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792B1 - 건조물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조물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792B1
KR101217792B1 KR1020120119760A KR20120119760A KR101217792B1 KR 101217792 B1 KR101217792 B1 KR 101217792B1 KR 1020120119760 A KR1020120119760 A KR 1020120119760A KR 20120119760 A KR20120119760 A KR 20120119760A KR 101217792 B1 KR101217792 B1 KR 10121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drying
drying chamber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홍
최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종합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종합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종합개발
Priority to KR102012011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혼합부; 건조실의 외부로부터 출발하여 건조실의 내부를 거쳐 건조실의 외부로 도착할 수 있도록 건조실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된 카트가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출입 이동하도록 하는 콘베이어부; 건조실의 내부에 구성되는 덕트를 통하여 상기 콘베이어부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공기혼합부의 공기가 카트의 건조물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부; 건조실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건조실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 건조실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구성되어 카트가 콘베이어부를 통해 건조실의 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출입문개폐부; 및 상기 공기혼합부, 콘베이어부, 급기부, 배기부 및 출입문개폐부를 제어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조물 건조시스템{Drying system for dried object}
본 발명은 건조물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이나 수산물 등과 같은 건조물(乾燥物)을 건조시키는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건조실 내부에 콘베이어를 따라 이동되어 건조실 외부로 출입되는 카트에 행거타입 또는 채반타입으로 수용되는 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건조실 내부에 자연광과 자연풍 또는 전기히터와 보일러를 통한 열풍의 조합을 통한 최적의 건조환경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건조물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 등과 같이 건조 처리되어야 하는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로, 대체적으로 건조물에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열풍 건조 방식이 적용된 종래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공개특허 특 2003-3468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로, 함체 등에 의해 내부에는 건조공간이 구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건조공간에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장치가 구성되는 건조장치와, 농산물 또는 수산물 등과 같은 건조물이 수용되는 복수개의 채반이 가이드편에 의해 수납되고 상기 건조공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선별된 건조물이 채반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채반이 카트의 가이드편에 걸쳐지도록 삽입된 후 카트가 건조장치의 건조공간으로 인입되고 건조장치의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열풍공급장치의 열이 건조공간에 공급되어 건조물이 건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풍 건조 방식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상기 건조공간에 고정된 위치를 가지는 건조물을 열풍을 이용하여 강제 순환 시켜 건조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된 건조물은 빠르게 건조되고 하부에 위치된 건조물은 상대적으로 건조속도가 느린 현상이 발생되어 고른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균일하게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주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물이 건조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온이나 자연광 또는 냉동 건조 등과 같은 건조 조건을 가지는 건조물을 건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열풍만을 이용한 건조시 건조물의 색상이나 맛 및 성분 등이 성질이 크게 저하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건조물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건조물을 채반의 수용면적에 대응되도록 절단하거나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또한 제품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이 크게 저하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상기 건조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트를 작업자가 일일이 출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건조물을 건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조 주기 마다 반복되는 작업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건조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물에 대하여 자외선과 상온의 공기 또는 전기히터와 보일러를 통한 열풍의 조합을 통한 최적의 건조환경이 제공되도록 하여 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물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물이 복수개의 카트에 채반방식이나 행거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건조공간에 콘베이어를 따라 자동으로 출입되도록 하여 건조 효율 향상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건조물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혼합부; 건조실의 외부로부터 출발하여 건조실의 내부를 거쳐 건조실의 외부로 도착할 수 있도록 건조실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된 카트가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출입 이동하도록 하는 콘베이어부; 건조실의 내부에 구성되는 덕트를 통하여 상기 콘베이어부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공기혼합부의 공기가 카트의 건조물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부; 건조실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건조실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 건조실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구성되어 카트가 콘베이어부를 통해 건조실에 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출입문개폐부; 및 상기 공기혼합부, 콘베이어부, 급기부, 배기부 및 출입문개폐부를 제어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건조실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냉각 건조시키는 공조부; 건조실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공조부의 냉각 건조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난방부; 및 건조실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실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난방부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혼합부는, 건조실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부의 냉각 건조된 공기, 상기 난방부의 가열된 공기 및 열교환부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 또는 모두 혼합하여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트는,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된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콘베이어부에 연결되는 브라켓; 및 상기 바디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디가 콘베이어부를 따라 건조실 출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트의 바디의 프레임에는 상기 건조물이 채반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채반이 복층의 서랍식으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트의 바디의 프레임 상측부에는 상기 건조물이 행거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행거가 옷걸이식으로 걸림 지지되는 복수개의 걸림부재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행거는 건조물이 걸림 지지되는 판넬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걸림메쉬와 상기 걸림메쉬의 상측에 구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메쉬의 가장자리에는 자성부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건조실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의 건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물에 대하여 자외선과 상온의 공기 또는 전기히터와 보일러를 통한 열풍의 조합을 통한 최적의 건조환경이 제공되도록 하여 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물이 복수개의 카트에 채반방식이나 행거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건조실에 콘베이어를 따라 자동으로 출입되도록 하여 건조 효율 향상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건조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와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물의 건조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건조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건조물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은,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냉각 건조시키는 공조부(110),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공조부(110)의 냉각 건조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난방부(120),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실(R)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부(130),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부(110)의 냉각 건조된 공기, 상기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 및 열교환부(13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혼합하여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R)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혼합부(140), 건조실(R)의 외부로부터 출발하여 건조실(R)의 내부를 거쳐 건조실(R)의 외부로 도착할 수 있도록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된 복수개의 카트(C)가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출입 이동하도록 하는 콘베이어부(150), 건조실(R)의 내부에 구성되는 덕트(D)를 통하여 상기 콘베이어부(150)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공기혼합부(140)의 공기가 카트(C)의 건조물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급기부(160),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C)의 건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연광에 가까운 건조물의 살균 및 건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자외선조사부(170),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D)를 통해 건조실(R)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180), 건조실(R)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구성되어 카트(C)가 콘베이어부(150)를 통해 건조실(R)에 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출입문개폐부(190) 및 상기 공조부(110), 난방부(120), 열교환부(130), 공기혼합부(140), 콘베이어부(150), 급기부(160), 자외선조사부(170), 배기부(180) 및 출입문개폐부(190)를 제어하여 건조물이 수용된 카트(C)의 건조실(R) 출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건조물에 대하여 자외선과 상온의 공기 또는 전기히터와 보일러를 통한 열풍의 조합을 통한 최적의 건조환경이 제공되도록 하여 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제어부(CC)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실(R)은 건조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구성부들이 해당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창고 등과 같은 건조시설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에는 상기 공조부(110), 난방부(120), 열교환부(130), 공기혼합부(140)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이 위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콘베이어부(150) 등이 구비되는 적하장이 위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카트(C)는, 상기 콘베이어부(150)에 의해 적하장으로부터 출발하여 건조실(R)의 내부로 인입되어 건조주기 만큼 건조된 후 다시 적하장으로 인출되는 이동부재로,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된 바디(C1), 상기 바디(C1)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콘베이어부(150)에 연결되는 브라켓(C2) 및 상기 바디(C1)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디(C1)가 콘베이어부(150)를 따라 용이하게 건조실(R) 출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바퀴(C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트(C)의 바디(C1)의 프레임에는 상기 건조물이 채반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채반(미도시)이 복층의 서랍식으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미부호)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트(C)의 바디(C1)의 프레임 상측부에는 상기 건조물이 행거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행거(미도시)가 옷걸이식으로 걸림 지지되는 복수개의 걸림부재(미부호)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행거(미도시)는 건조물이 걸림 지지되는 판넬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걸림메쉬와 상기 걸림메쉬의 상측에 구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메쉬의 가장자리에는 콘베이어부(150)를 따라 이동시 건조물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걸림메쉬들끼리 상호간 인/척력을 발생시켜 걸림메쉬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자성부재가 구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카트(C)에 의하면 건조물이 종류에 따라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건조 작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조부(110)는, 건조실(R)의 내부 또는 건조실(R)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계실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냉각 건조시키는 공조수단으로, 제1필터(111)에 의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112), 상기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113), 상기 라디에이터(113)에 공급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칠러(115), 상기 냉각된 공기를 건조시키는 드라이어(116) 및 상기 냉각 건조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제2필터(117)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건조된 공기는 에어라인을 따라 공기혼합부(140)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공조부(110)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를 냉각 건조시킨 후 건조실(R) 내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물이 자연 바람에 의해 건조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냉각 온도를 더 낮추어 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실(R)을 저온의 건조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최적의 건조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난방부(120)는, 건조실(R)의 내부 또는 건조실(R)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계실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공조부(110)의 냉각 건조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난방수단으로, 오일탱크(121)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122)와, 상기 버너(122)의 열을 통하여 상기 공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가열 시키는 열교환기(1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된 공기는 에어라인을 따라 공기혼합부(140)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난방부(120)에 의하면, 건조된 공기를 가열시킨 후 건조실(R) 내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물이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온도를 더 높여 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실(R)을 고온의 건조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최적의 건조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130)는, 건조실(R)의 내부 또는 건조실(R)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계실에 구비되어 건조실(R)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수단으로, 배기부(180)의 배기라인에 구비되어 건조실(R)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드라이어(131)와, 상기 드라이어(131)의 건조된 공기를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32)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에어라인을 따라 공기혼합부(140)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130)에 의하면, 건조실(R)의 공급된 후 습도를 함유한 채 배기되는 공기를 건조시키고 이를 다시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기되는 공기가 보다 빠르게 가열된 공기 상태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건조실(R)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보다 빠르게 높일 수 있다.
상기 공기혼합부(140)는, 건조실(R)의 내부 또는 건조실(R)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부(110), 난방부(120) 및 열교환부(130)의 공기를 선택적 또는 모두 혼합하여 건조실(R)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혼합수단으로, 상기 에어라인들에 연통되는 에어혼합탱크(141)와, 상기 에어혼합탱크(141)와 덕트(D) 사이에 구성되어 이동 거리에 따라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히터(1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혼합부(140)에 의하면, 제어부(CC)의 제어신호에 따라 건조실(R)에 공급되어야 하는 공기의 적정 온도를 건조물의 건조 조건에 대응되도록 조절하여 건조물에 대한 최적의 건조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베이어부(150)는, 건조실(R)의 외부 적하장로부터 출발하여 건조실(R)의 내부를 거쳐 건조실(R)의 외부 적하장으로 도착할 수 있도록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지그재그 또는 '弓'자로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콘베이어이송수단으로, 적하장과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설치되는 이동레일(151), 상기 이동레일(151)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롤러(152), 상기 이동롤러(152)에 후술된 카트(C)가 연결되도록 하는 브라켓(153), 상기 이동레일(151)을 따라 각각의 이동롤러(152)들에 연결되는 체인(154) 및 상기 체인(154)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되어 이동롤러(152)들이 이동레일(15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체인구동제어기(15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콘베이어부(150)에 의하면, 건조물이 수용되는 복수개의 카트(C)들이 상기 브라켓(153)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롤러(152)와 체인(154)을 구동시키는 체인구동제어기(155)의 구동시 건조실(R)에 자동으로 출입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실(R)에 카트(C)를 출입시키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건조실(R)에 인입된 카트(C)의 순서대로 건조실(R)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건조 주기가 동일한 건조물의 경우 동일한 건조시간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실(R)에 이동레일(151)이 지그재그로 설치됨으로써, 건조실(R)의 내부 공간에 건조물들이 고르게 수용된 상태를 가짐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건조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급기부(160)는, 상기 공기혼합부(140)에 연통된 상태에서 건조실(R)의 내부에 구성되는 덕트(D)를 통하여 상기 콘베이어부(150)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공기혼합부(140)의 공기가 카트(C)의 건조물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급기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경로를 이동하는 카트(C)에 대하여 양측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덕트(D)가 건조실(R)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며, 덕트(D)에 공기혼합부(140)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미도시)과, 덕트(D)의 각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부재(16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급기부(160)에 의하면, 건조물의 양측으로부터 건조물에 적정 온도의 공기가 고르게 분사됨으로써, 건조물의 고른 건조를 가능하게 하여 건조물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조사부(170)는,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C)의 건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수단으로, 복수개의 자외선조사용 램프(17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조사부(170)에 의하면, 건조물에 자연광에 가까운 자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건조물의 살균 및 건조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80)는,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D)를 통해 건조실(R)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수단으로, 천정 부위에 형성되는 후드(181)들에 연결되어 건조물과의 접촉에 의해 상태가 변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 또는 열교환부(130)로 공급되도록 하는 블로워(18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부(180)에 의하면, 급기부(160)를 통해 급기되어 건조물과의 접촉에 의해 상태가 변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여 건조실(R)의 건조 조건이 항상 최적으로 조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개폐부(190)는, 건조실(R)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구성되어 카트(C)가 콘베이어부(150)를 통해 건조실(R)에 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출입문개폐수단으로, 입구와 출구에 각각 이중구조로 설치되는 한 쌍의 자동도어(191)와, 상기 자동도어(191)를 제어하는 도어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출입문개폐부(190)에 의하면, 상기 건조실(R)이 최적의 건조 상태를 가지도록 해당 온도의 공기와 자외선 등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먼저 인입된 카트(C)를 인출하거나 새로운 카트(C)를 인입하는 경우 입구와 출구에 이중으로 설치된 한 쌍의 자동도어(191)들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건조실(R)의 상태가 외부의 조건으로 인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실(R) 내부에서 건조 작업이 진행 중에 있는 상태에서 카트(C)의 인입과 인출이 발생되더라도 건조 조건이 크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C)는, 상기 공조부(110), 난방부(120), 열교환부(130), 공기혼합부(140), 콘베이어부(150), 급기부(160), 자외선조사부(170), 배기부(180) 및 출입문개폐부(190)를 제어하여 건조물의 최적의 건조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으로, 건조물이 수용된 카트(C)의 건조실(R) 출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건조물에 대하여 자외선과 상온의 공기 또는 전기히터와 보일러를 통한 열풍의 조합을 통한 최적의 건조환경이 제공되도록 하여 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C)는, 상기 건조물이 저온 또는 고온에서 건조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공기혼합부(140)로 하여금 공조부(110), 난방부(120) 및 열교환부(130)를 제어하도록 하여 건조실(R) 내부에 해당 온도를 가지는 공기가 급기부(160)를 통해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기부(180)를 통한 적절한 배기가 이뤄지도록 하여 건조실(R) 내부가 항상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물 건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물의 건조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물의 건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진행된다.
먼저, 적하장에 위치된 복수개의 카트(C)에 해당 건조물이 각각 복수개의 채반(미도시) 또는 행거(미도시)를 통해 적절한 수용 상태를 가지도록 안착 또는 거치 수용된다(S100).
이후, 상기 복수개의 카트(C)에 각각 구비된 브라켓(C2)이 적하장에 위치된 콘베이어부(150)의 이동롤러(152)에 연결된 브라켓(153)에 걸림된 상태를 가지며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S105).
이후, 출입문개폐부(190)에 의해 입구에 설치된 이중 구조의 자동도어(191)가 순차적으로 개방 동작된다(S110).
이후, 상기 콘베이어부(150)의 체인구동제어기(155)에 의해 상기 카트(C)가 연결된 이동롤러(152)가 이동레일(151)을 따라 건조실(R)의 내부로 인입되는 동작에 의해 건조실(R)에 카트(C)가 이동 위치된다(S115).
여기서, 상기 S100 단계 내지 S115 단계는, 상기 건조실(R)에 콘베이어부(150)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카트(C)들이 모두 수용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출입문개폐부(190)에 의해 입구에 설치된 이중 구조의 자동도어(191)가 폐쇄 동작된다(S120).
이후, 공기혼합부(140)에 의해 공조부(110), 난방부(120) 및 열교환부(130)의 공기가 선택적 또는 모두 혼합되어 건조물의 종류에 대응되는 온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급기부(160)를 통한 급기와 배기부(180)를 통한 배기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S125).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자외선조사부(170)에 의해 자외선조사램프(171)가 점등되어 건조주기 만큼 건조물에 자외선이 조사된다(S130).
여기서, 상기 S125 단계와 S130 단계는, 건조실(R)에 위치된 건조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단계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건조물의 건조주기 즉,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건조시간 만큼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건조실(R)의 내부에는 건조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건조 조건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100 단계 내지 S130 단계에 의하면, 건조물의 양측으로부터 건조물에 적정 온도의 공기가 고르게 분사됨으로써, 건조물의 고른 건조를 가능하게 하여 건조물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물에 자연광에 가까운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건조물의 살균 및 건조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건조물이 수용된 복수개의 카트(C)가 콘베이어부(150)에 의해 건조실(R) 내부에 자동으로 인입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S125 단계 내지 S130 단계가 건조물의 건조시간 만큼 지속되어 건조물의 건조가 완료된 후, 공기혼합부(140)에 의해 공조부(110), 난방부(120) 및 열교환부(130)의 공기가 선택적 또는 모두 혼합되어 건조물의 종류에 대응되는 온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급기부(160)를 통한 급기와 배기부(180)를 통한 배기가 종료된다(S135).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자외선조사부(170)에 의해 자외선조사램프(171)가 소등되어 건조주기 만큼 건조물에 자외선이 조사가 종료된다(S140).
이후, 상기 출입문개폐부(190)에 의해 출구에 설치된 이중 구조의 자동도어(191)가 개방 동작된다(S145).
이후, 상기 콘베이어부(150)의 체인구동제어기(155)에 의해 상기 카트(C)가 연결된 이동롤러(152)가 이동레일(151)을 따라 건조실(R)의 외부로 인출되는 동작에 의해 건조실(R)의 외측 적하장에 카트(C)가 이동 위치된다(S150).
여기서, 상기 S145 단계와 S150 단계는, 상기 건조실(R)로부터 콘베이어부(150)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카트(C)들이 모두 적하장에 위치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출입문개폐부(190)에 의해 출구에 설치된 이중 구조의 자동도어(191)가 폐쇄 동작된다(S155).
따라서 상기 S140 단계 내지 S155 단계에 의하면, 건조가 완료된 건조물이 수용된 복수개의 카트(C)가 콘베이어부(150)에 의해 건조실(R) 외부로 자동으로 인출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건조물에 대하여 자외선과 상온의 공기 또는 전기히터와 보일러를 통한 열풍의 조합을 통한 최적의 건조환경이 제공되도록 하여 건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물이 복수개의 카트에 채반방식이나 행거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건조실에 콘베이어를 따라 자동으로 출입되도록 하여 건조 효율 향상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물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물의 건조 방법은, 상기 건조실에 카트들이 인입되고 건조 조건이 제어된 상태에서 건조 작업이 진행되며 건조 작업 후 카트들이 인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건조실에 이미 건조 조건이 제어된 상태에서 카트들의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R)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혼합부(140);
    건조실(R)의 외부로부터 출발하여 건조실(R)의 내부를 거쳐 건조실(R)의 외부로 도착할 수 있도록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된 카트(C)가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출입 이동하도록 하는 콘베이어부(150);
    건조실(R)의 내부에 구성되는 덕트(D)를 통하여 상기 콘베이어부(150)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공기혼합부(140)의 공기가 카트(C)의 건조물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부(160);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D)를 통해 건조실(R)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180);
    건조실(R)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구성되어 카트(C)가 콘베이어부(150)를 통해 건조실(R)에 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출입문개폐부(190); 및
    상기 공기혼합부(140), 콘베이어부(150), 급기부(160), 배기부(180) 및 출입문개폐부(190)를 제어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제어부(CC)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C)는,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된 바디(C1);
    상기 바디(C1)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콘베이어부(150)에 연결되는 브라켓(C2); 및
    상기 바디(C1)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디(C1)가 콘베이어부(150)를 따라 건조실(R) 출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바퀴(C3)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C)의 바디(C1)의 프레임 상측부에는 상기 건조물이 행거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행거(미도시)가 옷걸이식으로 걸림 지지되는 복수개의 걸림부재(미부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냉각 건조시키는 공조부(110);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공조부(110)의 냉각 건조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난방부(120); 및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실(R)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혼합부(140)는,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부(110)의 냉각 건조된 공기, 상기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 및 열교환부(13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 또는 모두 혼합하여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R)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C)의 바디(C1)의 프레임에는 상기 건조물이 채반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채반(미도시)이 복층의 서랍식으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미부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미도시)는 건조물이 걸림 지지되는 판넬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걸림메쉬와 상기 걸림메쉬의 상측에 구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메쉬의 가장자리에는 자성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7.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R)에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혼합부(140);
    건조실(R)의 외부로부터 출발하여 건조실(R)의 내부를 거쳐 건조실(R)의 외부로 도착할 수 있도록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건조물이 채반타입 또는 행거타입으로 수용된 카트(C)가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출입 이동하도록 하는 콘베이어부(150);
    건조실(R)의 내부에 구성되는 덕트(D)를 통하여 상기 콘베이어부(150)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상기 공기혼합부(140)의 공기가 카트(C)의 건조물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부(160);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D)를 통해 건조실(R)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180);
    건조실(R)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구성되어 카트(C)가 콘베이어부(150)를 통해 건조실(R)에 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출입문개폐부(190); 및
    상기 공기혼합부(140), 콘베이어부(150), 급기부(160), 배기부(180) 및 출입문개폐부(190)를 제어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제어부(CC); 이외에,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냉각 건조시키는 공조부(110);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공조부(110)의 냉각 건조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난방부(120); 및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건조실(R)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혼합부(140)는,
    건조실(R)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부(110)의 냉각 건조된 공기, 상기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 및 열교환부(13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 또는 모두 혼합하여 적정 온도의 공기가 건조실(R)에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공조부(110)는,
    제1필터(111)에 의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112);
    상기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113);
    상기 라디에이터(113)에 공급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칠러(115);
    상기 냉각된 공기를 건조시키는 드라이어(116); 및
    상기 냉각 건조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제2필터(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부(120)는,
    오일탱크(121)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122)와;
    상기 버너(122)의 열을 통하여 상기 공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가열 시키는 열교환기(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9.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30)는,
    배기부(180)의 배기라인에 구비되어 건조실(R)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드라이어(131)와;
    상기 드라이어(131)의 건조된 공기를 난방부(120)의 가열된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10.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혼합부(140)는,
    상기 공조부(110), 난방부(120) 및 열교환부(130)의 에어라인들에 연통되는 에어혼합탱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혼합부(140)는,
    상기 에어혼합탱크(141)와 덕트(D) 사이에 구성되어 이동 거리에 따라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히터(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부(150)는,
    적하장과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지그재그 또는 '弓'자로 설치되는 이동레일(151);
    상기 이동레일(151)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롤러(152);
    상기 이동롤러(152)에 카트(C)가 연결되도록 하는 브라켓(153);
    상기 이동레일(151)을 따라 각각의 이동롤러(152)들에 연결되는 체인(154); 및
    상기 체인(154)에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되어 이동롤러(152)들이 이동레일(15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체인구동제어기(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160)의 덕트(D)는,
    상기 이동경로를 이동하는 카트(C)의 양측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건조실(R)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개폐부(190)는,
    입구와 출구에 각각 이중구조로 설치되는 한 쌍의 자동도어(191)와;
    상기 자동도어(191)를 제어하는 도어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15.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건조실(R)의 천정 부위에 구성되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C)의 건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 건조시스템.
KR1020120119760A 2012-10-26 2012-10-26 건조물 건조시스템 KR10121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760A KR101217792B1 (ko) 2012-10-26 2012-10-26 건조물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760A KR101217792B1 (ko) 2012-10-26 2012-10-26 건조물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792B1 true KR101217792B1 (ko) 2013-01-02

Family

ID=4784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760A KR101217792B1 (ko) 2012-10-26 2012-10-26 건조물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7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646B2 (en) 2015-04-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device for the outdoor unit
CN109506447A (zh) * 2018-11-08 2019-03-22 泉州台商投资区春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建材添加复合材料制作设备的烘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822B1 (ko) * 1989-08-30 1991-08-03 삼성전관 주식회사 건조장치
KR19990024259A (ko) * 1998-12-28 1999-03-25 박창규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KR20020096676A (ko) * 2001-06-21 2002-12-31 박은규 의류 살균건조장치
KR100881867B1 (ko) * 2008-03-11 2009-02-04 (주)범양냉열 곡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822B1 (ko) * 1989-08-30 1991-08-03 삼성전관 주식회사 건조장치
KR19990024259A (ko) * 1998-12-28 1999-03-25 박창규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KR20020096676A (ko) * 2001-06-21 2002-12-31 박은규 의류 살균건조장치
KR100881867B1 (ko) * 2008-03-11 2009-02-04 (주)범양냉열 곡물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646B2 (en) 2015-04-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device for the outdoor unit
CN109506447A (zh) * 2018-11-08 2019-03-22 泉州台商投资区春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建材添加复合材料制作设备的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7733B2 (ja) 食料品を調理する調理オーブン及び調理法
US20080105249A1 (en) Speed cooking oven with radiant mode
KR101358062B1 (ko) 목재 건조장치
KR101217792B1 (ko) 건조물 건조시스템
KR102457187B1 (ko) 용기용 열풍순환식 터널건조기
JP2017150713A (ja) 乾燥加工装置
DK1926385T3 (en) DEVICE FOR TREATMENT OF LONG OUTSTRETCHED food WITH CONDITIONED AIR FLOW
JP2011149650A (ja) 青果乾燥装置および青果乾燥装置用台車
ES2390387T3 (es) Carro de secado
JP2010000017A (ja) 青果物用殺虫装置
CN201272902Y (zh) 一种双向蒸汽定型机
KR101925759B1 (ko)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KR20140053613A (ko) 건조물 건조방법
KR101796068B1 (ko) 후숙실
JP2005333909A (ja) 魚の乾燥方法と魚の乾燥装置
KR101815087B1 (ko) 후숙실
IT201800009070A1 (it) Impianto perfezionato per il trattamento di prodotti vegetali.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1826055B1 (ko) 이동식 건조대차용 멀티존 균일온도제어형 농산물 건조장치
KR100929342B1 (ko) 공기순환형 숙성마늘제조장치
JPH08327235A (ja) 乾燥機
JP5821779B2 (ja) 自動冷凍倉庫
KR20020096676A (ko) 의류 살균건조장치
JP4069273B2 (ja) 寝具類の乾燥・冷却装置
KR20170017490A (ko) 농축수산물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