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629B1 - 가스가새지않게밀폐된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축전지 - Google Patents

가스가새지않게밀폐된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축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629B1
KR100327629B1 KR1019950021816A KR19950021816A KR100327629B1 KR 100327629 B1 KR100327629 B1 KR 100327629B1 KR 1019950021816 A KR1019950021816 A KR 1019950021816A KR 19950021816 A KR19950021816 A KR 19950021816A KR 100327629 B1 KR100327629 B1 KR 10032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electrode
gas
battery
hydrogen storage
storage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118A (ko
Inventor
우베쾰러
광젠첸
유르겐린트너
Original Assignee
바르타 배터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타 배터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르타 배터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0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242Hydrogen storag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가스가 새지않게 밀폐된 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 단추형 축전지, 특히 니켈/금속수소화물 단추형 전지에서 보조전극의 활성물질은 보조전극이 전기적으로 단락된 음극의 활성물질과 같은 수소저장합금으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보조전극은 산소소모와 진지의 극성이 역전된 경우의 수소소모를 지속할 수 있다. 보조전극의 강한 소수성과 혹은 친수성 바인더 첨가제에 의한 음극의 약한 소수성 혹은 친수성, 그리고 음극의 물질에 높은 전도성물질(Cu 혹은 Ni)의 첨가결과로서 고충전과 극성역전의 경우에 높은 가스소모율과 동시에 좋은 방전용량이 높은 전류에서조차 얻어진다(최대 2C A). 250mAh 단추형 전지의 내부전지 압력은 0.2C A에서 과충전 혹은 과방전 동안에 3 bar 를 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위험하지 않다.

Description

가스가 새지않게 밀폐된 금속산화물/수소화물 축전지
본 발명은 가스가 새지않게 밀폐된 금속산화물/수소화물 축전지에 관계하는 것으로서 상기 축전지는 전지 케이스에 배치되고 금속수소화물을 구성요소로 하는 양극과 수소 저정합금을 구성요소로 하는 음극과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고 알카리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격리판 그리고 산소소모를 지속시키고 음극과 전기적 접촉을 하는 보조전극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응용분야는 니켈/금속수소화물 형태의 단추형 전지이다. 왜냐하면 전기기구에서의 효율성과 확립된 용도 때문이다. 그러나 높은 전류에 대한 부하수송용량은 원통형 전지보다 못하다. 그것은 단추형 전지의 음극의 전도성이 꽤 낮다는 사실 때문이다. 더 낮은 전도성은 물질 혼합물에서 플라스틱 바인더가 차지하는 비율때문인데 플라스틱 바인더는 아마도 PTFE로 이루어져 있고 약 10% 정도를 차지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바인더의 첨가는 기계적 강도때문에 필요하다. 또한, 플라스틱 바인더는 전지혼합물에 소수성을 부여하고 과충전과 극성의 역전의 경우에 적절한 가스소모에 대한 조건을 만들어준다. 처음부터 공식화된 일반부류의 정의에 일치하는 재충전, 가스밀폐식 금속산화물/수소화물 단추현 전지는 과충전 그리고 극성 역전을 할 수 있다.
과충전 동안에 산소는 양극에서 발생되고 용인할 수 없게 높은 내압을 피하도록 소모되어야 한다. 이런 목적에 적합한 수단은 보통, 그을음, 흑연, PTFE 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주음극전지의 뒤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음극전지와 단락된 보조전극이다. 산소소모의 메카니즘은 방정식 (1) O2+ 4e- +4H2O=4 OH-로 서술될 수있다.
산소소모를 위한 보조전극을 갖는 금속산화물/수소화물 단추형 전지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39 29 306의 제 4 도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양극의 소모적 방전후에 금속산화물/수소화물 축전지가 극성 역전상태에 들어가서 방전을 제한하면 양극은 이제 수소를 발생하고 수소는 바로 음극에 흡수되어 금속수소화물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것은 가스상과 직접 접촉을 하는 금속표면에만 일어날 수 있다. 금속표면에 있는 액체필름은 수소흡수를 상당히 방해한다. 소수성 바인더의 존재는 전해질을 전극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하여서 수소의 음극의 내부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한다.
독일특허출원 40 29 503에 전극의 활성부분에 라니(Raney) 혹은 라니실버로 구성된 특별한 촉매가 극성의 역전시 발생된 수소의 산화를 위해 첨가되는 금속수소화물 음극을 가지는 알카리성 축전지가 발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성 바인더 사용과 연관되는 전기전도성의 감소의 결점은 여전하다. 물질혼합물 전극의 경우에 한편으로는 바인더는 분체의 결합과 소수성을 보장해주고 다른 한편으론 바인더는 전기 절연체로 작용하므로 극성 역전방지와 좋은 전류 수송능력이 서로 배타적이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단추형 전지의 형태로 알카리성 금속산화물/수소화물 축전지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인데 그러한 축전지는 가스 밀폐기능을 제한하지 않고 고전류에서도 작동될 수 있다.
그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청구항 1에 서술된 것과 같은 축전지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산소소모를 위한 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 전지에 보통 존재하는 보조전극은 극성역전의 경우에 수소의 빠른 전환을 떠 맡는다. 왜냐하면 주음극처럼 보조전극은 주성분으로 수소저정합금을 가지며 전지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전도되게 연결되 있으며 특히 주음극의 뒤에 바로 기대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전극은 원통형 전지와 프리즘형 전지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단추형 전지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전극은 상기 수소 저장합금과 흑연, 그을음, PTFE와 같은 탄소를 함유하고 소수성인 물질을 고속 나이프 밀(knife mill)에 섞음으로써 만들어진다. 그결과의 혼합물은 대단히 곱고 균질하다. 한편으로는 이것은 산소소모에 필요하는 다수의 삼상 경계를 제공해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해질이 씌워짐없이 수많은 표면들이 수소에 노출되어 수소가 빠르게 합금입자로 침투하게 한다.
본 발명은 중요성분으로서 수소저장합금 뿐만아니라 높은 전도성 물질인 분말된 형태의 니켈 혹은 구리를 포함하는 분말로 주음극을 만드는 입증된 잇점을 가진다.
게다가 분채의 기계적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극 혼합물은 보조전극에 사용된 바인더와 반대로 친수성 혹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에틸렌같은 약한 소수성을 가지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수소저장합금으로 만들어진 소수성 보조전극을 금속첨가제에 의한 높은 전기전도성과 친수성 바인더 첨가제에 의한 약한 소수성을 가지는 수소저장합금으로 구성된 주음극에 연결시킨 결과로 본질적으로 두개의 능력, 즉 높은 전류를 위한 부하 수송 용량과 극성반전후의 압력상승방지를 결합시킨 전극조합이 나타난다.
특히, 본 발명의 보조전극은 전통적인 Ni/수소화물과 NiCd 전지에서의 산소 소모전극에 비해서 가스상의 산소와 수소 모두의 제거를 허용한다. 강력하고 영구적인 소수성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전극의 이중적 기능에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보조전극은 다음 조성의 혼합물이다: 0∼20%의 흑연, 0∼20%의 그을음, 0.5∼10%의 PTFE, 나머지 ∼100%의 수소저장합금, 특히 적절한 혼합물은 0∼4%의 흑연, 1∼3%의 그을음, 1∼4%의 PTFE, 나머지 ∼100%의 수소저장합금이다.
다음 혼합물은 주음극을 만드는데 적합하다:
1. 1∼50%(적절하게는 20∼40%) Cu 혹은 Ni 분말, 0∼10%(적절하게는 1∼4%) 친수성 바인더, 나머지∼100% 수소저장합금 혹은
2. 0∼20%(적절하게는 10∼15%) 흑연, 0∼10%(적절하게는 0.5∼4%) 친수성 바인더, 나머지∼100% 수소저장합금.
두개의 혼합물(전도매체로서 금속분말이나 흑연)에서 합금의 함량은 대략 70∼95% 사이이다.
LaNi5형태 혹은 TiNi 형태의 합금이 수소저장물질로서 적합하다. 란탄 혹은 다른 회토류 원소가 MmNi5합금의 미시메탈 성분을 이루는 LaNi 형태의 합금이 적절하다. 하나의 예는 MmNi4.3-xCOxMn0.3Al0.4이다(0.2〈x〈0.7).
양극의 전형적 혼합물은 니켈 수산화물, 금속니켈과 코발트, 흑연과 코발트산화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전도성 물질로서 탁월하게 작용한다; 게다가 코발트 산화물은 양극에서 산소과전압의 증가 결과적으로 충전 효율의 증가를 보장해준다.
제 1 도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지는 케이싱 캔(1), 리드(Lid)(2), 밀폐링(3), 니켈수산화물 양극(4), 금속수소화물 음극(5), 전해질이 주입된 격리판(6) 산소소모를 위한 보조전극(7)과 압축스프링(8)을 가지는 전통적인 Ni/수소화물 단추형 전지와 구조상 크게 다르지 않다.
제 2 도에서 확장되 보여진 보조전극의 표면은 부분적으로 전해질 필름(10)에 젖어있고 부분적으로 친수성 바인더(11)(PTFE)에 의해 이웃입자와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금속 수산화물 입자(9)를 나타내는데 입자표면의 많은 부분들은 바인더의 방수효과 때문에 액체 전해질에 의해 씌여 있지 않다. 이러한 지점에서 H2는 쉽게 입자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수소는 합금금속에 의해 흡수되어 가스상으로부터 제가된다.
다른 지점에서의 조건은 전해질과 소수성 바인더 그리고 노출된 입자표면의 동시존재의 결과로서 O2소모에 적합하다. 왜냐하면 상기 O2소모는 방정식 (1)과 일치되고 이것은 H2O의 중재와 고체 합금상과 전지교환할 겅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삼상관게).
전도매체로서 Cu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과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전극을 갖춘 단추형 전지의 탁월한 높은 전류 수송능력은 제 3 도로부터 나온다.
테스트 전극의 질량 조성은 위에서 특정된 조성의 범위내에 있다. 막대그래프로부터 명백히 본 발명에 따른 단추형 전지(B)의 방전용량 K(보통 용량 NC의 %로)는 1CA와 2CA의 높은 부하에서 표준전극(A)보다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의 더 나은 높은 전류수송에 대한 중요한 이유는 음극에서 소수성 바인더가 부족하여 더 나은 전기 전도성을 주기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보조전극의 가스소모 행위는 과충전과 과방전의 경우에 전지내부의 가스압력의 형태에서 알 수 있다. 그리하여 4도에 따르면 250mAh 단추형 전지의 내압 P[bar]은 0.2C A 방전의 경우 대략 1 bar 이다(곡선 1). 극성역전의 경우 같은 전류에 대해서 3 bar(곡선 2)이다. 이정도의 압력은 단추형 전지의 기계적 강도에 대해 꽤 안전하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Ni/수소화물 단추형 전지.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전극의 표면구조의 확대도.
제 3 도는 표준전지와 비교된 본 발명에 따른 단추형 전지의 방전 용량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
제 4 도는 다른 작동상태에 대한 본 발에 따른 단추형 전지의 내부 가스 압력을 보여주는 그래프.
부호설명
1 ... 케이싱 캔 2 ... 리드(Lid)
3 ... 밀폐링 4 ... 니켈수산화물 양극
5 ... 금속수소화물 음극 6 ... 격리판
7 ... 보조전극 8 ... 압축스프링
9 ... 금속수소화물 입자 10 ... 전해질 필름
11 ... 친수성 바인더

Claims (10)

  1. 전지의 케이스(1)애 배치되고 금속산화물을 구성요소로 하는 양극(4), 수소저장합금을 구성요소로 하는 음극(5), 양극과 음극사이에 배치되고 알카리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격리판(6), 산소소모를 지속시키고 음극과 전기적으로 전도되게 접촉하는 보조전극(7)을 구성요소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 축전지에 있어서, 보조전극(7)이 과충전과 극성역전의 경우에 가스소모를 지속시키도록 하는 수소저장합금(9)을 가지며, 상기 보조전극(7)이 음극(5)과 전기적으로 전도되게 연결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 축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전극(7)이 음극(5)의 바로 뒤에 놓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소수성 바인더(11)가 보조전극(7)의 합금물질(9)에 첨가되고 친수성 바인더가 음극(5)의 합금물질에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Cu 분말, Ni 분말 또는 흑연중의 하나가 선택적으로 음극(5)의 합금물질에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5. 제 3 항에 있어서, 흑연과 그을음에 추가적으로 PTFE 가 보조전극(7)의 합금물질에 바인더(11)로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6. 제 3 항에 있어서, 보조전극(7)의 기초가 되는 물질 혼합물은 0∼20% 의 흑연, 0∼20% 의 그을음, 0.5∼10% 의 PTFE, 나머지 ∼100% 의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7. 제 3 항에 있어서, 보조전극(7)의 기초가 되는 물질혼합물은 0∼4%의 흑연, 1∼3%의 그을음, 1∼4%의 PTFE, 나머지 ∼100%의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8. 제 3 항에 있어서, 음극(5)의 기초가 되는 물질혼합물은 10∼50%의 Cu 또는 Ni 분말, 0∼10%의 친수성 바인더, 나머지 ∼100%의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9. 제 3 항에 있어서, 음극(5)의 기초가 되는 물질 혼합물은 20∼40%의 Cu 또는 Ni 분말, 1∼4%의 친수성 바인더, 나머지 ∼100%의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10. 제 3 항에 있어서, 음극(5)의 기초가 되는 물질혼합물은 0∼20%의 흑연(적절하게는 10∼15%의 흑연), 0∼10%의 친수성 바인더(적절하게는 0.5∼4%의 친수성 바인더), 나머지 ∼100%의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가 새지 않게 밀폐된 축전지.
KR1019950021816A 1994-07-29 1995-07-24 가스가새지않게밀폐된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축전지 KR100327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26958A DE4426958A1 (de) 1994-07-29 1994-07-29 Gasdicht verschlossener Metalloxid-Metallhydrid-Akkumulator
DEP4426958.7 1994-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18A KR960006118A (ko) 1996-02-23
KR100327629B1 true KR100327629B1 (ko) 2002-08-14

Family

ID=652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816A KR100327629B1 (ko) 1994-07-29 1995-07-24 가스가새지않게밀폐된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축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39569A (ko)
EP (1) EP0698937B1 (ko)
JP (1) JPH0855635A (ko)
KR (1) KR100327629B1 (ko)
CN (1) CN1071942C (ko)
DE (2) DE4426958A1 (ko)
SG (1) SG45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4168A (en) * 1995-08-03 1999-02-23 Kiyokawa Plating Industries, Co., Ltd. Fluorocarbon compound-hydrogen storage alloy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9929947B4 (de) * 1999-06-29 2004-01-15 Deutsche Automobilgesellschaft Mbh Gasdichte verschlossene bipolare Nickel/Metallhydrid-Zelle
US7205065B1 (en) 2000-06-10 2007-04-17 Deutsche Automobilgesellschaft Mbh Gastight prismatic nickel-metal hydride cell
CN102137722A (zh) * 2006-10-03 2011-07-27 杨百翰大学 疏水疏油涂层及其制备方法
US8846161B2 (en) * 2006-10-03 2014-09-30 Brigham Young University Hydrophobic coating and method
EP2394324B1 (de) 2009-02-09 2015-06-10 VARTA Microbattery GmbH Knopfzell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09060800A1 (de) 2009-06-18 2011-06-09 Varta Microbattery Gmbh Knopfzelle mit Wickelelektro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108226024B (zh) * 2018-03-14 2020-12-25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车载大气腐蚀氢渗透监测传感器及监测方法
JP7032968B2 (ja) * 2018-03-27 2022-03-09 Fdk株式会社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用の負極及び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
RU197097U1 (ru) * 2020-03-02 2020-03-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ПО ССК" Ловушка водорода на основе батареи из никель-водородных аккумуляторов открытого тип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6780C2 (de) * 1978-06-19 1986-12-11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Galvanisches Element
JPS60109183A (ja) * 1983-11-17 1985-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ニッケル−水素蓄電池
US4605603A (en) * 1983-12-26 1986-08-12 Kabushiki Kaisha Toshiba Hermetically sealed metallic oxide-hydrogen battery using hydrogen storage alloy
US4952465A (en) * 1986-04-30 1990-08-28 The Standard Oil Company Additive for energy storage devices that evolve oxygen and hydrogen
US5250369A (en) * 1989-02-23 1993-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lkaline storage battery
DE3929306C2 (de) * 1989-09-04 1997-04-17 Varta Batterie Gasdicht verschlossener Metalloxid/Wasserstoff-Akkumulator
DE3929304A1 (de) * 1989-09-04 1991-03-07 Varta Batterie Gasdicht verschlossene alkalische sekundaerzelle
DE4039503A1 (de) * 1990-12-11 1992-06-17 Manfred Willems Luftgepolsterte mehrwegbehaelter
CN1029809C (zh) * 1991-12-28 1995-09-20 南开大学 储氢合金电极
DE4201243A1 (de) * 1992-01-18 1993-07-22 Varta Batterie Gasdicht verschlossener alkalischer akkumulator in knopfzellenform
US5376474A (en) * 1993-02-05 1994-12-27 Sanyo Electric Co., Ltd. Hydrogen-absorbing alloy for a negative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4305560A1 (de) * 1993-02-24 1994-08-25 Varta Batterie Gasdicht verschlossener Nickel/Hydrid-Akku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39569A (en) 1997-06-17
KR960006118A (ko) 1996-02-23
JPH0855635A (ja) 1996-02-27
CN1123475A (zh) 1996-05-29
EP0698937B1 (de) 2002-07-31
DE59510298D1 (de) 2002-09-05
CN1071942C (zh) 2001-09-26
SG45109A1 (en) 1998-01-16
DE4426958A1 (de) 1996-02-01
EP0698937A1 (de) 199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7973B1 (en) Nickel positive electrode for use in alkaline storage battery and nickel-hydrogen storage battery using the same
US5451475A (en) Nickel positive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and sealed nickel-hydrogen storage battery using nickel positive electrode
JP3042043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ニッケル正極とこれを用いたニッケル・水素蓄電池
JP2771592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水素吸蔵合金電極
EP0477461B2 (en) Nickel/hydrogen storag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383991B2 (en) Alkaline storage battery using hydrogen absorbing alloy
KR100327629B1 (ko) 가스가새지않게밀폐된금속산화물/금속수소화물축전지
JP2680669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水素吸蔵合金電極
Geng et al. Charging/discharging stability of a metal hydride battery electrode
Geng et al.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of a metal hydride electrode for the Ni/MH battery
JP2006302597A (ja) ボタン形アルカリ電池
KR20180101205A (ko) 알칼리 이차 전지
US6197448B1 (en) Hydrogen storage alloy
JPH0582024B2 (ko)
JPH04179056A (ja) アルカリ蓄電池
JP2002117859A (ja) アルカリ電池
JP2566912B2 (ja) ニッケル酸化物・水素電池
JP3322452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の希土類系水素吸蔵合金
JP2950895B2 (ja) 金属―水素アルカリ蓄電池
JP2679441B2 (ja) ニッケル・水素蓄電池
JPH0555987B2 (ko)
JP3025770B2 (ja) 金属酸化物・水素電池
JPS6158165A (ja) 水銀無添加密封アルカリ電池のゲル状負極合剤
JPH03108272A (ja)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
JPH051765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