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587B1 -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 Google Patents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587B1
KR100313587B1 KR1019990043882A KR19990043882A KR100313587B1 KR 100313587 B1 KR100313587 B1 KR 100313587B1 KR 1019990043882 A KR1019990043882 A KR 1019990043882A KR 19990043882 A KR19990043882 A KR 19990043882A KR 100313587 B1 KR100313587 B1 KR 100313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old
press
slid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755A (ko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4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5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21D28/325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using cam or wedge mechanisms, e.g. aerial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등의 프레스 가공과 더불어 펀칭가공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수행하는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의 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단순화함으로써, 상기 피가공물등의 교체를 원활히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아울러 그 제작원가가 저렴하도록 한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하형(4)의 측방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부재(50)와; 상기 가이드부재(50)상을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하형(4)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피어싱 펀치(100)가 설치되고, 타측면은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부재(50)와의 사이에 상기 하형(4)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58)이 지지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54)와;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경사면(53)에 대응한 경사면(59)을 갖추어 상기 상형(8)의 일측에 설치되는 캠 드라이브(60)와; 상기 상형(8)에 고정되어서, 상기 캠 드라이브(60)를 상하로 수직왕복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64);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Cam Unit In Press Metal Mold}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등을 프레스 가공하는 프레스 금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 등의 프레스 가공과 더불어 펀칭가공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수행하는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의 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단순화함으로써, 상기 패널등의 교체를 원활히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아울러 그 제작원가가 저렴하도록 한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수의 제품에 동일한 가공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각종 생산설비가 제공되고 있다.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2는 상기와 같은 생산설비중 패널 등(이하, 피가공물이라 함)을 프레스 가공하면서 선택적으로 펀칭가공을 동시에 수행하는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A)는 피가공물(B)을 프레스 가공하는 프레스 금형(2)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프레스 금형(2)은 피가공물(B)이 안치되는 하형(4)과, 이 하형(4)에 안치된 피가공물(B)을 압압하는 상형(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형(8)은 상형 본체의 일측 내부에 상형 패드(10)가 압축스프링(1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상형 패드(10)가 하형(4)과 맞대어져 피가공물(B)을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형(8)과 하형(4)으로 이루어진 프레스 금형(2)의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어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A)가 설치되는데, 이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A)는 대략 'U'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형(4)의 일측 저면부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부재(14)와, 이 가이드부재(14)상을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은 수직면을 이루고, 타측면은 경사면(17)을 이루는 캠 슬라이드(18)와, 이 캠 슬라이드(18)의 경사면(17)과 접촉되면서 미끄러지게 그 일측면이 경사면(23)을 이루고, 타측면은 수직면을 이루며, 그 상부가 상기 상형(8)에 고정설치되는 캠 드라이브(24)와, 상기 캠 슬라이드(18)의 수직면 상측에 고착되되,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수평왕복운동하는 피어스 펀치(32)가 설치된 셀렉트 리테이너(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셀렉트 리테이너(26)에는 프레스 금형(2)의 하형(4)에 설치된 압축공기 저장탱크(미도시됨)로부터 그 일단이 연결된 두 개의 공기 배관(30)의 타단이 각각 연결되기 의한 연결공(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배관(30) 및 연결공(28)을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수평왕복운동하는 피어스 펀치(3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형(4)에서 상기 셀렉트 리테이너(26)에 설치된 피어스 펀치(32)와 동일 높이를 갖는 측면부위에는 일정깊이만큼 요입공(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4)에서 캠 슬라이드(18)의 수직면과 근접하는 일측벽면부위에는 수평방향으로 고정물(16)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슬라이드(18)의 수직면에는 상기 고정물(16)이 수납가능한 요입홈(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입홈(20)의 내면과 고정물(16)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4)의 일측면 사이에는 리턴스프링(22)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A)를 갖는 프레스 금형(2)을 이용하여 피가공물(B)을 프레스 가공하고자 할 경우,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2)의 상형(8)이 하형(4)으로부터 이격되어진 상태에서 피가공물(B)을 상기 하형(4)의 성형면에 안치시킨 후,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8)을 하향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형(8)이 하향이동되어 상형 패드(10)가 하형(4)에 안치된 피가공물(B)을 압압시키면서 프레스 가공한 상태에서 상형(8)은 일정간격만큼 상하로 수직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B)을 압압하고 있는 상형 패드(10)는 상기 상형(8)과 압축스프링(12)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강하게 피가공물(B)을 압압하지 않게 되며 상형(8) 본체만 상하로 수직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형(8)에 고정장착된 캠 드라이브(24) 또한 상하로 수직왕복하게 되므로써, 상기 캠 드라이브(24)는 그 수직면과 경사면(23)이 각각 하형(4)에 고정된 가이드부재(14)의 일측벽면 및 캠 슬라이드(18)의 경사면(17)을 타고 승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캠 슬라이드(18)는 리턴스프링(22)의 압축 및 복원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 슬라이드(18)의 수직면 상측에 고정장착된 셀렉트 리테이너(26) 또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며, 상기 셀렉트 리테이너(26)에 설치된 피어스 펀치(32)는 첨부 도면 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B)과 닿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피가공물(B)을 프레스 가공함과 더불어 그 일측에 펀칭가공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스 금형(2)의 하형(4)에 설치된 압축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기 배관(30)를 통해 셀렉트 리테이너(26)에 공기를 공급시키면 상기 피어스 펀치(32)는 공기압에 의해 첨부 도면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하여 피가공물(B)에 펀칭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피가공물(B)에 대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면, 또 하나의 공기 배관(30)을 통해 셀렉트 리테이너(26)내의 공기가 압축공기 저장탱크로 리턴되면서, 상기피어스 펀치(32)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즉, 상기 셀렉트 리테이너(26)의 피어스 펀치(32)는 상형(8)의 반복적인 수직왕복운동에 따라 계속해서 수평왕복운동을 하다가 셀렉트 리테이너(26)내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 전진함으로써, 비로소 피가공물(B)에 닿아 펀칭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형(4)에서 피가공물(B)이 안착되어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요입공(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피어스 펀치(32)의 펀칭가공에는 간섭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스 금형(2)을 이용하여 피가공물(B)을 프레스 가공하고, 선택적으로 펀칭가공을 병행하여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B)은 다른 피가공물과 교체하여 계속해서 가공을 하여야 하는 바, 상형(8)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형(8)에 고착된 캠 드라이브(24)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첨부 도면 도 1과 같이, 캠 슬라이드(18)가 리턴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어 상기 캠 슬라이드(18)의 일측에 고착된 셀렉트 리테이너(26)가 피가공물(B)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된 피가공물(B)을 다른 피가공물과 교체하여 상기와 같은 순서 및 방법으로 계속해서 프레스 가공 및 선택적인 펀칭가공을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는 피어스 펀치가 설치된 셀렉트 리테이너가 피가공물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므로써, 상기 피가공물의 교체시 간섭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셀렉트 리테이너에 설치되어진 피어스 펀치가 수평왕복운동하도록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저장탱크가 프레스 금형의 하형에 설치되어진 관계로 상기 공기 배관의 일단은 유동을 가지지 않는 하형의 압축공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반복적으로 수평왕복운동하는 셀렉트 리테이너에 연결되므로써, 상기 셀렉트 리테이너의 연결공과 공기배관의 연결부위가 마모되어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피어스 펀치의 마모에 의한 교환요구시 고가의 셀렉트 리테이너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원가부담 요인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가공물을 프레스 가공하는 프레스 금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등의 프레스 가공과 더불어 펀칭가공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수행하는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의 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단순화함으로써, 상기 피가공물등의 교체를 원활히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아울러 그 제작원가가 저렴하도록 한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형의 측방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상을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하형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피어싱 펀치가 설치되고, 타측면은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하형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이 지지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와; 상기 캠 슬라이드의 경사면에 대응한 경사면을 갖추어 상기 상형의 일측에 설치되는 캠 드라이브와; 상기 상형에 고정되어서, 상기 캠 드라이브를 상하로 수직왕복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형의 저면부에 고착되어 상기 캠 드라이브를 코일스프링으로 지지하고 있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와 캠 드라이브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개재되어서 상기 캠 드라이브의 경사부와 경사부로 접촉하고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상형의 일측에 고정되어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형이 하향이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2는 상형이 하향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형이 하형측으로 하향이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b는 상형이 하향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c는 캠 슬라이드가 수평이동하여 피가공물에 펀칭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B : 피가공물
2 : 프레스 금형 4 : 하형
6 : 요입공 8 : 상형
10 : 상형 패드 12 : 압축스프링
50 : 가이드부재 52 : 고정물
54 : 캠 슬라이드 56 : 요입공
58 : 리턴스프링 60 : 캠 드라이브
64 : 슬라이드 기구 66 : 에어 실린더
70 : 피스톤 72 : 플레이트
78 : 서포트 82 : 수납홈
84 : 결합부재 88 : 나사부
90 : 코일스프링 100 : 피어스 펀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형이 하형측으로 하향이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3b는 상형이 하향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3c는 캠 슬라이드가 수평이동하여 피가공물에 펀칭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C)는 대략 'U'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형(4)의 저면부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부재(50)와, 이 가이드부재(50)상을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면은 수직면을 이루고, 타측면은 경사면(53)을 이루는 캠 슬라이드(54)와, 이 캠 슬라이드(54)의 경사면(53)과 접촉되면서 미끄러지게 그 일측면이 경사면(59)을 이루고, 타측면은 수직면을 이루며, 그 상부 양측에 경사부(62)가 형성되되, 결합부재(84)로서 상형(8)에 장착되는 캠 드라이브(60)와, 상기 상형(8)에 고정되어서 상기 캠 드라이브(24)를 상하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캠 슬라이드(54)를 수평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64)와,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된 피어스 펀치(1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64)는 상형(8)의 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 저장탱크(미도시됨)로부터 두 개의 공기 배관(65)과 연결되게 각각 연결공(68)이 형성된 에어 실린더(66)와, 이 에어 실린더(66)로부터 공기압력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피스톤(70)과, 이 피스톤(70)의 단부가 고정되며, 양측에 경사부(74)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74)들의 사이에는 일정길이만큼 관통공(76)이 형성된 플레이트(72)와, 이 플레이트(72)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결합부재(84)가 관통하는 관통공(80)이 형성되며, 상형(8)에 고정장착되는 서포트(78)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는 상형에 설치함으로써, 이 압축공기 저장탱크와 에어 실린더(66)를 연결하는 공기 배관은 상형(8)의 상하이동에 따라 유동성을가지게 된다.
위에서, 상기 상형(8)에 캠 드라이브(60)를 고정장착시키는 결합부재(84)는 상형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수납홈(82)에 그 선단측이 내재되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64)의 서포트(78)에 형성된 관통공(80)과, 플레이트(72)의 관통공(76)을 통과하여 그 단부의 나사부(88)가 캠 드라이브(60)에 체결되므로써, 캠 드라이브(60)를 상형에 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형(8)의 수납홈(82)에 내재되는 결합부재(84)의 선단측 단부에는 플랜지(8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86)와 상기 슬라이드 기구(64)의 서포트(78)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90)이 내설되어 상기 상형(8)에 대한 캠 드라이브(60)의 상하수직왕복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수직면에 설치된 피어스 펀치(100)와 동일높이를 갖는 하형(4)의 측면부위에는 일정깊이만큼 요입공(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50)에서 캠 슬라이드(54)의 수직면과 근접하는 일측벽면부위에는 수평방향으로 고정물(52)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수직면에는 상기 고정물(52)이 수납가능한 요입홈(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입홈(56)의 내면과 고정물(52)이 형성된 가이드부재(50)의 일측면 사이에는 리턴스프링(58)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C)를 갖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피가공물(D)을 프레스 가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2)의 상형(8)이 하형(4)으로부터 이격되어진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D)을 상기 하형(4)의 성형면에 안치시킨 후, 첨부 도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8)을 하향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형(8)이 하향이동되어 상형 패드(10)가 하형(4)에 안치된 피가공물(D)을 압압시키면서 프레스 가공한 상태에서 상형(8)은 일정간격만큼 상하로 수직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D)을 압압하고 있는 상형 패드(10)는 상기 상형(8)과 압축스프링(12)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강하게 피가공물(D)을 압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형(8) 본체만 상하로 수직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형(8)에 결합부재(84)로서 고정장착된 캠 드라이브(60) 또한 상하로 수직왕복운동하게 되므로써, 상기 캠 드라이브(60)는 그 수직면과 경사면(59)이 각각 하형(4)에 고정된 가이드부재(50)의 일측벽면 및 캠 슬라이드(54)의 경사면(53)을 타고 승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캠 슬라이드(54)가 리턴스프링(58)의 압축 및 복원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수직면 상측에 고정설치된 피어스 펀치(100)는 첨부 도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이 피가공물(D)과 닿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형(8)이 상하로 수직왕복운동하게 될 때, 상형(8)이 최대한 하향이동한 상태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스 펀치(100)의 끝단이 피가공물(D)과근접한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프레스 가공된 피가공물(D)의 일측에 펀칭가공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스 금형(2)의 상형(8)에 설치된 압축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기 배관(65)을 통해 슬라이드 기구(64)의 에어 실린더(66)에 압축공기를 공급시키면 상기 에어 실린더(66)내의 피스톤(70)이 공기압에 의해 수평이동하면서 첨부 도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2)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72)의 경사부(74)가 상기 캠 드라이브(60)의 경사부(62)와 접촉되면서 상기 결합부재(84)의 플랜지(86)와 서포트(78)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90)이 압축되므로써, 상기 캠 드라이브(60)가 하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72)가 피스톤(70)의 수평이동에 의해 전진하더라도 상기 플레이트(72)의 양 경사부(74) 사이에 형성된 관통공(76)은 그 길이가 길어서 결합부재(84)에 의한 간섭이 배제된다.
따라서, 상기 캠 드라이브(60)의 경사면(59)과 그 경사면(53)이 접촉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54)가 리턴스프링(58)을 압축시키면서 피가공물(D)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수직면 상측에 설치된 피어스 펀치(100)가 피가공물(D)에 펀칭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가공물(D)에 대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면, 또 하나의 공기 배관(65)을 통해 에어 실린더(66)내의 압축공기 저장탱크로 공기가 리턴되면서, 피스톤(70) 및 플레이트(72)가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72)의경사부(62)와, 캠 드라이브(60)의 경사부(74)가 접촉이 어긋남으로써, 상기 캠 드라이브(60)가 코일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 상향으로 수직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캠 슬라이드(54) 또한 리턴스프링(58)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즉, 상기 캠 슬라이드(54)에 설치된 피어스 펀치(100)는 상형(8)의 반복적인 수직왕복운동에 따라 계속해서 수평왕복운동을 하다가 에어 실린더(66)내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 전진함으로써, 비로소 피가공물(D)에 닿아 펀칭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형(4)에서 피가공물(D)이 안착되어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요입공(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피어스 펀치(100)의 펀칭가공에는 간섭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스 금형(2)을 이용하여 피가공물(D)을 프레스 가공하고, 선택적으로 펀칭가공을 병행하여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D)은 다른 피가공물과 교체하여 계속해서 가공을 하여야 하는 바, 상형(8)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형(8)에 고착된 캠 드라이브(60)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캠 슬라이드(54)가 리턴스프링(58)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어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일측에 고착된 피어스 펀치(100)가 피가공물(D)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된 피가공물(D)을 다른 피가공물과 교체하여 상기와 같은 순서 및 방법으로 계속해서 프레스 가공 및 선택적인 펀칭가공을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는 피가공물에 선택적으로 펀칭가공을 하는 피어스 펀치가 단품으로 캠 슬라이드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의 교체시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적어지며, 또한 상기 피어스 펀치의 마모 등에 의한 교환시 단지 피어스 펀치만을 교환하면 되므로써,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 기구의 에어 실린더와 압축공기 저장탱크가 모두 상형에 설치되어짐으로써, 상기 에어 실린더와 압축공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공기 배관이 상형의 상하이동에 따라 동시에 유동하게 됨으로써, 일측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스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D)이 안치되는 상부 성형면을 갖는 하형(4)과, 상기 하형(4)의 성형면에 안치된 피가공물(D)을 압압하는 프레스하는 상형(8)으로 이루어진 프레스 금형(2)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프레스 가공된 피가공물(D)의 측면을 펀칭가공하는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C)에 있어서,
    상기 하형(4)의 측방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부재(50)와;
    상기 가이드부재(50)상을 슬라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하형(4)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피어싱 펀치(100)가 설치되고, 타측면은 경사면(53)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부재(50)와의 사이에 상기 하형(4)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58)이 지지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54)와;
    상기 캠 슬라이드(54)의 경사면(53)에 대응한 경사면(59)을 갖추어 상기 상형(8)의 일측에 설치되는 캠 드라이브(60)와;
    상기 상형(8)에 고정되어서, 상기 캠 드라이브(60)를 상하로 수직왕복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6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64)는 상형(8)의 저면부에 고착되어 상기 캠 드라이브(60)를 코일스프링(90)으로 지지하고 있는 서포트(78)와;
    상기 서포트(78)와 캠 드라이브(60)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개재되어서 상기 캠 드라이브(60)의 경사부(62)와 경사부(72)로 접촉하고 있는 플레이트(72)와;
    상기 상형(8)의 일측에 고정되어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7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에어 실린더(6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KR1019990043882A 1999-10-11 1999-10-11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KR10031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82A KR100313587B1 (ko) 1999-10-11 1999-10-11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82A KR100313587B1 (ko) 1999-10-11 1999-10-11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755A KR20010036755A (ko) 2001-05-07
KR100313587B1 true KR100313587B1 (ko) 2001-11-07

Family

ID=1961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882A KR100313587B1 (ko) 1999-10-11 1999-10-11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34B1 (ko) * 2006-09-11 2007-05-11 최낙근 소형 케이스의 프레스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8291A (zh) * 2019-07-17 2019-10-15 亿和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具有弹性缓冲装置的侧压模具
CN113976734A (zh) * 2021-09-29 2022-01-28 田逸飞 一种汽车零部件用冲压模具
CN114603018B (zh) * 2022-01-18 2024-03-05 苏州乔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金属件成型加工的模具
CN115368003B (zh) * 2022-08-10 2023-12-15 北京凯德石英股份有限公司 一种压模装置
CN115816390A (zh) * 2022-11-11 2023-03-21 常德市佳鸿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液压缸缸筒加工用定位装置
CN115846491B (zh) * 2022-11-29 2023-11-07 苏州沅德精密技术有限公司 汽车音响喇叭网罩加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34B1 (ko) * 2006-09-11 2007-05-11 최낙근 소형 케이스의 프레스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755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3230B2 (ja) ナックルブラケッ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0233239A (ja) 複合加工プレス型
KR100313587B1 (ko) 프레스 금형용 캠 기구
KR2009007383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211386516U (zh) 一种周圆由内向外侧冲小孔的模具结构
CN210188231U (zh) 冷冲压成型模具
CN109570353B (zh) 侧围外板的成型模具组件及汽车生产线
CN216150794U (zh) 一种表面光滑无毛刺金属加工模具
CN101590500B (zh) 挤拉设备
CN205668028U (zh) 双行程子母斜楔
CN106180367B (zh) 冲孔模具
CN110394400B (zh) 一种冲压模具及冲压成型方法
CN207982048U (zh) 一种卷圆成型模具
US20050103177A1 (en) Double acting cam die
CN210475222U (zh) 一种冲压模具
CN209288106U (zh) 一种斜顶侧冲孔翻边复合模
KR20070060547A (ko) 프레스 금형용 캠 피어스 장치
CN206912032U (zh) 自动冲孔机构
CN212760536U (zh) 一种拼装铝单板模具
CN110842087A (zh) 气缸驱动式侧整形下模机构
CN214184866U (zh) 铰链支撑臂导向轮用冲孔模具
CN214639526U (zh) 一种具有自动脱模功能的汽车消音器用冲孔模具
CN217070413U (zh) 一种翻孔带侧冲孔模具
CN211437716U (zh) 一种多功能卧式冲孔装置
CN214162055U (zh) 汽车连接件用侧切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