것들에 인접하여 경보기(8)가 설치된다.
상기 송신기(6)는, 휴대전화의 기지국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후술하는 것 같은 소정의 내용을 포함하는 제어신호(11)를 송신한다. 수신기(7)는 상기 제어신호(11)에 응답하여 휴대전화(5)로부터 발생된 응답신호(12)를 수신한다. 경보기(8)는, 수신기(7)가 응답신호(12)를 수신하였을 때, 휴대전화(5)의 소지자(2)에 대하여 경보(13)를 발생한다. 이 경보(13)는, 예를 들어 "휴대전화의 전원을 꺼 주십시오"라는 내용의 음성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전화 소지자(2)가 휴대전화(5)를 가지고 들어갈 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전광 게시판 등의 다양한 경보 통보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구나, 상기 경보기(8)는 휴대전화의 검출 사실을 감시소(9)에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감시소(9)에서는, 경비원 그 통보에 응답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은, 휴대전화(5)의 소지자(2)의 부주의로 인해 전원을 켜놓은 채로 대기상태에 있는 휴대전화를 검출한다. 더구나, 상기 시스템은, 휴대전화(5)의 전파 이외에 어떠한 전파도 없는 차폐영역(3) 내부에서 검출을 수행하므로, 보호영역(1) 내부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대해 전혀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검출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신기(6)는 휴대전화(5)에 대해 제어신호(11)를 송신하는 한편, 수신기(7)는 휴대전화로부터의 응답신호(12)를 수신한다.
상기 휴대전화는 다양한 제어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셀룰러 방식(PDC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휴대전화에 의해 발생되는 위치등록 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장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도록 대기시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대기시의 휴대전화는 기지국으로부의 호에 대한 전파를 수신하는 동작만 하게 된다. 기지국은 휴대전화에 대해 그 휴대전화가 어느 관리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통지하고, 휴대전화의 호 제어를 수행한다. 휴대전화 내부의 수신장치(미도시)는 이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항상 대기하지만, 휴대전화 내부의 송신장치(미도시)는 휴대전화가 현재의 관리영역과 인접한 관리영역 사이의 경계를 통과할 때까지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의 관리영역에 있는 기지국과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게 되면, 휴대전화는, 위치등록 호 동작,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기지국에 그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휴대전화에 속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RCR STD-27에 규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것 같이,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관리영역 A에 진입하면, 그 시점(100)에서 휴대전화는 휴대전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위치등록 호를 실행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관리영역 A를 통과하여 관리영역 B로 이동할 때, 일정 시점(200)에서 휴대전화는 위치등록 호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차폐영역(3)은 의사 관리영역 C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관리영역 A에서 이동하는 휴대전화(5)가 차폐영역(3)에 진입하면, 상기 송신기(6)는 휴대전화(5)에 대해 위치등록 호를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요약하면, 차폐영역(3)과 유사하게 구성된 의사 관리영역 C는 차폐영역(3)을 통과하는 휴대전화(5)로 하여금 위치등록 호를 강제로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기(6)는 전파를 사용하여 제어신호(11)를 송신하는데, 이때 제어신호(11)는 기지국과 비교할 때 동일한 주파수를 갖지만 다른 내용을 가지며, 휴대전화(5)는 상기 제어신호(11)에 응답하여 위치등록 호를 위한 응답신호(12)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신호(11)는 응답신호(12)를 최소한 1회 송신하도록 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위치등록 호의 전체 과정은 완료되지 않을 수 있으며, 휴대전화 소지자(2)가 상기 차폐영역(3)을 벗어나 휴대전화(5)가 평상시와 같이 작동하도록 하는 지역으로 나가면, 휴대전화(5)는 정규의 위치등록 호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7)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를 사용하여 휴대전화(5)에 의해 전송된 응답신호(12)를 검출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응답신호(12)의 내용까지 식별할 필요는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구체적인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것이다. 스텝 1에서, 송신기가 휴대전화(5)로 제어신호(11)를 전송하면, 휴대전화(5)는 스텝 2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응답신호(12)를 전송한다. 그후, 수신기(7)는 응답신호(12)를 수신하여, 스텝 3에서 상기 응답신호(12)가 휴대전화(5)에 의해 발신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상기 응답신호(12)가 휴대전화(5)에서 전송된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4에서, 수신기(7)는 경보기(8)에 대해 휴대전화(5)의 검출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통보한다. 그후, 스텝 5에서, 경보기(8)는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경보음(13)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보기(8)는 휴대전화(5)의 소지자(2)가 특정한 지점을 통과할 때 경보(13)를 발생함으로써, 휴대전화 소지자(2)가 휴대전화(5)에 대해 주의를 환기하게 되어, 스텝 6에서 그것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감시소(9) 안에 있는 경비원이 휴대전화 소지자(2)에게 휴대전화(5)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한 휴대전화 사용관리 시스템은 휴대전화의 위치등록 호를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검출한다. 한편, 휴대전화 내부에 다음과 같은 기능을 채용함으로써, 휴대전화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며, 휴대전화로부터의 전파의 발신을 중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전화(5)는 제어신호 수신 판정회로(17)와 전원차단회로(18)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전화(5)는, 상기 전원차단회로(18)에 덧붙여, 또는 그것 대신에, 발신금지회로(19)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신기(6)가 휴대전화(5)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신호(11)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관리영역 A 및 관리영역 B를 관리하는 기지국들과 같은 기지국은, 복수의 휴대전화에 대해, 그 휴대전화들이 어느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신호, 보다 정확하게는, 복수의 휴대전화들이 기지국들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영역 중 한 개의 영역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동보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는, 휴대전화(5)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은 상기 동보전송되는 신호 내부에 포함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명령은 동보전송되는 신호의 비어있는 비트에 할당된다.
상기 차폐영역(3)은, 휴대전화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동보전송되는 신호와 유사한, 송신기(6)에 의해 송신된 제어신호(11)에 응답하여, 휴대전화(5)가 전원(20)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어신호 수신 판정회로(17)는, 상기 제어신호가 전원(20)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를 위해, 제어신호 수신 판정회로(17)는 할당된 비트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더구나, 휴대전화(5)의 전원(20)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21)에 접속된 전원차단회로(18)는, 상기 제어신호 수신 판정회로(17)가 전원(20)의 차단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활성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휴대전화 소지자(2)가 휴대전화(5)의 전원을 켠 상태로 차폐영역(3)을 통과할 때, 휴대전화(5)의 전원이 강제적으로 차단된다. 한편, 상기 전원차단회로(18) 대신에 발신금지회로(19)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전화가 외부로부터의 호에 응답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신금지회로(19)는 모든 발신기능을 정지시키는 반면에, 수신기능만을 허용하며, 상기 제어신호 수신 판정회로(17)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신기능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나중에 이러한 회로를 리셋하는 것에 의해, 휴대전화가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되어, 휴대전화 소지자(2)는 평상시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한 휴대전화의 위치등록 호 과정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이와 같은 제어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전화의 검출과 휴대전화의 강제적인 동작 정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이 보호영역의 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차폐영역 내부의 송신기는 제어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하며, 차폐영역 내부의 수신기는 휴대전화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경보기는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휴대전화의 소지자에 대해 전원을 오프하도록 하는 경보를 발생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휴대전화의 전원을 켠 상태로 보호영역으로 휴대전화를 가지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휴대전화를 검출하기 위해, 위치등록 호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전화를 강제적으로 활성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에 그것의 전원 차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휴대전화의 전체 동작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보호영역의 입구에 설치되고, 전자기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과,
    상기 차폐영역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전화에 대해 응답신호를 요구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휴대전화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휴대전화의 소지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차폐영역 내부에서 휴대전화에 대해 차폐영역의 외부와 다른 관리영역으로 진입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다른 관리영역에 진입할 때 휴대전화가 발생하는 위치등록 호를 수신하며,
    상기 경보기는 상기 위치등록 호를 수신하여 휴대전화의 소지자에 대해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3.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보호영역의 입구에 설치되고, 전자기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과,
    상기 차폐영역 내부에서 휴대전화에 대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휴대전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휴대전화의 작동용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4. 휴대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보호영역의 입구에 설치되고, 전자기파로부터 차폐된 차폐영역과,
    상기 차폐영역 내부에서 휴대전화에 대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휴대전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시 휴대전화의 발신을 금지하는 발신금지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KR1019980011716A 1997-05-30 1998-04-02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KR100329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57911A JPH10336101A (ja) 1997-05-30 1997-05-30 携帯電話の使用管理システム
JP157911 199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564A KR19980086564A (ko) 1998-12-05
KR100329323B1 true KR100329323B1 (ko) 2002-06-20

Family

ID=1566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716A KR100329323B1 (ko) 1997-05-30 1998-04-02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91614A (ko)
EP (1) EP0881850A3 (ko)
JP (1) JPH10336101A (ko)
KR (1) KR100329323B1 (ko)
CN (1) CN12013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2580B (fi) * 1996-06-17 1998-12-3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atkaviestimen aiheuttamien häiriöiden eliminoimiseksi
JP3893696B2 (ja) * 1997-10-24 2007-03-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EP1041848A1 (en) * 1999-03-12 2000-10-04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Protecting a predetermined area from disturbing usage of mobile terminals by means of a paging message
EP1041849A1 (en) * 1999-03-12 2000-10-04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Protecting a predetermined area from disturbing usage of mobile terminals
ES2156552B1 (es) * 1999-05-14 2002-02-01 De Vicente Fernando G Isasi Localizador de terminales moviles activos en areas especificas
JP3334681B2 (ja) * 1999-06-08 2002-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および無線端末における制御方法
JP3460629B2 (ja) * 1999-07-01 2003-10-27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給油所
GB2355889A (en) * 1999-10-26 2001-05-02 Endeavour Consulting Ltd Controlling operation of a device within a restricted area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device and instructing it to restrict its operation
US6448906B1 (en) * 1999-10-27 2002-09-10 Intel Corporation Wireless detection of electronic devices
US6580372B1 (en) 2000-06-06 2003-06-17 Scott C. Harris Automatic electronic device detection
GB2360863B (en) * 1999-11-15 2002-08-28 Scott C Harris Automatic cell phone detection at a combustible delivery station
US6222458B1 (en) * 1999-11-15 2001-04-24 Scott C. Harris Automatic cell phone detection at a combustible delivery station
WO2001069864A2 (en) * 2000-03-16 2001-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luetooth communications
US6734796B2 (en) 2000-04-04 2004-05-11 Ian J. Forster Self-check for a detect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a transportation vessel
AU2001281350A1 (en) * 2000-07-25 2002-02-05 Cell Block Technologies, Inc. A communication device intervention system and method
KR100313311B1 (ko) * 2000-08-30 2001-11-07 박노현 모드전환용의 특정 파일롯신호를 생성하는코드분할다중접속 송신장치 및 이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통신기기
JP2002186039A (ja) * 2000-12-14 2002-06-28 Omron Corp 入場管理装置および入場管理システム
GB2371907A (en) 2001-02-03 2002-08-07 Hewlett Packard Co Controlling the use of portable cameras
US6603397B2 (en) * 2001-03-14 2003-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of emissions by devices in sensitive environments
US6823199B2 (en) * 2001-06-29 2004-11-23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device notification alert
US7209705B2 (en) * 2001-11-14 2007-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onal automatic configu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behavior within small area transmitter service regions
US6701158B2 (en) * 2001-12-19 2004-03-02 R. Edward Moreth Use controll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820066B2 (ja) * 2003-06-27 2011-11-24 三星電子株式会社 カメラを内蔵した移動通信端末機、それを検索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162285B2 (en) * 2003-09-19 2007-01-09 Raytheon Company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telephone-activated devices in idle state
CN1324917C (zh) * 2003-10-30 2007-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移动终端屏蔽装置和方法
US7187950B2 (en) * 2003-11-14 2007-03-06 Intel Corporation Command station for mobile radio networks
CN100372366C (zh) * 2004-01-18 2008-02-27 浙江嘉科电子有限公司 无线摄像机信号阻断器及其用途
US20060099968A1 (en) * 2004-06-08 2006-05-11 Harris Scott C Automatic electronic device detection
US7233250B2 (en) * 2004-12-29 2007-06-19 Avery Dennison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with visual indicator
JP2006311297A (ja) * 2005-04-28 2006-11-09 Takenaka Komuten Co Ltd 持込防止システム、持込防止方法及び持込防止プログラム
US7626504B2 (en) * 2007-04-13 2009-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apparatus for silencing communication devices
JP5353056B2 (ja) * 2008-05-20 2013-1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の制御システム
CN107393077A (zh) * 2017-07-25 2017-11-24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用于检测手机的智能门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0978A (en) * 1980-01-08 1985-12-24 Lemelson Jerome H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5442805A (en) * 1988-10-05 1995-08-15 Motorola, Inc. Location-based adaptive radio control
JPH0769365B2 (ja) * 1989-01-10 1995-07-31 アンリツ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アナライザ
US4965548A (en) * 1989-02-09 1990-10-23 Banner Engineering Corp. Level indicator with alarm
US5235633A (en) * 1991-12-26 1993-08-10 Everett Dennison Cellular telephone system that uses position of a mobile unit to make call management decisions
US5543779A (en) * 1995-03-09 1996-08-06 Aspesi; Marc S. EMI sourc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1850A2 (en) 1998-12-02
KR19980086564A (ko) 1998-12-05
JPH10336101A (ja) 1998-12-18
CN1201345A (zh) 1998-12-09
US5991614A (en) 1999-11-23
EP0881850A3 (en) 199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323B1 (ko) 휴대전화의 사용관리 시스템
FI102580B (fi) Menetelmä matkaviestimen aiheuttamien häiriöiden eliminoimiseksi
JP2001008272A (ja) 基地局、保護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US69933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91834B1 (ko) 세탁기용 휴대폰 탐지기
GB23677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mobile telephones within a controlled area and re-activating them when they leave that area
KR20040044922A (ko) 이동 통신 모드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118517A (ja) 制限された局所領域内の移動無線システムの作動方法、無線ステーション、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移動無線システム
KR100473496B1 (ko) 이동 통신 장치 및 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송신기
JP2001008271A (ja) 基地局、保護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KR20010053419A (ko) 무선 통신 유닛
JP2000032557A (ja) 携帯電話利用制限方法
JP2000013497A (ja) 携帯電話機の強制パワーオフシステムおよび強制パワーオフ方法
JP2006332957A (ja) 通信端末装置
JPH10150406A (ja) 携帯電話探知装置
JP2003163967A (ja) 無線端末使用制限システム
JPH11331061A (ja) 携帯電話の使用禁止警告方式
JPH11251999A (ja) 自動電源オフ装置
KR100630174B1 (ko) 전파차단기로부터 수신된 전파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JPH11308675A (ja) 携帯電話装置
JPH1141162A (ja) 携帯無線機器検知方法および装置
KR100760000B1 (ko) 호 착·발신 및 위치등록 기능을 자동으로 절환하는 장치및 방법
JP2002058071A (ja) Phs端末検出方法およびphs端末検出装置
JP2002095054A (ja) 携帯電話の使用制限処理システム
JP2000278758A (ja) 携帯型移動電話の動作モード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モード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