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290B1 - 화상변성을이용한인쇄용판노광장치 - Google Patents

화상변성을이용한인쇄용판노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290B1
KR100305290B1 KR1019980049392A KR19980049392A KR100305290B1 KR 100305290 B1 KR100305290 B1 KR 100305290B1 KR 1019980049392 A KR1019980049392 A KR 1019980049392A KR 19980049392 A KR19980049392 A KR 19980049392A KR 100305290 B1 KR100305290 B1 KR 10030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late
drum
image
band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372A (ko
Inventor
유이치 오카무라
타케미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유이치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다 키카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이치 오카무라,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다 키카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이치 오카무라
Publication of KR1999004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cylindrical picture-bearing surfaces, i.e. scanning a main-scanning li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lying in a curved cylindrical surface
    • H04N1/067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cylindrical picture-bearing surfaces, i.e. scanning a main-scanning li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lying in a curved cylindrical surface with sub-scanning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19/00Photoelectronic composing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4Curved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cylindrical picture-bearing surfaces, i.e. scanning a main-scanning li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lying in a curved cylindrical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11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more than one main scanning line, e.g. scanning in sw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8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hanging or controlling the addresses or values of pixels, e.g. in an array, in a memory, by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컴퓨터로부터의 화상정보를 드럼에 감겨진 인쇄용판에 복수화소의 밴드폭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화상이 인쇄판에 대하여 경사지는 비뚤어짐을 해소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드럼에 완전 원통형으로 감겨진 인쇄용판과, 이 인쇄판에 광빔에 의하여 화상정보를 밴드형으로 기록하는 노광기와, 드럼이 1회전하는 사이에 상기 노광기를 드럼에 대하여 드럼축방향으로 1밴드폭만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정사각형으로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이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읽어들인 화상정보의 각 밴드를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1밴드폭만큼 경사지게 재배치하는 화상변성장치로 구성되어, 인쇄판에 비뚤어짐이 없는 기록이 행하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화상변성을 이용한 인쇄용판 노광장치
본 발명은 컴퓨터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해 드럼에 감겨진 인쇄용판에 화상정보를 기록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컴퓨터에 의해 정보처리나 화상처리의 기술이 진보하는 것과 함께, 신문인쇄 등의 분야에 있어서도, 사진필름을 통하지 않고 컴퓨터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해 레이저광으로 직접 인쇄용판에 묘화(描畵)을 행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들 인쇄판으로서는, PS판이라는 명칭으로 업계에서 잘 알려진 인쇄판, 즉 알루미늄 기판으로 미리 감재를 도포한 인쇄판이 상당히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이와같은 인쇄판에 묘화(描畵)하는 기구로서는, 팩시밀리장치로서 잘 알려진 드럼회전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 드럼상의 인쇄판에 묘화하기 위해서 레이저광이 이용되고 있지만, 묘화속도를 높이기 위해 1개의 빔보다 복수개의 빔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도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레이저광으로 정보를 밴드형으로 기록해 나가는 방식에 대하여, 이하에 종래예로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용판에 화상을 묘화하는 장치로서는, 도 9에 표시한 것이 멀티빔 방식으로서 알려져 있다. 부호 2는 모터(M)에 의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수평배치된 드럼으로, 이 드럼(2)의 외주면에 인쇄용판(4)이 감기게 된다.
인쇄판(4)의 개시측선(6)과 종료측선(8)은 상호간에 비뚤어짐이 없는 완전 원통형으로 감겨지기 때문에, 인쇄판의 천선(天線)(10)과 지선(地線)(12)은 드럼축방향에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광학대(14)는 광학장치를 탑재하여 이루어지고, 반도체 레이저 등의 레이저광원(16)으로부터 나온 레이저광은 화격자(grating)나 월라스톤 프리즘(wollaston prism) 등의 멀티빔 발생소자(18)를 통과하여 멀티빔으로 분할된다. 이들 멀티빔은, 화상처리장치(PT)의 화상신호에 의해 스위치 제어되는 AOM군(음향광자변조기)(20)를 통과한 후, 광섬유로 구성된 광원어레이(22)로 이루어진 노광기로 들어가고, 렌즈(24)를 통하여 인쇄판(4)에 조사된다. 이 광원어레이(22)는 화상을 인쇄판에 직접 기록해 나가는 노광기의 일 예이다. 멀티빔의 조사에 대응하여 인쇄판(4)상에 화상밴드(26)가 밴드폭(B)으로 기록된다. 이동기구(H)는 드럼(2)이 1회전하는 사이에 광학대(14)를 밴드폭(B)만큼 화살표(b)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등속주행시키는 장치이다.
상술한 노광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2)는 등속회전하고, 광학대(14)는 1회전당 밴드폭(B)만큼 이동함으로서, 화상밴드(26)가 회전할 때마다 밴드폭(B)만큼 비뚤어져 인쇄판상에 나선형으로 기록형성되게 된다. 인쇄판을 전개하면, 다수의 화상밴드(26)로 이루어진 기록화상(28)이 형성되지만, 나선기록으로 인하여 밴드폭(B)만큼 비뚤어진 평행사면형이 된다. 인쇄판(4)에 대한 기록화상(28)의 이와 같은 경사진 비뚤어짐은 인쇄용판으로서 사용할 수가 없다.
신문용 인쇄판으로는, 드럼원주를 46인치, 화소밀도를 1인치당 909도트로 하고, 128빔의 광원어레이(22)를 사용한다면, 밴드폭(B)은 128화소상당, 예컨대 128/909 =0.14인치, 즉 3.6mm로 한다. 결국 나선기록의 결과, 기록화상(28)의 천선(28c)와 지선(28d)에서는 3.6mm의 비뚤어짐이 발생하고, 시각상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경사각(θ)은 tanθ=0.14/46 에 의해 0.17도로 되고, 개시측선(28a)과 종료측선(28b)는 평행하면서도 0.17도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이 화상의 경사진 비뚤어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1에 표시하는 간헐적인 이동방식도 생각해 보았다. 즉, 드럼(2)이 화상기록에 의해 1회전하는 사이에는 광학대(14)를 정지시켰다. 그 다음에, 이동기구(H)에 의해 광학대(14)를 밴드폭(B)만큼 이동시킨다. 이 이동시간은 드럼의 1회전에 필요한 시간의 정수배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간헐적인 이동방식을 채용한다면, 화상밴드(26)는 나선형으로 되지 않고, 완전 원주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기록화상(28)이 비뚤어지지 않고, 인쇄판(2)에 대하여 정사각형으로 바로 기록된다. 그러나, 간헐적인 이동은 전 노광시간을 몇 배로 길어지게 하여, 제판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동시에, 중량이 있는 광학계의 이동ㆍ정지의 반복은, 장치를 복잡화ㆍ고가격화하고, 더욱이 이것은 진동의 원인으로 되어서, 화상의 열화나 고장의 원인이 되기 쉽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변성을 이용한 인쇄용판 노광장치는 상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드럼에 감겨진 인쇄용판의 표면에 복수화소의 밴드폭에 따라서 화상정보를 밴드형으로 나선기록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에 있어서, 드럼에 완전 원통형으로 감겨진 인쇄용판과, 이 인쇄판에 광빔에 의하여 화상정보를 밴드형으로 기록하는 노광기와, 드럼이 1회전하는 사이에 상기 노광기를 드럼에 대하여 드럼축방향으로 1밴드폭만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정사각형으로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이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읽어들인 화상정보의 각 밴드를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1밴드폭만큼 경사지게 재배치하는 화상변성장치로 이루어지고, 이 화상변성장치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여 인쇄판에 대하여 비뚤어짐이 없는 기록을 행하는 것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인쇄용판 노광장치의 화상변성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화상변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화상정보의 기입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화상정보의 기입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화상정보를 읽어내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화상정보를 읽어내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종례 기술에 의한 인쇄용판 노광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나타낸 장치에서는 기록화상이 인쇄판 상에서 경사진 상태로 비뚤어지는 것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노광기를 간헐적으로 주행시킬 경우 기록화상의 비뚤어짐을 해소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상술한 밴드의 경사진 비뚤어짐은, 드럼이 1회전하는 사이에 광학대, 즉 노광기가 드럼축방향으로 1밴드폭만큼 상대이동함으로써 발생한다. 본 발명자는 이 밴드의 경사진 비뚤어짐을 소거하는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화상처리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가 정사각형으로 되는 것이 경사진 비뚤어짐을 해소할 수 없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구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화상처리장치내의 정사각형의 화상정보를 상기 상대이동과 역방향으로 사전에 경사지게 재배치되게 하면, 이 경사분은 상대이동에 의하여 없어지게 되어, 인쇄판상에 정사각형의 화상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착상을 얻어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심이 되는 화상변성의 개념도이다. (A)는 화상처리장치내에 기억된 정사각형의 화상정보를 나타내고, 수직배치된 n개의 밴드 B1∼B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화상정보를 그대로 노광기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인쇄판의 기록화상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광기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여기에서, (B)의 실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상변성장치에 의하여 이들 밴드 B1∼Bn을 밴드폭(B)만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재배치하여 기억시킨다. 이 역방향이란 노광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을 의미하고, 동시에 도 10의 기록화상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 경사진 밴드 B1∼Bn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을 점선으로 표시된 수직밴드로 구성하면, M0∼Mn의 (n+1)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뉘게 된다.
다음에, (B)로 표시된 (n+1)개의 수직밴드 M0∼Mn을 노광기를 통하여 인쇄판에 기록한다. 그 결과,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밴드 M0∼Mn은 노광기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 중에 포함된 밴드 B0∼Bn은 수직으로 인쇄판상에 기록된다. 따라서, 인쇄판에는 정사각형의 기록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식에서는, 화상처리장치의 모든 밴드를 화상변성장치 내에 읽어들인 후 인쇄판에 기록하지만, 이러한 절차는 컴퓨터기술의 적용에 의하여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로부터 화상변성장치로의 밴드의 읽어들임을 선행시키면서, 그 읽어들임과 병행하여, 화상변성장치로부터 인쇄판으로의 기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멀티빔 방식의 경우를 표시하고, 종래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부여한다. 광학대(14)에 놓여있는 레이저광원(16)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17)은 멀티빔 발생소자(18)에 의하여, 예컨대 128개로 이동으로 분할되어 멀티빔(19)이 된다. 이 멀티빔(19)은, 화상변성장치(PM)로부터의 화상신호를 받아들여 AOM군(음향광학변조기)(20)에 의해 스위치제어되고, 온·오프하는 신호로서 화상정보를 얻게 된다.
멀티빔(19)은, 다수(예컨대 128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광원어레이(22)를 통과하고, 렌즈(24)에 의해 모아져서 인쇄판에 밴드 B1, B2…를 기록하여, 기록화상(2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어레이(22)가 노광기로 이루어지고, 그 광섬유 수가 밴드폭(B)을 형성한다. 즉, 멀티빔 방식에서는 밴드폭 분의 정보가 일시에 기록되고, 128빔의 경우에는 B =128 밴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원주가 46인치로 되는 것으로부터, 1밴드의 길이방향은 46×909 =41814 도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멀티빔 방식에서는 드럼(2)가 1회전하는 사이에 128도트의 밴드폭 정보가 41814회 기록됨으로써 1밴드가 형성되는 것이다.
DG는 드럼기준위치 신호발생회로로서, 밴드 B1, B2…의 최초의 기출점에서 밴드형의 드럼기준위치 신호를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럼(2)의 단면(2a)에 거울(도시하지 않음)을 접착하고, 드럼단면(2a)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드럼(2)이 1회전할 때마다 거울의 반사광에 의하여 펄스를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광신호 이외에, 자석을 이용한 전자펄스 또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공지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화상변성장치(PM)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드럼기준위치 신호발생회로(DG)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여, 기입번지 발생회로(WG)가 기입블록 발생기(WCG)의 클럭에 따라서 기입번지 보정회로(WCC)에 기입번지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에 의해 기입번지 보정회로(WCC)는 화상변성메모리(PMM)에 기입어드레스(WA)를 보내고, 그 기입어드레스(WA)에 화상처리장치(PT)로부터의 화상정보를 기억한다.
화상변성메모리(PMM)는 도 1(B)에서 나타내는 수직의 밴드 M0, M1,… Mn가 고속으로 기록되게 된다. 드럼(2)은 2회전 째로 들어갈 때, 드럼기준위치 신호발생회로(DG)의 제2회전 째의 신호를 받아들여, 독출번지 발생회로(RG)가 작동한다. 회로(RG)는 독출블록 발생기(RCG)의 클럭에 따라서 화상변성메모리(PMM)에 밴드(M0)의 독출어드레스(RA)를 보낸다. 이 독출어드레스(RA)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는 화상변성메모리(PMM)로부터 읽어내고, AOM군(20)으로 송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폭(B)이 128도트로 이루어짐으로써 1회의 독출에 의하여 밴드폭 정보 128도트분이 AOM군으로 보내져서, 인쇄판(4)상에 기록된다. 드럼(2)이 1회전하는 사이에 41814회의 읽어냄과 인쇄판으로의 기록이 행하여지고 밴드(M0)의 기록이 종료한다. 회로(DG)의 제3회 째의 신호에 의하여 밴드(M1)는, 제4회 째의 신호에 의해 M2가 기록되는 도중에, 제(n+2)회 째의 신호에 의해 밴드(Mn)가 기록되어, 기록화상(28)이 인쇄판(4)에 완성된다.
도 4 및 도 5는, 화상변성메모리(PMM)로의 화상정보의 기입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및 그 플로우챠트이다.
인쇄용판 노광장치를 구동하여 드럼(2)이 회전하고, 드럼기준위치 신호발생회로(DG)로부터 제1회 째의 신호를 받아들이면(단계 n1), 밴드번호(BN)가 1로 설정된다(n2). 계속하여 기입번지 발생회로(WG)가 재설정되고, 밴드폭 번호(C)가 -1로 초기설정된다(n3).
단계 n4에서 번호 C가 0으로 되면, K=0으로 계산됨으로써(n5), 도 4에서 C=0으로 지정되는 메모리의 기입어드레스(WA)가 화상변성메모리(PMM)로 송신된다(n6). 제1밴드(B1)의 제1밴드폭 정보는 화상처리장치(PT)로부터 읽어들이고(n7), 화상변성메모리(PMM)의 그 지정된 메모리에 기입된다(n8).
여기에서, 기입번지 보정회로(WCC)의 기능을 상세하게 기술하면, 도 4에서 나타내는 제1밴드(B1)의 제C밴드폭 정보의 기입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이 경우, 기입의 시점은 BN=1로 표시되는 수직 점선상의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K=Ctanθ 만큼 비뚤어진 위치로 된다. 이 시점의 기입어드레스를 산출하는 회로는 기입번지 보정회로(WCC)로 된다. 이 회로(WCC)는 번호 BN과 번호 C의 2종의 정보로부터 기입어드레스(WA)를 산출하는 어드레스회로로 하여도 좋고, 다른 공지기술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되돌아가서, 밴드종단정보(BE)가 이르기까지(n9) 밴드폭 번호(C)를 1씩 증가하면서 제1밴드의 모든 정보를 화상변성메모리(PMM)에 기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C의 최종값은 41814로 된다. 밴드종단정보(BE)가 있으면(n9), 밴드번호(BN)를 1만큼 증가시키고(n11), BN= 2로 지정되는 제2밴드(B2)를 메모리(PMM)에 기입하게 된다. 모든 밴드 B1∼Bn의 기입이 종료하고, 인쇄판(4)에 기록화상(28)이 완성되어 드럼(2)이 정지하면(n10), 이러한 흐름은 종료한다. 단계 n10에 있어서, 모든 화상의 종단을 표시하는 화상종단정보(PE)를 읽어내는 단계로 이 흐름을 종료시켜도 좋다.
도 5의 플로우챠트에서는, 화상정보의 화상변성메모리(PMM)로의 기입이, 제1회 째의 DG신호에 의하여 시작되고, 모든 정보의 기입이 종료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행해지, 인쇄판(4)으로의 기록과는 전혀 무관하게 행해진다. 이 경우에는, 화상처리장치(PT)와 같은 정도의 메모리 수가 화상변성메모리(PMM)에 필요하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메모리(PMM)가 100밴드분의 메모리용량이 된다. 우선, 100밴드분의 화상정보를 기입하고, 인쇄판으로의 기록이 진행하는 것을 잠시 기다린다. 제100 밴드분 째가 기록되는 것이 시작하면, 제101∼제200 밴드를 메모리(PMM)에 기입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는 모든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는, 화상변성메모리(PMM)를 2개 사용할 경우, 한쪽에 100밴드분, 다른쪽에 다음 100밴드분을 기입한다. 인쇄판으로의 기록은 한쪽의 100밴드분에서부터 시작하고, 그것이 종료하면 다른 100밴드분으로 이동한다. 한쪽의 100밴드분의 기록이 종료하면, 바로 다음다음의 100밴드분을 기입한다. 이와 같이 기입과 기록을 함께 행하면, 기입과 기록을 연속적으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화상변성메모리(PMM)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내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및 그 플로우챠트이다.
드럼(2)이 회전하여 드럼기준위치 신호발생회로(DG)로부터 제2회 째의 신호를 받아들이면(n20, n21), 밴드번호(BN)을 0으로 설정하고(n22), 독출번지 발생회로(RG)를 재설정하여 밴드폭 번호(C)를 -1로 초기설정한다(n23). 밴드번호를 BN=0 으로 하는 것은 제0밴드(M0)를 읽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기입은 B1, B2… Bn의 순서로 행하지만, 읽어내는 것은 M0, M1, M2…Mn의 수직밴드를 읽어낸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단계 n24에서 번호 C가 0으로 되면, BN=0 및 C=0에 대응하는 독출어드레스(RA)가 독출번지 발생회로(RG)에서 화상변성메모리(PMM)로 송신된다(n25). 다음으로, 이 독출어드레스(RA)에 기억된 128도트의 밴드폭의 화상정보는 화상변성메모리(PMM)에서 AOM군(20)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AOM군에 의하여 멀티빔의 각각은 온·오프 제어되고, 인쇄판(4)상에 제0밴드(M0)의 제0밴드폭 정보가 기록된다(n26).
밴드종단정보(BE)가 이를 때까지(n27), 밴드폭 번호(C)는 1씩 증가하고, 제0밴드(M0)가 기록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밴드폭 정보가 C=41814로 되고, 이 최종밴드폭 정보를 읽어내는 단계에서, 밴드종단정보(BE)를 읽어들인다(n27). 이 때, 밴드번호(BN)를 1만큼 증가하여(n29), BN=1, 즉 제1밴드(M1)의 독출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차례로 수직밴드 M0, M1,M2…Mn을 읽어내어, AOM군(20)을 제어하면서 인쇄판(4)에 모든 화상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최종의 밴드(Mn)를 기록한 시점에서 드럼(2)은 정지하고(n28), 기록화상(28)이 완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단일빔 방식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호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레이저광원(16)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은, 화상변성장치(PM)의 화상정보에 의해서 AOM(21)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이 레이저빔(16)은, 제2실시예의 노광기로 되는 편향기(23)로 들어가는 밴드폭(B)(예컨대 128도트)만큼 편향제어된다. 이 편향기(23)에서 편향제어된 레이저빔은, 렌즈(24)를 통하여 제어용판(4)상에 밴드 B1, B2∼Bn을 기록하고, 기록화상(28)을 형성한다.
편향기(23)를 구동하기 위하여, 편향기 구동회로(XG)가 설치되게 된다. 편향기(23)로는, 예컨대 AOD(음향광학변조기)가 이용될 수 있다. AOD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격자 간격을 변동시키고, 입사빔을 회절시켜 주사하는 노광기로 된다. 따라서, 기계적 부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편향기 구동회로(XG)는 주파수를 가변하는 고주파 발생회로로 된다.
그러나, 이 AOD에 대신하여 진동거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진동거울은, 진동모터나 갈바노미터의 축에 거울을 고정하고, 거울을 좌우의 미소각도의 범위내로 진동시켜서, 밴드내에 정보를 기록한다. 이 경우의 편향기 구동회로(XG)에는 일정 주파수의 톱니파 등의 발진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레이저광원(16)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멀티빔화하여 광섬유로부터 이루어진 광원어레이(22)를 이용하였지만, 레이저광원에 대신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를 일렬상태로 배치한 광원어레이를 설치하여 두고, 이들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을 화상변성장치(PM)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하여 제어하면 좋다. 발광다이오드어레이로 불리워지고 있지만, 광에너지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광원어레이 방식의 경우에는 멀티빔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밴드폭이 예컨대 128화소로부터 이루어진 경우에는 128빔용 광원어레이를 사용할 경우 밴드폭만큼의 정보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밴드폭이나 밴드길이의 크기가 자유자재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상기 이동기구(H)는 노광기를 고정한 광학대(14)를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드럼(2)에 이동기구(H)를 설치하고, 이에 의하여 드럼(2)을 화살표(b)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또는 드럼(2)과 광학대(14)의 양자에 이동기구(H)를 설치하여, 양자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구성을 하여도 좋다. 필요한 것으로, 드럼이 1회전하는 사이에 드럼(2)과 노광기가 1밴드폭만큼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기록이 행하여지게 된다. 이 이동속도는 일정속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드럼(2)의 회전수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1회전에 대하여 1밴드폭만큼 이동한다는 점에서 드럼의 이동속도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 광학대(14)를 전체로서 이동시키지 않고, 노광기만큼을 이동시키는 방식, 또 노광기와 함께 일부의 광학계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쇄용판(4)을 드럼(2)의 외주면에 감지만, 이에 대신하여 내주면에 감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내면식이라고 부르고, 드럼(2)의 축심부에 렌즈나 거울을 배치하고, 노광기로부터의 광속을 반사시켜 드럼내면에 화상밴드를 기록하게 된다. 내면식의 경우는 광학장치를 드럼내에 주행시키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변성을 이용한 인쇄용판 노광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각종 변형예·설계변경 등을 그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화상처리장치 내의 정사각형의 화상정보를, 화상변성장치에 의하여 밴드폭(B)만큼 역방향으로 비뚤어지는 하는 것에 의하여, 인쇄판상에 비뚤어짐이 없는 기록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노광용 광학계는 빈번한 이동·정지를 반복할 필요가 없게 되고, 고품질의 인쇄판의 작성이 가능하게 되고, 대량인쇄물의 인쇄비뚤어짐을 해소할 수 있고, 동시에 인쇄개시 때까지의 시간단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를 통하여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거둘수 있다.

Claims (6)

  1. 드럼에 감겨진 인쇄용판 표면에 복수화소의 밴드폭에 따라서 화상정보를 밴드형으로 나선기록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에 있어서,
    드럼에 완전 원통형으로 감겨진 인쇄판과, 상기 인쇄판에 광빔에 의해 화상정보를 밴드형으로 기록하는 노광기와, 드럼이 1회전하는 사이에 상기 노광기를 드럼에 대하여 드럼 축방향으로 1밴드 폭만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정사각형으로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이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읽어들인 화상정보의 각 밴드를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1밴드 폭만큼 경사지게 재배치하는 화상변성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화상변성장치는,
    기입클럭발생회로(WCG), T상기 기입클럭발생회로(WCG)로부터의 클럭신호에 따라 기입번지신호를 발생하는 기입번지 발행회로(WG), 상기 기입번지발생회로(WG)로부터의 기입번지신호에 의해 기입어드레스(WA)를 발생하는 기입번지보정회로(WCC), 독출클럭발생회로(RCG), 상기 독출클럭발생회로(RCG)의 클럭신호에 따라 독출어드레스(RA)를 발생하는 독출번지발생회로(RG), 상기 기입번지보정회로(WCC)로부터 기입어드레스(WA)가 입력되어 상기 기입어드레스(WA)에 상기 화상처리장치로부터의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독출번지발생회로(RG)로부터 독출어드레스(RA)가 입력되고, 상기 독출어드레스(RA)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음향광자변조기(AOM)에 출력하는 화상변성메모리(PMM)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상변성장치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임으로서 인쇄판에 대하여 비뚤어짐이 없는 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변성을 이용한 인쇄용판 노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가 이동하지 않는 드럼에 대하여 노광기를 드럼의 축방향으로 일정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가 이동하지 않는 노광기에 대하여 드럼을 드럼의 축방향으로 일정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판이 드럼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판이 드럼의 내주면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빔이 레이저빔 또는 발광다이오드의 광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판 노광장치.
KR1019980049392A 1997-11-20 1998-11-18 화상변성을이용한인쇄용판노광장치 KR100305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19319 1997-11-20
JP9319319A JP2905764B2 (ja) 1997-11-20 1997-11-20 画像変成を利用した印刷用刷版露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372A KR19990045372A (ko) 1999-06-25
KR100305290B1 true KR100305290B1 (ko) 2001-11-30

Family

ID=1810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392A KR100305290B1 (ko) 1997-11-20 1998-11-18 화상변성을이용한인쇄용판노광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81316A (ko)
EP (1) EP0918255A3 (ko)
JP (1) JP2905764B2 (ko)
KR (1) KR100305290B1 (ko)
CA (1) CA2254234C (ko)
IL (1) IL127030A (ko)
TW (1) TW403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762B2 (ja) * 1997-10-31 1999-06-14 株式会社金田機械製作所 傾斜歪打消信号を利用した印刷用刷版露光装置
JP2000043317A (ja) * 1998-07-29 2000-02-1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マルチビーム描画方法および装置
US6184520B1 (en) * 1999-01-12 2001-02-06 Agfa Corporation Internal drum imaging system
US6700598B1 (en) 2000-04-25 2004-03-02 Cortron Corporation Digital imaging system employing non-coherent light source
DE10045168B4 (de) * 2000-09-13 2008-07-31 Hell Gravure Systems Gmbh & Co. Kg Mehrstrahl-Belichtungsverfahren
JP2002120400A (ja) * 2000-10-17 2002-04-2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方法及び装置
EP1206115A3 (en) * 2000-11-14 2004-02-11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JP3416643B2 (ja) 2000-11-30 2003-06-1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DE10111871A1 (de) * 2001-03-13 2002-09-19 Heidelberger Druckmasch Ag Bebilderungseinrichtung für eine Druckform mit einem Array von VCSEL-Lichtquellen
JP3714894B2 (ja) * 2001-09-13 2005-11-09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を含む画像記録システム
JP4272827B2 (ja) * 2001-09-14 2009-06-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DE10351453B3 (de) 2003-11-04 2005-02-1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r Korrektur der Schrägaufzeichnung bei der Belichtung von Druckvorlagen
EP1998544A1 (en) * 2007-06-01 2008-12-03 Andromeda S.r.l. Exposure head with a high number of laser beams
US8485647B2 (en) * 2009-03-04 2013-07-16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with helical and circular scans
US8358431B2 (en) * 2009-03-04 2013-01-22 Eastman Kodak Company Orthogonality corrections for different scanning directions
US8345301B2 (en) * 2009-03-04 2013-01-01 Eastman Kodak Company Orthogonality correction employing substituted image data
US8355162B2 (en) * 2009-03-04 2013-01-15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with helical and circular scans
CN104085174A (zh) * 2014-06-30 2014-10-08 太仓市虹鹰印花有限公司 一种印花用激光凹版雕刻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0061A (ja) * 1982-10-29 1984-05-09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走査記録方法及び装置
US4987499A (en) * 1988-09-02 1991-01-22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ading device
US4992890A (en) * 1989-03-17 1991-02-12 Intergraph Corporation System for plotting and scanning graphic images
EP0406844A3 (en) * 1989-07-05 1992-08-19 Canon Kabushiki Kaisha Scanning optical apparatus
JP2741996B2 (ja) * 1992-10-30 1998-04-2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正規化曲線の作成方法
DE4313111C2 (de) * 1993-04-22 1999-05-06 Roland Man Druckmasc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ruckenden Vorlage, insbesondere einer Druckform einer Druckmaschine
US5495539A (en) * 1993-09-02 1996-02-27 Sieverding; David L. Image production using multidimensional selection of image transformations
US5825913A (en) * 1995-07-18 1998-10-20 Cognex Corporation System for finding the orientation of a wafer
JPH0937040A (ja) * 1995-07-24 1997-02-07 Canon Inc 画像走査装置
JP2905746B2 (ja) * 1996-11-06 1999-06-14 株式会社金田機械製作所 印刷用刷版露光装置
JP2905762B2 (ja) * 1997-10-31 1999-06-14 株式会社金田機械製作所 傾斜歪打消信号を利用した印刷用刷版露光装置
US6064465A (en) * 1998-06-01 2000-05-16 Kabushiki Kaisha Kaneda Kikai Seisakusho Reproduction equipment for printing newspap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27030A (en) 2000-12-06
KR19990045372A (ko) 1999-06-25
JP2905764B2 (ja) 1999-06-14
CA2254234C (en) 2001-08-21
US6081316A (en) 2000-06-27
EP0918255A3 (en) 2003-01-29
TW403832B (en) 2000-09-01
IL127030A0 (en) 1999-09-22
EP0918255A2 (en) 1999-05-26
JPH11153873A (ja) 1999-06-08
CA2254234A1 (en) 199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290B1 (ko) 화상변성을이용한인쇄용판노광장치
US4900130A (en) Method of scanning
JP3239188B2 (ja) 光ビーム走査装置
JP2905762B2 (ja) 傾斜歪打消信号を利用した印刷用刷版露光装置
US4935891A (en) Pseudo-random phase shifted arithmetic bit clock generators for digital printers
JPS62239119A (ja) 高速高解像度ラスタ出力走査装置
US5923359A (en) Internal drum scophony raster recording device
KR100234522B1 (ko) 인쇄용쇄판 노광장치
JPH04301978A (ja) フライングスポット走査装置
JPH04506875A (ja) 波長不感応性の走査機構を有するラージフォーマット・レーザスキャナ
JPS6231545B2 (ko)
US5191466A (en) High resolution two-directional optical scanner
JPH0563920A (ja) 円筒内面走査型画像記録装置
US8363080B2 (en) Multi-bea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090051970A1 (en) Image data storage methods, image data storage control apparatuses, image data storage progra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rame data generation and programs therefor,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acquisition,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age drawing
JPH07111508B2 (ja) 画像走査記録装置のレーザ露光方法
JPH0158911B2 (ko)
JP2002303990A (ja) 画像変成を利用した平面式印刷用刷版露光装置
JPS6137606B2 (ko)
USRE38297E1 (en) Internal drum scophony raster recording device
JPH044792B2 (ko)
JPH04247477A (ja) 画像記録装置
JPS6317052A (ja) レ−ザプリンタ
JP2018045254A (ja) パターン描画装置
JPH0516097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