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960B1 -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960B1
KR100315960B1 KR1019990016767A KR19990016767A KR100315960B1 KR 100315960 B1 KR100315960 B1 KR 100315960B1 KR 1019990016767 A KR1019990016767 A KR 1019990016767A KR 19990016767 A KR19990016767 A KR 19990016767A KR 100315960 B1 KR100315960 B1 KR 10031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guide means
guid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188A (ko
Inventor
니시무라요시아끼
하시모또가즈노리
아베나루아끼
이와무라도루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080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98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46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71831A/ja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8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7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 B60N2/3075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re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어시트 (10) 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앞다리 (22) 가 롤러아암 (24) 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고,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요동하면, 롤러아암 (24) 에 배치된 훅 (26) 이 스트라이커 (18) 의 환봉부 (18B) 에서 빠져서 롤러 (28) 가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롤러 (28) 가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롤러아암 (24) 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리어시트 (10) 가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상의 격납위치로 이동할 때의 시트회전반경이 작아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vehicle seat stor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차를 갖는 일 계단 높은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에 배치된 리어시트를 차량 전방의 낮은 플로어면에 격납하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차를 갖는 일 계단 높은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에 배치된 리어시트를 차량 전방의 낮은 플로어면에 격납하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일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0444 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서는 시트백 (300) 을 앞으로 쓰러뜨리고 나서 리어시트 (302) 를 전방 (도 24 의 화살표 V 방향) 으로 회전시켜 가면, 로크수단 (304) 이 시트쿠션 (306) 과 앞다리 (308) 의 결합을 로크하고 있기 때문에, 리어시트 (302) 는 앞다리 (308) 와 일체로 되어 앞다리 (308) 의 하단 핀 (310) 을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312) 가 프런트시트 (320) 의 시트쿠션 (322) 보다 하측에 도달하면, 로크해제수단 (314) 이 로크수단 (304) 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리어시트 (302) 를 상측 (도 25 의 화살표 W 방향) 으로 회전시키면서 앞다리 (308) 를 쓰러뜨려 가면, 리어시트 (302) 를 전방의 낮은 플로어면 (322) 에 격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는, 리어시트 (302) 가 앞다리 (308) 와 일체로 되어 앞다리 (308) 의 하단 핀 (310) 을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하기 때문에, 앞다리 (308) 의 길이에 따라 리어시트 (302) 격납시의 회전운동반경이결정된다. 따라서,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이 크고, 시트 격납방향의 스페이스, 예컨대 프런트시트 (320) 와 리어시트 (302) 의 간격이 좁은 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단차를 갖는 플로어면에 격납스페이스를 형성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의 일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97542 호에 나타나 있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97542 호에 나타나 있는 차체의 플로어구조에서는, 트레이 (600) 의 저벽 (600A) 외면에 스페이서 (602) 를 설치하여 스페어 타이어 팬 (604) 에 격납한 스페어 타이어 (606) 에 맞닿게 함으로써, 트레이 (600) 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형성한 가장자리 플랜지 (600B) 를 스페어 타이어 팬 (604) 주변의 후부 플로어 (608) 상에서 떨어뜨려 배치하여 가장자리 플랜지 (600B) 및 저벽 (600A) 의 휨 변형을 회피함과 동시에, 저벽 (600A) 의 진동을 억제하여 드러밍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600) 의 상부를 폐색하는 플로어보드 (610) 는, 플로어프레임 (612) 에 형성한 선반부 (612A) 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플로어보드 (610) 와 플로어트림 (614) 의 상면 (614A) 과 면일하게 정합하도록 하여 평평하게 접은 리어시트 (616) 의 배면 (616A) 에 의해, 소위 완전히 평평한 플로어면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는, 트레이 (600) 가 격납되어 있는 격납부에, 예컨대 시트백을 시트쿠션상에 접어 상하방향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리어시트 (616) 를 격납한 경우에, 격납스페이스로서의 저벽 (600A) 에서 플로어보드 (610) 까지의 상하방향의 높이는 적어도 시트백의 두께와 시트쿠션의 두께를 합한 간격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시트쿠션 및 시트백의 두께에 의거하여 저벽 (600A) 에서 플로어보드 (610) 까지의 높이를 확보한 경우, 플로어보드 (610) 보다 상부의 공간이 비교적 좁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격납부를 피복하는 플로어보드의 높이조정이 가능한 차체의 플로어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앞다리의 로크부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의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을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5-5 선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사용상태에서의 시트백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격납상태에서의 시트백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팬 앞부분 하강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팬 앞부분 하강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의 작용설명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을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을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이동수단을 나타내는 차량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21-21 선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 는 종래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격납전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5 는 종래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격납도중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커션 플레이트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격납시의 플로어보드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a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간섭부재의 사양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b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간섭부재의 사양예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플로어보드에 스페이서를 원추형 접합하는 힌지를 나타내는 상세사시도이다.
도 30a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가 사용위치에 있는 경우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b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가 사용위치에 있는 경우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a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걸림수단이 걸리지 않은 경우의 커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b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걸림수단이 걸리지 않은 경우의 커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a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가 격납위치에 있는 경우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b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가 격납위치에 있는 경우의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34 는 도 33 의 34-34 선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35 는 도 34 의 35-35 선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36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의 플로어보드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7 은 도 36 의 37-37 선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38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의 요부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9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의 플로어보드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0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의 플로어보드를 나타내는 차량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1 은 종래의 차체의 플로어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시트 12 : 리어시트쿠션
13 : 시트백 14 : 플로어
14A, 14B : 플로어면 14C, 16A : 세로벽부
18 : 스트라이커 22 : 앞다리
24 : 롤러아암 28 : 롤러
30 : 가이드레일 32, 34 : 브래킷
36 : 뒷다리 40 : 프런트시트
42 : 플로어보드 66, 70 : 풀리
74 : 와이어 80 : 스토퍼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서는,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시트의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까지 사이의 이동이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한 복합운동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시트는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한 복합운동, 예컨대 요동운동과 슬라이딩운동의 복합운동에 의해 소정 이동경로를 거쳐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1 개의 안내수단, 예컨대 링크의 요동운동만으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안내하는 경우에 비하여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서는,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시트의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까지 사이의 이동이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한 연속운동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시트는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한 연속운동, 예컨대 요동운동과 슬라이딩운동의 연속운동에 의해 소정 이동경로를 거쳐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1 개의 안내수단, 예컨대 링크의 요동운동만으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안내하는 경우에 비하여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혹은 제 2 태양에서의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시트에 착탈할 수 있도록 걸리며, 타단에서 차체에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가이드레일과,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이 시트에서 이탈되면,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어맞춰 시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시트를 격납할 때에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차체에 대하여 시트를 격납위치방향을 향해 요동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의 일단이 시트에서 이탈되면, 시트에 고정된 이동수단이 가이드레일에 걸어맞춰져서 시트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격납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1 개의 링크만으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안내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동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 자체를 요동시키기 때문에, 시트가 사용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이드레일이 방해가 되는 위치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서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안내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안내수단 중 일단에 위치하는 안내수단의 단부는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안내수단 중 타단에 위치하는 안내수단의 단부는 차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해 시트가 격납위치로 안내된다. 이 경우, 1 개의 안내수단의 요동운동만으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안내하는 경우에 비하여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시트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안내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1 개의 안내수단이 소정량 안내된 경우에, 일단이 상기 1 개의 안내수단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또다른 안내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시트는 안내수단 중 하나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시트가 소정량 안내될 때까지 또다른 안내수단이 작동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시트를 소정 이동경로를 따라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차체구조에 배치되는 시트격납장치로서, 차체의 단차는 상부, 하부 및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로 구성되고, 복수의 안내수단 중 1 개의 안내수단과 또다른 안내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벽부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벽부에 걸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는 일측 안내수단의 작동에 의해, 시트는 단차의 상부에 설정된 사용위치에서 단차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벽부에 걸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는 다른 안내수단의 작동에 의해 시트는 중간위치에서 단차의 하부인 격납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 중 하나는 일단이 시트에 연결된 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안내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의 타단이 걸리며, 또한 상기 요동수단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슬라이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격납할 때에 시트는 시트에 연결된 요동수단에 의해 사용위치에서 소정 반경의 이동경로를 따라 중간위치로 요동하고, 그 후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중간위치에서 소정 이동경로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다른 중간위치 또는 격납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1 개의 링크만으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안내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동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백 사이드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시트백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이에 연동하여 시트백 사이드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격납시에 시트백 사이드가, 예컨대 앞자리의 로어레일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트격납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팬의 앞부분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시트팬 앞부분 하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시트백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이에 연동하여 시트팬 앞부분 하강수단에 의해 시트팬의 앞부분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격납시에 시트백의 상면이 평평해진다.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를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트 리프팅용 핸들과, 이 시트 리프팅용 핸들의 사용위치로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시트의 뒷다리와 차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시트 리프팅용 핸들을 사용위치로 회전운동하면, 이 조작에 연동하여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에 의해 시트의 뒷다리와 차체의 로크가 해제되므로 격납동작을 원활하게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의 격납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시트백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면,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시트백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격납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가 예컨대 바닥부에 접촉한 경우의 헤드레스트에 고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격납할 때에 미리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트격납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2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백으로부터의 헤드레스트 높이를 낮추는 헤드레스트 이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시트백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헤드레스트 이동수단에 의해 시트백으로부터의 헤드레스트 높이가 낮아진다. 그 결과, 격납시에 헤드레스트가, 예컨대 앞자리의 시트백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트격납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3 태양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차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부 바닥면의 사용위치에서 하부 바닥면의 격납장치로 시트를 이동시키고, 격납하기 위한 시트 격납장치로서, 하부 바닥면의 상측에 위치하며, 격납위치의 시트를 덮음과 동시에 시트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는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플로어보드와, 사용위치의 시트를 차체에 지지하는 걸림수단과, 시트가 사용위치에 있으면서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플로어보드와 간섭하는 간섭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럼으로써, 차체와의 걸림수단을 해제하여 격납한 시트를 격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복귀시켰을 때, 걸림수단이 해제된 상태 그대로이면, 플로어보드는 간섭부재와 간섭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플로어보드가 소정 위치에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차체와의 걸어맞춤수단이 해제된 상태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태양에서는, 상부플로어면과, 이 상부플로어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되는 하부플로어면 및 상기 상부플로어면과 상기 하부플로어면을 연결하는 벽부를 갖는 차체구조의 상기 하부플로어면과 상기 벽부로 구성되는 수납스페이스와, 이 수납스페이스를 피복하는 플로어보드를 갖는 차체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드의 플로어면 하부로부터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정기구에 의해 하부플로어면에서 플로어보드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플로어면이 되도록 격납부를 피복하는 플로어보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4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드는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차체골격부재 사이에 올려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4 태양의 내용에 더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플로어보드를 차체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차체골격부재 사이를 격납스페이스로 할 수 있으므로, 격납스페이스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5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드는 양단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차체골격부재에 다리부를 올려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5 태양의 내용에 더하여, 다리부를 차체골격부재에 올려놓음으로써, 간단한 구성이면서 확실하게 플로어보드를 차체에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4 태양 ∼ 제 16 태양 중 어느 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납스페이스는 시트배치위치에서 전방이면서 하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4 태양 ∼ 제 16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시트를 사용할 때의 발밑에 상당하는 플로어위치의 플로어높이를 조정기구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격납할 때에 시트가 플로어보드보다 하측에 격납되기 때문에, 플로어보드보다 상부를 화물실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8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4 태양 ∼ 제 17 태양 중 어느 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수납스페이스로 안내하는 격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4 태양 ∼ 제 17 태양 중 어느 한 내용에 더하여, 격납수단에 의해 시트를 격납스페이스에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격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9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8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납수단은 적어도 2 개의 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8 태양의 내용에 더하여, 적어도 2 개의 링크에 의해 시트가 격납되기 때문에, 격납을 위한 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0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9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납수단은 2 개의 링크이고, 링크와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를 차체에 거는 걸림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로어보드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9 태양의 내용에 더하여, 연결부가 플로어보드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플로어보드가 통상의 올려놓음위치에 있는 경우로서, 또한 시트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와 시트를 연결하는 링크가 전방으로 회전이동한 경우라도 플로어보드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16 을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중 화살표 FR 은 차량 전방방향을, 화살표 IN 은 차량 내측방향을, 화살표 UP 은 차량 상측방향을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어시트 (10) 에 있어서는, 리어시트쿠션 (12) 의 후단부에 시트백 (13) 이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도 1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상태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앞으로 쓰러진 상태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어시트쿠션 (12) 은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단차를 갖는 플로어 (14) 의 일 계단 높은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14A) 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14A) 과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의 경계에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벽부 (14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세로벽부 (14C) 의 상부에는 계단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부 (16) 의 세로벽부 (16A) 에는 로크부재로서의 좌우 1 쌍의 스트라이커 (18) 가 고정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18) 의 부착부 (18A) 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볼트 등의 고정부재 (20) 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는 계단부 (16) 의 세로벽부 (16A) 에 고정되어 있다. 부착부 (18A) 에는 U 자형상으로 굴곡된 환봉부 (18B) 의 양단이 용착되어 있다. 또한, 리어시트 (10) 에 있어서 앞다리 (22) 의 양측부 (22A) 하단 근방에는 시트 외측을 향해 각각 롤러아암 (24) 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롤러아암 (24) 에서 후측 하측을 향해 L 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로크부재로서의 각 훅 (26) 이 좌우 스트라이커 (18) 의 환봉부 (18B) 에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아암 (24) 의 선단부에는 롤러 (28) 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 앞다리 (22) 에 대해 리어쿠션 (12) 은 회전운동축 (22A) 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앞다리 (22) 에 대해 리어쿠션 (12) 을 소정 이상 회전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를 설치하여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단부 (16) 와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에는 좌우 1 쌍의 가이드레일 (30) 이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레일 (30) 의 전단부 (30A) 는 브래킷 (32) 을 통해 플로어면 (14B) 에 고정되어 있고, 각 가이드레일 (30) 의 후단부 (30B) 는 브래킷 (34) 을 통해 계단부 (16) 의 세로벽부 (16A)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레일 (30) 에는 좌우 롤러 (28) 가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리어시트 (10) 에 배치된 좌우 1 쌍의 뒷다리 (36) 의 하단부 (36A) 에는 도시를 생략한 주지의 훅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뒷다리 (36) 의 하단부 (36A) 는 이들 훅기구를 통해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14A) 에 배치된 좌우 1 쌍의 스트라이커 (38) (도 1 참조) 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의 하단부 (36A) 를 스트라이커 (38) 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리어시트 (10) 를 전방으로 요동하면,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롤러아암 (24) 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고,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요동하여 도 1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도달하면, 롤러아암 (24) 에 배치된 훅 (26) 이 좌우 스트라이커 (18) 의 환봉부 (18B) 에서 빠져서 좌우 롤러 (28) 가 각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우 롤러 (28) 가 각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롤러아암 (24) 을 중심으로 더욱 전방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리어시트 (10) 는 도 1 에 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상태, 즉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격납상태로 된 리어시트 (10) 의 상부에 프런트시트 (40) 의 하측에서 차량 후방으로 연장설치된 플로어보드 (42) 가 배치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에 대하여 도 4 ∼ 도 7 을 따라 설명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백 (13) 의 시트백 사이드로서의 숄더부 (13A) 가 본체부 (13B) 에 대해 또다른 부재로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 (13) 의 본체부 (13B) 의 양측부에는 시트백 (13) 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으로서의 레일 (62) 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레일 (62) 에는 숄더부 (13A) 에 고정된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으로서의 가이드 (64) 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져 있다. 레일 (62) 의 상측에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으로서의 풀리 (66)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풀리 (66) 는 축 (68) 에 의해 도시를 생략한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한편, 레일 (62) 의 하측에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으로서의 풀리 (70)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풀리 (70) 는 시트쿠션 (12) 에 부착되어 회전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풀리 (66) 와 풀리 (70) 에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으로서의 와이어 (74) 가 걸쳐져 있으며, 와이어 (74) 의 양단은 각각 풀리 (70) 의 원주 (70A,70B) 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리 (66) 와 풀리 (70)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진 와이어 (74) 중 시트백 (13) 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 와이어 (74A) 는 가이드 (64) 에 형성된 구멍 (65) 의 내측에 코킹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 (72) 은 시트백 (13) 의 전후방향으로의 요동축으로 되어 있으며, 풀리 (70) 를 관통하여 도시를 생략한 시트백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축 (72) 에 고정된 래치 (76) 에는 조작노브 (78) 에 의해 요동가능해진 스토퍼 (80) 가 걸어맞춰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노브 (78) 에 의해 스토퍼 (80) 를 후방으로 요동하여 스토퍼 (80) 와 래치 (76)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시트백 (13) 은 전방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며, 시트백 (13) 을 전방으로 요동하면, 와이어 (74) 의 후측 (74A) 이 하측 (도 4 의 화살표 H 방향) 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가이드 (64) 와 함께 숄더부 (13A) 가 풀리 (70) 측, 즉 시트백 (13) 과 시트쿠션 (12) 의 연결부측 (도 4 의 화살표 H 방향) 으로 이동하여,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 (13) 이 시트쿠션 (12) 상에 앞으로 쓰러진 상태로 되면, 숄더부 (13A) 가 본체부 (13B) 의 양측부 하단 근방에 도달하며, 리어시트 (10) 를 격납위치로 격납하였을 때에 프런트시트 (40) 의 슬라이드 로어레일 (82) 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된다.
이어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팬 앞부분 하강수단에 대하여 도 8 및 도 9 를 따라 설명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백 (13) 의 양측 하부에 배치된 좌우 플레이트 (84) 의 시트 내측면 (84A) 에 브래킷 (86) 을 통해 와이어 (88) 의 후단부 (88A) 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와이어 (88) 의 중간부는 시트쿠션 (12) 의 양측 후부에 배치된 좌우 플레이트 (90) 의 시트 내측면 (90A) 에 배치한 와이어 가이드 풀리 (92) 및 시트쿠션 프레임 (94) 의 좌우 양후단부 (94A) 근방에 배치한 와이어 가이드 브래킷 (96) 을 통해 시트 전방에 이르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 (84) 는 플레이트 (90) 에 대해 도시를 생략한 리클라이닝기구에 의해 축 (98) 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백 (13) 을 시트쿠션 (12) 상으로 앞으로 쓰러뜨리면, 와이어 (88) 의 후단부 (88A) 가 플레이트 (84) 와 함께 축 (98) 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와이어 (88) 의 중간부는 와이어 가이드 풀리 (92) 및 와이어 가이드 브래킷 (96) 을 통해 시트 후방 (도 8 의 화살표 A 방향) 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와이어 (88) 의 전단부 (88B) 는 각각 링크 (100) 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링크 (100) 의 하단부(100A) 는 시트쿠션 프레임 (94) 의 앞부분 (94B) 의 양단부 근방에 고정된 브래킷 (102) 의 하단부에 축 (104) 에 의해 요동할 수 있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축 (104) 에는 스프링 (105) 이 감겨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 (105) 에 의해 링크 (100) 는 축 (104) 을 중심으로 전방 (도 9 의 화살표 B 방향) 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각 링크 (100) 의 상단부 (100B) 에는 롤러 (106)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롤러 (106) 가 시트쿠션 프레임 (94) 의 앞부분 상측에 배치된 시트팬 (108) 의 앞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팬 (108) 의 앞부분에는 하측을 향해 사다리꼴형상으로 돌출한 오목부 (110) 가 좌우 1 쌍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오목부 (110) 저부의 하면에 롤러 (106) 가 맞닿아 있다. 시트팬 (108) 의 후단 양측부 (108A) 에는 베어링 (112) 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베어링 (112) 에 삽입된 축 (114) 에 의해 시트팬 (108) 은 시트쿠션 프레임 (94) 의 양측부 (94C) 에 고정된 시트팬 브래킷 (95) 에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88) 의 전단부 (88B) 가 후방 (화살표 A 방향) 으로 이동하고, 링크 (100) 와 함께 롤러 (106) 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롤러 (106) 가 오목부 (110) 의 저부에서 빠지면, 시트팬 (108) 은 축 (114) 을 중심으로 하측 (도 9 의 화살표 C 방향) 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88) 의 전단부 (88B) 가 전방 (화살표 A 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이동하고, 스프링 (105)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링크 (100) 와 함께 롤러 (106) 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롤러 (106) 가 오목부 (110) 의 저부로 되돌아가면, 시트팬 (108) 은 축 (114) 을 중심으로 상측 (도 8 의 화살표 C 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의 부호 116 은 와이어 가이드 브래킷을 나타낸다.
이어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에 대하여 도 10 ∼ 도 13 을 따라 설명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쿠션 프레임 (120) 의 후부 중앙에 시트 리프팅용 핸들을 겸한 로크해제핸들 (122) 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핸들 (122) 의 양단부 (122A) 는 축 (124) 에 의해 시트쿠션 프레임 (120) 에 고정된 브래킷 (126,128) 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해제핸들 (122) 은 코일스프링 (130) 에 의해 시트쿠션 프레임 (120) 에 연결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 (130)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격납위치 (도 10 의 위치)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브래킷 (126) 의 상단부에는 링크 (132) 의 상단부가 축 (134) 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으며, 링크 (132) 의 하단부에는 와이어 (136) 의 일측 단부 (136A) 가 연결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136) 의 타측 단부는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에 배치된 주지의 로크기구 (138) 에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 (136) 가 이동함으로써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에 배치된 로크기구 (138) 가 해제되어 뒷다리 (36) 가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에 설치한 스트라이커 (도시생략) 에서 빠지도록 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132) 의 중간부는 코일스프링 (140) 에 의해 브래킷 (126) 에 연결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 (140)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링크 (132) 의 하단부에는 로크해제핸들 (122) 측을 향해 핀 (141) 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핸들 (122) 의 측면 (122B) 에는 측면 (122B)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142)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 (142) 내에는 캠 (144) 의 다리부 (144A) 가 삽입되어 있다. 이 다리부 (144A) 와 오목부 (142) 의 상벽부 (142A)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146) 이 삽입되어 있으며, 캠 (144) 을 하측 (도 12 의 화살표 D 방향) 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캠 (144) 의 본체부 (144B) 는 오목부 (142) 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보아 전단 하부에 경사면 (144C) 을 갖는 사다리꼴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핸들 (122) 을 축 (124) 을 중심으로 후방 (도 13 의 화살표 E 방향) 으로 요동하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의 후벽부에 맞닿은 핀 (141) 이 축 (134) 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요동하고, 와이어 (136) 의 단부 (136A) 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에 배치된 로크기구 (138) 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로크해제핸들 (122) 을 축 (124) 을 중심으로 후방 (도 13 의 화살표 E 방향) 으로 요동하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의 회전중심 (Q1) 이 핀 (141) 의 회전중심 (Q2) 과 다르기 때문에, 로크해제핸들 (122) 이 소정 회전각 (θ) 에 도달하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와 핀 (141) 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링크 (132) 가 코일스프링(140)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크해제핸들 (122) 을 프리로 하면, 코일스프링 (130)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격납위치 (도 10 의 위치) 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핀 (141) 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의 경사면 (144C) 에 맞닿고, 캠 (144) 이 코일스프링 (146)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핀 (141) 이 캠 (144) 의 본체부 (144B) 를 타고 넘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에 대하여 도 14 ∼ 도 16 을 따라 설명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레스트 (150) 의 내부에 브래킷 (152) 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 (152) 은 시트백 (13) 에서 연장되는 스테이 (154) 에 전방 (도 14 의 화살표 F 방향) 및 후방 (도 14 의 화살표 G 방향) 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 (152) 의 양측벽부 (152A) 에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구멍 (156)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구멍 (156) 에는 롤러 (158) 의 양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축부 (158A) 가 요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일측 가이드구멍 (156) 의 하단부에는 롤러 (158) 를 부착하기 위한 작업구멍 (16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 (158) 를 설치한 후에 스테이 (154) 를 부착함으로써, 스테이 (154) 부착후에 작업구멍 (160) 에서 롤러 (158) 가 빠져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 (154) 의 상부 (154A) 와 브래킷 (152) 의 후벽부 (152B) 는코일스프링 (162) 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 (162) 에 의해 스테이 (154) 에 대하여 브래킷 (152) 이 전방 (도 15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통상의 사용상태 (시트백 (13) 이 서 있는 상태) 에서는 롤러 (158) 가 자체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스테이 (154) 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헤드레스트 (150) 로부터의 입력을 브래킷 (152), 롤러 (158) 를 통해 스테이 (154) 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어시트 (10) 를 격납할 때에 시트백 (13) 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158) 가 자체 무게에 의해 가이드구멍 (156) 을 따라 앞측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테이 (154) 의 상부 (154A) 에서 빠지면, 브래킷 (152) 및 헤드레스트 (150) 가 도 16 의 이점쇄선의 위치에서 상측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150) 는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에 접촉하면, 도 16 의 이점쇄선의 위치에서 도 16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시트백 (13) 을 사용위치로 되돌리면, 이 코일스프링 (162) 에 의해 스테이 (154) 에 대하여 브래킷 (152) 이 전방 (도 15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요동함과 동시에,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158) 가 자체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테이 (154) 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 (154) 의 상단부 (154A) 근방은 롤러 (158) 가 걸리지 않도록 차량 후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 1 실시형태에는 도 1 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 (13) 을 시트쿠션 (12) 상에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의 양하단부 (36A) 를 스트라이커 (38) 에서 분리하고, 리어시트 (10) 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롤러아암 (24) 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한다.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요동하여 도 1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도달하면, 롤러아암 (24) 에 배치된 훅 (26) 이 좌우 스트라이커 (18) 의 환봉부 (18B) 에서 빠져서 좌우 롤러 (28) 가 각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좌우 롤러 (28) 가 각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롤러아암 (24) 을 중심으로 더욱 전방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리어시트 (10) 는 도 1 에 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상태, 즉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상으로 이동한다.
즉,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10) 를 도 1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위치에서 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안내할 때에,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까지 사이의 이동을, 앞다리 (22) 에 의한 요동과 가이드레일 (30) 에 의한 슬라이딩으로 실시한다. 그 결과,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다리의 요동만으로 차체에 대해 시트를 격납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성에 비하여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리어시트 (10) 를 격납방향으로 요동시킬 때에 가이드레일 (30) 과 앞다리 (22) 의 각도가 소정값으로 될 때까지는 훅 (26) 과스트라이커 (18) 에 의해 가이드레일 (30) 에 대한 앞다리 (22) 의 슬라이딩이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에 대하여 리어시트 (10) 를 원하는 격납방향으로 확실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즉, 앞다리 (22) 와 가이드레일 (30) 의 연속운동에 의해 리어시트 (10) 를 격납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가이드레일 (30) 과 앞다리 (22) 의 각도가 소정값으로 되면 슬라이딩 로크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리어시트 (10) 가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격납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격납조작성이 좋다. 또한, 가이드레일 (30) 과 앞다리 (22) 의 각도가 소정값으로 되기 전에 가이드레일 (30) 에 대하여 앞다리 (22) 가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앞다리 (22) 와 가이드레일 (30) 의 복합운동에 의해 리어시트 (10) 를 격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노브 (78) 를 조작해서 스토퍼 (80) 를 후방으로 요동하여 스토퍼 (80) 와 래치 (76) 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상태에서 시트백 (13) 을 전방으로 요동하면, 후측 와이어 (74A) 가 풀리 (70) 측 (도 4 의 화살표 H 방향) 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가이드 (64) 와 함께 숄더부 (13A) 가 풀리 (70) 측 (도 4 의 화살표 H 방향) 으로 이동하여,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 (13) 이 시트쿠션 (12) 상에 앞으로 쓰러진 상태로 되면, 숄더부 (13A) 가 본체부 (13B) 의 양측부 하단 근방에 도달한다. 그 결과, 리어시트 (10) 를 격납위치에 격납하였을 때에 숄더부 (13A) 가 프런트시트 (40) 의 슬라이드 로어레일 (82) 에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 (13) 을시트쿠션 (12) 상에 앞으로 쓰러뜨리면, 와이어 (88) 의 후단부 (88A) 가 플레이트 (84) 와 함께 축 (98) 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와이어 (88) 의 중간부는 와이어 가이드 풀리 (92) 및 와이어 가이드 브래킷 (96) 을 통해 시트 후방 (도 8 의 화살표 A 방향) 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88) 의 전단부 (88B) 가 후방 (화살표 A 방향) 으로 이동하고, 링크 (100) 와 함께 롤러 (106) 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롤러 (106) 가 오목부 (110) 의 저부에서 빠지면, 시트팬 (108) 은 축 (114) 을 중심으로 하측 (도 9 의 화살표 C 방향) 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시트백 (13) 을 시트쿠션 (12) 상에 앞으로 쓰러뜨린 경우에 시트백 (13) 의 이면측의 높이, 즉 리어시트 (10) 의 높이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격납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시트백 (13) 을 일으킨 경우에는, 와이어 (88) 의 전단부 (88B) 가 전방 (화살표 A 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이동하고, 스프링 (105)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링크 (100) 와 함께 롤러 (106) 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롤러 (106) 가 오목부 (110) 의 저부로 되돌아가고, 시트팬 (108) 은 축 (114) 을 중심으로 상측 (도 9 의 화살표 C 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요동한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해제핸들 (122) 을 축 (124) 을 중심으로 후방 (도 13 의 화살표 E 방향) 으로 요동하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의 후벽부에 맞닿은 핀 (141) 이 축 (134) 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요동하여 와이어 (136) 의 단부 (136A) 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에 배치된 로크기구 (138) 가 해제되기 때문에,리어시트 (10) 의 격납동작을 원활하게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해제핸들 (122) 을 축 (124) 을 중심으로 후방 (도 13 의 화살표 E 방향) 으로 요동하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의 회전중심 (Q1) 이 핀 (141) 의 회전중심 (Q2) 과 다르기 때문에, 로크해제핸들 (122) 이 소정 회전각 (θ) 에 도달하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와 핀 (141) 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코일스프링 (140)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로크해제핸들 (122) 은 프리로 되면, 코일스트링 (130)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격납위치 (도 10 의 위치) 로 되돌아간다. 이 때, 핀 (141) 이 캠 (144) 의 본체부 (144B) 의 경사면 (144C) 에 맞닿고, 캠 (144) 이 코일스프링 (146)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핀 (141) 이 캠 (144) 의 본체부 (144B) 를 타고 넘을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사용상태 (시트백 (13) 이 서 있는 상태) 에서는 롤러 (158) 가 자체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스테이 (154) 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헤드레스트 (150) 로부터의 입력을 브래킷 (152), 롤러 (158) 를 통해 스테이 (154) 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리어시트 (10) 를 격납할 때에 시트백 (13) 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158) 가 자체 무게에 의해 가이드구멍 (156) 을 따라 앞측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테이 (154) 의 하측에서 빠지면, 브래킷 (152) 및 헤드레스트 (150) 가 도 16 의 이점쇄선의 위치에서 상측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헤드레스트 (150) 는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에 눌리게 되면, 도 16 의 이점쇄선의 위치에서 도 16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150) 를 사용할 때의 각도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격납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백 (13) 을 사용위치로 되돌리면, 이 코일스프링 (162) 에 의해 스테이 (154) 에 대하여 브래킷 (152) 이 전방 (도 15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요동함과 동시에,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158) 가 자체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테이 (154) 에 맞닿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에 대해 도 17 ∼ 도 19 를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레스트 (150) 의 내부에 브래킷 (152) 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 (152) 은 시트백 (13) 에서 연장되는 스테이 (154) 에 전방 (도 17 의 화살표 F 방향) 및 후방 (도 17 의 화살표 G 방향) 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 (152) 의 양측벽부 (152A) 에는 구멍 (164)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 (164) 에는 파울 (166) 의 양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축 (168) 이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사용상태 (시트백 (13) 이 서 있는 상태) 에서는 파울 (166) 의 중심 (166A) 이 회전축으로 되는 축 (168) 보다후방에 있기 때문에, 파울 (166) 이 자체 무게에 의해 후방으로 쓰러져서 스테이 (154) 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헤드레스트 (150) 로부터의 입력을 브래킷 (152), 파울 (166) 을 통해 스테이 (154) 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어시트 (10) 를 격납할 때에 시트백 (13) 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울 (166) 의 중심 (166A) 이 회전축으로 되는 축 (168) 보다 전방으로 되기 때문에, 파울 (166) 이 자체 무게에 의해 전방으로 쓰러진다. 그 결과, 브래킷 (152) 및 헤드레스트 (150) 가 상측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며, 헤드레스트 (150) 는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에 눌려지면, 도 19 의 이점쇄선의 위치에서 도 19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백 (13) 을 사용위치로 되돌리면, 이 코일스프링 (162) 에 의해 스테이 (154) 에 대하여 브래킷 (152) 이 전방 (도 18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요동함과 동시에,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울 (166) 이 자체 무게에 의해 후방으로 쓰러져서 스테이 (154) 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2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사용상태 (시트백 (13) 이 서 있는 상태) 에서는 파울 (166) 의 중심 (166A) 이 회전축으로 되는 축 (168) 보다 후방에 있기 때문에, 파울 (166) 이 자체 무게에 의해 후방으로 쓰러져서 스테이 (154) 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헤드레스트 (150) 로부터의 입력을 브래킷 (152), 파울 (166) 을 통해 스테이 (154) 로 전할 수 있다.
또한, 리어시트 (10) 를 격납할 때에 시트백 (13) 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울 (166) 의 중심 (166A) 이 회전축으로 되는 축 (168) 보다 전방으로 되기 때문에, 파울 (166) 이 자체 무게에 의해 전방으로 쓰러진다. 그 결과, 브래킷 (152) 및 헤드레스트 (150) 가 상측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며, 헤드레스트 (150) 는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에 접촉하여도 도 19 의 이점쇄선의 위치에서 도 19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150) 를 사용할 때의 각도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격납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백 (13) 을 사용위치로 되돌리면, 이 코일스프링 (162) 에 의해 스테이 (154) 에 대하여 브래킷 (152) 이 전방 (도 18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요동함과 동시에,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울 (166) 이 자체 무게에 의해 후방으로 쓰러져서 스테이 (154) 에 맞닿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레스트 이동수단에 대하여 도 20 및 도 21 을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레스트 (150) 의 스테이 (154) 가 시트백 (13) 의 상부에 배치된 헤드레스트 로크장치 (170) 에 끼워 통해져 있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로크장치 (170) 의 베이스 (172) 의 상벽부 (172A) 에는 스테이 (154) 가 끼워 통해진 구멍 (174) 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172) 의 측벽부 (172B) 에는 플랜지 (17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 (176) 에는 로크해제버튼 (178) 이 베이스 (172) 의 내측 (도 21 의 화살표 K 방향) 및 외측 (도 21 의 화살표 L 방향) 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로크해제버튼 (178) 의 내측 단부 (178A) 에는 와이어 (180) 의 일측 단부 (180A) 가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 (180) 의 중간부는 베이스 (172) 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 (172C) 의 구멍 (182) 을 통과하고 있다. 와이어 (180) 의 중간부의 외주부에는 가이드부 (172C) 와 로크해제버튼 (178) 사이에 코일스프링 (184) 이 삽입되어 있으며, 로크해제버튼 (178) 을 베이스 (172) 의 외측 (도 21 의 화살표 L 방향) 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로크해제버튼 (178) 의 내측 단부 (178A) 에는 볼록부 (178B)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부 (178B) 가 스테이 (154) 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로크홈 (190) 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150) 의 스테이 (154) 의 하단부에는 와이어 (186) 의 일측 단부 (186A) 가 고정되어 있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180) 의 타측 단부와 와이어 (186) 의 타측 단부는 1 개의 와이어 (188) 에 연결되며, 이 와이어 (188) 는 풀리 등의 가이드수단 (191) 을 통해 시트백 어저스터 (190) 에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시트백 (13) 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시트백 어저스터 (190) 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188) 가 감겨 올려지며, 와이어 (180), 와이어 (186) 가 각각 하측 (도 20 의 화살표 M 방향) 으로 잡아당겨지게 되어 있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180) 의 중간부에는 신축부 (180B)가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186) 의 중간부에는 신축부 (186B)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 (180) 가 화살표 M 방향으로 이동하고, 로크해제버튼 (178) 이 코일스프링 (184)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K 방향으로 이동하고, 로크해제버튼 (178) 의 볼록부 (178B) 가 스테이 (154) 의 로크홈 (190) 에서 빠짐과 동시에 와이어 (186) 가 화살표 M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테이 (154) 를 낮추게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3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20 에 화살표 S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 (13) 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시트백 어저스터 (190) 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188) 가 감겨 올려지며, 와이어 (180), 와이어 (186) 가 각각 하측 (도 20 의 화살표 M 방향) 으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와이어 (180) 가 화살표 M 방향으로 이동하고, 로크해제버튼 (178) 이 코일스프링 (184)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도 21 의 화살표 K 방향으로 이동하고, 로크해제버튼 (178) 의 볼록부 (178B) 가 스테이 (154) 의 로크홈 (190) 에서 빠짐과 동시에 와이어 (186) 가 화살표 M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테이 (154) 를 낮춘다. 따라서, 도 20 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150) 가 시트백 (13) 에 접근한 위치로 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150) 를 사용할 때의 위치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격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22 를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설명을 생략한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롤러아암 (194) 이 시트쿠션 (12) 의 양측벽부 (12A) 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고, 각 가이드레일 (30) 의 후단부 (30B) 에는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설치부 (30C) 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설치부 (30C) 의 전단부에는 개구부 (30D) 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전방으로 요동하여 리어시트 (10) 가 격납방향으로 소정각 요동하면, 이들 개구부 (30D) 를 통해 롤러아암 (194) 의 선단에 설치한 이동수단으로서의 좌우 가이드롤러 (196) 가 가이드레일 (30) 내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다리 (22) 의 하부 (22B) 양단부 근방에는 시트 외측을 향해 각각 후방 하측을 향해 L 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시트지지부재로서의 훅 (197)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훅 (197) 이 계단부 (16) 의 세로벽부 (16A) 에 배치된 시트지지부재로서의 좌우 1 쌍의 스트라이커 (198) 의 환봉부 (198A) 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4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의 양하단부 (36A) 를 스트라이커 (도시생략) 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리어시트 (10) 를 전방으로 이동하면,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스트라이커 (198) 의 환봉부 (198A) 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요동한다.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요동하여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앞다리 (22) 에배치된 훅 (197) 이 좌우 스트라이커 (198) 의 환봉부 (198A) 에서 빠지고, 롤러아암 (194) 에 설치된 가이드롤러 (196) 가 개구부 (30D) 를 통해 가이드레일 (30) 내로 들어가서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좌우 가이드롤러 (196) 가 각 가이드레일 (30)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2) 는 상단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요동하고, 리어시트 (10) 는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다리의 요동만으로 차체에 대해 시트를 격납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성에 비하여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23 을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롤러아암 (194) 이 시트쿠션 (12) 의 양측벽부 (12A) 의 중간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설치되어 있으며, 롤러아암 (194) 의 하단부의 시트 외측면에 가이드롤러 (196) 가 지지되어 있다.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00) 는 좌우 1 쌍의 가이드레일 (201) 과, 이들 가이드레일 (201) 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2 개의 축 (202,203) 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 (202) 은 플로어 세로벽부 (14C) 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좌우 1 쌍의 베어링 (212) 에 축지지되어 있으며, 도 23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상의사용위치와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앞다리 (200) 의 축 (202) 의 양단부 근방에는 각각 시트지지부재로서의 단면이 원호형상인 훅 (204) 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훅 (204) 에는 시트쿠션 (12) 의 전단 하부에 배치된 U 자형상의 시트지지부재로서의 시트라이커 (206) 가 걸어맞춰져 있다. 좌우 1 쌍의 가이드레일 (201) 의 내측부에는 슬릿 (218) 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 (218) 은 가이드레일 (201) 의 축 (202) 이 고정된 단부에서 중앙부에 이르고 있다. 또한, 슬릿 (218) 의 단부는 가이드레일 (201) 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절결 (220) 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00) 가 전방 (도 23 의 화살표 T 방향) 으로 요동하여 리어시트 (10) 가 격납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하면, 축 (202) 에 설치한 훅 (204) 과 스트라이커 (206) 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가이드롤러 (196) 가 개구부 (220) 를 통해 각 가이드레일 (201) 내로 들어간다. 그 결과, 앞다리 (200) 가 전방 (도 23 의 화살표 U 방향) 으로 요동하고, 각 훅 (204) 이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과 맞닿음과 동시에 가이드롤러 (196) 가 각 가이드레일 (201)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리어시트 (10) 가 도 23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5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의 양하단부 (36A) 를 스트라이커 (도시생략) 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리어시트 (10) 를 앞방향으로 이동하면,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00) 가 축 (203)을 중심으로 전방 (도 23 의 화살표 T 방향) 으로 요동한다.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00) 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요동하여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축 (202) 에 배치된 훅 (204) 이 리어시트 (10) 의 스트라이커 (206) 에서 빠지고, 롤러아암 (194) 에 설치된 가이드롤러 (196) 가 절결 (220) 을 통해 가이드레일 (201) 내로 들어가서 슬릿 (218)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좌우 가이드롤러 (196) 가 각 가이드레일 (201) 의 슬릿 (218)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200) 는 축 (203) 을 중심으로 전방 (도 23 의 화살표 U 방향) 으로 요동하고, 리어시트 (10) 는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다리의 요동만으로 차체에 대해 시트를 격납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성에 비하여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앞다리 (200) 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 (201) 자체를 요동시키기 때문에, 리어시트 (10) 가 사용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이드레일이 방해가 되는 위치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차량격납장치의 제 6 실시형태를 도 26 ∼ 도 32b 를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보다 상측에는 분리할 수 있는 플로어보드 (42) 가 올려놓여지고,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널 (430) 상에 배치되는 가니쉬(431) 와 로커 (440) 상에 배치되는 스커프 플레이트 (441)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플로어보드 (42) 는,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니쉬 (431) 및 스커프 플레이트 (441) 에 형성되는 단차부 (432,442) 에 올려놓여진다. 그리고, 플로어보드 (42) 의 차량전후방향 후단부는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460) 와 간섭하는 단부에 절결 (490) 을 가지며 또한 후벽부 (14C) 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차폭방향 양단부의 측면에는, 예컨대 색이 들어간 플레이트를 붙여 형성되는 커션 플레이트 (470) 를 갖고 있다.
단, 커션 플레이트 (470) 는 차폭방향 외측에만 설치하여도 되고, 또한 플로어보드 (42) 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니쉬 (431) 와 스커프 플레이트 (441) 중 어느 일측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플로어보드 (42) 이면의 차폭방향 양단부에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스페이서 (421) 와 아우터스페이서 (422) 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420) 가 부착되어 있으며, 도 30 의 접혀진 상태에서 도 32 의 기립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450) 에 의해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니쉬 (431) 및 스커프 플레이트 (441) 에는 각각 스페이서 (420) 와 걸어맞추기 위한 오목부 (433,443)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너스페이서 (421) 와 가니쉬 (431) 및 아우터스페이서 (422) 와 스커프 플레이트 (441) 가 걸어맞춰질 수 있게 된다.
힌지 (450) 는,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어퍼 (451) 와 힌지로어(452) 로 구성되고, 힌지로어 (452) 가 제 1 면 (452A) 과 제 2 면 (452B) 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L 자형을 이루는 점에서 대략 ㄷ 자형을 띤다. 그리고 도 3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어퍼 (451) 가 플로어보드 (42) 에 고정되고, 힌지어퍼 (451) 와 원추형 접합하고 있는 힌지로어 (452) 의 제 1 면 (452A) 이 스페이서 (420) 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420) 를 기립시키면, 힌지로어 (452) 의 제 1 면 (452A) 은 힌지어퍼 (451) 와 포개지고, 제 2 면 (452B) 은 플로어보드 (42) 의 측면을 덮는다. 이 때, 커션 플레이트 (470) 가 제 2 면 (452B) 에 덮이도록 스페이서 (420) 와 커션 플레이트 (470) 의 위치는 대응하고 있다.
또한, 종래예인 도 24 및 도 25 와 마찬가지로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460) 는 제 1 링크 (461) 와 제 2 링크 (462) 로 구성되며, 제 1 링크 (461) 와 제 2 링크 (462) 를 연결하는 연결부 (463) 에는 훅 (412) 이 설치된다.
그리고, 훅 (412) 은 스트라이커 (411) 에 걸리고,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는 제 1 실시형태인 도 1 과 마찬가지로 스트라이커 (38) 에 의해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72) 에 걸려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 (461) 에는 플로어보드 (42) 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량 전후방향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 (480) 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480) 는, 예컨대 도 28b 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즉 도 28b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보다 전방에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460) 가 위치하는 경우, 플로어보드 (42) 와 간섭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6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를 격납할 때에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36) 의 하단부 (36A) 를 스트라이커 (38) 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도 1 참조), 제 1 링크 (461) 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로커 (440) 를 해제한다. 그리고, 리어시트 (10) 의 격납동작에 따라 제 1 링크 (461) 및 제 2 링크 (462) 가 각각 요동함으로써, 리어시트 (10) 는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14B) 상에 격납된다.
격납된 리어시트 (10) 는 플로어보드 (42) 로 덮이고,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스페이서 (421) 를 가니쉬 (431) 의 오목부 (433) 에 걸어맞추고, 아우터스페이서 (422) 를 스커프 플레이트 (441) 의 오목부 (443) 에 걸어맞춘다.
따라서, 플로어보드 (42) 가 차량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상측으로 경사지며, 플로어보드 (42) 와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14A) 에서 연속된 플로어가 형성된다.
리어시트 (10) 를 격납위치에서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14A) 상의 사용위치로 복귀시킬 때에는, 제 1 링크 (461) 및 제 2 링크 (462) 를 각각 요동시키면, 도 28a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 (412) 과 스트라이커 (411) 가 걸어맞춰져서 리어시트 (10) 의 앞다리 (460) 는 세로벽부 (14C) 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420) 을 접어 플로어보드 (42) 를 단차 (432 (도시생략),442) 에 올려놓는다.
이 때, 스트라이커 (411) 와 훅 (412) 이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라면, 훅 (412) 이 스트라이커 (411) 에 간섭하여 로크 (410) 가 전방으로 밀어내지기 때문에, 올려놓여진 플로어보드 (42) 는 도 28b 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돌기 (480) 와 간섭한다.
따라서, 플로어보드 (42) 는 도 28b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올려놓여지지 않고, 상측으로 밀어내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42) 는 돌기 (480) 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져서 플로어보드 (42) 의 측면에 설치한 커션 플레이트 (470) 가 스커프 플레이트 (441) 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스트라이커 (411) 와 훅 (412) 이 걸어맞춰지지 않은 경우에는, 플로어보드 (42) 가 사용위치에 설정될 수 없다는 점에서 스트라이커 (411) 와 훅 (412) 이 걸어맞춰지지 않은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라이커 (411) 와 훅 (412) 이 걸어맞춰지지 않은 것을 커션 플레이트 (470) 를 육안으로 봄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 6 실시형태의 격납시트장치는, 상기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레그가 아니라 플로어보드에 간섭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격납하는 시트는 리어시트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의 제 7 실시형태를 도 33 ∼ 도 38 을 따라 설명한다.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어시트 (10) 에 있어서는 시트쿠션 (12) 의 후단부에 시트백 (13) 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시트백 (13) 은 도 33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상태와, 시트쿠션 (12) 상에 앞으로쓰러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쿠션 (12) 은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단차를 갖는 플로어 (514) 의 일 계단 높은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514A)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514A) 과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514B) 의 경계에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벽부 (514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세로벽부 (514C) 의 상부에는 걸림수단으로서의 스트라이커 (518) 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 515 는 플로어 카펫을 나타낸다.
리어시트 (10) 에 있어서의 앞다리 상부를 구성하는 격납수단으로서의 좌우 제 1 링크 (522) 는 리어시트 (10) 의 전단 하부에 축 (521)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제 1 링크 (522) 의 하단부에는 각각 걸림수단으로서의 훅 (526) 이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훅 (526) 은 스트라이커 (518) 에 각각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링크 (522) 의 하단부에는 각각 앞다리 하부를 구성하는 격납수단으로서의 제 2 링크 (530) 의 상단부가 연결부로서의 축 (532)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링크 (530) 에 대하여 제 1 링크 (522) 가 축 (532) 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로어면 (514B) 의 세로벽부 (514C) 에서 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는 좌우 1 쌍의 브래킷 (534) 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브래킷 (534) 에는 좌우 제 2 링크 (530) 의 하단부가 축 (536) 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리어시트 (10) 에 배치된 좌우 1 쌍의 접을 수 있는 뒷다리 (537) 에는 도시를 생략한 주지의 인터로크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뒷다리 (537) 는 이들 인터로크기구를 통해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514A) 에 배치된 좌우 1 쌍의 스트라이커 (538) 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537) 를 스트라이커 (538) 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리어시트 (10) 의 후부를 약간 들어올려 리어시트 (10) 전체를 전방으로 회전하면, 리어시트 (10) 의 제 1 링크 (522) 가 축 (532) 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리어시트 (10) 의 제 1 링크 (522) 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훅 (526) 이 스트라이커 (518) 에서 빠져서 제 2 링크 (530) 가 축 (536) 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링크 (530) 가 축 (536) 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리어시트 (10) 의 제 1 링크 (522) 가 축 (532) 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리어시트 (10) 는 도 33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상태, 즉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514B) 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납상태로 된 리어시트 (10) 의 상부에 프런트시트 (40) 의 후부 하측에서 차량 후방으로 연장설치된 플로어보드 (542)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는 좌우 2 개의 리어시트에 대응하여 2 개 배치되어 있으며, 단차를 갖는 플로어 (514) 의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514B) 에 형성되는 리어시트의 수납스페이스를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의 차폭방향 면단부의 하면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 (542A,542B,542C) 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플로어보드 (542) 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상의 올려놓음위치 (하측 위치) 에 있는 경우에는, 다리부 (542A,542B) 와 다리부 (542C) 가 각각 차체 전후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차체골격부재로서의 터널부 (544) 와 로커 (546) 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부호 545 는 스커프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부호 547 은 로커이너패널을 나타낸다.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폭방향 외측의 다리부 (542C) 의 앞부분에는 하측에서 반원형상으로 된 조정기구로서의 오목부 (548)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 (548) 의 후측에는 하측에서 오목부 (548) 보다 깊게 선단부가 반원형상으로 된 조정기구로서의 오목부 (55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폭방향 내측의 다리부 (542A) 의 앞부분에도 마찬가지로 오목부 (548) 와 오목부 (55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널부 (544) 의 상부에는 브래킷 (552) 을 통해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정기구로서의 지지봉 (554) 이 배치되어 있고, 좌우 로커 (546) 의 상측이 되는 센서필러 (556) 의 하부에서는 차폭방향 내측을 향해 조정기구로서의 지지핀 (558) 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봉 (554) 의 후측이 되는 부위에는 조정기구로서의 지지브래킷 (560) 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브래킷 (560) 은 플로어 (514) 의 세로벽부 (514C) 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35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C) 에 형성한 깊은 측의 각 오목부 (550) 를 지지봉 (554) 또는 지지핀 (558) 에 걸어맞추면, 플로어보드 (542) 는 도 35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상의 올려놓음위치로 된다. 한편, 도 35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C) 에 형성한 얕은 측의 오목부 (548) 를 지지봉 (554) 또는 지지핀 (558) 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 의 후단부 (542D) 를 지지브래킷 (560) 에 걸면, 플로어보드 (542) 는 도 35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시트를 격납할 수 있는 위치 (상측 위치) 로 된다.
그리고, 도 33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가 통상의 올려놓음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링크 (530) 와 제 1 링크 (522) 의 연결부로 되는 축 (532) 의 위치가 플로어보드 (542) 보다 상측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의 전단부 (542E) 는 평행하게 배치된 프런트시트 로어레일 (564) 의 대략 전후방향 중간부에 가로놓여진 지지바 (566) 상에 올려놓여져 있고, 플로어보드 (542) 의 후단부 (542F) 의 차폭방향 중앙부에는 스트랩 (568) 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의 후단부 (542F) 의 하면측에는 하측을 향해 위치결정핀 (570) 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이 핀 (570) 을 플로어 (514) 의 차량 후방의 플로어면 (514A) 및 세로벽부 (514C) 를 피복하는 플로어 가니쉬 (572) 상하의 각 계단부 (572A,572B) 에 각각 형성된 부착구멍 (574,576) 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제 7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리어시트 (10) 를 격납하지 않는 통상의 올려놓음위치에서는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C) 에 형성한 깊은 측의 오목부(550) 가 지지봉 (554) 또는 지지핀 (558) 에 걸어맞춰져 있고, 도 34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에 형성한 다리부 (542A,542B) 와 다리부 (542C) 가 각각 터널부 (554) 와 로커 (546) 에 올려놓여져 있다.
한편,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C) 에 형성한 얕은 측의 각 오목부 (548) 를 지지봉 (554) 또는 지지핀 (558) 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 의 후단부 (542D) 를 지지브래킷 (560) 에 걸면, 플로어보드 (542) 는 도 35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시트를 격납할 수 있는 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에서는, 플로어면 (514B) 에서 플로어보드 (542) 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플로어면이 되도록 플로어보드 (542) 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에서는, 리어시트 (10) 를 격납하지 않는 통상의 올려놓음위치에서는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B) 와 다리부 (542C) 가 각각 차체골격부재로서의 터널부 (544) 와 로커 (546) 에 올려놓여져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플로어보드 (542) 를 차체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를 격납할 수 있는 위치에서는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 와 다리부 (542C) 에 형성한 얕은 측의 각 오목부 (548) 를, 터널부 (544) 의 상부에 배치한 지지봉 (554) 과 로커 (546) 의 상측이 되는 센서필러 (556) 에 배치한 지지핀 (558) 에 걸어맞추기 때문에, 터널부 (544) 와 로커 (546) 사이를 격납스페이스로 할 수 있으므로, 격납스페이스를 넓힐 수 있다.또한, 시트를 격납할 때에 리어시트 (10) 가 플로어보드 (542) 보다 하측에 격납되기 때문에, 플로어보드 (542) 보다 상부를 화물실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에서는, 스트랩 (568) 을 가지며, 도 33 에 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를 들어올려 시트백 (13) 을 시트쿠션 (12) 상에 앞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리어시트 (10) 의 뒷다리 (537) 의 하단부 (537A) 를 스트라이커 (538) 에서 분리하고, 리어시트 (10) 의 후부를 약간 들어올려 리어시트 (10) 전체를 전방으로 회전하면, 리어시트 (10) 의 제 1 링크 (522) 가 축 (532) 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한다. 리어시트 (10) 의 제 1 링크 (522) 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훅 (526) 이 좌우 스트라이커 (518) 의 환봉부 (518B) 에서 빠지고, 좌우 제 2 링크 (530) 가 축 (536) 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한다. 또한, 좌우 제 2 링크 (530) 가 축 (536) 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리어시트 (10) 의 제 1 링크 (522) 가 축 (532) 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리어시트 (10) 는 도 33 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상태, 즉 차량 전방의 플로어면 (514B) 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리어시트 (10) 를 격납스페이스에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격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 7 실시형태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를 들어올려 리어시트 (10) 를 격납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로어보드 (542) 를 일단 분리한 후에 리어시트 (10) 를 격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플로어보드 (542) 를 프런트시트 (40) 의 시트백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하여 시트격납 작업중에는 분리한 플로어보드 (542) 를 프런트시트 (40) 의 시트백에 걸면 된다.
또한, 본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리어시트 (10) 를 도 33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용위치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격납위치로 안내할 때에,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까지 사이의 이동을 제 1 링크 (522) 에 의한 회전과 제 2 링크 (530) 에 의한 회전으로 실시한다. 그 결과, 격납할 때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7 실시형태에서는 플로어보드 (542) 가 통상의 올려놓음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링크 (530) 와 제 1 링크 (522) 의 연결부가 되는 축 (532) 의 위치가 플로어보드 (542) 보다 상측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어시트 (10) 의 이동에 따라 제 1 링크 (522) 가 전방으로 회전이동하여도 플로어보드 (542) 와 간섭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플로어보드 (542)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조정기구로서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C) 에 오목부 (548) 와 오목부 (550) 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 (548) 와 오목부 (550) 를 터널부 (544) 상에 배치한 지지봉 (554) 과 센서필러 (556) 에 배치한 지지핀 (558) 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조정기구로서의 지지브래킷 (560) 에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 의 후단부 (542D) 를 걸었지만, 그 대신에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기구로서의 보조다리 (576) 를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C) 에 조정기구로서의 힌지 (578) 를 통해 접을 수 있게 부착하고, 플로어보드 (542) 를 통상의 올려놓음위치로 할 경우에는 도 39 의 지면 우측의 플로어보드 (542) 처럼 보조다리 (576) 를 내측으로 접고, 플로어보드 (542) 를 시트를 격납할 수 있는 위치로 할 경우에는 도 39 의 지면 좌측의 플로어보드 (542) 처럼 보조다리 (576) 를 다리부 (542A,542C) 의 하측으로 회전함으로써 플로어보드 (542) 가 플로어면 하부로부터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보드 (542) 의 다리부 (542A,542C) 를 조정기구로서의 힌지 (578) 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부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서는,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시트의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까지 사이의 이동이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한 복합운동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서는,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시트의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까지 사이의 이동이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한 연속운동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혹은 제 2 태양에서의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시트에 착탈할 수 있도록 걸리며, 타단에서 차체에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가이드레일과,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이 시트에서 이탈되면,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어맞춰 시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태양 혹은 제 2 태양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가이드레일을 차체에 고정시킬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트가 사용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 가이드레일이 방해가 되는 위치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서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안내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안내수단 중 일단에 위치하는 안내수단의 단부는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안내수단 중 타단에 위치하는 안내수단의 단부는 차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시트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안내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1 개의 안내수단이 소정량 안내된 경우에, 일단이 상기 1 개의 안내수단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또다른 안내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고 시트를 소정 이동경로를 따라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차체구조에 배치되는 시트격납장치로서, 차체의 단차는 상부, 하부 및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로 구성되고, 복수의 안내수단 중 1 개의 안내수단과 또다른 안내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벽부에 걸려 있기 때문에, 제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시트를 단차의 상부에 설정된 사용위치에서 단차의 하부인 격납위치로 이동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제 2 태양, 제 4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 중 하나는 일단이 시트에 연결된 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안내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의 타단이 걸리며, 또한 상기 요동수단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슬라이딩수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격납시의 시트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백 사이드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시트격납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팬의 앞부분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시트팬 앞부분 하강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격납시에 시트백의 상면이 평평해진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를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트 리프팅용 핸들과, 이 시트 리프팅용 핸들의 사용위치로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시트의 뒷다리와 차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을 갖기 때문에,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격납동작을 원활하게 개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의 격납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시트백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을 갖기 때문에, 격납할 때에 미리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트격납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 제 7 태양 중 어느 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백으로부터의 헤드레스트 높이를 낮추는 헤드레스트 이동수단을 갖기 때문에, 격납시에 헤드레스트가 앞자리의 시트백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트격납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3 태양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차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부 바닥면의 사용위치에서 하부 바닥면의 격납장치로 시트를 이동시키고, 격납하기 위한 시트 격납장치로서, 하부 바닥면의 상측에 위치하며, 격납위치의 시트를 덮음과 동시에 시트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는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플로어보드와, 사용위치의 시트를 차체에 지지하는 걸림수단과, 시트가 사용위치에 있으면서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플로어보드와 간섭하는 간섭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차체와의 걸어맞춤수단이 해제된 상태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태양에서는, 상부플로어면과, 이 상부플로어면에서 높이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되는 하부플로어면 및 상기 상부플로어면과 상기 하부플로어면을 연결하는 벽부를 갖는 차체구조의 상기 하부플로어면과 상기 벽부로 구성되는 수납스페이스와, 이 수납스페이스를 피복하는 플로어보드를 갖는 차체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드의 플로어면 하부로부터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기구를 갖기 때문에, 여러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플로어면이 되도록 격납부를 피복하는 플로어보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5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4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드는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차체골격부재 사이에 올려놓여지기 때문에, 제 14 태양에 기재된 효과이외에, 차체골격부재 사이를 격납스페이스로 할 수 있으므로, 격납스페이스를 넓힐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5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드는 양단에 다리부를 갖고, 상기 차체골격부재에 다리부를 올려놓는 것이기 때문에, 제 15 태양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다리부를 차체골격부재에 올려놓음으로써, 간단한 구성이면서 확실하게 플로어보드를 차체에 지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7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4 태양 ∼ 제 16 태양 중 어느 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납스페이스는 시트배치위치에서 전방이면서 하측이기 때문에, 제 14 태양 ∼ 제 16 태양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시트를 사용할 때의 발밑에 상당하는 플로어위치의 플로어높이를 조정기구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시트를 격납할 때에 시트가 플로어보드보다 하측에 격납되기 때문에, 플로어보드보다 상부를 화물실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8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4 태양 ∼ 제 17 태양 중 어느 한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수납스페이스로 안내하는 격납수단을 갖기 때문에, 제 14 태양 ∼ 제 17 태양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격납수단에 의해 시트를 격납스페이스에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격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9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8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납수단은 적어도 2 개의 링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8 태양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적어도 2 개의 링크에 의해 시트가 격납되기 때문에, 격납을 위한 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0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제 19 태양의 차체의 플로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격납수단은 2 개의 링크이고, 링크와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를 차체에 거는 걸림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로어보드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9 태양에 기재된 효과외에도, 플로어보드가 통상의 올려놓음위치에 있는 경우로서, 또한 시트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와 시트를 연결하는 링크가 전방으로 회전이동한 경우라도 플로어보드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9)

  1. 복수의 안내수단을 사용하여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상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시트에 착탈할 수 있도록 걸리며, 타단에서 차체에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가이드레일과,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이 시트에서 이탈되면,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어맞춰 시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2. 복수의 안내수단을 사용하여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일단이 시트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안내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1 개의 안내수단이 소정량 안내된 경우에, 일단이 상기 1 개의 안내수단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또다른 안내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3. 복수의 안내수단을 사용하여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차체구조에 배치되는 시트격납장치로서, 차체의 단차는 상부, 하부 및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로 구성되고, 복수의 안내수단 중 1 개의 안내수단과 또 다른 안내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벽부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4. 복수의 안내수단을 사용하여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상기 안내수단 중 1 개는 일단이 시트에 연결된 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안내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의 타단이 걸리며, 또한 상기 요동수단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슬라이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5. 제 2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백 사이드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6. 제 2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팬의 앞부분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시트팬 앞부분 하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7. 제 2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를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트 리프팅용 핸들과,이 시트 리프팅용 핸들의 사용위치로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시트의 뒷다리와 차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뒷다리 로크해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8. 제 2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의 격납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시트백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각도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9. 제 2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백으로부터의 헤드레스트 높이를 낮추는 헤드레스트 이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0. 차체에 대해 시트를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로서,
    시트의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까지 사이의 이동이 복수의 안내수단에 의한 연속운동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시트에 착탈할 수 있도록 걸리며, 타단에서 차체에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가이드레일과,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이 시트에서 이탈되면,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어맞춰 시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시트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안내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1 개의 안내수단이 소정량 안내된 경우에, 일단이 상기 1 개의 안내수단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또다른 안내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차체구조에 배치되는 시트격납장치로서, 차체의 단차는 상부, 하부 및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로 구성되고, 복수의 안내수단 중 1 개의 안내수단과 또다른 안내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벽부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 중 1 개는 일단이 시트에 연결된 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안내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의 타단이 걸리며, 또한 상기 요동수단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슬라이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시트백의 앞으로 쓰러짐에 연동하여 시트백 사이드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시트백 사이드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6.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안내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안내수단 중 일단에 위치하는 안내수단의 단부는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안내수단 중 타단에 위치하는 안내수단의 단부는 차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7. 제 17 항에 있어서, 일단이 시트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안내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1 개의 안내수단이 소정량 안내된 경우에, 일단이 상기 1 개의 안내수단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또다른 안내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차체구조에 배치되는 시트격납장치로서, 차체의 단차는 상부, 하부 및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로 구성되고, 복수의 안내수단 중 1 개의 안내수단과 또다른 안내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벽부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 중 1 개는 일단이 시트에 연결된 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안내수단은 상기 요동수단의 타단이 걸리며, 또한 상기요동수단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된 슬라이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KR1019990016767A 1998-05-13 1999-05-11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KR100315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80598A JP3309800B2 (ja) 1998-05-13 1998-05-13 車両用シート格納装置
JP98-130805 1998-05-13
JP10246419A JP2000071831A (ja) 1998-08-31 1998-08-31 シート格納装置
JP98-246419 199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188A KR19990088188A (ko) 1999-12-27
KR100315960B1 true KR100315960B1 (ko) 2001-12-12

Family

ID=2646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767A KR100315960B1 (ko) 1998-05-13 1999-05-11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79982B1 (ko)
EP (1) EP0958960B1 (ko)
KR (1) KR100315960B1 (ko)
DE (1) DE699196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179B2 (ja) * 1998-04-28 2002-07-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用車のシート収納構造
JP3635292B2 (ja) * 1999-08-10 2005-04-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リヤシート
US6499787B2 (en) * 2000-07-26 2002-12-31 Lear Corporation Collapsible vehicle seat assemblies
DE10155218C1 (de) * 2001-11-09 2002-10-24 Daimler Chrysler Ag Personenkraftwagen mit Fondsitzbank
US6629721B1 (en) * 2002-05-02 2003-10-0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ulti-positional se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6962384B2 (en) * 2002-08-23 2005-11-0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Fold flat motor vehicle seat
US7077451B2 (en) * 2002-08-23 2006-07-1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tadium style motor vehicle seat
US6869138B2 (en) * 2002-08-23 2005-03-2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Underfloor stowage of a folding seat in a vehicle
US6932424B2 (en) * 2002-08-23 2005-08-2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rticulated base with guide track for fold-in-floor vehicle seat
US6955386B2 (en) * 2002-08-23 2005-10-1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Underfloor stowage of a folding seat in a vehicle
US6817646B2 (en) * 2002-08-26 2004-11-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US6709040B1 (en) 2002-09-27 2004-03-2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US6746083B2 (en) 2002-09-27 2004-06-08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FR2846919A1 (fr) * 2002-11-07 2004-05-14 Faurecia Sieges Automobile Agencement de sieg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ossier rabattable pourvu d'un appui-tet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siege
JP4269714B2 (ja) * 2003-02-25 2009-05-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装置
KR100521198B1 (ko) * 2003-10-21 2005-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싱킹시트
DE10355765A1 (de) * 2003-11-26 2005-06-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sitz
FR2865976B1 (fr) * 2004-02-10 2006-05-26 Renault Sas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siege arriere repliable et escamotable.
FR2878792B1 (fr) * 2004-12-08 2008-11-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rangement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20060170235A1 (en) * 2005-01-28 2006-08-03 Oilar John F Vehicle floor door
DE102005043556A1 (de) * 2005-09-12 2007-03-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verstellbarem Rücksitz
US7438137B2 (en) * 2005-09-14 2008-10-21 Cnh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wing frame of an implement
US7240949B1 (en) 2006-02-28 2007-07-1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assembly
US20070210601A1 (en) * 2006-03-13 2007-09-13 Phillips Brian D Vehicle panel and seat assembly
JP4637864B2 (ja) * 2007-01-31 2011-02-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格納構造
DE602008005109D1 (de) * 2007-01-31 2011-04-07 Toyota Boshoku Kk Kraftfahrzeugsitzverstaustruktur
JP4181606B2 (ja) * 2007-01-31 2008-11-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着脱機構
US7452019B1 (en) 2007-06-05 2008-11-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liding and stowing motor vehicle seat
DE102007029167B3 (de) * 2007-06-25 2008-10-09 Lear Corp., Southfield Fahrzeugsitz mit einer Sitzkippeinstellung kombiniert mit einem Mechanismus zum Vorwärtsumlegen der Sitzlehne bis in eine ebene Position, mit einer Rückstellfunktion
DE102007052529B4 (de) * 2007-11-01 2019-12-05 Johnson Controls Gmbh Ein Sitz und Sitz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US8002331B2 (en) 2008-09-11 2011-08-23 Honda Motor Company, Ltd. Vehicles having utility dump bed and folding seat assembly
US8632113B2 (en) * 2011-09-09 2014-01-21 Chrysler Group Llc Stowable sea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8651550B2 (en) * 2011-12-13 2014-02-18 Chrysler Group Llc Stowable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US8485583B2 (en) * 2011-12-14 2013-07-16 Chrysler Group Llc Stowable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DE102012001278A1 (de) * 2012-01-25 2013-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stellsystem, Kraftfahrzeugsitz, Kraftfahrzeug und Verfahren hierzu
US9346406B2 (en) * 2014-10-27 2016-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tor vehicle equipped with dynamic floor section
US10137806B2 (en) 2015-04-17 2018-11-27 Kyle J Neighbors Vehicle load floor access panel system
US9469349B1 (en) 2015-05-22 2016-10-18 Fca Us Llc Vehicle floor assembly
US9725019B2 (en) 2015-05-22 2017-08-08 Fca Us Llc Vehicle floor assembly
US9352695B1 (en) 2015-05-22 2016-05-31 Fca Us Llc Vehicle floor assembly
US10160391B2 (en) 2017-01-27 2018-12-25 Fca Us Llc Vehicle flo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latch
WO2018219375A1 (de) * 2017-05-29 2018-12-06 Constin Gmbh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zugänglichkeit des stauraumes unterhalb von fahrzeugsitze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2453A (en) * 1963-07-09 1965-08-24 Ford Motor Co Retractable seat
US3311405A (en) * 1964-08-27 1967-03-28 Gen Motors Corp Vehicle seat
US4699418A (en) * 1986-03-31 1987-10-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vertible seat apparatus and method
JPH054429Y2 (ko) * 1987-03-30 1993-02-03
US4957321A (en) * 1988-10-12 1990-09-18 Ford Motor Company Stowable vehicle seat with seat back position controller
JP2721562B2 (ja) 1989-03-08 1998-03-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軟磁性合金膜
JPH0393233A (ja) 1989-09-05 1991-04-18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121939A (ja) 1989-10-03 1991-05-23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シート装置
JP2827373B2 (ja) 1989-12-28 1998-11-25 スズキ株式会社 リアシート格納装置
JPH04100927A (ja) 1990-08-07 1992-04-02 Howa Mach Ltd 篠継ヘッド
JPH0522164A (ja) 1991-07-15 1993-01-29 Murata Mfg Co Ltd カード型電子チユーナ
JP3086028B2 (ja) 1991-09-20 2000-09-11 日本発条株式会社 格納式リアシート
US5195795A (en) * 1992-04-01 1993-03-23 Cannera Raymond C Automotive vehicle seat assembly fully retractable below the vehicle's floor
JP3292626B2 (ja) * 1995-06-22 2002-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5570931A (en) * 1995-09-29 1996-11-05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adjustable and stowable rear seat
US5681079A (en) * 1995-11-17 1997-10-28 Fisher Dynamics Corporation Headrest folding mechanism
GB2318285B (en) * 1996-10-17 2000-09-06 Johnson Controls Automotive Uk Seats for motor vehicles
JP3639083B2 (ja) 1997-04-23 2005-04-13 河西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フロア構造
US5839773A (en) * 1997-10-15 1998-11-24 Lear Corporation Rolling stowab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8960A3 (en) 2001-10-04
KR19990088188A (ko) 1999-12-27
DE69919622D1 (de) 2004-09-30
EP0958960A2 (en) 1999-11-24
US6279982B1 (en) 2001-08-28
DE69919622T2 (de) 2005-09-15
EP0958960B1 (en)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960B1 (ko) 차량용 시트 격납장치
KR101194914B1 (ko) 모노 레그 변형 시트
JP2004249109A (ja) 折り畳みシート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トを含む乗物
JP2005075084A (ja) 車両用格納式シート
GB2408677A (en) Forward pivoting fold and tumble vehicle seat
JP4784797B2 (ja) 跳上げ可能なスライド式折畳みシート
JP4235967B2 (ja) 跳上げ可能なスライド式折畳み自在シート
JP2003011707A (ja) チップアップ機構付の車両用シート
JP4247405B2 (ja) 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JP2007522006A (ja) 折り畳み及び収納可能な後部座席を有する自動車
JP4858819B2 (ja) チップアップ・ダイブダウン式自動車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3309800B2 (ja) 車両用シート格納装置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JP7393630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4150607B2 (ja) 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キャンセル装置
JPH0412821Y2 (ko)
JP2002347488A (ja) 車両用シート
WO2001005619A1 (en) Motor vehicle rear seat with backrest comprising at least one portion that can be rotated about a lateral vertical axis
JP2005053245A (ja) 跳上げ可能なスライド式折畳みシート
JP2003040010A (ja) チップアップ機構付の車両用シート
JP2007237804A (ja) シート構造
JP2002211283A (ja) 車両用シート
JP41564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24048283A (ja) 車両用シート
JP299878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