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332B1 -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332B1
KR100315332B1 KR1019990017893A KR19990017893A KR100315332B1 KR 100315332 B1 KR100315332 B1 KR 100315332B1 KR 1019990017893 A KR1019990017893 A KR 1019990017893A KR 19990017893 A KR19990017893 A KR 19990017893A KR 100315332 B1 KR100315332 B1 KR 10031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ane
storage chamber
protrus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168A (ko
Inventor
하용천
Original Assignee
하용천
하스라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천, 하스라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용천
Priority to KR101999001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3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조등 빛을 양호하게 반사시키고, 제동시 차륜의 슬립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돌출부 및 차선을 연속하여 만드는 돌출부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는 장치는, 이동체에 탑재된 도료통에 담긴 도료를 교반하면서 적절한 양으로 배출하여 돌출부 및 차선을 그림과 동시에 이들 부위에 빛 반사 입자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도료통에 담겨 있는 도료의 공급을 단속하도록 도료통(3)의 공급구(25)에 설치되는 가이드(19), 이 가이드(19)에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플레이트(21), 이 도어 플레이트(21)에 연결되는 링크(23), 이들의 작동으로 도료통(3)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일시적으로 저류(貯流)시켜 도포 가능한 양만큼 조절 배출하도록 공급구(25)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료 저류실(7), 및 이 도료 저류실(7)에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여 그려지는 차선(69)에 돌출부(b)를 형성하도록 도료 저류실(7)의 도료 배출구(29)에 각각 수직,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2조절 플레이트(33,41)와 이 제1,2조절 플레이트(33,41)에 각각 연결되는 제2,3유압 실린더(35,45)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MACHINE FOR FORMING A PROJECTION ON LANE}
본 발명은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조등 빛의 반사가 양호하고 제동시 차륜의 슬립을 억제시키는 구조물의 설치가 불필요한 돌출부를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는, 차량의 주행 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차선이 그려져 있다.
이러한 차선에는,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차량의 전조등 빛을 양호하게 반사시키는 빛 반사 입자로 유리 입자가 도포되어 있다. 이 유리 입자는 미세한 구슬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히 주의를 요하는 차선에는 유리 입자뿐만 아니라 차선 표면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조물은 전조등 빛의 반사는 물론이고 제동하는 차량의 차륜에 마찰 저항을 가하여 차륜의 슬립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선은, 차선 표면에 구슬 상태의 유리 입자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전조등 빛의 반사는 양호하지만, 차선 부분에 차륜이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을 제동시키면, 차륜의 슬립을 발생시켜 안전 운행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또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된 차선은, 유리 입자가 도포된 차선과는 달리 차량 제동시 차륜의 슬립 발생은 감소시킬 수 있지만, 노면을 파고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 및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조등 빛을 양호하게 반사시키고, 제동시 차륜의 슬립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주요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형성장치의 유리 입자 분사 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형성장치로 차선의 낮은 부분(a)을 그리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형성장치로 차선의 돌출부(b)를 그리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형성장치로 만든 돌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도로의 상하 굴곡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돌출부 형성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3:도료통 7:도료 저류실
19:가이드 21:도어 플레이트 23:링크
25:공급구 29:도료 배출구 33,41:제1,2조절플레이트
31,35,45:제1,2,3유압 실린더 69:차선 a:낮은 부분
b:돌출부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가능한 본체에 탑재된 도료통에 담긴 도료를 교반하면서 적절한 양으로 배출하여 돌출부를 만듬과 동시에 이 부분에 빛 반사 입자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료통에 담겨 있는 도료의 공급을 단속하도록 도료통의 공급구에 설치되는 도료 공급 단속 수단,
상기 도료 공급 단속 수단의 작동으로 도료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일시적으로 저류(貯流)시켜 도포 가능한 양만큼 조절 배출하도록 공급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료 저류실,
상기 도료 저류실에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여 그려지는 차선에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도료 저류실의 도료 배출구에 설치되는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도료 공급 단속 수단은 도료통의 공급구에 형성된 가이드, 이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도어 플레이트, 및 이 도어 플레이트에 조작력을 가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 저류실은 자중에 의하여 도료를 배출하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료 저류실의 상측에는 차선이 그려질 도로의 상하 굴곡에 따라 도료 저류실을 상하 방향으로 기울이는 제1유압 실린더가 연결된다.
상기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은 그려지는 차선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형성 및 이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도료 저류실의 도료 배출구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1조절 플레이트, 이 제1조절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제1조절 플레이트의 상단에 연결된 제2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은 제1조절 플레이트와 함께 도료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도록 도료 배출구 전방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도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제2조절 플레이트, 이 제2조절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2조절 플레이트에 링크로 연결되는 제3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로서, 이 장치는 이동 가능한 본체(1)에 도료통(3)을 장착하고, 이 도료통(3)에 담긴 도료를 적절한 양으로 배출하면서 돌출부를 만듬과 동시에 빛 반사 입자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장치는 도료통(3)과 함께 도료 공급 단속 수단(5), 도료 저류실(7), 그리고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9)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료통(3)의 상측에는 도료통(3)에 담긴 도료의 교반을 위한 교반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교반기(11)는 유압 모터(13)와 이의 회전축(15)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료 공급 단속 수단(5)은 도료통(3)에 담겨 있는 도료가 도료 저류실(7)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료 공급 단속 수단(5)은 가이드(19), 도어 플레이트(21), 그리고 링크(23)로 구성된다. 가이드(19)는 도료통(3)의 공급구(25)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도어 플레이트(21)는 가이드(19)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23)는 도어 플레이트(21)에 그 일측이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조작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료 공급 단속 수단(5)의 작용에 의하여 도료통(3)의 공급구(25)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료 저류실(7)로 안내 공급하도록 공급구(25)의 측방 하측에 슈트(27)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도료 저류실(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트(25)에 의하여 안내되는 도료를 저류(貯流)시켜 도포할 양만큼씩 조절하면서 하측에 형성된 도료 배출구(29)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도료 저류실(7)은, 도료가 그 자중에의하여 배출되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차선을 그릴 때 도로의 상하 굴곡에 따라 도료 저류실(7)을 상하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도료 저류실(7)의 상측에 제1유압 실린더(31)가 연결되어 있다.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9)은 차선을 그리고, 이렇게 그려진 차선에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저류실(7)의 도료 배출구(29)에 구비되어, 도료 저류실(7)에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9)은 제1조절 플레이트(33)와 제2유압 실린더(35)로 구성된다. 제1조절 플레이트(33)는 도료 저류실(7)의 도료 배출구(29)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유압 실린더(35)는 제1조절 플레이트(33)를 승강시키도록 그 상단에 연결된다. 이 제1조절 플레이트(33)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도료 저류실(7)의 내측 후방에는 가이드(37)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도료 저류실(7)의 후방 외측에는 차선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모양을 형성하는 돌출부 형성부재(3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돌출부 형성부재(39)는, 차선에 형성하려는 돌출부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모양으로 형성 및 변경될 수 있고, 또한 돌출부의 형상을 차선 폭과 같게 하고자 할 때에는 불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9)은 제2조절 플레이트(41)와 이 제2조절 플레이트(41)에 링크(43)로 연결되는 제3유압 실린더(4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제2조절 플레이트(41)와 제3유압 실린더(45)는 도료 배출구(29)의 형상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조절 플레이트(33)가 도료 배출구(29)의 후방을 개폐함과 아울러 제2조절 플레이트(41)가 도로배출구(29)의 하측을 개폐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2조절 플레이트(41)는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하면서, 제1조절 플레이트(33)와 함께 도료 배출구(29)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도록 도료 배출구(29)의 전방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 제2조절 플레이트(41)는 도류 저류실(7)에 담긴 도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면(47)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9)에 의하여 배출되는 도료로 그린 차선에 빛 반사 입자인 유리 입자를 분사하게 되는데, 그러한 유리 입자 분사 건(49)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유리 입자 분사 건(49)은 차량(1)의 일측에 구비된 유리 입자통(51)과 호스(53)로 연결되며, 스프링(53)에 지지되는 피스턴(57)을 하우징(59)에 내장하고, 이 피스턴(57)을 압축 공기로 작동시켜 피스턴(57)에 결합된 니들(61)을 이동시켜 노즐(63)을 단속하여, 호스(53)로 공급되는 유리 입자를 압축 공기로 불어 차선에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63)의 선단에는 노즐(63)로부터 분사되는 유리 입자가 차선 이외의 부분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판(65)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체(1)의 이동 및 제1,2,3유압 실린더(31,35,45)와 유리 입자 분사 건(49)의 작동은 콘트롤러(67)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된다. 또 제1,2,3유압 실린더(31,35,45)는 하나의 액츄에이터로 예시된 것으로, 에어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그리고 모터 등으로도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본체가 주행하면서, 도 6,7과 같이 작동되어, 도 8과 같은 차선(69) 및 돌출부를 만들게 된다.
이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트롤러(67)의 조작에 따라 교반기(11)의 유압 모터(13)가 작동되어 회전축(15)에 구비된 임펠러(17)를 회전시켜 도료통(3)에 담긴 도료를 교반한다.
조작자가 링크(23)를 조작하면, 도어 플레이트(21)가 가이드(19)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되어 도료 공급구(25)를 개방한다.
따라서 도료통(3) 내의 도료가 도료 공급구(25)와 슈트(27)를 통하여 저류실(7)로 안내된다. 저류실(7)에 저류된 도료는 도료 배출구(29)에 구비된 제1,2조절 플레이트(33,41)에 의하여 차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체(1)가 이동하고, 콘트롤러(67)에 의하여 제2에어 실린더(35)가 작동되어 제1조절 플레이트(33)를 도 6 또는 도 7의 상태로 하강 또는 상승 작동시킨다.
즉, 제1조절 플레이트(3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저류실(7) 내의 도료는 제1,2조절 플레이트(33,41)에 의하여 형성되는 좁은 도료 배출구(29)로 배출되어, 도로(71)에 차선(69)의 낮은 부분(a)을 형성한다.
반면에 제1조절 플레이트(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저류실(7) 내의 도료가 제1,2조절 플레이트(33,41)에 의하여 형성되는 넓은 도료 배출구(29)로 배출되어, 도로(71)에 차선(69)의 높은 돌출부(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1조절 플레이트(33)를 하강 및 상승시키는 작용을 반복적으로실시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선(69)을 연속적으로 그리게 된다. 이 차선(9)에는 돌출부(b)가 2개씩 형성된 된 것을 예시하고 있는 데, 이는 돌출부 형성부재(39)의 형상에 의하여 좌우된다.
그리고 콘트롤러(67)가 유리 입자 분사 건(49)을 제어하여 유리 입자통(51)에 연결된 호스(53)로 공급되는 유리 입자를 차선(69)의 표면에 분사하여 도포한다. 이 때 비산 방지판(65)은 분사되는 유리 입자가 차선(69)에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도 9는 차선 및 돌출부가 그려질 도로(71)가 상하 방향으로 굴곡져 있을 경우, 제1유압 실린더(31)의 상승 작용으로 저류실(7)를 상승시켜, 돌출부 및 차선(69)을 계속적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료 저류실에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도료 배출량 조절수단으로 조절하여 돌출부 및 차선을 그림과 동시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차선과 돌출부에 빛 반사 입자를 분사하여 도포하므로 차량의 전조등 빛의 양호한 반사는 물론이고 차선 상에서의 제동시에도 차륜의 슬립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이동가능한 본체에 탑재된 도료통에 담긴 도료를 교반하면서 적절한 양으로 배출하여 돌출부 및 차선을 만듬과 동시에 이들 부분에 빛 반사 입자를 분사하는 차선 도포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도료통에 담겨 있는 도료의 공급을 단속하도록 도료통의 공급구에 설치되는 도료 공급 단속 수단,
    상기 도료 공급 단속 수단의 작동으로 도료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일시적으로 저류(貯流)시켜 도포 가능한 양만큼 조절 배출하도록 공급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료 저류실, 및
    상기 도료 저류실에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여 그려지는 차선에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도료 저류실의 도료 배출구에 설치되는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
    을 포함하는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 단속 수단은,
    상기 도료통의 공급구에 형성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도어 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조작력을 가하도록 연결되는 링크
    를 포함하는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 저류실은,
    자중에 의하여 도료를 배출하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도료 저류실의 상측에는 차선이 그려질 도로의 상하 굴곡에 따라 도료 저류실을 상하 방향으로 기울이는 제1유압 실린더가 연결되는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은,
    그려지는 차선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 및 이 돌출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도료 저류실의 도료 배출구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1조절 플레이트,
    상기 제1조절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1조절 플레이트의 상단에 연결된 제2유압 실린더,
    를 포함하는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배출량 조절 수단은,
    상기 제1조절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도료 배출구로 배출되는 도료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도료 배출구 전방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도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제2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조절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조절 플레이트에 링크로 연결되는 제3유압 실린더
    를 포함하는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KR1019990017893A 1999-05-18 1999-05-18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KR100315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893A KR100315332B1 (ko) 1999-05-18 1999-05-18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893A KR100315332B1 (ko) 1999-05-18 1999-05-18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168A KR20000074168A (ko) 2000-12-05
KR100315332B1 true KR100315332B1 (ko) 2001-11-26

Family

ID=1958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893A KR100315332B1 (ko) 1999-05-18 1999-05-18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80B1 (ko) 2008-12-23 2011-05-23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KR102116032B1 (ko) 2019-05-08 2020-05-27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2140947B1 (ko) 2019-05-08 2020-08-04 태광엔지니어링(주) 이분 연속구동형 돌출차선 시공장치
KR102321826B1 (ko) 2020-12-22 2021-11-04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 노즐바 진동 노즐 구동식 돌출차선 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52B1 (ko) * 2007-06-22 2009-05-07 주식회사에코비젼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KR101252657B1 (ko) * 2012-12-11 2013-04-09 (주)라인테크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80B1 (ko) 2008-12-23 2011-05-23 유한회사 삼신기업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KR102116032B1 (ko) 2019-05-08 2020-05-27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차선 및 돌출차선 복합 시공 시스템
KR102140947B1 (ko) 2019-05-08 2020-08-04 태광엔지니어링(주) 이분 연속구동형 돌출차선 시공장치
KR102321826B1 (ko) 2020-12-22 2021-11-04 태광엔지니어링(주) 스프레드 노즐바 진동 노즐 구동식 돌출차선 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168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332B1 (ko)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KR100400820B1 (ko) 차선도포기
KR100895652B1 (ko)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CA2555072C (en) A surface sweeping machine with a dump door and chute actuating mechanism
KR200393801Y1 (ko) 살수 방향이 조절되는 진공흡입식살수차
CN112092709A (zh) 一种矿用自卸车车斗
KR200218758Y1 (ko) 차선도포기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JP3099000B2 (ja) 建築板の塗装方法
KR20220035341A (ko) 비산방지 가능한 스프레이건
KR950001656Y1 (ko) 차선 도색차량의 노즐위치 조절장치
JP2009284796A (ja) 自走型防除機の薬液散布装置
US3289899A (en) Glass sphere dispenser spreader for highway marking
JP4243555B2 (ja) 除雪車
JPH0739924Y2 (ja) 路面標示施工機
JP3133727B2 (ja) スピードスプレーヤ
JPH0765291B2 (ja) 路面標示ラインの施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41365B1 (ko) 산업용 차량의 붐 조립체
JP2581365B2 (ja) 床面清掃車
KR102653491B1 (ko) 소방차의 분사 장치
JP2012117253A (ja) 路面標示線用ペイント塗布装置
JPH028934B2 (ko)
JP3090429B2 (ja) スピードスプレーヤの薬液噴霧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