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320B1 -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320B1
KR100312320B1 KR1019990047256A KR19990047256A KR100312320B1 KR 100312320 B1 KR100312320 B1 KR 100312320B1 KR 1019990047256 A KR1019990047256 A KR 1019990047256A KR 19990047256 A KR19990047256 A KR 19990047256A KR 100312320 B1 KR100312320 B1 KR 10031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fabric
starch
gum
fabric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042A (ko
Inventor
전병익
황종호
Original Assignee
전병익
황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익, 황종호 filed Critical 전병익
Priority to KR101999004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3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은 섬유직물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을 형성하도록 날염기에서 날염호료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무늬가 형성된 섬유직물을 건조하고, 180∼500 메쉬의 샌드페이퍼가 도포된 복수개의 로울러로써 상기 섬유직물 표면을 접촉시키는 기모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섬유직물은 날염기에서 무늬를 형성하기 전에 먼저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직물이 날염기에서 무늬를 형성하기 전에 염색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기모공정 후에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날염호료에는 전분류(소맥분, 밀가루, 쌀, 옥수수, 감자 등을 주성분으로 한 호료), 로우거스트빈검, 아라비아검, 세네갈검, 구아검, 트라가칸트검, 알긴산나트륨, 섬유소를 에테르화 한 메틸섬유소, 하이드록시 에틸섬유소, 카복시메틸섬유소, 전분을 에테르화한 카복시메틸전분, 하이드록시에틸전분, 배소전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초산비닐, 및 폴리아크릴산 유도체가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에는 폴리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등이 있다. 원하는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날염기에서 날염호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기모공정을 마친 후에 수세공정을 행하여 날염호료를 제거한다.

Description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Textile Fabric with Wook-like Patter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섬유직물은 부분적으로 기모시켜 원하는 패턴, 즉 원하는 디자인이 형성된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면직물을 포함한 모든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모든 합성섬유제품, 또는 이들의 혼용섬유제품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기모시킨 기모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섬유제품은 여러 가지 기능성 중 보온성, 탄력성, 표면의 부드러움, 미관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이러한 섬유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기도 하지만 소재의제약과 다양성이 부족하여, 일반적으로 생산된 섬유제품의 표면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섬유표면에 털을 일으켜 보온성과, 표면에 부드러움을 주는 기모(起毛)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제품들로는 면 섬유의 표면을 기모하여 유아복 등에 보온성을 부여하여 만든 제품과 최근에는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섬유는 섬유의 특성상 표면이 매끄러워 특수한 가공을 거친 섬유제품에 복숭아 털과 같은 촉감을 주는 피치스킨(peach skin)가공이라는 기모기술을 이용하여 생산을 시작하여 현재에는 합성섬유와의 복합소재에 이르기까지 범위를 넓혀가면서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모제품들은 섬유 표면 전체를 기모하므로 섬유의 보온성, 탄력성, 부드러움 등의 기능성은 부여할 수 있지만 단조로운 느낌을 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한 본 발명자는 기존의 기모제품이 가지는 기능성은 살리면서 표면에 특수한 처리에 의하여 무늬를 부여하여 보다 미적 감각을 살린 기모제품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직물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기모시킴으로써 원하는 패턴을 갖는 섬유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디자인을 나타내도록 섬유직물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기모시킴으로써, 보온성, 탄력성, 유연성, 및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섬유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섬유직물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기모시킴으로써 보온성, 탄력성, 유연성, 및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섬유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은 섬유직물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을 형성하도록 날염기에서 날염호료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무늬가 형성된 섬유직물을 건조하고, 180∼500 메쉬의 샌드페이퍼가 도포된 복수개의 로울러로써 상기 섬유직물 표면을 접촉시키는 기모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날염기로는 스크린 날염기 또는 롤러 날염기가 있다. 날염기에서 날염호료나 합성수지에 의하여 무늬가 형성된 부분은 기모공정에서 기모가 되지 않지만, 나머지 부분은 기모공정에서 기모가 되기 때문에 원하는 패턴을 무늬가 형성된 기모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모공정은 무늬가 형성된 섬유직물을 100∼500 메쉬의 샌드페이퍼가 도포된 1∼4개의 로울러와 접촉시키면서 적절한 장력과 압력을 부여하여 10∼30m/분의 속도로 작업한다. 상기 기모공정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날염호료에는 전분류(소맥분, 밀가루, 쌀, 옥수수, 감자등을 주성분으로 한 호료), 로우거스트빈검, 아라비아검, 세네갈검, 구아검, 트라가칸트검, 알긴산나트륨, 섬유소를 에테르화 한 메틸섬유소, 하이드록시 에틸섬유소, 카복시메틸섬유소, 전분을 에테르화한 카복시메틸전분, 하이드록시에틸전분, 배소전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초산비닐, 및 폴리아크릴산 유도체가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에는 폴리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등이 있다. 원하는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날염기에서 날염호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기모공정을 마친 후에 수세공정을 행하여 날염호료를 제거한다.
상기 섬유직물은 날염기에서 무늬를 형성하기 전에 먼저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직물이 날염기에서 무늬를 형성하기 전에 염색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기모공정 후에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검정색으로 염색된 나일론/면 교직물에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보광화학) 20 중량%,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촉매 2 중량%로 된 점조한 용액을 스크린 날염기로인날한 후 120℃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무늬가 찍힌 섬유제품을 기모기계에서 320메쉬의 샌드페이퍼로 도포된 4개의 로울러를 분당 15m의 속도로 작업하여 촉감이 부드러우며 탄력성이 있는 디자인이 부여된 기모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2
염색되지 않은 나일론/면 교직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인날, 건조, 및 기모공정을 행하였다. 기모공정후에 염색공정을 행하여 원하는 디자인이 부여된 기모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
검정색으로 염색된 폴리에스터 직물에 구아검 15 중량%의 호료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인날, 건조, 기모하여 디자인이 부여된 기모제품을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특정 패턴에 따라 섬유직물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기모시킴으로써 원하는 디자인을 얻을 수 있으며, 보온성, 탄력성, 유연성, 및 심미감이 우수한 섬유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섬유직물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을 형성하도록 날염기에서 날염호료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무늬가 형성된 섬유직물을 건조하고;
    180∼500 메쉬의 샌드페이퍼가 도포된 복수개의 로울러로써 상기 섬유직물 표면을 접촉시켜 기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염호료는 전분류(소맥분, 밀가루, 쌀, 옥수수, 감자등을 주성분으로 한 호료), 로우거스트빈검, 아라비아검, 세네갈검, 구아검, 트라가칸트검, 알긴산나트륨, 섬유소를 에테르화 한 메틸섬유소, 하이드록시 에틸섬유소, 카복시메틸섬유소, 전분을 에테르화한 카복시메틸전분, 하이드록시에틸전분, 배소전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초산비닐, 및 폴리아크릴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수지 또는 아크릴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섬유직물을 먼저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직물의 기모공정 후에, 상기 섬유직물을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공정이 상기 샌드페이퍼가 도포된 1∼4개의 로울러와 접촉시키면서 적절한 장력과 압력을 부여하여 10∼30 m/분의 속도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직물의 기모공정 후에 날염호료를 제거하도록 수세공정을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의 제조방법.
  8.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제품.
KR1019990047256A 1999-10-28 1999-10-28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1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256A KR100312320B1 (ko) 1999-10-28 1999-10-28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256A KR100312320B1 (ko) 1999-10-28 1999-10-28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42A KR20010039042A (ko) 2001-05-15
KR100312320B1 true KR100312320B1 (ko) 2001-11-05

Family

ID=1961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256A KR100312320B1 (ko) 1999-10-28 1999-10-28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03B1 (ko) * 2001-04-13 2004-03-04 구창모 고선명 고발색 날염용 호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날염방법
KR100461793B1 (ko) * 2002-04-23 2004-12-14 강수행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KR100691021B1 (ko) * 2005-05-11 2007-03-09 박상호 두 색조를 갖는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0013B1 (ko) * 2005-11-12 2007-11-28 강기옥 스크래칭 및 워싱을 이용한 직물 표면의 가공방법
KR100704164B1 (ko) * 2006-04-04 2007-04-09 최광영 날염호료 조성물
KR101726565B1 (ko) 2016-08-30 2017-04-13 이규창 화학 섬유사 기모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911943B1 (ko) * 2016-09-29 2018-10-25 주식회사 현진 원단 날염용 호료 복합 조성물
KR101911944B1 (ko) * 2016-09-29 2018-10-25 주식회사 현진 원단 날염용 호료 복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2859A (ja) * 1988-04-20 1989-10-31 Kanebo Ltd 凹凸調起毛織編物の製造方法
JPH02289172A (ja) * 1989-04-25 1990-11-29 Unitika Ltd 織編物の柄起毛加工方法
JPH06287861A (ja) * 1993-04-01 1994-10-11 Kanebo Ltd 布帛の起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2859A (ja) * 1988-04-20 1989-10-31 Kanebo Ltd 凹凸調起毛織編物の製造方法
JPH02289172A (ja) * 1989-04-25 1990-11-29 Unitika Ltd 織編物の柄起毛加工方法
JPH06287861A (ja) * 1993-04-01 1994-10-11 Kanebo Ltd 布帛の起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42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320B1 (ko) 기모된 디자인을 갖는 섬유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912645B (zh) 一种双面异效的速干透气型面料的加工方法
CN107227629A (zh) 一种专色数码印花工艺
JPS6221902B2 (ko)
CN113737545A (zh) 一种涤纶磨毛仿蜡染纺印工艺
US2319903A (en)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cellulosic fabric
CN105755723B (zh) 一种聚酰胺‑酯面料的仿旧加工方法
JP4002102B2 (ja) 高伸縮性染色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法
CN112430887A (zh) 一种透气柔软型针刺pk环保印花布及其制备方法
KR100513964B1 (ko)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된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직물지
CN110592987A (zh) 一种汉麻混纺面料的印花方法
KR100426508B1 (ko) 불규칙한 주름을 갖는 주름원단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한 주름원단
KR100655758B1 (ko) 원단의 요철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해 요철처리된 원단
JPS5818469A (ja) 有毛生地に凸凹模様を付与する方法
JPH055279A (ja) セルロース系繊維立毛製品の製造方法
CN107385980A (zh) 3d花型毛绒织物的加工方法
JPS6115197B2 (ko)
JPS6052229B2 (ja) 模様を有する織編物の製造法
JPH03269186A (ja) 霜降り模様布帛の製造方法
CN111172783A (zh) 一种雪花绒面料的印花后整工艺
JPH06306772A (ja) 絹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絹粉体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絹粉体を用いたクリーニング仕上げ糊剤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474672B1 (ko) 한지를 이용한 의복
JPS6115198B2 (ko)
JP2004292981A (ja) 寝装品用立毛生地の染色方法
KR20050112019A (ko) 날염물의 부분 포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