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345B1 - 자동차의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345B1
KR100308345B1 KR1019940006015A KR19940006015A KR100308345B1 KR 100308345 B1 KR100308345 B1 KR 100308345B1 KR 1019940006015 A KR1019940006015 A KR 1019940006015A KR 19940006015 A KR19940006015 A KR 19940006015A KR 100308345 B1 KR100308345 B1 KR 10030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lead
air bag
bend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326A (ko
Inventor
몬데카쯔노리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임스 이. 미러
Publication of KR94002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장치에 관하여, 특히, 이에어백리드의 구조에 관한것으로써, 승무원 머리부등이 에어백리드에 충돌하였을때의 머리부등의 보호와, 튀어오른 에어백리드에 의한 프론트윈드유리에의 충격의 완화의 양립을 도모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한것이며, 그구성에 있어서, 에어백리드(10)의 기판(16)에, 세로리브(62)및 가로리브(64)를 격자형상으로 형성해서 보강부재(61)를 설치하는 동시에 슬릿(58)을 형성해서 절곡용이부(58)를 형성한다. 상기 절곡용이부(56)는 상기 보강부(61)의 아래쪽에 인접시켜서 형성한다. 또, 에어백리드(10)에는 절곡용이부(5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이절곡용이부(56)의 위쪽 및 아래쪽에 있어서 에어백리드(10)에 고착한 보강부재(66),(68)를 형성하고, 이보강부재(66),(68)에는 에어백리드(10)의 절곡용이부(56)에서의 구부러짐에 추종해서 변형용이한 변형용이부를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장치의 일실시예를 구비한 자동차의 계기판부분을 표시한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중의 II-II선단면도
제 3도는 에어백리드를 제 2도중의 화살표시 (A)방향에서 본 도면
제 4도는 제 3도중의 IV-IV선단면도
제 5도는 제 4도중의 위치 결정 프레임을 화살표시(B)방향에서 본 도면
제 6도는 제 2도 및 제 4도중의 계기판 코어를 화살표시(C)방향에서 본 도면
제 7도는 보강부재의 추종변형을 표시한 도면
(4) ... 계기판 (4a) ... 계기판개구부
(6) ... 에어백장치 (8) ... 에어백장치본체
(10) ... 에어백리드 (11) ... 프론트윈드유리
(16) ... 기판 (56) ... 절곡용이부
(58) ... 슬릿 (60) ... 취약부
(61) ... 보강부 (62),(64) ... 리브
(66),(68) ... 보강부재(위치결정부재)
(70),(72) ... 기부 (70a),(72a) ... 상부암
(70b),(72b) ... 하부암 (70c),(72c) ... 플랜지부
(70d),(72d) ... 플랜지 잘린부분 (86) ... 변형용이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백리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4-594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조수석 승무원용의 에어백장치와 같이, 에어백장치 본체를 계기판내에 배설하는 동시에 에어백장치, 본체의 앞면쪽(이 장치본체의 에어백전개팽출구쪽)에 설치되는 에어백리드를 프론트윈드유리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계기판부분에 형성한 개구부내에 위치시키고, 이 에어백리드의 상부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에어백팽출전개시에 이 에어백의 팽출 압력에 의해 에어백리드를 상기 힌지부 부분을 중심으로해서 그 하부를 위쪽으로 튀어오르도록 회동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에어백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4-8944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에어백리드가 위쪽으로 회동해서 프론트윈드유리에 충돌하였을때에 이 에어백리드가 용이하게 구부러져서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이 에어백리드에 절곡용이부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근년의 계기판구조에 있어서는, 계기판에 위쪽으로부터 승무원의 두부등이 충돌하였을때에, 이 두부등에 소정이상의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이 두부등에 소정치이상의 감속가속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규칙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에어백리드의 강성을 증대시켜, 두부등의 충격을 이 에어백리드의 변형에 의해 완만하게 흡수하게 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강성을 증대시킨 에어백리드에 대해서 상기 프론트윈드유리에의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돌완화를 위한 절곡용이부를 형성하는 경우는, 에어백리드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면서 또한 상기 절곡용이부에 의한 구부러짐이 용이하게 행해지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에어백리드에 대해서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면서 또한 절곡용이부에 의한 구부러짐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의 제 1의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백장치본체와, 이 에어백장치 본체의 앞면쪽에 있어서 계기판부분을 배설되고 에어백 팽출전개시에 하부가 위쪽으로 튀어오르는 에어백리드를 구비하고, 이 에어백리드에는 이 에어백리드가 위쪽으로 튀어올라서 프론트윈드 유리에 충돌하였을때에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절곡용이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이며, 상기 에어백리드와 기판을 구비하고, 이 기판에는 강성을 증대시킨 보강부와 상기 절곡용이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용이부는 상기 보강부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용이부는 취약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취약부는 상기 기판에 슬릿을 구성하므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기판에 리브를 형성하므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용이부는 차폭방향으로 뻗어형성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의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백장치본체와, 이 에어백장치 본체의 앞면쪽에 있어서 계기판부분에 배설되고 에어백 팽출전개시에 하부가 위쪽으로 튀어오르는 에어백리드를 구비하고, 이 에어백리드에는 이 에어백리드가 위쪽으로 튀어올라서 프론트윈드유리에 충돌하였을때에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절곡용이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이며, 상기 에어백리드에는 상기 절곡용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이 절곡용이부의 위쪽 및 아래쪽에 있어서 각각 에어백리드에 고착된 보강부재가 장착되고, 이 보강부재에는 상기 에어백리드의 상기 절곡용이부에서의 구부러짐을 추종해서 변형용이한 변형용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로서는, 상기 에어백리드를 향해서 돌출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에는 잘린부분이 형성되고, 이 잘린부분에 의해 상기 변형용이부가 형성된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그와같은 보강부재로서는, 기부와, 이 기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상기 에어백리드를 향해서 뻗는 상부암 및 하부암을 구비한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기부에 형성되고, 이 플랜지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암에 접속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상기 하부암에 이르는 바로앞에서 종료하고, 이 하부암과 상기 기부와의 코오너부에 상기 플랜지의 잘린부분이 형성되는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에어백리드를 상기 계기판부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용이부는 차폭방향으로 뻗어형성할 수 있다.
본원의 제 1의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는, 상기와 같이, 에어백리드의 기판에 이 기판의 강성을 증대시킨 보강부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보강부에 의해 에어백리드의 강성이 향상하고, 머리부등의 충격은 에어백리드의 변형에 의해 완만하게 흡수되고, 이 머리부등에 발생하는 충격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절곡용이부가 이 보강부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백리드가 프론트윈드 유리에 충돌하였을때에 이 보강부에 의해 절곡용이부에의 응력집중이 조장되고, 그것에 의해서 구부러짐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의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는, 상기와 같이, 에어백리드에 상기 절곡용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이 절곡용이부의 위쪽 및 아래쪽에 있어서 각각 에어백리드에 고착된 보강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 보강부재에 의해 에어백리드의 강성이 향상하고, 머리부등의 충격은 에어백리드의 변형에 의해 완만하게 흡수되고, 머리부등에 발생하는 충격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보강부재에는 상기 에어백리드의, 절곡용이부에서의 구부러짐에 추종해서 변형용이한 변형용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백리드가 프론트윈드유리에 충돌하였을때에 이 보강부재는 에어백리드의 절곡용이부에서의 구부러짐에 추종해서 변형용이부에서 용이하게 변형하고, 그것에 의해서 에어백리드의 구부러짐을 저해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장치의 일실시예를 구비한 자동차의 계기판부분을 표시한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중의 II-II선 단면도(제 3도의 II-II선단면에 상당하는 도면)제 3도는 제 2도중의 에어백리드를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장치는, 조수석(2)에 착좌하는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기판(4)의 조수석의 차체앞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설되어 있다. 이 에어백장치(6)는, 에어백장치본체(8)와 이 장치본체(8)에 장착된 이 장치본체(8) 앞면쪽(에어백 장치 본체의 에어백 팽출전개구(8a)쪽으로서, 에어백장치 본체(8)에 대해서 차체 뒤쪽)에 위치하는 에어백리드(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본체(8)는 그 앞면쪽을 차체 뒤쪽으로 향해서 계기판(4)내에 배설되고, 상기 에어백리드(10)는, 프론트윈드유리(1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계기판부분에 형성된 개구부(4a)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본체(8)는 에어백케이스(14)와, 이 에어백케이스(14)내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에어백, 인플레이터 및 점화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워진다.
상기 에어백리드(10)는, 철판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워진 기판(16)과, 이 기판(16)의 앞면쪽(차체 뒤쪽편)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표피(18)와, 상기 기판(16)과 표피(18)와의 사이에 충전된 발포우레탄등의 발포재(20)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16)의 상부에는 힌지부(22)를 형성하는 굴곡변형 가능한 금속판(24)의 일단부가 고착됨과 동시에 이 금속판(24)의 타단부는 상기 에어백장치본체(8)의 상부에 고착되고, 상기 기판(16)의 하부에는 합성수지제이고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 노치부(26a)가 형성된 연결부재(26)의 일단부가 고착되는 동시에 이 연결부재(26)의 타단부는 상기 에어백장치본체(8)의 하부에 고착되고, 이로써 상기 에어백리드(10)는 상기 힌지부(22)(금속판 24)와 연결부재(26)로 상기 에어백 장치본체(8)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계기판(4)내의 상기 개구부(4a)가 형성된 부분에는 에어백 장착부(28)가 설치되고, 이 에어백장착부(28)는 상기 계기판(4)과 일체적으로 이 계기판(4)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장착부(28)는, 상판(30), 개구부 "32a"가 형성된 하판(32). 도시하지 않은 우측판 및 좌측판으로 이루워진 앞면 및 뒤면이 개방된 프레임체로 이루워지고, 상판(30)및 하판(32)에는 각각 플렌지(34),(36)가 형성되고, 이 플렌지(34),(36)을 개재해서 상하에서 볼트(38),(40)에 의해 계기판(4)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본체(8)에는 장착용 다리부(42)가 용접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장착부의 하판(32)에 형성된 삽통구멍에 볼트(44),(46)을 삽통하고, 이 볼트(44),(46)에 의해 이 하판(32)에 상기 다리부(42)를 고착하므로써, 상기 에어백장치본체(8)가 이 에어백장착부(28)에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계기판(4)내에는, 차폭방향으로 뻗어서 그 양단부가 차체의 좌우측벽에 연결된 고강성의 파이프형상의 지지 멤버인 스티어링 지지멤버(48)가 배설되어 있고, 이 지지벰버(48)에는 지지브래킷(50)이 용접등에 의해 고착되고, 이 지지브래킷(50)에는 볼트 삽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46)는 이 삽통구멍에도 삽통되어서 상기 다리부(42)와 에어백장착부(28)와 이 계지브래킷(50)을 일체로 죄이고, 이에 의해서 상기 에어백 장치본체(8)및 에어백 장착부(28)는 이 지지벰버(48)에 의해서 큰 지지강도로서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에어백장치(6)의 배설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지브래킷(50)을 지지벰버(48)에 용접해서 고착한다. 이어서, 에어백리드(10)가 장착된 에어백장치본체(8)를 계기판 개구부(4a)로부터 계기판(4)내에 삽입해서 상기 다리부(42)의 볼트 삽통구멍을 상기 에어백 장착부 하판(32)의 볼트삽통구멍에 위치맞추고, 앞쪽 다리부(42)에 있어서는 양볼트 삽통구멍에 볼트(44)를 삽통하고 또한 뒤다리부(42)에 있어서는 이들의 양볼트 삽통구멍과 같이 또 상술한 바와같이 지지브래킷(50)의 볼트 삽통구멍에도 볼트(46)를 삽통해서 에어백장치본체(8)를 이 에어백장착부(28)에 장착한다.
상기 에어백장치(6)는, 자동차가 급감속한것을 검지하는 가속도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자동차의 충돌을 검지하고, 이 충돌시에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상기 에어백내에 가스를 공급해서 이에어백을 에어백 팽출전개구(8a)로부터 팽출시키고, 이에어백의 팽출압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26)를 그노치부(26a)에 있어서 파단시켜서 상기 에어백리드를 그상부에 설치된 힌지부(22)부분을 중심으로해서 그하부가 위쪽으로 튀어오르게되는 상태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에어백을 차체뒤쪽의 조수석 승무원쪽에 팽출전개시켜서 이 조수석승무원을 구속하여 보호한다.
다음에, 상기 에어백리드의 구조에 대하여 더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리드(10)에는, 상기 힌지부(22)가 설치된 힌지배설부(52)와 에어백리드 하단부(54)와의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뻗은선에 따라서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절곡용이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절곡용이부(56)는, 상기 기판(16)에 그차폭방향의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차폭방향으로 뻗은 슬릿(58)를 설치하고, 이 슬릿을 설치하므로써 형성된 차폭방향으로 뻗은 취약부(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에어백리드(10)에는, 이리드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기판(16)의 상부영역에 강성을 증대시킨 보강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보강부(61)는, 본실시예에서는 기판(16)에 상하방향으로 뻗는 세로리브(62)와 차폭방향으로 뻗는 가로리브(64)를 격자형상으로 설치하므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용이부(56)는 이보강부(61)(상기 세로리브(62)와 가로리브(64)가 격자형상으로 설치된 상부영역)의 근처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보강부(61)의 아래가장자리부의 아래쪽에 있어서 이아래가장자리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에어백리드(10)의 배면(차체 앞쪽면)에는, 이에어백리드를 보강하고, 그 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부재로서 겸용된 위치결정부재(66),(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부재(66),(68)은 상기 에어백리드(10)를 상기 계기판개구부(4a)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것이며, 제 3도와 제 3도속의 IV-IV선단면도인 제 4도 및 제 4도속의 위치결정부재를 화살표시(B)방향으로부터 표시한 제 5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기판(16)의 배면의 차폭방향의 좌우양옆부에 설치된 좌우의 위치결정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위치결정 프레임(66),(68)은 기부(70),(72)와 이기부(70),(72)로부터 에어백리드(10)의 배면을 향해서 대략직각방향으로 뻗은 상부암(70a),(72a)및 하부암(70b),(72b)을 구비한 대략형상(제 2도 및 제 4도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용이부(5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태양으로 배설되고, 또한 이절곡용이부(56)의 위쪽에 있어서 상부암(70a),(72a)의 선단부가, 아래쪽에 있어서 하부암(70b),(72b)의 선단부가 각각 에어백리드(10)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프레임(66),(68)중 우측위치결정프레임의 기부(72)에는 둥근구멍(76)이, 좌측위치결정프레임의 기부(70)에는 차폭방향으로 뻗는 긴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도 및 제 4도중의 화살표C방향에서 본 계기판 코어(80)를 표시한 제 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계기판코어(80)에 형성된 개구부(80a)의 좌우양단부에는 플랜지부(82)가 형성되고, 양플랜지부(82)에는 각각 돌기(8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의 위치결정프레임(66),(68)은 각각 상기 좌우의 플랜지부(82)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84)를 각각 상기 위치결정 프레임의 둥근구멍(76)및 긴구멍(74)에 끼워맞춤시키므로써, 에어백리드(10)와 계기판개구부(4a)와의 위치맞춤이 행해진다. 특히 우측위치결정프레임의 둥근구멍(76)에 우측돌기(84)를 끼워맞춤시키므로써, 리드우측부분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을 위치맞춤하고, 우측위치결정프레임의 긴구멍(74)에 좌측돌기(84)를 끼워맞춤시키므로써 리드좌측부분의 상하방향을 위치맞춤하고, 이로써 리드전체를 좌우방향의 축이 상하로 기울어지는 일없이 정확하게 위치맞춤할수 있다.
또, 상기 위치맞춤프레임(66),(68)은, 상기한 바와같이 에어백리드(10)의 보강부재로서 겸용되고 있으며, 이보강부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위치결정프레임 자신의 강성도 크지않으면 안되고, 이때문에 위치결정프레임자신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기부(70),(72)에는 각각 차폭방향 양쪽에 에어백리드(10)의 배면을 향해서 돌출한 플랜지(70c),(72c)가 형성되어 있고, 이플랜지(70c),(72c)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암(70a),(72a)에 접합되고, 하단부는 상기하부암(70b),(72b)에는 접합되지 않고 그조금 바로앞에서 종료하고, 그하부암(70b),(72b)의 조금 바로앞의 영역 즉 기부(70),(72)와 하부암(70b),(72b)와의 코오너부영역은 플랜지의 잘린부분(70d),(72d)로 되어있다. 이잘린부분(70d),(72d)에 의해, 에어백리드(10)의 절곡용이부(56)에서의 구부러짐에 추종해서 변형용이한 변형용이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지(70c),(72c)가 잘려져 있으므로써 보강부재(70),(72)는 그 잘린부분(70d),(72d)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절곡변형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또 그잘린부분(70d),(72d)은 코오너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코오너부는 원래 절곡변형이 용이한것과 더불어, 보다 한층 절곡변형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70c),(72c)는 위치결정프레임(66),(68)의 강성을 증대시켜서, 이프레임(66),(68)의 변형을 억제하고, 이에 의해서 이프레임(66),(68)에 의한 위치결정밀도의 향상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제 3도중의 구멍(90)은 힌지부(22)를 구성하는 금속판(24)의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삽통구멍, 구멍(92)은 연결부재(26)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삽통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장치(6)는, 에어백리드의 기판(16)에 이기판(16)의 강성을 증대시킨 보강부(6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보강부(61)에 의해 에어백리드(10)의 강성이 향상하고, 따라서 승무원의 머리부등이 에어백리드에 충돌하였을때에 이머리부등의 충격은 에어백리드(10)의 변형에 의해 완만하게 흡수되고, 이머리부등에 발생하는 충격의 감소를 도모할수 있다.
또 상기기판(16)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힌지배설부(52)와 에어백리드 하단부(54)와의 사이에 차폭방향으로 뻗는 선에 따라서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절곡용이부(5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백 팽출전개시에 에어백리드(10)가 튀어올라서 그하단부(54)가 프론트윈드유리(11)에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이프론트윈드유리에 충돌하였을때에 상기 하단부(54)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에어백리드(10)가 절곡용이부(56)에서 구불어지고, 그에 의해서 에어백리드(10)가 프론트윈드유리(11)에 충돌하였을때의 충격이 흡수된다.
또, 상기 절곡용이부(56)는 상기보강부(61)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백리드(10)가 프론트윈드유리(11)에 충돌하였을때에 이보강부(61)에 의해 절곡용이부(56)에의 응력집중이 조장되고, 그에 의해서 구부러짐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게할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에어백장치는, 에어백리드(10)에 상기 절곡용이부(5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이절곡용이부(56)의 위쪽 및 아래쪽에 있어서 각각 에어백리드(10)에 고착된 보강부재(66),(68)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보강부재(66),(68)에 의해 에어백리드(10)의 강성이 향상하고, 승무원의 머리부등이 에어백리드에 충돌하였을때에 이머리부등의 충격은 에어백리드(10)의 변형에 의해 완만하게 흡수되고, 이머리부등에 발생하는 충격의 감소를 도모할수 있다.
또, 이보강부재(66),(68)에는 상기 에어백리드(10)의 절곡용이부(56)에서의 구부러짐에 추종해서 변형용이한 변형용이부(8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7도중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에어백리드(10)가 프론트윈드유리에 충돌하였을때에 이보강부재(66),(68)는 에어백리드의 절곡용이부(56)에서의 구부러짐에 추종해서 변형용이부(86)에서 용이하게 구부러져 변형하고, 그에 의해서 에어백리드(10)의 구부러짐을 저해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행하게 할수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상기한 본원의 제 1의 발명과 제 2의 발명과의 쌍방을 구비한것이나, 이들은 별개의 발명으로서 실시가능하다. 즉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부재(66),(68)를 생략하고, 혹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적당한 방법에 의해 에어백리드(10)에 절곡용이부를 형성하여 기판(16)의 보강부(61)및 절곡용이부(56)를 생략하는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 1의 발명에 있어서는 보강부(61)나 절곡용이부(56)는 다른 여러가지의 태양에 의해서 형성하는 일이 가능하며, 또 제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에어백리드(10)의 절곡용이부는 어떠한 태양의 것이어도되고, 보강부재(66),(68)의 태양 혹은 이보강부재에 있어서의 변형용이부(86)의 태양도 여러가지 변경가능하다.

Claims (13)

  1. 에어백장치본체와, 상기 에어백장치 본체의 앞면쪽에 있어서 계기판 부분에 배설되고 에어백 팽출 전개시에 하부가 위쪽으로 튀어오르게 되는 에어백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리드에는 상기 에어백리드가 위쪽으로 튀어올라서 프론트윈드 유리에 충돌하였을 때에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절곡용이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로서, 상기 에어백리드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는 강성을 증대시킨 보강부와 상기 절곡용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용이부는 상기 보강부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용이부가 취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가 상기 기판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상기 기판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용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6. 에어백장치본체와, 상기 에어백장치본체의 앞면쪽에 있어서 계기판 부분에 배설되고 에어백 팽출 전개시에 하부가 위쪽으로 튀어오르게 되는 에어백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리드에는 상기 에어백리드가 위쪽으로 튀어올라서 프론트윈드 유리에 충돌하였을 때에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절곡용이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백장치로서, 상기 에어백리드에는 상기 절곡용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절곡용이부의 위쪽 및 아래쪽에 있어서 각각 에어백리드에 고착된 보강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에어백리드의 상기 절곡용이부에서의 구부러짐에 추종해서 변형용이한 변형용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에어백리드를 향해서 돌출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에는 잘린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잘린부분에 의해 상기 변형용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가, 기부와, 상기 기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상기 에어백리드를 향해서 뻗는 상부암 및 하부함을 구비한 대략 "⊃"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기부에 형성되고, 이 플랜지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암에 접속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상기 하부암에 이르는 바로 앞에서 종료하고, 이 하부암과 상기 기부와의 코오너부에 상기 플랜지의 잘린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에어백리드를 상기 계기판부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10. 제 6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용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11. 충돌시에 승무원을 제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프론트윈드유리 아래에 설치된 계기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승무원좌석을 향해서 팽출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팽출시에 상기 에어백에 의해 튀어오르도록 상기 에어백용 하우징에 그 상부에서 힌지되고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에어백리드를 가진 에어백장치를 포함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리드 포함된 기판과; 상기 에어백리드가 충격에 의해서 프론트윈드유리에 부딪힐 때, 상기 에어백리드를 절곡시켜 2개로 접고, 상기 기판에 의해 한정된 취약수단과; 상기 에어백리드를 보강하여 강성이 증대된 상기 에어백리드를 제공하고, 상기 취약수단에 근접하여 상기 에어백리드에 장착된 보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취약수단은 상기 기판의 상반부와 하반부 사이에 형성된 절곡용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용이부는 상기 에어백리드의 주요부보다 더 절곡용이하고, 상기 절곡용이부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연장되어 있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절곡용이부의 반대쪽 단부에 횡으로 설치된 복수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각 브래킷은 상기 절곡용이부를 공간적으로 교차시키는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상기 굴곡용이부의 수직 반대쪽의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이 상기 에어백리드의 절곡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절곡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를 포함한 자동차.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에 구비된 복수의 리브는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를 포함한 자동차.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격자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를 포함한 자동차.
KR1019940006015A 1993-03-25 1994-03-25 자동차의에어백장치 KR100308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36293 1993-03-25
JP93-66362 1993-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326A KR940021326A (ko) 1994-10-17
KR100308345B1 true KR100308345B1 (ko) 2001-12-15

Family

ID=1331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015A KR100308345B1 (ko) 1993-03-25 1994-03-25 자동차의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37469A (ko)
KR (1) KR100308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9778A (en) * 1997-07-31 1998-11-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restraint system
US6460876B1 (en) * 1999-10-29 2002-10-08 Calsonic Kansei Corporation Vehicular air-bag lid structure
FR2802498A1 (fr) 1999-12-21 2001-06-22 Sai Automotive Allibert Ind Equipement interieur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tel qu'une planche de bord
US6217061B1 (en) 2000-02-18 2001-04-1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irbag system within impact countermeasures
EP1151898B1 (en) 2000-04-28 2004-02-25 Inoac Corporation Tear structure of air bag door
US6623029B2 (en) 2001-09-07 2003-09-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eamless passenger side airbag door on hard instrument panel
US6644685B2 (en) 2001-09-07 2003-1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eamless passenger side airbag door
US20040130132A1 (en) * 2002-03-06 2004-07-08 Soncrant Jeffrey L Integrated passenger airbag canister into seamless soft instrument panel
US6942240B2 (en) * 2003-01-15 2005-09-13 Intier Automotive Inc. Structural reinforcement member for a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JP4601388B2 (ja) * 2004-10-20 2010-12-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取付部構造
JPWO2014069654A1 (ja) * 2012-11-05 2016-09-08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FR3006978B1 (fr) * 2013-06-14 2015-07-24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interieur de vehicule ayant un revetement mous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4349A (en) * 1972-05-19 1974-02-26 Gen Motors Corp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195776A (en) * 1990-03-27 1993-03-23 Mazda Motor Corporation Air bag installation
JPH0459450A (ja) * 1990-06-29 1992-02-2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JPH0489449A (ja) * 1990-07-30 1992-03-23 Nippon Carbide Ind Co Inc 4,4’―オクタフルオロビベンゾニトリル、4,4’―オクタフルオロビベンズアミド及び4,4’―オクタフルオロビ安息香酸の合成法、並びに、4,4’―オクタフルオロビベンズアミド
JP3066771B2 (ja) * 1991-03-25 2000-07-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4310450A (ja) * 1991-04-09 1992-11-02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H0524495A (ja) * 1991-07-20 1993-02-02 Mazda Motor Corp 助手席エアバツグ装置のリツド構造
JPH05147488A (ja) * 1991-11-28 1993-06-15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ツグ装置
US5238264A (en) * 1992-02-14 1993-08-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Deployment door for ai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37469A (en) 1995-08-01
KR940021326A (ko) 199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9178B2 (ja) 助手席用エアーバッグ装置
US6217061B1 (en) Airbag system within impact countermeasures
KR100308345B1 (ko) 자동차의에어백장치
JPH09123863A (ja) 脚部保護装置
JPH05139237A (ja) 助手席用エアバツグモジユールの取付け構造
JP444683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9123862A (ja) 脚部用エアバッグ装置
EP0378314A2 (en) Air bag mount structure for vehicle
US20230038221A1 (en) Tether clip, pillar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H09123857A (ja) 脚部用エアバッグ装置
JP3972765B2 (ja) 乗員脚部保護装置
JP3402732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3501741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4394191B2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3411333B2 (ja) エアバック装置
JP3096298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JP3440761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3263133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ユニット
JP3095474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JPH09207702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2580387Y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187820B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된 에어백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JP370278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287804B1 (ko)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