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804B1 -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804B1
KR100287804B1 KR1019980062433A KR19980062433A KR100287804B1 KR 100287804 B1 KR100287804 B1 KR 100287804B1 KR 1019980062433 A KR1019980062433 A KR 1019980062433A KR 19980062433 A KR19980062433 A KR 19980062433A KR 100287804 B1 KR100287804 B1 KR 10028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inflator
cushion
airbag cushion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5839A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101998006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8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3), 충돌시 상기 에어백 쿠션(3)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5), 및 내부에 인플레이터(5)와 에어백 쿠션(3)을 수용하도록 외체를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7)으로 구성된 조수석 에어백 장치(1)에 있어서, 인플레이터(5) 하우징(7)의 측면에는 복수의 절결돌기(11)와 돌출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의 양측단 모서리에는 한쌍의 막음돌기(1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에어백 쿠션(3)의 측면 하단에는 절결돌기(11) 주위로 끼워지는 복수의 절결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 하단 모서리에는 걸림봉(19)이 끼워져 있고, 절결돌기(11)와 돌출 플랜지(13) 및 걸림봉(19)의 상단에는 ㄷ자 형태로 절곡된 봉 형태의 리테이터(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쿠션(3)의 절결공(17)을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절결돌기(11)에 끼운 상태에서 걸림봉(19) 위에 위치하도록 절결공(17)을 통해 돌출 플랜지(13)에 리테이너(9)를 장착 고정함으로써 조수석 에어백 전개시 쿠션(3)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assemblying structure of airbag cushion for assistant driver seat)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정면 및 양측면에 에어백 쿠션을 고정하기 위한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를 설치하되, 인플레이터 정면 및 양측면 상단의 스텃볼트 구조물을 제거하고 양측에 절결돌기와 돌출 플랜지를 형성하고 에어백 쿠션 하단에 걸림봉을 삽입하여 조립시 절결돌기에 삽입된 상태로 리테이너에 의해 에어백 쿠션을 고정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의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운전자와 운전자 측면의 조수석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하게 위해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에서 또는 조수석 탑승자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이 장착된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 실내 정면 쪽에 배치되는 프론트 에어백과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섀시의 측면에 배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으로 분류된다.
여기에서, 프론트 에어백은 다시 시트 벨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형 에어백 장치와 3점식 시트 벨트으 장착을 전체로 한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라고 하는 에어백 장치로 분류 구별될 수 있다.
SRS 에어백 장치는 시트 벨트와 병행해서 사용되는 에어백 장치로 스티어링 휠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 에어백 센서가 그 충돌을 감지하면 순간적으로 쿠션이 팽창 전개되어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으 안면을 보호한다.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서 보조적인 구속장치(SRS)라고 명명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적인 구속장치는 시트벨트와 함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거의 절반씩 분담하게 된다.
또한, 에어백 센서는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그 종류에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기계식과 뒤틀림계 등을 사용하는 전기식이 있으며, 에어백 센서는 감속도가 이미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에만 작동된다.
그리고, 에어백 장치를 팽창시키는 방식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센서가 전기적으로 충돌을 감지하여 인플레이터(inflater)를 통전, 착화시키는 전기식과 감지장치가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면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 2가지가 있다. 따라서 충돌에 민감한 에어백은 차체의 수리 중에 충격력으로 인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체로부터 탈거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체를 이루는 에어백 하우징(101), 이 에어백 하우징(101)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인플레이터(103), 이 인플레이터(103)를 수용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05), 에어백 하우징(101)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5) 사이에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05)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백 쿠션(10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어백 쿠션(107)의 상부에는 도어(10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 하우징(101)의 외측에는 정면 브라켓(111)과 배면 브라켓(113)이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브라켓(111,113)에는 볼트(115,117)가 각각 체결되어 쿠션(107)의 상단 부분을 에어백 하우징(101)의 상단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는 도 3에 분해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7) 부분의 하부 고정단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5)의 전후 좌우 4면의 외측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모서리 부분이 적정 거리만큼 갈라져 있으며, 인플레이터 하우징(105) 외부면에 포개지는 4면의 하단부위에는 복수개의 관통공(119)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 하우징(105)의 상단 외부면에는 각각의 관통공(119)에 삽입되는 스텃 볼트(121)가 관통공(119)과 상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텃볼트(121)에 관통공(119)이 끼워져 하우징(105) 외부면 위로 쿠션(107)이 포개진 상태에서 복수의 스텃볼트(121)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5)을 전후 좌우에서 각각 지지하도록 판형의 리테이너(123,125)가 끼워지며, 하우징(105)에 끼워진 리테이너(123,125)와 쿠션(107)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각 스텃볼트(121)에는 고정너트(127)가 체결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에 의하면,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107)을 인플레이터 하우징(105)에 조립 고정하기 위해서 다수의 스텃 볼트(121)와 및 너트(127)를 필요로 하게 되며,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지 리테이너(123,125)가 필요하게 되므로 많은 수의 스텃볼트 및 너트의 사용으로 인해 조립공정이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라인 장비가 고가로 되며 작업공수의 증대로 인해 조립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하우징 후면을 제외한 3개의 측면에서 모든 스텃볼트를 제거하고, 이에 대체하여 ㄷ자 형태의 절곡 리테이너를 하우징 상단에 삽입 장착하고 이 절곡 리테이너를 이용해 쿠션의 전방 및 좌우측면 하단이 감겨 있는 걸림 리테이너를 고정함으로써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서 쿠션 전개시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부에 생성되는 고압의 내부 가스로 인해 하우징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쿠션 고정구조를 간단화시켜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수석 에버백 장치의 쿠션이 전개된 상태의 쿠션 조립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쿠션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쿠션 조립구조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로드 리테이너 부분의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수석 에어백 장치 3 : 에어백 쿠션
5 : 인플레이터 7 : 인플레이터 하우징
9 : 리테이너 11 : 절결돌기
13 : 돌출 플랜지 15 : 막음돌기
17 : 절결공 19 : 걸림봉
21 : 스텃볼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 충돌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 및 내부에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도록 외체를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으로 구성된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측면에는 복수의 절결돌기와 돌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의 양측단 모서리에는 한쌍의 막음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에어백 쿠션 측면 하단에는 절결돌기 주위로 끼워지는 복수의 절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 하단 모서리에는 걸림봉이 끼워져 있고, 절결돌기와 돌출 플랜지 및 걸림봉의 상단에는 ㄷ자 형태로 절곡된 봉 형태의 리테이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1)의 쿠션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 도로서, 여기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100)와 기본적인 구성은 대동소이하다. 즉, 에어백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에어백 하우징의 하단에는 평상시 접혀 보관된 에어백 쿠션(3)과, 충돌실 에어백 쿠션(3)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는 인플레이터(5)가 수용된 인플레이터 하우징(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 하우징(7)은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용기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에어백 쿠션(3)이 전개되는 상부만이 개방되어 있고, 안쪽에 인플레이터(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5) 위쪽에 에어백 쿠션(3)이 보관된다.
여기에서,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후방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스텃볼트(21)가 상단에 일렬로 배열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양측면 상단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절결돌기(11)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정면에서 볼 때 아치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양측면의 후방 에지의 상단에는 절결돌기(11)와 일직선 상의 위치에 돌출 플랜지(13)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정면 양측단 모서리 부분 중 절결돌기(11)보다 약간 아래쪽에는 한쌍의 막음돌기(15)가 정방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측면 위로 포개지는 에어백 쿠션(3)의 측면 하단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절결돌기(11)에 끼워지는 복수의 절결공(17)이 일렬로 관통되어 있으며, 쿠션(3)의 정면 하단 모서리 부분은 기다란 봉 형태의 걸림봉(19)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정면에는 하우징(7) 측면의 절결돌기(11)와 돌출 플랜지(13) 그리고 쿠션(3) 정면 하단 모서리 부분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걸림봉(19)의 상단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된 봉 형태의 리테이터(9)가 삽입되어 돌출 플랜지(13)에서 너트(23)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에 의하면,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외면에 에어백 쿠션(3)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 먼저, 에어백 쿠션(3)의 종방향 모서리 부분을 따라 갈라져 있는 하단부분을 인플레이터 하우징(7)의 외면 위로 포개어 놓는다. 이때, 쿠션(3) 측면의 절결공(17)이 하우징(7)의 절결돌기(11)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고, 걸림봉(19)의 양끝단이 막음돌기(15) 사이에 위치하여 걸림봉(19)이 쿠션(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리테이너(9)의 양측 절곡 부분이 쿠션(3)의 절결공(17)이 끼워져 있는 절결돌기(11) 위를 통과하여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 플랜지(13)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절곡부분의 끝부분에 형성된 나사부(10)가 돌출 플랜지(13)에서 고정 너트(23)와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리테이너(9)는 도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봉(19)이 삽입되어 있는 쿠션(3)의 하단 부위를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 전개시 절결공(17)이 절결돌기(11)에 걸려 쿠션(3)이 하우징(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리테이너(9)가 걸림봉(19)을 구속하게 되므로 쿠션(3)이 이탈하려는 것을 억제시켜 에어백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에 따르면, 에어백 작동시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서 전개되는 쿠션이 리테이너와 걸릴봉에 의해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분리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하우징 내에서 발생되는 내부 가스에 의해 윗쪽, 옆쪽으로 다중의 힘이 발생되더라도 리테이너에 의해 이 힘을 서로 상쇄시키며, 발생된 힘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에어백 쿠션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쿠션 고정구조를 간단화시켜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의 조립 생산성 및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에어백 쿠션(3), 충돌시 상기 에어백 쿠션(3)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5), 및 내부에 상기 인플레이터(5)와 에어백 쿠션(3)을 수용하도록 외체를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7)으로 구성된 조수석 에어백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5) 하우징(7)의 측면에는 복수의 절결돌기(11)와 돌출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의 양측단 모서리에는 한쌍의 막음돌기(1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3)의 측면 하단에는 상기 절결돌기(11) 주위로 끼워지는 복수의 절결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 하단 모서리에는 걸림봉(19)이 끼워져 있고, 상기 절결돌기(11)와 상기 돌출 플랜지(13) 및 상기 걸림봉(19)의 상단에는 ㄷ자 형태로 절곡된 봉 형태의 리테이터(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9980062433A 1998-12-30 1998-12-30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KR10028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433A KR100287804B1 (ko) 1998-12-30 1998-12-30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433A KR100287804B1 (ko) 1998-12-30 1998-12-30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839A KR20000045839A (ko) 2000-07-25
KR100287804B1 true KR100287804B1 (ko) 2001-04-16

Family

ID=1956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433A KR100287804B1 (ko) 1998-12-30 1998-12-30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949B1 (ko) * 2006-06-21 2013-08-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839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347A (en) Airbag module with simplified cushion attachment
US7823917B2 (en) Air bag module
JP2001253311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9123863A (ja) 脚部保護装置
JP306779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自動車用エアバッグ折畳方法
US5498024A (en) Inflatable restraint assembly
US6364343B1 (en) Grab handle bracket/airbag igniter retainer
KR100308345B1 (ko) 자동차의에어백장치
EP1481857B1 (en) 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JPH05139241A (ja) 自動車用エアバツグセンサーの取付構造
KR100287804B1 (ko) 조수석 에어백 쿠션 조립구조_
KR20210144907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3748285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CN112744177A (zh) 安全气囊和安全气囊组件
JPH06127320A (ja) 助手席乗員用エアバッグ装置
JP3263133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ユニット
KR011440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20090028099A (ko) 차량의 에어백 모듈
KR100473334B1 (ko) 승객용 에어백모듈장치
JP3402732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0698713B1 (ko) 조수석 니에어백 모듈의 조립 구조
JP3016683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30536U (ko) 자동차의 에어백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의 충격흡수구조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19980022289U (ko) 사이드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