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895B1 -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 Google Patents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895B1
KR100328895B1 KR1019990005331A KR19990005331A KR100328895B1 KR 100328895 B1 KR100328895 B1 KR 100328895B1 KR 1019990005331 A KR1019990005331 A KR 1019990005331A KR 19990005331 A KR19990005331 A KR 19990005331A KR 100328895 B1 KR100328895 B1 KR 10032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s
bit line
transistor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700A (ko
Inventor
노무라히데미
요네야마노보루
시부자와꾸니히코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14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89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757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506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05835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536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7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08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 G11C16/0425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a merged floating gate and select transis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Abstract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대용량화에 따라, 비트선의 용량성 부하를 저감시켜 동작의 고속화를 꾀하고, 또한 칩 크기의 증대 방지와 패턴 레이아웃의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하나의 주 비트선 BL0에 대해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BLa0, BLb0을 배치하고, 메모리 셀 어레이(11)를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11)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선택 트랜지스터 Q0, Q1, Q4, Q5 및 방전 트랜지스터 Q2, Q3, Q6, Q7을 배치하고, 또한 소정 전위 ARGND의 배선(20)과 선택 신호 DCBLa, DCBLb의 배선(21, 22)을 배치한다.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은,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0의 게이트와, 그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계하는 제2 방전 트랜지스터(Q3에 상당)의 게이트와, 전극(21)을 접속하고, 제1 게이트 전극 배선(25)은, 제2 선택 트랜지스터 Q1의 게이트와, 제1 방전 트랜지스터 Q2의 게이트와, 전극(21)을 접속한다.

Description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본 발명은, 플로우팅 게이트 및 제어 게이트를 구비한 메모리 트랜지스터를이용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셀이 단일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ROM(EEPROM :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에서는, 플로우팅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를 구비한 2중 게이트 구조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각 메모리 셀이 구성된다. 이러한 2중 게이트 구조의 트랜지스터의 경우, 플로우팅 게이트의 드레인 영역으로부터 주입되는 열 전자를 소스 영역측을 향해 가속하고, 게이트 절연막을 통과시켜 플로우팅 게이트에 주입함으로써 정보의 기록이 행해진다. 그리고, 플로우팅 게이트에 전하가 주입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른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의 차를 검출함으로써, 정보의 판독이 행해진다.
이러한 메모리 셀의 구조에는 크게 2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스택 게이트형이라고 하고, 또 하나는 스플리트 게이트형이라고 한다. 특히, 스플리트 게이트의 메모리 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영역(1)과 소스 영역(2) 사이에 형성된 채널 상에, 플로우팅 게이트(4)가 절연막(3)을 개재해서 일부가 소스 영역(2)에 중첩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제어 게이트(5)가 절연막(6)을 개재해서 일부가 플로우팅 게이트(4)에 중첩하여 형성된다. 드레인 영역(1)은 이웃한 셀과의 공통 영역이 되고, 컨택트홀(7)을 통해 비트선(8)에 접속된다. 또한, 소스 영역(2)도 이웃한 셀과의 공통된 영역이 된다.
이러한 스플리트 게이트형의 메모리 셀을 이용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개략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 복수의 메모리 셀(10)이 n×m의 행 및 열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11)에서, 각각의 메모리 셀(10)은, 각각 n개의 워드선 WL(0∼n-1)과 m개의 비트선 BL(0∼m-1)의 교점에 배치되고, 메모리 셀(10)의 제어 게이트(도 4의 5)가 워드선 WL에 접속되고, 드레인(도 4의 1)이 비트선 BL에 접속된다. 또한, 인접하는 워드선 WL에 접속된 각 행의 메모리 셀(10)의 소스(도 4의 2)는, 공통 소스선 SL(0∼n/2-1)에 각각 접속된다. 예를 들면, 워드선 WL0과 WL1에 접속된 메모리 셀은, 공통 소스선 SL0에 접속된다.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인가된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기초하여 워드선 WL의 하나를 선택함과 동시에, 소거 모드, 프로그램 모드, 판독 모드를 각각 나타내는 신호 ES, PG, RE에 기초하여, 선택된 워드선 WL에 각 모드에 따른 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선택된 워드선 WL에 관련하는 공통 소스선 SL에 각 모드에 따른 전압을 공급한다.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는, 인가된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 CAD에 기초하여 비트선 BL의 하나를 선택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모드 신호 PG 및 판독 모드 신호 RE에 따라 선택된 비트선 BL에 기록 판독 제어 회로(14)로 제어되는 전압을 인가한다.
한편, 각 비트선 BL과 전위선 ARGND 사이에는, 소거 모드시 및 판독 모드시의 비트선의 방전과 프로그램 모드시의 오기록을 방지하기 위해,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의 디코드 출력의 반전 신호 *Y0으로부터 *Ym-1에 의해 제어되는 MOS 트랜지스터(15)가 각각 설치된다. 예를 들면, 판독 모드시 및 프로그램 모드시에,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 CAD를 디코드한 결과, 비트선 BL0이 선택된 경우, 그 디코드 출력 *Y0은「L」레벨이 되고, 그 밖의 디코드 출력 *Y1로부터 *Ym-1은 「H」레벨이 된다. 따라서, 선택된 비트선 BL0이외의 비트선 BL1로부터 BLm-1은, 온이 된 MOS트랜지스터(15)를 통해,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기초하여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소거 모드, 프로그램 모드, 판독 모드를 설명한다.
(1) 소거 모드
소거 모드 신호 ES가 활성화되면,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의해 선택된 워드선 WL (예를 들면 WL0으로 함)에 소거 전압 Ve(예를 들면, 14.5V)를 인가하고, 그 밖의 선택되지 않은 워드선 WL1로부터 WLn-1에는 접지 전압(0V)을 인가한다. 또한,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모든 공통 소스선 SL0으로부터 SLn/2-1에 접지 전위를 인가한다.
한편,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는, 모든 디코드 반전 출력 *Y0 ∼ *Ym-1을「H」레벨로 하기 때문에, 모든 MOS 트랜지스터(15)가 온이 되고, 모든 비트선 BL은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이 때, 전위선 ARGND는 접지 전위로 되기 때문에, 모든 비트선 BL은, 접지 전위가 인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워드선 WL0에 접속된 모든 메모리 셀(10)의 제어 게이트(5)에는, 소거 전압 14.5V가 인가되고, 드레인(1) 및 소스(2)에는 0V가 인가된다. 메모리 셀(10)은, 제어 게이트(5)와 플로우팅 게이트(4) 사이의 용량 결합보다 소스(2)와 플로우팅 게이트(4) 사이의 용량 결합이 각별히 크기 때문에, 이 때의 플로우팅 게이트(4)의 전위는, 소스(2)와의 용량 결합에 의해 소스(2)와 동일한 0V로 고정되고, 제어 게이트(5)와 플로우팅 게이트(4)의 전위차가 14.5V가 되고, F-N 터널 전류(Fowler-Nordheim Tunnel Current)가 터널 산화막(도 4의 6a)을 통해 흐른다. 즉, 플로우팅 게이트(4)에 주입되어있던 전자가 플로우팅 게이트(4)의 돌출부로부터 제어 게이트(5)로 방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워드선 WL에 접속된 메모리 셀(10)의 일괄 소거가 행해진다.
(2) 프로그램 모드(기록 모드)
프로그램 모드 신호 PG가 활성화되면,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인가된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워드선 WL(예를 들면 WL0으로 함)에 선택 전압 Vgp(예를 들면, 2.0V)를 인가하고, 그 밖의 선택되지 않은 워드선 WL1∼WLn-1에는 접지 전압 0V를 인가한다. 또한,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선택된 워드선 WL0에 따른 공통 소스선 SL0에 프로그램 전압 Vp(예를 들면 12.2V)를 공급한다. 한편,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는,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 CAD에 기초하여 선택된 비트선 BL(예를 들면 BL0로 함)을 기록 판독 회로(14)에 접속한다. 따라서, 선택된 비트선 BL0에는 입출력 단자 I/O에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에 기초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면, 입출력 I/O에 「0」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비트선 BL0에는 기록 가능 소스 전압 Vse(0.9V)가 인가되고, 입출력 I/O에 「1」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비트선 BL0에는 기록 금지 소스 전압 Vsd(4.0V)가 인가된다. 또한, 선택되지 않은 다른 비트선 BL1로부터 BLm-1은, MOS 트랜지스터(15)에 의해 기록 금지 전압 Vsd(4.0V)에 설정된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따라서, 워드선 WL0과 비트선 BL0으로 지정된 메모리 셀(10)에서는, 입출력 I/O가 「0」일 때에는, 소스(2)에 12.2V, 드레인(1)에 0.9V, 제어 게이트(5)에 2.0V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드레인(1)으로부터 소스(2)를 향해 캐리어가 흐르게되지만, 플로우팅 게이트(3)와 소스(2)의 용량 결합때문에, 플로우팅 게이트(4)의 전압은, 소스(2)의 전위와 거의 동일해진다. 따라서 캐리어는 열 전자로서 절연막(3)을 통해 플로우팅 게이트(4)에 주입된다. 한편,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10)에서는, 드레인(1), 소스(2), 제어 게이트(5)의 전압이 프로그램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플로우팅 게이트(4)에의 주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3) 판독 모드
판독 모드 신호 RE가 활성화되면,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기초하여 선택된 워드선 WL(예를 들면 WL0으로 함)에 선택 전압 Vgr(4.0V)를 인가함과 동시에, 모든 공통 소스선 SL에 접지 전압(0V)을 인가한다. 한편,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는,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 CAD에 기초하여 선택된 비트선 BL(예를 들면 BL0)을 기록 판독 회로(14)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워드선 WL0과 비트선 BL0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10)로 유지된 데이타의 판독이 행해진다. 한편, 선택되지 않은 비트선 BL1∼BLm-1은, 접지 전압(0V)으로 유지된 전위선 ARGND에 MOS 트랜지스터(15)를 통해 접속된다. 이에 따라, 컬럼 어드레스가 천이했을 때에 다른 비트선 BL의 판독의 초기 상태는, 0V로부터 기록 판독 회로(14)에 의해 바이어스되고, 판독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각 모드에서 워드선 WL, 비트선 BL, 공통 소스선 SL에 소정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메모리 셀(10)의 소거 조건, 프로그램 조건, 판독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모드이외의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MOS 트랜지스터(15)는 전부 온이 되고, 접지 전압 0V로 설정된 전위선ARGND에 접속되고, 모든 비트선 BL은 0V로 방전된다.
도 5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서, 반도체 제조 기술의 진보에 따라 미세 화가 점점 진행하고, 기억 용량이 16M비트, 32M비트, 또한 64M비트로 많아지면, 비트선 BL의 기생 용량이 비약적으로 증대한다. 즉, 하나의 비트선 BL에는, 드레인(1)의 접합 용량이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메모리 셀(10)의 접속수가 2배 또는 4배가 되면, 기생 용량도 2배 또는 4배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록 판독 회로(14)의 부하가 커지고, 기록 시간 및 판독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비트선 BL을 MOS 트랜지스터(15)에 의해 전위선 ARGND에 접속하여 소정 전압에 방전(또는 프리차지)하기 위한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동작 스피드가 저하하고, 특성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점에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 미세화할 때에도, 동작 스피드가 크고, 신뢰성이 높은 기록 판독을 행할 수 있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불휘발성 메모리 셀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셀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 및 비트선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선을 선택하는 로우 디코더와,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비트선을 선택하는 컬럼 디코더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를,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이들의 블럭으로부터 선택된 모든 블럭의 비트선을 컬럼 디코더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컬럼 선택 스위치와, 나머지 블럭을 제1전위선에 접속하는 전위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분할된 비트선이 선택적으로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에 접속되기 때문에, 기록 판독 회로의 용량성 부하가 경감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에서는, 상기 비트선이 상기 컬럼 디코더에 접속되는 복수의 주 비트선과, 상기 주 비트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가, 로우 어드레스에 대해 분할되고, 각각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에 접속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위선이 방전 전위선이고,
상기 주 비트선과 상기 제1 분할 비트선 및 상기 제2 분할 비트선 사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컬럼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과 상기 방전 전위선 사이에 설치된 제1 및 제2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에서는, 상기 제1 컬럼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2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는, 동일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컬럼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는 동일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과 제2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의 한쪽이 주 비트선에 접속됐을 때에는, 동일한 제어 신호에 의해 다른 블럭의 비트선은 방전 전위선에 접속되므로, 한쪽 블럭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다른 블럭의 모든 비트선은, 방전 상태가 되고, 다음에 다른 블럭이 선택된 상태가 되었을 때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에서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호 상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과 제2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의 한쪽이 주 비트선에 접속됐을 때에는, 동일한 제어 신호에 의해 다른 블럭의 비트선은 방전 전위선에 접속된다. 그리고, 다른 블럭이 주 비트선에 접속됐을 때에는, 한쪽 블럭의 모든 비트선은, 방전 상태로 되는 식으로, 접속 상태와 방전 상태가 상보 신호에 따라 교대로 제어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에서는, 상기 비트선이, 상기 컬럼 디코더에 접속되는 복수의 주 비트선과, 상기 주 비트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비트선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 선택 스위치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비트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주 비트선에 접속하는 제1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위 선택 스위치가 상기 제1 및 제2 비트선과 방전 전위 사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방전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비트선과 상기 제2 비트선 사이에 설치한 상기 제2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1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서, 상기 소정 전위와 상기 제1 비트선 사이에 설치한 상기 제1 방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주 비트선과 상기 제1 비트선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1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2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서,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한 방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에 접속되는 복수의 주 비트선과, 상기 주 비트선의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할 비트선과, 상기 복수의 분할 비트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주 비트선에 접속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를 설치한 것으로, 이에 따라 분할된 비트선이 선택적으로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에 접속되기 때문에, 기록 판독 회로의 용량성 부하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6에서는, 상기 제2 게이트 전극 배선이 상기 제1 분할 비트선과 교차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2 게이트 전극 배선과 상기 제1 분할 비트선이 근접하는 영역을 구비하게 되고, 이 영역에서 동일 신호 단자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 거리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용량의 증대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주 비트선에 관계하는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연장하여,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계하는 방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하나의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보다 배열 피치가 큰 선택 트랜지스터등을, 칩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 레이아웃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7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가, 소스(또는 드레인)를 공통의 영역에서 구성한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을 공통의 영역에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점유 면적을 저감시키고, 칩 크기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8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방전 트랜지스터가, 소스(또는 드레인)를 공통의 영역에서 구성한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및 제2 방전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을 공통의 영역에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점유 면적을 저감시키고, 칩 크기의 증대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9에서는, 상기 비트선이 상기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에 접속되는 복수의 주 비트선과, 상기 주 비트선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할 비트선을 구비하고, 상기 컬럼 선택 스위치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할 비트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주 비트선에 접속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위 선택 스위치는 상기 컬럼 선택 스위치의 더욱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할 비트선을 방전 전위에 접속하는 방전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와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를 소정 간격으로 반복 패턴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에 대해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를 비스듬이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방전 트랜지스터가, 연속하는 공통의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분할된 비트선이 선택적으로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에 접속되기 때문에, 기록 판독 회로의 용량성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와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에 대해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를 비스듬이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방전 트랜지스터를 연속하는 공통의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 접속한 것으로, 이에 따라 메모리 셀보다 배열 피치가 큰 선택 트랜지스터와 방전 트랜지스터를, 칩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 레이아웃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0에 따르면, 상기 공통의 게이트 전극 배선이 직선형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선 패턴의 간소화를 꾀하고, 배선 길이를 저감시킬 수 있어, 용량의 증대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에 따르면,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와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를 끼우도록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호 교대로 주 비트선과 분할 비트선을 배치할 수 있고, 셀 크기의 증대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2에 따르면, 하나의 상기 주 비트선에 대해 2개의 분할 비트선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회로도.
도 4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 셀
11 : 메모리 셀 어레이
12 :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
13 :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
14 : 기록 판독 회로
15 : MOS 트랜지스터
도 1은, 메모리 셀 어레이를 2분할한 경우의 실시예이고, 도면에서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 및 기록 판독 회로(14)는, 상술된 도 5의 회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1 셀 어레이 블럭(11A)과 제2 셀 어레이 블럭(11B)으로 분할되고, 각 셀 어레이 블럭(11A, 11B)은, 각각 k×m의 행 및 열에 메모리 셀(7)이 배치된 구성이다. 제1 셀 어레이 블럭(11A)에서, 워드선은 WL0∼WLk-1, 공통 소스선은 SL0 ∼ SLk/2-1이다. 또한, 비트선은 BLa0 ∼ BLam-1의 m개가 설치되고, 각 비트선 BLa0 ∼ BLam-1과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로부터 도출된 주 비트선 BL0∼BLm-1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a에 의해 제어되는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 즉 MOS 트랜지스터 Q0이 설치된다. 또한, 각 비트선 BLa0∼BLam-1과 전위선 ARGND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b에 의해 제어되는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 즉 MOS 트랜지스터 Q2가 설치된다.
한편, 제2 셀 어레이 블럭(11B)에서, 워드선은 WLk ∼ WLn-1, 공통 소스선은 SLk/2 ∼ SLn/2-1이다. 또한, 비트선은 BLb0 ∼ BLbm-1의 m개가 설치되고, 각 비트선 BLb0 ∼ BLbm-1과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13)로부터 도출된 주 비트선 BL0∼BLm-1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b에 의해 제어되는 컬럼 선택 스위치, 즉 MOS 트랜지스터 Q1이 설치된다. 또한, 각 비트선 BLb0 ∼ BLbrm-1과 전위선 ARGND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a에 의해 제어되는 컬럼 선택 스위치, 즉 MOS 트랜지스터Q3이 설치된다.
제어 신호 DCBLa 및 DCBLb는, 도시되지 않은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검출 회로로부터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의 내용에 따라 출력되는 것이다. 즉, 제어 신호 DCBLa는,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가, 워드선 WL0으로부터 WLk-1을 발생시키는 내용인 경우, 즉 제1 셀 어레이 블럭(11A)이 선택된 경우에 「H」레벨이 되는 신호이고, 제어 신호 DCBLb는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가 워드선 WLk로부터 WLn-1을 발생시키는 내용인 경우, 즉 제2 셀 어레이 블럭(11B)이 선택된 경우에 「H」레벨이 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어 신호 DCBLa가 「H」가 되면 , MOS 트랜지스터 Q0 및 Q3이 온이 되고, 제1 셀 어레이 블럭(11A)의 비트선 BLa가 주 비트선 BL에 접속되고, 제2 셀 어레이 블럭(11B)의 비트선 BLb는,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 신호 DCBLb가 「H」레벨이 되면 상술된 바와 반대가 된다.
이어서, 도 1의 실시예의 각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1) 소거 모드
소거 모드 신호 ES가 활성화됐을 때,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가 제1 셀 어레이 블럭(11A)을 선택하는 것일 때, 워드선 WL(예를 들면 WL0으로 함)이 소거 전압 Ve(예를 들면, 14.5V)가 되고, 그 밖의 선택되지 않은 워드선 WL1 ∼ WLn-1은 접지 전압(0V)이 되고, 모든 공통 소스선 SL은, 접지 전위가 된다. 또한,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는, 모든 디코드 반전 출력 *Y0 ∼ *Ym-1을 「H」레벨로 하기 때문에, 모든 MOS 트랜지스터(15)가 온이 되고, 모든 주 비트선 BL은,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이 때, 전위선 ARGND는, 접지 전압(0V)으로 되기 때문에, 모든 비트선 BL은, 0V가 인가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제어 신호 DCBLa가 「H」레벨, DCBLb가 「0」레벨이 되기 때문에, MOS 트랜지스터 Q0이 온이 되고, 모든 비트선 BLa는, 주 비트선 BL에 접속되고, 전위선 ARCND로부터 MOS 트랜지스터(15)를 통해 0V가 인가된다. MOS 트랜지스터 Q3이 온하기 때문에 제2 셀 어레이 블럭(11B)의 비트선 BLb는, 전위선 ARGND에 접속되어, 0V가 된다.
따라서, 워드선 WL0에 접속된 모든 메모리 셀(10)의 일괄 소거가 행해진다.
(2) 프로그램 모드(기록 모드)
프로그램 모드 신호 PG가 활성화되면,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인가된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워드선 WL (예를 들면 WL0으로 함)에 선택 전압 Vgp (예를 들면, 2.0V)를 인가하고, 그 밖의 선택되지 않은 워드선 WL1 ∼ WLn-1에는 접지 전압 0V를 인가한다. 또한,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선택된 워드선 WL0에 따른 공통 소스선 SL0에 프로그램 전압 Vp(예를 들면 12.2V)를 공급한다. 한편,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는,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 CAD에 기초하여 선택된 비트선 BL(예를 들면 BL0으로 함)을 기록 판독 회로(14)에 접속한다. 따라서, 선택된 비트선 BL0에는, 입출력 단자 I/O에 인가되는 기록 데이타에 기초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면, 입출력 I/O에 「0」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비트선 BL0에는 기록 가능 소스 전압 Vse(0.9V)가 인가되고, 입출력 I/O에「1」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비트선 BL0에는 기록 금지 소스 전압 Vsd (4.0V)가 인가된다. 또한, 선택되지 않은 다른 비트선 BL1로부터 BLm-1은, MOS 트랜지스터(15)에 의해기록 금지 전압 Vsd(4.0V)에 설정된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이 때, 제어 신호 DCBLa는 「H」레벨, DCBLb는「L」레벨로 되기 때문에, MOS 트랜지스터 Q0, Q3이 온하고, MOS 트랜지스터 Q2, Q1은 오프한다. 따라서, 제1 셀 어레이 블럭(11A)의 비트선 BLa는 주 비트선 BL에 접속되고, 제2 셀 어레이 블럭(11B)의 비트선 BLb는,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따라서, 비트선 BLa0은 주 비트선 BL0을 통해 기록 판독 회로(14)에 접속되고, 다른 비트선 BLa1로부터 BLam-1은, 전위선 ARGND로부터 기록 금지 전압 4.0V가 인가된다. 또한, 모든 비트선 BLb에도 MOS 트랜지스터 Q3을 통해 전위선 ARGND로부터 기록 금지 전압 4.0V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워드선 WL0과 비트선 BLa0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10)에만 기록이 이루어진다.
(3) 판독 모드
판독 모드 신호 RE가 활성화되면,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는,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기초하여 선택된 워드선 WL (예를 들면 WL0으로 함)에 선택 전압 Vgr(4.0V)을 인가함과 동시에, 모든 공통 소스선 SL에 접지 전압(0V)을 인가한다. 한편,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는,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 CAD에 기초하여 선택된 비트선 BL(예를 들면 BL0을 기록 판독 회로(14)에 접속한다. 한편, 선택되지 않은 비트선 BL1 ∼ BLm-1은, 접지 전압(0V)으로 유지된 전위선 ARGND에 MOS 트랜지스터(15)를 통해 접속된다. 이 때, 제어 신호 DCBLa는 「H」레벨, DCBLb는「L」레벨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비트선 BLa는 MOS 트랜지스터 Q0을 통해 주 비트선 BL에 접속되고, 비트선 BLab는 MOS 트랜지스터 Q3을 통해 전위선 ARGND에 접속되어 0V가 인가된다. 따라서, 비트선 BLa0과 워드선 WL0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7)로 유지된 데이타의 판독이 행해지고, 다른 비트선 BLa1∼BLam-1은, 0V로 방전된다. 또한, 선택되지 않은 제2 셀 어레이 블럭(11B)의 모든 비트선 BLb도 0V로 방전되기 때문에, 컬럼 어드레스가 천이했을 때, 또는 로우 어드레스가 천이했을 때에, 판독의 초기 상태는 0V로부터 기록 판독 회로(14)에 의해 바이어스되고, 판독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4) 스탠바이 모드
이상의 3개의 모드에서는, 제어 신호 DCBLa 및 DCBLb는 상호 반전 신호, 즉 상보 신호로 되어 있다. 그러나,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오동작의 방지 및 다음 모드에의 급속한 수직 상승 때문에, 메모리 셀 어레이의 모든 비트선을 접지 전압으로 방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어 신호 DCBLa 및 DCBLb는, 상호 「H」레벨로 하고, 또한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의 출력 *Y도 모두 「H」레벨로 한다. 이에 따라, MOS 트랜지스터(15)의, Q0, Q2, Q1, Q3은 전부 온이 되고, 비트선 BLa, BLb, BL은 접지 전압에 설정된 전위선 ARGND에 접속되어 방전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1 셀 어레이 블럭과 제2 셀 어레이 블럭의 2개로 분할된 예를 나타냈지만, 4블럭, 또는 6블럭으로 분할해도 좋다. 예를 들면, 4블럭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도 1의 제1 및 제2 셀 어레이 블럭과 동일 구성의 제3 및 제4 셀 어레이 블럭을 설치하여, 주 비트선 BL에 각블럭의 비트선이 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접속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 신호 DCBLa와 DCBLb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DCBLc와 DCBLd로 하고, 상호 상보적인 신호로 하지만,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의해 제1 및 제2 셀 어레이블럭(11A, 11B)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는, 제어 신호 DCBLc와 DCBLd는, 「L」레벨로서 제3 또는 제4 셀 어레이 블럭의 비트선을 플로우팅 상태로서, 주 비트선에 접속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제3 또는 제4 셀 어레이 블럭이 선택됐을 때에는, 제어 신호 DCBLa와 DCBLb가 「L」레벨이 된다.
이상의 각 모드의 설명과 같이, 분할된 셀 어레이 블럭(11A, 11B)의 비트선은, 그 블럭이 선택됐을 때에만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의 주 비트선에 접속되기 때문에, 기록 판독 회로(14)의 용량성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선택되지 않은 셀 어레이 블럭의 비트선은, 방전용의 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위선 ARGND에 접속되기 때문에, 그 블럭이 선택됐을 때의 초기치를 일정하게 하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드에서의 인가 전압 조건을 저용량성 부하에 의해 달성할 수 있으므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고속 동작을 실현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회로구성으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등가이지만, 패턴 레이아웃을 간략화하기 위한 회로 접속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메모리 셀 어레이부분의 패턴 레이아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우선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서,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12),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 및 기록 판독 회로(14)는, 상술된 도 5의 회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는, 각각 k×2m의 행 및 열에 메모리 셀(7)이 배치된 구성이다. 워드선은 WL0 ∼ WLk-1, 공통 소스선은 SL0 ∼ SLk/2-1이다. 또한,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로부터 도출된 주 비트선은 BL0∼BLm-1이다. 주 비트선 BL0 ∼ BLm-1의 각각에는 제1 분할 비트선 BLa0 ∼ BLm-1과 제2 분할 비트선 BLa0 ∼ BLam-1의 2개의 분할 비트선이 설치되고, 이 메모리 셀 어레이를 제1 분할 비트선 BLa0 ∼ BLam-1에 접속된 제1 셀 어레이 블럭과, 제2 분할 비트선 BLb0 ∼ BLbm-1에 접속된 제2 셀 어레이 블럭의 2개의 블럭으로 분리한다. 이 결과, m개의 주 비트선 BL0 ∼ BLm 에 대해 2배의 갯수의 분할 비트선이 설치된다.
각 제1 분할 비트선 BLa0 ∼ BLam-1과 각 주 비트선 BL0∼BLm-1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a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0, Q4가 설치된다. 또한, 각 제1 분할 비트선 BLa0 ∼ BLam-1과 전위선 ARGND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b에 의해 제어되는 선택 트랜지스터(제1 방전 트랜지스터) Q2, Q7이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각 제2 분할 비트선 BLa0 ∼ BLbm-1과 각 주 비트선 BLb0 ∼ BLm-1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b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선택 트랜지스터 Q1, Q5가 설치되고, 각 제2 분할 비트선 BLa0 ∼ BLbm-1과 전위선 ARGND 사이에는, 제어 신호 DCBLa에 의해 제어되는 선택 트랜지스터(제2 방전 트랜지스터) Q3, Q6이 설치된다.
제어 신호 DCBLa 및 DCBLb는, 도시되지 않은 어드레스 데이타 검출 회로로부터 어드레스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 출력되는 것이다. 즉, 제어 신호 DCBLa는, 어드레스 데이타가 제1 분할 비트선 BLa0 ∼ BLam-1에 접속된 제1 셀 어레이 블럭을 선택하는 내용인 경우에 「H」레벨이 되는 신호이고, 제어 신호 DCBLb는, 어드레스 데이타가 제2 분할 비트선 BLb0 ∼ BLbm-1에 접속된 제2 셀 어레이 블럭을 선택하는 경우에 「H」레벨이 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어 신호 DCBLa가 「H」가 되면, 선택 트랜지스터 Q0 및 Q3이 온이 되고, 제1 분할 비트선 BLa0이 주 비트선 BL0에 접속되고, 제2 분할 비트선 BLb0은, 전위선 ARGND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 신호 DCBLb가 「H」레벨이 되면 상술된 바와 반대가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각 동작 모드(소거 모드, 프로그램 모드, 판독 모드)에서의 메모리 셀 어레이(11)의 전위 관계는 종래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신호 DCBLa 및 DCBLb가 상호 반전 신호, 즉 상보 신호로 되는 것으로, 분할 비트선 BLa0, BLb0 중 어느 하나를 주 비트선 BL0에 접속하고, 다른쪽을 ARGND 배선에 의해 소정 전위에 접속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 내의 특정 셀을 선택하는 동작이 종래 예와 다르다.
또한, 상기된 각 동작 모드이외의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오동작의 방지 및 다음 모드에의 급속한 수직 상승때문에, 메모리 셀 어레이의 모든 비트선을 접지 전압으로 방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어 신호 DCBLa 및 DCBLb는, 상호「H」레벨로 하고, 또한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0)의 출력 *Y도 전부 「H」레벨로 한다. 이에 따라, 선택 및 방전 트랜지스터 Q0 ∼ Q7은, 전부 온이 되고, 주 비트선 BL, 분할 비트선 BLa, BLb는, 접지 전압에 설정된 전위선 ARGND에 접속되어 방전된다.
도 2는, 상술된 회로 구성을 구현화한 집적 회로 장치의, 패턴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 중앙부근에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11)는, 각 메모리 셀(10)이 도 4에 도시된 플로우팅 게이트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즉, 소자의 제어 게이트(5)가 연장함으로써 워드선 WL0 ∼ WLk-1을 구성하고,소스 영역(2)이 각 메모리 셀(10)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공통 소스선 SL0 ∼ SLk-1을 구성한다. 또한,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BLb0 ∼ BLbm-1, BLb0 ∼ BLbm-1이 컨택트 홀(7)을 통해 각 메모리 셀(10)의 드레인 영역(1)에 접속된다.
메모리 셀 어레이(11)에 대해, 그 양측(도 2에서는 메모리 셀 어레이(11)의 상하)에 선택 트랜지스터 Q0, Q1, Q4, Q5가 배치되고, 또한 그 외측에는 방전 트랜지스터 Q2, Q4, Q6, Q7이 배치되고, 또한 그 외측에 소정 전위인 ARGND를 인가하는 전극 배선(20)과, 제어 신호 DCBLa, DCBLb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 배선(21, 22)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BLa0, BLb0과 1셋트의 선택 트랜지스터 Q0, Q1 및 1조의 방전 트랜지스터 Q2, Q3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이들이 대략 동일 피치의 반복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셀 어레이(11)를 중심으로 하여 대상 패턴이 되도록, 다른 2개의 분할 비트선 BLa1, BLb1과 1셋트의 선택 트랜지스터 Q4, Q5, 및 1셋트의 방전 트랜지스터 Q6, Q7을 메모리 셀 어레이(11)의 반대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주 비트선 BL0에 관여하는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BLa0, BLa1을, 선택 트랜지스터 Q0, Q1이 위치하는 도면 하측으로부터 선택 트랜지스터 Q4, Q5가 위치하는 도면 상측에 연장하여 종단시키는데 대해, 이웃한 주 비트선 BL1에 관여하는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BLa1, BLb1은 도면 상측으로부터 도면 하측으로 연장하여 종단시킨다. 이들의 분할 비트선은, 하나의 주 비트선 BL0에 관여하는 제1 분할 비트선 BLa0의 다음에 이웃한 주 비트선 BL1에 관여하는 제1 분할 비트선 BLa1이라는 식으로, 교대로 번갈아 배치한다. 즉 분할 비트선을, BLa0, BLb0, BLa1, BLb1····의 순으로,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이와 같이교대로 배치함으로써, 메모리 셀 어레이(11)의 셀 피치보다 패턴 크기가 커지는 선택 및 방전 트랜지스터를, 상기 셀 피치의 범위 내로 수납하였다.
선택 트랜지스터 Q0, Q1과 Q4, Q5는 각각 이 LOCOS 산화막으로 둘러싸인 공통의 활성 영역(30)(도면 중, 모래형의 눌러 칠한 부분)에, 2개의 게이트 전극을 배치하고, 소스(또는 드레인)를 공통으로 하여 구성한 MOS 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상기 공통 소스(또는 드레인)는 관통 홀을 통해 쌍방향 화살표로 간략적으로 도시한 주 비트선 BL0, BL1에 접속되고, 접속된 주 비트선은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3)에 접속된다. 또한, 주 비트선 BL0, BL1은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BLa0∼BLam-1, BLb0∼BLbrm-1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또한 층간 절연된 전극 배선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하측에 설치된 선택 트랜지스터 Q0, Q1이 주 비트선 BL0에, 메모리 셀 어레이의 상측에 설치된 선택 트랜지스터 Q4, Q5가 주 비트선 BL1에 각각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방전 트랜지스터 Q2, Q4와 Q6, Q7도, 각각 이 LOCOS 산화막으로 둘러싸인 공통의 활성 영역(31)(도면 중, 모래형의 칠해진 부분)에, 2개의 게이트 전극을 배치하고, 소스(또는 드레인)를 공통적으로 구성한 MOS 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통 소스(또는 드레인)는 소정 전위 ARGND를 인가하는 전극 배선(20)에 접속된다. 이들의 각 선택 트랜지스터 Q0, Q1과 방전 트랜지스터 Q2, Q 4는, 그 활성 영역(30, 31)을 번갈아 어긋나게 배치해 둔다.
주 비트선 BL0에 관여하는 제1 분할 비트선 BLa0은,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 0의 드레인(또는 소스)에 컨택트 홀을 통해 접속되는 것 외, 그 상태에서 약 45도의 각도로 사행하도록 연장하여 제1 방전 트랜지스터 Q2의 드레인(또는 소스)에 컨택트홀을 통해 접속된다. 제2 분할 비트선 BLb0은 제2 선택 트랜지스터 Q1의 드레인(또는 소스)에 접속되는 것 외, 분할 비트선 BLb0과 평행하고 비스듬하게 연장하여 제2 방전 트랜지스터 Q3의 드레인(또는 소스)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주 비트선 BL1에 관여하는 제1 분할 비트선 BLa1은, 선택 트랜지스터 Q4와 방전 트랜지스터 Q7에 접속되고, 제2 분할 비트선 BLb1은 선택 트랜지스터 Q5와 방전 트랜지스터 Q6에 접속된다.
제2 선택 트랜지스터 Q1의 제1 게이트 전극 배선(25)은, 칩상을 직선적으로 연장하여 제1 방전 트랜지스터 Q2의 게이트 전극이 되고, 더욱 연장하여 선택 신호 DCBLb의 배선(22)에 관통 홀을 통해 접속된다. 이 때, 제1 게이트 전극 배선(25)은 각 트랜지스터 Q1, Q2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하는 폴리실리콘 배선층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0의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은, 칩 상을 제1 분할 비트선 BLa0이 기울어지는 개소와 직교하도록 연장하여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계하는 제2 방전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Q3에 상당함)의 게이트 전극이 되고, 그리고 선택 신호 DCBLa의 배선(21)에 접속된다. 이것도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연속하는 폴리실리콘 배선층에서 구성된다. 또한, 제1 분할 비트선 BLa0과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 및 제2 분할 비트선 BLb0과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7)은, 층간 절연에 의해 절연되고, 교차한다.
각 트랜지스터는 연속의 반복 패턴으로 구성되므로, 제2 방전 트랜지스터 Q 3의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7)은,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계하는 선택 트랜지스터(선택 트랜지스터 Q0에 상당함)의 게이트 전극 배선(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에 상당함)이 된다. 또한, 메모리 셀 어레이(11)를 사이에 두고 이들의 배치와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선택 트랜지스터 Q4의 게이트 전극 배선(26)과 방전 트랜지스터 Q6의 게이트 전극이, 그리고 선택 트랜지스터 Q5의 게이트 전극 배선(24)과 이웃한 비트선에 관계하는 방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연결되어 있다.
상술된 회로 동작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제어 신호 DCBLa 및 DCBLb는, 상호 상보 신호이므로, 예를 들면 주 비트선 BL0을 선택하고, 제어 신호 DCBLa가 「H」일 때,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에 의해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0이 ON하고, 제1 게이트 전극 배선(25)에 의해 제2 선택 트랜지스터 Q1과 제1 방전 트랜지스터 Q2가 OFF가 되므로, 제1 분할 비트선 BLa0만을 주 비트선 BL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7)에 의해 제2 방전 트랜지스터 Q3이 ON하므로, 제2 분할 비트선 BLb0을 소정 전위 ARGND에 접속할 수가 있다. 한편, 제어 신호 BLb0이 「H」가 되었을 때는, 제1 게이트 전극 배선(25)에 의해 제2 선택 트랜지스터 Q1과 제1 방전 트랜지스터 Q2가 ON이 되므로, 제2 분할 비트선 BLb0을 선택하고, 제1 분할 비트선 BLa0을 소정 전위 ARGND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보 신호를 인가하는 트랜지스터가 조합에 감안하여, 동일한 신호를 인가하는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0과 제2 방전 트랜지스터를, 제2 선택 트랜지스터 Q1과 제1 방전 트랜지스터 Q2를, 각각 하나의 게이트 전극 배선(23, 25)으로 연결함으로써, 배선수를 삭감하고, 패턴을 간소화한 것이다. 또한,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은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0과 그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계하는 제2 방전 트랜지스터를 접속함으로써, 배선의 인출을 짧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1 및 제2 셀 어레이 블럭의 2개로 분할된 예를 나타냈지만, 4블럭, 또는 6블럭등으로 분할해도 좋다. 예를 들면, 4블럭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도 2의 패턴과 동일 구성의 패턴을 반복하여 배치하여 제3 및 제4 셀 어레이 블럭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 신호 DCBLa와 DCBLb에 상당하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DCBLc와 DCBLd로 하고, 상호 상보적인 신호로 하지만,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 RAD에 의해 제1 및 제2 셀 어레이 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는, 제어 신호 DCBLc와 DCBLd는, 「L」레벨로서 제3 및 제4 셀 어레이 블럭의 비트선을 플로우팅 상태로 하여, 주 비트선에 접속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제3 및 제4 셀 어레이 블럭이 선택됐을 때에는 제어 신호 DCBLa와 DCBLb가 「L」레벨이 된다.
이상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분할된 셀 어레이 블럭의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BLa, BLb는, 그 블럭이 선택됐을 때만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10)의 주 비트선 BL에 접속되기 때문에, 기록 판독 회로(11)의 용량성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선택되지 않은 셀 어레이 블럭의 분할 비트선은, 방전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위선 ARGND에 접속되기 때문에, 그 블럭이 선택됐을 때의 초기치가 일정해지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드에서의 인가 전압 조건을 저용량성 부하에 따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고속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선택 트랜지스터 Q0, Q1과 방전 트랜지스터 Q2, Q3의 배치를 어긋나게하고,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 25)과 마찬가지로 게이트 전극을 연속시킴에 따라 소자간 접속을 끝냄으로써, 배선의 갯수를 삭감하고 패턴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 제2 게이트 전극 배선(23)은 제1 선택 트랜지스터 Q0과 그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계하는 제2 방전 트랜지스터에 접속함으로써, 배선의 인출을 짧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 트랜지스터 Q0, Q1과 방전 트랜지스터 Q2, Q3의 배선을 간소화하여 배치 간격을 좁힘에 따라, 메모리 셀 어레이(11)의 셀 피치를 필요없이 증대시키지 않고, 칩 크기의 축소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불휘발성 메모리 셀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셀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 및 비트선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로우 어드레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선을 선택하는 로우 디코더와,
    컬럼 어드레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비트선을 선택하는 컬럼 디코더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를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이들 블럭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블럭의 비트선을 컬럼 디코더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컬럼 선택 스위치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블럭의 비트선을 제1 전위선에 접속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전위 선택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은, 상기 컬럼 디코더에 접속되는 복수의 주 비트선과, 상기 주 비트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로우 어드레스에 대해 분할되고, 각각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에 접속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위선은 방전 전위선이고,
    상기 주 비트선과 상기 제1 분할 비트선 및 상기 제2 분할 비트선 사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컬럼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과 상기 방전 전위선 사이에 설치된 제1 및 제2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2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는 동일한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컬럼 선택 스위치와 상기 제1 방전 전위 선택 스위치는 동일한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호 상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은, 상기 컬럼 디코더에 접속되는 복수의 주 비트선과, 상기 주 비트선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 선택 스위치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주 비트선에 접속하는 제1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위 선택 스위치가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비트선과 방전 전위 사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방전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비트선과 상기 제2 분할 비트선 사이에 설치한 상기 제2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1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서, 상기 소정 전위와 상기 제1 분할 비트선사이에 설치한 상기 제1 방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주 비트선과 상기 제1 분할 비트선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1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2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서, 이웃한 주 비트선에 관한 방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전극 배선은 상기 제1 분할 비트선과 교차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는, 소스(또는 드레인)를 공통의 영역으로 구성한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전 트랜지스터는, 소스(또는 드레인)를 공통의 영역으로 구성한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은, 상기 컬럼 어드레스 디코더에 접속되는 복수의 주 비트선과, 상기 주 비트선의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할 비트선을 구비하고,
    상기 컬럼 선택 스위치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할 비트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주 비트선에 접속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위 선택 스위치는 상기 컬럼 선택 스위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할 비트선을 방전 전위에 접속하는 방전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와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를 소정 간격으로 반복 패턴으로 배치함과 함께,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에 대해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를 비스듬이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방전 트랜지스터가, 연속하는 공통 게이트 전극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게이트 전극 배선은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와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를 사이에 두도록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비트선의 하나에 대해 2개의 분할 비트선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KR1019990005331A 1998-02-18 1999-02-13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KR100328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14498A JP3258956B2 (ja) 1998-02-18 1998-02-18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1998-036144 1998-02-18
JP4757498A JPH11250680A (ja) 1998-02-27 1998-02-27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1998-047574 1998-02-27
JP05835798A JP3515362B2 (ja) 1998-03-10 1998-03-10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1998-058357 1998-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700A KR19990072700A (ko) 1999-09-27
KR100328895B1 true KR100328895B1 (ko) 2002-03-14

Family

ID=2728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331A KR100328895B1 (ko) 1998-02-18 1999-02-13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57569A (ko)
KR (1) KR100328895B1 (ko)
TW (1) TW419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0016B2 (ja) * 2001-06-29 2006-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6552932B1 (en) * 2001-09-21 2003-04-22 Sandisk Corporation Segmented metal bitlines
US6859392B2 (en) * 2002-08-26 2005-02-22 Micron Technology, Inc. Preconditioning global bitlines
WO2006035502A1 (ja) * 2004-09-29 2006-04-06 Spansion Llc 半導体装置及びデータ読み出し方法
US7218543B2 (en) * 2005-09-22 2007-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M load balancing for bit lines
US8320191B2 (en) 2007-08-30 2012-11-27 Infineon Technologies Ag Memory cell arrangement, method for controlling a memory cell, memory array and electronic device
KR102056893B1 (ko) * 2012-08-24 2019-12-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N103811061B (zh) * 2014-03-05 2016-08-24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Eeprom及其存储阵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4864B2 (ja) * 1990-02-28 1997-06-2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KR960000616B1 (ko) * 1993-01-13 199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57569A (en) 2000-12-05
KR19990072700A (ko) 1999-09-27
TW419812B (en) 200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0810B2 (en) Contactless flash memory with buried diffusion bit/virtual ground lines
KR100323970B1 (ko) 비휘발성메모리구조
KR100567711B1 (ko)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US7352033B2 (en) Twin MONOS array for high speed application
US5592001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661423B1 (ko) 플로팅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를 각각 갖는 mos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이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KR960001320B1 (ko) 반도체기억장치
KR100315412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JP4223859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328895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US20050152170A1 (en) Bit cell array for preventing coupling effect in read only memory
JP2006196700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3640179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11261036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3515362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H11250680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3258956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3540881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書き込み方法
JP2003086720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H11251537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H09223780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3862409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JP2827607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H1093057A (ja) メモリセルアレー
KR100886859B1 (ko)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