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419A - 무선 통신 유닛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419A
KR20010053419A KR1020017000227A KR20017000227A KR20010053419A KR 20010053419 A KR20010053419 A KR 20010053419A KR 1020017000227 A KR1020017000227 A KR 1020017000227A KR 20017000227 A KR20017000227 A KR 20017000227A KR 20010053419 A KR20010053419 A KR 2001005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unit
transceiver
signal
unit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4596B1 (ko
Inventor
브리스토우로버트오웬
Original Assignee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Publication of KR2001005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3Transmission in a satellite or space-based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32Arrangements for managing transmission, i.e. for transporting data or a signalling me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위성 또는 셀룰러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를 통해 휴대용 핸드셋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유닛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통신망과의 통신 경로 상에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다루기힘든 간섭을 피하기 위해, 유닛은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 상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상기 신호가 간섭원이 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유닛{RADIO COMMUNICATIONS UNIT}
상기 언급된 일반적인 형태의 유닛을 이용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은, 유닛이 위성 또는 셀룰러망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주파수 상에 간섭 신호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상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상기와 같은 간섭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닛을 이용하면, 상기와 같은 형태의 간섭을 피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유닛(radio communications uni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성 또는 셀룰러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radio link)를 통해 휴대용 핸드셋(portable handset)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 상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상기 신호가 간섭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함으로써,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 경로 상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은, 셀룰러 또는 위성 시스템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제1 송수신기 및,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를 통해 휴대용 핸드셋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은 또한, 짧은 범위의 무선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수단 및, 이 신호 세기를 규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은 또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를 통한 통신이 중단되어 상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또한 본 발명이 어떻게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이제 실시예를 통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이다.
시스템(2)은, 송수신기 회로(6)에 접속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제1 안테나(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수신기 회로(6)는, 위성망이나 실제 임의의 다른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도 마찬가지로 적합할 수 있지만, 통상적인 셀룰러망을 통해 통신하기에 적합하다.
유닛(2)은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제2 안테나(8) 및 송수신기 회로(10)를 더 포함한다. 도 1에는 또한, 자신의 안테나(14)를 가지며 상기 유닛(2)과 동일한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휴대용 핸드셋(12)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휴대용 핸드셋(12)을 이용하여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오 있지만, 상기 장치는, 상기 시스템(2)에서 멀리 떨어져 놓이거나 적어도 적절히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유닛(2)은, 1610-1627 MHz 대역내의 채널에서 송신하며 2480-2500 MHz 대역내의 채널 상에서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글로벌스타(Globalstar) 위성망을 통해 통신하기에 적합할 수도 있다. 짧은 범위의 링크는 송신 및 수신 두가지 모두에 국제적으로 인정된 2400-2480 MHz의 ISM 대역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스템(2)은, 위성 기저대역 및 제어 모듈(baseband and control module)(7)과 짧은 범위 링크의 기저대역 및 제어 모듈(11)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7, 11)은 각자의 송수신기 회로(6, 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들을 다른 모듈을 통해 다른 송수신기 회로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모듈(7, 11)은 각자의 송수신기 회로(6, 10)에 동조 및 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시스템(2)은 또한,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송수신기 유닛(6, 10)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그것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및 간섭 유닛(16)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6)은, 원격 유닛(remote unit)(12)으로부터 송수신기 회로(10)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는 목적은, 상기 시스템 주 유닛(2)에 수신된 원격 유닛(12)으로부터의 신호가 송수신기(6)에서의 신호 수신에 대한 간섭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한 때를 판정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원격 유닛(12)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를 짧은 범위의 수신기 회로(10)에서 측정할 수 있다.
선택적인 제2 실시예로서, 원격 유닛(12)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를 주 수신기 유닛(6) 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선택적인 제3 실시예로서, 수신기 유닛이 통신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에서의 잡음 신호 세기를 주 수신기 유닛(6) 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제어 유닛(16)은 두 개의 송수신기 회로(6, 10) 모두로부터의 입력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 중 어느 것이 이용되는지에 따라, 상기 입력 중 한 입력만 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적인 제3 실시예의 경우, 수신된 잡음 신호는 원격 유닛(12)으로부터 상이한 방법으로 전송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일 때, 잡음 신호의 발생과 원격 유닛(12)이 전송하고 있는 공지된 시간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는, 잡음 신호원이 원격 유닛(12)이라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일 때, 소정 주파수에서의 원격 유닛(12)으로부터의 송신과, 수신기 유닛(6) 내에서의 잡음 발생 간의 상관관계는, 원격 유닛(12)으로부터의 송신이 수신기 유닛(6) 내의 잡음 신호 원인이라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일 때, 원격 유닛(12)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임의의 편리한 방법(예컨대, AM, PM 또는 FM)으로 상기 신호에 변조가 행해진 부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유닛(6)은, 수신기 유닛(6) 내에 수신된 잡음 신호의 원인이 원격 유닛(12)으로부터의 송신이라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용하기 위해 상기 부호를 복조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서든, 검출된 신호 세기가 규정된 임계값과 비교되는데, 상기 임계값은 각각의 경우마다, 신호 세기에 따라 수신기 유닛(6) 내의 다루기 힘든 간섭원인이 될 수 있다고 판정되는 레벨로 설정된다.
수신기 유닛(6) 또는 수신기 유닛(10)에 수신된 신호에 수행되는 신호 세기 측정에 따라 제어 유닛(16)에 의해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판정되면, 경보 신호(alerting signal)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는 제어 유닛(16) 내에서 발생되고, 짧은 범위 링크의 기저대역 및 제어 모듈(11)과 송수신기 회로(10)를 통해 전송되며,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를 거쳐 원격 유닛(12)으로 전송된다. 원격 유닛(12)에서, 상기 신호는 장치 사용자에게 적절한 경고(warning) 형태로 변형된다. 예컨대, 경고는, 원격 유닛에 저장되어 경보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재생되는 가청 메시지, 또는 경보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원격 유닛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가시적인 메시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원격 유닛(12)이 주 유닛(2)에 근접할 때 임의의 경고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 유닛 내에서 경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더 간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선택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도, 제어 유닛은 원격 유닛(12)으로부터 수신기 유닛(10)으로 간섭을 일으키는 더 이상의 전송을 금지하는 명령를 발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 유닛(10)에서 수신된 원격 유닛(12)으로부터의 전송 신호의 세기가 간섭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다면, 이것은, 원격 유닛(12)이 시스템 주 유닛(12)에 매우 인접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경우, 원격 유닛(12)과 시스템 주 유닛(2) 간을 적외선 통신 링크로 전환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주 유닛(2)은 적외선 송수신기(18)를 포함하며, 원격 유닛(12)은 적외선 송수신기(2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로의 경보 메시지는 예컨대, 사용자가 무선 링크 사용을 중단하고, 대신 원격 유닛에서 시스템 주 유닛까지 유선(wired) 통신으로 전환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는, 원격 유닛이 시스템 주 유닛에 근접하게 이동한 것이 간섭 원인인 경우 허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로서, 주 유닛(2)과 원격 유닛(12)은, 선택적인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이 전환하도록 하며 간섭 가능성을 줄이는 선택적인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술된 회로는 또한, 짧은 범위의 링크를 통한 시스템 주 유닛과의 무선 주파수 전송에 이용되는 것 외에도, 예상되는 간섭 발생 원인을 발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망을 통한 전송은 다른 통신 사용자, 또는 심지어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s)와 같은 무선 주파수 신호의 비-통신원으로부터도 간섭을 받을 수도 있다.
시스템 주 유닛(2) 내의 짧은 범위의 무선 수신기 유닛(10)은, 원치 않는 간섭 신호를 잠재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채널에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시스템 주 유닛(2)과 원격 유닛(12) 간의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가 주파수 도약 시스템(frequency hoped system)인 경우, 수신기 유닛(10)은 강한 간섭에 의해 차단되는 채널을 도약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레벨이 계속해서 측정되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경고하는데 있어서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짧은 범위의 무선 링크 상의 오차 비율이 높을 때 강한 신호가 발생한다면, 신호 원인은 원치않는 제3 부류의 간섭자(interferer)라고 추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주 유닛(2) 내의 수신기 유닛(6)은, 간섭받을 가능성이 더 높은 채널을 선택하도록 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되면 수신된 잡음 신호와 다른 채널 상에 수신된 잡음 신호의 상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간섭 원인에 대해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주 통신 링크 상의 간섭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Claims (15)

  1. 제1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제1 송수신기,
    원격 유닛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2 송수신기,
    잠재적인 간섭 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출된 신호 세기가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기 내에 상기 원격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 내에 상기 원격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기 내에, 상기 원격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전송에 의해 발생된 잡음 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유닛으로부터 전송이 수신되고 있는 시간을 확인하는 수단,
    상기 제2 송수신기 내의 잡음 신호의 검출된 신호 세기가 규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시간을 확인하는 수단, 및
    상기 확인된 시간을 비교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상에서 상기 원격 유닛으로부터 전송이 수신되고 있는 시간을 확인하는 수단,
    상기 제2 송수신기 내의 잡음 신호의 검출된 신호 세기가 규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시간을 확인하는 수단, 및
    상기 확인된 시간을 비교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유닛으로부터의 전송 상에 변조가 행해진 부호를 제2 송수신기 내에서 검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수단을 발생시켜, 이것을 원격 유닛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신호가 발생될 때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해 적외선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통신 장치와 원격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제1 송수신기,
    원격 유닛과 통신하는 제2 송수신기,
    잠재적인 간섭 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출된 신호 세기가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유닛은,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3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원격 유닛으로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유닛은 가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저장된 가청 메시지를 수신된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유닛은, 수신된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가시적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유닛은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 장치로의 더 이상의 무선 송신을 중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원격 유닛은 각각 적외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이후의 적외선 송수신기로의 전송을 전환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17000227A 1998-07-15 1999-07-05 무선 통신 유닛 KR100674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15392A GB2339647A (en) 1998-07-15 1998-07-15 Warning of Interference between Radio Links
GB9815392.7 1998-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419A true KR20010053419A (ko) 2001-06-25
KR100674596B1 KR100674596B1 (ko) 2007-01-25

Family

ID=1083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227A KR100674596B1 (ko) 1998-07-15 1999-07-05 무선 통신 유닛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313366B1 (ko)
EP (1) EP1145448B1 (ko)
JP (1) JP2002521855A (ko)
KR (1) KR100674596B1 (ko)
CN (1) CN1146124C (ko)
AT (1) ATE227478T1 (ko)
AU (1) AU755854B2 (ko)
BR (1) BR9912102A (ko)
DE (1) DE69903856T2 (ko)
EE (1) EE04327B1 (ko)
GB (1) GB2339647A (ko)
MY (1) MY120365A (ko)
PL (1) PL348027A1 (ko)
WO (1) WO20000046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1786B2 (ja) * 1999-11-10 2003-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干渉検出機能付き携帯電話無線機
FR2806557A1 (fr) * 2000-03-14 2001-09-21 Raoul Parienti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a courte distance au moyen d'objets portatifs electroniques
AU3296700A (en) * 2000-03-14 2001-09-24 Bernard Dias Short distance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electronic portable objects
US7366471B1 (en) * 2000-08-31 2008-04-29 Intel Corporation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systems
FI20002899A0 (fi) * 2000-12-29 2000-12-29 Nokia Corp Järjestely informaation kommunikoimiseksi
JP2004312639A (ja) * 2003-04-10 200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位置表示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表示装置
US7848741B2 (en) 2003-12-30 2010-12-07 Kivekaes Kalle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detection
US7643811B2 (en) 2004-05-26 2010-0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detection
GB2422968A (en) * 2005-02-03 2006-08-09 Cambridge Silicon Radio Ltd Detecting signals
US7860521B2 (en) * 2007-12-26 2010-12-28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inter-communications system mobile station-to-mobile station interference
CN102006130A (zh) * 2010-12-01 2011-04-06 重庆永旺科技发展有限公司 汽车防干扰报警器
KR101659964B1 (ko) * 2015-01-20 2016-09-27 오학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노이즈 간섭을 회피하는 무선 통신 방법
JP2019047302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携帯機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8886A1 (de) * 1985-08-12 1987-02-19 Siemens Ag Funkfernsprechsystem
US5001776A (en) * 1988-10-27 1991-03-19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adaptive transceivers to control intermodulation distortion
US5257397A (en) * 1990-08-13 1993-10-26 At&T Bell Laboratories Mobile data telephone
AU8850291A (en) 1990-12-03 1992-06-25 Light Ideas Incorporated Light-linked cellular telephone
US5287544A (en) 1991-10-17 1994-02-15 Motorola, Inc. Method of channel assignment by matching channel interference with channel link loss
US5349701A (en) 1992-01-15 1994-09-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ken link detect using audio energy level
SE9202369L (sv) 1992-08-18 1993-07-26 Televerket Foerfarande foer uppskattning av trafikdensitet i mobiltelefonnaet
SE9202367L (sv) 1992-08-18 1993-07-26 Televerket Foerfarande foer uppskattning av c/i-densitet och interferenssannolikhet i upplaenk
US5375123A (en) 1993-02-05 1994-12-20 Telefonakitebolaget L. M. Ericsson Allocation of channels using interference estimation
JPH0730983A (ja) * 1993-07-14 1995-01-31 Nippon Gijutsu Kk 電波混信警告装置
KR100330796B1 (ko) 1994-01-05 2002-09-09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전화용클리어채널선택시스템
GB2288101B (en) * 1994-03-22 1998-04-29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ode radio telephone
US5574979A (en) * 1994-06-03 1996-11-12 Norand Corporation Periodic interference avoidance in a wireless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5649290A (en) 1994-12-14 1997-07-15 Lucent Technologies Inc. Handover method based upon channel quality
AU678739B2 (en) 1994-12-19 1997-06-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FI111674B (fi) * 1996-10-31 2003-08-29 Nokia Corp Käyttäjäliityntä
US5953661A (en) * 1997-05-16 1999-09-14 Nextel Communications Method of maximizing spectral efficiency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181946B1 (en) * 1997-08-28 2001-01-30 Motorola, Inc. Method for subscriber based management of neighbor list information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6421328B1 (en) * 1997-09-04 2002-07-16 Northern Telecom Limited Neighborhood list assimilation for cell-based microsystem
US6233430B1 (en) * 1997-09-19 2001-05-15 Richard J. Helferich Paging transceiver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retrieving messages
US6088589A (en) * 1997-12-11 2000-07-11 Ericsson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high-power notification messages
US6542758B1 (en) * 1997-12-11 2003-04-01 Ericsson Inc. Distributed radio telephone for use 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0885A (zh) 2001-08-29
GB2339647A (en) 2000-02-02
AU5031299A (en) 2000-02-07
BR9912102A (pt) 2001-05-02
DE69903856D1 (de) 2002-12-12
EE04327B1 (et) 2004-06-15
WO2000004659A3 (en) 2001-10-11
EP1145448B1 (en) 2002-11-06
US7313366B1 (en) 2007-12-25
GB2339647A8 (en) 2000-02-03
EP1145448A2 (en) 2001-10-17
WO2000004659A2 (en) 2000-01-27
EP1145448A3 (en) 2002-02-13
JP2002521855A (ja) 2002-07-16
EE200100015A (et) 2002-06-17
MY120365A (en) 2005-10-31
PL348027A1 (en) 2002-05-06
CN1146124C (zh) 2004-04-14
DE69903856T2 (de) 2003-07-31
KR100674596B1 (ko) 2007-01-25
AU755854B2 (en) 2002-12-19
GB9815392D0 (en) 1998-09-16
ATE227478T1 (de) 200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2682A (en) Communicating on a direct mode channel
KR100945885B1 (ko) 이동 통신 모드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74596B1 (ko) 무선 통신 유닛
US6922551B1 (en) Interference prevention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7961091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frequency-hopping short-range radio devices
KR100887767B1 (ko) 주파수 감응형 무선전파교란장치
KR20010018104A (ko) 발진 방지기능 및 무가입자시 역방향 출력 자동 차단 기능을갖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6291723A (ja) セキュリティ無線システム
RU2594180C1 (ru) Ультракоротковолн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JP3155295B2 (ja) 無線電話装置
KR20020049880A (ko)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0308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600584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537490A (ja) スペクトラム拡散無線通信方式
KR100318364B1 (ko) 무선호출망을이용한위치측정시스템과그에따른위치측정단말장치및방법
JP3051042B2 (ja) 携帯無線装置の置忘れ防止方法及び置忘れ防止機能付携帯無線装置
KR0120528Y1 (ko)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
JPS5823780B2 (ja) 移動通信における受信電界レベルの測定方式
JPH0630453B2 (ja) 無線機チエック方式
MXPA01000354A (es) Prevencion de interferencia en un sistema de radiocomunicaciones
JPH05110510A (ja) 妨害波検出制御方式
JPH08265851A (ja) 携帯無線装置の置忘れ防止方法及び置忘れ防止機能付携帯無線装置
JPH05344023A (ja) 無線装置
JPH08265850A (ja) 携帯無線装置の置忘れ防止方法及び置忘れ防止機能付携帯無線装置
JPH10322260A (ja) 無線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