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300B1 - 토너용기캡,토너용기및프로세스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토너용기캡,토너용기및프로세스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300B1
KR100305300B1 KR1019970046681A KR19970046681A KR100305300B1 KR 100305300 B1 KR100305300 B1 KR 100305300B1 KR 1019970046681 A KR1019970046681 A KR 1019970046681A KR 19970046681 A KR19970046681 A KR 19970046681A KR 100305300 B1 KR100305300 B1 KR 10030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ap
filling opening
container
process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531A (ko
Inventor
야스오 후지와라
히로우미 모리나가
아쯔시 누마가미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043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39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5980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04925A/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8002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03G2221/1633Details concerning the developing proc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토너 수용 용기는 토너를 담아 두기 위한 토너 내장부와, 토너를 토너 내장부에 충전하기 위하여 토너 내장부의 측표면에 형성된 토너 충전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개구는 측표면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비원형 형상을 취한다.

Description

토너 용기 캡, 토너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Toner Container Cap, Toner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본 발명은 토너 용기 캡, 토너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클리닝 수단을 유닛으로서 갖는 것으로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이것은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과, 클리닝 수단을 유닛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또한 현상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를 유닛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들은 전자사진 복사 기계와, 전자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와, 팩시밀리 기계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보수 작업이 전문 수리공없이도 사용자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성이 뛰어나게 개선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형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은 현상제(이하 "토너")를 사용해서 현상된다. 토너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통해서 소비되기 때문에, 이것은 필요할 때마다 재충전되어야 한다. 토너의 재충전을 위해서 토너 저장 용기가 사용된다. 토너 용기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서 하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뿐만 아니라 복사기 등을 토너로 재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토너 용기에는 토너 용기 캡(이하 "용기 캡")으로 밀봉되는 토너 충전 개구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용기 캡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저밀도의 폴리에틸렌(이하 "LDPE")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용기 캡의 밀봉 벽과 용기 캡의 중앙부 사이로 연장된 여러개의 리브로 구성되며,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의 가장자리부와 접하게 될 때 토너 용기를 밀봉하는 밀봉 벽을 강화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토너 충전 개구를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는 토너 용기 캡과, 이러한 토너 용기 캡을 사용하는 토너 용기와, 이러한 토너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로부터 갑작스럽게 떼어지기 쉽지 않은 토너 용기 캡과, 이러한 토너 용기 캡을 사용하는 토너 용기와, 이러한 토너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용기의 한 측벽에 종래의 원형 형상을 사용하여 접힐 수 있고, 토너의 충전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가장 넓은 유효 개방 영역보다 크거나 또는 적어도 이 정도로 유효 개방 영역을 갖는 이러한 토너 충전 개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토너 용기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용기의 측벽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원형 토너 용기 캡과, 이러한 토너 용기 캡을 사용하는 토너 용기와, 이러한 토너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의 모서리와 결합하게 되는 그 측벽의 외부 측 상에 홈을 갖는 토너 캡과, 이러한 토너 용기 캡을 사용하는 토너 용기와, 이러한 토너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충전 개구의 유효 개방 영역이 증가되도록 그 형상이 하나의 측벽 상에 토너 충전 개구를 갖는 토너 용기의 측벽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원형 토너 용기 캡과, 이러한 토너 용기 캡을 사용하는 토너 용기와, 이러한 토너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과, 특성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을 고려하면 좀더 명확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용기의 주요 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충전 개구용 캡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용기의 주요 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충전 개구용 캡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용기의 주요 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충전 개구용 캡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충전 개구용 캡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8은 비교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용기의 주요 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비교 실시예에 따르는 토너 충전 개구용 캡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10은 토너 용기와, 토너 충전 시험용으로 사용되는 오거(auger)형 토너 충전 장치의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빔 프린터)의 측면도.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13은 도11에 도시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사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14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도15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16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17은 좌측에서 도시된 것으로서,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도18은 저부 우측(bottom right)에서 도시된 것으로서,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도19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의 토너 용기부의 사시도.
도20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의 현상 스테이션부(station)의 사시도.
도21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의 현상 유닛의 사시도.
도22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의 세척 유닛의 사시도.
도23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현상 스테이션부와, 토너 용기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판의 측면도.
도24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토너 용기부의 사시도.
도25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토너 용기부의 밀봉부의 수직 단면도.
도26은 토너 용기용 캡의 사시도.
도27은 도26에 도시된 토너 용기의 단면도.
도28은 도26에 도시된 토너 용기 캡의 평면도.
도29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요 구조의 토너 용기부의 토너 충전 개구의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30은 토너 충전 개구의 모서리와 결합하는 토너 용기 캡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31은 토너 용기부의 토너 용기 캡과 토너 충전 개구 사이의 결합부에 대한 단면도.
도32는 비교 실시예에서 토너 충전 개구의 모서리와 결합하는 토너 용기 캡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33은 토너 용기 캡의 다른 형상에 대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고정 수단
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
9 : 현상 수단
18 : 드럼 셔터 조립체
54 : 밀봉 부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토너 용기 캡과 토너 용기의 실시예, 및 그 비교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르는 토너 용기의 제1 실시예는 도1 및 도2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1 및 도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 용기는 주 구조체(11)의 한 측벽에 토너 충전 개구(12)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12)는 개구(12)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캡(13)으로 밀봉되고 또한 개구(12) 내로 압착된다.
개구(12)의 외형은 비원형이며, 이는 다양한 원호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합된 곡률을 형성하여 본질적으로 캡(13)의 외형은 사실상 동일한 복합적인 곡률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토너 용기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의 토너 용기는 사출 성형에 의해 내충격성이 큰 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후속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의 토너 충전 개구 캡은 사출 성형에 의해 낮은 밀도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은 캡 재료로서 낮은 밀도의 폴리에틸렌보다 더 바람직하다.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 내로 캡이 압착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캡 상에서보다 토너 충전 개구의 모서리 상에서 작용하는 것이 쉽기 때문이며, 또한 비원형 캡의 경우가 원형 캡의 경우보다 캡 상에 작용하는 응력의 평형(분포)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용기 부분(11), 즉 본 실시예에서 토너 충전 개구 부분을 제외한 토너용기 주 구조체의 용량은 691cc이다. 다른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의 실제 용기 부분(11)의 용량은 본 실시예의 실제 토너 부분의 용량과 동일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토너 용기는 전 실시예에 서술된 바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단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3 및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 충전 개구(22)의 외형은 직선과 이들을 연결시키는 원호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다시 말하면 캡(33)은 사실상 다각형이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용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따라서 단지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충전 개구(32)는 사실상 삼각형 형태이며, 캡(33)의 외형은 개구(32)와 거의 동일하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도5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용기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는 제3 실시예의 토너 충전개구(32)와 동일하며, 따라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너 용기는 제3 실시예의 토너 충전 개구(32)와 형상이 거의 동일한 캡(43)을 토너 충전 개구 내로 압착함으로써 밀봉된다. 상기 캡(43)은 캡(43)의 대응 측벽으로부터 내향으로 수직을 각각 연장되는 리브(44)를 구비한다.
상기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충전 개구(12, 22, 32)의 유효 면적은 본 발명 이전의 종래의 원형 토너 충전 개구(34)의 유효 개구 면적인 907.9㎟의 대략 95%인 860㎟이며, 부언하면 이는 본 발명 이전의 원형 토너 충전 개구(34)의 유효 개구 면적과 거의 동일하다. 용기 주 구조체(11, 21, 31)에 관한 한, 토너 충전 개구 부분을 제외하고는 치수 및 형상에 관해 동일하다.
비교 실시예 1
다음으로,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제1 비교 실시예의 토너 용기를 설명한다.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본 비교 실시예의 토너 용기 주 구조체의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 충전 개구(52)는 원형 개구, 즉 치수 및 형상 면에서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용기 주 구조체의 토너 충전 개구 부분의 변경된 형태(version)이다.
토너 충전 개구(52)의 유효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가 수행되었다 하더라도, 25 ㎜의 직경이 허용 가능하게는 가장 크고, 490.9㎟의 유효 면적이 최대이었다.
토너 충전 개구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1 비교 실시예의 용기 주 구조체(51)는 치수 및 형상 면에서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의 용기 주 구조체(11, 21, 31)와 동일하다.
[토너 충전 속도 시험]
토너는 전술한 실시예에 서술된 각 토너 용기 내로 실제 충전되었다. 토너 용기를 토너로 충전하기 위한 수단에 관해서는, (도10의) 오거(auger)형 충전 장치가 사용되었다. 상기 오거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충전 조건 1]
나사 회전수 : 800 rpm
설정 펄스 : 160,000 pulse
나사의 외부 직경 : 28 ㎜
나사 피치 : 32 ㎜
나사축의 직경 : 8 ㎜
충전 노즐의 내부 직경 : 30 ㎜
[충전 조건 2]
나사 회전수 : 400 rpm
* 나머지 사양은 제1 조건과 동일하다.
충전 시험에 사용된 토너는 평균 직경이 8.5 ㎛인 단일 요소 토너이었다. 충전된 토너의 양은 380 g이었다. 충전 시험의 결과는 아래의 표에 주어진다.
충전 조건 요구 시간 평가
실시예 1 1 3.6 초 문제없음
실시예 2 1 3.6 초 문제없음
실시예 3 1 3.6 초 문제없음
비교 실시예 1 1 불가능 노즐이 클로깅되어토너가 용융됨
비교 실시예 2 2 7.2 초 저속(2배)
상기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문제점이 없었고, 각 용기를 충전하는 데에 걸린 시간은 3.6초이다. 이들 결과는 종래의 원형 토너 충전 개구에 대한 결과와 거의 동일하다. 더욱이, 충전 노즐이 토너 충전 개구에 인접하여 클로깅(clogging)되었는 지의 여부, 조악한 입자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 또는 유사한 문제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가 검사되었으나, 특정 문제가 확인되지는 않았다.
반대로, 제1 및 제2 비교 실시예의 경우에는, 토너 충전 장치의 충전 노즐에 클로깅이 발생하여, 오거의 회전수가 800 rpm인 충전 조건 1 하에서 상기 토너 입자가 용융되게 된다. 따라서, 오거의 회전수는 클로깅이 발생하지 않는 회전수를 확인하기 위해 800 rpm으로부터 몇 회전수의 감소량(decrement)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졌다. 확인된 결과는 400 rpm에서 토너가 노즐을 클로깅하지 않고서 충전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의 발견을 확인하기 위해, 오거 회전수가 400 rpm인 충전 조건 2를 이용하여 다른 토너 충전 시험이 수행되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충전 시간의 2배인 7.2초가 충전에 소비되었고, 이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낙하 시험]
본 시험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기술된 토너 용기는 임의의 토너 용기의 캡이 느슨하게 되었는 지의 여부 또는 토너가 임의의 토너 용기로부터 누설되었는 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낙하되었다.
낙하 조건:
먼저, 각 용기는 90 ㎝의 높이로부터 낙하되었고, 높이는 이전 시험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각 용기는 코너로 한번, 모서리로 3번, 벽 표면으로 6번 낙하시킴으로써 시험되었다.
포장 상태:
각각 개별적으로 포장된 5개의 토너 용기가 각 실시예용으로 시험되었다.
상기 결과는 캡의 느슨해짐 및 토너 누설이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임의의 토너 용기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더욱이, 토너 용기가 110 ㎝의 높이로부터 낙하되었을 때, 토너 용기 캡과 토너 충전 개구의 모서리 사이의 결합부(joint)에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의한 토너 용기에서 토너 누설이 발생하였으나, 토너 누설 양은 실질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만큼 작았다. 제4 실시예에 의한 토너 용기의 경우, 110 ㎝의 높이로부터 낙하된 경우에도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전술한 충전 시험 및 낙하 시험의 결과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토너 용기가 토너 충전 효율과 토너 밀봉 효과의 관점에서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선행 실시예들에 따르면, 캡 치수로 환산한 제어 수준은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의 형상이 다각형일 때에 직선 부분을 갖지 않는 비원형일 때와 비교하여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토너 충전 개구가 실질적인 삼각형일 때, 토너 충전 개구는 용기 주 구조체의 측벽의 좁은 코너 영역으로까지도 확장될 수 있고, 그러므로 토너 충전 개구의 유효 영역은 종래의 토너 충전 개구의 것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충전 개구는 토너 충전시 효과적이라는 관점에서 종래의 둥근 토너 충전 개구보다 우세하다.
상술된 토너 충전 개구는 토너 충전 개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각형 캡으로 가압시킴으로써 밀봉된다. 또한, 다각형 캡에는 리브들이 제공되고, 각각의 리브들은 캡의 대응하는 밀봉 벽으로부터 내향으로 수직 돌출하여, 다각형 캡의 밀봉 벽들의 직선 부분들은 캡이 토너 충전 개구로 가압될 때 밀봉 벽들의 직선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만곡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따라서, 리브를 갖는 토너 용기 캡들은 토너 충전 개구 밀봉시 효과적인 수준으로 더 개선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토너 충전 개구가 상술된 토너 용기처럼 구조화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소형화, 토너 충전 효율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제작 효율의 관점에서 개선된다.
상술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는 토너 용기의 측벽의 형상에 대응하고, 그러므로 종래의 토너 충전 개구의 형상처럼 토너 충전 개구의 형상이 둥글 때 사용될 수 없는 토너 용기 벽의 부분은 토너 충전 효율을 개선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토너 용기 제작 효율 및 토너 용기 밀봉 효율은 둥근 토너 충전 개구를 갖춘 토너 용기의 것들과 동일하거나 초과할 수 있다.
다음, 상술된 토너 용기 캡 및 토너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다음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폭"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되는 방향과 교차(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하고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과 교차(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또한, "좌측" 또는 "우측"은 위에서 보았을 때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을 의미한다.
도1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이며 그의 일반적 구조를 도시하고, 도12는 그의 외부 사시도이며, 도13 내지 도18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도면이다. 특히, 도1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이고, 도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1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이고, 도1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고, 도17은 상부 좌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18은 하부 좌측방향에서 보았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다음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부" 표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에 있을 때 상방을 향하는 표면을 의미하고, "하부" 표면은 하방을 향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 >
먼저,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레이저 비임 프린터(A)가 설명될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을 또한 구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레이저 비임 프린터(A)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통해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록 시트, OHP 시트 및 직물)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다.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후에, 감광 드럼)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시킨다. 특히, 감광 드럼은 대전 수단의 사용으로 대전되고, 목표 화상의 화상 데이타로 조절된 레이저 비임은 광학 수단으로부터 감광 드럼의 대전된 주연 표면 상으로 주사되어, 그 위에 화상 데이타에 따라 잠상을 형성시킨다. 이 잠상은 현상 수단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한편, 시트 공급 카세트(3a)에 배치된 기록 매체(2)는 토너 형성과 동시에 픽업 롤러(3b), 이송 롤러 쌍(3c, 3d) 및 기록 롤러 쌍(3e)에 의해 역전되고 이송된다. 따라서, 전압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수단인 화상 전사 롤러(4)에 가해지고, 이에 의해서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다. 이 후에, 토너 화상이 그 위에 전사된 기록 매체(2)는 안내 컨베이어(3f)에 의해 정착 수단(5)으로 이송된다.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c)와 가열기(5a)를 포함하는 정착 롤러(5b)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2)가 정착 수단(5)을 통과할 때 기록 매체(2)에 열과 압력을 가해서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 화상이 기록 매체(2)에 정착되도록 한다. 이 후에, 기록 매체(2)는 계속 이송되고, 방출 롤러 쌍(3q, 3h, 3i)에 의해 역전 통로(3j)를 통해 방출 트레이(6)로 방출된다. 방출 트레이(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4)의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선회가능한 플래퍼(flapper: 3k)가 기록 매체(2)를 역전 통로(3j)를 통과함이 없이 방출시키도록 방출 롤러 쌍(2m)과 협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픽업 롤러(3b), 이송 롤러 쌍(3c, 3d), 기록 롤러 쌍(3e), 안내 컨베이어(3f), 방출 롤러 쌍(3g, 3h, 3i) 및 방출 롤러 쌍(3m)은 이송 수단(3)을 구성한다.
도13 내지 도18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다른 한편으로, 감광층(7e)을 갖는 감광 드럼(7)은 감광 드럼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에 전압을 가함으로써 자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타로 조절된 레이저 비임은 광학 시스템(1)으로부터 노출 개구(1e)를 통해 감광 드럼(7) 상에 투사된다. 따라서, 형성된 잠상은 토너와 현상 수단(9)의 사용으로 현상된다. 특히,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도록 감광 드럼(7)과 접촉하여 배치되고, 감광 드럼(7)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현상 수단(9)은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되도록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영역(현상되고자 하는 영역)에 토너를 제공한다. 광학 시스템(1)은 레이저 다이오드(1a), 다각형 미러(1b), 렌즈(1c), 및 반사 미러(1d)로 구성된다.
현상 수단(9)에서, 토너 용기(11A)에 포함된 토너는 토너 공급 부재(9b)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9c)로 운반된다. 현상 롤러(9c)는 고정 자석을 포함한다. 마찰 전기 대전 상태의 토너 층이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 상에 형성되도록 회전된다. 감광 드럼(7)의 화상 현상 영역에는 이 토너 층으로부터 토너가 제공되고, 토너는 잠상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상에 전사되어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한다.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조절하고 토너를 마찰 전기식으로 대전시킨다. 현상 롤러(9c)에 인접하여, 토너 교반 부재(9e)는 화상 현상 챔버 내의 토너를 순환식으로 교반시키도록 회전식으로 배치된다.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화상 전사 롤러(4)에 토너 화상의 것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전압을 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 후, 감광 드럼(7) 상의 잔류 토너는 세척 수단(10)에 의해 제거된다. 클리닝 수단(10)은 감광 드럼(7)과 접촉식으로 배치된 탄성 클리닝 블레이드(10a)로 구성되고, 감광 드럼(7) 상의 잔류하는 토너는 탄성 클리닝 블레이드(10a)에 의해 제거되고, 폐토너 수집기(10b)에 수집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하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처음에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용기(토너 저장부)(11A)를 포함하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이 화상 현상 롤러(9c)와 같은 화상 현상 수단(9)을 수납하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연결되고, 그후 감광 그럼(7)과 클리닝 블레이드(10a)와 같은 클리닝 수단(10)과, 대전 롤러(8)가 내부에 장착되는 클리닝 챔버 프레임(13)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하기 위해 선행하는 2개의 프레임(11, 12)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4) 내로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화상 데이타로 변조된 광 비임이 감광 드럼(7)으로 투사되는 노출 개구와, 감광 드럼(7)이 기록 매체(2)와 대향하는 전사 개구(13n)가 제공된다. 노출 개구(1e)는 클리닝 챔버 프레임(11)의 일부분이고, 전사 개구(13n)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클리닝 챔버 프레임(13) 사이에 위치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의 구조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이하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처음에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연결되고, 그후 클리닝 챔버 프레임(13)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하기 위해 선행하는 2개의 프레임(11, 12)과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이 하우징 내에, 전술한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현상 수단(9), 클리닝 수단(10) 등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하기 위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수용 수단 내로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 구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클리닝 챔버 프레임(13)을 연결함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13 및 도19를 보면, 토너 챔버 프레임(11) 내에, 토너 공급 부재(9b)가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에, 화상 현상 롤러(9c) 및 현상 블레이드(9c)가 장착되고, 현상 롤러(9c)에 인접하여 교반 부재(9e)가 회전식 장착되어 화상 현상 챔버 내의 토너를 순환식으로 교반한다. 도13 및 도20을 보면,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에, 로드 안테나(9h)가 장착되고, 현상 롤러(9c)에 사실상 평행하게 현상 롤러(9c)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설치된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에 의해) 함께 용접되어 (도21의) 화상 현상 유닛(D)을 구성하는 제2 프레임을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화상 현상 유닛에는 감광 드럼(7)이 장시간 빛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거될 때 또는 그후 감광 드럼(7)이 이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광 드럼(7)을 덮는 드럼 셔터 조립체(18)가 제공된다.
도16을 보면, 드럼 셔터 조립체(18)는 도13에 도시된 전사 개구(13n)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셔터 커버(18a)와, 셔터 커버(18a)를 지지하는 링크 부재(18b, 18c)들을 갖는다. 기록 매체(2)가 운반되는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서 우측 링크 부재(18c)는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수단 기어 홀더(40)의 구멍(40g)에 끼워지고, 좌측 링크 부재(18c)의 한 단부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하부(11b)의 보스(11h)에 끼워진다. 좌측 및 우측 링크 부재(18c)의 다른 단부는 기록 매체 운반 방향에 대한 상류측에서 셔터 커버(18a)의 대응 길이방향 단부에부착된다. 링크 부재(18c)는 금속 로드로 만들어진다. 실제로 좌측 및 우측 링크 부재(18c)는 셔터 커버(18a)를 통해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좌측 및 우측 링크 부재(18c)는 단일 부품 링크 부재(18c)의 좌측 및 우측 단부이다. 링크 부재(18b)는 단지 셔터 커버(18a)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만 제공된다. 링크 부재(18b)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18c)가 셔터 커버(18a)에 부착되는 위치의, 기록 매체 운반 방향에 대해 하류측에서 셔터 부재(18a)에 부착되고, 링크 부재(18b)의 다른 단부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다우얼(dowel: 12d) 주위에 끼워진다. 링크 부재(18b)는 합성 수지로 성형된다.
상이한 길이의 링크 부재(18b, 18c)들은 셔터 커버(18a)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함께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로 삽입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멀리 돌출하는 링크 부재(18c)의 일부분(18c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14)의 카트리지 수용 공간(S)의 측벽상에 제공되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 접촉 부재와 접촉하게 되고, 셔터 커버(18a)를 개방하기 위해 드럼 셔터 조립체(18)를 작동시킨다.
셔터 커버(18a) 및 링크 부재(18b 및 18c)로 구성된 드럼 셔터 조립체(18)는 다우얼(12d) 주위에 끼워진 도시되지 않은 토션 코일 스프링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부하를 받는다. 스프링의 한 단부는 링크 부재(18b)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압력이 셔터 커버(18a)가 전사 개구(13n)를 덮도록 하는 방향으로 발생되게 한다.
다시 도13과 도22를 보면, 클리닝 수단 프레임(13)에는 감광 드럼(7), 대전롤러(8) 및 클리닝 수단(10)의 여러 부품들이 끼워져 (도22의) 세척 유닛(C)으로서의 제1 프레임을 형성한다.
그후 전술한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은 연결 부재(22)의 사용에 의해 상호 피벗가능 방식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한다. 더 자세하게는 도21을 보면,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양 길이방향(현상 롤러(9c)의 축방향) 단부에는 아암부(19)가 제공되고, 아암부에는 현상 롤러(9c)에 평행한 둥근 구멍(20)이 제공된다. 한편 아암부(19)를 수용하는 리세스부(21)가 클리닝 챔버 프레임의 각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다(도22 참조). 아암부(19)는 이 리세스부(21)에 삽입되고, 연결 부재(22)는 클리닝 챔버 프레임(13)의 장착 구멍(13e) 내로 가압되고, 아암부(19)의 단부 부분의 구멍(20)을 통해 위치되고, 격벽(13t)의 구멍(13e)으로 더욱 가압되어, 화상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이 연결 부재(22)에 대해 서로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게 한다.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의 연결시 압축 코일 스프링(22a)이 2개의 유닛들 사이에 제공되고, 코일 스프링의 한 단부는 아암부(19)의 기부 부분으로부터 직립한 도시되지 않은 다우얼 주외에 끼워지고, 다른 단부는 클리닝 챔버 프레임(13)의 리세스부(21)의 상부벽에 대해 가압된다. 그결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현상 롤러(9c)를 감광 드럼(7)을 향해 하향 가압되도록 신뢰성있게 유지하기 위해 하향 가압된다. 더 자세하게는 도21을 보면, 현상 롤러(9c)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롤러(9i)가 현상 롤러(9c)의 각 길이방향 단부에 부착되고, 이 롤러(9i)는 감광 드럼(7)상에 가압되어,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에 소정의 틈(약 300 μm)을 유지한다. 클리닝 챔버 프레임(13)의 리세스부(21)의 상부면은 경사져서,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C)이 결합될 때 압축 코일 스프링(22a)이 점진적으로 압축되게 한다. 즉 화상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은 연결 부재(22)에 대해 서로를 향해 피벗 가능하고,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및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 사이의 위치 관계(틈)는 압축 코일 스프링(22a)의 탄성력에 의해 정확하게 유지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22a)이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아암부(19)의 기부 부분에 부착되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22a)의 탄성력은 아암부(19)의 기기 부분 이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압축 코일 스프링(22a)을 위한 전용 스프링 장착부가 제공될 경우에는 스프링 시트의 인접부는 감광 드럼(7) 및 현상 롤러(9c) 사이의 소정의 틈을 정확히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보강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의 압축 코일 스프링(22a)의 배치에서는 아암부(19)의 기부 부분이 원래 강도 및 강성이 크기 때문에 스프링 시트의 인접부,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아암부(19)의 기부 부분의 인접부를 보강할 필요가 없다.
(토너 챔버 프레임)
도13, 도15, 도17, 도19, 도23, 도24를 참고하여, 토너 챔버 프레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3은 토너 시일이 용접되기 전의 상태에서 토너 챔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4는 토너가 장착된 후의 토너 챔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을 참고하면, 토너 챔버 프레임(11)은 2개의 부분 즉, 상부(11a)와 하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도11을 참고하면, 상부(11a)는 상향으로 확장되어서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의 광학 시스템의 좌측을 채우게 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용량은 화상 형성 장치(A)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증가될 수 있다. 도13, 도14, 도17을 참고하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11a)는 상부(11a)의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된 리세스부(17)를 구비하여서 파지부 역할을 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자는 상부(11a)의 리세스부(17)와 하부(11b)의 하향 대향 측면을 파지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파지하여서 다룰 수 있게 된다. 하부(11b)의 하향 대향면 상에서 하부(11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1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조작자의 손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13을 참고하면, 상부(11a)의 플랜지(11a1)는 하부(11b)의 가장자리 융기 플랜지(11b1)와 정렬되고, 플랜지(11a1)는 하부(11b)의 가장자리 융기 플랜지(11b1) 내에 삽입 장착되므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 및 하부의 벽이 용접면(U)에서 완전히 들어맞게 되고, 이에 따라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11a) 및 하부(11b)는 초음파 적용에 의해 용접 리브를 융접시킴으로써 서로 용접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11a) 및 하부(11b)를 일체화시키는 방법을 초음파 용접으로 한정시킬 필요는 없다. 가열 또는 강화 진동에 의해 용접할 수도 있으며 아교로 서로 접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하부(11b)에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용접될 때에 상부(11a)와 하부(11b)를 서로 정렬되게 유지시키는 플랜지(11a1) 외에도 계단형 부분(11m)이 마련된다. 계단형 부분(11m)은 개구(11i) 위에 위치하며 플랜지(11a1)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다. 계단형 부분(11m)과 그 인접부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11a)와 하부(11b)가 일체로 되기 전에, 토너 공급 부재(9b)가 하부(11b) 안으로 조립되고, 커플링 부재(11e)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측벽의 구멍(11e1)을 통과하여 토너 공급 부재(9b)의 단부에 부착된다. 구멍(11e1)은 하부(11b)의 길이 방향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 위치되고, 구멍(11e1)을 구비하는 측판에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삼각형 형상의 토너 충전 개구(11d)도 마련된다. 토너 충전 개구(11d)의 삼각형 림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한 2개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가장자리이며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11a)와 하부(11b) 사이의 결합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와, 제1 가장자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2 가장자리와, 하부(11b)의 경사진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대각선 가장자리인 제3 가장자리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자면, 토너 충전 개구(11d)는 가능한 한 크게 되면서 구멍(11e1) 옆에 위치된다. 따라서, 토너 충전 개구(11d)는 최대화 될 수 있으므로 토너를 충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화 된다. 이어서, 도19를 참고하면, 토너 챔버 프레임(11)에는 개구(11i)가 마련되는데, 이 개구를 통해서는 토너가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으로 공급되고 또한 이 개구(11i)를 밀봉하기 위해서는 시일(이하에서 설명함)이 용접된다. 따라서, 토너가 토너 충전 개구(11d)를 통해서 토너 챔버 프레임(11) 안으로 충전되고 이어서 토너 충전 개구(11d)가 토너 밀봉 캡(11f)으로 밀봉되어서 토너 유닛(J)이 완성된다. 토너 밀봉 캡(11f)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되어서 토너 충전 개구(11d) 안으로 가압되거나 혹은 접착되므로 벗겨지는 일이 없다. 이어서,토너 유닛(J)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에 초음파 용접에 의해 용접되어서 화상 현상 유닛(D)을 형성하게 된다. 토너 유닛(J)과 화상 현상 유닛(D)을 일체화 하는 수단은 초음파 용접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2개 유닛 재료의 탄성을 이용하는 스냅 장착 또는 접착으로 할 수도 있다.
도13을 참고하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하부(11b)의 경사 표면(K)은 θ의 각도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 내의 토너는 바닥의 토너가 소모됨에 따라서 저절로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치 주 조립체(14)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경사 표면(K)과 수평선(Z) 사이에 형성된 각도 θ는 장치 주 조립체(14)가 수평으로 놓인 경우에 약 65도이다. 하부(11b)에는 외향 볼록부(11g)가 마련되므로 토너 공급 부재(9b)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토너 공급 부재(9b)의 회전 범위의 직경은 약 37mm이다. 볼록부(11g)의 높이는 경사 표면(K)의 가상 연장부로부터 약 0 내지 10mm 정도이다. 이러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볼록부(11g)의 바닥면이 경사 표면(K)의 가상 연장부를 넘어서면 토너는 경사 표면(K)의 상부로부터 저절로 미끄러져 내려와서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안으로 공급되지 않고, 오히려 부분적으로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안으로 공급되지 못하여서 경사 표면(K)과 외향 볼록부(11g)가 접하는 구역에 모이게 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경우에는, 토너가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안으로 신뢰성 있게 공급된다.
토너 공급 부재(9b)는 직경이 약 2mm인 강봉으로 형성되어 크랭크 축의 형태가 된다. 토너 공급 부재(9b)의 한 단부를 도시하고 있는 도19를 참고하면, 토너 공급 부재(9b)의 저널들 중 어느 한 저널(9b1)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에 위치한 구멍(11r) 내에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개구(11i)에 인접하게 삽입 장착된다. 또 다른 저널은 커플링 부재(11e)에 고정된다(여기서 저널이 커플링 부재(11e)에 고정되는 것은 도19에는 도시되지 않았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 챔버 프레임(11) 부분의 하부벽에 외향 볼록부(11g)를 토너 공급 부재(9b)를 위한 회전 공간으로서 마련하게 되면 비용의 상승이 없이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안정된 토너 공급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3, 도19, 도25를 참고하면, 토너가 토너 챔버 프레임(11) 부분으로부터 현상 챔버 프레임 부분으로 공급되도록 통과하는 개구(11i)는 토너 챔버 프레임(11) 부분과 현상 챔버 프레임(12) 부분 사이의 결합부에 위치된다. 개구(11i)는 리세스 형성 표면(11k)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결국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플랜지의 상부(11j)와 하부(11j1)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상부(11j)의 길이 방향 외부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11j1)의 길이 방향 외부 (바닥) 가장자리 각각에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여러 개의 홈(11n)이 마련된다. 리세스 형성 표면(11k) 위의 플랜지의 상부(11j)는 문의 형태로 되어 있고, 플랜지의 하부(11j1)는 리세스 형성 표면(11k)의 표면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도25를 참고하면, 홈(11n)의 바닥 표면(11n2)의 평면은 리세스 형성 표면(11k)의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을 향하는) 외향 측면 상에 있다. 그러나,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플랜지는, 플랜지의 상부 및 하부(11j)가 동일 평면에 있고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부품처럼 개구(11i)를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플랜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20을 참고하면, 숫자 영문자 도면 부호 12u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평탄 표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것인데, 그 평탄 표면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대면한다. 평탄 표면(12u)과 평행을 이루며 픽쳐 프레임처럼 평탄 표면(12u)의 4개 가장자리 모두를 둘러싸는 플랜지(12e)는 평탄 표면(12u)으로부터 약간 리세스된 높이에 마련된다. 플랜지(12e)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 안으로 삽입 장착되는 설부(12v)가 마련된다. 설부(12v)의 상부 표면에는 초음파 용접을 위한 환형 릿지(12v1, 도25)가 마련된다. 여러 구성 부재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으로 조립된 후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설부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 안에 삽입 장착되고, 2개의 프레임(11, 12)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설부(12v)와 홈(11n)을 따라서 서로 용접된다.
도24를 참고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쉽게 찢어지는 커버 필름(51)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개구(11i)를 밀봉하도록 리세스 형성 표면(11k)에 접착되고, 이 커버 필름은 리세스 형성 표면(11k) 상에서 개구(11i)의 4개 가장자리를 따라서 토너 챔버 프레임(11)에 접착된다. 커버 필름(51)을 찢어냄으로써 개구(11i)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커버 필름(51)에 접합되는 절취 테이프(52)가 마련된다. 커버 테이프(52)는 개구(11i)의 길이 방향 단부(52b)로부터 이중으로 접혀 있고, 단부(52b)에 대향되는 단부에서는 펠트편(도20 참조)과 같은 탄성 밀봉 부재(54)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대향 표면 사이를 통과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약간 연장된다. 약간 튀어나온 절취 테이프(52)의 단부(52a)는 손으로 파지되는 당김 탭(11t)에 부착된다(도16, 도19, 도24 참조). 당김 탭(11t)은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당김 탭(11t)과 토너 챔버 프레임(11) 간의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얇으므로 당김 탭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쉽게 찢어낼 수 있다. 밀봉 부재(54)의 주연 영역을 제외한 표면은 마찰 계수가 작은 합성 수지 필름 테이프(55)로 덮인다. 테이프(55)는 밀봉 부재(54)에 접착된다. 또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길이 방향 단부들 중 다른 단부에 위치한 평탄 표면(12e) 즉, 탄성 밀봉 부재(54)가 위치하는 위치에 대향된 단부는 탄성 밀봉 부재(56)로 덮여서 평탄 표면(12e)에 접착된다 (도20 참조).
탄성 밀봉 부재(54, 56)는 플랜지(12e)의 전체 폭에 대해 대응 종방향 단부에서 플랜지(12e) 상에 접착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연결될 때, 탄성 밀봉 부재(54, 56)는 설부(12b)와 중첩되어 플랜지(11j)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리세스 표면(11k)을 둘러싸는 플랜지(11j)의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를 정확히 덮는다.
또한,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해 이들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플랜지(11j)에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원통형 다우얼(dowel)(12w1) 및 사각 다우얼(12w2)과 각각 결합되는 원형 구멍(11r) 및 사각 구멍(11q)이 제공된다. 둥근 구멍(11r)은 다우얼(12w2)과 타이트하게 결합되며, 사각 구멍(11q)은 종방향으로는 타이트하게 결합되면서 종방향으로는 다우얼(12w2)과 헐겁게 결합된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이들이 합체되는 공정 이전에 복합 부품으로써 독립적으로 조립된다. 그 다음 이들은 이하의 방식으로 유닛으로 조립된다. 첫째,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원통형 위치결정 다우얼(12w1) 및 사각 위치결정 다우얼(12w2)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위치결정 둥근 구멍(11r) 및 위치결정 사각 구멍(11q) 내로 결합되며,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설부(12v)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 내에 위치된다. 그 다음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은 서로를 향해 압박된다. 결과적으로, 밀봉 부재(54, 56)들은 접하게 되어 압박되고, 플랜지(11j)의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와 동시에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평면(12u)의 각 종방향 단부에서 스페이서로서 위치된 리브형 돌출부(12z)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플랜지(11j)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리브형 돌출부(12z)는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일체로 성형되며, 종방향에 대해 파열 테이프(52)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파열 테이프가 대향 돌출부(12z)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상술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해 압박되면서, 초음파 진동이 설부형 부분(12v) 및 홈(11n) 사이에 가해진다. 따라서, 각이진 릿지(12v1)는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어 홈(11n)의 하부와 함께 용융된다. 따라서,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리브형 돌출부(12z) 및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홈(11n)의 림 부분(11n1)은 서로 접하여 기밀로 유지되며, 화상현상 챔버 프레임(12)의 평면(12u)과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리세스 표면(11k) 사이에 공간을 남긴다. 상술된 커버 필름(51) 및 파열 테이프(52)는 이 공간 내에 끼워진다.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토너 챔버 프레임(11) 내에 저장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개구(11i)는 밀봉되지 않아야 한다. 이는 이하의 방식으로 달성된다. 첫째,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연장된 파열 테이프(52)의 단부 부분(52a, 도16)에 부착된 당김 탭(11t)은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넉넉하게(loose) 절단 또는 파단되며, 따라서, 작업자의 손에 의해 당겨진다. 이에 의해, 커버 필름(51)이 파열되어 개구(11i)를 개봉하여, 토너가 토너 챔버 프레임(11)으로부터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커버 필름(52)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당겨진 후, 카트리지(B)의 종방향 단부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플랜지(11j)의 대응 종방향 단부에 위치된 탄성 시일(54, 56)에 의해 밀봉되어 유지된다. 탄성 밀봉 부재(54, 56)가 육면형을 유지하면서 두께 방향으로만 변형(압박)되기 때문에, 이들은 매우 효율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밀봉 유지할 수 있다.
화상 현상 프레임(12)을 향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측면 및 토너 챔버 프레임(11)을 향한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측면은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파열 테이프(52)는 커버 필름(51)을 파열시키기에 충분히 강한 힘을 파열 테이프(52)에 단순히 가함으로써 두 개의 프레임(11, 12) 사이로부터 매끄럽게 당겨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이 유닛으로 조립될 때, 초음파를 사용한 용접 방법이 각진 릿지(12v1)를 용융시키는 마찰열을 발생시키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마찰열은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화상 현상 챔버(12)에 열 응력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프레임은 이러한 응력 때문에 변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 프레임(11)의 홈(11n) 및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의 설부(12v)는 이들의 거의 전체 길이에 대해 서로 결합된다. 즉, 두 개의 프레임(11, 12)이 유닛으로서 조립될 때, 용접부 및 인접부는 보강되며, 따라서 두 개의 프레임은 열 응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토너 챔버 프레임(11) 및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용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롤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된다.
도13은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대체로 수직 단면도로서, 토너 챔버 프레임(11)과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 사이의 경계부 및 그 인접부를 도시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챔버 프레임(11)은 도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토너 용기(11A)에 담긴 토너는 단일 성분 토너(single component toner)이다. 이 토너가 개구(11i)를 향해 효과적으로 자유 낙하할 수 있도록 토너 챔버 프레임(11)에는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연장된 경사 표면(K, L)이 제공된다. 경사 표면(L)은 개구(11i) 위에 있으며, 경사 표면(K)은 개구(11i)로부터 볼 때 (토너 챔버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후방에 있다. 경사 표면(L, K)은 각각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 및 하부(11a, 11b)의 일부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에 설치된 후, 경사 표면(L)은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되며, 경사 표면(K)은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되며, 화상 현상 챔버 프레임(12)과 토너 챔버 프레임(11) 사이의 경계부에 수직한 라인(m)과 경사 표면(K) 사이의 각도(θ3)는 약 20도 내지 40도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토너 챔버 프레임(11)의 상부(11a)의 형상은, 토너 프레임(11)의 상부 및 하부(11a, 11b)가 유닛으로 조립된 후 경사 표면(K, L)이 상술된 각도를 각각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를 담는 이러한 토너 용기(11A)에 의해 개구(11i)를 향해 토너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토너 용기 캡)
다음, 토너 용기 캡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26, 도27 및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용기 캡(11)의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 캡(11f)의 형상은 대체로 삼각형이다. 이러한 토너 용기 캡(11f)은 밀봉부인 홈 부분(A1), 볼록부(A2), 볼록부(A2)의 경사 표면(A3), 하부벽(A4), 보강 리브(A5), 노브 부분(A6), 경사 표면(A7), 가장자리 부분(A8), 경사진 내부 표면(A9) 등을 갖는다. 홈 부분(A1)은 도면의 상부면 상의 측벽 표면(A1a)과, 도면의 우측면 상의 하부 표면(A1b)과, 도면의 하부면 상의 측벽 표면(A1c)을 포함한다. 도2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 캡(11f)의형상은 정점 부분(A10)에서 둥글다. 노브 부분(A6)은 토너 용기 캡(11f)이 토너 용기(11A)의 토너 충전 개구(11d)에 결합될 때 토너 용기 캡(11f)을 집어들도록 조립 로보트의 흡입 컵에 의해 흡입되는 곳이다.
홈 부분(A1)의 하부 표면(A1b)의 폭(h1)은 도29에서 도시된 토너 용기(11A)의 주 구조체(11A1)의 측벽들 중 하나에 형성된 토너 충전 개구(11d)의 가장자리 부분(B1)의 두께(h3) 보다 작게 되어, 토너 용기 캡(11f)이 토너 충전 개구(11d)에 결합될 때 토너 충전 개구(11d)의 가장자리 부분(B1)이 토너 용기 캡(11f)의 홈 부분(A1) 내로 박히도록 압박되면서 토너 용기(11A)가 토너 용기 캡(11f)에 의해 밀봉된다.
볼록부(A2)의 높이(d, 도27)는, 토너 충전 개구(11d)의 가장자리 부분의 길이가 홈 부분(A1) 내로 박히도록 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0.4 mm 내지 1.0 mm의 범위 내에, 보다 양호하게는 0.45 mm 내지 0.9 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5 mm 내지 0.8 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실제 높이(d)는 0.7 mm이다.
볼록부(A2)의 경사 표면(A3)은, 토너 용기 캡(11f)이 토너 용기(11A)를 덮도록 토너 충전 개구(11d) 내로 부드럽게 압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 경사 표면(A3)의 각도(θ)는 3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 90도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도 이상 8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 표면(A3)의 실제 각도는 70도이다.
토너 용기 캡(11f)의 하부벽(A4)의 두께(h2)는 토너 용기 캡(11f)의 벽의 기본 두께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용기 캡(11f)의 벽의 기본 두께는 1.5 mm이고, 하부벽(A4)의 두께(h2)는 1.0 mm이다. 이러한 구조는 토너 용기(11A)의 캐핑(capping) 중에 발생하는 토너 용기 캡(11f)의 변형을 최소화하게 되며, 이에 의해 홈 부분(A1)의 배면에 발생하기 쉬운 토너 용기 벽의 크리프 변형(creeping)이 방지될 수 있다.
토너 용기 캡(11f)을 토너 충전 개구(11d)에 끼워 맞춘 후의 직선벽의 굽힘 및 밀봉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 리브(A5)가 토너 용기 캡(11f)의 직선벽마다 2개 이상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직선벽에 2개의 보강 리브(A5)가 마련된다. 보강 리브(A5)는 토너 용기 캡(11f)의 중심에 마련된 노브 부분(A6)으로부터 토너 용기 캡의 주연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보강 리브(A5)의 높이(h4)는 1.0 mm 이상 3.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m 이상 2.5 mm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mm 내지 2.2 mm의 범위에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0 mm이다.
경사 표면(A7) 및 경사진 내부 표면(A9)이 마련되어 토너 용기(11A)의 캐핑 중에 발생하는 토너 용기 캡(11f)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또 홈 부분(A1)의 배면에 발생하기 쉬운 크리프 변형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토너 충전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을 토너 용기 캡(11f)의 홈 부분 내에 박아넣음 결합으로 토너 용기를 밀봉하는 경우 캐핑 후의 밀봉성의 안정성 및 크리프 방지를 감안해서 토너 용기 캡(11f)의 재료로는 이하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우선, 재료의 경도와 관련해서 (JIS-K7202를 기초로 해서 측정된) 로크웰 경도계에서의 토너 용기 캡(11f)의 경도가 토너 용기(11A)의 본체(11A1)의 경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 캡(11f)의 경도는 R30 내지 R8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R40 내지 R50의 범위 내에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R45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용기 캡(11f)의 경도가 R45이다. 토너 용기(11A)의 본체(11A1)의 경도는 R80 내지 R150의 경도 범위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R100 내지 R140의 범위 내에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R120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R125이다.
(JIS-K7203을 기초로 해서 측정된) 굽힘에 대한 탄성 계수 면에서, 토너 용기 캡(11f)은 본체(11A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 캡(11f)의 굽힘 탄성 계수는 800 kg/cm2이상 10,00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 kg/cm2이상 9,00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 kg/cm2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1700 kg/cm2이다. 본체(11A1)의 굽힘 탄성 계수는 20,000 kg/cm2이상 30,00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00 kg/cm2이상 28,00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00 kg/cm2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24,500 kg/cm2이다.
캐핑 후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장 강도 시험에서 토너 용기캡(11f)용 재료의 (JIS-K7113을 기초로 해서 측정된) 항복점은 용기 본체(11A1)용의 재료의 항복점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 캡(11f)의 항복점은 80 kg/cm2이상 20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kg/cm2이상 19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kg/cm2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120 kg/cm2이다.
용기 본체(11A1)의 항복점으로는 250 kg/cm2이상 50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kg/cm2이상 400 kg/cm2이하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 kg/cm2이상 329 kg/cm2이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270 kg/cm2이다.
토너 용기 캡(11f)의 구체적인 재료로는 예를 들어 저농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된다. 용기 본체(11A1)의 재료로는 토너 용기의 운반 중에 토너 용기가 받기 쉬운 충격을 감안해서 HIPS가 채택된다. 양 토너 용기 캡(11f) 및 용기 본체(11A1)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29를 참조하면, 용기 본체(11A1)의 토너 충전 개구(11d)에는 가장자리 부분(B1), 및 캐핑 중에 삽입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캡 안내부(B2)가 마련된다. 토너 충전 개구(11d)의 상기 부분들은 용기 본체(11A1)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가장자리 부분(B1)은 모떼기된 상부 모서리 부분(B1a) 및 (0.3 이하로) 라운딩된하부 모서리 부분(B1b)을 포함한다. 또한, 도30을 참조하면, 토너 용기 캡(11f)의 하방측의 홈 부분(A1)의 측벽 부분(A1c)에는 직선 경사 표면(A1c)이 마련되며, 이에 의해 토너 용기(11A)의 밀봉성이 크게 향상되어 용기 본체(11A1)의 가장자리 부분(B1)의 하부 모서리 부분(B1b)이 상기 경사 표면(A1c) 내에 견고하게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모서리 부분(B1b)의 라운딩은 0.3으로 설정된다.
또한, 도30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K는 용기 캡(11f)을 용기 본체(11A1) 내로 강제로 들어가게 한 거리(바이트)를 가리킨다. 이 거리(K)는 0.2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mm 이상 0.9 mm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mm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0.7 mm이다.
토너 용기(11A)의 밀봉 상태는 토너 용기 캡(11f)을 용기 본체(11A1)의 토너 충전 개구(11d) 내에 강제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발생되며, 토너 충전 개구(11d)와 토너 용기 캡(11f)의 의도하지 않은 부분간의 접촉으로 인해 캐핑된 토너 용기(11A)의 밀봉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홈 부분(A1)과 토너 충전 개구(11d)는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핑 후에 홈 부분(A1)의 가장자리 부분(A1b)과 하부벽(A1b) 사이에 간극(G)을 남겨 두도록 설계된다. 이 간극(G)은 0.1 mm 이상 2.0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0.2 mm로 설정된다.
또한, 도31을 참조하면, 캡 안내부(B2)와 토너 용기 캡(11f) 사이의 간극(S)이 0.2 mm 이상 2.0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0.3 mm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토너 용기 캡(11f)과 토너 충전 개구(11d)의 주요부 치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도27, 도28 및 도29).
용기 캡의 제1 측벽 길이 (11) : 39.14 (mm)
용기 캡의 제2 측벽 길이 (12) : 49.56 (mm)
용기 캡의 제3 측벽 길이 (13) : 50.41 (mm)
용기 캡의 높이 (14) : 4.50 (mm)
용기 캡 가장자리부의 폭 (15) : 2.60 (mm)
용기 캡 안내부의 높이 (16) : 2.80 (mm)
상기 사양에 따라 형성된 용기 본체(11A1)들은 크리프 변형과 토너 용기 캡을 끼워 맞추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시험하는 캐핑 시험을 받았다. 이들은 또한 누출 방지를 시험하는 운반 시험과, 토너 용기 캡(11f)을 토너 충전 개구(11d)로부터 제거하는 데 소모되는 응력의 양을 판정하는 시험을 받았다.
그 시험이 수행된 상태는 다음과 같다.
(1) 캐핑 시험:
토너 용기(11A)를 토너 용기 캡(11f)으로 밀봉하기 위해 160 kgf의 압력을 가하면서 가압 시간(토너 용기 캡(11f)을 토너 충전 개구(11d) 내에 완전히 삽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토너 용기 캡(11f)과, 용기 본체(11A1)의 토너 충전 개구(11d)의 크리프 변형 여부를 점검하였다. 0.2초 이하의 가압 시간은 자동 토너 충전 장치에 만족스러운 것으로 생각된다.
(2) 운반 시험:
토너 용기를 8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460 g의 자성 단일 성분으로 충전하고 100 cm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되게 해서 6개의 표면과 4개의 코너의 각각에떨어뜨렸다.
(2) 제거 응력 시험:
응력 측정 헤드를 용기 본체(11A1)로부터 토너 충전 개구를 향해 100 mm/min의 속도로 밀어 넣고 토너 용기 캡(11f)이 토너 충전 개구(11d)로부터 제거된 순간 최대 응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토너 용기 캡을 토너 충전 개구 내로 가압하는 거리, 볼록부 각도, 볼록부 높이, 로크웰 경도 등이 상이한 총 13개의 용기 본체 구조체가 제조되었다. 성능 비교를 위해, 저농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해서 사출 성형의 의해 도32에 도시된 원형 토너 용기 캡(11f')을 제조하였다. 이 비교 토너 용기 캡(11f')의 경우에, 토너 충전 개구(11d')의 유효 면적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토너 충전 개구(11d)와 동일하였다. 굽힘 탄성 계수는 2000 kg/cm2이었고, 리브(C1)의 높이는 1.75 mm였으며, 한 측면의 래칭부(C2)는 0.15mm였다.
비교 결과가 이하의 표 2에 주어져 있다. 표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것들은 밀봉 성능에 있어서 전혀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용기 주구조체(11A1)와 조합하여 사용된 이러한 비교 토너 용기 캡(11f')들 중에서, 어느 것도 일련의 시험 전체에 걸쳐서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그러나, 비교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조체도 사용 형태에 따라 토너 용기 캡 및 토너 용기를 위한 만족스러운 구조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크리핑(creeping)을 받게 되는 것도, 즉 내구성이 열등한 갓도 담겨진 토너의 양이 작은 한 사용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캡 및 용기 주 구조체는 비교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것에 비하여 보다 넓은 자유 범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토너 충전 효율이 더욱 양호하다.
캡 및 용기 비고
캡 크립 억지 끼움 시간 (초) 운반 시험 제거 응력 시험 실시예에서의 상이점
실시예 1 아니오 1.2 G 38
실시예 2 아니오 1 G 30 BT=0.2 mm
실시예 3 아니오 1.7 G 52 BT=0.9 mm
실시예 4 아니오 1.5 G 46 NA=30도
실시예 5 아니오 0.8 G 36 NA=85도
실시예 6 아니오 1.1 G 33 NP=0.4 mm
실시예 7 아니오 1.9 G 55 NP=1.0 mm
실시예 8 아니오 1.1 G 35 RH: CAP=R32CON=R148
실시예 9 아니오 1.3 G 41 RH: CAP=R75CON=R83
실시예 10 아니오 1.1 G 36 BE: CAP=840 kg/cm2CON=28990 kg/cm2
실시예 11 아니오 1.4 G 40 BE: CAP=9980 kg/cm2CON=20050 kg/cm2
실시예 12 아니오 1.1 G 37 YP: CAP=80 kg/cm2CON=490 kg/cm2
실시예 13 아니오 1.4 G 36 YP: CAP=190 kg/cm2CON=250 kg/cm2
캡 및 용기 비고
캡 크립 억지 끼움 시간 (초) 운반시험 제거 응력 시험 실시예에서의 상이점
비교 실시예 1 아니오 0.6 NG 15
비교 실시예 2 아니오 0.8 NG 24 BT=0.15mm
비교 실시예 3 예(CAP) 2.5NG G 55 BT=1.2 mm
비교 실시예 4 예(CAP) 2.8NG G 42 NA=25도
비교 실시예 5 아니오 0.9 NG 27 NP=0.35 mm
비교 실시예 6 예(CAP) 3.0NG G 58 NP=1.05 mm
비교 실시예 7 예(CON) 1.1 G 25 RH: CAP=R85CON=R75
비교 실시예 8 아니오 3.0NG G 26 RH: CAP=R85CON=R155
비교 실시예 9 아니오 1 NG 24 RH: CAP=R25CON=R155
비교 실시예 10 예(CON) 1.1 G 26 BE: CAP=10200 kg/cm2CON=18480 kg/cm2
비교 실시예 11 아니오 2.9NG G 27 BE: CAP=10200 kg/cm2CON=30080 kg/cm2
비교 실시예 12 아니오 1 NG 24 BE: CAP=780 kg/cm2CON=30080 kg/cm2
비교 실시예 13 예(CON) 1.1 G 25 YP: CAP=210 kg/cm2CON=240 kg/cm2
G : 양호
NG : 불량
BT : 캡의 맞물림
NA : 노치 각도
NP : 노치 돌출
RH : 로크웰 경도
CON : 용기
BE : 굽힘 탄성율
YP : 항복점
전술된 바와 같이, 가압 시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토너 용기(11A)는 비교 실시예에서 설명된 종래의 토너 용기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운반 동안 누설 방지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토너 용기는 비교 실시예에서 설명된 종래의 토너 용기보다 더 양호하다. 더욱이, 캡 제거 저항면에서, 전자는 후자보다 2배 양호하다.
또한, 토너 용기(11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로 조립되고 나서 운반 시험을 받았다. 시험 결과는 토너 용기 캡(11f)이 밀봉 효율에 있어서 문제가 없음을 확인시켰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에서, 토너 용기 캡(11f)의 돌출 형상은 대체로 삼각형이지만, 토너 용기 캡(11f)의 형태는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으며, 또는 앞서 설명되고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정사각형이거나, 다른 다각형 또는 비원형일 수도 있으며, 이에는 제한이 없다. 더구나, 토너 용기 캡(11f)을 위한 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었고, 용기 주 구조체(11A1)를 위한 재료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이었지만, 토너 용기 캡(11f)을 위한 재료가 용기 주구조체보다 로크웰 경도, 굽힘 탄성율, 항복점 등의 측면에서 작은 한 재료 선택에 관하여 특정 제한은 없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 토너 용기 캡(11f)과, 다른 HIPS, 예컨대 ABS, PPE 또는 PPO로 형성된 용기 주구조체(11A1)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도 만족스럽게 사용 가능하다.
더욱이, 보강 리브의 형태에 관하여, 그 길이방향 수직 단면은 효과적인 보강을 제공할 수 있는 한 하방으로 구부러진 반원형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면, 토너 용기에는 토너 충전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이 토너 용기 캡의 홈 부분 내로 쐐기 끼움되는 밀봉 부분이 마련되며, 따라서 토너 용기는 운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토너 누설에 대한 저항성면에서 크게 개선된다. 또한, 변형없이 신뢰성 있게 캡핑될 수 있는 토너 용기와, 이러한 토너 용기를 채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용기의 토너 충전 개구는 밀봉 성능(누출 저항성)면에서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려할 때 명백하게 될 것이다.

Claims (87)

  1.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저장부와,
    토너를 상기 토너 저장부 내로 충전하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와,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와, 상기 토너 저장부의 본체 내에 제공된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여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캡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 캡은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충전 개구는 다각형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충전 개구는 삼각형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캡은 상기 토너 충전 개구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토너 캡의 측벽에 수직인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현상 장치와 일체형인 유닛의 형태이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6.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의 본체 내로 토너를 충전시키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캡에 있어서,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본체 내에 제공된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캡의 외측 에지 전체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주부를 따른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홈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부 외측에서 중심부에서 외향 돌출하는 평평한 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은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상기 캡의 에지 부분을 향해 제공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높이가 1.0 mm 이상 3.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 부분과 상기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의 물림부가 선형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에 면하는 표면이 볼록부를 향해 경사진 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높이가 상기 캡의 홈 하부로부터 0.4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캡 노브부를 갖고, 상기 캡 노브부가 상기 캡의 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부가 상기 캡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7. 제6항에 있어서, 캡이 삼각형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용기 본체보다 작은 로크웰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R30 이상 R80 이하의 로크웰 경도를 갖고, 상기 용기의 주 조립체는 R80 이상 R150 이하의 로크웰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20. 제6항에 있어서, 캡이 용기 본체보다 작은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800 kg/cm2이상 10,000 kg/cm2이하의 굽힘 탄성을 갖고, 상기 본체는 20,000 kg/cm2이상 30,000 kg/cm2이하의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2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용기 본체보다 작은 인장 항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80 kg/cm2이상 200 kg/cm2이하의 인장 항복점을 갖고, 상기 용기의 주 조립체는 250 kg/cm2이상 500 kg/cm2이하의 인장 항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2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25. 제6항에 있어서, 결합부가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26.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수용 용기에 있어서,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본체와,
    본체 내로 토너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제공된 토너 충전 개구와,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된 결합부와,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캡을 포함하며,
    상기 토너 캡은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와,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 충전 개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어 상기 토너 캡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7. 제26항에 있어서, 결합부가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은 그의 짧은 측면을 따라 측정된 상기 홈 하부의 폭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의 외측 표면이 C-형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의 내측 표면이 0.3 mm 이하로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1. 제26항에 있어서, 캡 안내부가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외주연에 제공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안내부의 내측 크기는 상기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에 눌러 끼워진 후에 0.1 mm 이상 2 mm 이하의 유격이 캡의 전체 주위에 존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3. 제26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가 내충격성 폴리스틸렌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캡의 외측 에지 주위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5. 제26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외주연을 따른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홈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6. 제26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캡의 하부 외측에서 중심부에서 외향 돌출하는 평평한 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은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토너 수용 용기의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7. 제36항에 있어서, 노브가 상기 토너 캡의 외주연 방향에 제공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높이가 1.0 mm 이상 3.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의 물림부가 선형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에 면하는 표면이 볼록부를 향해 경사진 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높이가 상기 캡의 홈 하부로부터 0.4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캡은 캡 노브부를 갖고, 상기 캡 노브부는 상기 토너 캡의 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부는 그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삼각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로크웰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R30 이상 R80 이하의 로크웰 경도를 갖고, 상기 용기의 주 조립체는 R80 이상 R150 이하의 로크웰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의 본체보다 작은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800 kg/cm2이상 10,000 kg/cm2이하의 굽힘 탄성을 갖고, 상기 본체는 20,000 kg/cm2이상 30,000 kg/cm2이하의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의 본체보다 작은 인장 항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80 kg/cm2이상 200 kg/cm2이하의 인장 항복점을 갖고, 상기 용기의 주 조립체는 250 kg/cm2이상 500 kg/cm2이하의 인장 항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5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52.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토너로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용기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로 토너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제공된 토너 충전 개구와,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된 결합부와,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캡을 구비하고,
    상기 토너 캡은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와,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 충전 개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어 상기 토너 캡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로부터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은 그의 짧은 측면을 따라 측정된 상기 홈 하부의 폭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의 외측 표면은 C-형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충전 개구의 상기 에지 부분의 내측 표면이 0.3 mm 이하로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9. 제52항에 있어서, 캡 안내부가 상기 충전 개구의 외주연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캡 안내부의 내측 크기는 상기 캡이 상기 충전 개구에 눌러 끼워진 후에 0.1 mm 이상 2 mm 이하의 유격이 캡의 전체 주위에 존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1.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본체는 내충격성 폴리스틸렌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2.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캡의 외측 에지 전체 둘레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3. 제52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는 그의 외주연을 따른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홈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4. 제52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캡은 상기 캡의 하부 외측에서 중심부에서 외향 돌출하는 평평한 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의 외측은 상기 토너 캡이 상기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할 때 상기 토너 용기의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외주연 방향에 제공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높이가 1.0 mm 이상 3.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7.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의 물림부가 선형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토너 충전 개구의 에지 부분에 면하는 표면이 볼록부를 향해 경사진 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높이가 상기 캡의 홈 하부로부터 0.4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0.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캡 노브부를 갖고, 상기 캡 노브부는 캡의 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1.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부가 상기 토너 캡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2.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삼각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의 본체보다 작은 로크웰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R30 이상 R80 이하의 로크웰 경도를 갖고, 상기 용기의 주 조립체는 R80 이상 R150 이하의 로크웰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의 본체보다 작은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800 kg/cm2이상 10,000 kg/cm2이하의 굽힘 탄성을 갖고, 상기 본체는 20,000 kg/cm2이상 30,000 kg/cm2이하의 굽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7.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의 본체보다 작은 인장 항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80 kg/cm2이상 200 kg/cm2이하의 인장 항복점을 갖고, 상기 용기의 주 조립체는 250 kg/cm2이상 500 kg/cm2이하의 인장 항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9.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에지 부분은 상기 홈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8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에지 부분은 상기 홈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8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에지 부분은 상기 홈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8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에지 부분은 상기 홈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4.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의 본체 내로 토너를 충전시키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캡에 있어서,
    밀봉부와,
    토너 수용 용기의 본체 내의 토너 충전 개구의 내측 둘레에 제공된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 전체 둘레에 형성되고, 두 개의 대향 표면과 하나의 하부 표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의 외측 표면 전체 둘레로 연장된 홈 부분과,
    상기 홈 부분에 인접해서 상기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부드럽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표면을 갖는 볼록부와,
    토너 캡의 중심에 제공된 노브부와,
    상기 노브부에 인접한 경사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대향된 표면까지 각각 연장된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하부 표면의 폭은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끼워맞춰질 때 토너 수용 용기가 토너 캡에 의해 밀봉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홈 부분과 토너 충전 개구는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를 캡핑할 때 상기 홈 부분의 하부 표면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갭을 남겨두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85.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토너로 감광 부재 상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용기는 본체와, 본체 내로 토너를 충전시키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충전 개구 둘레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밀봉을 위한 토너 캡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 캡은,
    밀봉부와,
    토너 수용 용기의 본체 내의 토너 충전 개구의 내측 둘레에 제공된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 전체 둘레에 형성되고, 두 개의 대향 표면과 하나의 하부 표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의 외측 표면 전체 둘레로 연장된 홈 부분과,
    상기 홈 부분에 인접해서 상기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부드럽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표면을 갖는 볼록부와,
    토너 캡의 중심에 제공된 노브부와,
    상기 노브부에 인접한 경사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대향된 표면까지 각각 연장된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하부 표면의 폭은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끼워맞춰질 때 토너 수용 용기가 토너 캡에 의해 밀봉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홈 부분과 토너 충전 개구는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를 캡핑할 때 상기 홈 부분의 하부 표면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갭을 남겨두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6.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 내로 토너를 충전하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캡에 있어서,
    벽 부분과,
    토너 수용 용기의 본체 내의 토너 충전 개구의 내측 둘레에 제공된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두 개의 대향 표면과 하나의 하부 표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벽 부분의 외측 표면 전체 둘레로 연장된 홈 부분과,
    상기 홈 부분에 인접해서 상기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부드럽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표면을 갖는 볼록부와,
    토너 캡의 중심에 제공된 노브부와,
    상기 노브부에 인접한 경사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대향된 표면까지 각각 연장된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하부 표면의 폭은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끼워맞춰질 때 토너 수용 용기가 토너 캡에 의해 밀봉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홈 부분과 토너 충전 개구는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를 캡핑할 때 상기 홈 부분의 하부 표면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갭을 남겨두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캡.
  87.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토너로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용기는 본체와, 본체 내로 토너를 충전하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와, 상기 토너 충전 개구의 밀봉을 위한 토너 캡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 캡은,
    벽 부분과,
    토너 수용 용기의 본체 내의 토너 충전 개구의 내측 둘레에 제공된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두 개의 대향 표면과 하나의 하부 표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벽 부분의 외측 표면 전체 둘레로 연장된 홈 부분과,
    상기 홈 부분에 인접해서 상기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부드럽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표면을 갖는 볼록부와,
    토너 캡의 중심에 제공된 노브부와,
    상기 노브부에 인접한 경사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대향된 면까지 각각 연장된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하부 표면의 폭은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 내로 끼워맞춰질 때 토너 수용 용기가 토너 캡에 의해 밀봉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홈 부분과 토너 충전 개구는 토너 캡이 토너 충전 개구를 캡핑할 때 상기 홈 부분의 하부 표면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갭을 남겨두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19970046681A 1996-09-11 1997-09-11 토너용기캡,토너용기및프로세스카트리지 KR100305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0439 1996-09-11
JP24043996A JP3313982B2 (ja) 1996-09-11 1996-09-11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8259803A JPH10104925A (ja) 1996-09-30 1996-09-30 トナー収納容器及びそ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96-259803 199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531A KR19980024531A (ko) 1998-07-06
KR100305300B1 true KR100305300B1 (ko) 2001-09-24

Family

ID=2653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681A KR100305300B1 (ko) 1996-09-11 1997-09-11 토너용기캡,토너용기및프로세스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46848B1 (ko)
EP (2) EP0829774B1 (ko)
KR (1) KR100305300B1 (ko)
CN (2) CN1081805C (ko)
DE (2) DE69733281T2 (ko)
HK (1) HK1009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6848B1 (en) * 1996-09-11 2001-06-1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cap, toner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JP4072362B2 (ja) 2002-03-14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913153B2 (ja) * 2002-09-30 2007-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接点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980755B2 (en) * 2002-09-30 2005-12-27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driving a feeding member in a direction to feed developer from a developer supply port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JP4314006B2 (ja) * 2002-09-30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20802B2 (ja) * 2002-11-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CN2718626Y (zh) * 2003-02-28 2005-08-17 株式会社东芝 碳粉盒
JP4416524B2 (ja) 2004-01-30 2010-02-17 株式会社沖データ 嵌合構造、嵌合構造を用いた現像剤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158749B2 (en) *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27218A (ja) * 2004-07-21 2006-02-0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の消耗品部材及びそれ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US7184691B2 (en) 2004-11-09 2007-02-27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48813B2 (en) * 2004-12-20 2007-07-24 T.T.I.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a method for sealing a cartridge
US7486905B2 (en) * 2005-01-28 2009-0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developer filling port cap and recycling method thereof
JP4802845B2 (ja) 2006-04-25 2011-10-26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298543A (ja) * 2006-04-27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844237B2 (ja) * 2006-05-25 2011-12-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収容器及びトナー充填方法
JP5039390B2 (ja) * 2007-02-02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275285B2 (en) 2007-02-26 2012-09-25 Ricoh Company, Lt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33117B2 (ja) * 2007-03-06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潜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198211B2 (ja) * 2008-10-14 2013-05-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コンテナの再生方法
JP2011248261A (ja) * 2010-05-31 2011-12-08 Brother Ind Ltd キャップ及び現像装置
JP2014085551A (ja) * 2012-10-24 2014-05-12 Ricoh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現像剤、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D852880S1 (en) * 2017-06-30 2019-07-0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JP7423373B2 (ja) * 2019-04-01 202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0962905B1 (en) * 2019-10-21 2021-03-30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 for an electrophotograhic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8966A (en) * 1988-11-10 1991-07-02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DE3916377C2 (de) 1989-05-18 1994-06-30 Berolina Schriftbild Verfahren zum Umgestalten einer Entwicklerstation für Laserdrucker
US5110646A (en) 1991-01-25 1992-05-05 James D. Prestel Process and materials for reconditioning a toner cartridge
US5585895A (en)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JPH05323696A (ja) * 1992-05-21 1993-12-07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434656A (en) * 1992-07-15 1995-07-18 Fujitsu Limited Apparatus for supplying developer and toner i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6806C (zh) 1992-09-04 1997-12-24 佳能株式会社 处理暗盒、装配处理暗盒的方法和成象设备
JPH06208301A (ja) * 1993-01-08 1994-07-26 Konic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178749B2 (ja) * 1993-01-18 2001-06-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供給装置
US5392963A (en) * 1993-06-01 1995-02-28 Hewlett-Packard Company Refurbished toner cartridge
JP3545779B2 (ja) * 1993-07-14 2004-07-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526099A (en) * 1993-12-02 1996-06-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815940A (ja) 1994-04-28 1996-01-19 Canon Inc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7618B2 (ja) * 1994-08-24 2003-02-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
AU3426895A (en) 1994-10-17 1996-05-0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220857A (ja) * 1995-02-16 1996-08-30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US6246848B1 (en) * 1996-09-11 2001-06-1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cap, toner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3281D1 (de) 2005-06-16
CN1081805C (zh) 2002-03-27
DE69720896D1 (de) 2003-05-22
US6246848B1 (en) 2001-06-12
EP1154335A1 (en) 2001-11-14
EP1154335B1 (en) 2005-05-11
CN1177750A (zh) 1998-04-01
KR19980024531A (ko) 1998-07-06
CN1397851A (zh) 2003-02-19
EP0829774B1 (en) 2003-04-16
EP0829774A3 (en) 2000-04-12
EP0829774A2 (en) 1998-03-18
DE69720896T2 (de) 2003-12-04
DE69733281T2 (de) 2006-01-19
HK1009508A1 (en) 1999-06-04
CN100461020C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300B1 (ko) 토너용기캡,토너용기및프로세스카트리지
US6643482B2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US6574445B2 (en) Method of remanufacturing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dditional seal mounting step
US6278853B1 (en) Recycling method of toner container
KR0135906B1 (ko) 현상제 카트리지 및 그 재생 방법(Developer Cartridge and Remanufactruring Method Therefor)
US7412193B2 (en) Developer feeding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feeding member mounting method
US6215969B1 (en)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209686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coupling-driving member for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6226476B1 (en) Developing device holder having antenna contact mounting unit
US6643481B2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US6577829B2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a process cartridge having a toner seal that is unsealed upon the start of use of the cartridge comprising the steps of separating first and second units of the cartridge and recoupling the units without remounting the toner seal
EP0736817B1 (en) Toner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US6978107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6763209B2 (en) Process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US5655181A (en)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505020B1 (en) Remanufacturing method of process cartridge
EP1341061A1 (en) Developer container for a process cartridge and its method of assembling
US6671474B2 (en)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397025B1 (en) Process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US5907747A (en) Prefilled, presealed toner cartridge insert
US7062199B1 (en) Process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JP200002929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47455B2 (ja) 現像剤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装置
JPH07261524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JP2001331026A (ja) トナー補給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