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180B1 -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 Google Patents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180B1
KR101036180B1 KR1020080132152A KR20080132152A KR101036180B1 KR 101036180 B1 KR101036180 B1 KR 101036180B1 KR 1020080132152 A KR1020080132152 A KR 1020080132152A KR 20080132152 A KR20080132152 A KR 20080132152A KR 101036180 B1 KR101036180 B1 KR 10103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paint
plate
paint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466A (ko
Inventor
이종찬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to KR102008013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1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01C23/2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spraying of interrupted, individual or variabl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4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pouring
    • E01C23/24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pouring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pouring of interrupted, individual or variable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Road Repair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차선의 도색시 승강 작동판의 승강 제어만으로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일정간격으로 양측에 구성되는 측판 사이의 전후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구성되어지되 양 측판의 하부에는 후면판 하단과 밑판 후단과의 사이에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 도료 저류통의 후면판 하단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도료 토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도료 토출구를 폐쇄시키지 않는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 도료 저류통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의 후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의 측판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일정두께의 보강편; 후면판과 보강편 사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강 및 상승을 통해 판스프링의 하단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의 폐쇄 및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작동판; 승강 작동판의 승강시 상하의 일직선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 및 보강편의 후면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액형, 이액형 도료, 차선도색, 차선, 도색차량

Description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Basket for traffic lane painting of traffic lane painting vihicle two liquid type paint}
본 발명은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면 상에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 도색용 도료와 이를 경화시키는 경화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이액형 도료를 도색차량의 이동에 따라 도로면에 토출방식을 통해 토출시켜 고착시킴으로써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것은 운반수단으로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의 경우도 이미 1,0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되었다.
한편, 자동차의 보유대수로는 우리의 경우도 이미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였으나, 인구수에 비례하여 자동차 사고는 세계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으며, 우리의 경우에는 교통신호 위반이나 차선 위반에 따른 사고 또한 다반사로 발생하는 경우가 선진국에 비해 많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및 지방도 등의 포장도로에는 상호 반대 차선의 차량의 중앙을 가르는 중앙선이나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차로선인 주행차선이 도색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 이러한 차선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할 수가 있다. 이처럼 차선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부터 차선의 도색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되고 실제로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로는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과 이 도포수단을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차선도색장치는 도료가 저장된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면 상에 도료를 도포하였으나 항시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상에서 수작업에 의해 도색작업을 하는 것은 인력낭비는 물론 교통체증이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용이하게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차선도색장치가 탑재된 도색차량을 통해 이액형의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방식으로 토출시켜 차선을 도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경우 도료를 토출시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이를 제작하 는데 따른 어려움도 있어 제작원가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균일한 차선을 도색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방 하단부에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과 도료 토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판스프링 및 실린더의 승강작동에 판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승강 작동판으로 구성된 구조를 통해 차선의 도색시 승강 작동판의 승강 제어만으로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후방 하단부에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과 도료 토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판스프링 및 실린더의 승강작동에 판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승강 작동판으로 이루어진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구성함으로써 차선의 도색시 승강 작동판의 승강길이 제어를 통한 판스프링의 탄성변형 정도에 따른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차선의 상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은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어지되 투입되는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에 있어서, 차선 도색용 바스켓은 일정간격으로 양측에 구성되는 측판 사이의 전후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구성되어지되 양 측판의 하부에는 후면판 하단과 밑판 후단과의 사이에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 도료 저류통의 후면판 하단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도료 토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도료 토출구를 폐쇄시키지 않는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 도료 저류통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의 후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의 측판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일정두께의 보강편; 후면판과 보강편 사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강 및 상승을 통해 판스프링의 하단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의 폐쇄 및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작동판; 승강 작동판의 승강시 상하의 일직선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 및 보강편의 후면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후면판은 밑판의 후단에 비해 전방측 으로 들어간 상태로 설치되어지되 후면판의 하단은 후방 하단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판스프링이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은 후면판 후방측의 양 측판 내측면 상에 상호 대향되어 상하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승강 작동판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 하는 레일홈; 승강 작동판의 중심부 상에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하로 형성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 승강 작동판 상에 형성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후면판 상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연결구의 후방 중심으로부터 보강편과 가이드 홈을 경유하여 후면판 상에 결합되는 연결구 고정핀; 및 가이드 홈 후방의 양 측판 내측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 작동판의 후방측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롤러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도료 저류통의 전면판 하단과 밑판의 선단 사이에는 도료 저류통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투입되는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가 후방측 하단의 도료 토출구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일정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경사판이 더 구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판스프링의 하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지되 승강 작동판의 하강 및 승강의 반복적인 작동을 통해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의 토출을 제어하여 도로면 상에 일정간격의 돌출형 차선이 형성되도록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도료 저류통의 밑판 후단면과 승강 작동판의 하단면 상에는 상호 대응하는 계단식 단턱이 더 형성되어 계단식 단턱의 상호 결합에 의해 도료 토출구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보다 양호하다. 즉, 계단식 단턱의 상호 결합을 통해 도료 토출구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에 따르면 후방 하단부에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과 도료 토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판스프링 및 실린더의 승강작동에 판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승강 작동판으로 구성된 구조를 통해 차선의 도색시 승강 작동판의 승강 제어만으로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후방 하단부에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과 도료 토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판스프링 및 실린더의 승강작동에 판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승강 작동판으로 이루어진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구성함으로써 차선의 도색시 승강 작동판의 승강길이 제어를 통한 판스프링의 변형정도에 따른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차선의 상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후방 하단부에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과 도료 토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판스프링 및 실린더의 승강작동에 판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 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승강 작동판으로 이루어진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구성함으로써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균일하게 하여 차선이 균일하게 도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이 차선 도색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은 후방 하단에 하중에 의해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112)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110), 도료 저류통(110)의 후면판(114c) 하단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키지 않는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120), 도료 저류통(110)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114c)의 후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의 측판(114a)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일정두께의 보강편(130), 후면판(114c)과 보강편(130) 사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강 및 상승을 통해 판스프링(120)의 하단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112)의 폐쇄 및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작동판(140), 승강 작동판(140)의 승강시 상하의 일직선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 및 보강편(130)의 후면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지지프레임(20)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30)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홈(162)이 형성된 연결구(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은 연결구(160)를 통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하부 양측에 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20)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30)에 결합 고정되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이동에 따라 승강 작동판(140)을 상승시켜 판스프링(120)의 복원에 따른 도료 토출구(112)의 개방으로 도료 저류통(110) 상에 충진된 이액형 도료가 도료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어 도로면 상에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료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이액형 도료는 자중에 의해 토출되어진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이동에 따라 승강 작동판(140)을 상승시켜 판스프링(120)의 복원에 따른 도료 토출구(112)의 개방으로 도료 저류통(110) 상에 충진된 이액형 도료가 도료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어 도로면 상에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승강 작동판(140)을 하향시켜 판스프링(120)의 탄성 변형을 통해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키게 되면 그 즉시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정지된다. 이때, 도료 토출구(112)는 판스프링(120)에 의해서도 폐쇄되지만 판스프링(12)을 강제적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승강 작동판(140)에 의해 이중으로 폐쇄되어 도료 토출구(112)의 폐쇄력은 더욱 보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의 구조에서 도료 저류통(110)의 밑판(114d) 후단면과 승강 작동판(140)의 하단면 상에는 상호 대응하는 계단식 단턱(116, 142)이 형성되어 계단식 단턱(116, 142)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도료 토출구(112)의 폐쇄가 이루어지는 한편, 계단식 단턱(116, 142)의 상호 맞물림시 판스프링(120)의 하단이 계단식 단턱(116, 142) 사이에 물려 판스프링(12)에 의해서도 도료 토출구(112)가 폐쇄되어진다. 이처럼 도료 토출구(112)는 판스프링(120)과 승강 작동판(140)에 의한 이중구조의 밀폐수단을 통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료 저류통(110)은 이액형 도료탱크(12)로부터 공급되는 이액형 도료를 저장하여 도료 토출구(112)의 개방시 저장된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일정한 폭으로 토출시켜 차선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 한 도료 저류통(11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양측에 구성되는 측판(114a) 사이의 전후에 전면판(114b)과 후면판(114c)이 구성되어지되 양 측판(114a)의 하부에는 후면판(114c) 하단과 밑판(114d) 후단과의 사이에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112)가 형성되는 상부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도료 저류통(110)은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대향 설치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판(114a), 양 측판(114a) 사이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전면을 이루는 전면판(114b), 양 측판(114a) 사이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후면을 이루는 후면판(114c) 및 양 측판(114a) 사이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하부면을 이루는 밑판(114d)으로 구성된 상부개방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후면판(114c)과 밑판(114d) 사이에는 도료 저류통(110)에 저장된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료 저류통(110)에는 도료 저류통(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투입되는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가 후방측 하단의 도료 토출구(112)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도 1, 도 2,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저류통(110)의 전면판(114b) 하단과 밑판(114d)의 선단 사이에는 일정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경사판(114e)이 더 구성되어진다. 이처럼 구성되는 경사판(114e)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투입되는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를 도료 저류통(110)의 후방측 하단에 형성된 도료 토출구(112)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을 구성하는 판스프링(120)은 도료 저류통(110)의 후방측 하단에 형성되는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112)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판스프링(120)은 도 1, 도 3, 도 4,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저류통(110)의 후면판(114c) 하단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강제하는 수단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키지 않는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된다.
물론, 후술하는 승강 작동판(140)의 강제수단을 통해 판스프링(120)을 강제하는 경우에는 탄성변형을 통해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킴으로써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승강 작동판(140)과 같은 강제수단에 의해 강제되는 판스프링(120)은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의 도료 저류통(110)을 구성하는 후면판(114c)은 밑판(114d)의 후단에 비해 전방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설치되어지되 후면판(114c)의 하단은 후방 하단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20)이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면판(114c)은 밑판(114d)의 후단에 비해 전방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설치되어지되 후면판(114c)의 하단은 후방 하단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판상의 판스프링(120)을 후면판(114c)의 하단에 결합시 도 5a 에서와 같이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도료 토출구(112)가 개방된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을 구성하는 보강편(130)은 도료 저류통(110)의 후면을 보강하는 한편 후술하는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보강편(130)은 도 1, 도 3, 도 4,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저류통(110)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114c)의 후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의 측판(114a)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강편(130)은 도료 저류통(110)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114c)의 후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의 측판(114a)에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양 측판(114a)의 결합을 보강하게 된다. 이때, 도료 저류통(110)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114c)의 후면과 보강편(130)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승강 작동판(140)의 승강작용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간격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을 구성하는 승강 작동판(140)은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지지프레임(20) 상에 설치된 피스톤을 포함한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판스프링(120)의 탄성변형을 통해 도료 저류통(110)의 도료 토출구(11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 작동판(140)은 도 1, 도 3,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114c)과 보강편(130) 사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강 및 상승을 통해 판스프링(120)의 하단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112)의 폐쇄 및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지지프레임(20) 상에 설치된 피스톤을 포함한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실린더 의 피스톤 하단과 연결되는 구조의 연결고리(144)가 승강 작동판(14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연결고리(144)는 실린더의 피스톤 하단과의 간단한 걸림구조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은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지지프레임(20) 상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임을 알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 작동판(140)은 후술하는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을 통해 수직의 상하로 가이드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20)을 탄성변형시켜 도료 토출구(112)의 폐쇄 및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자체의 승강에 의한 구조만으로도 도료 토출구(112)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 작동판(140)의 하단면 상에 계단식 단턱(142)이 형성되어 밑판(114d)의 후단에 형성된 계단식 단턱(116)과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도료 토출구(112)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의 구조에서는 판스프링(120)과 승강 작동판(140)의 구조를 통해 도료 토출구(112)를 이중으로 개폐시킴을 알 수 있다. 즉, 승강 작동판(140)의 하강에 의해 밑판(114d)과의 계단식 단턱(116, 142)이 결합됨으로써 도료 토출구(112)를 폐쇄시키는 한편, 승강 작동판(140)의 하강시 판스프링(120)을 탄성변형시켜 승강 작동판(140) 하단과 밑판(114d) 후단의 계단식 단턱(116, 142) 사이에 물려질 수 있도록 하여 다시 한번 도료 토출구(112)의 폐쇄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작동판(140)은 그 승강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판 스프링(120)의 탄성변형의 정도를 조절하여 도료 토출구(112)의 열리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료 저류통(110)에 저장된 이액형 도료의 토출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도로면 상에 토출되어 도색되는 차선의 상하 두께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승강 작동판(140)의 승강길이는 실린더의 피스톤을 제어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을 구성하는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은 승강 작동판(140)을 상하의 수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은 후면판(114c) 후방측의 양 측판(114a) 내측면 상에 상호 대향되어 상하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승강 작동판(140)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 하는 레일홈(150), 승강 작동판(140)의 중심부 상에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하로 형성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152), 승강 작동판(140) 상에 형성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152)을 관통하여 후면판(114c) 상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연결구(160)의 후방 중심으로부터 보강편(130)과 가이드 홈(152)을 경유하여 후면판(114c) 상에 결합되는 연결구 고정핀(154) 및 가이드 홈(152) 후방의 양 측판(114a) 내측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 작동판(140)의 후방측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롤러(15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은 레일홈(150)을 통해 승강 작동판(140)의 양단을 삽입 결합하여 승강 작동판(140)이 상하의 수직선상으로만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홈의 가이드 홈(152)과 연결구 고정핀(154)을 통해 승강 작동판(140)의 승강시 승강 작동판(140)의 상부측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탈방지 롤러(156)를 통해서는 승강 작동판(140)의 하단부가 후방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승강 작동판(140)의 승강시 구름을 통해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을 구성하는 연결구(160)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하부 양측에 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20)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30)과의 결합을 통해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을 지지프레임(2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결구(16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편(130)의 후면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10)의 지지프레임(20)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30)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홈(16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구(160)는 앞서 설명한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의 연결구 고정핀(154)을 통해 보강편(130)의 후면 중심부 상에 고정된다. 즉, 연결구(160)의 후방 중심으로부터 보강편(130)과 가이드 홈(152)을 경유하여 후면판(114c) 상에 결합되는 연결구 고정핀(154)을 통해 연결구(160)는 보강편(130)의 후면 중심부 상에 고정되어진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다른 실시 예에서 도료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다 른 실시 예에서 도료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a)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도료 저류통(110a), 판스프링(120a), 보강편(130a), 승강 작동판(140a),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 및 연결구(160a)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기는 마찬가지이다.
다만,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색용 바스켓(100a)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서는 판스프링(120a)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120)과 다를 뿐이다. 즉,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120)은 도료 토출구(112)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개방시 도료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이액형 도료에 의해 도색되는 차선이 평면상으로 도색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120a)은 그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122a)이 더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122a)이 더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 7 및 도 8 과 같은 판스프링(120a)은 승강 작동판(140a)의 하강 및 승강의 반복적인 작동을 통해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의 토출을 제어하여 도로면 상에 일정간격의 돌출형 차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서, 승강 작동판(140a)의 상승에 의해 판스프링(120a)의 절개홈(122a)이 열리게 되면 이 절개홈(122a)을 통해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져 해당 절개홈(122a)에 대응하는 형태의 돌출형 차선이 도로면 상에 형성된다. 물론, 승강 작동판(140a)의 승강을 반복하게 되면 점점이 형성되는 돌출형 차선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구성에서 도료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이 차선 도색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다 른 실시 예에서 도료 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의 다른 실시 예에서 도료 토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배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차선 도색용 바스켓 110, 110a. 도료 저류통
120, 120a. 판스프링 122a. 절개홈
130, 130a. 보강편 140, 140a. 승강 작동판
150, 150a. 레일홈 152, 152a. 가이드 홈
154, 154a. 연결구 고정핀 156, 156a. 이탈방지 롤러
160, 160a. 연결구

Claims (6)

  1.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어지되 투입되는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시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에 있어서,
    상기 차선 도색용 바스켓은 일정간격으로 양측에 구성되는 측판 사이의 전후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구성되어지되 상기 양 측판의 하부에는 상기 후면판 하단과 밑판 후단과의 사이에 상기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도료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개방형 구조의 도료 저류통;
    상기 도료 저류통의 전면판 하단과 밑판의 선단 사이에 상기 도료 저류통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가 후방측 하단의 상기 도료 토출구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일정 경사각으로 이루어진 경사판;
    상기 도료 저류통의 후면판 하단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도료 토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지되 강제하는 수단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도료 토출구를 폐쇄시키지 않는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
    상기 도료 저류통의 후면을 구성하는 상기 후면판의 후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양측의 측판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일정두께의 보강편;
    상기 도료 저류통의 후면판과 보강편 사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된 피스톤을 포함한 실린더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을 탄성변형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도료 토출구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작동판;
    상기 승강 작동판의 승강시 상하의 일직선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 및
    상기 보강편의 후면 중심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상기 밑판의 후단에 비해 전방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후면판의 하단은 후방 하단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판스프링이 일정경사각으로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작동판 가이드 수단은 상기 후면판 후방측의 상기 양 측판 내측면 상에 상호 대향되어 상하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승강 작동판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 하는 레일홈;
    상기 승강 작동판의 중심부 상에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하로 형성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
    상기 승강 작동판 상에 형성되는 장홈의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상기 후면판 상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구의 후방 중심으로부터 상기 보강편과 가이드 홈을 경유하여 상기 후면판 상에 결합되는 연결구 고정핀; 및
    상기 가이드 홈 후방의 상기 양 측판 내측면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 작동판의 후방측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롤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지되 상기 승강 작동판의 하강 및 승강의 반복적인 작동을 통해 상기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의 토출을 제어하여 도로면 상에 일정간격의 돌출형 차선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저류통의 밑판 후단면과 상기 승강 작동판의 하단면 상에는 상호 대응하는 계단식 단턱이 더 형성되어 상기 계단식 단턱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도료 토출구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KR1020080132152A 2008-12-23 2008-12-23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KR10103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52A KR101036180B1 (ko) 2008-12-23 2008-12-23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52A KR101036180B1 (ko) 2008-12-23 2008-12-23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466A KR20100073466A (ko) 2010-07-01
KR101036180B1 true KR101036180B1 (ko) 2011-05-23

Family

ID=4263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152A KR101036180B1 (ko) 2008-12-23 2008-12-23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1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2603A (ja) * 1991-03-29 1992-10-26 Doboku Kenkyu Center 弾性舗装
KR100315332B1 (ko) 1999-05-18 2001-11-26 하용천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2603A (ja) * 1991-03-29 1992-10-26 Doboku Kenkyu Center 弾性舗装
KR100315332B1 (ko) 1999-05-18 2001-11-26 하용천 차선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466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17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EP0020659B1 (de) Verkehrsleiteinrichtung, verwendbar als mitteltrennung und strassenrandbarriere
US4828424A (en) Vehicle security barrier
EP2558642B1 (de) Bordstein und haltestelle für omnibusverkehr
EP2020460B1 (de) Übergangsvorrichtung von einer Betonschutzwand auf eine Stahlschutzplanke an Strassen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KR101036180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차량의 차선 도색용 바스켓
WO2017094037A1 (en) Movable artificial hump
EP0544202B1 (de) Bordstein und Haltestelle für Omnibusse od. dgl., insbesondere für kombinierten Bahn/Omnibus-Verkehr
KR20120120549A (ko) 횡단 보도 안전 장치
EP0758698A1 (en) Metal safety barrier for use in the median strip in roads
KR101392886B1 (ko) 돌출형 차선 자동시공장치
KR101133570B1 (ko)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 및 상기 선명도를 향상시킨 차선의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향상차선 도색장치와 선명도향상차선 도색방법
CN108867428A (zh) 一种市政道路减速带
KR20110131633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150715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DE4113508C2 (de) Bordstein für Bushaltestellen
KR101220951B1 (ko) 복합 차단 장치
KR20120004506U (ko) 승강장스크린도어의 미닫이 방식 비상도어
CN210066578U (zh) 一种防撞突破的高速车牌识别道闸一体机
CN204643501U (zh) 电梯门防脱槽装置及其地坎
CN204982748U (zh) 一种框架式混凝土护栏加高装置
CN206538710U (zh) 一种铁路运行安全警示装置
CN218668743U (zh) 埋置式立体停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