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001B1 -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001B1
KR100290001B1 KR1019980059374A KR19980059374A KR100290001B1 KR 100290001 B1 KR100290001 B1 KR 100290001B1 KR 1019980059374 A KR1019980059374 A KR 1019980059374A KR 19980059374 A KR19980059374 A KR 19980059374A KR 100290001 B1 KR100290001 B1 KR 100290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urnace
furnace
powder
dry furnac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259A (ko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박창규
주식회사칠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규, 주식회사칠칠기업 filed Critical 박창규
Priority to KR101998005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00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 B05D1/06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01/0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 B05D2401/3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other forms than involving eliminable solvent, diluent or dispersant
    • B05D2401/32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other forms than involving eliminable solvent, diluent or dispersant applied as pow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도장용 건조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이 확개된 함체 형상의 건조로 전방 입구부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을 형성하고,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로내에 순환, 공급 시키되, 상기의 열풍이 건조로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체류될수 있게 구성하여 로내의 온도를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서 이를 통해 건조되는 제품의 품위를 안정시키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열원의 손실을 줄여 경제성 및 채산성이 확보될수 있게함과 동시에 작업환경을 개선할수 있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본 발명은 분체 도장용 건조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이 확개된 함체 형상의 건조로 전방 입구부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을 형성하고,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로내에 순환, 공급 시키되, 상기의 열풍이 건조로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체류될수 있게 구성하여 로내의 온도를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서 이를 통해 건조되는 제품의 품위를 안정시키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열원의 손실을 줄여 경제성 및 채산성이 확보될수 있게함과 동시에 작업환경을 개선할수 있게 한 분체 도장용 건조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공정에서 완성된 금속 제품의 표면에 분체도장을 취하는 이유는 제품을 구성하는 재질적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개 내식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습성, 내후성등을 유지시켜 제품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과, 도막의 두께나 색상에 의해 표출되는 외표면의 품위에 따라 달라질수 있는 제품에 대한 상품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분체 도장을 전문적으로 행하는 각 업체의 설비는 피도체의 크기나 수량, 용도등의 요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첨부된 도 1 에서와 같은 도장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일정면적의 작업장 내에 전처리공정과 건조로가 배치되어 있고, 피도체의 크기에 따라 취사선택되는 자동 또는 수동식의 도장공정, 열처리 및 건조공정이 일정 거리로 유격된채 배치 고정되어 있고, 각 공정마다 피도체를 고정한채 일정속도로 이송시켜 순환하는 행거장치가 일정 궤도를 따라 순환하도록 배치고정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의 분체 도장시스템중 건조공정은 피도체의 표면에 도포된 특정의 분체를 융착, 즉 녹여붙여 마감하는 열처리 공정으로서 이 건조공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제품 표면의 도장 상태가 장구히 유지되게되고, 원하는 색상과 광택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건조로는 그 내부 온도가 피도체의 두께나 분체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개 180 ∼ 200℃의 고온을 유지하고 있고 이러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고온의 건조로를 피도체가 8 ∼ 15분 동안 체류 이동하는 것이 제품에 가장 이상적이다.
한편, 종래의 건조로는 수평 터널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피도체를 고정한 행거가 일측 입구부로 진입하여 타측의 출구부로 이동하는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풍이 건조로 양측의 입구부와 출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버려 열량의 손실이 매우 크고, 로내의 온도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여 제품에 대한 국부 가열현상이 야기되므로 인한 제품의 품위저하와 불량율이 상승되는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상기의것은 로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위해 과도한 연료 또는 전기의 소모가 불가피하고, 외부로 발산되는 열풍은 곧바로 작업장 내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작업환경을 열악하게 하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것은 행거가 피도체를 고정하고 터널형태의 수평건조로 내를 통과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도유지를 위한 건조로의 길이가 길어져야만 하여 설치면적이 비대하여지는 문제와 함께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병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위해 연구 창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같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후방이 확개된 함체 형상의 건조로 전방 입구부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을 형성하고,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로내에 순환, 공급 시키되, 상기의 열풍이 건조로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체류될수 있게 구성하여 로내의 온도를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서 이를 통해 건조되는 제품의 품위를 안정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건조로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내에 열풍을 가두어 체류시켰다가 순환시키는 방식을 택해 열원의 손실을 최소화 함으로서 연료 및 전력의 소모를 줄여 경제성 및 채산성이 확보될수 있게함과 동시에 작업환경을 개선할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분체도장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종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평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구 2 : 경사공간
3 : 가열원 10 : 수세 및 탈지로
20 : 수분건조로 30 : 분체자동부스
40 : 분체수동부스 50 : 건조로
60 : 행거장치 70 : 가이드레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의 작업장 내에 전처리공정인 수세 및 탈지로(10)와 수분건조로(20)가 배치되고, 피도체(100)의 크기에 따라 취사선택되는 분체자동부스(30) 및 분체수동부스(40)로 구성된 도장공정과 열처리를 행하는 건조로(50)가 일정 거리로 유격된채 배치되어 각 공정마다 피도체(100)를 고정한채 일정속도로 이송되는 행거장(60)치가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순환 하면서 피도체(100)의 표면에 도장처리를 행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50)는 일정길이를 갖는 직육면체의 함체 형상을 갖고 전방의 입,출구(1)부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2)이 형성 되는것에 의해 상,하가 구분되어 상기 건조로(50)의 후방측 높이가 전방측 보다 높게 수평위치되며,
상기 건조로(50)의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3)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건조로(50)내에 공급, 순환시키되,
상기 경사공간(2)에 의해 건조로(50)내의 열풍이 외기와 차단되어 외부로 발산, 소실되지 않고 함체형상의 건조로(5)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체류될수 있게 구성되어 로내의 온도가 고르게 분포된다.
이때 상기 건조로(50)는 그 후방이 확개 연통되어 체류되는 열풍의 분포도를 더욱 고르게 유지시킬수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4 는 열풍공급함체, 5 는 열풍 배출함체, 6 은 연결덕트 7 은 연도, 80 은 피도체 거치부, 90 은 이물질 수동 제거부, 200 은 완성품 해체부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피도체 거치부(80)에서 가이드레일(70)로 이루어진 궤도를 따라 순환하는 다수개의 행거장치(60)에 피도체(100)를 각각 고정시킨다.
이러한 작업은 일정속도로 이송되는 행거장치(60)에 기 준비되어 있는 피도체(100)를 작업자가 착탈용이하게 끼워 주기만 하면 되므로 이를 행하는 작업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다.
행거장치(60)에 고정된 피도체(100)는 행거장치(60)의 이동에 따라 다수개의 수분 분사노즐(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는 수세 및 탈지로(10)에 투입되어 이를 통과하면서 기름때, 먼지등의 각종 이물질이 세척된다.
상기의 수세 및 탈지로를 통과한 피도체(100)는 일정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수분건조로(20)에 이동되게되고 이 공정을 통과하면서 피도체(100)의 표면에 묻어 있던 수분이 증발, 제거됨과 동시에 표면을 예열하여 전처리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수분건조로(20)를 통과한 피도체(100)는 이물질 수동제거부(90)에 이르게 되는데, 이공정에서는 작업자가 피도체(10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세 및 탈지로(10)에서 미처 이탈되지 않은 여분의 부착 이물질을 압축공기등을 국부적으로 분사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전처리 공정을 통과한 피도체(100)는 도장공정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표면에 소정의 분체가 도포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피도체(100)가 규격품으로서 다량인 경우 분체 자동부스(30)를 통과하면서 자동 도포기에 의해 도포되게 되고, 피도체(100)가 비 규격품인것의 경우에는 상기 분체 자동부스(30)의 작동은 중지되고 이를 통과한 피도체에 분체 수동부스(40)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도포기를 이용해 작업자가 각각 도포하여 주면된다.
상기의 도포공정을 통과한 피도체(100)는 가이드레일(70)을 따라 본 발명의 건조로(50)에 투입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로(50)는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출구부(1)를 통해 그 내부의 상부외측, 즉 모서리부를 따라 가이드 레일(70)이 점차 상승하여 연장굴곡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이송되는 행거장치(60)가 하부에 피도체(100)를 고정한 상태로 이송되어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건조로(50)의 내부에 진입된 피도체(100)는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이송되면서 내부에 고루 분포되어 체류, 순환하고 있는 고온의 열풍에 의해 열처리 및 건조공정을 거치게되는데, 이때 상기 건조로(50)내의 온도는 피도체(10)의 두께나 분체의 종류에 따라 가열원(3)으로부터 조절될수 있고, 고온을 유지하고 있는 건조로(50)내에 피도체(100)가 체류하는 시간 또한 행거장치(60)의 주행속도를 조절하여 각 피도체(100)에 가해지는 열처리 및 건조조건을 최상의 상태로 임의 조절할수 있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건조로(50)는 전방측에서부터 그 중간부에 이르기까지 상부로 상승하는 경사공간(2)을 형성하고 있고, 그 경사공간(2)에 의해 후방측에 수평 형성되는 건조공간의 내부는 작업장의 상부에 상대 위치하게 되므로 저온 하강, 고온 상승의 법칙이 적용되어 고온의 열풍이 입,출구(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건조로(50)의 후방측에 가두어두는 작용을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의 고온, 열풍은 그 상태로 체류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건조로(50)의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3)으로부터 가열된 열풍이 팬과 같은 유체 이송수단을 통해 건조로(5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열풍공급함체(4)를 통해 내부에 지속적으로 고루 분사 공급되고, 내부에 공급된 열풍은 경사공간(2)에 의해 작업장 바닥면과 상,하로 구획된 건조로(50)의 구조에따라 일정시간 동안 내부 후방측에 체류하였다가 건조로 내측 상부에 연통 형성되어 있는 열풍배출함체(5)를 통해 가열원으로 회수되어 재 가열 및 재공급, 즉 순환작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로(50)는 내부의 열풍이 고루 분포되어 결국, 이를 통과하는 피도체(100)의 표면에 고루 분포되어 국부 가열현상을 배제함으로서 제품의 품위를 안정시키고, 그에 따라 종래의 그것에 비해 건조 및 열처리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로(50) 내부의 열풍이 건조로(50)의 외부, 즉 작업장내에 발산되지 않음으로 인해 열원의 소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되어 연료 또는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 하게되며 그와동시에 건조로의 외부인 작업장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아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수 있게 되는 부수적 잇점을 함께 얻을수 있다.
상기한 건조로(50) 내부의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순환하여 전방측의 입,출구(1)를 통해 외부로 이탈된 피도체(100)는 작업장 내를 이동하면서 냉각되어 완성품해체부(200)에 이르게 되고, 이를 작업자가 이탈시켜 소정의 포장공정으로 이동, 포장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업공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금속제품에 대한 도장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이룰수 있게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이 확개된 함체 형상의 건조로 전방 입구부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로내에 순환, 공급 시키되, 상기의 열풍이 건조로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체류될수 있게 구성하여 로내의 온도를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서 이를 통해 건조되는 고 품위의 제품을 제공할수 있게 되었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과 작업인원의 저감에 따른 인건비의 절감효과와 동시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었으며, 로내에 열풍을 가두어 체류시켰다가 순환시키는 방식을 택해 열원의 손실을 최소화 함으로서 연료 및 전력의 소모를 줄여 경제성 및 채산성이 확보될수 있을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이 개선되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일정면적의 작업장 내에 전처리공정인 수세 및 탈지로(10)와 수분건조로(20)가 배치되고, 피도체(100)의 크기에 따라 취사선택되는 분체자동부스(30) 및 분체수동부스(40)로 구성된 도장공정과 열처리를 행하는 건조로(50)가 일정 거리로 유격된채 배치되어 각 공정마다 피도체(100)를 고정한채 일정속도로 이송되는 행거장(60)치가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순환 하면서 피도체(100)의 표면에 도장처리를 행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50)는 일정길이를 갖는 직육면체의 함체 형상을 갖고 전방의 입,출구(1)부로부터 그 내부 중간측에 일정 각도로 점차 상승되게 경사공간(2)이 형성 되는것에 의해 상,하가 구분되어 상기 건조로(50)의 후방측 높이가 전방측 보다 높게 수평위치되며,
    상기 건조로(50)의 중간측 외부에 위치한 가열원(3)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건조로(50)내에 공급, 순환시키되,
    상기 경사공간(2)에 의해 건조로(50)내의 열풍이 외기와 차단되어 외부로 발산, 소실되지 않고 함체형상의 건조로(5)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체류될수 있게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도장용 건조로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50)는 그 후방이 확개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분체 도장용 건조로장치.
KR1019980059374A 1998-12-28 1998-12-28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KR100290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374A KR100290001B1 (ko) 1998-12-28 1998-12-28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374A KR100290001B1 (ko) 1998-12-28 1998-12-28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59A KR19990024259A (ko) 1999-03-25
KR100290001B1 true KR100290001B1 (ko) 2001-05-15

Family

ID=3751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374A KR100290001B1 (ko) 1998-12-28 1998-12-28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6225C (zh) * 2005-03-01 2008-11-26 安徽马钢和菱包装材料有限公司 圆护板晾漆货架车
CN102730380A (zh) * 2011-04-06 2012-10-17 天津新技术产业园区天博科工贸有限公司 步进积放式粉末固化自动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85B1 (ko) * 2009-02-24 2011-08-08 주식회사 애니맷 도장 코팅된 와이어 옷걸이의 자동 제조장치
KR101052009B1 (ko) * 2010-01-15 2011-07-26 주식회사 세림지엠티 분체도장장치
KR101217792B1 (ko) * 2012-10-26 2013-01-02 주식회사 가온종합개발 건조물 건조시스템
CN103962288B (zh) * 2014-04-30 2016-06-15 张家港江南粉末涂料有限公司 一种粉末涂料喷涂烘烤挂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6225C (zh) * 2005-03-01 2008-11-26 安徽马钢和菱包装材料有限公司 圆护板晾漆货架车
CN102730380A (zh) * 2011-04-06 2012-10-17 天津新技术产业园区天博科工贸有限公司 步进积放式粉末固化自动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59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07C1 (ru) Способ молирования листового стекла и печь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3830196A (en) Cleaning paint hooks
ES2638688T3 (es) Sistema de recubrimiento con polvo para elementos de longitud considerable a recubrir
KR100290001B1 (ko)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CN110575991A (zh) 一种五金电镀加工用清洗设备及其清洗工艺
JPH09145248A (ja) 乾燥装置
CN105627706A (zh) 一种全方位循环供热烘箱系统
YU187484A (en) Process for ribbed tubes hot zinc coating
CN115188545A (zh) 一种直流变频漆包线的生产方法
CN108607762B (zh) 一种用于塑胶喷涂的全自动节能型涂装线
JP6939604B2 (ja) 電着塗装方法及び電着塗装装置
CN112359307B (zh) 一种环保型热浸锌加工设备
US5036560A (en) Method of ironing articles of clothing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0355132Y1 (ko)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CN211914295U (zh) 长型料材涂装设备
CN219816793U (zh) 仿古石材的生产系统
CN218531484U (zh) 一种喷涂流水线
SU1228922A1 (ru) Поточна лини дл нанесени покрытий на длинномерные издели
PL175812B1 (pl) Urządzenie do lakierowania zanurzeniowego oraz sposób lakierowania zanurzeniowego
CN219083642U (zh) 尼龙条去水干燥机构
CN217636622U (zh) 一种石英管的烘干设备
CN113737255B (zh) 一种电化学法制备电极系统
CN211802171U (zh) 烘箱
CN220507723U (zh) 一种工业铝型材生产用冷却通道
CN212732733U (zh) 一种喷釉生产线的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