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139B1 -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139B1
KR100307139B1 KR1019960077836A KR19960077836A KR100307139B1 KR 100307139 B1 KR100307139 B1 KR 100307139B1 KR 1019960077836 A KR1019960077836 A KR 1019960077836A KR 19960077836 A KR19960077836 A KR 19960077836A KR 100307139 B1 KR100307139 B1 KR 10030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roller
mounting bracket
motor
electric vehicle
s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511A (ko
Inventor
유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13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차량 충돌시 모터 컨트롤러가 실내로 침입하게 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인명 보호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대시 패널(8)의 앞쪽으로 모터(6) 및 트랜스미션(7)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6) 및 트랜스미션(7)의 양편으로 2개의 사이드 멤버(4)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4) 상의 전방 마운팅 브라켓(2) 및 후방 마운팅 브라켓(3)을 이용하여 모터 컨트롤러(1)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 및 후방 마운팅 브라켓(3)은 서로 일정한 앞뒤 간격을 유지하면서 양쪽의 사이드 멤버(4) 상부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그 위에 모터 컨트롤러(1)가 고정되고,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의 모터 컨트롤러(1)와의 각 고정부위에는 충격에 의해 파손가능한 노치부(5)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차량 충돌시 모터 컨트롤러의 실내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시 패널(8)의 앞쪽으로 모터(6) 및 트랜스미션(7)이 설치되고, 양쪽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사이드 멤버(4)의 상부를 가로질러 모터 컨트롤러(1)가 장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 컨트롤러(1)는 앞쪽 2곳의 전방 마운팅 브라켓(2)과 뒷쪽 2곳의 후방 마운팅 브라켓(3)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서는 차량 충돌시 모터컨트롤러(1)가 대시 패널(8)을 밀고 실내로 침입하여 승객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최근의 모터 컨트롤러(1)는 그 용량이 점차 커지면서 대부분 수냉식으로 제작되고, 이로 인해 모터 컨트롤러(1)의 밑판에는 방열을 위한 쿨런트 통로가 배치되는 동시에 강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이렇게 상당한 무게를 갖는 모터 컨트롤러가 실내로 침입하게 되므로서,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되는 등 승객 보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차량 충돌시 모터 컨트롤러가 실내로 침입하게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인명 보호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시 패널(8)의 앞쪽으로 모터(6) 및 트랜스미션(7)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6) 및 트랜스미션(7)의 양편으로 2개의 사이드 멤버(4)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4) 상의 전방마운팅 브라켓(2) 및 후방 마운팅 브라켓(3)을 이용하여 모터 컨트롤러(1)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 및 후방 마운팅 브라켓(3)은 서로 일정한 앞뒤 간격을 유지하면서 양쪽의 사이드 멤버(4) 상부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그 위에 모터컨트롤러(1)가 고정되고,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의 모터 컨트롤러(1)와의 각고정부위에는 충격에 의해 파손가능한 노치부(5)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서 차량 충돌시 모터 컨트롤러의 거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컨트롤러 2 : 전방 마운팅 브라켓
3 : 후방 마운팅 브라켓 4 : 사이드 멤버
5 : 노치부 6 : 모터
7 : 트랜스미션 8 : 대시 패널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는 모터 컨트롤러(1)가 장착되는 전방 마운팅 브라켓(2) 및 후방 마운팅 브라켓(3)이 양쪽 사이드 멤버(4)를 연결하도록 차량의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의 양쪽 2곳, 즉 모터 컨트롤러(1)가 고정되는 2곳에 노치부(5)가 형성되어서, 차량 충돌시 전방 마운팅 브라켓(2)의 노치부(5)가 끊어지면서 모터 컨트롤러(1)가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서 차량 충돌시 모터 컨트롤러의 거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사이드 멤버(4) 사이에 가로 걸쳐 설치되는 전방 마운팅 브라켓(2)과 후방 마운팅 브라켓(3)에 모터 컨트롤러(1)가 장착되고,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에는 2곳의 노치부(5)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서, 차량 충돌시의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에 약한 전방 마운팅 브라켓(2)의 노치부(5)가 끊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당한 무게를 갖는 모터 컨트롤러(1)는 앞부분이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종전과 같이 모터 컨트롤러(1)가 실내로 침입하는 일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 컨트롤러(1)의 앞부분이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되면, 모터 컨트롤러(1)가 차지하고 있던 프론트 룸(통상 가솔린 차량의 엔진 룸을 의미한다)의 앞쪽 공간이 넓게 확보되고, 이러한 공간이 완충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차량 충돌시 승객 보호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모터 컨트롤러가 실내로 침입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객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대시 패널(8)의 앞쪽으로 모터(6) 및 트랜스미션(7)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6) 및 트랜스미션(7)의 양편으로 2개의 사이드 멤버(4)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4) 상의 전방 마운팅 브라켓(2) 및 후방 마운팅 브라켓(3)을 이용하여 모터 컨트롤러(1)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 및 후방 마운팅 브라켓(3)은 서로 일정한 앞뒤간격을 유지하면서 양쪽의 사이드 멤버(4) 상부를 가로 질러 설치되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그 위에 모터 컨트롤러(1)가 고정되고, 상기 전방 마운팅 브라켓(2)의 모터 컨트롤러(1)와의 각 고정부위에는 충격에 의해 파손가능한 노치부(5)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모터 컨트롤러 장착구조.
KR1019960077836A 1996-12-30 1996-12-30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KR10030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836A KR100307139B1 (ko) 1996-12-30 1996-12-30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836A KR100307139B1 (ko) 1996-12-30 1996-12-30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511A KR19980058511A (ko) 1998-10-07
KR100307139B1 true KR100307139B1 (ko) 2002-07-31

Family

ID=3753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836A KR100307139B1 (ko) 1996-12-30 1996-12-30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021A (ja) * 2001-04-12 2002-10-23 Fujitsu Ten Ltd 車載用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511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0011A (en) Vehicle body construction
KR100307139B1 (ko)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EP1277630B1 (en) Front hood device
EP1538030B1 (en) A protective structure for an electrical circuit device
KR20110023347A (ko) 자동차용 범퍼 페시아
KR0143827B1 (ko) 차량의 대시 패널 전방에 설치된 충격감소용 와이어 네트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960010002Y1 (ko) 자동차의 엔진 진입 방지장치
KR19990010599A (ko) 도어의 임팩트 빔 구조
KR970000060Y1 (ko) 자동차조수석의 무릎보호브라켓트 설치구조
KR1003803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펜더패널 및 후드패널의충격흡수구조
KR970000059Y1 (ko) 자동차조수석의 무릎보호브라켓트 설치구조
KR100364274B1 (ko)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KR0112939Y1 (ko) 승용차량 범퍼
KR0128691B1 (ko) 자동차용 보조 앞 범퍼의 브라켓트 취부구조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KR100482101B1 (ko) 자동차 도어의 승객 보호용 충격 흡수 장치
KR960002577Y1 (ko) 경승용차의 범퍼장착구조
KR19980051192U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대
KR0151630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스디엠 단열장치
KR100201084B1 (ko) 차량의 전방충돌시 조향장치의 충격감쇠 효과를 갖는 지지브래킷
KR19980044691U (ko)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 바 보강구조
KR19980059702A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지지용 t-바 고정구조
KR19980035827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지지용 t-바 고정구조
KR19980022065A (ko) 도어 임팩트 바아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