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752B1 -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752B1
KR100313752B1 KR1019940029166A KR19940029166A KR100313752B1 KR 100313752 B1 KR100313752 B1 KR 100313752B1 KR 1019940029166 A KR1019940029166 A KR 1019940029166A KR 19940029166 A KR19940029166 A KR 19940029166A KR 100313752 B1 KR100313752 B1 KR 100313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workpiece
zone
conveyor apparatus
electrod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155A (ko
Inventor
오오쿠보마사루
나카네신이치
야노히토시
아치와노리유키
후지와라시게키
Original Assignee
후쿠자와노리오
도리니티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자와노리오, 도리니티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자와노리오
Publication of KR95002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05B5/082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orting, holding or conveying the objects
    • B05B5/084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orting, holding or conveying the objects the objects lying on, or being supported above conveying means,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집전레일이나 접촉자를 사용하지 않고, 또 특별한 전압제어를 하지 않고 공작물을 반송하는 주행 베이스가 고전압인가존내를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작물에 확실히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컨베이어 장치 본체가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소정의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베이스에 절연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하는 고전압인가존을 주행 베이스가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그 주행 베이스에 대하여 전자파를 송신하는 전자파 송신수단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주행 베이스에는 상기 전자파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를 비접촉으로 수신하여 저전압을 출력하는 저전압발생수단과, 그 저전압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저전압을 소정전압까지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가 배열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도장기에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 靜電塗裝 )을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 차체 등의 공작물을 정전도장하는 경우에는 도료를 분무하는 정전도장기에 -80 ∼ 120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컨베이어 대차에 얹은 공작물을 접지하여 도장을 하고 있었다.
이 경우, 절연성 도료를 사용하여 정전도장을 하게 되나, 최근에는 세계적인 환경보전운동이 전개되어, 하이드로카본 등의 공해물질을 발생시키는 유기용제의 사용이 규제되며, 이에 따라 도장업계에 있어서도 신나 등의 유해한 유기용제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절연성 도료의 사용을 중단하고, 무공해의 수성도료에 의한 정전도장으로 이행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수성도료 등의 도전성 도료를 고전압이 인가된 정전도장기로 분무하는 경우에는, 그 도장기에 인가한 고전압이 누전되지 않도록 도료공급계에 절연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으므로 (일본국 특공소 55-114366호, 동 56-141869호 공보 참조), 수십가지색의 도료를 색을 바꾸어가며 다색도장을 하는 자동차 차체의 도장설비에 있어서는, 각색마다 각각의 도료공급배관이나 도료탱크 등을 절연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고전압이 인가된 도료공급계에는 도료공급배관이나 도료탱크 등의 주위를 방호챔버로 둘러싸는 등의 안전대책을 세울 필요도 있어서, 절연대책비나 안전대책비가 많이 들고, 설비 전체도 대형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본 출원인은 도료공급계에 절연대책을 세우지 않고 도전성 도료를 사용하여 정전도장을 할 수 있도록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컨베이어장치를 제안하였다(일본국 실개평 3-105948호, 실개평 4-16796호 공보 참조).
제10도는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로서, 레일(70)위를 주행하는 대차(71)에 공작물(W) 을 얹어놓고 여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72)가 소요의 절연거리를 유지하는 애자 등의 절연지주(73)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공작물(W) 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정전도장을 하는 고전압인가존(Zone)에는 대차(71)의 이송방향을 따라 집전( 集電 )레일(74)이 배열설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72)에 접속된 접촉자(75)가 집전레일(74)에 미끄럼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대차(71)가 고전압도장존에 도달하면, 접촉자(75)가 집전레일(74)에 미끄럼 접촉되어,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정전도장기나 도료공급계, 플로어 컨베이어 등에 절연대책을 세우지 않고 정전도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집전레일(75)에는 상시 고전압이 공급되어 있으므로 대차(71)의 접촉자(74)가 집전레일(75)에 접촉하는 순간 및 떨어지는 순간에 스파크가 생길 뿐만 아니라, 양자가 미끄럼접촉하고 있는 사이에도 접촉자(74)가 집전레일(75)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여 스파크가 생긴다.
그리고, 스파크가 생기면 그 열에 의하여 접촉자(74) 및 집전레일(75)의 표면이 녹아서 요철이 형성되어 버려, 그 결과, 다시 스파크가 생기기 쉬워지므로, 접촉자(74) 및 집전레일(75)을 빈번히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어, 유지보수가 매우 번거로웠다.
또, 집전레일(75)은 도장기와의 전위차가 크고, 도장기 사이에 정전장이 형성되어 버려, 집전레일(75)에 도료가 부착되기 쉬우므로, 이것을 빈번하게 세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유지보수가 매우 번거로웠다.
그 때문에, 집전레일을 절연유가 고여있는 오목홈내에 형성함으로써, 집전레일의 표면을 절연유로 덮어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정전장( 靜電場 )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4-61944호 공보 참조).
그러나, 도장존내에서 기름을 사용하면, 그 기름이 튀어서 공작물에 부착하였을 때에 기름이 도료를 튀기므로, 도장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 공작물을 고전압인가영역에 설치된 절연 컨베이어에 바꾸어 실어,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 3-224651호, 동 4-225857호 공보 참조).
이 경우에는 설비가 대규모로 될 뿐만 아니라, 절연 컨베이어에 옮겨질 때에 스파크가 생기지 않도록, 그 전후에 전압승압존, 강압존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전압제어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집전레일이나 접촉자를 사용하지 않고, 또 특별한 전압제어를 행하지 않고 공작물을 반송하는 주행 베이스가 고전압인가존내를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전극 어태치먼트를 통하여 공작물에 확실히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궤도를 따라 반송되는 공작물이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고전압인가존에서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그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소정의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베이스에 절연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하는 고전압인가존을 주행 베이스가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그 주행 베이스에 대하여 전자파를 송신하는 전자파 송신수단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주행 베이스에는 상기 전자파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를 비접촉으로 수신하여 저전압을 출력하는 저전압발생수단과, 그 저전압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저전압을 소정전압까지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배열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베이스가 고전압인가존에 도달하면, 도장부스내에 배열설치된 전자파 송신수단으로부터 주행 베이스에 대하여 전자파가 송신되어, 주행 베이스에 배열설치된 저전압발생수단으로 저전압이 출력된다.
전자파 송신수단으로서는, 예컨대 고전압인가존에 부설된 전자유도의 1차 회로가 되는 유전( 誘電 )레일이 사용되며, 저전압발생수단으로서 전자유도의 2차 회로가 되는 픽업코일이 사용된다.
그리고, 그 픽업코일을 유전레일에 비접촉으로 대향하도록 주행 베이스에 부착하면, 양자가 대향하고 있는 동안에만, 즉 공작물이 고전압인가존에서 반송되고있는 동안에만 저전압이 공급되고, 전압의 온오프제어를 행할 것도 없이 주행 베이스에 탑재된 고전압발생기에 입력되어 승압된다.
이와 같이 전자파가 비접촉으로 공급되고, 더욱이 저전압을 출력할 수 있을 정도의 낮은 에너지로 충분하므로, 주행 베이스가 고전압인가존내에 반입될 때나 고전압인가존으로부터 반출될 때에도 스파크가 생기지 않고, 전극 어태치먼트를 통하여 공작물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를 배치한 도장부스를 도시한 정면도, 제 2도는 그 측면도이다.
컨베이어 장치 본체(1) 는 얹어놓은 공작물(W) 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2) 를 절연상태로 부착한 복수의 슬랫 (주행 베이스)(3)이 도장부스(4) 의 전후에 설치된 적하장치(C) 및 중계장치(R) 사이를 주행하는 엔드리스 체인(5) 에 소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장부스(4) 내에는 공작물(W) 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정전도장을 하는 고전압인가존(H) 이 형성되고, 이 고전압인가존(H) 에는 접지된 도장기(T) 가 슬랫(3) 의 반송방향을 따라 트래킹가능하게 배열설치됨과 동시에, 공작물(W) 의 반송방향을 따라 전자유도의 1차 회로가 되는 유전레일 (전자파 송신수단)(6)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전레일(6) 은, 예컨대 도장부스(4) 내를 주행하는 슬랫(3) 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열설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슬릿(7a)을형성한 커버(7) 로 덮여있다.
그리고, 슬랫(3) 에는 전자유도의 2차 회로가 되는 픽업코일 (저전압발생수단)(8)이 상기 유전레일(6) 에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고, 이 픽업코일(8) 은 슬랫(3) 이 고전압 인가존(H) 내를 주행할 때에 상기 슬릿(7a)내에 삽입관통된 상태에서 비접촉으로 유전레일(6)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슬랫(3) 에는 전극 어태치먼트(2) 를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절연지주(9) 가 세워설치되고, 그 절연지주(9)의 좌우 양쪽에 소형의 고전압발생기(16) 및 고저항회로(11)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고전압발생기(10)는 상기 픽업코일(8) 로부터 출력되는 유도기전력을 1차 전원으로 하여 이것을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2) 에 고전압을 공급하여 공작물(W) 에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저항회로(11)는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을 통과하여 공작물(W) 에의 고전압의 인가가 종료하였을 때에 공작물(W) 및 전극 어태치먼트(2) 에 남은 정전기를 없애게 하는 것으로, 고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에 쇼트하지 않도록 그 저항치는 예컨대 수천~ 1만 MΩ으로 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저항회로(11) 대신에, 바라는 알람시그널이 입력되었을 때에 전극 어태치먼트(2)를 접지에 접속하는 접지스위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이 본 발명의 일예의 구성으로서,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전레일(6) 에 저전압 (예컨대, 300 ∼ 500V 정도) 의 교류전류를 공급하고, 컨베이어 장치 본체(1) 를 기동한다.
공작물(W)은 도장부스(4)의 바로앞에 배열설치된 적하장치(C)에 의하여 슬랫(3) 위에 얹어놓여져서, 도장부스(4) 내로 반입된다.
그리고, 공작물(W) 을 얹은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에 이르면, 그 슬랫(3) 에 부착된 픽업코일(8) 이 커버(7)내의 슬릿(7a)내에 삽입되어 유전레일(6)과 비접촉으로 대향한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유전레일(6) 에는 소정전압의 교류전류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전자유도에 의하여 픽업코일(8)에 유도기전력이 생기고, 이것이 슬랫(3)에 탑재된 고전압발생기(10)에 공급된다.
고전압발생기(10)는 그 유도기전력을 1차 전원으로 하여 이것을 승압시켜, 최종적으로 전극 어태치먼트(2) 에 직류고전압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극 어태치먼트(2) 를 통하여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되며, 접지된 도장기(T) 로부터 도료를 분무화하는 것만으로 정전도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을 통과하면 픽업코일(8) 과 비접촉으로 대향하고 있던 유전레일(6)이 끊기므로, 유도기전력이 생기지 않게 되며, 따라서 공작물(W) 에의 고전압의 인가가 자동적으로 정지되고, 중계장치(R) 에 의하여 대차(3) 로부터 내려져서 다음의 열처리 건조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공작물(W) 이나 전극 어태치먼트(2) 에 남아있는 전하는 고저항회로(11)를 통하여 접지로 이동하므로, 슬랫(3) 에 정전기가 축적되는 일도 없다.
즉,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은 고전압인가존내를 주행하고 있는동안 뿐이고, 공작물(W) 이 중계장치(R) 에서 다음의 컨베이어에 옮겨질 때에 정전기가 이동하고 있으므로 안전하다.
그리고,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내를 주행하여,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에도, 고저항회로(11)는 접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공작물(9) 에 인가되는 고전압은 약간 접지로 이동하게 되나, 그 저항치가 높으므로, 과전류가 흐르거나 쇼트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을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고전압발생기의 1차 전원이 비접촉으로 공급되므로, 회로의 단속조작을 일체 행하지 않고 공작물(W) 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공급개시/ 중지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유전레일(6) 에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픽업코일(8) 에 고전압발생기(10)의 1차 전원으로서 필요한 유도기전력이 생길 정도의 저전력이 공급되어 있으면 족하므로, 도장기(T) 와의 사이에 강한 정전장이 형성되지도 않고, 따라서 유전레일(6) 에 도료가 정전도착되는 일은 없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 4도는 그 평면도이다. 그리고, 제 1도 및 제 2도와 중복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예에서는, 전자유도방식에 의하여 고전압발생기(10)에 1차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실시예 대신에 마이크로파 전송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도장부스(4) 내에는 고전압인가존(H) 을 주행하는 슬랫(3) 에 대하여 마이크로파를 송신하는 마이크로파 송신안테나 (전자파 송신수단)(21) 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슬랫(3) 에는 상기 마이크로파 송신안테나(21)에 대향하도록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22)가 부착되고, 그 수신안테나(22) (저전압발생수단) 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고전압발생기(1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송신안테나(21)는 예컨대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에 이른 시점부터 통과가 끝날 때까지, 마이크로파 수신 안테나(22)로 마이크로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그 동안의 마이크로파 수신 안테나(22)의 이동거리를 커버하는 소정의 조사( 照射 )각도로 마이크로파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22)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소정전압의 직류 또는 교류로 변환되며, 고전압발생기(10)는 이것을 1차 전원으로 하여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2) 에 직류고전압을 공급하여, 그위에 얹어놓인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송신안테나(21)로부터 소정의 조사각도로 마이크로파를 송신시켜, 컨베이어 장치 본체(1) 를 기동시키면, 공작물(W) 을 얹은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에 이른후 통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마이크로파 송신안테나(21)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로파가 슬랫(3)에 형성된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22)로 수신된다.
마이크로파가 수신되고 있는 동안에 수신된 마이크로파는 소정전압의 직류 또는 교류전류로 변환되어, 이것이 고전압발생기(10)에 공급된다.
고전압발생기(10)는 그 유도기전력을 1차 전원으로 하여 이것을 승압시켜, 전극 어태치먼트(2) 에 고전압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극 어태치먼트(2) 를 통하여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접지된 도장기(T) 로부터 도료를 분무화하는 것만으로 정전도막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을 통과하면,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22)에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지 않게 되므로, 공작물(W) 에의 고전압의 인가가 정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을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만 고전압발생기의 1차 전원이 비접촉으로 공급되게 되므로, 회로의 단속조작을 일체 행하지 않고, 공작물(W) 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공급개시/ 중지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 5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 6도는 그 측면도이다. 그리고 제 1도 및 제 2도와 중복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도파관에 마이크로파를 유도하여 1차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도장부스(4) 내의 고전압인가존(H) 에는 공작물(W) 의 반송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도파관 (전자파 송신수단)(31) 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도파관(31)은, 예컨대 도장부스(4) 내를 주행하는 슬랫(3) 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열설치되고, 한끝 쪽에는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32)이 부착되어 있다.
또, 도파관(31)은 단면이 폭넓게 형성되고, 그 바닥면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릿(33)이 반파장 이하의 폭으로 개구형성됨과 동시에, 그 슬릿(33)의 개구부에는 깊이가 1/4 파장의 마이크로파 누설방지용의 위상변환기(3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슬랫(3) 에는 상기 도파관(31)의 슬릿(33)내에 비접촉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35)가 브래킷(36)의 선단에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35)는 스프링(37)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도파관(31)의 아래쪽으로 배열설치된 가이드 레일(38)에 의하여 안테나(35)의 하단부가 밀려서 슬릿(33)내로 1/4 파장만큼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35)로 수신된 마이크로파는 소정전압의 직류 또는 교류전류로 변환되어 이것이 고전압발생기(10)에 공급되어 승압된다.
고전압발생기(10)는 최종적으로 전극 어태치먼트(2) 에 직류 고전압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극 어태치먼트(2) 를 통하여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접지된 도장기(T) 로부터 도료를 분무화하는 것만으로 정전도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마그네트론(32)을 기동시켜 도파관(31)내에 마이크로파를 공급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 장치(1) 를 기동시킨다.
이때, 도파관(31)의 슬릿(32)은 폭넓은 바닥면의 중심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그 폭이 반파장 이하로 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상변환기(3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릿(32)으로부터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일이 없다.
이어서,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에 이르면,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35)의 하단이 가이드레일(38)에 의하여 스프링(37)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밀어올려져, 그 선단이 도파관(31)내로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파관(31)내를 전달하는 마이크로파가 수신되고, 이것이 소정전압의 직류 또는 교류전류로 변환되어, 고전압발생기(10)의 1차 전원으로서 공급된다.
그리고, 고전압발생기(10)로부터 전극 어태치먼트(2) 에 고전압이 공급되어,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접지된 도장기 (도시하지 않음) 로부터 도료를 분무화하는 것만으로 정전도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을 통과하면,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35)가 스프링(37)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도파관(31)으로부터 빠져서, 마이크로파를 수신할 수 없게 되므로, 공작물(W) 에의 고전압의 인가가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예에 있어서도, 슬랫(3) 이 고전압인가존(H) 을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만, 고전압발생기의 1차 전원이 비접촉으로 공급되게 되므로, 회로의 단속조작을 일체 행하지 않고, 공작물(W) 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공급개시/ 중지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도파관(31)을 통하여 마이크로파를 전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도파관(31)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35)를 삽입하고 빼냄으로써 정확한 타이밍으로 고전압의 온오프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35)를 슬릿(33)에 대하여 진퇴시켜 삽입하고 빼내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35)를 고정해두고, 슬릿(33)에 연속하는 슬릿을 도파관(31)의 양 단면에도 형성하여 도파관(31)의 양 단면에서 안테나(35)를 도입하는 경우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모두 컨베이어 장치 본체(1)로서 슬랫(3) 을 무단체인(5) 에 부착한 슬랫 컨베이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플로어위에 소정의 레이아웃으로 루프상으로 배열설치된 레일위를 따라 대차를 주행시키는 것이나, 1대의 대차를 직선레일을 따라 왕복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제 7도는 또다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 8도 및 제 9도는 각각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제 1도∼제 2도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장종료후에 열처리건조로에 반입하기전에 될 수 있는대로 빨리 도막중의 여분의 수분을 튕기므로 소정온도까지 가열하는 프리히이트존이 형성되어 있고, 도장종료한 공작물을 고온 (예컨대 약 140℃) 의 열처리 건조로에 갑자기 반입하여 급속 가열하였을 때, 도막중의 여분의 수분이 증발하여 도막표면에 기포가 형성되어 도장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컨베이어 장치 본체(1) 는 공작물(W) 을 얹어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2) 가 무단체인(5) 에 의하여 주행되는 슬랫(3) 에 절연지주(9) 를 통하여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슬랫 컨베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단체인(5) 은 도장존(T) 의 바닥 윗쪽에 진출하여 그 도장존(T) 및 프리히이트존(P) 내를 주행한 후, 그 프리히이트존(P) 에 연결접속된 열처리건조로(F) 의 바로앞에서 바닥 아래쪽에 퇴출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슬랫(3)에는 도장존(T) 내에 배열설치된 유전레일(6) 에 비접촉상태로 대향하는 픽업코일(8) 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픽업코일(8) 로 발생한 유도기전력을 소정의 고전압까지 승압하는 고전압발생기(10)가 탑재되고, 그 고전압발생기(10)에 의하여 전극 어태치먼트(2) 에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코일(8) 및 고전압발생기(10)는 슬랫 컨베이어(2) 의 세정성을 고려하여 슬랫(3) 의 이면쪽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리히이트존(P) 에는 적외선 램프를 다수 배열한 복사패널 (복사열 히이터) (40R, 40L, 40U) 이 컨베이어 장치 본체(1) 로 반송되어온 공작물(W) 의 좌우쪽면 및 윗면에 대향하도록 좌우쪽벽 및 천정의 3면을 따라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 컨베이어 장치 본체(1) 와 그 좌우 양쪽에 배열설치된 복사패널(40R, 40L)과의 사이에는 각 패널(40R, 40L)로부터 컨베이어 장치 본체(1)를 향하여 방사되는 열을 차단하는 차열판(41R, 41L)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차열판(41R, 41L)은 제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 본체(1)의 바닥위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금속판으로 되고, 구체적으로는 바닥위를 주행하는 슬랫(3) 의 좌우 양쪽에서 전극 어태치먼트(2) 의 대략 상단의 높이까지 세워 설치됨과 동시에, 그 선단이 전극 어태치먼트(2) 의 상단쪽 좌우 양단부와 대향하도록 안쪽에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열판(41R, 41L)의 이면이 고온으로 가열되면, 차열판(41R, 41L)으로부터 방사된 열로 컨베이어 장치 본체(1) 가 가열되므로, 예컨대 차열판(41R, 41L)은 단열재를 끼운 금속판으로 형성하거나, 또 필요에 따라 냉각수를 순환공급하는 냉각관(42)을 부가설치하고 있다.
또, 도장존(T) 및 프리히이트존(P) 의 바닥 아래쪽에는 도장존(T) 으로 도착한 도료를 세정제거하기 위한 세정존(S) 및 이것을 건조시키는 건조존(D) 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존(S) 에는 절연지주(9) 를 향하여 세정액 (예컨대 세정수) 을 뿜는 샤워노즐(43)과, 샤워노즐(43)로부터 세정액을 뿜음과 동시에, 상기 절연지주(9) 를 브러싱하여 부착도료를 제거하는 회전 브러시(44)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지주(9) 에 세정액을 뿜을 뿐만 아니라, 전극 어태치먼트(2) 에 세정액을 뿜는 샤워노즐 (도시하지 않음) 과 전극 어태치먼트(2) 의 좌우 양쪽 및 뒷쪽을 브러싱하는 회전 브러시 (도시하지 않음) 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도 좋다.
건조존(D) 은 세정종료한 전극 어태치먼트(2) 가 도장존(T) 에 반입되었을 때에, 전극 어태치먼트에 인가된 고전압이 젖은 절연지주(9) 를 통하여 슬랫(3) 에 누설되지 않도록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극 어태치먼트(2) 및 절연지주(9) 의 양쪽을 향하여 공기를 뿜는 에어블로어(45)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건조시간을 더욱 단축시키고 싶은 경우, 열풍을 불어넣어도 좋고, 또한 열풍에 의하여 가열된 전극 어태치먼트(2) 및 절연지주(9) 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열풍을 뿜는 에어블로어의 후단쪽에 다시 냉풍을 뿜는 에어블로어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도장장치로 수성도료에 의한 정전도장을 행하는 경우, 먼저 공작물(W) 은 도장존(T) 의 바로앞에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1) 의 전극 어태치먼트(2) 에 얹혀서 도장존(T) 내에 반입된다.
이때, 슬랫(3) 에 부착된 픽업코일(8) 이 유전레일(6) 에 대향되어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고, 이 유도기전력이 고전압발생기(7) 로 승압되어 전극 어태치먼트(2) 를 통하여 공작물(W) 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도장기 (도시하지 않음) 에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수성도료에 의한 정전도장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컨베이어 장치 본체(1) 의 좌우 양쪽에 배열설치된 도장기로부터 분무된 수성도료는 공작물(W) 에 부착할 뿐만 아니라, 공작물(W) 을 얹어놓고 있는 전극 어태치먼트(2) 나 이것을 지지하는 절연지주(9) 에도 부착한다.
그리고, 도장존(T) 을 통과하면, 픽업코일(8) 이 유전레일(6) 로부터 떨어지므로, 전극 어태치먼트(2) 에 인가되어 있던 고전압의 공급이 정지되고, 슬랫(3)은 공작물(W) 을 얹은 전극 어태치먼트(2) 나 절연지주(9) 에 도료가 부착된 채의 상태로 프리히이트존(P) 내를 주행한다.
프리히이트존(P) 에서는 복사패널(40R, 40L, 40U) 에 배열설치된 적외선 램프로부터 공작물(W) 의 표면에 열이 방사되어 그 도막에 함유된 여분의 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건조된다.
이때, 컨베이어 장치 본체(1) 의 전극 어태치먼트(2) 나 절연지주(9) 는 차열판(41R, 41L)으로 덮혀 있으므로, 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료가복사패널(40R, 40L, 40U) 의 열에 의하여 건조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극 어태치먼트(2) 나 절연지주(9) 에 부착되어 있는 도료는 미건조상태인채로 프리히이트존(P) 을 통과한다.
그리고, 공작물(W) 은 프리히이트존(P) 으로부터 반출된 곳에서, 중계장치(R) 에 의하여 열처리건조로(F) 내를 주행하는 다음의 컨베이어에 옮겨 실려진다.
공작물(W) 이 내려진 슬랫(3) 은 무단체인(5) 에 의하여 바닥 아래쪽으로 퇴출하여 도장존(T) 의 바로앞쪽까지 바닥아래를 주행하나, 절연지주(9) 에 부착한 도료는 아직 젖어 있으므로, 이대로 도장존(T) 까지 이송되어 전극 어태치먼트(2) 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절연지주(9) 에 부착되어 있는 도료를 통하여 접지체인 슬랫(3) 에 고전압이 누설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바닥 아래쪽에 형성된 세정존(S) 및 건조존(D) 에서 그 표면이 부착된 도료를 세정제거하여 건조시킨다.
먼저, 세정존(S) 에서는 절연지주(9) 를 향하여 샤워노즐(43)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됨과 동시에, 회전 브러시(44)에 의하여 절연지주(9) 가 브러싱되어 절연지주(9) 에 부착되어 있는 도료가 제거된다.
이때, 전극 어태치먼트(2) 및 절연지주(9) 에 부착된 도료는 프리히이트존(P) 으로 건조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교적 간단히 세정제거할 수 있다.
또, 세정존(S) 에 전극 어태치먼트(2) 의 뒷쪽에 세정수를 뿜는 샤워 노즐 및 전극 어태치먼트(2) 의 뒷쪽을 브러싱하는 회전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들에 의하여 전극 어태치먼트(2) 의 뒷쪽에 부착되어 있는 도료도 세정제거된다.
그리고, 슬랫(3) 은 세정존(S) 을 통과한 후, 이번에는 건조존(D) 에 반송되어 바닥아래쪽을 주행하는 컨베이어 장치 본체(1) 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에어블로어(45)로부터 열풍이 뿜어나와 세정수로 젖어 있는 전극 어태치먼트(2) 및 절연지주(9) 가 건조된다.
따라서, 전극 어태치먼트(2) 가 바닥위에 진출하여 도장존(T) 에 도달할 때에는, 그 전극 어태치먼트(2) 및 이것을 슬랫(3) 에 부착지지하는 절연지주(9) 는 이미 건조되어 있으므로, 전극 어태치먼트(2) 에 고전압이 인가되어도 접지체인 슬랫(3) 에 고전압이 누설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세정존(S) 에서는 샤워노즐(43)과 회전브러시(44)를 병용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샤워노즐(43)만을 배치하여, 그 샤워노즐(43)로부터 절연지주(9) 에 대하여 그 부착도료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건조존(D) 에서는 에어블로어(45)에 의하여 공기를 뿜어 공작물(W) 을 건조시키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적외선 램프 등의 복사열 히이터로부터 방사되는 열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경우라도 좋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를 배치한 도장부스를 도시한 정면도,
제 2도는 그 측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 4도는 그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 6도는 그 측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 8도는 그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 9도는 다른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10도는 종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각 주행 베이스마다 탑재되어 있고, 그 주행 베이스가 고전압인가존을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만 그 주행 베이스에 대하여 고전압발생기의 1차 전원이 비접촉으로 공급되므로, 집전레일이나 접촉자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 회로를 단속하거나 특별한 전압제어를 행하지 않고 공작물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공급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단속할 수 있으므로,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고전압인가존내를 반송되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또, 컨베이어 장치 본체가 도장존과 프리히이트존에 연결접속하여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도료종료한 공작물을 바꾸어 싣지 않고 그대로 프리히이트존으로 반송할 수 있어서, 즉시 도막의 여분의 수분이 건조제거되어 표면에의 먼지부착이 방지됨과 동시에 도막의 흘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료가 부착된 컨베이어가 열처리건조로를 주행하지 않으므로, 컨베이어에 도료가 눌어붙지 않고, 또한 프리히이트존내에는 전극 어태치먼트 및 지주를 덮도록 차일판이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장종료직후에 공작물의 도막표면의 건조를 방해하지 않고 전극 어태치먼트 및 지주에 부착된 도막표면의 건조를 확실히 방지하여 컨베이어의 세정성을 높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도료가 절연지주에 부착한 상태로 눌어붙기전에 바닥아래로 퇴출되어 세정장치로 수세세정되므로, 절연지주에 부착된 도료를 매우 간단하게 세정제거할 수 있고, 이어서 건조장치로 절연지주 및 이에 지지된 전극 어태치먼트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이 건조되므로, 무단체인에 의해 다시 도장존으로 되돌려져서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이 인가되어도 그 절연지주를 통하여 접지체인슬랫고전압이 누설되는 일이 없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정의 궤도를 따라 반송되는 공작물이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고전압인가존을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그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소정의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베이스에 절연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하는 고전압인가존을 주행 베이스가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그 주행 베이스에 대하여 전자파를 송신하는 전자파 송신수단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주행 베이스에는 상기 전자파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를 비접촉으로 수신하여 저전압을 출력하는 저전압발생수단과, 그 저전압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저전압을 소정전압까지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배열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2. 소정의 궤도를 따라 반송되는 공작물이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고전압인가존을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그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소정의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베이스에 절연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행하는 고전압인가존에 공작물의 반송방향을 따라 전자유도의 1차 회로가 되는 유전레일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주행 베이스에는 전자유도의 2차 회로가 되는 픽업코일이 상기 유전레일에 비접촉으로 대향하도록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유전레일과의 전자유도에 의하여 픽업코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3. 소정의 궤도를 따라 반송되는 공작물이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고전압인가존을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그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소정의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베이스에 절연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행하는 고전압인가존을 주행하는 주행 베이스에 대하여 마이크로파를 송신하는 마이크로파 송신안테나가 배치되고,
    상기 주행 베이스에는 상기 마이크로파 송신안테나로부터 송신된 마이크로파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와, 그 수신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소정의 궤도를 따라 반송되는 공작물이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고전압인가존을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그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소정의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베이스에 절연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행하는 고전압인가존에 공작물의 반송방향을 따라 도파관이 배열설치되고, 그 도파관에는 마이크로파를 발진하는 마이크로파 발진기가 부착되고,
    상기 주행 베이스에는 상기 도파관에 형성된 슬릿내에 비접촉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파 수신안테나와, 그 수신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소정의 궤도를 따라 반송되는 공작물이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고전압인가존을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그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무단체인에 의하여 도장존의 바닥 위쪽으로 진출하여 열처리건조로보다 앞쪽에서 바닥 아래쪽으로 퇴출하도록 주행되게 하는 슬랫에 절연지주를 통하여 부착된 슬랫 컨베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하는 고전압인가존을 슬랫이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그 슬랫에 대하여 전자파를 송신하는 전자파 송신수단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슬랫에는 상기 전자파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를 비접촉으로 수신하여 저전압을 출력하는 저전압발생수단과, 그 저전압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저전압을 소정전압까지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배열설치되고,
    바닥 아래쪽에 퇴출된 상기 컨베이어 장치 본체의 진행방향을 따라 좌우양쪽에서 각 절연지주를 수세세정하는 세정장치와, 그 세정장치에 의한 수세세정이 종료된 절연지주 및 이에 지지된 전극 어태치먼트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6. 소정의 궤도를 따라 반송되는 공작물이 도장부스내에 형성된 고전압인가존을 반송하고 있는 동안에, 그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 본체는 공작물을 얹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어태치먼트가 무단체인에 의하여 도장존의 바닥 위쪽으로 진출하여 열처리건조로보다 앞에서 바닥 아래쪽으로 퇴출하도록 주행되게 하는 슬랫에 절연지주를 통하여 부착된 슬랫 컨베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무단체인은 도장존의 바닥 위쪽으로 진출하여 그 도장존 및 프리히이트존내를 주행한 후에 그 프리히이트존에 연결접속된 열처리건조로의 앞에서 바닥 아래쪽으로 퇴출하도록 배열설치되고,
    상기 도장부스내에는 공작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도장을 하는 고전압인가존을 슬랫이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그 슬랫에 대하여 전자파를 송신하는 전자파 송신수단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슬랫에는 상기 전자파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자파를 비접촉으로 수신하여 저전압을 출력하는 저전압발생수단과, 그 저전압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저전압을 소정전압까지 승압하여 상기 전극 어태치먼트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가 배열설치되고,
    상기 프리히이트존에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 본체와 그 좌우 양쪽에 배열설치된 복사열 히이터와의 사이에 그 각 히이터로부터 컨베이어 장치 본체를 향하여 방사되는 열을 차단하는 차열판이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장치.
KR1019940029166A 1994-04-01 1994-11-08 컨베이어장치 KR100313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426194A JP3244932B2 (ja) 1994-04-01 1994-04-01 コンベア装置
JP94-64261 1994-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155A KR950029155A (ko) 1995-11-22
KR100313752B1 true KR100313752B1 (ko) 2002-04-06

Family

ID=1325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166A KR100313752B1 (ko) 1994-04-01 1994-11-08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03769A (ko)
EP (1) EP0674947B1 (ko)
JP (1) JP3244932B2 (ko)
KR (1) KR100313752B1 (ko)
CA (1) CA2133599C (ko)
DE (1) DE69416821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614B2 (en) 2003-12-10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contact feeder system
KR100811179B1 (ko) 2006-05-02 2008-03-07 태산도장 주식회사 수성 및 수용성도료용 마이크로파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5048A1 (de) * 1997-06-13 1998-12-17 Audi Ag Anlage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Gegenständen
JP4182182B2 (ja) * 1999-05-14 2008-11-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ハイブリッド搬送台車
DE10012658A1 (de) * 2000-01-21 2001-07-26 Wurster Gerd Pulverbeschichtungsanlage
DE10216440B4 (de) * 2002-04-12 2010-11-25 Krups Gmbh Förderbahn auf Flurhöhe mit geraden, gebogenen und/oder winkligen Förderbahn-Abschnitten für einen oder mehrere Werkstückträger
KR100809568B1 (ko) * 2004-04-23 2008-03-04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무화기를 구비한 가열 송풍 장치
US8367978B2 (en) * 2006-10-05 2013-02-05 Magna International Inc. Hybrid infrared convection paint baking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102006049670A1 (de) * 2006-10-18 2008-04-24 W + I Oberflächen-System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Gegenständen
DE102008046503A1 (de) * 2008-09-09 2010-05-06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Förderkette und Trockenofen mit einer solchen
DE102010045014A1 (de) 2010-09-10 2012-03-15 Eisenmann Ag Anlage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Fahrzeugkarosserien
JP2016025685A (ja)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松浦電弘社 電力供給システム、給電装置、受電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CN108689104B (zh) * 2018-05-24 2023-11-10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一种电气控制自动化生产定频操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5892A (en) * 1974-01-14 1975-04-08 Ransburg Corp Apparatus for avoiding sparks in an electrostatic coating system
US3937180A (en) * 1974-04-10 1976-02-10 The Gyromat Corpor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charging workpieces for spray coating application
JPS55114366A (en) * 1979-02-28 1980-09-03 Nippon Radiator Co Ltd Feeding device of coating material for electrostatic coating
JPS5833184B2 (ja) * 1979-09-07 1983-07-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炉不定形炉材用バインダ−
JPS6475077A (en) * 1987-09-12 1989-03-20 Taikisha Kk Spray electrostatic coating method
DE3800448A1 (de) * 1988-01-09 1989-07-20 Ribnitz Pet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laufbeschichtung von werkstuecken
JPH03105948A (ja) * 1989-09-19 1991-05-02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619098B2 (ja) * 1989-12-27 1997-06-11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導電性塗料の静電塗装設備とそれに使用する集電レール
JPH0416796A (ja) * 1990-05-10 1992-01-21 Rigaku Corp 放射線遮蔽カバー用構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6483A (ja) * 1990-06-01 1992-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プラズマ発生装置
JP2528201B2 (ja) * 1990-06-26 1996-08-28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静電塗装用荷電装置
JP2567506B2 (ja) * 1990-08-30 1996-12-25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導電性塗料の静電塗装設備
JP2810796B2 (ja) * 1990-12-28 1998-10-15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導電性塗料の静電塗装設備
US5190588A (en) * 1990-08-30 1993-03-02 Trinity Industrial Corporation Electrostatic coating facility for electroconductive coating material
EP0509374B1 (en) * 1991-04-18 1998-03-04 Alltrist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curing a coating of a metal substr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614B2 (en) 2003-12-10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contact feeder system
KR100811179B1 (ko) 2006-05-02 2008-03-07 태산도장 주식회사 수성 및 수용성도료용 마이크로파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65748A (ja) 1995-10-17
DE69416821D1 (de) 1999-04-08
EP0674947A2 (en) 1995-10-04
EP0674947A3 (en) 1995-12-06
EP0674947B1 (en) 1999-03-03
KR950029155A (ko) 1995-11-22
DE69416821T2 (de) 1999-11-11
CA2133599A1 (en) 1995-10-02
JP3244932B2 (ja) 2002-01-07
CA2133599C (en) 2004-02-17
US5603769A (en) 1997-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752B1 (ko) 컨베이어장치
KR0127775B1 (ko) 분말 코팅(Powder Coating)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06252A (ko) 정전분체 도장장치
EP12700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der coating with induction heating
ES2043264T3 (es) Aparato para recubrimiento por pulverizacion de liquidos, por atomizacion electrostatica rotativa.
US2509448A (en)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coating articles
US5176755A (en) Plastic powder coated metal strip
US4563977A (en) Electrostatic coating plant
KR101913637B1 (ko) 기판을 표면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EP0426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can bodies having an internal coating
KR100290001B1 (ko)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JPH07313909A (ja) コンベア装置
KR200214734Y1 (ko) 무늬형성을 위한 분체도장 장치
JPH08103696A (ja) コンベア装置
JPH08103693A (ja) コンベア装置
JPH07313920A (ja) 塗装設備
JPH08103694A (ja) コンベア装置
JPH08103695A (ja) コンベア装置
JPH08294661A (ja) 塗装方法
JP3626296B2 (ja) 乾燥炉
JPH08252492A (ja) ワーク加電式静電塗装装置
JPH08229449A (ja) ワーク加電塗装システム
JPH08229454A (ja) ワーク加電塗装システム
JPH0728924Y2 (ja) コンベア台車
JPH08229451A (ja) ワーク加電塗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