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699B1 - 에이프런레인포스 - Google Patents

에이프런레인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699B1
KR100302699B1 KR1019970056252A KR19970056252A KR100302699B1 KR 100302699 B1 KR100302699 B1 KR 100302699B1 KR 1019970056252 A KR1019970056252 A KR 1019970056252A KR 19970056252 A KR19970056252 A KR 19970056252A KR 100302699 B1 KR100302699 B1 KR 10030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pron
shock absorber
end por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617A (ko
Inventor
하형종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69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룸의 외측면에 쇽업소버하우징패널과 휀더패널이 결합되는 공간부에 강성부재를 삽입 개재시켜 정면 또는 측면충돌시 충분한 지지력을 얻도록 구성한 새로운 타입의 에이프런 레인포스에 관한 것으로, 차체 엔진룸에 제공되는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과 휀더패널(20) 사이의 공간부내에 삽입개재되며, 대략 역삼각형으로 차체의 뒤쪽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상단부(31)와, 상기 상단부(31)와 일정 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그 뒤측은 상기 상단부(31)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하단부(32)와, 그 상단부(31)와, 하단부(32)를 연결하는 측면부(33)로 이루어진 에이프런 레인포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31) 및 하단부(32) 내측면에는 일정폭의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상기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에 결합장착되며, 상기 상단부(31) 및 하단부(32) 내측에는 일정크기의 관통구(33a)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부(33)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소정 절첩부(36)가 구성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사이드패널의 절첩시켜 탑승자가 차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 하였으며, 측면의 가벼운 충돌시에도 그 지지력이 약해 엔진룸 상단부가 절첩되는 현상을 막는 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에이프런 레인포스
본 발명은 에이프런 레인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룸의 외측면에 쇽업소버아웃터패널과 휀더패널이 결합되는 공간부에 강성부재를 삽입 개재시켜 정면 또는 측면충돌시 충분한 지지력을 얻도록 구성한 새로운 타입의 에이프런 레인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섀시와 차체로 분류되어지며, 섀시는 기관을 포함하여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치가 설치된 상태로서, 그 자체만으로도 주행이 가능하며, 차체는 사람이나 화물을 싣는 부분으로 차종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며 주로 엔진룸 승객룸 트렁크 및 휀더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이러한 차체는 프레임을 기초로하여 각종 패널을 중첩 결합시켜 일정의 지지력과 외관을 꾸미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엔진룸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론지튜디널(10)을 기초로하여 그 후방부는 승객룸(13)을 분리하는 대쉬패널(12)이 형성되고, 그 양측 상단부는 에이프런패널(14)과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이 형성되며, 전방부는 범퍼를 지지하는 임팩트빔(16)이 론지튜디널(10)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상기 에이프런패널(14)과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의 외측면으로는 휀더패널(20)가 각각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측면을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엔진룸의 외측면은 정면 충돌시 쇽업소버아웃터패널과 휀더패널만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쉽게 절첩되면서, 뒤로 밀려 자동차의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패널을 밀고 들어가 도어가 열리지 않아 탑승자를 승객룸에 갖히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측면의 가벼운 충돌시에도 그 지지력이 약해 엔진룸 상단부가 쉽게 절첩되어 엔진룸이 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등 매우취약한 부분으로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크기를 가지며 그 후단부가 사이드대쉬패널에 지지되며, 그 양측면미 쇽업소버아웃터패널에 지지되어 구성되는 새로운 타입의 에이프런 레인포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엔진룸에 제공되는 쇽업소버아웃터패널과 휀더패널 사이의 공간부내에 삽입개재되며, 대략 역삼각형으로 차체의 뒤쪽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일정 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그 뒤측은 상기 상단부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하단부와,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로 이루어진 에이프런 레인포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내측면에는 일정폭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쇽업소버아웃터패널에 결합장착되며,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내측에는 일정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부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소정 절첩부가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엔진룸의 형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프런 레인포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프런 레인포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론지튜디널, 12:대쉬패널,
13:승객룸, 14:에이프런패널,
15:쇽업소버아웃터패널, 16:크로스멤버,
17:사이드패널, 20:휀더패널,
30:에이프런 레이포스, 31:상단부,
32:하단부, 32:측면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프런 레인포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프런 레인포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 1 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곳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과 휀더패널(20)이 결합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패널(15,20) 사이의 공간내에 삽입 개재되며, 대략 역삼각형으로 차체의 뒷쪽방향으로 일정의 경사각으로 높아지면서 그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상단부(31)와, 상기 상단부(31)와 일정 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그 뒷측은 상기 상단부(31)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하단부(32)와, 일정 크기의 관통구(33a)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31)와 하단부(32)를 연결하는 측면부(33)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31)와 하단부(32)의 내측면에는 상기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에 결합되는 일정 폭의 플랜지(35)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33)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절첩부(3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에이프런패널(14)의 외측면과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의 외측면에 지지되게 본 발명에 의한 에이프론 레인포스의 플랜지(35)를 용접시켜 결합하고, 그 상단부에 휀더패널(20)을 결합시켜 자동차의 외측면을 구성시킨다. 이렇게 휀더패널(20)과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사이에 개재된 에에프론 레인포스는 정면 충돌시 론지튜디널(10)이 절첩되면서 밀려오는 충격하중을 지지하며, 그 자체내에서 절첩되어 그 후단의 사이드패널(17)에 밀려드는 충격을 저지시켜 도어가 절첩되는 현상을 막게된다.
또한, 측면 충돌사고시 엔진룸의 상단부로 휀더패널(20)이 밀고 들어가는 현상을 에이프런 레인포스에 형성된 관통구(332)와 그 상단부의 절첩부(36)가 일체로 절첩 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엔진으로 밀리는 충격을 저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이프런 레인포스는,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사이드패널이 절첩되어 탑승자가 차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 하였으며, 측면의 가벼운 충돌시에도 그 지지력이 약해 엔진룸 상단부가 절첩되는 현상을 막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차체 엔진룸에 제공되는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과 휀더패널(20) 사이의 공간부내에 삽입개재되며, 대략 역삼각형으로 차체의 뒤쪽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으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상단부(31)와, 상기 상단부(31)와 일정 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그 뒤측은 상기 상단부(31)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하단부(32)와, 그 상단부(31)와, 하단부(32)를 연결하는 측면부(33)로 이루어진 에이프런 레인포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31) 및 하단부(32) 내측면에는 일정폭의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상기 쇽업소버아웃터패널(15)에 결합장착되며, 상기 상단부(31) 및 하단부(32) 내측에는 일정크기의 관통구(33a)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부(33)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소정 절첩부(3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프런 레인포스.
KR1019970056252A 1997-10-30 1997-10-30 에이프런레인포스 KR10030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252A KR100302699B1 (ko) 1997-10-30 1997-10-30 에이프런레인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252A KR100302699B1 (ko) 1997-10-30 1997-10-30 에이프런레인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17A KR19990034617A (ko) 1999-05-15
KR100302699B1 true KR100302699B1 (ko) 2002-07-31

Family

ID=3752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252A KR100302699B1 (ko) 1997-10-30 1997-10-30 에이프런레인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6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081U (ko) * 1980-08-12 1982-02-2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081U (ko) * 1980-08-12 1982-02-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17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004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JPH0999858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311797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00302699B1 (ko) 에이프런레인포스
KR200158287Y1 (ko) 자동차의 후방측면 충격 흡수장치
JP4123012B2 (ja) 車体前部構造
JP4123014B2 (ja) 車体前部構造
JPH05162594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KR0120428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100189469B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빔 보강구조
JP3434382B2 (ja) 車体構造
KR0148890B1 (ko) 자동차 엔진 장착용 브라켓
KR100329058B1 (ko) 자동차의언더론지플레이트
KR10052852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프레임 보강 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JP4123013B2 (ja) 車体前部構造
KR19980045700A (ko) 크로스바에 의한 차체 프론트부의 보강구조
KR200203460Y1 (ko)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JPH0627084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0211550A (ja) ワンボックス車の車体構造
KR970041244A (ko) 자동차용 정면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36164A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19990029883U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