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598B1 - 하지부 보호의료 - Google Patents

하지부 보호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598B1
KR100305598B1 KR1019997002799A KR19997002799A KR100305598B1 KR 100305598 B1 KR100305598 B1 KR 100305598B1 KR 1019997002799 A KR1019997002799 A KR 1019997002799A KR 19997002799 A KR19997002799 A KR 19997002799A KR 100305598 B1 KR100305598 B1 KR 10030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muscles
gastrocnemius
physical strength
str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807A (ko
Inventor
후지타카코
사카리사
Original Assignee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카모토 요시카타
Publication of KR2000004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Abstract

주로, 하지부 중에서도 대퇴부 후면의 근육인 햄스트링(hamstrings)의 보강에 유효한 다음과 같은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한다.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의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한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 긴체력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A)대전자상방에서 대전자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한 대퇴이두근과 장경인대와의 경계근방상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 건부분근방(4)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1)를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

Description

하지부 보호의료{PROTECTIVE CLOTHING FOR REGIONS OF LOWER LIMB}
종래 각종 스포츠나 트레이닝등에 있어서, 하지부의 근육에 부담이 너무 되어서, 이 부위에 장해를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근육의 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혹은,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관련하는 근육이나 뼈를 지지하기 위하여 테이핑(taping)처치나 소위 서포터(supporter)의 착용이 되어있다. 그러나, 테이핑처치는 테이핑기술에 숙련도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테이핑은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하지 않도록 근육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고 한편 서포터의 착용도 관절 상에 따라서,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간접적으로 근육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어느쪽도 근육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에 있어서, 근육의 수축을 보조하는 작용을 갖는 것은 없었다.
여기에서 긴체력(緊締力) 강한 부분이 하지부의 특정 근육을 지지하도록 한 구조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가 개발되어 있고(일본국 특개평 4-343868호 공보, 특공평6-41641호 공보, 특공평6-51921호 공보) 이들 하지부 보호의료는 장착이 용이하여 보통사람도 간단하게 적정한 장착이 가능하고, 착용상태에서 고통이 없고 감촉이 양호하여 피부의 습기에 의한 가려움의 발생등 위생상의 문제점도 없고, 게다가 근육의 수축을 보조하여 늘어난 근육이 원래대로 되돌아 가기 쉽게 그 움직임을 돕기 위하여, 운동시 근육의 피로가 적게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되고, 하지부의 특정 장해등의 예방이나 치료의 촉진에 유효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하지부 보호의료는 대퇴부측면 또는 전면의 근육이나 슬개부(膝蓋部)보다 하방의 근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은 고관절(股關節)을 굽히고, 슬관절(膝關節)을 늘이는 움직임을 갖는 것이지만, 슬관절은 신전위(伸展位)에 있으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충격을 받으면 인대의 단절과 동시에 관절주변의 골절을 가져오기 쉽다. 여기에서 대퇴사두근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그 움직임을 강화하여 그들의 손해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대퇴부측면 또는 전면의 근육에 대해서 지지되어 있는 것뿐이고, 대퇴부후면의 근육인 햄스트링에 대해서 지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햄스트링은 대퇴부후면에 있는 대퇴이두근(大腿二頭筋), 반건양근(半腱樣筋)및 반막양근(半膜樣筋)을 겸하는 것을 가리키고, 이들 근육은 예를 들면 ① 달리는 동작 중에도 특히 가속하는 국면에서 지면을 강하게 뒤로 밀때 ② 점프시에 보다 높이 뛰기위해 ③ 자전거의 페달을 밟은 후에 들어 올릴때 등에 주로 사용되는 근육이고, 고관절을 늘이고 슬관절을 굽히거나 내전(內轉)하는 움직임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갖는 햄스트링은 그 외에 럭비, 축구, 농구, 배구, 야구, 골프, 경륜, 봅슬레이등의 다양한 스포츠에 있어서도 중요한 움직임을 갖는 것이다. 일 예를 들면 럭비는 스크램 후에 정지하고 나서 재빠르게 달리는 동작에 결부되는 것이고, 대퇴후면을 잘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힘의 주는 곳을 전면에서 후면으로 변환할 필요가 생기고, 부드럽게 그 동작이 실행되지는 않는다.
농구에 있어서도 리바운드를 잡은 후에 다음 플레이에 대해서도 같다고 말할 수 있다. 즉, 고관절신근은 전후방향으로 골반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달성하고, 특히 정상 보행시 고관절 신전에 관여하는 것이고, 지면을 킥(kick)하는 종목(달리기, 농구, 배구등)은 골반이 상하(上下)하면, 힘이 분산하여 다음 동작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배구의 점프에 있어서도 국면(局面)에 의해 슬을 깊이 구부리지 않고 도약하면 도움닫기의 스피드를 발생하여 높이 뛰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대퇴후면을 주체로 뛰는 일이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봅슬레이는 최초의 밀어내기가 그 후의 스피드를 결정하여 최초의 밀어내기에 사용하는 근육이 햄스트링이다. 이와 같은 햄스트링은 각종 스포츠에 있어서 중요한 역활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일본인은 햄스트링이 대퇴사두근등의 대퇴부 전면의 근육에 비해 약하다고 하는 지적이 있다.
본발명은 하퇴부 보호의료에 관한다.
특히 본발명은 인체표면에 거의 밀착하여 착용되는, 주로 하지부 중에서도 대퇴부후면의 근육인 햄스트링(hamstrings)의 보강에 유효한 보호의료에 관한다.
도1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3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5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6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7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8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9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0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11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2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13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4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5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16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7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8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19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0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21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2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3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4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25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6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27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내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8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29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30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31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32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33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34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35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36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37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38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39는 하지를 후면에서 본 골격 도 및 부분근도를 나타낸다.
도40은 하지를 전면에서 본 골격도 및 부분근육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본발명은 적어도 하반신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生地)로 이루어진 의료본체에 부분적으로 보다 긴체력 강한 부분을 테이프모양으로 배치한 구조의의료로 한 것에 의해, 주로 종래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지지되지 않았던 하지부 중에서도 대퇴부후면의 근육인 햄스트링의 근(筋)동작을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슬관절이 굴곡되어 있는 지위(肢位)라고 하는 것은 불안정등의 것이고, 슬의 인대나 반월판(半月板)이 손해되기 쉽지만 럭비나 축구등의 슬을 굴곡하여 힘을 내는 종목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손해가 발생하기 쉽다. 여기에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햄스트링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손해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슬관절의 움직임은 대퇴부에 있어서 전후 근육의 서로의 역할을 충분하게 달성하는 것에 의해 균형있게 유지되지만, 이와 같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평 4-343868호공보, 특공평 6-41641호공보, 특공평 6-51921호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대퇴부 앞측 근육의 지지만이 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하지는 않았다. 여기에서 본발명은 종래의 하지부 보호의료와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대퇴부에 있어서 전면만이 아니라 후면 근육의 지지를 실시하여 슬관절및 고관절 전체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1) 적어도 슬개부반부를 넘는 정도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이 강한 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 긴체력이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의 (A) 및/또는 (B)로 나타낸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이다.
(A)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퇴이두근 및/또는 장경인대근방상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筋腹)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 근복의 하방 건부분근방(4)을 통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 반막양근의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반막양근 및/ 또는 대내전근근방상을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통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은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퇴이두근과 장경인대의 경계근방상(3)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인 것이 적합하고 (B)로 표현되는 부분은 반막양근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과 대내전근과의 경계근방상(12)을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I),(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대전자의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 및 중전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상(筋上)(적합하게는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할것, (II),(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할 것, (III),(B)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soleus)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적합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하는 것도 적합한 형태로 들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2)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의 길이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보유하는 것이고, 상기 긴체력이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 (A) 및 (B')로 표현되는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이다. (A)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대퇴이두근 및/또는 장경인대근방상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을 통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에서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은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한 대퇴이두근과 장경긴대와의 경계근방상(3)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I),(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 대전자의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 및 중전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상(적합하게는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할 것. (II),(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할 것. (III),(B')에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로 들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3)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 긴체력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의 (A')및(B)로 표현되는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이다. (A')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에서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반막양근의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 및/또는 대내전근근방상을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근섬유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통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B)로 표현되는 부분은 반막양근의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과 대내전근과의 경계 근방상(12)을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I),(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할 것.
(II)(B)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로서 들 수 있다.
(4) 또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더욱이(C)슬개부보다 약간 하방 위치인 상방의 외측하퇴부(21)에서 비복근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및 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의 내측하퇴부(22)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23)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2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5)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더욱이 (D) 대전자근방에서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 근방상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는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측광근상(39)를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는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D)로 표현되는 부분은 대전자(2)에서 장경인대근방상(33)및 외측광근근방상(34)을 통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의 측면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고,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측광근상(39)을 통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의 측면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42)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6)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더욱이(D') 요부외측(31)에서 대전근상(32), 대전자(2),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근방상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측광근상(39)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D')로 표현된 부분은 요부외측(31)에서 대전근상(32), 대전자(2), 장경인대근방상(33) 및 외측광근근방상(34)을 통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의 측면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고,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측광근상(39)을 통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의 측면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42)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7)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더욱이 (E)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의 외측하퇴부(51)에서 비복근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비복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해서는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비복근하방의 건부분근방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5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E)로 나타낸 부분은 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의 외측하퇴부(51)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52)을 통하여 비복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비복근 근복의 하방 건부분(53)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과부상방근방(5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8)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겹쳐서 봉합 또는 접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9)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늘여 겹쳐서 봉합 또는 접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의 소정부분에 탄성수지함침 또는 탄성수지필름의 부착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11)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소재 중, 탄성섬유의 크기가 다른 부분보다 큰 탄성섬유를 사용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12)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생지의 편 조직이 보다 긴체력의 강한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인것이 바람직하다.
(13)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30∼400gf의 긴체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신축성생지가 신축성츠웨이저지(jersey)편물 및 신축성라세르편물에서 선택된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발명은 본발명의료본체의 어느 부분에 주로 테이핑기능을 발휘하는 긴체력의 강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가, 긴체력의 강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의료상에서 위치의 설명에 신체의 일부나 근육이나 골격상당부분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우선, 본발명에서 긴체력 강한 부분의 위치번호의 설명에 사용하는 골격이나 근육의 인체에있어서 위치를 설명한다.
도39는 하지를 후면에서 본 골격도및 부분근육도이다.
도39에 있어서, 60이 대전근, 61이 대전자, 62가 장경인대, 63이 대퇴이두근, 64가 대내전근, 65가 반막양근, 66이 반건양근, 67이 비골두, 68이 비복근, 69가 비근이다.
또한, 도40은 하지를 전면에서 본 골격도및 부분근육도이다.
도40에 있어서, 70이 대퇴근막장근, 71이 외측광근, 72가 슬개골, 73이 경골이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긴체력의 강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의료상에 있어서 위치의 설명에 「···근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소정의 지정된 위치에서 다소의 어긋남이 있어도 본발명의 목적이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는 지장이 초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발명의 의료에 있어서는 각 강긴체력부(A),(A')과(B),(B')등을 단독으로 혹은 적절하게 맞추어서, 또는,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 (C)(D)(E)등의 적어도 1개를 설치한 것에 의해 목적에 따라서 의료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의 조합의 수는 방대한 것으로 되기때문에 이하의 대표적인 것을 도면으로서 나타내고 본발명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각부를 갖는 것을 필수로 하기 때문에, 스커트등의 각부를 갖지 않는 의료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는 해당하지 않고, 타이츠(tights)와 같이 각부에 밀착하여 장착되는 하반신부를 갖는 의료(이하, 타이츠라 칭한다)가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해당한다.
또한, 도면중 강긴체력부의 폭은 도면 중에서 나타낸 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효과를 잃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더욱이, 도면 중에서 그 작용을 명확하게 하는 목적으로 강긴체력부가 2방향으로 나뉘거나, 강긴체력부 끼리가 교차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강긴체력부를 각각 독립하여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 많지만 이것은 각각의 접점 또는 교차하는 부분이 연속하는 1개의 강긴체력부이어도 좋고, 도면 중에 나타내고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타이츠를 이용하여 각 강긴체력부를 설명한다.
도1∼도4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1)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A) 강긴체력부(101)만을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이 9분장(分丈)의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 도2가 9분장 타이츠의배면도, 도3및 도4가 각각 6분장 경우의 외측 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슬개부를 넘는 정도의 길이로서는 구체적으로 타이츠에 있어서는 통상6분장이상이 되는 일이 많고, 본발명에 있어서는 그 대표적인 예로서, 주로 9분장 타이츠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9분장보다 짧은 것. 예를 들면 6분장이어도 좋다.
통상, 강긴체력부의 형태에 의해서는 예를 들면 족수근방까지 강긴체력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연하고 필연적으로 6분장보다 길게되는 것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A)강긴체력부(101)에 대해서 도1및 도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강긴체력부(101)는 대전자 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퇴이두근과 장경인대와의 경계근방상(3)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고 있다.
그 작용은 강긴체력부가 대퇴이두근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대퇴이두근의 수축력을 돕고, 이 결과, 슬관절의 굴곡, 고관절의 신전, 슬반굴시 슬관절의 외선(外旋)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지지에 의한 작용으로서는 소정의 근육, 이 예의 경우는 대퇴이두근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마사지효과가 생기고, 혈액, 임파구의 흐름이 촉진되는 것에 의해 에네르기의 소모나 유산의 축적이 경감되고 근피로회복이 촉진된다.
또한, (A)강긴체력부는, 대퇴이두근의 근복은 횡절하지 않기 때문에, 근수축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도7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1) 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내고, 상기(A)강긴체력부(101)가 더욱이 대전자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여 강긴체력부(102)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7에서 나타내듯이, (A)강긴체력부(101)가 대전자의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여 강긴체력부(102)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퇴근막장근은 대전자상을 통한 근육이고, 대전자가 빠지지 않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대퇴근막장근을 강긴체력부에서 상부에서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효과에 부가하여 대전자를 보강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8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1)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상기(A) 강긴체력부(101)가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03)을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8에서 나타내듯이, (A) 강긴체력부(101)가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0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작용은 상기 도1및 도2에 나타내는(A) 강긴체력부(101)를 더욱이 연장하는 것으로 (A) 강긴체력부(101)와 같은 효과가 있는 대퇴이두근을 지지하는 효과를더욱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대퇴이두근에 대한 효과는 증대하는 것. 착용감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연장하지 않고, 상기(A) 강긴체력부(101)만의 쪽이 우수하다.
도5 및 6이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1)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 (B) 강긴체력부(104)만을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각 도5가 타이츠의 배면도, 도6이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이다.
(B) 강긴체력부(104)에 대해서 도5및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강긴체력부(104)는 반막양근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건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과 대내전근과의 경계근방상(12)을 통하여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고 있다.
그 작용은 강긴체력부가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수축력을 돕고, 그 결과 반건양근의 지지에 의해 슬관절의 굴곡, 고관절의 신전, 슬반굴 시의 하퇴내선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지지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A) 강긴체력부에 있어서 대퇴이두근의 지지와 같은 작용이다.
도9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1)하지부 보호의료의 외측 측면도를 나타내고, 상기(B)강긴체력부(104)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골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9에서 나타내듯이, (B)강긴체력부(104)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작용은 비복근 및 비근의 지지이다.
도10 및 도11이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1)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 (A) 강긴체력부(101)와(B) 강긴체력부(104)를 동시에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각 도10이 타이츠의 배면도, 도11이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A) 강긴체력부와 (B) 강긴체력부를 조합시킨 상태의 하지부 보호의료의 작용은 (A) 강긴체력부에 의한 대퇴이두근의 지지와 (B) 강긴체력부에 의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지지를 겸한 작용을 갖는다.
도12 및 도13이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2)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A) 강긴체력부(101)와(B') 강긴체력부(106)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각 도12가 타이츠의 배면도, 도13이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이다.
(B') 강긴체력부(106)에 대해서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B') 강긴체력부(106)는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 건부분근방(13)(즉,(A)강긴체력부(101)와 교차하는 부분)으로 비골근방(14)에 이르는 부분을 가르키고 (B)강긴체력부(104)의 일부분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의 작용은 주로(A) 강긴체력부에 의한 대퇴이두근의 지지이지만, (B') 강긴체력부에 의해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지지도 겸한 작용을 갖는다.
도14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2)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외측 측면도이고, 도12 및 도13에서 나타내는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A) 강긴체력부(101)가 대전자의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는 강긴체력부(102)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는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2)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14에서 나타낸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A) 강긴체력부(101)가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03)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6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2)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외측 측면도이고, 도12 및 13에서 나타내는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B')강긴체력부(106)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보유하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7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2)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외측 측면도이고, 도15에서 나타내는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B') 강긴체력부(106)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보유하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14∼17에 있어서 나타내듯이 (A)강긴체력부(101)가 대전자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한 강긴체력부(102)를 갖을 것. (A)강긴체력부(101)가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03)를 갖을 것. (B')강긴체력부(106)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갖는 것은 상기(1)하지부 보호의료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다.
도18 및 19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3)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A') 강긴체력부(107)와(B)강긴체력부(104)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각 도18이 타이츠의 배면도, 도19가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이다.
(A')강긴체력부(107)에 대해서 도18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A') 강긴체력부(107)는 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즉, (B) 강긴체력부(104)와 교차하는 부분)에서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부분을 가리키고 (A)강긴체력부(101)의 일부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의 작용은 주로(B) 강긴체력부(104)에 의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지지이지만 (A')강긴체력부(107)에 의해 대퇴이두근의 지지도 겸한 작용을 갖는다.
도20및 21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3)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8및 19에서 나타내는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A')강긴체력부(107)가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03)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각 도20이 배면도, 도21이 외측 측면도이다.
도22는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3)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외측 측면도이고, 도18 및 19에서 나타낸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B)강긴체력부(104)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3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3)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외측 측면도이고, 도20 및 21에서 나타낸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B)강긴체력부(104)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20∼23에서 나타내듯이 (A')강긴체력부(107)가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03)를 갖을 것. (B)강긴체력부(104)가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5)를 갖는 것이 상기(1) 하지부 보호의료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다.
도24 및 25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4)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 (C)강긴체력부가 더해진 점을 특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강긴체력부 및(B)강긴체력부와 조합한 형태로서 나타내었다. 각각 도24가 타이츠의 배면도, 도25가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이다.
(C)강긴체력부에 있어서 도24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C)강긴체력부는 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의 외측하퇴부(21)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8) 및 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의 내측하퇴부(22)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23)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2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109)로 이루어진다. 그 작용은 비복근 및 비근의 지지이다.
도26∼29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5)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 (D)(강긴체력부가 더해진 점을 특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 강긴체력부와 조합시킨 상태로서 나타내었다.
각각 도26이 타이츠의 정면도, 도27이 타이츠의 내측 측면도, 도28이 타이츠의 배면도, 도29가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이다.
우선, (D)강긴체력부의 외측부분(110)에 대해서 도29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강긴체력부는 대전자(2)에서 장경인대근방상(33) 및 외측광근근방상(34)을 통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의 측면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고 있다.
그 작용은 슬부보다 상방에 있어서, 대퇴부전면의 근육인 대퇴사두근을 지지하고, 슬부보다 하방에 있어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한다.
다음에, (D)강긴체력부의 내측부분(111)에 대해서 도27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강긴체력부는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고,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광근상(39)을 통하여, 슬개부(35)의 측면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의 측면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42)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고 있다.
그 작용은 슬부보다 상방에 있어서는 내측광근을 지지하고, 슬부보다 하방에 있어서는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한다.
또한, 슬부에 대해서는 도26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측부분(110)에 있어서는 슬개부(35)의 상방과 하방의 내에 있어서 2개의 산형(40),(41)을 형성하여 슬개부(35)를 피하는 구조로 하고, 내측부분(111)에 있어서는 슬개부(35)의 상방과 하방의 외에 있어서 2개의 산형(36),(37)을 형성하여 슬개부(35)를 피하는 구조로 하는 동시에 대향 각 2개의 산형(40)과(41),(36)과(37)이 교차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부가 이와 같은 구조로하는 것에 의해 슬개인대나 측부인대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30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5)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외측 측면도이고, 상기 도26∼29는(A)강긴체력부와(D)강긴체력부가 별개로 독립 생지에 의해 구성된 의료를 나타낸 도면이지만 도30은 (A)강긴체력부와(D)강긴체력부가 일체로된 생지에 의해 구성되는 한편 (A)강긴체력부의 대전자보다 상방 부분의 폭이 도29에서 나타낸 폭보다도 크고(5) 하지부 보호의료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도34및 35는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5)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0에서 나타내는 하지부 보호의료에 상반신부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각 도34가 의료의 정면도, 도35가 의료의 배면도이다.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적어도 하반신부를 갖는 의료이지만, 도34및 35에서 나타내는 하지부 보호의료와 같이 상반신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도34및 35에 있어서, 80및 81이 상반신부이지만 상반신부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는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전체의 형태에 있어서도 같게 적용될 수 있다.
도31이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6)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외측 측면도이고, 강긴체력부로서(D')강긴체력부가 더해진 점을 특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강긴체력부는 도31에서 나타내듯이, (D)강긴체력부의 대전자(2) 상방에 있어서 요부외측(31)에서 대전근상(32)을 통하여 대전자(2)에 이르는 부분의 강긴체력부(112)가 연장되는 것이고, 연장된 대전자(2) 상방의 강긴체력부(112)에 대해서 대전근을 지지하는 역할을 달성한다.
도32및 33이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7) 하지부 보호의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강긴체력부로서(E)강긴체력부(113)가 더해진 점을 특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A)강긴체력부와 조합시킨 상태로 나타내었다.
각각 도32가 타이츠의 외측 측면도, 도33이 타이츠의 배면도이다.
(E)강긴체력부(113)에 대해서 도32및 3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강긴체력부(113)는 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 외측 하퇴부(51)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52)을 통하여 비복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비복근 근복 하방의 건부분(53)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과부상방근방(54)에 이르고 있다.
그 작용은 비복근 및 비근의 지지이다.
이상 도1∼도35를 이용하여 본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상술하듯이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35에 있어서는 (A)강긴체력부에 있어서 경골상단근방(5)및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은 비교적, 상방의 위치에 나타내고, (B)강긴체력부에 있어서 반막양근의 상방(11)및 반막양근과 대내전근의 경계근방상(12)도 비교적 상방의 위치에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이 위치가 하방인 도면에 대해서도 도36∼38에 예시한다.
도36은 (A)강긴체력부에 있어서, 경골상단근방(5)및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이 비교적, 하방 위치인 예이고(A)강긴체력부(101)가 대전자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는 강긴체력부(102)와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103)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이다.
도37은 (B)강긴체력부에 있어서 반막양근의 상방(11) 및 반막양근과 대내전근의 경계근방상(12)이 비교적, 하방 위치인 예이고,(B)강긴체력부(104)만을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이다.
도38은 도36에서 나타낸 (A)강긴체력부와 도37에서 나타낸(B)강긴체력부를 조합한 하지부 보호의료의 배면도이다.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강긴체력부)을 갖는 것이다.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강긴체력부의 부여방법으로서는,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겹쳐서 그것을 봉합시킨 것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겹쳐서 그것을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도 좋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용이하게 내구성 있는 의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강긴체력부와 그것 이외의 부분을 각각 소정형상의 파트로 하여 그것을 맞추어 접속하여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를 형성해도 좋지만 봉제가 복잡하게 되고 얼마간의 시간이 걸린다.
또한 그 외의 예로 들면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늘여 겹쳐서 봉합 또는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강긴체력부에 의해 강력한 긴체력을 부여할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의료본체의 소정부분에 탄성수지함침 또는 탄성수지필름의 부착에 의한 방법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얻을 수 있다. 탄성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수지나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수지 그 외의 적절한 탄성수지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의료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소재 중 탄성섬유의 크기가 다른 부분보다 큰 탄성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강긴체력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겹침을 하지 않아도 완료되기 때문에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보다 얇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강긴체력부의 부여방법 중에도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겹쳐서 그것을 봉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과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늘여 겹쳐서 봉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의료본체에 봉합된 신축성생지의 긴체력은 의료본체의 신축성생지의 긴체력보다도 약간 작거나 같거나 커도 좋다. 의료본체에 신축성생지를 겹친 결과, 겹쳐진 부분의 긴체력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긴체력의 생지를 겹치는 것이 좋은가는 스포츠의 종류나 각각 착용자의 장해정도나 목적으로 하는 장해예방의 정도나, 의료본체의 갖는 긴체력의 정도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강긴체력부의 긴체력으로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그 길이 방향에서 30∼400gf의 긴체력을 갖는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긴체력의 범위에 있어서, 본발명의 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또한, 압박감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고 착용감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긴체력 측정방법으로서는 인스트론형만능인장시험기(도율제작소제 오토그래프 AG-500D)를 이용하여 인장속도300±20mm/min에서 시료길이(잡는간격) 80%까지의 신장회복을 3회 반복하고, 3회째의 신장회복 시의 30% 신장시 및 회복시의 값중 회복시의 값을 취하여 긴체력으로 한다. 시료의 크기는 폭2.5cm, 길이 16cm, 상부 잡는 길이2.5cm, 하부 잡는길이3.5cm, 인장간격10c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관련크기의 시료가 측정대상 의료에서 잘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작아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시료의 크기가 작을수록 측정오차가 크게되기 때문에, 잘려 나가는 범위에서 가능한 큰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본체에 신축성생지등이 겹쳐진 강긴체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그 긴체력의 측정시료로서는 당연하므로 겹쳐진 시료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강긴체력부의 폭은 강긴체력부의 존재부위, 이용하는 소재의 긴체력의 강도, 강긴체력부의 형성수단, 착용자의 장해 정도나 장해부위, 또는 장해예방의 목적, 어른인가 아이인가등에 의해 적절한 본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에서 적절한 폭으로 하면 좋고,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은 통상 5∼15cm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8∼13cm,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외의 강긴체력부의 폭은 예를 들면 대퇴부외측 측부의 가장 가는 폭으로 통상 2∼10cm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8cm정도가 바람직하다.
물론 본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에 있어서, 강긴체력부의 폭은, 부위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좁은 폭이 되거나 넓은 폭이 되거나 하는 것이 있는 것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는 신축성생지로서 의료본체부분이나 각 강긴체력부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섬유함유 라세르편물인 폴리우레탄 섬유함유 파워네트나 폴리우레탄 섬유함유저지편물인 폴리우레탄 섬유함유 츠웨이저지편물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비교적 후지(厚地)의 파일지나 네오프렌시트등을 이용하는 서포터등에 비해서 통상의 의복을 작성하는 때에 이용되는 정도의 두께, 예를 들면 0.3∼0.8mm두께의 생지가 사용가능하고, 따라서 착용시의 프로포션등의 외관이 저하가 작고, 신체에 보다 잘맞고,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한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파워네트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플랜파워네트, 사텐(satin)파워네트, 츠웨이라세르, 토리스킨(일본 토부 주식회사 상표)등을 들수 있다. 덧붙여서 상기 도1∼38에 있어서 타이츠 본체를 구성하는 생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섬유80%, 폴리우레탄섬유20%로 이루어진 신축성소재인 츠웨이저지편물(긴체력: 타이츠의 가로방향 45gf, 타이츠의 세로 세로방향33gf)를 이용하고, 강긴체력부에 보강된 생지로서는 나이론섬유62%, 폴리우레탄섬유38%로 이루어진 신축성소재인 파워네트편물(긴체력: 보강소재의 길이방향 272gf, 폭방향 88gf)를 이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것은 물론이다.
강긴체력부의 긴체력은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고, 부위에 따라서 다른 긴체력으로 해도 좋다.
본발명은 (1)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과정의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한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한 긴체력의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A) 및/또는 (B)에서 나타낸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로 하는 것에 의해 강긴체력부가 대퇴이두근을 측면에서 지지하고, 대퇴이두근의 수축력을 돕고, 그 결과 슬관절의 굴곡, 고관절의 신전, 슬반굴시 슬관절의 외선을 지지하고 또한 강긴체력부가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측면에서 지지하고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수축력을 돕고, 그 결과 반건양근의 지지에 의해 슬관절의 굴곡, 고관절의 신전, 슬반굴시의 하퇴내선을 지지하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슬관절의 굴곡을 요하는 각종 스포츠에 있어서 슬의 인대나 반월판의 손해를 완화할 수 있다. 더욱이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마사지효과가 생기고, 혈액, 임파구의 흐름이 촉진되는 것에 의해 에네르기의 소모나 유산의 축적에 의해 근피로회복이 촉진된다.
(A)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한 대퇴이두근 및/또는 장경인대근방상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을 통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 반막양근의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및/또는 대뇌전근근방상을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 쌍방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통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또한 상기 효과 이외에 장착이 용이하여 보통 사람도 간단하고 적정한 장착이 가능하고, 입욕시 등은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벗을 수 있고, 따라서 테이핑시 일일이 전문가의 처치를 받을 번거러움이 없고, 기분 좋게 착용 가능하고, 게다가 하지근육의 장해등의 예방이나 치료의 촉진에 유효하다.
또한 의료에 강긴체력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통상의 테이핑과 같은 평상으로 테이핑을 실시한 부분에 압력이 걸린다고 하는 상태는 아니고 움직임에 의해 압력의 완급 차가 생기기 쉽고, 통상시는 작은 지지력으로 기분좋은 착용감이고, 움직임에 의해 적절한 긴체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착용감이 양호하고 하지근육의 장해등의 예방이나 치료의 촉진에 유효하다.
또한 테이핑의 경우와 같이 테이프가 점착제로 피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피부의 습기에 의한 가려움 발생등의 위생상 문제도 개선된다.
더욱이 착용시 프로포션등의 외관이 저하가 작고,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하다. 상기(1)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I),(A)에서 나타낸 부분이 대전자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및 중전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상(바람직하게는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는 강긴체력부를 갖을 것 (II),(A)에서 나타낸 부분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갖을 것 (III),(B)에서 나타낸 부분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보유하는 것에의해 비복근 및 비근도 지지 가능한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2)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의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지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한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한 긴체력의 강한 부분으로 하여 적어도 하기의(A) 및(B')에서 나타낸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로 하는 것에 의해 대퇴이두근의 지지에 부가하여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의 지지도 겸한 작용을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A)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대퇴이두근을 측면에서 지지하듯이 대퇴이두근 및/또는 장경인대근방상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의 근복하방 건부분근방(4)을 통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에서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I),(A)로 나타낸 부분이 대전자의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 및 중전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근상(바람직하게는 대퇴근막장근상(6))을 통하는 강긴체력부를 갖을것,(II)(A)로 나타낸 부분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갖을 것, (III),(B')로 나타낸 부분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또는 비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갖는 것에 의해 상기(1) 하지부 보호의료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3)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의 길이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갖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긴체력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의(A') 및 (B)로 나타낸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로 하는 것에 의해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의 지지에 부가하여 대퇴이두근의 지지도 겸한 작용을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A') 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에서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반막양근의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 및/또는 대내전근방상을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통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또한, 상기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I),(A')로 표현된 부분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갖을 것 (II),(B)로 나타낸 부분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갖는 것에 의해 상기 (1) 하지부 보호의료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갖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4)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 더욱이 (C)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 외측하퇴부(21)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15))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및 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의 내측하퇴부(22)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바람직하게는 비복근과 비근과의 경계근방상(23))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2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비복근 및 비근도 지지 가능한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5)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D)대전자근방에서 장경인대 및/또는 외측광근육근방상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광근상(39)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 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A)강긴체력부 및/또는 (B)강긴체력부에 의한 지지에 부가하여 슬부보다 상방에 있어서는 대퇴부전면의 근육인 대퇴사두근을 지지할 수 있고, 슬부보다 하방에 있어서는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 가능한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합에 의해 특히 대퇴부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의 근육을 균형있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대퇴부에서 전면 및 후면의 근육의 상호 역할이 충분하게 발휘되고, 슬관절 및 슬관절 전체의 움직임을 원조할 수 있다.
(6) 또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더욱이(D')요부외측(31)에서 대전근상(32),대전자(2),장경인대 및 /또는 외측광근근방상(34)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광근상(39)를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5) 하지부 보호의료의 효과에 부가하여 대전근도 지지 가능한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7) 또는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E)슬개부보다 약간 하방의 위치인 상방의 외측하퇴부(51)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또는 비근근방상을 통하여 비복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해서는 직각으로 횡절하지 않도록 비복근하방의 건부분근방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5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해 비복근 및 비근도 지지할 수 있는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8)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겹쳐서 봉합 또는 접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내구성 있는 의료를 제조할 수 있다.
(9)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으로 신축성생지를 늘여 겹쳐서 봉합 또는 접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강긴체력부에 의해 강력한 긴체력을 부여할 수 있다.
(10)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의 소정부분에 탄성수지함침 또는 탄성수지필름의 부착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11)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소재 중 탄성섬유 크기가 다른 부위보다 큰 탄성섬유를 사용한 부분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겹침을 하지 않아도 끝나기 때문에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보다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12)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생지의 편조직이, 보다 긴체력 강한 편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같은 형태로 겹침을 하지 않아도 끝나기 때문에 강긴체력부의 두께가 보다 얇은 것을 얻을 수 있다.
(13)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강긴체력부가 30∼400gf의 긴체력을 갖는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본발명의 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또한 압박감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고 착용감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14) 또한 본발명의 하지부 보호의료에 있어서는 신축성생지가 신축성 츠웨이저지편물 및 신축성 라세르편물에서 선택된 편물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비교적 후지의 파일지나 네오플렌시트등을 이용하는 서포터등에 비해서 통상의 의복을 작성하는 시에 이용되고 있는 정도의 두께의 생지가 사용가능하고, 따라서 착용시의 프로포션등의 외관이 저하가 적고, 신체에 보다 잘 맞고,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한 하지부 보호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구비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한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한 긴체력의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의 (A) 및 (B)중의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는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
    (A)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한 대퇴이두근 및 장경인대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해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 근복의 하방 건부분근방(4)을 통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 반막경근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반막양근 및 대내전근 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통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2. 제1항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이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지지하기 위한 대퇴이두근과 장경인대와의 경계근방상(3)을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의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대전자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및 중전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상을 통하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로 표현되는 부분이 반막양근의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과 대뇌전근과의 경계근방상(12)을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 건부분근방(13)을 경사하는 방향으로 횡절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7.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한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의 강한 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 긴체력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의 (A)및(B')로 표현되는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A) 대전자상방(1)에서 대전자(2)를 통하여 더욱이 대퇴이두근을 측면에서 지지하듯이 대퇴이두근 및 장경인대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대퇴이두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해서는 직각으로 횡절하지 않도록 대퇴이두근 근복의 하방 건부분근방(4)을 통하여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 건부분근방(13)에서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8. 제7항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대전자의 상방에 있어서, 대퇴근막장근, 장경인대 및 중전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상을 통한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B')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1. 적어도 슬개부를 넘는 정도 길이의 각부를 갖는 하반신부를 보유하는 신축성생지로 이루어진 의료에 있어서, 상기한 의료는 부분적으로 긴체력 강한 부분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 긴체력 강한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기의 (A') 및 (B)로 표현되는 부분을 구비한 하지부 보호의료.
    (A') 대퇴이두근 근복 하방의 건부분근방(4)에서 경골상단근방(5)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B) 반막양근의 상방(11)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을 지지하기 위한 반막양근 및 대내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해서 직각에는 횡절하지 않도록, 반건양근과 반막양근 쌍방의 근복하방의 건부분근방(13)을 통하여 비골상단근방(1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12. 제11항에 있어서, (A')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경골상단근방(5)에서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부착근방상(7)까지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B)로 표현되는 부분이 더욱이 비골상단근방(14)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4.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욱이 (C)슬개부보다 거의 하방 위치인 상방 외측하퇴부(21)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강긴체력부 및 슬개부보다 하방 위치인 상방 내측하퇴부(22)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2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5.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욱이 (D)대전자근방에서 장경인대 및 외측광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광근상(39)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6.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요부외측(31)로부터 대전근상(32), 대전자(2)를 통해, 그 다음 장경인대 및 외측광근근방상(34)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16)에 이르는 외측부분과 대퇴내측(38)에서 내측광근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광근상(39)을 통하여 슬개부(35)에 이르고, 더욱이 슬개부(35)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과부상방근방(43)에 이르는 내측부분으로 이루어진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7.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욱이 (E)슬개부보다 약간 하방 위치인 상방 외측하퇴부(51)에서 비복근 및 비근을 지지하기 위한 비복근 및 비근근방상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비복근의 근복을 근섬유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는 절단되지 않도록, 비복근하방 건부분근방을 통하여 과부상방근방(54)에 이르는 강긴체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8.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에 소정형상 신축성생지를 겹쳐서 봉합 또는 접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19.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생지를 늘여 겹쳐서 봉합 또는 접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20.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의 소정부분에 탄성수지함침 또는 탄성수지필름 접합에 의해 형성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21.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소재 중, 탄성섬유 크기가 다른 부분보다 큰 탄성섬유를 사용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22.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의료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생지의 편조직이 보다 긴체력 강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23.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긴체력부가 30∼400gf의 긴체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24.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성생지가 신축성 츠웨이저지편물 및 신축성 라세르편물에서 선택된 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보호의료.
KR1019997002799A 1997-04-01 1999-03-31 하지부 보호의료 KR100305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83120 1997-04-01
JP9083120A JP3012819B2 (ja) 1997-04-01 1997-04-01 下肢部保護衣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807A KR20000048807A (ko) 2000-07-25
KR100305598B1 true KR100305598B1 (ko) 2001-09-24

Family

ID=1379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799A KR100305598B1 (ko) 1997-04-01 1999-03-31 하지부 보호의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86970B1 (ko)
EP (1) EP1016351B1 (ko)
JP (1) JP3012819B2 (ko)
KR (1) KR100305598B1 (ko)
CN (1) CN1142728C (ko)
AU (1) AU7872998A (ko)
DE (1) DE69726464T2 (ko)
HK (1) HK1023041A1 (ko)
TW (1) TW388700B (ko)
WO (1) WO19980435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417A1 (ko) 2020-10-28 2022-05-05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4204B2 (en) 1999-04-21 2006-07-11 Wacoal Corp. Garment
JP3672796B2 (ja) * 1999-06-25 2005-07-20 株式会社ワコール 衣料
JP3740344B2 (ja) * 2000-02-03 2006-02-01 株式会社ワコール 運動用スパッツ
TW475887B (en) * 2000-04-20 2002-02-11 Wacoal Corp Leg portions supporting wear
JP2004538385A (ja) * 2001-08-21 2004-12-24 アルパインスターズ リサーチ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スリップ抵抗表面領域を有するスポーツ用衣服
JP4130869B2 (ja) * 2001-09-18 2008-08-06 有限会社足と歩きの研究所 膝用サポーター
US6874337B2 (en) * 2002-06-05 2005-04-05 Mizuno Corporation Underpant garment
US7937771B2 (en) * 2002-10-31 2011-05-10 Alpinestars Research Srl Garment for motorcyclists with improved comfort
CN100377673C (zh) * 2003-04-15 2008-04-02 华哥尔株式会社 带有裆部的衣服
US7730552B2 (en) 2003-04-15 2010-06-08 Wacoal Corp. Pants garment
DE602004031102D1 (de) * 2003-04-15 2011-03-03 Wacoal Corp Bekleidungsartikel mit zwickel
JP3782441B2 (ja) * 2003-05-01 2006-06-07 株式会社ワコール 脚線矯正用の股付き衣類
US8148475B2 (en) * 2003-06-30 2012-04-03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Melt spun polyether TPU fibers having mixed polyols and process
US20060240954A1 (en) * 2005-04-26 2006-10-26 Mohsen Shahinpoor Human lower limb performance enhancement outfit systems
US7941871B1 (en) * 2003-08-18 2011-05-17 Joey Jorgensen Garment with stretchable section and related methods
DE102004006485A1 (de) 2004-02-10 2005-08-2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Bekleidungsstück
WO2005112674A1 (ja) * 2004-05-20 2005-12-01 Wacoal Corp. ボトム衣類
ITTV20040072A1 (it) * 2004-06-24 2004-09-24 Alpinestars Res Srl Indumento per attivita' sportiva.
JP4018682B2 (ja) * 2004-09-21 2007-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パッツ
JP2006144210A (ja) * 2004-10-19 2006-06-08 Onyone Kk スポーツウェア
US20060117451A1 (en) * 2004-12-02 2006-06-08 Sciortino Susan M Quilted kneepads integral to a child's garment
WO2006069308A1 (en) * 2004-12-21 2006-06-29 Smart Fitness Products Llc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US8296864B2 (en) 2004-12-21 2012-10-30 Smart Fitness Products, Llc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US8585623B2 (en) 2004-12-22 2013-11-19 Ossur Hf Orthopedic device
FR2879901A1 (fr) * 2004-12-24 2006-06-30 Promiles Sa Collant pour la course a effet localise de contention
FR2879900B1 (fr) * 2004-12-24 2007-10-12 Promiles Sa Collant a effet localise de contention pour la pratique d'un sport
JP4294598B2 (ja) * 2005-01-26 2009-07-15 有限会社 中澤研究室 タイツ
US20060240960A1 (en) * 2005-04-26 2006-10-26 Mohsen Shahinpoor Backpack support apparatus
US20060240953A1 (en) * 2005-04-26 2006-10-26 Mohsen Shahinpoor Human lower limb performance enhancement outfit
JP2006322121A (ja) * 2005-05-20 2006-11-30 Keio Gijuku 下肢部保護衣料
JP3924580B2 (ja) * 2005-05-27 2007-06-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JP4368364B2 (ja) * 2005-06-13 2009-11-18 美津濃株式会社 運動用スパッツ
US20070000015A1 (en) * 2005-06-29 2007-01-04 Alaniz Irma P Athletic garment
FR2889033B1 (fr) * 2005-07-29 2007-12-28 Salomon Sa Vetement ajuste
US8347415B2 (en) * 2005-09-13 2013-01-08 Alpinestars Research Srl Sport garment having an improved comfortableness
JP4673182B2 (ja) * 2005-10-18 2011-04-20 アサヒマカム株式会社 衣類
JP2007138335A (ja) * 2005-11-18 2007-06-07 Descente Ltd 姿勢を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のウェア
JP4908025B2 (ja) 2006-03-16 2012-04-04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KR100772908B1 (ko) 2006-05-15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육 운동 보조 장치
CN101194760A (zh) * 2006-12-06 2008-06-11 上海体育学院 模拟并强化下肢双关节肌肉功能的运动鞋裤系统
US20080256675A1 (en) * 2007-04-17 2008-10-23 Joseph Di Lorenzo Swimsuit having compression panels
US20090038047A1 (en) * 2007-04-17 2009-02-12 Joseph Di Lorenzo Swimsuit having compression panels
US7934267B2 (en) * 2007-05-31 2011-05-03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8336118B2 (en) 2007-05-31 2012-12-25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7996924B2 (en) 2007-05-31 2011-08-16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9101815B2 (en) * 2007-07-27 2015-08-11 Zhik Pty Ltd Watersport hiking support system
US9763484B2 (en) * 2007-07-27 2017-09-19 Zhik Pty Ltd Watersport hiking support system
WO2009034621A1 (ja) * 2007-09-12 2009-03-19 Wacoal Corp. 運動用股付き衣類
US8167829B2 (en) * 2007-10-19 2012-05-01 Bellacure Inc. Orthotic apparatus
CN101428175B (zh) * 2007-11-09 2011-06-22 上海体育学院 模拟并强化下肢腓肠肌功能的运动鞋裤系统
WO2009135222A1 (en) * 2008-05-02 2009-11-05 Protasiewicz Richard E Jr Cutaneous proprioreceptive activation garment system
WO2010045242A2 (en) * 2008-10-14 2010-04-22 Samara Innovations, Llc Devices for use during physical activity
KR101064031B1 (ko) * 2009-05-15 2011-09-08 조종대 체형교정용 바지
US8986177B2 (en) * 2009-06-19 2015-03-24 Tau Orthopedics, Llc Low profile passive exercise garment
US9433814B2 (en) 2009-06-19 2016-09-06 Tau Orthopedics, Llc Toning garment with integrated damper
US9656117B2 (en) 2009-06-19 2017-05-23 Tau Orthopedics, Llc Wearable resistance garment with power measurement
US9327156B2 (en) 2009-06-19 2016-05-03 Tau Orthopedics, Llc Bidirectional, neutral bias toning garment
US10004937B2 (en) 2009-06-19 2018-06-26 Tau Orthopedics Llc Wearable modular resistance unit
US10124205B2 (en) 2016-03-14 2018-11-13 Tau Orthopedics, Llc Toning garment with modular resistance unit docking platforms
WO2011019070A1 (ja) * 2009-08-13 2011-02-17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US20110083246A1 (en) * 2009-10-14 2011-04-14 Ranil Kirthi Vitarana Garment with Elastomeric Coating
US9095177B2 (en) * 2010-03-26 2015-08-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Physical fitness garments
JP5545154B2 (ja) * 2010-09-29 2014-07-09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JP2012140719A (ja) * 2010-12-28 2012-07-26 Asahi Kasei Fibers Corp ボトム衣料
US9345275B2 (en) 2011-02-18 2016-05-24 Nike, Inc. Lower body garment with elasticity-reducing panel
RU2013142695A (ru) * 2011-02-25 2015-03-27 Амаркод Индустрия Аббильяменто С.Р.Л.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для поддержки нейро-мышечно-скелетной системы
CN103620099B (zh) * 2011-03-28 2015-09-23 株式会社华歌尔 织物及使用其的衣物
US8887315B2 (en) * 2011-11-02 2014-11-18 Erin Lynn Boynton Orthopedic support garment
JP6151478B2 (ja) 2012-03-23 2017-06-21 株式会社ワコール 下半身衣類
CN104203019B (zh) * 2012-04-10 2016-08-17 株式会社华歌尔 运动用带裆的衣服
ITMI20120907A1 (it) * 2012-05-24 2013-11-25 Freddy Spa Indumento per modellare le natiche ed i fianchi femminili, n particolare un indumento sportivo per danza o ginnastica
CN104853699B (zh) 2012-09-19 2017-08-15 欧苏尔公司 用于矫形装置的嵌板附着件与周长调整系统
CN105228564B (zh) 2013-01-07 2017-11-14 奥索有限责任公司 矫形装置及其固定方法
US10357391B2 (en) 2013-01-24 2019-07-23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EP2948107B1 (en) 2013-01-24 2018-07-11 Ö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US9795500B2 (en) 2013-01-24 2017-10-24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EP2950758B1 (en) 2013-01-31 2020-11-18 Össur HF Progressive force strap assembly for use with an orthopedic device
US9375341B2 (en) 2013-01-31 2016-06-28 Ossur Hf Orthopedic device having detachable components for treatment stage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2983627B1 (en) 2013-04-08 2018-12-12 Ossur hf Strap attachment system for orthopedic device
CN104288962B (zh) * 2013-07-18 2016-12-28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航天肌肉健康保护服
US9302137B1 (en) 2013-07-22 2016-04-05 Christopher Joseph Yelvington Resistance-applying garment, connector for use in garment, and method of forming garment
JP6395148B2 (ja) * 2014-07-04 2018-09-2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疲労軽減ウェア
US10085490B2 (en) 2014-07-30 2018-10-02 Vf Imagewear, Inc. Shir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CA2955202C (en) * 2014-07-30 2023-09-05 Vf Imagewear, Inc. Pan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EP3242642B1 (en) 2015-01-06 2020-10-07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osteoarthritis of the knee
US10561520B2 (en) 2015-02-27 2020-02-18 Ossur Iceland Ehf Spinal orthosis,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0561881B2 (en) 2015-03-23 2020-02-18 Tau Orthopedics, Inc. Dynamic proprioception
JP6600147B2 (ja) * 2015-03-30 2019-10-30 美津濃株式会社 運動用衣服
DE102015217841A1 (de) 2015-09-17 2017-03-23 Adidas Ag Sportbekleidungsartikel mit Unterstützungselementen
GB201519037D0 (en) * 2015-10-28 2015-12-09 Central Manchester Healthcare Nhs Trust Knee support brace
JP6651336B2 (ja) * 2015-11-27 2020-02-19 旭化成株式会社 着圧ストッキング
USD809245S1 (en) 2015-11-27 2018-02-06 Adidas Ag Garment
JP6543186B2 (ja) * 2015-12-22 2019-07-10 岡本株式会社 レッグウェア
US11234850B2 (en) 2016-06-06 2022-02-01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strap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US11850175B2 (en) 2016-06-06 2023-12-26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strap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JP6751665B2 (ja) * 2016-12-28 2020-09-0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膝着用体
US11021819B2 (en) * 2017-05-15 2021-06-01 Under Armour, Inc Athletic performance garment
US20190021410A1 (en) * 2017-07-19 2019-01-24 Jonathan Cunningham Knee-acl support breeches system and method
USD883651S1 (en) 2018-01-03 2020-05-12 Better Walk, Inc. Joint stabilization sock
US11246734B2 (en) 2017-09-07 2022-02-15 Ossur Iceland Ehf Thoracic lumbar sacral orthosis attachment
WO2019067835A1 (en) 2017-09-28 2019-04-04 Ossur Iceland Ehf BODY INTERFACE
US11547589B2 (en) 2017-10-06 2023-01-10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for unloading a knee
USD895815S1 (en) 2018-08-22 2020-09-08 Better Walk, Inc. Joint stabilization elbow sleeve
USD890938S1 (en) 2018-08-22 2020-07-21 Better Walk, Inc. Joint stabilization knee sleeve
USD888258S1 (en) 2018-10-08 2020-06-23 Ossur Iceland Ehf Connector assembly
USD882803S1 (en) 2018-10-08 2020-04-28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shell
USD908458S1 (en) 2018-10-08 2021-01-26 Ossur Iceland Ehf Hinge cover
KR102227521B1 (ko) * 2019-10-02 2021-03-12 (주)위보코리아 착용 부위의 근육을 리프팅시키고 점진적 압박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수행 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혈관성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밴드
KR102256925B1 (ko) * 2019-10-02 2021-05-27 (주)위보코리아 운동 능력 향상 및 혈관성 질환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밴드
US10905175B1 (en) 2020-05-21 2021-02-02 Tyr Sport, Inc. Swimsuit with tension bands and reinforcement liners
US11872150B2 (en) 2020-12-28 2024-01-16 Ossur Iceland Ehf Sleeve and method for use with orthopedic device
USD989472S1 (en) 2021-04-02 2023-06-20 Better Walk, Inc. Sock
WO2022224939A1 (ja) * 2021-04-20 2022-10-27 旭化成株式会社 ボトム衣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602B2 (ja) 1990-06-19 1995-05-31 株式会社ワコール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ロングガードル等下半身用被服
JPH0651921B2 (ja) 1990-06-20 1994-07-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腿部用サポーターまたはストッキング
JPH0641641B2 (ja) 1990-06-21 1994-06-01 株式会社ワコール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ロングガードル等下半身用被服
JP2603769B2 (ja) * 1991-05-22 1997-04-23 株式会社 ワコール 人体の体表面に圧接して着用される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腿部用サポーター
US5201074A (en) * 1991-06-10 1993-04-13 Dicker Timothy P Exercise suit with resilient reinforcing
US5109546A (en) * 1991-06-10 1992-05-05 Dicker Timothy P Exercise suit with resilient reinforcing
JP2732394B2 (ja) 1994-09-12 1998-03-30 オンヨネ株式会社 スポーツウェア
EP0705543B1 (en) * 1994-10-07 1999-03-24 Wacoal Corp. Lower leg protection garment
JP3668316B2 (ja) * 1996-03-04 2005-07-06 オンヨネ株式会社 スポーツウェ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417A1 (ko) 2020-10-28 2022-05-05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3504A1 (fr) 1998-10-08
US6186970B1 (en) 2001-02-13
EP1016351A1 (en) 2000-07-05
DE69726464T2 (de) 2004-09-09
CN1232369A (zh) 1999-10-20
DE69726464D1 (de) 2004-01-08
CN1142728C (zh) 2004-03-24
JPH10280209A (ja) 1998-10-20
EP1016351A4 (en) 2000-07-26
AU7872998A (en) 1998-10-22
JP3012819B2 (ja) 2000-02-28
KR20000048807A (ko) 2000-07-25
EP1016351B1 (en) 2003-11-26
TW388700B (en) 2000-05-01
HK1023041A1 (en)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598B1 (ko) 하지부 보호의료
KR101729500B1 (ko) 압축 의복 및 제조 방법
US5367708A (en) Wearing article for wearing in pressed relation to human body surface
KR100706631B1 (ko)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JP3870232B2 (ja) 衣料
KR101359442B1 (ko) 운동용 가랑이가 있는 의류
US20080083055A1 (en) Sports Garment
US10092048B2 (en) Garment
JP5526409B2 (ja) インナーウェア
KR101088802B1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3747121B2 (ja) 運動用被服
KR20090107989A (ko) 스포츠 타이핑 타이즈
JP2007023466A (ja) 運動用スパッツ
US11241340B2 (en) Assistive device for hamstring injury rehabilitation
JP2010077574A (ja) 下肢用衣料
JP6543186B2 (ja) レッグウェア
JP4557632B2 (ja) 被服
EP4248780A1 (en) Exercise tights
JP3666868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137666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78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79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76251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27477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80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