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149B1 - 배기시스템의파이프의관절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기시스템의파이프의관절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149B1
KR100304149B1 KR1019940001740A KR19940001740A KR100304149B1 KR 100304149 B1 KR100304149 B1 KR 100304149B1 KR 1019940001740 A KR1019940001740 A KR 1019940001740A KR 19940001740 A KR19940001740 A KR 19940001740A KR 100304149 B1 KR100304149 B1 KR 10030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ortion
casing
ring
projections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프레드회엘
Original Assignee
이베카레글러운트콤펜사토렌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798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0414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베카레글러운트콤펜사토렌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베카레글러운트콤펜사토렌게엠베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16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the pipe sections being joined together by flexible tubular elements only, e.g. using bellows or strip-woun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로우와 같은 가요성 도관 부품에 의하여 연결된 파이프 구간을 가지는 모터 자동차와 같은 배기 시스템의 파이프의 부연결을 위한 단순하고 값비싸지 않은 장치를 제안하며, 여기서, 도관 부품의 주위에 맞물리는 탄성 부품은 돌출부와 함께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케이싱 부품을 가지며 공급되며 각 경우에 그들 돌출부의 부근에 그들 원주의위로 양 케이싱 부품들을 연결하는 벨로우에 같은 축의, 적어도 하나의 링 부품을 가지고 그리고 파이프 구간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배기 시스템의 파이프의 관절 연결 장치
제1도는 케이싱부에 사용되고 상부로 텅(tongues)을 국부적으로 통과시 키는 링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케이싱부에 형성되는 그루브 내에 배치되는 링부를 갖는 본 발 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케이싱부 내의 컷아웃(cutouts)에서 방사상으로 유지되는 링부 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링부가 케이싱부 내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 동일한 것을 방사상으로 확보하는 텅이 맞물리는 구조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제5도는 케이싱부에 장착되고 그것의 내부에 삽입되는 그것의 자유 다리가 링부 주위에 배치되는, U자 형상부를 갖는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비틀림 모멘트에 대하여 링부를 고착하는 조립된 홀딩 텅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파이프 단편 3 : 유연 관부
6,7 : 케이싱부 8,9 : 돌출부
10 : 링부 11,18 : 텅
13 : 클립 14 : 슬릿
16 : U자 형상부
본 발명은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파이프 단편을 갖는, 자동차에서와 같은 배기 시스템의 파이프의 관절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와 같은 배기 시스템의 관절 연결의 수많은 다른 구조가 공지된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싱 포켓 내에 배치되는 와이어로부터 압축되는 감쇠 쿠션이 존재한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복잡하고, 따라서 비싸며, 또한 상당한 중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원형 감쇠 쿠션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비평은 이 경우에 관하여도 적용한다. 부가적으로, 이것들은 원형 케이싱 포켓에 자유롭게 배치되므로, 파이프 단편 사이의 비틀림력을 흡수할 수 없고, 그 대신에 자유롭게 운동 할 수 있어서, 상기 비틀림력은 방해되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로 전달되고, 쉽게 후자를 손상시킬 수 있다. 비틀림력이 다른 구조의 형태 특히, 원주에 걸쳐 분포되는 개개의 쿠션을 갖는 구조내에서 흡수되는 정도까지, 원주 방향으로 비틀림 모멘트를 흡수하는 와이어 쿠션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상기 받침대는 추가적인 비용 인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따라서 값싸며 낮은 중량을 갖지만 발생하는 모든 운동 및 힘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장치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제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 주위에 맞물리고, 돌출부에 축방향으로 맞물리고 각각 파이프 단편에 연결되는 케이싱부를 가지며, 이 케이싱부의 돌출부의 근접부에서 그것의 원주에 걸쳐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와 같은 축방향으로 상기 2개의 케이싱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링부를 갖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해결된다.
상기 돌출부는 서로 축방향으로 맞물려지거나 또는 1개의 케이싱부의 2 개의 돌출부 사이에 남겨진 오목부는 나머지 1개의 케이싱부의 돌출부와 맞물려 진다. 상기 돌출부는 모두 상기 벨로우즈와 칼은 유연 관부로부터 동일한 방사형 공간을 가지고, 따라서 통상의 원주 표면에서 서로 맞물려진다.
한편으로 상기 링부의 탄성 또는 강성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는 상이하지만 조화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부는 감쇠부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즉 감소된 강성을 갖는다. 이것은 임의적으로 약간 유연할 수 있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를 어느 정도로 탄력적이고, 임의적으로 감쇠되고 탄성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결과로 배기 시스템의 작동중에 양측은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링부는 와이어로부터 짜여진 편평한 밴드 또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자는 상기 케이싱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그 만곡부가 일정한 지름을 갖는 밀폐된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임의적으로 시누소이달 가이드(sinusoidal guide)를 갖는 스프링 링 또는 와셔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개개의 회전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관은 같은 축을 갖는 방식으로 벨로우즈를 둘러싼다.
상기 케이싱부 및 특히 이것의 돌출부가 구부러지기 쉽게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링부는 강성의 금속 링과 같이 완전히 강성적일 수 있다.
상기 링부는 연속적인 링부 또는 임의적으로 연속적인 밴드인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링부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자유단부 또는 밴드 형상의 부재는 제륨 장치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는 시누소이달구조(sinusoidal construction)를 가지며 서로 맞물려지는 반면에, 방사상의 돌출부에 있어서 이것은 또한 직각으로 및 같은 축 방향으로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 사이의 원주의 공간은 5° 및 20°의 사이어야 하고 특히, ± 5° 의 케이싱부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허용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링부는 수많은 다른 방법으로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에 고정될 수 있다. 첫째로, 이것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축방향의 각도 및 변위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의 주위에 짜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부가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에 국부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회전 운동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지는 축방향에 대하여 고착되고/고착되거나, 동일한 것에 관하여 상대적인, 각 이동에 대하여(회전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 상에서 고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에 형성 된 그루브 또는 그루브 부분에 삽입된다.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에 고정되는 클립은 상기 링부의 위로 국부적으로 맞물리고/맞물리거나 상기 링부는 점 용접(spot welding)에 의하여 케이싱 부품의 돌출부에 연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그루브는 시누소이달하게 구성되는 돌출부와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려지는 상기 케이싱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그루브 또는 슬릿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로부터 뚫려진 텅은 링 부품의 위로 돌출하고, 동일한 것을 고착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링부는 원칙적으로 상기 케이싱부의 주위 즉, 그 외측에 놓여지는 반면에,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 내에 위치하고, 이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내측으로부터 그 아래로 맞물려지며 동일물을 보유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링부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에 배치되고 고정되는 U자 형상부 내에 유지되며, 임의적으로 U자 형상부의 다리의 자유 단부는 서로에 대하여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순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저렴한 장치를 유도하며, 여기서 흡수되어야 하는 힘의 적용은 상기 케이싱부 또는 링부의 강성을 통하여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청구 범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하 기술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배기시스템의 파이프의 관절 연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3)에 의하여 유연한 관절 연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 단편(1,2)을 갖는다. 상기 파이프 단편(1)은 지점(4)에서 점점 가늘어지고, 상기 파이프 단편(2)의 근접부로 상기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3)의 내부로 숄더(5)를 가지고 돌출한다. 케이싱부(6,7)는 상기 파이프 단편(1,2)상에 외부에서 장착되고, 영역(A; 제1도)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며,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8,9)는 원주에 간격(B)을 가지고, 이것은 상기 케이싱부(6,7)의 상대적 회전을 5° 내지 20°정도, 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5°정도 가능하게 한다.
중첩 영역(A)에서 상기 2개의 케이싱부(6,7)는 이것과 주위로 맞물리는 케이블의 형태의 링부(10)에 의하여 둘러싸여진다. 상기 링부(10)는 첫째로 케이싱부(6,7)의 돌출부(8,9)로부터 뚫린 텅(11)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텅(11)은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대하여 각도 방향으로 즉, 확실히 둘러싸는 링부(10)를 고칙시킬 수 있다.
감쇠-유연 링부(10)에 의하여 모든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 즉 상기 2개의 파이프 단편(1,2)의 축 방향의, 각도의 및 변위 운동는 감쇠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흡수되어, 상기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3) 상에서 완전히 작용하지 않는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회전 운동에 있어서도 적용하며, 상기 링부(10)는 텅(11)에 의해 확실히 고착되어 설치된다.
파이프 단편으로부터 시작된 운동 또는 힘은 이것이 케이싱부로 전달되어 나머지 1개의 파이프 단편으로 전달될 수 있기 전에, 최초로 상기 링부(10)의 강성을 극복해야 한다. 상기 케이싱부는 서로 너무 연결되지 않아서, 개시된 응력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배기 기스템에서 감소된다. 또한, 진동도 감소된다. 상기 링부의 강성에 따라서, 적은 운동만이 적은 힘을 일으키며, 이것은 더 작은 운동만이 전달되게 한다.
제2도에 의한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 부품(6,7)의 축방향으로 중첩하거나 또는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8,9)에서 그루브 또는 그루브 부분(12)은 그들의 원주 방향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링부(10)는 회전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부의 돌출부(8,9)에 고정되는 클립에 의하여 위로 맞물릴수 있거나 또는 돌출부(8,9)에 국부적으로 점 용접될 수 있다.(제2도)
제3도에 실시예에 있어서, 개개의 슬릿(14)이 상기 돌출부(8,9)에 형성되고, 상기 링부(10)는 여기에 국부적으로 삽입되고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제3도), 일단 클립(13) 또는 점 용접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부(10)의 자유단부는 링부 결속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케이싱부(6,7)내에 위치된다. 스프링 및 감쇠 작용을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 부(7)의 돌출부(8,9)의 가장 외측 단부는 상기 링부(10)의 주위 및 아래로 구부려져 있어서 아래로 맞물리며, 따라서 상기 케이싱부(6,7)의 내부로부터 후자를 지지한다. 회전력이 흡수되는 것이 의도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8,9)의 굽어진 둥근 영역은 상기 링부 내로 국부적으로 눌려질 수 있거나 또는 후자는 돌출부(8, 9)에 국부적으로 점 용접될 수 있다.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횡단면적으로 U자 형상부(16)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상기 케이싱부(6, 7)의 돌출부(8, 9)에 고정된다. 상기 형상부(16)에는 이 형상부(16)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링부(10)가 배치된다. 상기 형상부(16)의 자유 다리의 단부(17)는 상기 링부(10)를 붙잡을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구부러져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링부(10)는 상기 돌출부(8, 9)의 근접부에서 상기 케이싱부(6, 7)에 고정되는 텅(18)에 의해 비틀림 모멘트에 대하여 고착된다.
본 발명이 지금까지 감쇠되는-유연 링부에 의해 상술된 반면에, 이것은 또한, 다른 감쇠되는 유연성 원형 또는 환상 부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케이싱부(6, 7)의 주위 특히,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상기 돌출부(8, 9) 예를 들어 편평하게 짜여진 와이어 밴드, 스프링 링, 또한 시누소이달하게 안내되는 나선형 스프링 근접부에 위치될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케이싱부(6, 7) 및 특히 그 돌출부(8, 9)는 강성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매우 높은 강성을 갖는다. 또한, 이것은 상기 케이싱부(6, 7) 위 또는 특히 그 돌출부(5, 9) 위에 감쇠되는 유연 특성, 즉 감소되는 강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우에, 동일물 주위에 맞물리는 부품은 또한 강성 링일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진동 운동이 흡수되고 전달되는데, 예를 들어 각 운동의 경우에 자유 단부(8),(9)는 상기 운동이 일어나는 평면의 작용으로서 탄성적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6, 7)의 돌출부(8, 9) 주위에 맞물리는 원형 부재 연속적인 링과 같이, 연속적인 부재가 될 수 있는 반면에, 또한 고정 장치에 는 의해 연결되는 단부에 그것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4)

  1. 벨로우즈와 같은 유연 관부에 의해 연결되는 파이프 단편을 포함하는, 자동차용과 같은 배기 시스템의 파이프의 관절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벨로우즈와 같은 상기 유연 관부(3) 주위에 맞물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돌기부(8, 9)를 포함하고 서로 축 방향으로 맞물리는 케이싱부(6, 7)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부(6, 7)는 각각의 파이프 단편에 연결되고, 이 케이싱부(6, 7)의 돌기부(8, 9)의 근접부에서 그것의 원주에 걸쳐 상기 2개의 케이싱부(6, 7)를 연결하기 위하여 벨로우즈와 같은 상기 유연 관부(3)에 대하여 같은 축 방향으로 장치되는 적어도 1개의 링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는 탄성의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케이블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와이어로 짜여진 평편한 밴드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상기 케이싱부(6,7)의 주위에 놓여지며 만곡부가 일정한 지름을 갖는 밀폐된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스프링 링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시누소이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강성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강성의 금속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연속적인 링부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의 자유 단부는 고정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7)는 시누소이달 돌기부(8,9)에 축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7)의 서로 맞물리는 돌기부(8,9)는 방사상의 돌기부에서 직각이고, 같은 축방향으로 벨로우즈와 같은 상기 유연 관부(3)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는 원주상으로 5° 내지 20°의 자유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상기 돌기부(8,9) 상에서 미끄러지는 축에 대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회전에 대한 상대적인 각 운동에 대하여 돌기부 상에서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에 형성되는, 원주적으로 향해지는 그루브 또는 그루브 부분(1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에 고정되는 클립(13)은 상기 링부(10)의 위로 국부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점 용접에 의해 상기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로부터 뚫어진 텅(11)은 상기 링부(10)위로 맞물려지고 상기 링부(1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장치.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에 원주적으로 확장하는 슬릿(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상기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내에 놓여지며, 이 돌기부(8,9)의 자유 단부는 내측으로부터 동일물 아래로 맞물리고, 이 동일물을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10)는 상기 케이싱부(6,7)의 돌기부(8,9) 위에 장치되고 고정되는 U자 형상부(16)에 삽입되고 고정되며, 임의적으로 상기 U자 형상부(16)의 다리(17)의 자유 단부는 서로에 대하여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KR1019940001740A 1993-02-06 1994-01-31 배기시스템의파이프의관절연결장치 KR100304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03482.9 1993-02-06
DE4303482 1993-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149B1 true KR100304149B1 (ko) 2001-12-15

Family

ID=647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740A KR100304149B1 (ko) 1993-02-06 1994-01-31 배기시스템의파이프의관절연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03044A (ko)
JP (1) JP3507539B2 (ko)
KR (1) KR100304149B1 (ko)
BR (1) BR9400431A (ko)
DE (1) DE4401827C3 (ko)
FR (1) FR2701304B1 (ko)
IT (1) IT12695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751A (ko) * 1998-10-22 2000-05-15 윤종용 벨로우즈 관
KR100969468B1 (ko) * 2008-02-18 2010-07-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료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0264C1 (de) * 1995-01-06 1996-07-11 Iwk Regler Kompensatoren Vorrichtung zur beweglichen Verbindung von Leitungsenden
DE29509434U1 (de) * 1995-06-08 1996-08-01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Entkopplungselement für Schwingungen in Rohrleitungen
DE19544576A1 (de) * 1995-11-30 1997-06-05 Opel Adam Ag Biegsame Rohrverbindung für Abgasrohre
DE29611142U1 (de) * 1996-06-25 1996-09-05 Burgmann Dichtungswerk Feodor Entkopplungselement für Schwingungen in Rohrleitungen
DE19707813C2 (de) * 1997-02-27 2000-02-03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Rohrteilen
KR100281630B1 (ko) * 1998-01-20 2001-02-15 김용호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DE59804449D1 (de) 1998-12-03 2002-07-18 Burgmann Dichtungswerke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Schwingungen in Rohrleitungen, insbesondere Abgasanlagen
KR100602770B1 (ko) * 2004-07-20 2006-07-20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US20060197340A1 (en) * 2005-03-03 2006-09-07 Katayama Kogyo Co., Ltd. Flexible joint for exhaust pipe
KR100735940B1 (ko) * 2005-06-15 2007-07-06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US7484773B2 (en) * 2006-09-22 2009-02-03 Kellogg Brown & Root Llc Self purging expansion joint
US8500172B2 (en) * 2008-05-13 2013-08-06 American Boa, Inc. Double cover-center cushion decoupler
JP4815522B2 (ja) * 2009-09-30 2011-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FR2981692B1 (fr) * 2011-10-20 2013-12-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 echappement d un vehicule automobile
CN102620103A (zh) * 2012-03-31 2012-08-01 南通三创机械制造有限公司 一体成型耐磨金属波纹管膨胀节
JP6414675B2 (ja) * 2014-08-29 2018-10-31 株式会社ユタカ技研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9821A (ja) * 1987-11-04 1989-05-11 Hitachi Ltd 音声登録再生装置
JPH0349316A (ja) * 1989-07-17 1991-03-04 Oki Electric Ind Co Ltd 信号レベル変換回路
JPH04331891A (ja) * 1991-05-01 1992-11-19 Toyota Motor Corp 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486A (en) * 1914-03-20 1916-07-18 Edward B Tyler Expansion-joint.
FR708598A (fr) * 1930-12-30 1931-07-25 Berlin Karlsruher Ind Werke Ag Soufflet métallique sans soudure pour de hautes pressions
US2865403A (en) * 1957-05-07 1958-12-23 Litton Ind Of California Flexible pressurized conduit
GB962639A (en) * 1960-02-24 1964-07-01 Richardsons Westgarth &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ucts connected together by flexible joints
US3768843A (en) * 1970-01-13 1973-10-30 Laval Turbine Tubing coupling
DE2156513C3 (de) * 1971-11-10 1975-03-13 Wilson A. Westminster Calif. Burtis (V.St.A.) Biegsame 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Rohrleitung steile
IT956744B (it) * 1972-06-21 1973-10-10 Camossi C Supporto antivibrante e antiurto con elementi a cavo metallico
CH592839A5 (ko) * 1976-02-03 1977-11-15 Bbc Brown Boveri & Cie
FR2360028A1 (fr) * 1976-07-30 1978-02-24 Peugeot Cycles Articulation pour tuyau et notamment pour tuyau d'echappement de vehicule automobile
DE8222490U1 (de) * 1982-08-10 1982-11-11 IWK Regler und Kompensatoren GmbH, 7513 Stutensee Ein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von motor und abgasanlage
JPS60104889A (ja) * 1983-11-14 1985-06-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ベロ−ズ継手
DE3671091D1 (de) * 1985-02-04 1990-06-13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Biegbares wellrohr mit zueinander parallelen, ringfoermigen wellen und axialabstuetzung.
US4643463A (en) * 1985-02-06 1987-02-17 Pressure Science Incorporated Gimbal joint for piping systems
JPS6217489A (ja) * 1985-07-13 1987-01-26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ベロ−ズ型管継手
JPH061115B2 (ja) * 1985-08-23 1994-01-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ジンバル型ベロ−ズ継手の過大変位防止構造
FR2645939B1 (fr) * 1989-04-18 1991-06-21 Tubest Sa Moyens de raccordement articule pour tuyaux
JPH0365817U (ko) * 1989-10-30 1991-06-26
WO1992007211A1 (en) * 1990-10-10 1992-04-30 Stainless Steel Products, Inc. Pivot pin construction for gimbal joint assembly
JPH0487326U (ko) * 1990-11-30 1992-07-29
JPH0491223U (ko) * 1990-12-25 1992-08-10
JPH086584B2 (ja) * 1991-07-02 1996-01-24 株式会社三五 自動車用排気管において管部分を運動可能に結合する装 置
FR2684052B1 (fr) * 1991-11-22 1997-05-30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Dispositif pour relier par articulation des organes d'une ligne d'echappement, notamment d'un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9821A (ja) * 1987-11-04 1989-05-11 Hitachi Ltd 音声登録再生装置
JPH0349316A (ja) * 1989-07-17 1991-03-04 Oki Electric Ind Co Ltd 信号レベル変換回路
JPH04331891A (ja) * 1991-05-01 1992-11-19 Toyota Motor Corp 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751A (ko) * 1998-10-22 2000-05-15 윤종용 벨로우즈 관
KR100969468B1 (ko) * 2008-02-18 2010-07-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료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40195A1 (it) 1995-08-03
DE4401827C3 (de) 2003-06-18
FR2701304A1 (fr) 1994-08-12
DE4401827A1 (de) 1994-08-11
IT1269503B (it) 1997-04-01
BR9400431A (pt) 1994-08-23
US5403044A (en) 1995-04-04
FR2701304B1 (fr) 1995-12-22
DE4401827C2 (de) 1997-09-11
ITMI940195A0 (it) 1994-02-03
JP3507539B2 (ja) 2004-03-15
JPH0771670A (ja) 199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149B1 (ko) 배기시스템의파이프의관절연결장치
KR100234836B1 (ko) 가요성 커플러 장치
EP1056934B1 (en) Exhaust decoupler system
US5437479A (en) Flexible connection arrangement for the two pipe portions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 exhausts
US5090746A (en) Hinged joint for pipes
US6902203B2 (en) Exhaust pipe decoupler for vehicles
US5506376A (en) Apparatus for absorbing vibrations in an exhaust system of a vehicle
US5967193A (en) Flexible pipe unit for use in exhaust pipe line of automotive engine
US6354632B1 (en) Exhaust decoupler system
KR950008924A (ko)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가요성 죠인트
US5992896A (en) Flexible coupler apparatus
KR20160018561A (ko) 가요성 도관 요소
EP1908936B1 (en) Flexible conduit element
US6047993A (en) Arrangement for connection pipe pie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010419B2 (ja) 摩擦クラッチのための捩じり振動止め機構
KR100602770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JPH08233175A (ja) 導管端部を運動可能に結合する装置
RU2064117C1 (ru) Подвижное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EP0736679B1 (en) Flexible tubular coupling member, for a motor-vehicle exhaust system
KR100361078B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RU20681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иж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0150355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JP2847223B2 (ja) 排気管用継手
JPH116428A (ja) 振動吸収機構
KR200243764Y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