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751B1 -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751B1
KR100308751B1 KR1019990039724A KR19990039724A KR100308751B1 KR 100308751 B1 KR100308751 B1 KR 100308751B1 KR 1019990039724 A KR1019990039724 A KR 1019990039724A KR 19990039724 A KR19990039724 A KR 19990039724A KR 100308751 B1 KR100308751 B1 KR 10030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abric
weight
wool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805A (ko
Inventor
심수경
김진홍
허택균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1999003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7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직물과 같은 표면효과와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60 ∼ 80중량% : 40 ∼ 20중량%의 혼방 비율로 혼방시킨 혼방사를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하고, 상기 직물을 13 ∼ 18중량%의 감량율로 감량 시키고 기모하여 제조하는 방법임.

Description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of wool-like polyester fabric}
본 발명은 자연스러운 멜란지 효과와 미세한 기모가 표면에 발현 되어서 모직물과 유사한 표면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적절한 탄발력과 벌키성으로 인하여 모직물과 유사한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모직물과 유사한 표면 효과와 촉감을 가지도록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혼방하여 제직 한 직물을 정련 축소, 감량 및 염색등의 가공 공정을 거쳐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모직물과 같은 외관과 촉감을 나타내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은 주로 이수축 혼섬사를 사용하여 벌키성과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거나 또는 모직물과 유사한 느낌을 갖도록 만든 울 라이크한 원사를 사용하였는바, 이와 같은 원사로 제조한 직물은 모직물에 비하여 폴리에스테르의 느낌이 강하고 모직물에서 느껴지는 자연스러운 멜란지 효과와 표면의 미세한 기모 느낌이 부족 하였다.
또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은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용출시켜서 극세 섬도의 단섬유로 만들 때 단섬유의 강도가 저하 되고 잔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이용하여 모직물과 유사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종래처럼 단섬유의 강도저하를 일으키지 않으며 잔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혼방시킨 혼방사를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를 사용하면 장섬유를 사용할 때 보다 최종 직물상에 모직물 표면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미세한 기모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단섬유와 면섬유를 혼방시키면 폴리에스테르와 면간의 염색 차이로 멜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로 부터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용출시킨 후에도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직물에 탄발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와의 혼방비율은 중량% 로 60∼80% 대 40∼20% 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혼방 비율은 멜란지 효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나게 하고 기모 효과도 양호하게 나타나게 한다.
만일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의 혼방비율이 80중량%을 초과하면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부분의 용출 후에 강도가 저하되며 또한 멜란지 효과도 미약하게 발현 된다.
또 상기 복합사의 단섬유의 혼방 비율이 60중량% 미만이면 최종 직물의 표면에 자연스런 멜란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색상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미세한 기모 효과도 부족해진다.
이렇게 만든 원사를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하며, 다른 방향의 원사는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고, 직물 조직은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의 혼방사가 표면이 많이 도출되는 조직으로 제직 하여서 표면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다.
제직된 직물을 정련, 축소, 감량, 기모, 염색 순으로 가공을 진행 시키는바, 상기 가공공정 중에서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부분을 용출 시키는 감량 공정과 표면에 미세한 기모 효과를 부여하는 기모 공정이 중요하다.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부분을 용출 시킬 때에는 감량율을 13 ∼ 18중량%로 하여야 하는데 이 범위가 폴리에스테르 부분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부분을 용출 시켜서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직물에 탄발력과 벌키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또한 미세한 기모 효과를 발현 시킨다.
만약 감량율이 13중량% 미만이면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부분의 용출이 부족하여 미세한 기모 효과를 낼 수 없으며 최종 직물에서 탄발력과 벌키성이 부족하여다소 뻣뻣한 느낌이 생긴다.
또한 감량율이 18중량%를 초과하면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부분의 용출은 완전히 이루어지나 폴리에스테르 부분도 손상을 받게 되어서 강도가 저하되고 잔털이 발생되며 최종 직물에서 탄발력과 벌키성이 없으며 후들거리는 느낌이 생긴다.
기모 공정에서는 샌드페이퍼 번호가 300 ∼ 400 사이의 것을 사용하면 모직물에서 느낄 수 있는 미세한 기모 효과를 낼 수 있다.
샌드 페이퍼 번호가 300 미만이면 기모 길이가 길게 되어 지저분하게 보이고 잔털이 많이 발생하며, 샌드 페이퍼 번호가 400을 초과하면 기모가 잘 되지 않으며 기모 효과가 부족하게 된다.
실시예 1
경사는 폴리에스테르 150데니아 48 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위사는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70 대 30의 중량 비율로 혼방한 것을 사용 하였다.
조직은 위사가 표면에 많이 도출되는 옥스퍼드 조직으로 제직 하였다.
이 직물을 정련→축소→감량→기모→ 염색의 공정 순으로 가공을 진행 하였는데 이때 감량율은 15중량%로 하였으며 기모는 샌드 페이퍼 300번을 사용 하였다.
실시예 2
경사는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70 대 30의 중량 비율로 혼방하여 사용 하였고, 위사는 폴리에스테르 150 데니아 48 필라멘트사를 사용 하였으며, 조직은 경사가 표면에 많이 도출되는 주자직으로 하여 제직 하였다.
가공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여 직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1
경사, 위사로 모직물 효과를 낼 수 있게 만든 폴리에스테르 150 데니아 108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주자직으로 제직한 것을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가공 공정데로 가공하여 직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2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150 데니아 48 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위사로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90 대 10의 중량 비율로 혼방하여 사용 하였고 조직은 옥스퍼드로 제직 하였다.
이 직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 공정을 진행시켜서 직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3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150 데니아 48 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위사로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30 대 70의 중량 비율로 혼방하여 사용 하였고 조직은 옥스퍼드로 제직 하였다.
이 직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 공정을 진행시켜서 직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하여 가공 공정을 진행 하였는데 감량 공정에서 감량율을 8중량%로 하여 직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하여 가공 공정을 진행 하였는데 감량 공정에서 감량율을 25중량%로 하여 직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하여 가공 공정을 진행 하였는데 기모 공정에서 샌드페이퍼를 200번으로 하여 직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 하여 가공 공정을 진행 하였는데 기모 공정에서 샌드페이퍼를500번으로 하여 직물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 7로 제조한 직물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 표 1>
본 발명으로 제조한 직물은 모직물 표면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런 멜란지 효과와 미세한 기모가 있으며 동시에 적당한 탄발력과 벌키성도 지니고 있으므로 촉감에 있어서도 모직물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남녀 정장류, 자켓, 코트류 등의 원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

  1. 폴리에스테르/이용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섬유와 면섬유를 60 ∼ 80중량% : 40 ∼ 20중량%의 혼방 비율로 혼방한 혼방사를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한 직물을 13 ∼ 18중량%로 감량하고 300 ∼ 400번의 샌드 페이퍼로 기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90039724A 1999-09-15 1999-09-15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030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724A KR100308751B1 (ko) 1999-09-15 1999-09-15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724A KR100308751B1 (ko) 1999-09-15 1999-09-15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805A KR20010027805A (ko) 2001-04-06
KR100308751B1 true KR100308751B1 (ko) 2001-12-28

Family

ID=1961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724A KR100308751B1 (ko) 1999-09-15 1999-09-15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7662A (zh) * 2021-11-24 2022-02-01 福建省晋江市华宇织造有限公司 一种弹性面料及其生产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307A (ko) * 1983-01-25 1984-08-20 이영호 면설물(Waste Cotton)과 재생화학섬유를 이용한 양모(Wool) 촉감의 모포 제조방법
KR860000442A (ko) * 1984-06-04 1986-01-28 이병재 폴리에스터/면 혼방사 제품의 메란지(melange) 제조법
JPH062268A (ja) * 1992-06-12 1994-01-11 Nisshinbo Ind Inc 嵩高性を有する綿織物の製造方法
KR950008760A (ko) * 1993-09-01 1995-04-19 김준응 폴리에스테르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240595B1 (ko) * 1997-09-08 2000-01-15 김윤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307A (ko) * 1983-01-25 1984-08-20 이영호 면설물(Waste Cotton)과 재생화학섬유를 이용한 양모(Wool) 촉감의 모포 제조방법
KR860000442A (ko) * 1984-06-04 1986-01-28 이병재 폴리에스터/면 혼방사 제품의 메란지(melange) 제조법
JPH062268A (ja) * 1992-06-12 1994-01-11 Nisshinbo Ind Inc 嵩高性を有する綿織物の製造方法
KR950008760A (ko) * 1993-09-01 1995-04-19 김준응 폴리에스테르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240595B1 (ko) * 1997-09-08 2000-01-15 김윤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80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9143B2 (ja) 風合いに優れた複合繊維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08751B1 (ko)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JP3862046B2 (ja) 清涼薄地複合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18162A (ja) 芯地用複合糸及び芯地用布帛
KR100240595B1 (ko)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0216553B1 (ko) 천연스웨드와 유사한 촉감 및 외관을 갖는 환편지의 제조방법
JPH10245741A (ja) 高密度織物
JP3267746B2 (ja) 複合繊維織編物の製造方法
DE19904265A1 (de) Elastische 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2789691B2 (ja) 芯地用織物及びその製造法
KR100332559B1 (ko) 반발 탄력성이 우수한 소모조(梳毛調) 직물의 제조방법
EP1025766B1 (de) Elastische 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100457680B1 (ko) 대전방지성과 흡습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0496041B1 (ko) 표면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JP2845293B2 (ja) 芯地用織物及び芯地
JP3395175B2 (ja) 風合いかつ外観に優れた複合繊維織編物の製造方法
KR100295749B1 (ko) 고강력복합방호복직물의제조방법
JPH07310252A (ja) 表面に毛羽を有する織物
JPS584868A (ja) スパン調ポリエステル系織編物の製造法
KR100329795B1 (ko) 심초형폴리에스테르혼섬사
KR950004070B1 (ko) 초극세혼섬사의 제조방법
JPS60259684A (ja) 人造毛皮の製造方法
KR970010730B1 (ko) 아세테이트/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JP2650304B2 (ja) 特殊風合織物及びその製造法
JPH07258938A (ja) 接着芯地用基布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