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957B1 - 밀봉부재및상기밀봉부재를갖는용기 - Google Patents

밀봉부재및상기밀봉부재를갖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957B1
KR100327957B1 KR1019980034063A KR19980034063A KR100327957B1 KR 100327957 B1 KR100327957 B1 KR 100327957B1 KR 1019980034063 A KR1019980034063 A KR 1019980034063A KR 19980034063 A KR19980034063 A KR 19980034063A KR 100327957 B1 KR100327957 B1 KR 10032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container
opening
sealing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790A (ko
Inventor
모리아키 오가와
게이지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2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를 제공하며, 상기 용기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밀봉부재의 면이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도중에 외측에 노출됨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는 밀봉부재로서 밀봉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인출구멍을 포함하는 것이다.
씨일부재는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때에 상기 밀봉부재를 집기 위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씨일인출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이 이루어지는 때에 상기 밀봉 부재의 개방밀봉면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의 면이 절곡되어질수 있는 형상을 갖는 돌출부가 상기 씨일인출구멍상에 장착된다.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는 가요성 재질을 갖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재의 외주면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를 갖는 용기{SEALING MEMBER AND CONTAINER HAVING THE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로서 밀봉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밀봉부재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부재는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밀봉부재는 종래에도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4-136961/1992( 이하, 관련기술 1이라함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5-80653/1993( 관련기술 2 ),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5-197287/1993( 관련기술 3 ),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5-204246/1993( 관련기술 4 ) 및,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7-121019( 관련기술 5 ) 등에 개시된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및 그와 유사한 장치내에 수용된 토너 용기, 토너 호퍼 및 그와 유사한것에 사용되었다.
상기 관련기술 3과 4에 개시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밀봉부재가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여, 그리고 일단부로 부터 접착부를 갖는 상기 밀봉부재의 대략 중간부분을 향하여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고,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의 길이를 초과하는 밀봉부재의 나머지 부분은 밀봉부재의 상기 첫째단부측으로 반대로 접혀지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단에서 접힘 부분은 조작을 위한 손잡이(knob)부분(상기 밀봉부재를 집기위한 선단부)으로 사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밀봉부재가 개봉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잡고서 인출함으로서 상기 밀봉부재가 개구부로 부터 제거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의 일례가 도 31에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 관련하여, 밀봉부재인 인출 씨일 104의 사방측면 모서리부들이 토너를 현상장치(미도시)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 용기인 토너 케이스 101상에 형성된 토너 공급 출구 102의 통로의 씨일 접착면 103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토너 공급 출구 102가 밀봉된다. 상기 토너 공급 출구 102의 씨일이 개봉되는 경우, 조작자는 인출용 씨일 104를 도 31에서 흰색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그 손잡이 단부 104a를 잡아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용 씨일 104은 상기 토너 케이스 101의 후방측면의 되접음부로 부터 상기 씨일 부착면 103에서 벗겨져서 상기 토너 공급 출구 102의 씨일이 개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토너 케이스 101내의 내용물(예를들면, 토너와 같은 현상제)에 마주하는 밀봉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벗김작동에 의해서 개구부의 밀봉부재가 개봉되는 경우 및, 상기 토너 케이스 101의 개구부( 토너 공급출구 102)로 부터 분리된 상기 밀봉부재를 버리는 때에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밀봉부재는 상기 밀봉면에 부착된 내용물(예를들면, 토너, 혹은 그와 유사한 현상제)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 옷 등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다.
상기와는 대조적으로, 감겨질수 있는 일부분에 개구부를 갖는 시트형상으로 밀봉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폐쇄작동이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측으로 향하여 상기 밀봉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관련기술 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의 감김(winding)을 위한 감김기구로서 감아줌으로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경우 및, 상기 토너 호퍼의 토너공급 출구 102가 밀봉부재의 일단부에 의해서 밀봉되도록 하고, 밀봉부재의 타단부는 토너 호퍼내의 교반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는 관련기술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교반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감겨지며, 이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폐쇄 작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개구부에 대한 개봉작동이 실행된 후, 상기 밀봉부재는 용기의 일측에 쉽게 감겨지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의 손이나 옷등이 밀봉부재의 개구부 밀봉면에 부착된 내용물(예를들면, 토너와 같은 현상제)에 의해서 오염되는 가능성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관련기술 1과 2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 것이고, 상기 밀봉부재의 장착방식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제조비용이 매우 높은 것이다.
그리고, 관련 기술 5는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밀봉부재로서 상기 토너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방식에 관련된 기술이다: 즉,
"토너 용기의 개구부가 밀봉되는 경우, 탄성요소 시트가 삽입부재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탄성요소 시트는 토너용기와 현상기구 프레임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상기 삽입부재를 통과시킴으로서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위치로 안내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속적으로 상기 토너 용기의 개구부는 마치 상기 탄성요소 시트가 삽입부재로 부터 분리되어지는 것과 같이 밀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은 복잡한 것이고, 상기 작동은 너무나 많은 단계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방식은 실용적이지 못한 것이다.
한편, 내용물로서 토너 혹은 현상제와 같은 것을 수용한 현상제 수용부의 개구부가 상기 설명된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는 구조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 혹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등과 같은 용기의 카트리지에서는, 상기 개구부에 사용된 밀봉부재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 구멍이 카트리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씨일 인출구멍의 최대크기는 지금까지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구부 방향에 직각인 밀봉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설명된 밀봉부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인출되어질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카트리지와 같은 용기의 측방부에 형성된 상기 씨일 인출구멍은, 상기 밀봉부재가 개봉된 후에 현상제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용물이 담겨진 수용부에 연결된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이러한 종류의 용기내에서는, 만일 상기 씨일 인출구멍이 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면, 상기 수용부내에 담겨진 내용물은 용기의 측방부에 형성된 씨일 인출구멍을 통하여 흘러 나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이러한 용기에서는 상기 씨일 인출구멍으로 부터 밀봉부재가 인출됨으로서 용기의 개구부가 개방된 후에 상기 씨일 인출구멍이 인출구멍 밀봉부재에 의해서 밀봉되어 상기 용기의 씨일 인출구멍으로 부터 내용물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용기의 씨일 인출구멍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상기 씨일 인출구멍으로 부터 흘러 나오려고 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씨일 인출구멍을 밀봉시키는 인출구멍 밀봉부재의 밀봉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의 개구부 형상 및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상기 씨일 인출부재의 형상 및 크기가 다르게 되고, 씨일 인출구멍의 형상 및 크기는 각각 상기 밀봉부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사용된 용기에서, 각각 다른 형상과 크기를 갖는 인출구멍밀봉부재들은 상기 씨일 인출구멍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준비되는 것이 필요하였고, 상기 인출구멍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선택이 복잡하게 되고 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부재에 부착된 현상제 용기의 내용물에 기인하여 손, 옷 등을 오염시키지 않을수 있고, 상당히 간단하며 저가의 구조를 갖는 밀봉부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의 유출을 막을수 있고,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인출구멍용 밀봉부재를 선택하는 것이 쉬운 용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작동에 따르면,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밀봉부재의 개방 밀봉면이 외부에 노출됨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용기내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용기로 부터 밀봉부재가 벗기어질 때, 밀봉부재를 집기 위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밀봉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씨일 안내구멍을 통하여 용기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방 밀봉면이 외부에 노출됨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용기는 밀봉부재로서 밀봉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구멍을 갖는다.
상기 씨일 인출구멍의 최대 크기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방향에 직각인 밀봉부의 폭보다 적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밀봉부재의 일면이 절곡되어질수 있는 형상을 갖는 돌기가 상기 씨일 인출구멍상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개봉시키기 위한 작동에 따라서 덮개부가 일단부로 부터 상기 개구부 밀봉면을 덮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는 가요성 재료의 실린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부재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밀봉시킨다.
밀봉부재는 벗길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하부 시트와, 서로 마주하면서 벗김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한쌍의 부품을 갖추고 상기 하부 시트에 고정되는 상부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가 밀봉되는 경우,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하부시트의 개구부 밀봉측면은 상기 하부시트와, 상기 개구부의 일단부로 부터 상기 밀봉부재의 벗김작동을 따라서 역전되는(reversed) 상부시트 사이로 진입한다.
용기는 선단부를 갖는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구멍을 갖추며, 상기 씨일 인출구멍은 상기 밀봉부재를 제거함으로서 개구부가 개봉됨에 기인한 상기 씨일 인출구멍으로 부터의 내용물 유출과 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씨일 인출구멍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며,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는 용기의 씨일 인출구멍에 미리 장착되어 상기 내용물의 유출과 분산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밀봉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씨일 삽입구멍을 갖추고, 상기 씨일삽입구멍을 통하여 용기의 외측으로 상기 밀봉부재의선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재와 용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후 형상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D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후 다른 형상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상기 밀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상기 밀봉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상기 밀봉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상기 밀봉부재를 용기상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상기 밀봉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밀봉부재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내에 장착되어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용기의 개구부내에 수용된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현상제 용기의 중요부( a main portion)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현상제 용기의 중요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상기 현상제 용기의 중요부와 상기 밀봉부재의 선단부 구성을 도시한사시도;
도 9는 상기 현상제 용기의 중요부와 상기 밀봉부재의 선단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A는 상기 현상제 용기로 부터 상기 밀봉부재를 개봉한 상태의 밀봉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B는 상기 현상제 용기로 부터 개봉된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C는 상기 현상제 용기로 부터 개봉된 후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기 밀봉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상기 현상장치의 씨일(seal) 인출구멍에 부착된 씨일 인출구멍용 밀봉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A, 12B 및 12C는 상기 씨일 인출구멍의 최대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상기 씨일 인출구멍의 최대크기를 도시한 밀봉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A, 14B 및 14C는 상기 씨일 인출구멍에 제공된 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상기 씨일 인출구멍상에 장착된 돌기의 형상 일례( an example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A 및 17B는 상기 밀봉부재의 설명도;
도 18A 및 18B는 호퍼부에 상기 밀봉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밀봉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상기 밀봉부재를 구성하는 호퍼부, 하부 시트 및 상부시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1은 카트리지로 부터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을 도시한 설명도;
도 22는 벗겨진 후의 상기 밀봉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A, 23B 및 23C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과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4는 상기 밀봉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된 접착층의 단면도;
도 25는 상기 밀봉부재의 말단부에 형성된 접착층의 벗김과정에서 양호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6은 상기 밀봉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접착층의 벗김과정에서 불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상기 현상장치의 씨일 인출구멍에 장착된 인출구멍 밀봉부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8은 상기 씨일 인출구멍 밀봉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밀봉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9는 상기 현상제 용기의 씨일 인출구멍상에 상기 인출구멍용 밀봉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0은 다른 구조를 갖춘 상기 씨일 인출구멍 밀봉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밀봉부재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1은 상기 밀봉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2..... 밀봉부재
3..... 씨일안내구멍 11.... 광전도성 드럼
12.... 대전롤러 13.... 광학기입장치
15.... 전사롤러 16.... 소제블레이드
17.... 하우징 17X... 현상부
17Y... 호퍼부 18.... 토너
19.... 교반기 21.... 밀봉부재
22a... 밀봉면 22b... 선단부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서로 동일한 부호는 그 부분이 동일하거나 혹은 일치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밀봉부재는 특정되지 않은 내용물을 담은 다양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에서, 용기 1는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parallelepiped)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1의 길이방향으로 직사각형 개구부 1a가 상기 용기 1의 길이방향 일측면( 도면에서는 상부면)에 위치된다.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는 용기 1내에 사전에 선정된 내용물이 담겨진 후에 가열 용융 접착 혹은 부착등으로서 밀봉부재 2에 의하여 밀봉되어 상기 내용물이 개구부 1a로 부터 유출되지 않는다(도 1B참조).
여기서, 상기 내용물은 액체, 고체 및 분말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기의 내용물들은 예를들면, 페인트, 인쇄 잉크, 물감, 혹은 토너와 같은 현상제등으로서 상기 밀봉부재 2의 내용물을 마주하는 개구부용 밀봉면에 부착됨으로서 상기 밀봉부재를 개봉하는 경우나 혹은 개봉후에 사용자의 손, 옷 등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매우 큰 것들이다.
그리고, 재질로서, 카본, 알루미늄 박판,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수지, 혹은 그 유사한 것들의 어떠한 재료들이라도 상기 용기 1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1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적용가능한 형상은 예를들면, 실린더 형상, 육각 프리즘(polygonal prism), 혹은 그 밖의 선택적인 형상인 것이다.
또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상기 용기 1와 동일하게 밀봉부재 2에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예를들면 고품질 종이, 마이러(폴리에스터 필름), PET 필름, 혹은 그와 유사한 재료로서 상기 용기 1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특성을 가지고, 상기 밀봉상태를 벗김에 따라서 야기되는 장력을 충분히 견딜수 있는 인장강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록 상기 밀봉부재 2의 형상이 특정하게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밀봉면 2a의 일부분은 밀봉부재 2의 개봉방향으로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으로 적어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재 2는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밀봉부재 2가 용기 1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그를 집기 위한 선단부 2b를 갖추며, 상기 선단부 2b는 용기 1의 개구부 1a를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봉방향으로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봉작동 개시 위치( 도 1A에서 좌측단부 위치)에서 되접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명된 선단부 2b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밀봉면 2a을 갖는 밀봉부재 2의 폴리오 형상(a folio-like shape)(본 예에서 V형 형상)을 갖는 씨일 안내구멍 3을 통하여 용기 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도면상의 상기 씨일 안내구멍 3은 상기 밀봉부재 개봉방향의 일단부에서 상기 용기 1에 일체인 몸체내에 형성되는 것이지만, 상기 씨일 안내구멍 3은 개별적인 부품으로서의 독립적인 부재로서 예를들면, 상기 용기 1가 현상장치 혹은 그 유사한 것의 토너 카트리지 등의 경우에는, 상기 현상장치의 케이싱에 형성될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도 1B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개봉방향으로 상기 선단부 2b를 집어서 밀봉부재 2를 인출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 2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씨일 안내구멍 3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밀봉면 2a 내측이 폴리오 형상으로 접혀지며, 상기 밀봉부재 2의 밀봉면 2a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만일 상기 밀봉면 2a이 상기 용기 1로 부터 벗겨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밀봉부재 2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U 형으로 형성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밀봉부재 2는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봉작동에 의해서도 그 밀봉면 2a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용기의 내용물은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상기 개구부 1a의 밀봉부재 2가 개봉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로 부터 밀봉부재 2를 개봉한 후,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로 부터 제거된 밀봉부재 2가 버려지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밀봉면 2a에 부착된 내용물이 외부에 거의 접촉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봉부재 2는 바람직하게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한 용기 1로 부터 밀봉부재 2를 벗기는 동안, 상기 개봉방향을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를 접고, 그 밀봉면 2a 을 내측에 위치시키기 위한 접음선 2c이 사전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상에 상기와 같은 접음선 2c을 형성함으로서, 용기1로 부터 벗겨지는 상기 밀봉부재 2는 폴리오 형상으로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접혀질수 있음으로서 상기 밀봉면 2a이 접음선 2c을 따라서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밀봉부재 2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밀봉부재 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씨일 안내구멍 3을 관통하여 밀봉부재를 통과시키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서 폴리오 형상으로 쉽게 접혀질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용기 1의 구조는 상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그리고, 만일 상기 밀봉부재 2가 상기 씨일 안내구멍 3을 관통하여 통과함으로서 폴리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면, 밀봉부재 2의 개봉작동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의 선단부 2b가 접음선 2c을 따라서 폴리오 형상으로 사전에 접혀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 2는 폴리오 형상으로 쉽게 형성되어질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봉작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 선단부 2b의 접혀진 부분에 접착제 혹은 그 유사한 것을 부착함으로서, 상기 선단부 2b의 형상이 쉽게 집혀질수 있게 되고, 상기 접혀진 형상이 최초의 개방상태로 되접혀짐에 기인하여 상기 선단부 2b 의 사전에 접혀진 형상으로 부터 얻어진 효과가 없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상기의 목적이 달성되면, 밀봉부재 2상의 접음선 2c은 상기 밀봉부재 2의 전체 혹은 일부상에 형성될수 있고, 접음선 2c은 밀봉부재 2의 어디에도 형성될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조의 밀봉부재 21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상기 밀봉부재 21는 상기 밀봉부재 21의 일단부의 상부측이 타단부의 하부측에 연결됨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뫼비우스 링(Mobius's Ring)으로 뒤집어진 비틀림부를 갖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 21가 용기 1로 부터 벗겨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 21를 집기 위한 선단부 21b는 비틀림부 21d의 개봉방향 하류측에,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형 밀봉부재 21의 개봉작동 개시측면( 도 3B의 좌측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단부 21b는 별도 부품을 상기 밀봉부재 21에 접착함으로서 이루어질수 있고, 혹은 밀봉부재 21를 절곡시킴으로서 밀봉부재 21의 일부분으로서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 21가 상기 뫼비우스 링과 유사한 비틀림부 21d를 갖는 링형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밀봉부재 21는 안과 밖이 뒤집어지도록 비틀려져서 상기 밀봉부재 21의 선단부 21b를 집어서 상기 밀봉부재 21를 용기 1로 부터 벗기게 되면, 상기 밀봉면 21a이 밀봉부재 2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밀봉부재 21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내용물은 사용자의 손이나 옷 등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수 있으며, 이는 개구부 1a를 위한 상기 밀봉부재 21의 개봉작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 1a에 대한 밀봉부재 21가 개봉된 후에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로 부터 제거된 상기 밀봉부재 21를 내다 버리는 경우에도 상기 밀봉부재 21a에 부착된 내용물들이 거의 외부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또 다른 밀봉부재 22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밀봉부재 22는 용기 1로 부터 밀봉부재 22가 벗겨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집기 위한 상대적으로 긴 선단부 22b를 갖추며, 이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면 22a의 개봉방향에서 밀봉부재 22 길이의 적어도 2배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 22b는 밀봉부재 22의 대략 중앙부에서 사전의 접음에 의하여 폴리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분기점( a break )이 상기 용기 1로 부터 벗기어지는 밀봉부재 22의 벗김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중앙부로 부터 밀봉부재 22의 밀봉면 22a 길이의 대략 반 정도가 내측에서 마주하면서 서로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2의 선단부 22b의 접혀진 단부 22e를 집고서 용기로 부터 상기 밀봉부재 22를 벗김으로서 상기 개구부 1a에 사용된 밀봉부재 22는 개봉되며, 동시에 상기 선단부 22b는 밀봉부재 22의 밀봉면 22a상에 중첩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 22는 용기 1로 부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면 2a이 내측에 위치되는 폴리오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벗겨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밀봉부재 22는 밀봉작동이 종료되는 경우, 대략 중앙부에서 접혀져서 내측으로 밀봉면 2a이 향한 상태로 폴리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의 밀봉부재 22가 개봉되는 때에, 그리고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 밀봉부재 21가 개봉된 후에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로 부터 제거된 상기 밀봉부재 21를 내다 버리는 경우에도 상기 밀봉부재 21a에 부착된 내용물들이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상기 밀봉부재 21a에 부착된 내용물들이 거의 외부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2는 그 선단부 22b의 접힘단부 22e가 가볍게 집혀질수 있는 폭을 갖는 긴 구멍 4을 통하여 상기 접힘 단부 22e를 통과시키고 상기 용기 1로 부터 밀봉부재 22를 벗김으로서 폴리오 형상으로 견고하게 형성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 22의 밀봉면 22a은 상기 접착제의 접착에 의해서 선단부 22b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밀봉면 22a에 부착된 내용물은 상기 밀봉부재 22가 용기 1로 부터 벗기어지고, 밀봉부재 22가 폴리오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밀봉부재 22상에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를 도포한 밀봉부재 22로서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를 밀봉함으로서 폴리오 형을 갖는 밀봉부재 22내에 밀봉상태로 유지될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의 상기 내용물의 부착 및 분산등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질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설명한 밀봉부재 2와 21에도 또한 적용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긴 구멍 4은 용기 1에 일체인 몸체내에 형성될수도 있고 혹은 상기 설명한 씨일 안내구멍 3과 같이 용기 1로 부터 분리된 몸체내에 형성될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내에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된 화상형성장치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구성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부호 11는 화상담지부재인 광전도성 드럼이고, 부호 12는 대전장치인 대전 롤러이며, 부호 13은 노출장치(미도시)의 광학기입광이고, 부호 15는 전사장치인 전사롤러이고, 부호 16는 소제장치인 소제 블레이드이며, 도 5에 도시되어있다.
상기 설명한 각각의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각각의 하우징 17에 배치되며, 용기 1에 일치하는 현상부 17X와 호퍼부 17Y가 하우징 17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부 17X와 호퍼부 17Y의 경계에서 하우징 17의 벽부에는, 토너공급출구 17a 에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밀봉부재 2가 토너공급출구 17a상에 장착된다.
상기 밀봉부재 2는 아직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내에서 호퍼부 17Y내의 토너 18가 현상부 17X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즉 상기 밀봉부재 2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부터 토너의 분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 2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후, 토너공급 출구 17a로 부터 벗기어진다.
상기 밀봉부재 2의 선단 2b은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7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씨일 안내구멍 3에 일치하여 하우징 17의 현상부 17X 측벽상에 장착된 씨일 인출구멍 17b을 통하여 삽입된 상태이다.
여기서, 도 6 및 8에 도시된 씨일 인출구멍 17b은 각각의 길이 a 및 폭 b의 크기가 상기 설명한 밀봉부재 2의 폭보다 적게 형성되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재 2가 쉽게 접혀질수 있는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7 및 9에 도시된 씨일 인출구멍 17b들은 직사각형(도 7) 혹은 쉐브론(chevron)형 17c(도 9)의 돌기가 상기 밀봉부재 2의 폭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재 2가 상기 씨일 안내구멍 3과 유사하게 상기 돌기 17c를 활용하여접혀지는 그밖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밀봉부재 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형성된 접음선의 내측에 부착하는 선단부 2b를 갖추어 구성되고, 도 9에 도시된 다른 밀봉부재 2는 도 2A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가 개봉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접음선 2c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과 밀봉부재 2의 형상은 적절하게 선택되어 최적의 조합구조가 얻어지는 것이다.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가 도 10A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 2를 개봉하는 방향으로 선단부 2b를 집어서 당겨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 2는 그 밀봉면 2a이 내측에 위치한 상태,즉 도 10c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를 접음으로서 밀봉면 2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재 2는 밀봉부재 2를 개봉하는 작동에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봉면 2a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밀봉부재 2의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로 부터 제거된 밀봉부재 2가 버려지는 경우, 상기 밀봉면에 부착된 내용물( 이 경우에는 호퍼부 17Y내에 담겨진 토너 18)이 밀봉부재 2의 외부에 거의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토너 18는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부착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토너공급출구 17a상의 밀봉부재 2가 상기 설명한 씨일 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밀봉부재 2를 인출함으로서 개봉되면, 상기 호퍼부 17Y내에 수용된 토너18는 교반기 19의 회전에 의해서 교반되고 이송되면서 상기 현상부 17X로 공급된다.
상기 현상부 17X로 공급된 토너 18는 상기 토너 18가 자성(magnetizable)토너인 경우는 자기력에 의해서, 또는 상기 토너 18가 비자성의 토너인 경우는 기계적인 기구 혹은 그 유사한 것에 의해서 상기 현상 롤러 14로 이송된다.
상기 현상 롤러 14로 공급된 토너 18는 상기 현상롤러 14의 회전에 의한 박층 형성장치인 현상 독터 블레이드 20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 극성으로 마찰대전되는 것이며, 대략 균일한 두께의 박층( a thin layer )으로 형성되면서 광 전도성 드럼 11으로 이송된다.
상기 광전도성 드럼 11으로 이송된 토너 18는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 프로세스에 의해서 상기 광전도성 드럼 11상의 정전잠상이 가시화상으로 현상된 후에 전사지(미도시)상으로 전사되며, 정착장치(미도시)에 의해서 복사화상으로서 전사지에 정착되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상기 설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우징 17 일측면에 형성된 씨일 인출구멍 17b의 최대 크기는 상기 밀봉부재 2를 개봉시키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밀봉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밀봉부재 2가 여유있게 인출가능한 것이었다.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은 밀봉부재 2를 개봉함으로서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 출구 17a를 개방시키는 상태로 상기 호퍼부 17Y에 형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선행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만일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이 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면, 상기 호퍼부 17Y내에 수용된 토너 1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우징 17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선행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은 상기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 출구 17a가 상기 토너 인출구멍 17a을 통하여 밀봉부재 2를 인출함으로서 개봉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밀봉부재인 인출구멍 밀봉부재 5로서 폐쇄됨으로서 상기 토너 18가 씨일 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선행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만일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이 열려진 상태로 방치된다면, 상기 호퍼부 17Y내에 수용된 토너 18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우징 17 측면에 형성된 씨일 인출구멍 17b을 통하여 유출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선행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예를들면,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이 상기 밀봉부재가 씨일인출구멍 17b을 통하여 인출되고, 상기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 출구 17a가 개봉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밀봉부재인 인출구멍 밀봉부재 5로서 폐쇄됨으로서 상기 토너 18가 씨일 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이 상대적으로 크다면,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을 막기위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의 밀봉특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유출되려고 하는 호퍼부 17Y내에 함유된 토너 18의 압력이 상승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의 형상과 크기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각각의 방식마다 다른 경우,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은 상기 밀봉부재 2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서 각각 다른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이는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를 막기 위한 밀봉부재 2의 형상과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선행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상기 씨일 인출구멍 밀봉부재 5의 선택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는 각각의 다른 형상과 크기를 갖는 상기 씨일 인출구멍 밀봉부재 5가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의 형상과 크기에 일치하여, 준비되어야 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용기인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토너 카트리지(이하, 일반적인 용어로서 카트리지라고 한다.)에서, 상기 설명한 씨일인출구멍 17b의 최대크기는 상기 밀봉부재 2를 개봉하기 위한 방향에 직각인 밀봉부의 폭보다 적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예를들면, 상기 씨일인출구멍의 형상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설명한 씨일인출구멍 17b의 최대크기는 긴측면 "a"이고, 상기 씨일 인출구멍의 형상이 타원형일 경우,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의 최대크기는 긴축 "a" 크기이다. 그리고, 상기 씨일인출구멍의 형상이 평행사변형(parallelogram)인 경우,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의 최대크기는 긴측면의 높이 "a"이다.
도 13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를 개봉하기 위한 방향에 직각인 상기 밀봉부의 폭 "c"보다 적은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의 최대크기 "a"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흘러 나오려고 하는 카트리지내에 담겨진 토너 18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고, 상기 씨일인출구멍용 밀봉부재 5의 밀봉특성은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을 막는 또다른 밀봉부재로서 개선되는 것이다.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의 형상과 크기가 이 카트리지에서 다소 다른 경우에도, 상기 카트리지의 씨일인출구멍 17b의 형상과 크기는 대략적으로 균일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씨일 인출구멍 5의 선택이 쉽게 되어진다.
일정형상의 돌기(convex) 17c가 상기 카트리지내의 씨일인출구멍 17b상에 형성되어 상기 설명한 밀봉부재 2의 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질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상의 돌기 17c는 상기 밀봉부재 2가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 2를 절곡시킬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로서 도 14A,14B 및 14C에 도시된바와 같은 직사각형 혹은 삼각형 형상의 돌기 17c가 내측면에 개방밀봉면(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를 막기위한 측면에 위치한 면)을 갖는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내의 사전에 설정된 위치상에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재 2가 절곡된다면, 상기 밀봉부재 2는 내측면에 개방밀봉면을 형성하고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옷등이 상기 개구부상의 밀봉부재 2가 개봉된후,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방밀봉면상에 부착된 토너 18에 기인하여 더럽혀지는 것이 방지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의 크기는 돌기 17c를 형성함으로서 적게 형성되어, 예를들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7 내측부(상기 토너 18가 담겨진 측면)만이 도 15에 도시된바와 같이 돌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의 크기는 상기 돌기 17c를 형성하는것에 근거하여 크게 형성될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할것이며, 이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서 적어도 토너 18을 포함하는 현상제를 수용한 현상제 용기내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막도록 된 밀봉부재에 적용된다.
도 16은 상기 설명한 화상형성장치인 카트리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서, 부호 11는 잠상담지부재인 광전도성 드럼이고, 부호 12는 대전장치인 대전롤러이며, 부호 13은 노출장치(미도시)의 광학기입용 광(light)이고, 부호 14는 현상장치인 현상롤러이며, 부호 15는 전사장치인 전사롤러이고, 부호 16는 소제장치인 소제블레이드이다.
상기 설명한 장치들은 각각 카트리지의 하우징 17내에 위치되고, 현상용기인 현상부 17X와 호퍼부 17Y들이 하우징 17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장치 17X와 호퍼부 17Y사이의 하우징 17 경계의 벽부에서, 개구부인 토너공급출구 17a 가 형성된다. 상기 밀봉부재 2A는 토너공급출구 17a상에 장착된다.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는 가열용융접합 혹은 부착에 의해서 도 17A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A로서 밀봉되어 미사용된 카트리지내의 호퍼부 17Y내의 토너 18가 상기 현상부 17X를 향하여 흐르는 것이 방지되며, 즉 상기 토너 18가 호퍼부 17Y내에 수용된후, 상기 카트리지로 부터 토너의 흐트러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 2A는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장착된후,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벗겨지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밀봉부재 2A는 가요성(flexible)필름으로 이루어진 실린더형상을 최초에 갖는 부재로 부터 압력을 받아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2면이 상기 실린더 부재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부분들로 부터 형성되며, 상기 면들중의 어느 하나는 밀봉면 2Aa로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커버면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 2A의 내측부, 즉 상기 실린더형 밀봉부재 2A의 내주면에 일치하는 일부분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사용자가 상기 밀봉부재 2A를 당길 때 이를 집기위한 선단부 2Ab의 단부가 부착된다. 도 17A에서, 해칭으로 표시된부분( hatched portion )은 상기 선단부 2Ab가 상기 밀봉부재 2A에 부착된 부분이다. 상기 선단부 2Ab의 다른 단부는 밀봉부재 2A의 내측을 통과하여 밀봉부재 2A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밀봉부재 2A의 선단부 2Ab는 하우징 17의 현상부 17X 측벽상에 형성된 씨일인출구멍 17b을 통과하여 하우징 17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밀봉부재 2에 대하여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될수 있으며, 예를들면 고품질의 종이, 마이러( 폴리에스터 필름) PET 필름, 혹은 그와 유사한 재료들이 용기 1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특성을 갖추고, 상기 밀봉부재를 벗기는데에서 야기되는 장력을 충분히 견딜수 있는 인장강도를 갖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흰색 화살표로서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재 2A의 선단부 2Ab를 잡아서 상기 밀봉부재 2A를 인출하는 경우,상기 밀봉부재 2A의 외측면은 도 17B에서 화살표 B와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 2Ab가 부착된 일단부로 부터 상기 밀봉부재 2A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이과정에서 상기 실린더형 밀봉부재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역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부로 부터의 상기 개구부에 대한 개봉작동과 함께, 상기 개구부가 밀봉되는 때에 토너 18에 마주하고 있었던 밀봉면 2Aa이 내측면으로 변경된다. 그러면, 상기 밀봉부재 2A는 상기 밀봉면 2Aa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면 2Aa은 상기 밀봉부재 2A의 개봉작동에 의해서 내측면으로 변경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밀봉부재 2A는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상의 밀봉부재 2A가 개봉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제거된 밀봉부재 2A가 버려지는 경우,상기 밀봉면 2Aa에 부착된 내용물( 호퍼부 17Y내에 담겨진 토너 18)은 거의 외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토너 18는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부착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 2A가 실린더 형상을 갖추기 때문에, 상기 역방향의 작동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된 후에도 밀봉부재 2A는 다시 역전 되어지지 않게된다. 따라서,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밀봉면 2Aa의 형상은 상기 커버면으로 덮여진 상태로 쉽게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면 2Aa에 부착된 내용물들은 상기 개구부상의 밀봉부재 2A가 개봉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로 부터 제거된 밀봉부재 2A가 버려지는 경우, 사용자의 손,옷 등에 더욱 접촉되기 어렵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봉부재 2A가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인출되고,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상의 밀봉부재 2A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호퍼 17Y내에 담겨진 토너 18는 교반기 19의 회전에 의해서 교반되고 이송되면서 상기 현상부 17X로 공급된다.
다음, 상기 설명한 밀봉부재 2A를 호퍼부 17Y에 장착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만일, 상기 선단부 2Ab가 밀봉부재 2A에 사전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 2A가 호퍼부 17Y에 부착되거나 혹은 용융접착되는 경우, 상기 공정의 2가지 단계들은 밀봉부재 2A를 형성하는데에 각각 요구된다. 하나는 상기 선단부 2Ab를 밀봉부재 2A에 부착하여야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밀봉부재 2A를 호퍼부 17Y에 부착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작비용은 상기 공정의 단계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증가될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 17Y에 대해서는, 상기 밀봉부재 2A에 선단부 2Ab를 부착하는 것이 상기 호퍼부 17Y에 밀봉부재 2A를 용융접합하거나 혹은 부착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특히, 내측으로 통과된 선단부 2A를 갖는 밀봉부재 2A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형상으로 눌리워지고, 상기 선단부 2Ab는 그 내측에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A의 길이방향 일단측면 2Ae에 부착되며, 이는 도 18b에서 해칭으로 표시된 상기 밀봉부재 2A의 사방모서리부 2Ad가 호퍼부 17Y를 마주하면서 부착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스의 단계수 증가가 억제되며,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상의 밀봉부재 2A에 대한 개봉작동이 이루어지는 때에, 그리고 상기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밀봉부재 2A가 제거되고 상기 개구부상의 밀봉부재 2A에 대한 개봉작동후에 버려지는 때에, 상기 밀봉면 2Aa상에 부착된 토너 18는 사용자의 손이나, 옷 등에 접촉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상기 토너 18로서 손이나 옷 등을 더럽히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 2A는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갖추고, 저가의 비용으로서 제작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재 2A의 밀봉면 2Aa은 선단부 2Ab를 집고서 상기 밀봉부재 2A를 당겨 인출함으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쉽게 제작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동작 특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퍼부 17Y에 대한 밀봉부재 2A의 부착 및 상기 밀봉부재 2A에 대한 선단부 2Ab의 부착등이 동시에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부를 제작하는데에 필요한 프로세스의 단계수들이 감소될수 있고, 제작비용 또한 감소될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내에서 현상제 용기내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에 적용된 일례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내용물이 특정되지 않은 용기의 개구부를 막기 위한 밀봉부재에도 역시 적용가능한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내에서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은 현상제 용기내의 현상제를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밀봉하는 또다른 밀봉부재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9는 상기 설명된 화상형성장치인 카트리지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서, 도 16에서와 같이, 부호 11는 잠상담지부재인 광전도성 드럼이고, 부호 12는 대전장치인 대전롤러이며, 부호 13은 노출장치(미도시)의 광학기입용 광(light)이고, 부호 14는 현상장치인 현상롤러이며, 부호 15는 전사장치인 전사롤러이고, 부호 16는 소제장치인 소제블레이드이다.
상기 설명한 각각의 장치들은 카트리지의 하우징내에 위치되고, 현상부 17X와 호퍼부 17Y들은 하우징 17내에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인 토너공급출구 17a 가 상기 하우징 17의 상기 현상부 17X와 호퍼부 17Y사이의 하우징 벽 경계에서 배치된다.
도 20은 호퍼부와, 밀봉부재를 구성하는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출구 17a의 모서리부는 상기 밀봉부재를 접착하기 위한 씨일 접착면 17b이다. 상기 밀봉부재의 하부 밀봉부인 하부 시트 2B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가요성재료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밀봉부착면 17b에 용융되어 접착하는 상기 시트 2B의 일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토너공급출구 17a의 단부에 형성된 시작모서리부 2Ba, 종료모서리부 2Bb 와, 상기 길이방향에 평행한 양 모서리부 2Bc와 2Bd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의 상부 커버부인 상부시트 3B도 가요성 재질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시트 3B는 하부에 위치되는( underlying ) 시트 2B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부 3Ba, 상기 하부에 위치되는 시트 2B의 양 모서리부 2Bc와 2Bd 사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연장부인 선단부 3Bb 및, 상기 직사각형부 3Bb와 선단부 3Bb를 연결하는 연결부 3Bc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한 선단부 3Bb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직사각형부 3Bb보다 길게 이루어지고, 그 단부는 화살표 D로서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선단부 3Bb를 인출하기 위한 집힘부( a pinching portion )인 것이다.
다음, 상기 하부시트 2B를 호퍼부 17Y에 용융/장착하는 방식과, 상기 상부시트 3B를 하부시트 2B에 고정하는 방식을 이하에서 도 20에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로, 상기 하부시트 2B의 모서리부 2Ba, 2Bb, 2Bc, 2Bd들이 상기 토너 18가 담겨진 호퍼부 17Y의 씨일부착면 17b에 융합되어 벗기어질수 있도록 고정된다. 다음, 상기 하부시트 2B에 평행인 상부 및 하부모서리부 3Bd, 3Be와, 고정부 3Bf가 상기 하부시트 2B의 각각의 모서리부 2Bc, 2Bd 및, 2Ba에 고정되고, 상기 선단부 3Bb는 상부시트 3B의 연결부 3Bc에서 U 형으로 접혀지며, 상기 선단부 3Bb의 단부는 하부시트 2B로 부터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상부시트 3B의 접힘부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선단부 3Bb는 하부시트 2B와 상부 시트 3B의 2장의 시트사이에서 그사이에 협지되어(sandwiched)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 5B는 서로 조립되는 하부시트 2B와 상부시트 3B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호퍼부 17Y로 부터 밀봉부재 5B의 벗김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1은 호퍼부 17Y로 부터 상기 벗김작동동안의 밀봉부재 5B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상기 호퍼부 17Y로 부터 벗겨진 후의 밀봉부재 5B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선단부 3Bb의 단부가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부내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후에, 도 21에 도시된 화살표 D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시트 3B의 고정부 3Bf와 상기 하부시트 2B의 모서리부 2Ba는 당겨지고, 상기 호퍼부 17Y의 씨일부착면 17d으로 부터 벗겨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 2B의 개방밀봉면인 토너 18로 향한 접촉면과, 상기 하부시트 2B에 마주하지 않은 상부시트 3B의 외측면은 도면에서 화살표 E와 F의 방향으로 모두 역전되면서, 도면에서 화살표 D로서 도시된 방향으로 당겨지는 선단부의 단부와 함께, 상기 밀봉부재 5B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 2B가 모서리부 2Bb로 벗기어지고, 만일 상기 선단부 3Bb의 단부가 도면에서 화살표 D방향으로 더욱 당기어지는 경우, 상기 하부시트 2B는 상기 씨일접착면 17d으로 부터 분리되어 상기 벗김작동이 종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지 않는 상기 하부시트 2B와 상부시트 3B의 면들은 역전작동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 토너 18에 접촉하는 하부시트 2B의 접촉면은 상기 하부시트 2B와 상부시트 3B사이로 진입한다. 결과적으로, 토너 18는 사용자의 손, 옷 등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되고, 토너 18가 버려지는 경우에도 토너 18의 분산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재 5B는 2장의 시트로 이루어졌지만; 그러나, 상기 밀봉부재는 3장이상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는 더욱 강해질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6내지 18에 도시된 밀봉부재 2A에서, 혹은 도 19내지 22에 도시된 밀봉부재 5B에서는, 상기 밀봉부재 2A(혹은 5B)의 내측 잔류토너 18가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가 완전하게 제거된 후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 )의 말단 개구부로 부터 흘러나올 가능성이 큰 것이었으며, 이는 상기 토너 18가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인출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옷 등을 더럽히는 것이 방지될 수는 있을지라도, 상기 실린더형 밀봉부재 2A( 혹은 5B )가 상기 호퍼부 17Y상의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인출되는 때에는, 그 표면이 역전되는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실린더 형상 내측에서 상기 토너 18가 복잡한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가 예를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말단부에 부착하여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를 밀봉하는 접착제층 6이 상기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벗기어지도록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단말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접착제 6는 양면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질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에서, 도 23A 및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 17Y내의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밀봉부재 2A( 혹은 5B)를 벗기는 작동과 함께,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개방 밀봉면은 상기 양 부재의 역전작동에 따라서 밀봉부재 2A( 혹은 5B)와 커버부재사이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가 벗기어지는 것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말단부는 상기 접착제 6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밀봉면이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되면서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내측으로 진입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밀봉면에 부착된 토너 18는 밀봉부재 2A( 혹은 5B)내에 밀봉된다. 따라서, 상기 토너 18는 분산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손, 옷등이 더러워지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한 접착제층 6은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출구 17a가 밀봉부재 2A( 혹은 5B)로서 밀봉되는 때, 임시의 고정장치로 사용될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로서 토너공급출구 17a를 막기 위한 밀봉작동은 쉽게 이루어질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접착제층 6은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가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벗기어지는 때, 상기 접착특성을 잃지 않고서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에 부착하는 부착특성을 바람직하게 유지한다. 즉, 이러한 접착제층 6의 접착력은 호퍼부 17Y에 접촉하는 일측면의 접착력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력 6a 보다는 크고,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에 접촉하는 측면의 접착력 6b으로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층 6의 접착력이 갖추어진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층 6이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에 부착하는 접착력을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가 호퍼부 17Y의 토너공급출구 17a로 부터 벗기어지는 상태에서 접착특성을 잃지 않고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접착제층 6은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질수 있고,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말단부는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가 호퍼부 17Y 로 부터 벗기어지는 때에 상기 접착제층 6에 견고히 부착되어질수 있는 것이다.
즉, 만일 상기 호퍼 17Y에 접촉하는 측면에서 상기 접착제층 6의 접착력 6이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에 접촉하는 측면에서 접착제층 6의 접착력 6b보다 크게 설정되면, 상기 접착제층 6은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 17Y로 부터 벗기어지는 때에 상기 호퍼부 17Y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A( 혹은 5B)의 말단부는 접착제층 6에 부착되어질수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으로 부터 토너 유출과 토너분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로서 밀봉되는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을 갖는 용기는 상기 토너 유출과 토너분산을 방지하는 밀봉부재 5에 도 27 및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일삽입구멍 5a이 제공되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일인출구멍 17b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질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가 벗기어진 후, 씨일인출구멍 17b 상에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를 장착하는 문제점이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상에 미리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를 장착함으로서 해결될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에 인출구멍 밀봉부재 5를 장착하는 것을 잊은 때에도 토너 유출 및 토너분산이 방지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봉부재 2의 선단부 2b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방밀봉면을 내측에 유지함으로서 상기 폴리오 형상으로 사전에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의 씨일 삽입구멍 5a을 통하여 상기 씨일인출구멍 17b의 외측으로 바람직하게 노출될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는 상기 폴리오 형상으로 사전에 접혀지도록 상기 씨일 삽입구멍 5a을 통하여 외측으로 상기 밀봉부재 2의 선단부 2b가 노출되도록 남겨둠으로서,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봉작동시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방밀봉면을 내측에 유지하여 상기 폴리오 형상으로 쉽게 접혀질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에 관해서는, 상기 밀봉부재 2를 개방 밀봉면으로서 접기 위한 형상으로 사전에 형성되는 상기 씨일 삽입구멍 5a을 갖는 것이 사용될수 있다.
인출구멍 밀봉부재 5에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의 씨일 삽입구멍 5a을 형성하는 부재가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방 밀봉면을 내측에 유지함으로서 폴리오 형상으로 상기 밀봉부재 2를 접기 위한 형상으로 사전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방 밀봉면은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봉작동시에 사용자의 손을 접촉하지 않고서 내측으로 접혀질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의 씨일 삽입구멍 5a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예를들면, 발포고무, 발포 우레탄, 혹은 탄성특성을 갖는 상기와 유사한 발포체등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의 씨일 삽입구멍 5a을 발포고무, 발포 우레탄, 혹은 탄성특성을 갖는 상기와 유사한 발포체등으로 이루는 부재를 구성함으로서, 상기 개방구 밀봉면은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봉작동시에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 의 씨일삽입 구멍 5a에 마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 2의 개방밀봉면에 부착한 토너 18는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 5의 씨일삽입 구멍 5a을 형성하는 발포재료로서 긁혀 제거될수 있으며, 상기 분산된 토너 18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은 줄어드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씨일삽입 구멍 5a 을 형성하는 부재가 발포고무, 발포 우레탄, 혹은 탄성특성을 갖는 상기와 유사한 발포체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씨일삽입구멍 5a을 형성하는 부재는 예를들면, 도 27 및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지지 플레이트 5b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씨일 삽입구멍 5a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 5b상에 형성된 걸림돌기 5c를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에 제공함으로서 상기 씨일 인출구멍 17b상에 장착된다.
명백한 것은, 상기와 같은 개시내용에 의해서 본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예와 개선구조가 제시될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특정예와는 다르게 실시될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출원은 1997. 8. 21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JPAP 09-242125호, 1998. 2. 13자로 출원된 JPAP 10-048817호, 1998. 1. 22자로 출원된 JPAP 10-026772호, 1998. 5. 13자로 출원된 JPAP 10-148448호 및, 1998년에 출원된 또하나의 일본특허출원 JPAP 10-XXXXXX에 기초한 것이며, 그 전체내용은 본 내용내에 참조로서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부재에 부착된 현상제 용기의 내용물에 기인하여 손, 옷 등을 오염시키지 않을수 있고, 상당히 간단하며 저가의 구조를 갖는 밀봉부재를 제공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용물의 유출을 막을수 있고,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인출구멍용 밀봉부재를 선택하는 것이 쉬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8)

  1. 용기내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에 있어서,
    개봉작동도중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상기 용기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면(a face)과, 상기 용기로 부터 벗겨질 때, 이를 집기 위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씨일 안내구멍을 통하여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면은 개봉작동 도중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면의 후방면으로서 덮여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 안내구멍이 상기 용기상에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가 씨일안내구멍으로 부터 인출되는 때, 상기 씨일 안내구멍으로 부터 인출되어지는 부분에서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상기 면은 개봉작동 도중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질 때, 이를 집기위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개방밀봉면을 내측에 유지하기 위한 폴리오 형상( a folio-like shape )으로 접기 위하여 씨일 안내구멍을 통하여 상기용기의 외측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밀봉면을 내측에 유지시키는 폴리오 형상으로 접기 위한 접음선이,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적어도 상기 개봉작동의 시작측 위치에서 개봉방향을 따라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안내구멍을 통하여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상기 선단부는 적어도,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개봉방향을 따라서 상기 개방밀봉면을 내측에 유지시키는 폴리오 형상으로 사전에 접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오 형상으로 접혀진 상기 선단부 부분은 사전에 부착되어 상기 접혀진 형상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일단부의 상부측을 역전시키는 방식으로 타단부의 하부측에 연결함으로서 형성되는 비틀림부를 갖는 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이를 집기 위한 선단부가 개봉작동 도중에 상기 링형 형상의 시작측 비틀림부에서 상기 개봉방향의 하류측 위치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이를 집기 위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벗김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음선에 일치하여 대략 중앙부분에서 접음으로서 형성되어 개봉작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면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토너 및 그 유사한 것과 같은 현상제를 담는 현상제 용기상에 형성되어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접착특성을 잃지 않고서 일측면에 부착하는 접착제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가 밀봉되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밀봉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12.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는 청구항 1 또는 2 또는 4 내지 12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밀봉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전자사진식 장치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씨일인출구멍의 최대크기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밀봉부의 폭보다 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씨일인출구멍의 최대크기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밀봉부의 폭보다 적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는 청구항 1 또는 2 또는 4 내지 12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밀봉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이를 집기 위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씨일인출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밀봉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씨일 인출구멍상에 일정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밀봉부재의 면이 절곡되어질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씨일 인출구멍상에 일정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밀봉부재의 면이 절곡되어질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는 청구항 1 또는 2 또는 4 내지 12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밀봉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인출구멍상에 제공된 돌출부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이 이루어지는 때에,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밀봉면을 접촉함으로서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밀봉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질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용기의 씨일인출구멍의 내측부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전자사진식 장치의 현상장치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의 개구부가 상기 밀봉부재로서 밀봉되어지는 카트리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용기내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에 있어서,
    개구부가 밀봉되어지는 때에, 용기내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면;
    상기 개구부에 대한 개봉작동과 함께 일단부로 부터 상기 면을 덮기 위한 커버부; 및
    상기 용기로 부터 밀봉부재가 벗기어지는 경우, 이를 집기 위하여, 그리고 밀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한편, 상기 밀봉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는 선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23. 용기내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에 있어서,
    가요성 재질의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 부터 밀봉부재가 벗기어지는 경우, 이를 집기 위하여, 그리고 밀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한편, 실린더형상의 밀봉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는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형 밀봉부재의 외주면 일부분이 밀봉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재.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토너 및 그 유사한 것과 같은 현상제를 담는 현상제 용기내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25.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갖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는 청구항 23 또는 24 또는 26에 기재된 밀봉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집기위한 선단부가 형성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주몸체상에 상기 밀봉부재와,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상에 선단부를 동시에 모두 고정시킴으로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벗김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각각 연장하고, 벗기어질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상에 고정된 상부시트를 이루는 한쌍의 시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가 밀봉되는 경우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하부시트의 개방밀봉면은, 벗김작동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의 일단부로 부터 역전되면서, 상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사이로 진입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시트들은 벗김방향으로 서로 대략적으로 평행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상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들은 가요성재료로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봉시키기 위한 개봉작동을 개시하는 측면에서 연장되는 선단부가 제공되고, 상기 선단부는 부착된 상기 하부 및 상부시트사이를 상기 선단부측으로 되접혀지면서 통과하는 부착부의 당김측면 일단부로 부터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당김방향을 따른 상기 하부 및 상부 시트의 부착부 길이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는 현상제 용기내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2.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갖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청구항 29 내지 33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밀봉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때에, 상기 밀봉부재의 일단부와 커버부재의 일단부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이 상기 밀봉부재의 일단부 혹은 상기 커버부재상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가 밀봉부재에 의해서 밀봉되어질 때 임시적인 고정수단을 위하여 상기 밀봉부재의 일단부에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질 때, 부착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상기 밀봉부재의 일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특성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6.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의 단부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이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용기로 부터 벗기어질 때, 상기 밀봉부재의 하부시트 혹은 상부시트의 일단부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가 하부시트의 말단부에 장착된 밀봉부재의 하부시트로서 밀봉되어지는 경우, 임시고정수단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용기로부터 밀봉부재가 벗기어지는 경우, 접착특성을 잃지 않으면서 상기 밀봉부재의 하부시트 일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특성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부재.
  39. 선단부를 갖는 밀봉부재로서 밀봉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개봉되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씨일 인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씨일인출구멍은 상기 밀봉부재를 제거시킴에 의한 개구부의 개봉작동에 기인하여 상기 씨일 인출구멍으로 부터 내용물의 유출 및 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씨일인출구멍 밀봉부재로서 밀봉되고,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는 상기 밀봉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씨일삽입구멍을 통하여 용기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때에, 내용물의 유출과 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씨일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씨일삽입구멍을 갖는 용기의 씨일인출구멍에 사전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밀봉부재가 그 개방씨일면을 내측에 유지하는 폴리오 형상으로 접혀지는 경우, 상기 씨일 인출구멍 밀봉부재의 씨일 삽입구멍을 통하여 용기의 외측에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의 씨일삽입구멍은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밀봉면을 내측에 유지하기 위한 폴리오형상으로 상기 밀봉부재가 접히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2.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멍 밀봉부재의 씨일삽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는 적어도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3.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밀봉부재의 면을,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도중에 외부로 노출됨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내에 내용물을 삽입한 후에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가열용융접착 또는 부착시키는 단계; 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
  44.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의 내용물에 마주하는 밀봉부재의 면이,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 도중에 상기 밀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면의 후방면으로서 덮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내에 내용물을 삽입한 후에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가열용융접착 또는 부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
  45.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를 집기 위하여 밀봉부재상에 선단부를 장착하는 단계; 그리고
    개방밀봉면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밀봉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씨일안내구멍을 통하여 용기의 외측으로 상기 선단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내에 내용물을 삽입한 후에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가열용융접착 또는 부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
  46.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상에 씨일안내구멍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동안에 외부로 노출됨이 없는 형상으로 상기 씨일안내구멍으로 부터 인출되는 일부분에서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밀봉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내에 내용물을 삽입한 후에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가열용융접착 또는 부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
  47.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밀봉면을 내측에 지지하는 폴리오 형상으로 상기 밀봉부재를 접기 위하여 씨일안내구멍을 통하여 용기의 외측으로 선단부를 연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내에 내용물을 삽입한 후에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가열용융접착 또는 부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
  48.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에 있어서,
    밀봉부재가 용기로 부터 벗기어지는 경우,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방향을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의 개봉작동 시작측의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밀봉부재의 개방 밀봉면을 내측에 유지하는 폴리오 형상으로 상기 밀봉부재를 접기 위한 접음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내에 내용물을 삽입한 후에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가열용융접착 또는 부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
KR1019980034063A 1997-08-21 1998-08-21 밀봉부재및상기밀봉부재를갖는용기 KR100327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212597 1997-08-21
JP9-242125 1997-08-21
JP2677298 1998-01-22
JP10-26772 1998-01-22
JP4881798 1998-02-13
JP10-48817 1998-02-13
JP14844898 1998-05-13
JP10-148448 1998-05-13
JP21490398A JP3555102B2 (ja) 1997-08-21 1998-07-13 シール部材及び収納容器並びに該シール部材を有する容器
JP10-214903 1998-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790A KR19990023790A (ko) 1999-03-25
KR100327957B1 true KR100327957B1 (ko) 2002-05-09

Family

ID=2752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063A KR100327957B1 (ko) 1997-08-21 1998-08-21 밀봉부재및상기밀봉부재를갖는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84000B1 (ko)
JP (1) JP3555102B2 (ko)
KR (1) KR100327957B1 (ko)
CN (1) CN1145855C (ko)
DE (1) DE1983793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7324B2 (ja) * 2001-11-16 2007-10-10 株式会社白崎コーポレーション 現像剤容器用シール部材
US6963990B2 (en) * 2002-02-05 2005-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ck generation for multiple secondary buses of a PCI bridge
US7212765B2 (en) * 2002-03-05 2007-05-01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anufacturing imaging components
JP4284987B2 (ja) * 2002-12-11 2009-06-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出荷時の梱包方法
JP2004354848A (ja) * 2003-05-30 2004-12-16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198656A1 (en) * 2005-03-04 2006-09-07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Toner cartridge seal assembly
US7197260B2 (en) * 2005-03-09 2007-03-27 Static Contron Components, Inc. Toner cartridge seal assembly
US8036578B2 (en) * 2006-08-30 2011-10-11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daptor for toner cartridge, toner cartridge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060955B1 (en) * 2007-11-07 2014-04-30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er container with sealing mechanism providing enhanced usability
JP4604084B2 (ja) * 2007-12-27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69651B2 (ja) * 2008-03-21 2010-10-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US8005395B2 (en) * 2008-03-25 2011-08-23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Universal cartridge seal and method for fixing the seal to a cartridge
JP2011059458A (ja) * 2009-09-11 2011-03-24 Oki Data Corp 現像剤シール方法、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04857B2 (ja) * 2010-08-17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3424356B (zh) * 2012-05-21 2015-12-09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分析卡匣及其分析系统
JP6664139B2 (ja) 2018-02-26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10962905B1 (en) * 2019-10-21 2021-03-30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 for an electrophotograhic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557A (en) * 1985-11-26 1990-11-13 Ricoh Co., Ltd. Toner cartridge
JPS6449864U (ko) * 1987-09-17 1989-03-28
JPH03149581A (ja) * 1989-11-07 1991-06-26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補給用カートリッジ
JP2584517Y2 (ja) * 1990-10-12 1998-11-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184463A (ja) * 1990-11-20 1992-07-01 Canon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064436B2 (ja) 1991-02-06 2000-07-1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3165729B2 (ja) * 1992-03-23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207353A (en) * 1992-06-08 1993-05-0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replenishing toner in electrostatographic development stations
JPH06258936A (ja) 1993-03-09 1994-09-16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621508A (en) * 1995-07-26 1997-04-15 Mcnamara; Robert A. Replacement seal for toner hopper
JPH09329951A (ja) * 1996-06-12 1997-12-22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9576A (zh) 1999-03-03
CN1145855C (zh) 2004-04-14
KR19990023790A (ko) 1999-03-25
JP2000035711A (ja) 2000-02-02
US6484000B1 (en) 2002-11-19
DE19837931A1 (de) 1999-03-11
DE19837931B4 (de) 2008-05-08
JP3555102B2 (ja)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957B1 (ko) 밀봉부재및상기밀봉부재를갖는용기
JP3545919B2 (ja) トナー補給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容器を構成する部品のリサイクル使用方法
US5075727A (en)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970001390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5781841A (en) Toner collector and image forming unit having toner collector bag
US6978107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5937235A (en) Reproduction machine including a developer material cartridge having a non-interfering dual-use sealing device
JP2584517Y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553286B2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194900A (en) Developer cartridge having easily removable sealing material
EP2060955B1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er container with sealing mechanism providing enhanced usability
JPS6360388B2 (ko)
JP3219887B2 (ja) 画像形成装置
RU2349948C2 (ru) Кассета для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4208521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3251115B2 (ja) トナー補給カートリッジ
JP2002229332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878429B2 (en) Sealing member for developer container
JP2939786B2 (ja) トナー供給装置
JPS63220286A (ja) 現像装置
JP3169718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の現像器
JP2000098711A (ja)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ル部材
JPH05100568A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器
JPH06242675A (ja) トナー補給容器
JPS63273889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