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274B1 -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 Google Patents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274B1
KR100364274B1 KR1020000052420A KR20000052420A KR100364274B1 KR 100364274 B1 KR100364274 B1 KR 100364274B1 KR 1020000052420 A KR1020000052420 A KR 1020000052420A KR 20000052420 A KR20000052420 A KR 20000052420A KR 100364274 B1 KR100364274 B1 KR 10036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ixed
frame
engine roo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255A (ko
Inventor
윤웅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2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에 관한 것으로, 오프??(Off Set)충돌시 충격을 고르게 분산시켜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엔진의 대시패널 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엔진룸의 정비성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룸에 구비된 엔진(E)이 장착되는 서브프레임(2)이 상기 차체프레임(1)을 가로지르는 완만한 원호형상을 이루는 전방프레임(3)과, 이 전방프레임(3)과 차체프레임(1)에 각각 고정되도록 전체적으로 엑스(X)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프레임(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An automotive engine room for protecting engine invasion toward inside}
본 발명은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시 엔진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엔진 유입에 따른 승객의 부상을 방지함은 물론 엔진룸의 정비성도 향상되도록 된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을 이루는 엔진룸은 엔진과 각종 주요한 장치들이 장착되도록 프레임을 이용해 공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내부의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후드로 가리게 된다.
이러한, 엔진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양쪽에 위치된 차체프레임(1)을 매개로 장착되는 서브프레임(2)을 매개로 엔진(E)이 장착되되, 이 서브프레임(2)은 상기 차체프레임(1)에 고정되는 4곳의 고정부(a,b,c,d)를 형성하면서 그 안쪽으로 넓은 공간영역(S)을 확보하도록 차체프레임(1)쪽으로 편중되는 사각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서브프레임(2)이 안쪽으로 넓은 공간영역(S)을 형성하면서 전·후방의 고정부(a,b,c,d)를 매개로 차체프레임(1)에 고정되면 정면 충돌 시 상기 4곳의 고정부(a,b,c,d)를 통해 충격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지만 만약, 한쪽으로 치우쳐 충돌하게 되면 충격이 고정부(a,b,c,d)중 한 곳으로 집중되고 이에 따라, 서브프레임(2)이 과도하게 변형되면서 엔진(E)의 장착부위가 파손되어 대시패널쪽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엔진(E)이 대시패널쪽으로 유입되면 통상, 엔진(E)의 장착구조가 대시패널의 중앙부위로 밀접되어 있어 엔진(E)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저지하면서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져 결국, 실내의 운전자와 탑승객에게 치명적인 신체손상을 가하는 문제가 있게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서브프레임(2)이 안쪽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차체프레임(1) 쪽으로 근접되어지면, 엔진(E)을 비롯한 각종 장치들의 부품이나 와이어의 배선등이 집중된 도 1의 K나 K'부위를 가려 정비나 교체등이 매우 어렵게되는 불편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측면 충돌시 충격을 고르게 분산시켜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엔진의 대시패널 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엔진룸의 정비성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룸에 구비된 엔진이 장착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차체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완만한 원호형상을 이루는 전방프레임과, 이 전방프레임과 차체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도록 전체적으로 엑스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구조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프레임 2 : 서브프레임
3 : 전방프레임 4 : 지지프레임
A : 전방경사부 B : 중앙수평부
C : 연속경사부 D : 후단수평부
a,b,c,d : 고정부
S : 공간영역 T : 파손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가로로 양쪽에 위치된 차체프레임(1)에 고정되어 그 상부로 엔진(E)이 장착되는 서브프레임(2)이 상기 차체프레임(1)을 가로지르면서 그 양 쪽 끝 부위가 각각 고정부(a,b)를 매개로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완만한 원호형상을 이루는 전방프레임(3)과, 이 전방프레임(3)에 간격을 두고 벌어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차체프레임(1)의 양쪽으로 각각 고정부(c,d)를 매개로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엑스(X)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프레임(4)으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4)은 엔진룸의 중앙부위를 점유하면서 전·후·좌·우에 빈 공간인 공간영역(S)을 형성하게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3)에 경사지게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기울지는 전방경사부(A)와, 이 전방경사부(A)에 이어져 엔진(E)이 장착·고정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중앙수평부(B), 이 중앙수평부(B)에 이어져 상방향으로 경사진 연속경사부(C) 및 이 연속경사부(C)에 이어져 차체프레임(1)에 고정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후단수평부(D)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 전방에서 정면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이 서브프레임(2)의 전전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3)으로 가해지고 이에 따라, 차체프레임(1)으로 상기 전방프레임(3)의 양 쪽 끝 부위를 고정시킨 고정부(a,b)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진다.
이때, 상기 전방프레임(3)의 형상 즉, 중앙부위가 돌출되도록 완만한 원호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가해진 충격이 양쪽의 고정부(a,b)로 전달되기 전에 1차 적으로 흡수되어져 결국, 상기 고정부(a,b)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전달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방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보다 크게 작용되어 상기 전방프레임(3)을 변형시키면서 지지프레임(4)에 전달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3)에 의해 1차 감소된 충격력이 전방프레임(3)에 용접·고정된 지지프레임(4)의 전단경사부(A)로 전달되어 이를 변형시키면서 2차 감소되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의 전단경사부(A)는 전방프레임(3)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변형 시, 상기 전단경사부(A)가 하 방향으로 변형되어짐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 지지프레임(4)의 전단경사부(A)를 변형시키면서 전달되는 충격력은 엔진(E)이 장착된 중앙수평부(B)를 변형시키면서 3차 감소된 충격력이 연속경사부(C)로 전달되어 결국, 이 연속경사부(C)를 변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속경사부(C)는 가해지는 충격과 밀려드는 엔진(E)에 의해 차체프레임(1)과 고정부(c,d)를 매개로 고정된 후단수평부(D)와의 경계부인 파손부(T)가 변형내지 파손되지만, 이 연속경사부(C)의 상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적 특성상 상기 후단수평부(D)위쪽으로 상승되거나 절단되어 밀려드는 엔진(E)을 이동을 저지하거나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시패널 방향이 아닌 노면 쪽으로 이동시키므로 실내유입을 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4)의 중앙수평부(B)에 고정된 충격에 의해 이탈되어 도3에 표시된 후방쪽으로 엔진(E)이 이동되더라도 결국, 차체프레임(1) 쪽으로 벌어지는 상기 지지프레임(4)의 연속경사부(C)를 통해 이동되므로 만약, 상기 연속경사부(C)가 위쪽 방향으로 변형되면 엔진(E)이동을 저지하게되는 반면, 상기 연속경사부(C)가 후단수평부(D)와의 파손부(T)부위가 절단되면 밀려드는 엔진(E)의 무게에 의해 연속경사부(C)가 노면 쪽으로 이동되어 엔진(E)도 함께 노면 쪽으로 이동시키게됨은 물론이다.
한편, 차량이 전방에서 오프??(Off Set)충돌을 하게되면 서브프레임(2)의 전방프레임(3)에 의해 1차 감소된 충격력이 지지프레임(4)으로 전달되지만, 이 지지프레임(4)의 엑스(X)자 구조상 일 측으로 편중되게 가해지는 충격력이 반대측으로 분산되어 결국, 전술한 전방충돌 시와 유사하게 작용되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2)은 지지프레임(4)이 그 중앙부위를 차지하면서 전·후·좌·우에 빈 공간인 공간영역(S)을 형성하게 되므로 각종장치나 와이어 배선 등을 지지프레임(4)으로 가리지 않아 정비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룸을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이 다단계로 절곡되면서 엔진룸을 엑스(X)자로 구획하여 오프??(Off Set) 충돌시 충격을 고르게 분산하므로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엔진의 대시패널 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엔진룸의 정비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가로로 양쪽에 위치된 차체프레임(1)에 고정되어 그 상부로 엔진(E)이 장착되는 서브프레임(2)이 상기 차체프레임(1)을 가로지르면서 그 양 쪽 끝 부위가 각각 고정부(a,b)를 매개로 고정된 전방프레임(3)과, 이 전방프레임(3)에 고정되면서 차체프레임(1)의 양쪽으로 각각 고정부(c,d)를 매개로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엑스(X)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프레임(4)으로 구성되어진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3)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원호형상을 이루어 그 중앙부위가 돌출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이 전·후·좌·우에 빈 공간인 공간영역(S)을 형성하도록 엔진룸의 중앙부위를 점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은 엔진(E)이 장착·고정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중앙수평부(B)의 전방으로 전방프레임(3)에 경사지게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전방경사부(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갖는 차량용 엔진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은 엔진(E)이 장착·고정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중앙수평부(B)의 후방으로 차체프레임(1)에 고정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후단수평부(D)에 상방향으로 경사진 연속경사부(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KR1020000052420A 2000-09-05 2000-09-05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KR10036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20A KR100364274B1 (ko) 2000-09-05 2000-09-05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20A KR100364274B1 (ko) 2000-09-05 2000-09-05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55A KR20020019255A (ko) 2002-03-12
KR100364274B1 true KR100364274B1 (ko) 2002-12-12

Family

ID=1968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420A KR100364274B1 (ko) 2000-09-05 2000-09-05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71B1 (ko) 2009-11-30 2012-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974U (ko) * 1989-02-09 1990-08-24
JPH0372090A (ja) * 1989-08-11 1991-03-27 Nec Corp 鉄合金のエッチング方法
JPH0455476U (ko) * 1990-09-20 1992-05-12
KR19990028212U (ko) * 1997-12-26 1999-07-15 정몽규 차체의 전방충돌력 분산 하부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974U (ko) * 1989-02-09 1990-08-24
JPH0372090A (ja) * 1989-08-11 1991-03-27 Nec Corp 鉄合金のエッチング方法
JPH0455476U (ko) * 1990-09-20 1992-05-12
KR19990028212U (ko) * 1997-12-26 1999-07-15 정몽규 차체의 전방충돌력 분산 하부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71B1 (ko) 2009-11-30 2012-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55A (ko) 200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3417B1 (en) Fender structure of vehicle
KR100412838B1 (ko) 자동차의 휀더부 구조
JPH0717253A (ja) 車体側面構造
CN1951721A (zh) 汽车的前部结构
KR100364274B1 (ko) 엔진의 실내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엔진룸
JPH0999858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0158287Y1 (ko) 자동차의 후방측면 충격 흡수장치
KR101629808B1 (ko) 차량용 카울 구조
JPH04243628A (ja) 自動車のラジエータ支持構造
JPH08268347A (ja) 車両のキャブ支持装置
JP2001278124A (ja) 車両のフェンダ構造
JP7156101B2 (ja) バンパー支持構造
KR100511528B1 (ko) 자동차의 휀더와 후드의 연접구조
KR20030088921A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장착 구조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KR100302699B1 (ko) 에이프런레인포스
JPH09263142A (ja) キャブオーバ型トラックのエンジンのマウント構造
KR200182555Y1 (ko) 자동차 측면충돌대비 보강구조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100231554B1 (ko) 차량용 대쉬판넬의 보강구조
KR100362117B1 (ko) 자동차용 본네트
KR0139670B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바의 취부구조
JPH0825460B2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KR200163086Y1 (ko) 자동차 코웰부 보강구조
KR100756754B1 (ko) 프론트 사이드멤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