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977B1 - 칼라전자사진장치 - Google Patents

칼라전자사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977B1
KR100297977B1 KR1019970015189A KR19970015189A KR100297977B1 KR 100297977 B1 KR100297977 B1 KR 100297977B1 KR 1019970015189 A KR1019970015189 A KR 1019970015189A KR 19970015189 A KR19970015189 A KR 19970015189A KR 100297977 B1 KR100297977 B1 KR 100297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toner
image
photoconductor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166A (ko
Inventor
하지메 야마모토
히로시 데라다
노보루 가타카베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01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88398A/ja
Priority claimed from JP8112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974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8161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0825A/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7007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09Single transfer point used by plural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6Rotating set of recording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전자사진 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현상기의 크기는 토너 소모량에 따라서 가변시킴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축소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향상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다른 칼라 현상기 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하나의 칼라 현상기를 구비한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레이저 노광장치로부터 투사된 레이저 신호를 원주형의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중심부에 있는 미러에 다다르게 하는 제 1 광로와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신호가 두 개의 이웃한 현상기 간에 형성된 화상 형성위치에서의 화상형성부의 광전도체에 다다르게 하여 상기 광전도체를 노광시키는 제 2 광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칼라 프린터, 칼라 복사기 및 칼라 팩시밀리에 적용가능함.

Description

칼라 전자사진 장치
제1도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
제7a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전사 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7b도는 제7a도의 일점쇄선 ⅦB로 둘러싸인 부분을 도시한 분해도.
제8a도는 화상 형성부가 화성형성 위치에 놓이기 전에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오목부(66)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상세도.
제8b도는 화상 형성부가 화성형성 위치에 놓인 후에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오목부(66)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상세도.
제9a도는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일정 회전속도를 갖기 전에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오목부(66)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상세도.
제9b도는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일정 회전속도를 가진 후에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오목부(66)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상세도.
제10도은 제5도의 오목부(66)에 위치한 중간 전사드럼을 도시한 사시도.
제11도은 제5도에 도시된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토너가 잘 부착되지 않는 액셉터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상세도.
제12도는 제5도에 도시된 유기성 광전도체(54), 전사 드럼 (64), 및 현상 로울러(76)의 직경을 도시한 상세도.
제13a도는 직경 40 mm 이상의 유기성 광전도체와 직경 144 mm의 전사드럼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3b도는 직경 24 mm 이상의 유기성 광전도체와 직경 144 mm의 전사드럼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4도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준비된 칼라 전사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
제15a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옐로우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5b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마젠타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6a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시얀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6b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블랙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7a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옐로우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7b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마젠타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8a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시안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8b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블랙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9a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옐로우 화상형성 과정에서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19b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마젠타 화상형성 과정에서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20a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시안 화상형성 과정에서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2Ob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블랙 화상형성 과정에서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21a도는 제20b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현상 로울러의 주변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
제21b도는 옐로우 화상형성부가 화상형성 위치에 놓일 때, 제14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옐로우 토너 덩어리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
제22a도는 제18b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현상 로울러의 주변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
제22b도는 옐로우 화상형성부가 화상형성 위치에 놓일 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현상 로울러의 주변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
제23도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분리 토너 저장부를 도시한 상세도.
제24도는 원통형 횡단면을 가진 화성형성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서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
제25도는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케이스 1A : 전면판
1B : 힌지축 1C : 후부판
2 : 중간전사 벨트부 3 : 중간전사 벨트
4 : 제 1 전사 로울러 5 : 제 2 전사 로울러
6 : 인장 로울러 7 : 벨트 클리너
8 : 폐토너 박스 9 : 풀 폐토너 검출기
10 : 백업 로울러 11 : 위치검출기
12 : 전면 커버 13 : 후면 커버
14Y, 14M, 14C, 14BK : 화상형성부 15 : 화상형성부 결합부
16 : 구동모터 17 : 원통형 축
18 : 화상형성 위치 19 : 레이저 신호
20 : 광전도체 21 : 코로나 대전기
22 : 그리드 23 : 노광입구
24Y, 24M, 24C, 24BK : 현상기 25BK : 토너 호퍼
26 : 현상로울러 27 : 자석
28 : 블레이드 29BK : 마이너스대전 블랙토너
3OBK : 2성분 현상제 32 : 클리너부
33 : 러버 클리닝 블레이드 34 : 폐토너 박스
36 : 제 3 전사 로울러 37 : 방전핀
38 : 용지 39 : 레이저 노광장치
39a : 스캐너 모터 39b : 폴리건 미러
39c : 렌즈 시스템 40 : 광로 입구
41 :개구 42 : 미러
43 : 급지 로울러 44 : 정착기
51 : 외부 케이스
52Y, 52M, 52C, 52BK : 화상형성부 53 : 화상형성부 결합부
54 : 광전도체
55BK, 55Y, 55C, 55M : 칼라 현상기 57 : 원통형 축
58 : 레이저 노광장치 59 : 레이저 신호
60 : 광로입구 61 : 미러
62 : 노광입구 63 : 화상 형성위치
64 : 전사드럼 64a : 드럼본체
65a : 탄성폼층 65b : 폴리비닐플루오르막
66 : 오목부 67 : 용지 픽업로울러
68 : 용지분리 대전기 69 : 분리 못
70 : 클리너 72 : 정착기
73 : 용지 74 : 용지 카세트
76 : 현상로울러 77 : 공급로울러
78 : 탄성 블레이드 79BK : 블랙 토너
80 : 고전원전원 공급기 81 : 러버 클리닝 블레이드
82 : 폐토너 83 : 폐토너 박스
84 : 점선 85 : 에지테이터
86 : 블레이드 보호부 87a : 고정항층
88 : 전사부 89 : 트랜스페어런시
101 : 중간전사 벨트부 102 : 중간 전사벨트
103 : 제 1 전사로울러 104 : 제 2 전사로울러
105 : 클리너 106 : 폐토너 박스
107BK, 107C, 107M, 107Y : 화상형성부 108 : 화상형성부 결합부
109 : 원통형 축 110 : 화상형성위치
111 : 레이저 신호 112 : 레이저 노광장치
114 : 미러 115 : 노광 입구
116 : 현상기 117 : 클리너부
118 : 광전도체 151 : 원통형 축
152M, 152Y, 152M : 화상형성부 153 : 화상형성부 결합부
154 : 광전도체 156 : 클리너부
156a : 갭 164 : 전사드럼
176 : 현상로울러 177 : 공급로울러
178 : 탄성 블레이드 181 : 클리닝 블레이드
182 : 폐토너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칼라 프린터, 칼라 복사기 및 칼라 팩시밀리에 적용가능한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풀 칼라 화상은 블랙, 옐로우, 마젠타 및 시얀 토너의 화상을 겹침으로써 페이퍼 용지와 같은 액셉터 용지 상에 형성된다.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화상 겹침부에 전사 벨트를 사용하는 연속형 전사 형태와, 그 화상 겹침부에 전사 드럼을 사용하는 전사드럼 형태를 가진다.
일본 특개평 제 7-36246호에 개시된 종래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를 제 2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5 도는 종래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이다. 제 25 도에 도시된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화상 겹침부에 전사 벨트를 사용하는 연속형 전사 형태이며, A4 크기 (210 × 297 mm)의 용지까지 프린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적용될 것이며, 토너 칼라가 구분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옐로우를 Y, 마젠타를 M, 시안을 C, 블랙을 BK와 같은 문자로 지정하여 참조 부호에 추가되어 설명될 것이다.
제 25 도에서, 중간 전사 벨트부(101)는 중간 전사벨트(102), 제 1 전사로울러(103), 제 2 전사로울러(104), 클리너(105)와 폐토너 박스(106)를 포함한다. 그 구조에서, 풀칼라 화상은 상기 중간 전사벨트(102)상의 상기 4가지 칼라의 토너 화상을 겹침으로써 형성된다.
제 2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토너용의 동일한 형상을 가진 4개의 세트로 된 화상형성부(107BK, 107C, 107M, 및 107Y)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부(107BK, 107C, 107M, 및 107Y)는 실질적으로 링 형태로 배열되어 원통형의 화상형성부 결합부(108)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부(107BK, 107C, 107M, 및 107Y)의 각각은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화상형성부(107BK, 107C, 107M, 및 107Y)는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구동부와 전기부에 결합되어서, 화상형성부(107BK, 107C, 107M, 및 107Y)는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일체화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08)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107BK, 107C, 107M, 및 107Y) 각각은 링과 같은 형태로 배열된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화상형성부(108)로의 결합은 구동모터 (미도시)에 의해 실행되어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08)는 자신의 중심부에 위치한 원통형 축(109)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원통형 축(109)은 상기 종래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외부 케이스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각각의 토너 화상이 형성될 때, 상기 화상형성부(107BK, 107C, 107M, 및 107Y)는 회전하여 각 광전도체(118)들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102)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전사 로울러(103)에 접해진 화상형성 위치(1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 위치(110)는 레이저 노광장치(112)로부터 레이저 신호(111)가 광전도체(118)를 노광하는 노광위치이다.
제 2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노광장치 (112)는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하부 측에 위치한다. 제 25 도의 일점쇄선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노광장치(112)로부터 투사된 레이저 신호(111)는 마젠타 화상형성부(107M)와 시안 화상형성부(107C) 간의 광로의 입구(113)를 통해 상기 축(109) 상에 형성된 개구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신호(111)는 상기 축(109)에 고정된 미러(114)에 의해 반사된다. 상기 미러(114)에 의해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111)는 상기 화상형성부(107BK)의 노광 입구(115)를 통해 화상형성 위치(110)에 위치한 상기 화상형성부(107BK)에 진입하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부(107BK)에 진입된 상기 레이저 신호(111)는 상기 현상기(116)와 클리너부(117) 간의 광로를 통해 상기 광전도체(118)의 노광될 측면부를 투사하게 된다 상기 광전도체(118)를 투사한 레이저 신호(111)는 상기 광전도체(118) 상에 발생선 방향으로 스캔되어서 광전도체(118)가 노광되고 그 위에 블랙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광전도체(118) 상에 형성된 블랙 토너 화상은 상기 중간 전사벨트(102)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중간 전사벨트(102)에 전사된다.
결국,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08)는 90 °정도로 시계 방향(화살표 "Y"로 표시)으로 회전하여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07Y)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110)에 놓이게 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블랙 토너 화상에 대한 화상형성 과정 동작과 유사한 동작 방식으로 실행되어서, 옐로우 토너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벨트(102) 상에 전사된 블랙 토너 화상 상에 겹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블랙 토너 화상 또는 옐로우 토너 화상에 대한 화상형성 과정 동작과 유사한 동작 방식이 마젠타 및 시안 화상형성부(107M 및 107C)에서 실행된다. 그 결과, 풀 칼라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102) 상에 형성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102) 상의 풀 칼라 화상이 제 2 전사 로울러(119)에 의해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공급되는 용지 상에 전사되며, 또한 그 용지 상에 전사된 풀 칼라화상이 정착기(120)에 의해 정착된다.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각 칼라에 대한 4개의 현상기(116)가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토너가 동일한 비율로 소모된다는 전제하에 근거되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등에 의한 실험적인 조사에서, 각 칼라는 다른 소모량을 보여주며, 특히, 블랙 토너가 다른 칼라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이 소모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므로, 종래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블랙 토너를 다른 칼라보다 더 빈번하게 공급할 필요가 있으므로 관리에 어려움을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종래의 연속 전사 형태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각 4개의 광전도체(118)는 중간 전사벨트(102)에 접촉하여 반복적으로 상기 중간 전사벨트(102)로부터 분리되도록 된다. 그러므로, 높은 장력으로 신장되는 중간 전사벨트(102)로 인해 진동이 발생되어, 화상을 흔들리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상기 중간 전사 벨트(102)를 신장하기 위한 로울러 축들간에 긴 거리를 가지는 장치에 있어서, 그 진동의 증폭 크기는 상당히 크게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현상기, 대전기 및 광전도체 세트를 각각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다른 나머지의 중심각과 다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중심각을 가지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겹침부와;
프린트될 토너 화상에 따라 레이저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레이저 노광장치와;
서로 이웃한 상기 두 개의 화상형성부 간에 제 1 광로와 제 2 광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광로 상에는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로부터 투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가 상기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중심부분에 반사되며, 상기 제 2 광로 상에는 반사된 레이저 신호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기 광전도체를 노광하는 광로형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현상기의 크기는 토너 소모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의 크기 축소는 생산성과 경제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현상기, 대전기 및 광전도체 세트를 각각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와;
상기 화상 겹침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화상 겹침부의 외주부의 일부 상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상기 화상 겹침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화상 겹침부의 외주부의 일부 상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화상 겹침부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광전도체 상의 흠 발생이 방지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현상기, 대전기 및 광전도체 세트를 각각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도체는 1/5 이하의 직경을 가진 화상 겹침부에 대해, 상기 광전도체의 직경의 정수에 의해 표시된 비율을 가지는 원주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광전도체는 상기 화상 겹침부의 직경 크기의 1/5 크기 또는 정수에 의해 표시된 비율로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원주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고 화질의 칼라 프린트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전사 시에 흩어져 있는 토너에 의해 야기되는 문자의 뭉그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현상기, 대전기 및 광전도체 세트를 각각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형성 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현상기는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광전도체의 선단속도와 동일한 속도에서 회전하는 원주형의 토너 이송부 상에 비자기성 토너 박막층을 형성하며, 상기 토너 이송부의 외주 길이는 상기 광전도체의 외주 길이에 대한 정수 이상의 1의 분수로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상기 화상 겹침부의 외주 길이에 대한 정수이상의 1의 분수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현상기는 원통형의 토너 이송부 상에 비자기성 토너의 박막층을 형성한다. 상기 토너 이송부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는 동일한 선단 속도로 회전하나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더욱이, 상기 토너 이송부는 상기 광전도체의 외주 길이에 대한 정수 이상의 1의 분수로 나타내지는 외주 길이뿐만 아니라 상기 화상 겹침부의 외주 길이에 대한 정수 이상의 1의 분수로 나타내지는 외주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토너 이송부의 불규칙한 회전 또는 탄성 블레이드 상에 압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흠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현상기, 대전기 및 광전도체 세트를 각각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형성 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현상기는 비자기성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호퍼와, 토너 이송부 상에 토너 박막층을 형성하는 탄성 블레이드와, 상기 탄성 블레이드에 대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위치에 배열된, 상기 토너 호퍼로부터 상기 탄성 블레이드로의 토너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블레이드 보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현상기는 비자기성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호퍼와, 토너 이송부 상에 토너 박막층을 형성하는 탄성 블레이드와, 상기 탄성 블레이드에 대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위치에 배열된, 상기 토너 호퍼로부터 상기 탄성 블레이드로의 토너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블레이드 보호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토너 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탄성 블레이드의 압력으로 발생되는 변형 또는 흠 발생이나 토너 공급 시에 발생되는 문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현상기, 대전기 및 광전도체 세트를 각각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보다 더 아래 방향으로 배열된 분리 토너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보다 더 아래 방향으로 배열된 분리 토너 저장부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로부터 떨어진 토너가 분리 토너 저장부에 모아지기 때문에, 본 장치에서의 떨어진 토너의 흩어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제 1 도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중간 전사 벨트부(2)가 화상 겹침부로써 사용된다. 또한,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최대 프린트 크기는 A4 용지 크기(210 × 297 mm)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적용될 것이며, 토너 칼라가 구분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옐로우를 Y, 마젠타를 M, 시안을 C, 블랙을 BK와 같은 문자로 지정하여 참조 부호에 추가되어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외부 케이스(1)는 전면판(1A)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판(1A)은 상기 외부 케이스(1)의 하부 모서리 측면에 위치한 힌지축(1B)을 중심으로 내려짐으로써 열려지고 올림으로써 닫혀지도록 설계된다. 상기 전면판(1A)이 열려지기 위해 내려진 상태가 제 1 도의 일점쇄선 1A'에 의해 표시된다. 중간 전사 벨트부(2)를 착탈 및 페이퍼 잼이 된 용지의 제거와 같은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유지보수 동작이 상기 장치의 내부를 완전히 열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1A)이 내려진 상태에서 실행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는 후에 언급될 화상형성부 결합부(15)의 유기성 광전도체(20)의 회전축에 평행하는, 발생 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가 상기 전면판(1A)으로부터 제거될 수가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는 중간 전사 벨트(3)와, 제 1 전사 로울러(4)와, 제 2 전사 로울러(5)와, 인장 로울러(6)와, 벨트 클리너(7)와, 폐토너 박스(8)와, 풀 폐토너 검출기(9)와, 백업 로울러(10)와, 위치 검출기(11)와, 전면 커버(12)와 후면 커버(13)로 구성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의 화상형성부 결합부(15)는 칼라 전자 사진 장치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는 각각의 토너 칼라,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에 대한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한 평면상에 절취된 횡단면도는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의 4가지 세트의 섹터 형상을 보여준다. 상기 화상형성부(l4Y, 14M, 14C 및 14BK)는 그 원통형의 형상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좁은 횡단면을 가진 갭부분을 가지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힌지축(1D)을 중심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1)의 후부측에 위치한 후부 판(1C)을 열어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의 소정 위치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화상 형성부(14Y, 14M, 14C 및 14BK)의 각각은 광전도체로써 작용하는 유기성 광전도체(20)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를 대전하는 코로나 대전기(21)와 현상기(24Y, 24M, 24C 및 24BK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 각각은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구동부와 전기부에 결합되어서, 화상형성부(l4Y, 14M, 14C 및 14BK)는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구동부와 전기부에 결합되고,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통합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l4Y, 14M, 14C 및 14BK) 각각은 링과 같은 형태로 배열될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는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는 상기 외부 케이스(1)에 고정된 원통형 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시계방향(화살표 "Q"에 의해 도시됨)으로 상기 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는 상기 제 1 전사 로울러(4)와 상기 제 2 전사 로울러(6)간의 전사 위치에 접한 상기 화상형성 위치 (18)에 연속적으로 위치하여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를 지지하게 된다. 각각의 유기성 광전도체(20)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 다다랐을 때,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는 레이저 노광장치(39)로부터 발생하는 레이저 신호(19)에 의해 투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원주 형태를 갖게 된다. 블랙 토너용 현상기(24BK)는 다른 현상기의 각 크기와 상이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각 크기를 가진다.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좁은 횡단면을 가진 갭부분을 가지고 서로 분리된 섹터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상기 화상 형성위치(18)에서만 화상을 형성하고 전사한다. 즉,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의 각각의 유기성 광전도체(20)는 상기 노광위치에서만 상기 레이저 신호(19)에 의해 노광되며,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전사위치에서만 상기 중간 전사벨트(3)로 전사된다.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C 및 14BK)는 제 2 도 및 제 3 도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화상형성부(l4Y, 14M, 14C 및 14BK)의 구조 및 동작이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4BK)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4BK)는 상기 현상기(24)의 크기에 있어서만 다른 화상형성부(14Y, 14M, 및 14C)와 차이가 있으며, 모든 화상 형성부는 사실상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이다.
제 2 도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는 감광 물질로써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바인더 수지 및 프타로시안닌(phthalocyanine)으로 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마이너스 대전을 위한 코로나 대전기(21)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주변 위치에 제공된다. 그리드(22)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에 접한 위치에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대전 전위를 일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로나 대전기(21)에 구비된다.
제 2 도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신호(19)가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39)(제 1 도에 도시됨)로부터 투사되어서, 상기 화상형성부(14BK)의 개구인 노광 입구(23)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부(14BK)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부(14BK)는 블랙용 칼라 현상기(24BK)를 구비한다. 이 블랙용 칼라 현상기(24BK)는 토너 호퍼(25BK), 현상 로울러(26), 자석(27) 및 블레이드(28)를 포함한다.
상기 블랙용 토너 호퍼 (25BK)는 페라이트 이송부와 마이너스 대전 블랙 토너(29BK)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2성분(two-component) 현상제(30BK)를 저장한다. 상기 블랙토너(29BK)의 예로서, 분산된 블랙색소를 가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이송부는 표면상에 실리콘 수지로 코팅된 500㎛의 분자 크기를 가진다. 상기 2성분 현상제(30BK)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를 현상하기 위해, 상기 토너 이송부인 상기 현상 로울러(26)의 표면 상에 이송된다. 고 전원전압 공급기(31)로부터 소정 전압이 상기 현상 로울러(26)로 인가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 상의 토너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에 전사된 후에, 상기 광전도체(20)의 표면 상에 남아 있는 토너가 클리너부(32)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클리너부(32)는 러버 클리닝 블레이드(33)와 폐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폐토너 박스(34)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유기성 광전도체(20)는 30 mm의 직경 크기를 가지며 제 2 도에 도시된 화살표 "R"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100 mm/s의 선단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에 접하게 위치한 상기 원통형 현상 로울러(26)는 16 mm의 직경 크기를 가지며 제 2 도에 도시된 화살표 "P"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140 mm/s의 선단 속도로 회전된다.
제 3 도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이다. 상기 마젠타 및 시안 화상형성부(14M 및 14C)는 제 3 도에 도시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4Y)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3도에 있어서, 옐로우 현상기(24Y)는 제 2도에 도시된 블랙 현상기(24BK)와 크기에 있어서 다르나, 사실상 다른 구조상에서는 동일하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4BK)는 120 °의 스프레딩 각(S)(중심각)을 가진 커다란 섹터형태를 가진다. 그 120 °의 스프레딩 각에서, 상기 클리너부(32)의 중심각은 약 30 °이며 상기 블랙 현상기(24BK)의 중심각은 약 90 °이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부(14Y)의 스프레딩 각(S')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 °이다. 그 80 °의 스프레딩 각에서, 상기 클리너부(32)의 중심각은 약 30 °이며 상기 옐로우 현상기(24BK)의 중심각은 약 50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너부(32)의 중심각은 동일하나, 상기 블랙 토너 호퍼(25BK)는 다른 세 개의 토너 호퍼((25Y, 25M 및 25C)의 1.8배의 용량을 가진다. 블랙토너의 소모량이 다른 세 개의 칼라 토너보다 일반적으로 많기 때문에, 그러한 큰 크기의 블랙 토너 호퍼(25BK)로 인해 블랙 토너의 공급 빈도가 상당히 줄어들어서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관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동일한 구성부가 상기 클리너부(32)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를 포함하여 많은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생산성과 경제성에 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하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를 통한 칼라 겹침 동작이 제 1 도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는 상기 외부 케이스(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는 상기 전면판(1A)을 내려서 열리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 케이스(1)의 소정 위치에서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가 상기 외부 케이스(1)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분리될 때, 상기 중간 전사 벨트부(2)의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후면 커버(13)는 이동하여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측으로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를 노광시키지 않도륵 한다.
상기 중간 전사벨트부(2)가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소정 위치에서 칼라 겹침 동작을 실행할 때, 상기 전면 커버(12)와 상기 후면 커버(13)는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들로 이동하여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3)가 노광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는 100 ㎛의 두께를 가진 무단 벨트 형태를 가진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는 PFA 및 PTFE와 같은 플로라인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된 표면층을 가진, 베이스 물질로써 반도체 폴리카보네이트를 가진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의 전체 두께는 100 내지 500 ㎛이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는 제 1 전사 로울러(4), 제 2 전사 로울러(5), 인장 로울러(6)와, 백업 로울러(10) 상에 놓이며 제 1 도에 도시된 화살표 "T"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는 360 mm의 외주 길이를 가지는 데, 이 길이는 A4 용지 크기의 세로 길이(297 mm)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직경 30 mm)의 외주 길이의 절반보다 약간 긴 길이(63 mm)를 더하여서 얻어진 길이를 가리킨다. 상기 제 2 전사 로울러(5)와 상기 제 3 전사 로울러(36)가 서로 접촉한 위치와 상기 벨트 클리너(7)와 상기 백업 로울러(10)가 서로 접촉한 위치 사이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의 길이는 55 mm가 되는 데, 이 길이는 상기 언급된 63 mm의 길이보다 다소 짧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의 이동 속도는 상기 토너 화상에서의 부분적인 전사 에러를 막기 위해, 상기 화상형성부(14Y, 14M, 14, 및 14BK) 각각의 화상형성 속도, 즉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100 mm/s의 선단 속도 보다 1.5%만큼 더 빠르도록 설정된다. 상기에서 이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발명자등은 부분적인 전사 에러가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 3 전사 로울러(36)와 접촉하도록 배열된 방전핀(37)은 용지(38)가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토너 화상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한 이유로 인해, 상기 제 3 전사 벨트(3)의 이동 속도는 상기 토너 화상에서의 부분적인 전사 에러를 막기 위해,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의 이동 속도보다 1.5%만큼 더 느리도록 설정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레이저 노광 장치(39)는 반도체 레이저(미도시), 스캐너 모터(39a), 폴리건 미러(39b), 및 렌즈 시스템(39c)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39)로부터, 상기 레이저 신호(19)가 화상형성의 화상 신호에 따라서 투사된다. 상기 투사된 레이저 신호(19)는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4BK)의 상기 현상기(24BK)와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4Y)의 상기 클리너(32Y) 사이에 형성된 광로의 입구(40)를 통과한다. 상기 레이저 신호(19)는 상기 축(17)의 일부 상에 형성된 개구(41)로부터 상기 축(17)으로 진입하여서 상기 축(17)의 내부에 고정된 미러(42)에 의해 반사된다. 상기 미러(42)에 의해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19)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서 상기 화상형성부(14Y)의 노광입구(23)로부터 상기 화상형성부(14Y)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신호(19)는 상기 화상형성부(14Y)내의 상기 옐로우 현상기(24Y)와, 상기 클리너(32)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노광될 측면부를 투사하게 된다. 상기 광전도체(20)의 노광될 측면부를 투사한 상기 레이저 신호(19)는 상기 광전도체(20)의 발생선 방향으로 스캔되어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 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 상의 정전 잠상은 상기 현상 로울러(26)에 의해 상기 토너 화상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신호의 광로는 이웃하는 두 개의 현상기 사이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신호(19)의 광로는 상기 레이저 노광 장치(39)로부터 투사된 레이저 신호(19)가 상기 미러(42)에 이르는 제 1 광로와 상기 미러(42)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신호(19)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서의 상기 화상형성부(14Y)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에 이르러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를 노광하게 하는 제 2 광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광로는 서로 이웃한 상기 블랙 현상기(24BK)와 상기 옐로우 현상기(24Y) 사이에 설정된다. 그러므로, 비록 상기 블랙 현상기(24BK)가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현상기보다 크더라도,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예를 들어,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노광이 다른 화상형성부(예를 들어, 블랙 화상형성부)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 2 광로가 두 개의 근접한 화상형성부의 벽 사이에 소정 갭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의 비사용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미러(42)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미러(42)는 단지 하나의 고정된 미러만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용이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단순한 구조를 제공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로울러(43)가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와 상기 제 3 전사 로울러(36)와 접촉되어 눌려진 닙부에 용지(38)를 급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판(1A)의 내측 주변에 위치한다. 또한, 정착기(44)가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우측 상부에 놓인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풀 칼라 화상 형성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4Y)는 초기 상태에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옐로우 화상형성과정이 우선 이루어진다. 상기 화상형성 과정의 동작을 제 3 도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도 을 참조하면, 상기 코로나 대전기(21)가 상기 그리드(22)에 -45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는 -45OV로 대전된다. 상기 레이저 신호(19)가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로 투사된다. 이때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노광 전위는 -5OV가 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는 옐로우 토너용 2성분 현상제(30Y)를 이송하는 상기 현상기 로울러(26)로 현상된다. 상기 현상 동작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로울러(26)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비대전 영역과 접할 때 상기 고전원 전압 공급기(31)에 의해 +100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현상 로울러(26)는 정점잠상이 -45OV에 대전에 의해 형성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일부 표면에 접할 때 상기 고전원 전압 공급기(31)에 의해 -25O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정(+) 및 부(-) 부분을 가진 상기 옐로우 토너 화상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 상에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부(14Y)의 화상형성 과정에서, 옐로우 토너로 화상형성시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의 이동 속도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의 선단 속도보다 1.5%만큼 빠르게 설정되어서 상기 옐로우 토너 화상의 부분적인 전사 에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옐로우 토너 화상이 화상형성 시와 동시에 상기 중간 전사 벨트(3) 상에 전사된다. 이 때에, +1.0 kV의 직류전압이 상기 제 1 전사 로울러(4)와 상기 인장 로울러(6)에 인가된다.
제 1 도의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에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4Y)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와 접촉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위치(18)에 있게 된다. 상기 옐로우 토너 화상의 전사가 완료된 직후에, 상기 제 1 전사 로울러(4)가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3)가 이동하여 상기 화상형성부(14Y)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는 상기 이동 모터(16)에 의해 구동되어 제 1 도에 도시된 화살표 "Q" 방향으로 8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14M)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14M)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 있게 될 때, 그 마젠타 칼라에 대응하는 상기 레이저 신호(19)가 상기 언급된 옐로우 화상 형성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레이저 노광 장치(39)로부터 상기 화상형성부(14M)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에 투사된다. 그런 다음,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14M)에서, 상기 마젠타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전사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3)가 상기 마젠타 토너 화상이 형성되기 전에 일회 회전하여, 상기 마젠타 토너 화상을 위한 상기 레이저 신호(19)에 의한 라이트 동작의 실행 시간이 상기 위치 검출기(1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서 제어된다. 즉,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는 이동하여 상기 마젠타 토너 화상과 상기 전사된 옐로우 토너 화상이 겹쳐지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제 3 전사로울러(36)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3)가 초기 위치로 이동시에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에 접하지 않은 위치에서 뒤로 물러나기 때문에, 상기 중간 전사 벨트(3)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방해로 되지 않는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가 다시 상기 이동 모터(1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화살표 "Q" 방향으로 8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시안 화상형성부(14C)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옐로우 및 마젠타 화상형성부에 대한 화상형성 과정처럼, 상기 시안 토너 화상이 상기 시안 화상형성부(14C)에 의해 상기 중간 전사 벨트(3) 상에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가 상기 이동 모터(1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화살표 "Q" 방향으로 8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4BK)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 과정처럼, 상기 블랙 토너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3) 상에 형성된다.
다음, 상기 4가지 칼라 토너 화상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3) 상에 겹쳐짐으로써 풀 칼라 화상형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블랙 토너 화상의 전사 후에, +3 kV의 전압이 상기 제 3 전사로울러(36)에 인가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4가지 칼라 토너 화상이 한번에 상기 용지 카세트로부터 급지된 용지(38) 상에 전사된다. 상기 용지 (48) 상에 전사된 4가지 칼라 토너 화상이 상기 정착기(44)에 의해 정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용지(38)가 외부로 배지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는 상기 이동 모터(16)에 의해 구동되어 제 1 도에 도시된 화살표 "Q" 방향으로 12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4Y)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18)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가 새로운 풀 칼라 화상형성이 시작되는 초기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풀 칼라 화상 형성과정에서 상기 블랙 화상 형성과정이 마지막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풀 칼라 화상 형성과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중간 전사 벨트(3)의 클리닝과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소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풀 칼라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소정의 대기 시간이 연속적인 화상 형성과정 사이에 필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화상형성부(l4Y, 14M 및 14C) 각각의 스프레딩 각(S')은 80 °로 설정되고,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4BK)의 스프레딩 각(S)은 120 °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블랙 화상형성후에 상기 화상형성부를 교체하는 시간이 다른 칼라의 화상형성후에 상기 화상형성부를 교체하는 시간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상기 블랙 화상형성 과정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상형성 과정에 대한 시간소모를 절감하여서 연속적으로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할 때에라도 연속적인 화상 형성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이 성분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이 상기 화상형성부의 현상 방법으로써 적용되지만, 탄성 러버 로울러 현상 방법, 점프 현상 방법, 압력 현상 방법과 같은 다른 현상 방법 혹은 대전 방식이 또한 적용될 수가 있다.
[제 2 실시예]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 적용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소위 클리닝부가 없는 처리형태로써 각각의 화상형성부에 클리너부가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토너 저장 영역의 크기가 다른 현상기를 포함하는 데, 특히 블랙 현상기(14BK')가 다른 칼라 현상기(14Y', 14M' 및 14C')보다 크다.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39)로부터 상기 화상형성 위치(18)까지의 상기 레이저 신호(19)의 광로는 조절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화상형성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신호(19)의 광로는 상기 화상 형성위치(18)에 있는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4Y')의 상기 코로나 대전기(21)와 상기 코로나 대전기(21)에 접한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4BK')의 현상기(24BK) 사이에 형성된다.
[제 3 실시예]
제 5 도는 븐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상기 화상 겹침부로써 전사 드럼을 사용한다. 즉,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블랙,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토너 화상의 각각은 상기 전사 드럼 상에 감겨진 용지에 직접 연속적으로 전사되어서, 풀 칼라 화상이 상기 용지 상에 형성된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형의 화상형성부 결합부(53)는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외부 케이스(51)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는 각각의 토너 칼라,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하나의 평면 상에 나누어진 횡단면도는 4개의 세트로 된 섹터 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는 상기 원주 형태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좁은 횡단면을 가진 갭부로 인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화상형성부(52BK, 52C, 52M 및 52Y)의 각각은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그럼으로써, 화상형성부(52BK, 52C, 52M, 및 52Y)는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종래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구동부와 전기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화상형성부(52BK, 52C, 52M, 및 52Y)는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통합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52BK, 52C, 52M, 및 52Y) 각각은 링과 같은 형태로 배열된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화상형성부 결합부(53)는 구동모터 (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서, 그 화상형성부 결합부(108)는 상기 외부 케이스(1)에 고정된 원통형 축(57)을 중심으로 제 5 도에 도시된 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화상형성부(52BK, 52C, 52M, 및 52Y)의 각각의 광전도체(54)가 전사드럼(64)에 접해 있는 화상 형성위치(63)에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각각이 상기 화상 형성위치(63)에 있게 될 때,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레이저 노광장치(58)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신호(59)에 의해 투사된다. 상기 언급된 제 1 및 2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블랙 현상기(55BK)는 다른 칼라 현상기(55Y, 55C 및 55M) 보다 크게 제작된다. 즉, 상기 블랙 현상기(55BK)는 다른 칼라 현상기의 각 크기와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각 크기를 갖는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보다 더 아래 방향으로, 즉,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분리 토너 저장부(71)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로부터 떨어진 토너가 상기 외부 케이스(51)내에 흩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51)의 상부 측에 위치한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58)로부터 상기 레이저 신호(59)는 화상형성의 화상신호에 따라 투사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신호(59)는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52M)의 상기 현상기 (55M)와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의 클리너부(56) 간의 광로의 입구(60)를 통과한다. 상기 레이저 신호(59)는 상기 축(57)의 일부 상에 형성된 개구(62)를 통해 상기 축(57)에 진입하여 상기 축(57)에 고정된 미러(61)에 의해 반사된다. 상기 미러(61)에 의해 반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59)는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있는 상기 화상형성부(52Y)의 노광 입구(62)로부터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에 진입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신호(59)는 상기 화상형성부(52Y) 내의 상기 옐로우 현상기(55Y)와 상기 클리너부(56)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노광될 측면부를 투사하게 된다. 상기 광전도체(54)의 노광될 측면부를 투사한 상기 레이저 신호(59)는 상기 광전도체(54)의 발생선 방향으로 스캔되어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에 형성된 상기 옐로우 토너 화상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의 상기 전사 드럼(64) 상의 용지(73) 상에 전사된다.
상술한 제 1 및 2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제 3 실시예에서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는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서만 화상을 형성하고 전사한다. 즉, 상기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의 각각의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노광 위치에서만 상기 레이저 신호(59)에 의해 노광된다. 더욱이,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전사 위치에서만 원통형의 전사 드럼(64) 상에 형성된 표면 탄성층(65) 상에 감겨진 용지(73) 상에 직접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레이저 신호(59)의 광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처럼, 이웃하는 두 개의 현상기 사이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신호(59)의 광로는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58)로부터 투사된 레이저 신호(59)가 상기 미러(61)에 이르는 제 1 광로와 상기 미러(61)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신호(59)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서의 상기 화상형성부(52Y)의 상기 광전도체(54)에 이르러서 상기 광전도체(54)를 노광하게 하는 제 2 광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광로는 서로 이웃한 상기 블랙 현상기(55BK)와 상기 옐로우 현상기(55Y) 사이에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비록 상기 블랙 현상기(55BK)가 다른 현상기보다 클지라도,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예를 들어,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노광이 다른 화상 형성부(예를 들어, 블랙 화상형성부)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 2 광로가 두 개의 근접한 화상형성부의 벽 사이에 소정 갭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비사용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미러(61)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미러(61)는 단지 하나의 고정된 미러만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용이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단순한 구조를 제공한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사 드럼(64)을 중심으로, 상기 용지 카세트(74)로부터 용지(73)를 감기 위한 용지 픽업 로울러(67)와, 상기 전사로울러(64)로부터 풀 칼라 화상이 형성된 용지(73)를 분리하기 위한 용지 분리 대전기(68)와, 분리 못(69)과, 상기 전사드럼(64)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너(70)가 상기 전사 드럼(64)의 주변에 배치된다. 더욱이, 정착기(72)가 상기 외부 케이스(5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용지(73)상에 형성된 풀 칼라 화상이 상기 정착기(72)에 의해 정착된다.
상기 화상형성부(52BK, 52C, 52M 및 52Y)가 제 6a 도 및 제 6b 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의 구조 및 동작이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블랙 토너 화상형성부(52BK)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며 나머지 화상형성부(52Y, 52M 및 52C)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 6a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이다. 제 6a 도를 참조하면, 상기 화상형성부(52BK)는 상기 화상형성부(52BK)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 더욱이, 화살표 "G"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제 6a 도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52BK)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기 블랙 현상기(55BK), 및 상기 클리너부(56)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 노광 장치(58)(제 5 도)로부터 투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59)는, 상기 화상형성부(52BK)의 개구인 노광 입구(62)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부(52BK)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감광 물질로써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바인더 수지 및 프타로시안닌(phthalocyanine)으로 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마이너스 대전을 위한 코로나 대전기(73)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주변 위치에 제공된다. 그리드(74)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에 접한 위치에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대전 전위를 일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로나 대전기(73)에 구비된다.
상기 블랙 현상기(55BK)는 소위 점프 현상기, 즉, 블랙 토너(79BK)를 이송하기 위한 모노-성분 현상기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현상기(55BK)는 상기 블랙 토너(79BK)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호퍼(75BK)와, 상기 블랙 토너(79BK)를 이송하기 위한 현상로울러(76)와, 상기 현상로울러(76)에 상기 블랙 토너(79BK)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울러(7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현상기(55BK)는 우레탄 러버를 가진 탄성 블레이드(78)와, 상기 토너 호퍼(75BK)로부터 상기 공급로울러(77)에 상기 블랙 토너(79BK)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테이터(85)와, 상기 탄성 블레이드(78)와 상기 에지테이터(8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블레이드(78)를 보호하기 위한 블레이드 보호부(86)를 구비한다.
상기 블랙용 토너 호퍼 (75BK)는 분산된 블랙색소를 가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블랙 토너(79BK)와 같은 비자기성 모노 성분의 토너를 저장한다. 상기 블랙 토너(79BK)는 마이너스 대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로울러(77)에 의해 마찰로서 대전된다. 또한, 상기 블랙 토너(79BK)는 이송될 상기 현상로울러(76)의 표면 상에 있는 상기 탄성 블레이드(76)에 의해 약 30㎛의 박막층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블랙 토너(79BK)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를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로울러 (76)로부터 발생되는 교류 전계에 의해 상기 현상로울러(76)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사이에서 소정 갭(예를 들어, 200㎛ 정도)을 넘어서 비상한다. 상기 언급된 교류 전계는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현상로울러(76)에 인가함으로써 발생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20) 상의 토너 화상이 상기 용지(73)(제 5 도)에 전사된 후에, 상기 광전도체(20)의 표면 상에 남아 있는 토너가 클리너부(56)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클리너부(56)는 러버 클리닝 블레이드(81)와 폐토너(82)를 저장하기 위한 폐토너 박스(83)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유기성 광전도체(54)는 24 mm의 직경 크기를 가지며 화살표 "V"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100 mm/s의 선단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에 접하게 위치한 상기 원통형 현상로울러(76)는 12 mm의 직경 크기를 가지며 화살표 "W"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100 mm/s의 선단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현상로울러(76)에 접하게 위치한 상기 공급로울러(77)는 13 mm의 직경 크기를 가지며 화살표 "X"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60 mm/s의 선단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최외주 부분의 위치는 제 6a 도에 도시된 점선(84)에 의해 도시된다. 그 위치는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제 5 도)가 회전할 때 형성되는 최외주원과 동일하다. 소정 갭 "G1" (예를 들어, 5mm)이 상기 점선(84)과 상기 클리너부(56)의 최외주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제 6b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 분해도이다. 제 6b 도를 참조하면, 상기 화상형성부(52Y)는 상기 화상형성부(52Y)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 더욱이, 화살표 "G"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상기 마젠타 및 시안 화상형성부(52M 및 52C)는 제 6b 도에 도시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와 사실상 동일하다.
제 6b도에 있어서, 상기 옐로우 현상기(55Y)는 제 6a 도에 도시된 상기 블랙 현상기(55BK)와 크기에 있어서 다르나, 사실상 다른 구조상에서는 동일하다.
제 6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52BK)는 120 °의 스프레딩 각(S)을 가진 커다란 섹터 형태를 가진다. 그 120 °의 스프레딩 각에서, 상기 클리너부(56)의 중심각은 약 30 °이며 상기 블랙 현상기 (55BK)의 중심각은 약 90 °이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부(52Y)의 스프레딩 각(S')는 제 6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 °이다. 그 80 °의 스프레딩 각에서, 상기 클리너부(56)의 중심각은 약 30 °이며 상기 옐로우 현상기(55BK)의 중심각은 약 50 °이다.
상기 언급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클리너부(56)의 중심각은 동일하나, 상기 블랙 토너 호퍼(75BK)는 다른 세 개의 토너 호퍼(75Y, 75M 및 75C)의 1.8배의 용량을 가진다.
전사드럼(64)을 제 7a 도 및 제 7b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7a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전사드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 7b 도는 제 7a 도의 일점쇄선 ⅦB로 둘러싸인 부분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제 7a 도 및 7b에서, 상기 전사드럼(64)은 소정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원통형의 드럼 본체(64a)와 상기 드럼 본체(64a) 상에 형성된 표면 탄성층(65)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 본체(64a)는 예를 들어 직경 139mm의 알루미늄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 탄성층(65)은 상기 드럼 본체(64a) 상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물질의 전도성 탄성 폼층(65a)과 상기 전도성 탄성폼층(65a) 상에 형성된 폴리비닐 플루오르 막(65b)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면을 형성한다. 상기 표면 탄성층(65)의 두께는 5 mm이며, 상기 전사드럼(64)의 최대 직경은 144 mm(= 139 mm + 5 mm)이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제 5 도)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제 5 도)에 있게 될 때, 상기 표면 탄성층(65)이 상기 광전도체(54)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전사드럼(64)의 중심부 방향으로 약 2mm정도 압축된다. 상기 전도성 탄성 폼층(65a)과 상기 폴리비닐 플루오르 막(65b)의 두께는 각각 약 5 mm 및 약 60㎛ 이다.
상기 전사드럼(64)은 외주 상에 형성된 상기 표면 탄성층(65) 상에, 그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오목부(6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 방향의 상기 오목부(66)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회전축 방향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길이보다 더 길도록 설정된다. 더욱이, 상기 오목부(66)는 상기 표면 탄성층(65)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예를 들어, 4 mm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66)의 외주 길이(제 7a 도의 "H"에 의해 도시됨, 길이:100 mm)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부에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세부 사항은 후술함)에 있게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적어도 더 길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제 5 도)가 회전할 때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의 충돌이 피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의 흠 발생이 예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풀 칼라 화상 형성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 5 도에 도시된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는 초기 상태에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있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용지(73)가 상기 용지 카세트(74)로부터 예비적으로 급지되어 상기 용지 픽업 로울러(67)에 의해 상기 전사드럼(64)상에 감겨진 상태에 있다.
상기 제 1 및 2 실시예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 사진 장치에서, 옐로우 화상형성 과정이 우선 이루어진다. 상기 화상형성부(52Y)의 상기 화상형성 과정의 동작을 제 6b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6b 도를 참조하면, 상기 코로나 대전기(73)가 상기 그리드(74)에 -45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45OV로 대전된다. 상기 레이저 신호(59)가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로 투사된다. 이때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노광 전위는 -5OV가 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비자기성 모노성분 토너인 옐로우 토너(79Y)를 이송하는 상기 현상기 로울러(76)로 현상된다. 상기 현상 동작에 있어서, 상기 현상로울러(76)가 상기 정전잠상이 -45OV에 대전에 의해 형성된 표면부에 접할 때, -300 V의 직류전압을 중첩하여 준비된 예를 들어, 750 VO-P(피크 대 피크 1.5 V)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고전원전압 공급기(80)에 의해 인가된다. 따라서, 정(+) 및 부(-) 부분을 가진 상기 옐로우 토너 화상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에만 형성된다. 다음, 상기 언급한 토너 화상이 상기 전사드럼(64) 및 상기 표면 탄성층(65)상에 감겨진 상기 용지(73)를 눌러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에 의해 상기 용지(73)에 전사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는 상기 이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제 5 도에 도시된 화살표 "Q" 방향으로 8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52M)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사드럼(64) 상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66)의 기능을 제 8a 도 및 제 8b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8a 도는 상기 화상형성부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에 놓이기 전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오목부(66)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8b 도는 상기 화상형성부가 상기 화성형성 위치에 놓인 후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오목부(66)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8a 도를 참조하면,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52M)(제 5 도)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그 옐로우 화상 형성 과정이 완료될 때에 제 8a 도의 위치 P1에 있게 된다. 이후,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52M)를 회전하여서, 제 8a 도의 일 부분인 P2에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이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부이며 또한 상기 오목부(66)의 일단부인 제 8a 도의 위치 P1과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및 상기 전사드럼(64)이 제 8a 도의 화살표 "N" 및 "M" 의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오목부(66)와 만나게 되어서 상기 전사드럼(64)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제 5 도)가 회전할 때에, 상기 전사드럼(64)과의 충돌로 인해 야기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의 손상이 막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부(52M)가 더 회전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이르게 될 때,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제 8b 도의 위치 P3에 있게 된다. 상기 위치 P3에서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이 서로 접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이르게 됐을 때에, 상기 오목부(66)의 타단부(D2)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오목부(66)는 상기 전사드럼(64)의 일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66)의 외주 길이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부에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있게 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적어도 더 길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가 회전할 때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의 충돌이 피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의 흠 발생이 예방될 수가 있다.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52M)가 마젠타 화상형성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있게 될 때, 상기 마젠타용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회전속도가 상기 정지 상태에서 일정 회전속도에 이르게 될 때까지 약 0.3초의 시간이 걸리는 데, 이는 상기 전사드럼(64)의 회전속토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만약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이 0.3초 동안에 서로 접하게 된다면, 일정율로 회전하는 상기 전사드럼(64)의 표면부와 가속율 상태에서 회전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부 간의 선단 속도의 차가 발생된다. 이 경우,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부와 상기 전사드럼(64)의 표면부는 서로 마찰하게 된다. 그럼으로, 상기 오목부(66)의 외주 길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더욱 한정된다.
이하, 상기 오목부(66)의 기능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일정 회전속도를 갖게 될 때까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오목부(66)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제 9a 도 및 제 9b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9a 도에 도시된 상기 마젠타용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도달한 후에 곧 정지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외주 표면부 상의 일점이 제 9a 도에서 S1로 도시된다. 제 9a 도에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전사드럼(64)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오목부(66)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된 선단 속도의 차로 인해 야기되는 흠 발생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에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마젠타용 유기성 광전도체(54)는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 마젠타용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일정 회전 속도를 갖게 될 때, 즉 전사드럼(64)의 회전 속도와 같게 될 때, 상기 외주 표면부 상의 일점(S1)이 제 9b 도에 도시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 9b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어떤 선단 속도의 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때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의 접촉으로 인한 흠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오목부(66)의 외주 길이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위치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정지 상태에서 일정 회전속도에 이르게 될 때 상기 전사드럼(64)의 회전 이동 거리보다 적어도 더 길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일정 회전속도를 갖게 될 때까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전사드럼(64)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 드럼(64) 간의 선단 속도의 차로 인해 야기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의 흠 발생이 예방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66)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 부와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있게 되는 위치 간의 거리와,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위치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정지 상태에서 일정 회전속도에 이르게 될 때 상기 전사드럼(64)의 회전 이동 거리를 더하여서 얻어진 길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사드럼(64)과의 충돌로 인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흠 발생과 상기 전사드럼(64)과의 선단 속도의 차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흠 발생을 모두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52M)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있게 되고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상기 일정 회전속도를 갖게 될 때, 그 마젠타 토너 화상에 대한 상기 레이저 신호(59)가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58)로부터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52M)에 투사된다. 따라서, 상기 마젠타 토너 화상이 형성되어 상기 용지(73)에 전사된다. 상기 전사드럼(64)이 상기 마젠타 토너 화상의 형성 시에 일회 회전하며, 상기 마젠타용 레이저 신호(59)와 상기 라이팅 시작 시간이 제어되어 상기 마젠타 토너 화상이 상기 용지(73) 상에 전사된 옐로우 토너 화상 상에 겹치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가 제 5 도의 화살표 "Q" 방향으로 8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시안 화상형성부(52C)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옐로우 및 마젠타 화상형성부에 대한 화상형성 과정처럼, 상기 시안 토너 화상이 상기 시안 화상형성부(52C)에 의해 상기 용지(73) 상에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가 상기 화살표 "Q" 방향으로 8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52BK)는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화상형성 과정처럼, 상기 블랙 토너 화상이 상기 용지(73)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4가지 칼라 토너 화상이 상기 용지(73) 상에 겹쳐짐으로써 풀칼라 화상형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풀 칼라 화상은 상기 정착기(72)에 의해 정착된다. 이후, 상기 용지(73)는 외부로 배지된다.
프린팅 동작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는 상기 화살표 "Q" 방향으로 120 °만큼 회전하여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가 새로운 풀 칼라 화상형성이 시작되는 초기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의 흠 발생은 상기 언급된 오목부(66)를 상기 화상 겹침부로써 중간 전사드럼을 이용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또한 예방될 수가 있다. 즉, 제 10 도에 도시된 중간 전사드럼(87)의 외주 표면부 상에 상기 오목부(66)를 제공하여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중간 전사드럼(87)의 충돌이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제 5 도)가 회전할 때에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 전사드럼(87)에서, 상기 4가지 칼라 토너 화상이 상기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표면상에 절연 물질을 가진 고저항 층(87a) 상에 연속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풀 칼라 화상이 상기 고저항 층(87a)상에 형성된 후에, 상기 풀 칼라 화상이 일시에 전사부(89)를 통해 상기 용지(73) 상에 전사된다.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트랜스페어런시와 같은, 토너가 잘 부착되지 않는 액셉터 용지 상에 상기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예가 제 11 도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1 도은 제 5 도에 도시된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토너가 잘 부착되지 않는 액셉터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1 도의 옐로우에서 블랙까지의 상기 풀 칼라 화상형성 과정에서, 상기 풀 칼라 화상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각각과 100 mm/s의 일반적인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전사드럼(64)에 의해 트랜스페어런시(89) 상에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블랙 토너 화상의 전사 후 바로 상기 전사드럼(64)과 상기 정착기(72)의 회전속도가 보통 속도의 1/4인 25 mm/s의 제 2 회전 속도로 변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에, 만약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가 정지 상태에서 상기 전사드럼(64)에 접촉한다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 간의 선단 속도의 차로 인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에 명백한 흠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52BK)의 상기 클리너부(56)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사드럼(64)과 접하게 된다. 제 6a 도를 참조하면, 상기 클리너부(56)는 5 mm의 갭 G1만큼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부에 대해 패여 있다. 따라서, 상기 전사드럼(64)의 표면부가 상기 클리너부(56)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에 흠 발생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트랜스페어런시(89) 상의 토너 화상의 흔들림이 또한 예방될 수가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토너는 상기 트랜스페어런시(89) 상에 완전히 부착될 수가 있으므로 상기 풀 칼라 화상이 향상된 투과성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는 상기 전사드럼(64)이 상기 제 2 회전속도에서 회전할 때에 상기 전사드럼(64)과 접촉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표면부 상에 형성되는 흠 발생을 막을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기 전사드럼(64), 및 상기 현상로울러(76)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제 12 도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제 12도는 제 5도에 도시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상기 전사드럼(64), 및 상기 현상로울러(76)의 직경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2 도에 도시했듯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직경 크기에서, 상기 현상로울러(76),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및 상기 전사드럼(64)은 정수로 표시되는 비율을 가진 증가하는 순서, 즉 1 : 2 : 12 (=12 mm : 24 mm : 144 mm)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현상로울러(76)의 외주 길이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의 외주 길이(54)의 절반이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외주 길이는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 길이의 1/6이 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는 이 성분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이 적용되는 상기 제 1 및 2 실시예와는 달리, 비자기성 모노 성분의 토너를 이송하는 점프 현상 방법이 적용되는 구조가 설계된다. 제 6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점프 현상 방법에서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현상로울러(76)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교류 전계에 의해 상기 토너에 접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부로 상기 현상로울러(76)의 표면부 상에 상기 토너를 이송함으로써 현상된다.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점프 현상 방법에서는 상기 토너의 이송을 위해, 상기 토너의 전하량은 상기 이 성분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에 비해 매우 낮은 레벨까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 성분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에서는, 이송부에 의해 전하되는 토너의 전하량은 약 -10 내지 30 μC/g까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점프 현상 방법에서는, 상기 공급로울러(77)(제 6a 도)와의 마찰로 전하되는 토너의 전하량은 약 -3 내지 5 μC/g까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점프 현상 방법을 적용할 경우, 상기 토너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로부터 상기 전사드럼(64)에 전사될 때, 상기 이 성분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에 비해 토너가 흩어지기 때문에 선명하지 못한 토너 화상이 형성되기가 쉽다. 예를 들어, 문자를 인자할 경우, 문자의 외곽 부분이 뭉그러짐에 따라 화질이 나빠질 수가 있게 된다.
토너의 흩어짐으로 인해 야기되는 화질 저하에 대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토너의 흩어짐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러한 토너 분산의 감소 효과가 제 13a 도 및 제 13b 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3a 도는 직경 40 mm 이상의 유기성 광전도체와 직경 144 mm의 전사드럼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3b 도는 직경 24 mm의 유기성 광전도체와 직경 144 mm의 전사드럼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3a 도 및 제 13b 도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및 54")의 직경은 각각 40 mm 및 24 mm이며, 상기 전사드럼(64')의 직경은 144 mm이다. 또한, +1 kV의 전압이 테스트 전압으로써 상기 전사드럼(64')의 상기 드럼 본체(64a')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용지(73)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또는 54")의 표면부 간의 거리가 제 13a 도 및 제 13b 도에 갭 "G2" (0.7 mm)와 같게 될 때에, 상기 마이너스-대전 토너(79')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또는 54")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용지(73)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제 13a 도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용지(73) 간의 상기 접촉점(P4)과 상기 토너(79')가 이송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 위치(P5) 간의 거리 "L1"은 약 3 mm이다. 직경 40 mm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경우, 상기 토너는 배치될 위치로부터 흩어져서 상기 용지(73) 상에 불명확한 토너 화상을 가져오게 한다.
한편, 제 13b 도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용지(73)간의 상기 접촉점(P4')과 상기 토너(79')가 이송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 위치(P5') 간의 거리 "L2"는 약 2.5 mm이다. 직경 24 mm의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경우, 상기 토너(79')의 흩어짐은 눈으로 볼 수가 없게 되며, 분명한 토너 화상이 상기 용지(73) 상에 전사 및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드럼(64)의 직경 크기와 상기 전사드럼(64)에 인가된 전압이 동일한 경우, 작은 직경 크기를 가지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용지(73) 간의 접촉 위치와 상기 토너가 이송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표면 위치 사이의 거리를 보다 짧게 할 것이다. 따라서, 토너의 흩어짐이 방지되어 선명한 화상형성을 성취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실험 결과가 아래의 테이블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테이블1]
Figure kpo00001
더욱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직경이 상기 전사드럼(64)의 직경의 1/5 이하가 되는 경우, 인치당 400 도트의 해상도의 화상 형성에서도 상기 토너 흩어짐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및 상기 전사드럼(64)의 직경 비와 인치당 600 도트 이상의 높은 해상도의 화상을 얻기 위해 1/6 이하의 정수 비율로 표시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기 현상로울러(76) 상에 비자기성 박막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현상기(79Y, 79M, 79C 및 79BK)마다 탄성 블레이드(78)로 압력을 가하여서 현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현상기(79Y, 79M, 79C 및 79BK)에서, 상기 현상로울러(76)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는 상반되는 방향으로, 즉, 제 6a 도에 도시된 화살표 "V" 및 "W" 방향으로, 상기 화상형성 시와 동일한 선단 속도(100 mm/s)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 블레이드(78)로부터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현상로울러(76)의 선단 속도의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현상로울러(76)의 불규칙한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화상 밀도의 불균일성이, 즉 지터가 발생될 우려가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 블레이드(78)로부터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현상로울러(76)의 표면부 상에 흠이 발생되어, 그 압력으로 인해 생긴 흠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를 통해 상기 전사드럼(64) 상의 상기 용지(73)에 전사될 우려가 생기게 된다. 더욱이, 만약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가 오랜시간 동안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있게 된다면, 상기 탄성 블레이드(78)가 변형되기가 쉬워서 상기에서 언급한 화상 밀도의 불균일성 또는 압력으로 생긴 흠을 가져올 수가 있다.
그러한 화상 밀도의 불균일성 또는 압력으로 생긴 흠으로 인해, 상기 다른 칼라의 토너 화상을 겹침으로써 얻어진 합성화된 칼라의 색조 차가 더욱 커지므로 색조의 불균일성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상기 현상로울러(76)의 불규칙한 회전 사이클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합성화된 칼라의 색조 차는 더욱 두드러져서 상기 색조 차처럼, 원하지 않은 칼라 수평선이 발생된다. 그 결과, 화질이 급격하게 저하되게 된다.
상기 색조 차 발생을 막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 사진 장치에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현상로울러(76)의 외주 길이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외주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외주 길이는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 길이의 1/6이 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화상 밀도의 불균일성 또는 압력으로 인한 흠의 발생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전사되기 위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회전 사이클과 동시에 발생한다. 그 결과, 불규칙한 현상 또는 압력으로 인한 흠 발생의 경우에서도, 이들은 색조 차가 아닌, 토너 화상을 합성한 후에 상기 토너 상에 칼라 밀도 변화로써 보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 사진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화상 차는 상기 색조 차로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화상 상의 칼라 밀도의 변화 발생은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내용을 나타내는 많은 데이터가 다른 칼라로 표시될 경우에, 상기 데이터의 내용이 상기 색조 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는 정확히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현상로울러(76)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의 직경 크기는 상기에서 설정된 수치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상기 색조차 발생이 후술될 조건 (1) 내지 (4)를 만족함으로써 예방될 수가 있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와 상기 전사드럼(64)을 사용하는 구조에서, 직경과 외주 길이는 동일하나, 제 1 도 또는 제 4 도에 도시된 상기 중간 전사 벨트(3)를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용어 "외주"가 적절하다.
조건 (1)- 상기 현상로울러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선단 속도에서 회전한다.
조건 (2)- 상기 현상로울러 및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의 외주 비가 정수로 표시된다.
조건 (3)-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와 상기 전사드럼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선단 속도에서 회전한다.
조건 (4)-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 및 상기 전사드럼의 외주 비가 정수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는, 상기 화상 형성부 결합부(53)(제 5 도)가 회전하여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제 5 도)에 위치될 다음 화상형성부가 상기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 제 5 도에 도시된 "Q") 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한 방식에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회전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언급된 효과를 분명히 보여주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 준비된 비교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구조를 제 1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이다. 그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 주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이러한 부분은 제 5 도의 것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적용할 것이며 더 이상의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14 도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준비된 칼라 전사사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측 횡단면도이다.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3)가 회전하여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위치될 다음 화상형성부가 상기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세히 말해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는 상기 회부 케이스(51) 상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된 원통형 축(151)을 중심으로 제 14 도에 도시된 화살표 "Z"처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후, 예를 들어,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152M)가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52Y)로 교체되어서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부(152M)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있게 된다.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제 7a 도에 도시된 오목부(66)는 상기 전사드럼(164)의 상기 표면 탄성층(165)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실험 장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3)가 상기 화상형성부를 교체하기 위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와 상기 전사드럼(164)이 서로 충돌하여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의 손상을 가져오게 한다. 또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와 상기 전사드럼(164)이 선단 속도에 있어서 다를 경우,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는 상기 실험 장치에서 파손된다.
상기 실험 장치에서는, 제 6a 도에 도시된 상기 블레이드 보호부(86)는 상기 현상기 (155M, 155C, 155Y 및 155BK)에서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 및 상기 에지테이터 사이에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실험 장치에서,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의 변형이나 상기 토너의 덩어리 형성이 발생된다(세부 사항은 후술함).
또한, 상기 실험 장치에서, 제 5 도에 도시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71)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3)보다 더 아래 방향(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화상형성부(155M, 155C, 155Y 및 155BK)로부터 떨어진 토너가 상기 외부 케이스(51)내에 흩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실험 장치는 주로 상기 언급한 양상 면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와 다르다.
상기 실험 장치에서 수천 번의 칼라 인자를 실행하게 된다면, 상기 화상형성부(155M, 155C, 155Y 및 155BK)의 상기 클리너부(156)내에 축적된 폐토너에 의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의 클리닝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 상에 두드러진 흠이 발생된다.
상기 클리닝 문제와 상기 화상형성부(155BK)의 상기 광전도체 상의 흠 발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 15a 도, 제 15b 도, 제 16a 도, 및 제 16b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제 15a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옐로우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5b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마젠타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6a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시안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6b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블랙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5a 도, 제 15b 도, 제 16a 도, 및 제 16b 도를 참조하면, 상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화상형성부(152Y, 152M, 및 152C)는 도면의 간결성을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3)는 제 15a 도, 제 15b 도, 제 16a 도, 및 제 16b 도의 순서로 회전하여서 상기 화상형성부( 155Y, 155M, 155C, 및 155BK)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연속적으로 있게 된다.
제 15a 도, 제 15b 도, 제 16a 도, 및 제 16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152BK)의 상기 클리너부(156)에 축적된 폐토너(182)는, 화살표 "Z" 방향으로의 화상형성부 결합부(1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리너부(156)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블랙 화상형성 과정에서, 제 16b 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폐토너가 상기 클리너부(156)에 축적되어서, 상부 방향에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181)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폐토너(82)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 상에 상기 토너를 모으기 위해 상기 클리너부(156)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181) 사이에 위치한 상기 갭(156a)에 채워진다. 따라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 상의 상기 토너는 상기 갭(156a)을 통해 상기 클리너부(156)에 의해 축적되지 않으므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의 클리닝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181)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154) 상에 흠이 발생된다.
그 결과, 상기 실험 장치에서, 수천 번의 칼라 프린팅을 실행한 경우, 상기 클리너부(156)는 내부에 축적된 폐토너(182)로 인해 적절하게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서, 나쁜 클리닝 상태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 상의 흠 발생을 야기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는, 제 5 도의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언급된 문제에 있어서, 본 실험 장치와 다르다. 따라서, 상기 폐토너(82)(제 6a 도)에 의해 야기되는 형편없는 클리닝 상태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제 5 도)에서 흠발생이 예방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52BK)의 상기 클리너부(56)에 축적된 폐토너(82) 상의 효과에 대한 설명을 제 17a 도, 제 17b 도, 제 18a 도, 및 제 18b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제 17a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옐로우 화상 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7b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마젠타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8a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시안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8b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블랙 화상형성 과정에서 블랙 클리너부에 축적된 폐토너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7a 도, 제 17b 도, 제 17a 도, 및 제 17b 도를 참조하면, 상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화상형성부(52Y, 52M, 및 52C)는 도면의 간결성을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다. 상기 화상 형성부 결합부(53)는 제 17a 도, 제 17b 도, 제 17a 도, 및 제 17b 도의 순서로 회전하여서 상기 화상형성부(55Y, 55M, 55C, 및 55BK)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연속적으로 있게 된다.
제 17a 도, 제 17b 도, 제 17a 도, 및 제 17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52BK)의 상기 클리너부(56)에 축적된 폐토너(82)는, 화살표 "Q" 방향으로의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리너부(56)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8b 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폐토너(82)가 상기 화상형성부(52BK)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있게 될 때 상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81)에 압력이 가하는 위치 상에 쌓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폐토너(82)에 의해 야기되는 나쁜 클리닝 상태와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 상의 흠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는,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가 회전하여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위치될 다음 화상 형성부가 상기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수천 번의 칼라 프린팅을 실행한 경우에도, 상기 클리너부(56)에 쌓여지는 상기 폐토너 (82)로 인해 야기되는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의 클리닝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 상의 흠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제 14 도에 도시된 본 실험 장치에서, 며칠동안 고온 다습한 환경에 처한 후에 프린트를 실행할 경우,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의 압력으로 인해 생기는 흠이 상기 현상로울러(176) 상에 발생된다. 더 심한 경우,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가 변형되어서, 상기 토너의 박막층이 상기 현상로울러(176) 상에 균등하게 현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공급로울러(177)와 토너의 마찰 및 대전 시의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에서 언급된 화상 밀도의 불균등성(화상 불균등성) 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52Y)에 초점을 두어서,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자세히 연구하였으며 그 해결책을 찾게 되었다.
상기 실험 장치에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152Y)의 옐로우 토너(179Y)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 제 19a 도, 제 19b 도, 제 20a 도, 및 제 21b 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제 19a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상기 옐로우 화상 형성 과정에서 상기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9b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상기 마젠타 화상형성 과정에서 상기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20a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상기 시안 화상형성 과정에서 상기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20b 도는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상기 블랙 화상형성 과정에서 상기 옐로우 현상부의 토너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 19a 도, 제 19b도, 제 20a도, 및 제 20b 도 를 참조하면, 상기 마젠타및 시안 화상형성부(52M 및 52C)는 도면의 간결성을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3)는 제 19a 도, 제 19b 도, 제 20a 도, 및 제 2b 도의 순서로 회전하여서 상기 화상형성부(152Y, 152M, 152C, 및 152BK)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63)에 연속적으로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 화상이 이러한 순서로 전사되어 형성된다. 제 19a 도, 제 19b 도, 제 20a 도, 및 제 20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옐로우 화상 형성부(152Y)의 상기 현상기(155Y)의 상기 옐로우 토너(179Y)는, 화살표 "Z" 방향으로의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3)의 회전에 따라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속적으로 프린트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블랙 토너 화상형성 과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153)의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제 20b 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옐로우 토너(179Y)가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를 누르는 상태에서 상기 현상기(155Y)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실험 장치는 장시간 동안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있게 된다면,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의 압력으로 인해 생기는 흠 또는 변형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가 제 21a 도 및 제 21b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 21a 도는 제 20b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상기 현상로울러의 주변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제 21b 도는 상기 옐로우 화상 형성부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에 놓일 때, 제 14 도에 도시된 실험 장치에서 옐로우 토너 덩어리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제 21a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기(155Y)내의 상기 옐로우 토너(179Y)의 전체 양이 상기 현상로울러(176)의 주변에 모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가 상기 옐로우 토너(179Y)에 의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 G"로 표시된 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블레이드(178)는 우레탄 러버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가 다습한 상태에서 눌려지게 된다면, 상기 러버의 변성으로 인해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기가 쉽다. 더욱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종래의 스틸엔 아크릭 수지 대신에 토너로써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특정 중력은 1.2이며, 이는 1.05의 상기 스틸엔 아크릭 수지보다 더 크다. 또한, 8 ㎛ 이하의 세밀한 분자를 포함하는 상기 토너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토너의 유동성이 저하되며, 상기 토너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탄성 블레이드(178) 상의 압력이 8 ㎛ 이상의 세밀한 분자를 포함하는 종래의 토너에 비해 커지게 된다.
단색 전자사진 장치는 상기 토너가 상기 탄성 블레이드를 누르지 않는 상기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구조를 피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는, 상기 4개의 화상형성부 중의 하나는 상기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제 20b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토너가 고온 다습한 상태에서 저장되는 경우, 상기 토너의 세밀한 분자가 서로 달라붙어 제 21b 도에 도시된 덩어리 형태를 취하게 된다. 만약 그러한 덩어리(180)가 형성된다면, 상기 토너 호퍼로부터 상기 공급로울러(177)로의 상기 옐로우 토너(179Y) 공급이 상기 화상형성부(152Y)의 화상형성에 있어서 상기 덩어리(180)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그 결과, 상기 공급로울러(177)로의 상기 옐로우 토너(179Y) 공급이 충분치 않게 되어서, 화상 칼라의 부족 현상을 야기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제 6a 도에 도시된 상기 블레이드 보호부(86)가 상기 탄성 블레이드(78) 및 상기 에지테이터 (85)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비록 상기 칼라 전자사진 장치가 장시간 동안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있게 된다 할지라도, 상기 탄성 블레이드(78)의 변형이나 불균등한 화상과 같은 결점 발생이 방지될 수가 있다.
상기 블레이드 보호부(86)의 효과가 제 22a 도 및 제 22b 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가 제 21a 도 및 제 21b 도의 경우와 같이 설명된다.
제 22a 도는 제 18b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현상로울러의 주변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제 22b 도는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가 화상형성 위치에 놓일 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의 현상로울러의 주변을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제 22a 도에 도시했듯이, 상기 블레이드 보호부(86)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G"로 표시된 방향)에 대해 상기 탄성 블레이드(78)에 상반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가 상기 현상로울러(76)가 상기 외부 케이스(51)(제 5 도)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위치에 있게 될 때, 상기 탄성 블레이드(78)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토너 호퍼(75Y)의 상기 옐로우 토너(79Y)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탄성 블레이드(78)의 압력에 의해 생기는 흠이나 그 변형을 막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옐로우 토너(79Y) 덩어리에 의해 야기되는 화상 결점이 방지될 수가 있다.
또한, 제 22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가 제 5 도의 화상형성 위치(63)에 있게 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 보호부(86)는 상기 에지테이터(85)에 의해 상기 토너 호퍼(75Y)로부터 상기 옐로우 토너(79Y)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도면에서 화살표 "P"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옐로우 토너(79Y)의 공급 압력이 상기 블레이드 보호부(86)에 의해 절감될 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 블레이드(78) 상의 압력이 줄어들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옐로우 토너(79Y)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에지테이터(85)의 회전 피치 변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토너 박막층의 불균등한 두께 발생이 방지될 수가 있으며, 그 결과, 화상의 불균일성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비록 상기 장치가 장시간 동안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있게 된다 할지라도, 상기 탄성 블레이드(78)의 변형이나 불균등한 화상과 같은 결점 발생이 방지될 수가 있다.
제 5 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71)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보다 더 아래 방향(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71)의 효과를 제 23 도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3 도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의 분리 토너 저장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비자기성 모노 성분의 토너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로울러(76)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력을 위해 자석이 사용될 수가 없다. 또한, 비자기성 토너가 상기 점프 현상 방법에서 저전하량을 가진 이상적인 토너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토너는 상기 공급로울러(77)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약한 정전력에 의해 상기 현상로울러(76) 상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옐로우 화상형성부(52Y)가 제 23 도에 도시된 상기 화상형성 위치(63)에 있게 될 때, 상기 분리 토너(79Y')는 상기 현상로울러(76)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현상로울러(76)에 대해 더 아래의 방향으로 모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분리 토너(79Y')는 상기 화상형성부(52Y)의 외부 케이스 때문에 외부로 흩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가 회전할 때, 상기 분리 토너(79Y')는 상기 현상로울러(76)와 상기 현상기(55Y)의 내벽 사이의 갭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부(52Y)로부터 외부로 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가 회전하여 많은 진동을 발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가 번갈아서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 토너 (79Y')는 외부로 떨어지기가 쉽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71)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보다 더 아래 방향, 즉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G"로 표시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로부터 떨어진 토너(90)는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71)에 의해 모아져서 상기 떨어진 토너(90)가 제 5 도의 외부 케이스(51) 내부로 흩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떨어진 토너(90)는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항상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의 회전에 따른 상기 장치에서 상기 떨어진 토너(90)의 분산은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71)의 측벽(71a)과 2 mm 이하의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 사이의 갭(G3)을 가진 구조로 인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가 있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형태를 가진 4개의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로 이루어진 구조가 설명됐으나, 또한 제 24 도에 도시된 원통형의 횡단면을 가진 상기 화상형성부(52Y', 52M', 52C', 및 52BK')에서 상기 현상 로울러(76), 상기 유기성 광전도체(54), 및 상기 전사드럼(64)의 외주의 비가 정수로써 표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드럼(64)의 상기 오목부(66)와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71)를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53')에 대해 더 아래 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에 대한 4가지 화상형성부를 구비한 칼라 전자사진 장치가 설명됐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진 칼라 전자사진 장치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으나, 그러한 개시는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모든 변형 및 변경예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간주된다.

Claims (38)

  1. 현상기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들의 중심축과 상이한 중심축 둘레의 중심각을 가지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짐으로써, 원주 형태를 형성하는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받아들임으로써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겹침부와; 프린트될 토너 화상에 따른 레이저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레이저 노광장치와; 서로 이웃한 상기 두 개의 화상형성부간에 제 1 광로와 제 2 광로를 형성하는 광로 형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광로에는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로부터 투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가 상기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중심 부분에 반사되며, 상기 제 2 광로 상에는 반사된 레이저 신호가 상기 광전도체를 노광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클리너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리너부와 상기 대전기는 상기 레이저 노광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위치의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기 광전도체로 제공되는 상기 레이저 신호의 상기 제1 및 제 2 광로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현상기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으로 구성된 4개의 칼라용이며, 상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용 현상기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블랙용 현상기의 크기가 상기 나머지 현상기의 크기와 다르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 내의 상기 클리너부와 상기 광전도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용 현상기의 크기가 다른 칼라용 상기 현상기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는 상기 블랙 화상형성부가 화상형성 과정에서 상기 화상형성 위치에 마지막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7. 현상기를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짐으로써, 원주 형태를 형성하는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받아들임으로써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와; 상기 화상 겹침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화상 겹침부의 외주 부분의 일부 상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 사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외주 길이는 상기 광전도체가 상기 화상 겹침부의 최외주 부분에 접촉해 있는 위치와 상기 광전도체가 상기 화상 형성 위치에 있게 되는 위치간의 거리보다 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외주 길이는 상기 화상 형성 위치에 놓인 상기 광전도체가 정지 상태에서 일정 회전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회전에 의해 움직이는 상기 화상겹침부의 거리보다 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외주 길이는 상기 광전도체가 상기 화상 겹침부의 외주부와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광전도체가 상기 화상형성 위치에 있게 되는 위치간의 거리에, 상기 화상형성 위치에 위치한 상기 광전도체가 정지 상태에서 일정 회전속도에 이르게 될 때 회전에 의한 상기 화상 겹침부의 이동 거리를 더하여 얻어진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용지가 상기 화상 겹침부의 표면상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풀 칼라 화상이 상기 용지 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겹침부의 표면이 절연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풀 칼라 화상이 상기 화상 겹침부의 표면상에 형성된 후에 용지 상에 전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3. 현상기를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 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상 겹침부는 화상 형성속도 또는 상기 화상 형성속도보다 늦은 제 2 회전속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속도로 회전되며, 상기 화상 겹침부가 상기 제 2 회전속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화상 겹침부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4. 현상기, 대전기 및 광전도체 세트를 각각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 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와; 상기 화상 형성 위치에 있는 상기 광전도체에 대해 상기 화상형성부에 위치한 상기 광전도체로부터 상측으로 축적되는 폐토너를 저장하는 클리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는 회전하여서 상기 화상형성 위치에 있게 될 다음 화상형성부의 상기 클리너부를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5. 현상기를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 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전체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전도체는 1/5 이하의 직경을 가진 상기 화상 겹침부에 대해, 상기 광전도체의 직경의 정수에 의해 표시된 비율의 원주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접촉되지 않으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광전도체와 토너 박막층에 의한 교류 전계에 의해 상기 토너를 이송하는 구조를 가진 모노 성분의 현상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7. 현상기를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 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광전도체의 선단 속도와 동일한 속도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주형의 토너 이송부 상에 비자기성 박막층을 형성하며, 상기 토너 이송부의 외주 길이는 상기 광전도체의 외주 길이에 대한 정수분의 1이며, 또한 상기 화상 겹침부의 외주 길이에 대한 정수분의 1 인 분수로 표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8. 현상기를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 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현상기는 비자기성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호퍼와, 토너 이송부 상에 토너 박막층을 형성하는 탄성 블레이드와, 상기 탄성 블레이드에 대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위치에 배열된, 상기 토너 호퍼로부터 상기 탄성 블레이드로의 토너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블레이드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접촉되지 않으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광전도체와 토너 박막층에 의한 교류 전계에 의해 상기 토너를 이송하는 구조를 가진 모노 성분의 현상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는 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1. 현상기를 구비하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원주 형태를 가진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화상 형성 위치에서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전체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원주형 화상 겹침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보다 더 아래 방향으로 배열된 분리 토너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는 비자기성 모노 성분의 토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결합부간의 갭이 2mm 이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4. 현상기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들의 중심축과 상이한 중심축 둘레의 중심각을 가지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짐으로써,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그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가지는 광전도체와;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각각의 토너 화상을 받아들임으로써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겹침부와; 프린트될 토너 화상에 따른 레이저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레이저 노광장치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해 최저 위치에 배열된 분리 토너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화상형성부 각각의 개구에 의해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받기부와, 측벽의 윗면과 상기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외주 사이의 좁은 갭이 가지도록 정렬되고 상기 받기부에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해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공기 유동으로 떨어진 토너를 스캐닝하는 것을 방지하는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상기 광전도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위치와 정지 위치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의 하류 측에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의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외주의 최저 부분이 상기 측벽의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토너 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6. 현상기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들의 중심축과 상이한 중심축 둘레의 중심각을 가지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짐으로써,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그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가지는 광전도체와;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각각의 토너 화상을 받아들임으로써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겹침부와; 프린트될 토너 화상에 따른 레이저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레이저 노광장치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해 최저 위치에 배열된 분리 토너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화상형성부 각각의 개구에 의해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받기부와, 측벽의 상부와 상기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외주 사이의 갭이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갭은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상기 광전도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위치와 정지 위치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의 하류 측에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의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외주의 최저 부분이 상기 측벽의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토너 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8. 현상기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들의 중심축과 상이한 중심축 둘레의 중심각을 가지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짐으로써,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그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가지는 광전도체와;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각각의 토너 화상을 받아들임으로써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겹침부와; 프린트될 토너 화상에 따른 레이저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레이저 노광장치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해 최저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화상형성부 각각의 개구로부터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분리 토너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상기 광전도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위치와 정지 위치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의 하류 측에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의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화상형성부 각각의 개구에 의해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받기부와, 상기 받기부의 원주에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최저 부분에 반대편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최저 부분의 하류측과 상류측에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최저 부분이 상기 측벽의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토너 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의 측벽은 상기 측벽의 상부와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외주 사이의 좁은 갭이 가지도록 정렬되고, 상기 받기부에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해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공기 유동으로 떨어진 토너를 스캐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의 측벽은 상기 측벽의 상부와 상기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외주 사이의 갭이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갭은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장치.
  31. 현상기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들의 중심축과 상이한 중심축 둘레의 중심각을 가지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짐으로써,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그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가지는 광전도체와;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각각의 토너 화상을 받아들임으로써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겹침부와; 프린트될 토너 화상에 따른 레이저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레이저 노광장치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해 최저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화상형성부 각각의 개구로부터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분리 토너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상기 광전도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위치와 정지 위치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의 하류 측에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의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 부분에 반대편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최저 부분의 하류측과 상류측에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가 수용된 곳에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 외부의 최저 부분에 접촉이 생기지 않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의 측벽은 상기 측벽의 상부와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외주 사이의 좁은 갭이 가지도록 정렬되고, 상기 받기부에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해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공기 유동으로 떨어진 토너를 스캐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의 측벽은 상기 측벽의 상부와 상기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의 외주 사이의 갭이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갭은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장치.
  34. 현상기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들의 중심축과 상이한 중심축 둘레의 중심각을 가지는 세 개 이상의 다른 칼라용 화상형성부와,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세 개 이상의 화상형성부를 가짐으로써, 회전가능한 화상형성부 결합부와; 그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가지는 광전도체와; 상기 광전도체 상에 형성된 각각의 토너 화상을 받아들임으로써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겹침부와; 프린트될 토너 화상에 따른 레이저 신호를 투사하기 위한 레이저 노광장치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해 최저 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화상형성부 각각의 개구로부터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분리 토너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상기 광전도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위치와 정지 위치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의 하류 측에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의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화상형성부 각각의 개구로부터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중력방향으로 상기 화상형성부 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화상형성 위치에서 현상로울러로부터 분리된 토너는 상기 화상형성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화상형성부의 회전운동 동안에 상기 개구에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까지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의 측벽은 상기 측벽의 윗면과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외주 사이의 좁은 갭이 가지도록 정렬되고, 상기 받기부에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해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공기 유동으로 떨어진 토너를 스캐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화상형성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의 하류 측에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의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정지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외주의 최저 부분이 상기 측벽의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토너 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화상형성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화상형성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 위치의 하류 측에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의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정지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최저 부분에 반대편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최저 부분의 하류측과 상류측에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가 수용된 곳에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 외부의 최저 부분에 접촉이 생기지 않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개구로부터 떨어진 토너를 받기 위한 받기부와, 상기 회전가능한 결합부 외주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받기부의 원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화상형성부의 각각의 개구가 회전운동 동안에 도달하는 최저위치는 상기 분리 토너 저장부의 반대이고 상기 측벽의 상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전자사진 장치.
KR1019970015189A 1996-04-23 1997-04-23 칼라전자사진장치 KR100297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01572A JPH09288398A (ja) 1996-04-23 1996-04-23 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96-101572 1996-04-23
JP8112455A JPH09297445A (ja) 1996-05-07 1996-05-07 電子写真感光体と現像器と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96-112455 1996-05-07
JP8161311A JPH1010825A (ja) 1996-06-21 1996-06-21 カラー電子写真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像合成転写部
JP96-161311 1996-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66A KR970071166A (ko) 1997-11-07
KR100297977B1 true KR100297977B1 (ko) 2001-10-26

Family

ID=2746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189A KR100297977B1 (ko) 1996-04-23 1997-04-23 칼라전자사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01939B1 (ko)
KR (1) KR100297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5123B1 (en) * 2000-10-11 2002-07-02 Hewlett-Packard Company Carousel type shuttle color printer with all in one EP cartridges
US6393239B1 (en) * 2000-10-24 2002-05-21 Hewlett-Packard Company High capacity toner carousel type shuttle color printer with an all in one EP cartridge having reservoir
JP4298316B2 (ja) * 2003-02-14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92234B2 (ja) * 2003-12-10 2009-12-24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とトナー補給方法
JP4474168B2 (ja) * 2004-01-15 2010-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60088343A1 (en) * 2004-10-25 2006-04-2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4635733B2 (ja) * 2005-06-23 2011-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03963A (ja) * 2005-06-27 2007-01-1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KR20080070384A (ko)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인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94152B2 (ja) * 2007-02-13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63439B2 (ja) * 2008-03-27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80006B2 (ja) * 2011-12-15 2016-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回転式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370A (ja) 1984-10-16 1986-05-14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S61200558A (ja) * 1985-03-01 1986-09-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DE3700593A1 (de) * 1986-01-13 1987-07-16 Sharp Kk Rotations-entwicklungsvorrichtung
US4875079A (en) 1987-03-19 1989-10-17 Ricoh Company, Ltd. Toner density control for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copier
US5036367A (en) 1988-11-07 1991-07-30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27295B2 (ja) 1990-02-28 1995-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235383A (en) 1990-08-31 1993-08-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3023856B2 (ja) 1991-03-18 2000-03-21 富士通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用中間転写体ドラム
JPH04318884A (ja) 1991-04-18 1992-11-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351115A (en) * 1991-05-23 1994-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pparatus employed therefor
DE4304276A1 (en) 1992-02-17 1993-08-19 Galram Technology Ind Ltd Forming high resolution image of planar or three=dimensional object - combining sharp image data provided by detector matrix for successive scanning of object via optical imaging system.
US5612771A (en) 1993-09-07 1997-03-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multiple image forming units for creating multiple toner images in registry
US5587783A (en) 1993-09-16 1996-1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variable in speed
JPH07333978A (ja) * 1994-06-05 1995-12-2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EP0720343B1 (en) 1994-12-28 2002-03-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01939B1 (en) 2001-03-13
KR970071166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977B1 (ko) 칼라전자사진장치
US72218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17947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9114322A (ja) 電子写真装置
JP3061709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103541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3543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3555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3556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3542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2006027168A (ja) 画像形成装置、シャッター機構およびシャッター部材
JP3101268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1272B1 (ja) 個別ユニット
JP3265295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H1184856A (ja) 現像装置
JP3108418B1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103552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3540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ユニット
JP3101275B1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579115B2 (ja) カラー電子写真方法
JP3101274B1 (ja) 個別ユニット
JPH09297446A (ja) カラー画像電子写真装置
JP2002116602A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H10149016A (ja) 現像装置
JP2001242697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