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851B1 - 자동거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거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851B1
KR100306851B1 KR1019980049537A KR19980049537A KR100306851B1 KR 100306851 B1 KR100306851 B1 KR 100306851B1 KR 1019980049537 A KR1019980049537 A KR 1019980049537A KR 19980049537 A KR19980049537 A KR 19980049537A KR 100306851 B1 KR100306851 B1 KR 10030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eck
currency
conveying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784A (ko
Inventor
마사유끼 이마이
겐이찌 나시로자와
가즈또 기따노
나오미 호리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8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07D11/0096Accepting paper currency or other valuables in containers, e.g. in code-marked envelop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monetary document)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자동 거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표는 수표 반송로(260)를 통해 수납 기구(280)에 전송된다. 수납 기구(280)에서는 게이트 기구의 동작에 의해 수표를 수표 반송 유닛(290)으로 보낸다. 수표 반송 유닛(290)은 반송 롤러에 의해 수표를 수납 상자(7)까지 반송한다. 수표는 수표 반송 유닛(290)으로부터 배출되어 수납 상자(7)에 수납된다. 수납 상자(7)는 금고(6)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수납 상자(7)는 착탈 가능하고, 그 문에는 실린더 키이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거래 장치{AUTOMATIC TELLER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거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층 상세하게는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monetary document)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자동 거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등 수표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하루 수표 처리수가 수만건에 이르고 있다. 종래는 이 처리를 수표 처리 전용 시설 등의 오피스 배후에서 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막대한 인건비가 소요되었다. 이로 인해, 현재의 자동 거래 장치에는 봉투에 의한 입금 처리 외에 수표 단표에서의 접수 처리 기능을 부가한 것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접수한 수표를 봉투와 함께 입금 처리부의 수납부에 수납하고 있었다.
도14는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자동 거래 장치(500)에 있어서, 고객 조작부(1)는 조작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1)와 화면(11)의 항목을 선택하는 스위치(12)와 비밀 번호와 금액 등을 입력하는 입력 키이(13)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조작부(2)는 이용자의 카드를 수납하면 그 카드의 내용을 독취한다. 독취 처리 종료후, 카드 조작부(2)는 이용자에게 카드를 반환한다.
봉투 방출부(3)는 이용자가 봉투에 의한 입금 처리를 선택했을 때에 봉투를방출한다. 봉투는 성명, 구좌 번호, 봉입 총액 등의 기입란을 구비한 규격 봉투이다. 출금 처리부(4)는 이용자가 출금 처리를 선택했을 때에 지정된 금액의 현금을 방출한다. 봉투 투입구(5)(수납구)는 이용자가 투입하는 봉투 또는 수표를 수납한다.
도15는 도14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금고(506)는 자동 거래 장치(5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금고(506) 내에는 입금 처리부(600)가 형성되어 있다. 입금 처리부(600)는 그 자체가 단체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금고(506) 내에는 봉투와 수표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금고(506)는 12.7 ㎜ 두께의 특수 강판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또, 금고(506)의 문(561)에는 다이얼식 자물쇠(combination lock; 562)가 사용되고 있다.
입금 처리부(600) 내에는 봉투와 수표를 수용하는 빈(bin; 60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빈(601)의 외피는 2 ㎜ 두께의 판금제이다. 빈(601)의 문(602)에는 실린더 자물쇠(60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자동 거래 장치(500)의 상부에는 표시 유닛, 카드 반송 기구, 카드 인식 장치(모두 도시 생략) 등 현금, 수표를 처리하지 않는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이들을 수용하는 캐비넷(501)의 문(502)에는 실린더 자물쇠(503) 등의 비교적 간단한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다.
도16은 도15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500)의 반송 경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금고(506)의 캐비넷(501)에는 봉투와 수표의 공용 삽입구(564)가 형성되어 있다. 공용 삽입구(564)에는 수납 롤러(611)가 배치되어 있다. 수납 롤러(611)의 바로 후방에는 절환 레버(613)가 배치되어 있다. 절환 레버(613)는 전자 솔레노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하여 봉투 반송로(650)와 수표 반송로(660)의 절환을 행한다.
봉투 반송로(650)는 복수의 반송 롤러(65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빈(601)의 내부는 봉투 수납부(604)와 수표 수납부(605)로 구획되어 있다. 봉투 반송로(650)는 빈(601)의 봉투 수납부(604)까지 연장되어 있다. 봉투는 봉투 반송로(650)에 의해 빈(601)의 봉투 수납부(604)까지 반송된다.
수표 반송로(660)에는 자기 센서(6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기 센서(662)는 수표에 이미 인쇄되어 있는 MICR(자기 잉크 문자 독취) 문자의 유무를 검출한다. MICR 문자를 검출할 수 없을 때는 수표를 반환한다. 또, 수표 반송로(660)에는 폭제한 롤러(663)가 3개 배치되어 있다. 그 앞에는 반전 게이트(664)가 설치되어 있다. 반전 게이트(664)는 전자 솔레노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한다.
이 반전 게이트(664)에 있어서 제1 반송로(660a)와 제2 반송로(660b)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반송로(660b)는 복수의 반송 롤러(665)와 MICR 리더(669)를 구비하고 있다. MICR 리더(669)는 수표의 MICR 문자를 독취한다. 수납 기구(680)는 제1 반송로(660a)의 수표를 빈(601)의 지정된 수납 위치에 수납한다. 반전 게이트(664)는 제1 반송로(660a)로부터의 수표를 제2 반송로(660b)로 안내한다. 수표를 제2 반송로(660b)로 안내하면 수표가 반전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일반 자동 거래 장치에는 금고 내부의 수표 등을 회수하는 업무와 금고 외부의 보수를 행하는 업무가 필요해진다. 보수 업무는 소모품 등의 교환을행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수증 프린터나 저어널 프린터, 잉크 리본, 통장 등의 교환이 해당한다. 이 보수 업무는 일반적으로 하루 최저 일회 정도 행하고 있다. 한편, 회수 업무는 빈 내의 수표 등을 회수하는 업무이며, 이것에는 현금 카세트의 교환이나 리젝트 상자의 회수 등도 포함된다. 이 회수 업무는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일회 정도 행해진다.
또, 금고 외부에는 현금 등이 없기 때문에 금고 외부 캐비넷 문(502)의 자물쇠로는 실린더 자물쇠(503) 등의 간단한 것이 사용된다. 한편, 금고(506) 내에는 봉투에 들어간 현금이 있기 때문에, 금고(506)의 문(561)에는 다이얼식 자물쇠(562) 등의 견고하고 또한 복잡한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물쇠는 전임자의 엄격한 관리하에 놓이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수표는 일단 MICR 리더 등의 수단에 의해 MICR 문자를 판독시킨 후 접수 정보를 인자해 두면 현금만큼 보안을 철저하게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회수 업무와 함께 수표의 회수를 행함으로써 수표의 결재 처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수표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500)에서는 복잡하고 또한 견고한 자물쇠(562)를 구비한 금고(506) 내에 수표를 수용하고 있어 문(561)의 개폐에 수고가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자동 거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의 금고 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의 수납 상자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의 반송 경로를 도시한 설명도.
도6은 도5에 도시한 수납 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7은 도5에 도시한 수표 반송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임펠러 부근을 도시한 확대도.
도9는 도7에 도시한 수표 반송 유닛의 구동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
도10은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11은 도3에 도시한 입금 처리부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12는 자동 거래 장치의 처리 순서중 봉투 입금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13은 자동 거래 장치의 동작중 수표 입금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14는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15는 도14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16은 도15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의 반송 경로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객 조작부
2 : 카드 조작부
3 : 봉투 방출부
4 : 출금 처리부
5 : 봉투 투입구
6 : 금고
7 : 수납 상자
62 : 다이얼식 자물쇠(combination lock)
71, 73 : 실린더 자물쇠
100 : 자동 거래 장치
200 : 입금 처리부
201 : 빈(bin)
290 : 수표 반송 유닛
293 : 가이드
294 : 반송 롤러
295 : 임펠러
299 : 제전 브러시
301 : 주 제어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개폐 또는 착탈이 용이한 제1 수납부와 적어도 제1 수납부보다도 개폐가 곤란한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특정한 통화 증서를 제1 수납부에 수납한 것이다.
개폐 또는 착탈을 용이하게 한 제1 수납부에 특정 통화 증서, 예를 들어 수표나 불입 용지 등을 수납해 두면 수표를 회수하기 쉽다. 한편, 현금 등의 중요성이 높은 것은 개폐가 곤란한 제2 수납부에 수납하면 된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문에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1 수납부와 문에 견고하고 또한 복잡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특정한 통화 증서를 제1 수납부에 수납하는 것이다.
제1 수납부에서는 문에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제1 수납부에 특정한 통화 증서, 예를 들어 수표나 불입 용지 등을 수납하도록 하면 통화 증서를 회수하기 쉽다. 제2 수납부는 문에 견고하고 또한 복잡한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금 등은 제2 수납부에 수납한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상기 제1 수납부의 문에 상기 간단한 자물쇠 대신에 수동 로크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제1 수납부의 문에 상기 간단한 자물쇠 대신에 수동 로크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그 결과,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수납부에 특정한통화 증서, 예를 들어 수표나 불입 용지 등을 수납하도록 하면 통화 증서를 회수하기 쉽다.
또, 청구항 4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주 반송부와, 통화 증서 중 특정한 것을 반송하는 부 반송부와, 부 반송부에 연결되며 특정한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동시에 개폐 또는 착탈이 용이한 제1 수납부와, 주 반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특정한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수납하는 동시에 적어도 제1 수납부보다도 개폐 곤란한 제2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통화 증서 중 특정한 것, 예를 들어 수표, 불입 용지 등은 부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어 제1 수납부에 수납된다. 제1 수납부는 개폐 및 착탈이 용이하므로 수표 등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수 업무자가 수표의 회수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현금 등의 특정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은 주 반송부로부터 직접 제2 수납부에 수납된다. 제2 수납부는 제1 수납부보다도 개폐가 곤란하다. 이들은 본 발명의 회수 업무에 있어서 회수된다.
또, 청구항 5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주 반송부와, 주 반송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통화 증서 중 특정한 것을 반송하는 부 반송부와, 부 반송부에 연결되며 특정한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동시에 문에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1 수납부와, 주 반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특정한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수납하는 동시에 문에 견고하고 또한 복잡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2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행하는 것이다.
제1 수납부에서는 문에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제1 수납부에 부 반송부를 거쳐 특정한 통화 증서, 예를 들어 수표나 불입 용지 등을 수납하도록 하면 통화 증서를 회수하기 쉽다. 제2 수납부는 문에 견고하고 또한 복잡한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금 등은 주 반송부를 거쳐 제2 수납부에 수납된다.
또, 청구항 6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상기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주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 반송부 제어 수단과 상기 부 반송부의 동작을 상기 주 반송부의 동작에 관련시켜 제어하는 부 반송부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부 반송부는 특정한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데, 이런 특정한 통화 증서는 주 반송부에 있어서도 반송된다. 이로 인해, 주 반송부의 동작에 관련시켜 부 반송부를 제어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주 반송부로 수표를 반송하고, 반송 도중에 부 반송부로 전송하여 부 반송부로 수표를 반송하는 등의 경우, 수표가 전송되어 오기 직전에 부 반송부를 동작시킨다.
또, 청구항 7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상기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부 반송부에 마찰력이 높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블레이드(blade)를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통화 증서에 접촉시키는 임펠러를 설치한 것이다.
임펠러가 회전하면 반송중인 수표와 블레이드가 접촉한다. 블레이드는 마찰력이 높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표가 블레이드에 의해 확실하게 반송된다.
또, 청구항 8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상기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부 반송부에 통화 증서에 대전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 브러시를 설치한 것이다.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가 정전기를 띠고 있으면 수납부 이외의 부분에 흡착될 우려가 있다. 제전 브러시를 설치해 두면 수표 등이 대전되어도 흡착되지 않는다.
또, 청구항 9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삽입하는 삽입구와,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봉투 등의 특정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와, 삽입구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1 반송부와 제2 반송부를 절환하는 절환 레버와, 제2 반송부의 종점에 설치된 수납부와, 적어도 수납부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금고와, 금고의 벽 또는 문에 형성한 개구부와, 제1 반송부로부터 분기되어 개구부까지 도달하는 부 반송부와, 금고 외부에서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수납 상자와, 제1·제2 반송부, 절환 레버 및 부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절환 레버에 의해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를 절환한다. 제1 반송로는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반송한다. 제2 반송로는 특정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반송한다. 제2 반송로는 수납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특정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은 이수납부에 수납된다. 특정 통화 증서는 제1 반송로 및 부 반송로를 거쳐 금고 외부에 설치한 수납 상자까지 반송된다.
또, 청구항 10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는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삽입하는 삽입구와,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봉투 등의 특정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와, 삽입구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1 반송부와 제2 반송부를 절환하는 절환 레버와, 제1·제2 반송부 및 절환 레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2 반송부의 종점에 설치된 수납부와, 적어도 수납부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금고와, 금고의 벽 또는 문에 형성한 개구부와, 제1 반송부로부터 분기되어 개구부까지 도달하는 부 반송부와, 부 반송부에 형성되어 해당 부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용 제어부와, 금고 외부에서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수납 상자를 구비한 것이다.
부 반송부는 전용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의해, 부 반송부와 전용 제어부를 일체로 취급할 수 있다. 또, 제어부와 접속하면 다른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 반송부를 독립 제어하도록 하면 착탈 교환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자동 거래 장치(100)에 있어서, 고객 조작부(1)는 조작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1)와 화면의 항목을 선택하는 스위치(12)와 비밀 번호와 금액 등을 입력하는 입력 키이(13)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조작부(2)는 이용자의 카드를 수납하면 그 카드의 내용을 독취한다. 카드 조작부(2)는 독취 처리 종료후 이용자에게 카드를 반환한다. 봉투 방출부(3)는 이용자가 봉투에 의한 입금 처리를 선택했을 때에 봉투를 방출한다. 출금 처리부(4)는 이용자가 출금 처리를 선택했을 때에 지정된 금액의 현금을 방출한다. 봉투 투입구(5)(수납구)는 이용자가 투입하는 봉투 또는 수표를 수납한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자동 거래 장치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금고(6)는 자동 거래 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금고(6)는 장치의 캐비넷(101)과 일체로 된다. 또, 금고(6)는 12.7 ㎜ 두께의 특수 강판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또, 금고(6)의 문(61)에는 다이얼식 자물쇠(62)가 설치되어 있다.
금고(6)의 문(61)에 설치하는 자물쇠는 견고하고 또한 복잡하여 개폐 곤란한 것이라면 다이얼식 자물쇠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고용 자물쇠, 지연 작동 자물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견고한 자물쇠는 구조상 파괴되기 어려운 것이나 가공 곤란한 재질로 제작된 것 등을 의미한다. 복잡한 자물쇠는 예를 들어 키이 번호의 자릿수가 많은 것이나 다양한 형태의 자물쇠가 조합된 것 등을 의미한다.
더욱이, 금고(6)의 문(61)에는 개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63)에는 수표를 수납하는 수납 상자(7)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 상자(7)는 착탈 가능하고, 실린더 자물쇠(71)에 의해 금고(6)의 문(61)과 결합되어 있다. 또, 수납 상자(7)는 2 ㎜ 두께 정도의 판금제이다.
수납 상자(7)의 문(72)에는 실린더 자물쇠(73)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상자(7)의 문(72)에 설치하는 자물쇠는 간단하고 개폐하기 쉬운 것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린더 로크, 도어 로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간단한 자물쇠는 예를 들어 구조가 간단하고 키이 번호의 자릿수가 적은(예를 들어 3자리) 것 등을 의미한다. 또, 자동 거래 장치의 보수면, 즉 장치의 이면측이 이용 고객으로부터 격리되어 있어 충분히 보안이 확보되어 있는 등의 경우는, 수납 상자(7)의 문에는 자물쇠 대신에 예를 들어 손잡이 등의 수동 로크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도3은 금고(6)의 문(61)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금고 내에는 입금 처리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입금 처리부(200)는 그 자체가 단체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입금 처리부 내에는 봉투를 수용하는 빈(20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빈(201)의 외피는 2 ㎜ 두께의 판금제이다. 빈(201)의 문(202)에는 실린더 자물쇠(203) 등의 비교적 간단한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다. 또, 빈(201)의 하측에는 수표 반송 유닛(290)이 설치되어 있다. 수표 반송 유닛(290)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한편, 자동 거래 장치 상부에는 표시 유닛, 카드 반송 기구, 카드 인식 장치(모두 도시 생략) 등 현금이나 수표를 처리하지 않는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이들을 수용하는 캐비넷(101)의 문(102)에는 실린더 자물쇠(103)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넷(101)의 문(102)에 설치하는 자물쇠는 간단하고 개폐하기 쉬운 것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린더 로크, 도어 로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도4는 수납 상자(7)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개구부(63)의하방에는 긴 구멍(6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64)과 수납 상자측 키이부(74)를 결합하여 실린더 자물쇠(71)에 의해 로크한다. 수납 상자(7)를 분리하려면 실린더 자물쇠(71)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면 된다. 수납 상자(7)의 고정에 사용하는 자물쇠는 간단한 것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린더 로크, 수동 로크 레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나사 등 고정용 공구를 사용하는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도5는 자동 거래 장치(100)의 반송 경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금고(6)의 캐비넷에는 봉투 및 수표의 공용 삽입구(64)가 형성되어 있다. 공용 삽입구(64)에는 수납 롤러(211)가 배치되어 있다. 수납 롤러(211)의 바로 전방에는 투과형 센서(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수납 롤러(211)의 바로 후방에는 절환 레버(213)가 배치되어 있다.
절환 레버(213)가 전자 솔레노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하여 봉투 반송로(250)와 수표 반송로(260)의 절환을 행한다. 봉투 반송로(250)는 복수의 반송 롤러(251)와 투과형 센서(252)와 봉투에 접수 정보를 인자하는 봉투 인자 기구(2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빈(201)의 내부는 봉투를 수납하는 봉투 수납부(204)와 상기 수납 상자(7)와는 별도로 수표를 수납하는 수표 수납부(205)로 구획되어 있다.
봉투 반송로(250)는 빈(201)의 봉투 수납부(204)까지 연장되어 있다. 봉투 인자 기구(253)는 봉투에 인자 처리를 실시한다. 인자 처리가 실시된 봉투는 반송되어 빈(201)의 봉투 수납부(204)에 수납된다.
투과형 센서(212, 252a, 252b)는 봉투의 크기를 검출한다. 투과형 센서(212)가 오프된 시점에서 투과형 센서(252b)가 온인 경우, 수표의 길이가 최장 한계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수표를 반환한다. 마찬가지로 투과형 센서(212)가 오프된 시점에서 투과형 센서(252a)가 오프인 경우, 수표의 길이가 최단 한계 이하라고 판단하여 수표를 반환한다.
수표 반송로(260)에는 투과형 센서(261a, 261b)와 자기 센서(2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기 센서(262)는 수표에 이미 인쇄되어 있는 MICR 문자의 유무를 검출한다. MICR 문자를 검출할 수 없을 때는 수표를 반환한다. 예를 들어 수표의 삽입 방향을 잘못하거나 MICR 문자가 없는 수표를 삽입한 경우 등에 삽입한 수표를 반환한다.
또, 투과형 센서(212)가 오프된 시점에서 투과형 센서(261b)가 온인 경우, 수표의 길이가 최장 한계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수표를 반환한다. 마찬가지로 투과형 센서(212)가 오프된 시점에서 투과형 센서(261a)가 오프인 경우, 수표의 길이가 최단 한계 이하라고 판단하여 수표를 반환한다.
또, 수표 반송로(260)에는 꽃잎 형상의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폭제한 롤러(263)가 3개 배치되어 있다. 이 폭제한 롤러(263)에 의해 수표를 기준 가이드(도시 생략)에 폭제한한다. 폭제한 롤러(263)의 전방에는 반전 게이트(264)가 설치되어 있다.
반전 게이트(264)는 전자 솔레노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한다. 이 반전 게이트(264)에서 제1 반송로(260a)와 제2 반송로(260b)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반송로(260b)는 루프 형상을 하고 있으며, 복수의 반송 롤러(265), 이미지 스캐너(267), MICR 인코더(268), MICR 리더(269), 수표 인자 기구(270), 수납 기구(280)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롤러(265)는 수표에 약한 폭제한력을 부여하면서 수표를 반송한다. 이에 의해, 제1 반송로(260a)에 있어서 행한 폭제한을 유지하면서 수표를 반송할 수 있다. 이미지 스캐너(267)는 수표의 표면 또는 이면을 광학적으로 독취한다. MICR 인코더(268)는 수표의 MICR란에 MICR 문자를 자기 잉크로 각인한다. MICR 리더(269)는 수표의 MICR 문자를 자기적으로 독취한다.
또, 수표 인자 기구(270)는 와이어 도트 방식에 의해 수표에 접수 정보(AUDIT)를 인자하고, 이서(ENDORSEMENT)의 인자를 행한다. 수납 기구(280)는 제1 반송로 상의 수표를 빈(201)의 지정된 수납 위치에 나누어 수납한다. 반전 게이트(264)는 제1 반송로(260a)의 수표를 제2 반송로(260b)로 안내한다. 수표를 제2 반송로(260b)로 안내함으로써 수표를 반전할 수 있다.
도6은 도5에 도시한 수납 기구(280)의 구성도이다. 전자 솔레노이드(281)에는 구동 레버(28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레버(282)는 4개의 접촉부(283)를 구비한다. 구동 레버(282)는 동 도면중 F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투과식 센서(286)는 수납 기구(280)의 입구에 설치된다.
구동 레버(282)는 동 도면중 F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솔레노이드(281)를 여자하고 있지 않을 때는 구동 레버(282)의 접촉부(283)가 각 게이트 기구의 레버(284)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게이트 기구의 게이트(285)는 제1 반송로(260a)로부터 후퇴 상태에 있다. 한편, 전자 솔레노이드(281)를 여자하면 구동 레버(282)가 인장된다. 따라서, 구동 레버(282)에 의한 접촉이 해제되어 각 게이트 기구의 레버(284)가 개방된다.
각 게이트 기구의 게이트(285)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도면중 f방향으로 편의되어 있으므로, 해당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제1 반송로(260a)로 돌출한다. 이 수납 기구(280)에 있어서 수표의 통과를 투과식 센서(286)로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전자 솔레노이드(281)의 여자 타이밍을 제어하면 특정한 수표 수납부에 수표를 수납할 수 있다. 최하방의 게이트 기구는 수표를 수표 반송 유닛(290)으로 전송한다.
도7은 수표 반송 유닛(29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수표 반송 유닛(290)의 본체 캐비넷(291)은 수납 기구(280)에 대한 부착 기준면이 된다. 수표 반송 유닛(290)은 금고(6)에 나사 고정하여 고정한다. 캐비넷(291)의 내부에는 수표 반송 유닛 전용 드라이버 기판(292)이 설치되어 있다.
수표 반송 유닛(290)은 반송용 가이드(293)와 3개의 반송 롤러(294)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 가이드(293)의 양단부는 끝이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표의 구김 등에 의해 가이드 단부에서 잼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반송로 끝에는 수표를 수납 상자(7)에 흔들어 떨어뜨리기 위한 임펠러(295)가 설치되어 있다.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임펠러 부근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임펠러(295)의 블레이드(296)는 고무 등의 마찰력이 높은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임펠러(295)의 블레이드(296)는 반송되어 온 수표를 마찰력으로 반송하여 수표를 확실하게 수납 상자(7)에 수납한다. 그리고, 블레이드(296)의 재질은 마찰력이 있는 탄성체이면 고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측에 고무를 배치한 수지제로 해도 된다. 임펠러(295)의 바로 후방에는 레버(29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297)는 수표가 통과하면 작동하며 센서(298)가 이를 검출한다. 센서 출력이 있으면 수표가 수납된 것을 알 수 있다.
수표 반송 유닛(290)의 수표 반출구에는 정전기 제거용 브러시(299)가 배치되어 있다. 수표가 정전기를 띠고 있는 경우, 수표가 수표 반송 유닛(290)의 본체 캐비넷(291) 등에 부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체 캐비넷(291)은 상부 가이드(293a)와 하부 가이드(293b) 사이를 경계로 해서 회전 지지점(291a)을 중심으로 개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재밍된 수표를 회수하기 위함이다.
도9는 수표 반송 유닛(290)의 구동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반송용 롤러(294) 및 임펠러(295)는 구동용 모터(2901)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용 모터(2901)의 회전은 중간차(intermediate wheel; 2902)를 거쳐 구동차(driving wheel; 2903)에 전달된다. 구동차(2903)와 반송용 롤러(294)는 회전축을 동일하게 하기 때문에 구동차(2903)와 함께 반송용 롤러(294)가 회전한다.
또, 구동차(2903)의 회전은 타이밍 벨트(2904)를 거쳐 입구측 구동차(2905) 및 임펠러(295)의 구동차(2906)와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2907)은 후술하는 장치측 제어부와 드라이버 기판(292)을 접속한다.
도10은 이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주 제어부(301)에는 기록부(302)가 접속되어 있다. 기록부(302)는 주 제어부(301)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록한다. 주 제어부(301)는 호스트 회선 처리부(303)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회선 처리부(303)는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와의 통신을 행한다.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에도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부(305)가 접속되어 있다.
도1의 고객 조작부(1)와 카드 조작부(2)는 버스(306)를 거쳐 주 제어부(301)와 접속되어 있다. 출금 처리부(4)는 버스(306)를 거쳐 주 제어부(301)와 접속되어 있다. 출금 처리부(4)는 지폐용과 코인용 두개가 준비되어 있다. 매체 발행부(307)는 거래 내용을 인자한 영수증 등을 발행한다. 매체 발행부(307)는 버스(306)를 거쳐 주 제어부(301)에 접속되어 있다.
입금 처리부(200)는 수납구(5)로부터 삽입한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처리한다. 입금 처리부(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입금 처리부(200)는 버스(306)를 거쳐 주 제어부(30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입금 처리부(200)는 수표 반송 유닛(290)을 구비하고 있다.
도11은 입금 처리부(200)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입금 처리부(200)는 제어부(2100)를 구비한다. 이 제어부(2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100)는 봉투 반송 제어부(2001), 봉투 인자 제어부(2002), 수표 반송 제어부(2003), MICR 문자 검출부(2004), 이미지 스캐너 제어부(2005), MICR 리더 제어부(2006), MICR 인코더 제어부(2007), 수표 인자 제어부(2008)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어부(2100)는 수표 반송 유닛(290)을 제어하는 수표 반송 유닛제어부(2009)를 구비한다. 수표 반송 유닛 제어부(2009)는 수표 반송 유닛(290) 내의 드라이버 기판(292) 상에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2907)을 거쳐 제어부측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0)는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하는 이미지 데이터 유지부(20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미지 데이터 유지부(2010)는 예를 들어 RAM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미지 데이터 유지부(2010)에는 RAM의 제어를 행하는 이미지 데이터 RAM 제어부(2011)가 구비되어 있다.
또, 주 제어부(301)를 거쳐 접속되는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012)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제어부(2012)는 통신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행하는 통신 데이터 전송 처리부(2013)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행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 처리부(2014)로 이루어진다.
봉투 반송 제어부(2001)는 봉투 반송로(250)에 있어서의 봉투 반송 기구를 제어한다. 봉투 반송 기구는 도5에 도시한 반송 롤러(251)를 포함하는 이외에 가이드(도시 생략)와 구동용 모터(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된다. 봉투 반송로(250)에 있어서의 봉투 인자 기구(253)는 봉투 인자 제어부(2002)에 의해 제어된다. 수표 반송 기구는 도5에서 도시한 폭제한 롤러(263) 및 반송 롤러(265)를 포함하는 이외에 가이드(도시 생략)와 구동용 모터(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된다. 이 수표 반송 기구는 수표 반송 제어부(2003)에 의해 제어된다.
도5에서 도시한 자기 센서(262)는 MICR 문자 검출부(2004)에 의해 제어된다. 도5에서 도시한 이미지 스캐너(267)는 이미지 스캐너 제어부(2005)의 명령에 의해수표의 이미지를 취득하여 주 제어부(301)에 전송한다. MICR 리더(269)는 MICR 리더 제어부(2006)의 명령에 의해 수표의 MICR 문자를 자기적으로 독취하여 주 제어부(301)에 전송한다. MICR 인코더(268)는 MICR 인코더 제어부(2007)에 의해 제어되며 수표에 MICR 문자를 인자한다.
수표 인자 기구(270)는 수표 인자 제어부(2008)에 의해 제어되며 수표에 인자를 행한다. 수납 기구(280)는 수표 반송 제어부(2003)에 의해 제어되고, 수표를 빈(201)의 소정 위치에 수납하거나 또는 수표 반송 유닛(290)으로 전송한다. 반전 게이트(264)는 수표 반송 제어부(2003)에 의해 제어되며 수표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또, 수표 반송 유닛(290)은 수표 반송 유닛 제어부(2009)에 의해 제어되고, 금고 외부에 설치한 수납 상자(7)까지 수표를 반송한다. 수표 반송 유닛(290)은 수납 기구(280)와 연동하여 제어된다.
도12는 자동 거래 장치(100)의 처리 순서중 봉투 입금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좌열부터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의 처리 순서, 고객이 행하는 순서, 자동 거래 장치(100)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순서, 각 처리부가 행하는 처리 순서를 도시한다. 고객이 입금 거래를 선택하면 표시부(11)가 처리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201). 이 화면상에서 고객이 봉투 처리 또는 수표 처리를 선택한다.
고객이 봉투 처리를 선택하면(단계 S1202) 자동 거래 장치(100)는 카드 처리로 이행하여(단계 S1203) 고객이 카드를 삽입하기까지 대기한다(단계 S1204). 또, 주 제어부(301)는 카드 내용을 독취하는 지시를 카드 리더부(도시 생략)에 부여한다(단계 S1205). 카드 리더부는 카드 내용 독취 지시에 의해 독취 상태가 된다(단계 S1206). 고객이 카드를 삽입하면(단계 S1207) 카드 리더부가 카드를 접수하여(단계 S1208)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내용을 독취한다(단계 S1209).
독취한 카드 정보는 일단 기록부(302)에 기록된다(단계 S1210). 다음에, 표시부(11) 상에 표시함으로써 고객에게 비밀 번호의 입력을 의뢰한다. 고객이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단계 S1211) 그 번호 정보가 기록부(302)에 기록된다(단계 S1212). 주 제어부(301)는 상기 취득한 카드 정보 및 비밀 번호를 기록부(302)로부터 취출하여(단계 S1213) 데이터 베이스와의 대조 확인을 행한다(단계 S1214). 대조 확인은 호스트 회선 처리부(303)를 통해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측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행한다.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측에서 데이터 베이스와의 대조 확인을 행하여 거래 개시 허가 판단이 나오면(단계 S1215), 그 뜻이 주 제어부(301)에 통지되어 봉투 입금 처리가 개시된다(단계 S1216). 우선, 봉투 반송 제어부(2001)는 입금 처리부(200)에 대하여 봉투 삽입 대기 지시를 행한다(단계 S1217). 이 지시에 따라 입금 처리부(200)는 처리 가능 상태가 된다(단계 S1218). 고객이 수납구(5)에 봉투를 삽입하면(단계 S1219) 입금 처리부(200)가 그 봉투를 접수한다(단계 S1220).
다음에, 봉투 인자 제어부(2002)는 삽입된 봉투에 대하여 인자 지시를 행한다(단계 S1221). 봉투 인자 기구(253)는 이 봉투 인자 지시에 따라 봉투에 인자를 행한다(단계 S1222). 인자 처리가 종료하면 그대로 봉투를 반송하여 빈(201)의 봉투 수납부(204)에 수납한다(단계 S1223).
봉투의 수납이 완료되면(단계 S1224) 카드 처리로 복귀한다(단계 S1225). 주 제어부(301)는 카드 리더부에 대하여 카드 반환 지시를 행한다(단계 S1226). 카드 리더부는 카드를 카드 조작부(2)까지 반송한다(단계 S1227, S1228). 이 때, 주 제어부(301)는 카드 취출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단계 S1229). 고객이 카드를 취출하면 이를 주 제어부(301)가 판단하여 봉투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230).
도13은 자동 거래 장치(100)의 동작중 수표 입금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좌열부터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의 처리 순서, 고객이 행하는 순서, 자동 거래 장치(100)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순서, 각 처리부가 행하는 처리 순서를 도시한다. 고객이 입금 거래를 선택하면 표시부(11)가 처리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301). 이 화면상에서 고객이 봉투 처리 또는 수표 처리를 선택한다.
고객이 수표 처리를 선택하면(단계 S1302) 자동 거래 장치(100)는 카드 처리로 이행하여(단계 S1303) 고객이 카드를 삽입하기까지 대기한다(단계 S1304). 또, 주 제어부(301)는 카드 내용을 독취하는 지시를 카드 리더부(도시 생략)에 부여한다(단계 S1305). 카드 리더부는 카드 내용 독취 지시에 의해 독취 상태가 된다(단계 S1306). 고객이 카드를 삽입하면(단계 S1307) 카드 리더부가 카드를 접수하여(단계 S1308)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내용을 독취한다(단계 S1309).
독취한 카드 정보는 일단 기록부(302)에 기록된다(단계 S1310). 다음에, 표시부(11) 상에 표시함으로써 고객에게 비밀 번호의 입력을 의뢰한다. 고객이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단계 S1311) 그 번호 정보가 기록부(302)에 기록된다(단계 S1312). 주 제어부(301)는 상기 취득한 카드 정보 및 비밀 번호를 기록부(302)로부터 취출하여(단계 S1313) 데이터 베이스와의 대조 확인을 행한다(단계 S1314). 대조 확인은 호스트 회선 처리부(303)를 통해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측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행한다.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측에서 데이터 베이스와의 대조 확인을 행하여 거래 개시 허가 판단이 나오면(단계 S1315), 그 뜻이 주 제어부(301)에 통지되어 수표 입금 처리가 개시된다(단계 S1316). 우선, 수표 반송 제어부(2003)는 입금 처리부(200)에 대하여 수표 삽입 대기 지시를 행한다(단계 S1317). 이 지시에 따라 입금 처리부(200)는 처리 가능 상태가 된다(단계 S1318). 고객이 수납구(5)에 수표를 삽입하면(단계 S1319) 입금 처리부(200)가 그 수표를 접수한다(단계 S1320).
수표의 접수를 행하면 MICR 리더(269)가 수표의 MICR 문자를 독취한다(단계 S1321). 또, 이미지 스캐너(267)에 의해 수표의 이미지 정보를 독취한다(단계 S1322).
주 제어부(301)는 수표 금액란의 이미지 데이터와 MICR란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금액 및 MICR란의 내용(발행한 금융 기관의 코드, 발행자의 코드, 발행 일련 번호)을 문자 인식한다(단계 S1323). 다음에, 이 문자 인식한 MICR란의 내용과 MICR 리더(269)가 독취한 MICR란의 내용을 비교한다(단계 S1324). 양자의 내용이불일치하는 경우는 수표를 반환한다.
양자의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주 제어부(301)는 상기 독취한 이미지 정보 및 MICR 문자 정보를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에 통지하여(단계 S1325) 데이터 베이스와 대조 확인한다(단계 S1326). 대조 확인은 호스트 회선 처리부(303)를 통해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측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행한다.
상위 호스트 컴퓨터(304)측에서는 결제 처리를 행한 후, 인자 데이터를 주 제어부(301)에 전송한다(단계 S1327). MICR 인코더 제어부(2007)는 MICR 인코더(268)에 대하여 MICR 문자의 인자를 지시한다(단계 S1328). MICR 인코더(268)는 전송된 인자 데이터에 의거해서 수표에 MICR 문자의 인자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329).
또, 수표 인자 제어부(2008)는 수표 인자 기구(270)에 대하여 결산 데이터의 인자를 지시한다(단계 S1330). 수표 인자 기구(270)는 인자 데이터 중 결산 데이터(거래일, 구좌 번호 등)를 수표의 결산 데이터란에 인자한다(단계 S1331).
다음에, 수표 반송 제어부(2003)가 수납 기구(280)에 대하여 수표 수납 지시를 행한다(단계 S1332). 또, 수표 반송 제어부(2003)는 수납 기구(280)에 대하여 수표를 수납하는 빈(201) 또는 수납 상자(7)를 지정한다. 수납 상자(7)가 분리되어 있거나 수납 상자(7)의 수납 허용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는 빈(201)의 수표 수납부(205)를 지정한다.
그 이외는 금고 외부에 설치한 수납 상자(7)를 지정한다. 수납 상자(7)를 지정하는 경우, 수표 반송 유닛 제어부(2009)는 작동 지시를 수표 반송 유닛(290)에 부여한다. 수표 반송 유닛(290)은 수표를 반송하여 금고 외부의 수납 상자(7)에 수납한다(단계 S1333, S1334).
수표의 수납이 완료되면(단계 S1335) 카드 처리로 복귀한다(단계 S1336). 주 제어부(301)는 카드 리더부에 대하여 카드 반환 지시를 행한다(단계 S1337). 카드 리더부는 카드를 카드 조작부(2)까지 반송한다(단계 S1338, S1339). 이 때, 주 제어부(301)는 카드 취출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단계 S1340). 고객이 카드를 취출하면 이를 주 제어부(301)가 판단하여 수표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341).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 자동 거래 장치(100)는 수표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통화 증서, 예를 들어 불입 용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금고에 사용하는 재질로서 강판을 예로 들었지만, 가공이 곤란하고 파괴되기 어려운 재질이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수납 상자(7)의 재질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의 강도가 있으면 판금제가 아니라도 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나 수지제라도 괜찮다.
또, 수표 반송 유닛(290)은 빈(20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빈(201)의 상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금고 외부에 설치하는 수납 상자(7)의 위치가 높아진다. 또, 부착 위치가 상방이 된 만큼 수납 상자(7)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1)에 의하면,개폐 또는 착탈을 용이하게 한 제1 수납부에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수납하도록 하여 수표를 회수하기 쉽다. 이에 의해, 수표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결제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2)에 의하면, 문에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1 수납부에 수표 등의 특정한 통화 증서를 수납하도록 하여 수표를 회수하기 쉽다. 이에 의해, 수표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결제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3)에 의하면, 문에 간단한 자물쇠 대신에 수동 로크 수단을 설치한 제1 수납부에 수표 등의 특정한 통화 증서를 수납하도록 하여 수표를 회수하기 쉽다. 이에 의해, 수표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결제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4)에서는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부 반송부에 의해 반송하여 제1 수납부에 수납하도록 했다. 또, 제1 수납부는 개폐 및 착탈이 용이한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수표 등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어 보수 업무자가 수표의 회수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수표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결제 처리가 원활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5)에서는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부 반송부에 의해 반송하여 제1 수납부에 수납하도록 했다. 또, 제1 수납부의 문에는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했다. 따라서, 수표 등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어 보수 업무자가 수표의 회수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수표의 유동성이높아져서 결제 처리가 원활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6)에 의하면, 주 반송부의 동작에 관련시켜 부 반송부를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특정한 통화 증서를 제1 수납부까지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7)에 의하면, 부 반송부에 마찰력이 높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를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반송중의 수표에 블레이드가 접촉하도록 했으므로, 수표를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8)에서는 부 반송부에 통화 증서에 대전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 브러시를 설치했다. 이에 의해 수표 등이 대전되어도 주위에 흡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9)에서는 삽입구에 삽입한 특정한 통화 증서는 절환 레버에 의해 선택된 제1 반송로 및 부 반송로를 거쳐 금고 외부에 설치한 수납 상자까지 반송된다. 이 수납 상자는 착탈 가능하고 금고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 수표를 회수하기 쉽다. 이에 의해, 수표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결제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 거래 장치(청구항 10)에서는 부 반송부를 전용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부 반송부와 전용 제어부를 일체로 취급할 수 있다. 또, 제어부와 접속하면 다른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 반송부를 독립 제어하도록 하면 부 반송부의 착탈 교환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개폐 또는 착탈이 용이한 제1 수납부와 적어도 제1 수납부보다도 개폐가 곤란한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특정한 통화 증서를 제1 수납부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2.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문에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1 수납부와 문에 견고하고 또한 복잡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특정한 통화 증서를 제1 수납부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의 문에 상기 간단한 자물쇠 대신에 수동 로크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4.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주 반송부와,
    통화 증서 중 특정한 것을 반송하는 부 반송부와,
    부 반송부에 연결되며 특정한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동시에 개폐 또는 착탈이 용이한 제1 수납부와,
    주 반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특정한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수납하는 동시에 적어도 제1 수납부보다도 개폐 곤란한 제2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5.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주 반송부와,
    주 반송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통화 증서 중 특정한 것을 반송하는 부 반송부와,
    부 반송부에 연결되며 특정한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동시에 문에 간단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1 수납부와,
    주 반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특정한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수납하는 동시에 문에 견고하고 또한 복잡한 자물쇠를 설치한 제2 수납부를 구비하고,
    고객에 대하여 통화 증서의 거래를 무인이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 반송부 제어 수단과,
    상기 부 반송부의 동작을 상기 주 반송부의 동작에 관련시켜 제어하는 부 반송부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반송부에 마찰력이 높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를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통화 증서에 접촉시키는 임펠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반송부에 통화 증서에 대전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 브러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9.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삽입하는 삽입구와,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봉투 등의 특정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와,
    삽입구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1 반송부와 제2 반송부를 절환하는 절환 레버와,
    제2 반송부의 종점에 설치된 수납부와,
    적어도 수납부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금고와,
    금고의 벽 또는 문에 형성한 개구부와,
    제1 반송부로부터 분기되어 개구부까지 도달하는 부 반송부와,
    금고 외부에서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수납 상자와,
    제1·제2 반송부, 절환 레버 및 부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10. 봉투, 수표, 그 이외의 통화 증서를 삽입하는 삽입구와,
    수표 등의 특정 통화 증서를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봉투 등의 특정 통화 증서 이외의 것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와,
    삽입구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1 반송부와 제2 반송부를 절환하는 절환 레버와,
    제1·제2 반송부 및 절환 레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2 반송부의 종점에 설치된 수납부와,
    적어도 수납부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는 금고와,
    금고의 벽 또는 문에 형성한 개구부와,
    제1 반송부로부터 분기되어 개구부까지 도달하는 부 반송부와,
    부 반송부에 형성되어 해당 부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용 제어부와,
    금고 외부에서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통화 증서를 수납하는 수납 상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래 장치
KR1019980049537A 1998-04-13 1998-11-18 자동거래장치 KR100306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01398 1998-04-13
JP10101398A JPH11296718A (ja) 1998-04-13 1998-04-13 自動取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784A KR19990081784A (ko) 1999-11-15
KR100306851B1 true KR100306851B1 (ko) 2001-11-30

Family

ID=1429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537A KR100306851B1 (ko) 1998-04-13 1998-11-18 자동거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50990B1 (ko)
JP (1) JPH11296718A (ko)
KR (1) KR100306851B1 (ko)
BR (1) BR98049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0399A1 (en) * 2001-01-30 2002-08-01 Young Neil M. Drop safe
DE10201660A1 (de) * 2002-01-17 2003-07-31 Wincor Nixdorf Int Gmbh Bankautomat mit separatem Scheckfach
GB0213184D0 (en) * 2002-06-08 2002-07-17 Ncr Int Inc Self service terminal
US20050038746A1 (en) * 2003-08-11 2005-02-17 Ncr Corporation Method of associating physical cheques with cheque image data previously captured remotely at a self-service terminal
JP4680570B2 (ja) * 2004-11-01 2011-05-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壁埋込型端末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750793B1 (ko) * 2006-05-16 2007-08-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DE102009017216A1 (de) * 2009-04-09 2010-12-09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Geldeinzahltransaktion
KR100962335B1 (ko) 2009-12-04 2010-06-10 (주)일우아이티에스 금고형 입금기
KR101000535B1 (ko) * 2010-07-05 2010-12-14 윤상준 경조금이 수납된 봉투와 지폐의 분리장치 및 그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경조금 자동 접수 처리 시스템
JP5527347B2 (ja) * 2012-03-26 2014-06-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収納庫及び紙葉類取扱装置
CN106327666A (zh) * 2015-06-30 2017-01-11 日立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及纸币处理装置的维护方法
CN107241525B (zh) * 2017-07-19 2019-03-08 芜湖市奥尔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文件检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753A (ja) * 1982-11-30 1984-06-13 Toshiba Corp 紙葉類の搬送装置
GB2156904B (en) * 1984-03-31 1987-05-07 Burroughs Corp Autoteller including tilt sensitive
EP0182137B1 (de) * 1984-11-05 1990-02-07 Autelca Ag Kassentresor
US4754126A (en) * 1987-04-01 1988-06-28 Ncr Corporation Night depository method and apparatus
EP0379073B1 (en) * 1989-01-19 1994-11-30 M.I.B. Elettronica S.R.L. Device for protecting and handling bank notes and valuables
GB8927225D0 (en) * 1989-12-01 1990-01-31 Ncr Co Depository apparatus for envelopes and single sheets
GB9323709D0 (en) * 1993-11-15 1994-01-05 Ncr Int Inc Depository apparatus for envelopes and single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04990A (pt) 1999-11-09
KR19990081784A (ko) 1999-11-15
EP0950990A2 (en) 1999-10-20
EP0950990B1 (en) 2003-06-04
EP0950990A3 (en) 2001-06-20
JPH11296718A (ja) 199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737A (en) Automatic teller apparatus
US6273413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sheet directing apparatus
US6474548B1 (en) Deposit accepting and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US4580040A (en) Teller-assisted, customer-operated ATM check cashing system
KR100306851B1 (ko) 자동거래장치
US4567358A (en) Automatic teller system
US20040245066A1 (en) Bill handling system and bill handling method
EP0182362B1 (en) Cash handling machine
JPH07302367A (ja) 取引処理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313052B2 (ja) 取引処理装置
JP2000099803A (ja) 自動取引装置
KR100490782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의지로장표처리방법및장치
JP3431244B2 (ja) 自動取引装置
WO2015198755A1 (ja) 紙幣取引装置
JPH05181892A (ja) 自動取引装置
JP2970031B2 (ja) 媒体判別装置
JP3644214B2 (ja) 金券発行装置および金券発行システム
KR920004774B1 (ko) 자동식 금전거래 장치
JP2949254B2 (ja) レジスター
JP3018303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3279614B2 (ja) 可搬型現金取扱装置
JP2577810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97533B2 (ja) 自動取引装置
JP4128666B2 (ja) 自動取引装置
JPS61260387A (ja) 振込取引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