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672B1 - 재생된플라스틱을안정화시키는방법및이를위한안정화제혼합물 - Google Patents

재생된플라스틱을안정화시키는방법및이를위한안정화제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672B1
KR100297672B1 KR1019950701092A KR19950701092A KR100297672B1 KR 100297672 B1 KR100297672 B1 KR 100297672B1 KR 1019950701092 A KR1019950701092 A KR 1019950701092A KR 19950701092 A KR19950701092 A KR 19950701092A KR 100297672 B1 KR100297672 B1 KR 10029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nent
butyl
mix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603A (ko
Inventor
쿠르트 호프만
하인츠 허프스트
루돌프 파엔드너
한스유르겐 산더
프란시스체크 시테크
Original Assignee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Publication of KR95070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93Phosphonous compounds, e.g. R—P(OR')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가정 상업 및 공업 폐기물로 부터 수득되는 재생 플라스틱, 주로 열가소성수지는 입체장애 페놀과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그리고 지방산의 금속염의 조합물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열산화적 분해로 부터 안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재생된 플라스틱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안정화제 혼합물
본 발명은 가정, 상업 및 공업분야 그리고 유용물질 수집에서 주로 생기는 재생 플라스틱의 안정화방법, 및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재생은 생태학적 이유 때문에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문제이다. 종이, 직물, 유리 또는 금속의 재생은 폐기물의 별도 수집 또는 분류에 의해 대규모로 이미 실시되고 있다. 플라스틱 쓰레기 및 중고 플라스틱의 재생 또한 중요한 목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열가소성수지는 일반적으로 재용융법으로 가공된다.
그러나 가정, 상업 또는 공업 분야에서 나오는 플라스틱 쓰레기 또는 자동차 공업, 전기 공업, 농업 또는 팩케이징 공업과 같은 특정 분야의 공업에서 수집 또는 반환 의무로 부터 수거되는 플라스틱 물질은 주로 폴리올레핀, 스티렌 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기본한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한다.
유용 원료일 수도 있는 이들 중고 플라스틱은 단일물질 또는 혼합물로 수득될 수 있다. 단일물질 플라스틱 쓰레기는 플라스틱 부품의 제조에서 직접적으로 생길 수 있거나 또는 별도 수거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한편, 중고 플라스틱의 재생은 흔히 상이한 유형의 플라스틱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지된 공업적 분리 방법, 예컨대 하이드로사이클론 분리는 주로 다양한 플라스틱 혼합물의 중간정도로 세정된 분획, 예컨대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한다.
플라스틱 혼합물의 사용은 플라스틱의 개별 유형이 제한된 상용성을 갖거나 또는 전혀 갖지 않는 점 때문에 기술적 문제를 갖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열가소성수지가 용융법 또는 성형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긴 하지만, 불상용성 플라스틱의 혼합물(폴리블랜드)은 미세하게 볼때 비균질이고, 즉 현미경 수준에서 보면 이들은 상이한 고형상을 포함한다. 이것은 기계적 특성에 대해 상당히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 유형의 재생물질은 비교적 저강도 요건의 목적에만, 예컨대 충전재로 사용되거나 또는 두꺼운 벽의 부품, 예컨대 소음 보호 댐에 사용된다.
가정의 폐기물에서 생기는 전형적인 불상용성 조합물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PVC 또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 또는 PET 및 폴리올레핀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상 분간제로도 공지된 중합성 상용제를 부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예컨대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부가하면 폴리에틸렌 및 PVC의 혼합물을 균질화시킬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부가하면 폴리올레핀과 폴리스티렌의 혼합물을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균질화의 결과로서 기계적 특성이 굉장히 향상되어 이들 폴리블랜드는 고성능 용도에도 적합하다. 이러한 개발의 개략적인 내용은 C.Sadrmohaghegh, G.Scott 및 E.Setudeh에 의해 Polym.Plast.Technol.Eng.24(1985), 149 내지 185에 기재되어 있다.
Polymer Eng. and Science, Vo1.17, pp.700-705(1977)에 수록된 한 논문에는, 재생 폴리에틸렌에 대한 소량의 PVC 및 CPE의 영향이 연구되어 있고, 저자들은 이러한 재생물질의 만족스런 안정화는 얻을 수 없음을 관찰하였다.
재생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안정화를 위해, P.Vink, R.T.Rotteveel 및 J. D.M.Wisse는 Polymer Degr. and Stability, Issue 9, p.133(1984)에서 포스파이트, 입체장애 페놀, 벤조트리아졸, 입체장애 아민 및 포스포나이트류의 다양한 안정화제를 연구하였다.
이들 저자들은 재생물질이 재안정화되어야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플라스틱은 열산화 및 어떤 경우에는 광산화 분해에 대한 안정화제로 주로 처리되어 왔지만, 이들 안정화제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동안, 쓰레기를 저장하는 동안 및 재생물질을 가공하는 동안 어떤 경우에는 마이그레이숀, 추출 또는 분해등에 의해 손실된다. 또한 재생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앞서 사용한 결과로서 또는 저장 및 가공에 의해 신규 플라스틱과는 구조적으로 및 또한 화학적으로 상이하다. 예컨대 산화분해에 대한 공격 부위가 이미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재생 플라스틱은 비교적 다량의 안정화제 또는 특정 사정을 감안한 다른 안정화제를 필요로 한다. 적합한 안정화제를 선정하기 어려운 까닭은 장시간에 걸쳐 일어난 예전의 손상/불순물의 특정 유형에 기인한다.
각 유형의 중합체는 각기 특정 안정화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혼합물의 안정화는 아주 힘든 작업이다. 따라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에 대해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폴리올레핀 또는 스티렌 중합체에 대해 사용되는 안정화제와는 완전히 상이하다.
따라서 플라스틱 혼합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안정화제의 혼합물을 부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착물 플라스틱 혼합물의 경우, 상기 방법은 아주 복잡한 방법이다. 또한 다양한 안정화제는 서로에 대해 나쁜 영향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한가지 성분에 대한 한개의 안정화제는 다른 성분에 대해서는 손해를 줄 수 있다.
상기 문제는 상술한 문헌 및 Europ.Polym.J.18(1982), 1007에서 연구되었고 또 그 저자들은 특정 니켈 착물, 특히 니켈 디알킬디티오카르바메이트가 상용제에 의해 균질화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혼합물의 열산화 분해 및 광산화분해 모두에 대하여 최적의 안정화작용을 나타낸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상기에는 PVC를 함유하는 재생물질 또는 착물 재생물질 혼합물의 안정화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M.Riedel에 의한 “Neue Stabilisatoren zur Verbesserung des Recycling”, Industrie Anzeiger, 99, pages 1367-1369(1977) 및 F.Mitterhofer에 의한 “Stabilization aspects for the recycling of plastic scrap and waste”, Conf. Int. Trade Fair Recyling, Refuse Collect, Waste Treat, “Elmia Avfall 79”, Sweden, pages 657 내지 667(1979)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은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중합체는 스테아르산 칼슘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을 함유한다. 재생 폴리프로필렌에서 열화가 발생하는 것과 동시인 것으로 간주되는 다중 압출후의 폴리프로필렌의 안정성은 통상의 포스파이트에 비하여 훨씬 우수하다.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입체장애 페놀 및 지방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안정화 혼합물은 비닐 중합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제안되었고 예컨대 JP-A-01-020249호, DE-A-23 08 225호 또는 DE-A-33 22 938호에 기재되어 있다.
혼합된 재생 플라스틱은 원래 공지된 안정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가공 및 뒤이어 사용하는 동안 열산화적 분해로 부터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0. 01 내지 10 중량%의 a) 한개 이상의 입체장애 페놀, b) 한개 이상의 유기 아인산 에스테르 또는 아포스폰산 에스테르 및 c) 지방산의 한개 이상의 금속염의 혼합물을 가정, 상업 및 공업 폐기물 또는 유용물질 수집으로 부터 수득되는 재생 플라스틱, 주로 열가소성수지에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플라스틱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b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 1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4 이다. (a+b):c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 이다.
안정화될 플라스틱 혼합물은 예컨대 주로 포장재에 기인한 가정 및 상업(예컨대 슈퍼마켓)에서의 중고 플라스틱이다. 이들은 예컨대 필름, 가방, 병 및 기타 용기 또는 폼일 수 있다. 기타 물질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저장 또는 가공하는 동안 손상을 입은 플라스틱의 혼합물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예컨대 유용 물질 수집 또는 환수 의무, 예컨대 자동차 공업, 전기/전자 공업, 건축, 농업 및 섬유 공업으로 부터 유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및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된 중합체류로 부터 선정된 단일물질 재생 플라스틱, 중합체 블랜드로도 공지된 정의된 재생 혼합물 및 재생 플라스틱 혼합물의 안정화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재생 플라스틱 제품의 상기 혼합물은 주로 열가소성수지, 예컨대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그리고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재생 플라스틱 혼합물은 주로 25 내지 100 중량%, 특히 35 내지 99 중량%의 폴리올레핀, 0 내지 25 중량%의 폴리스티렌, 0 내지 25 중량%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0 내지 25중량%의 기타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유형의 재생 플라스틱 혼합물의 안정화에 관한 것이다. 이 혼합물은 열가소성수지 그룹내에 존재할 수 있다. 비-열가소성수지도 또한 소량으로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55 내지 95 중량%의 폴리올레핀, 5 내지 25 중량%의 폴리스티렌, 0내지 15중량%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0내지 10중량%의 기타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유형의 재생 플라스틱 혼합물의 안정화에 관한 것이다
단일 물질 재생물질의 경우,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및 폴리스티렌의 안정화에 관한 것이다. 단일물질 폴리올레핀 재생물질,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블랜드 및 PP/EPDM 및 PP/PE와 같은 공중합체의 안정화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구조의 폴리올레핀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혼합물의 안정화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혼합물에서, 주로 폴리올레핀은 통상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또한 에틸렌-프로필렌(EPM)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공중합체 및 ULDPE-MDPE와 같은 공중합체이다. 폴리스티렌(PS 및 EPS)은 스티렌(예컨대 ABS, ASA, HIPS 및 IPS)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는 또한 비닐 클로라이드(예컨대 CPE)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기타 열가소성수지중에서, 유용한 물질 수집은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또한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를 함유한다. 이차적으로 약 5% 이하의 비열가소성수지, 예컨대 폴리우레탄,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성 수지 및 전형적으로 아미노 수지 및 또한 탄성중합체, 예컨대 가황 또는 비가황 고무가 존재할 수 있다. 특정 플라스틱 쓰레기의 경우, 흔히 제거하기가 곤란한 소량의 외래 물질, 예컨대 종이, 안료 및 접착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외래 물질은 사용 또는 가공하는 동안 다양한 물질, 예컨대 연료 잔류물, 도료 성분, 미량의 금속, 개시제 잔류물 또는 미량의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다.
a, b 및 c의 혼합물 0.05 내지 5 중량%가 재생물질에 부가될 수 있다. a, b 및 c의 혼합물 0.1 내지 2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게 부가된다. 0.1 내지 0.5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게 부가된다.
성분 a로 사용된 입체장애 페놀은 플라스틱, 특히 폴리올레핀의 열산화성 노화에 대한 안정화제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한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I)의 기를 함유한다:
식중에서. R′은 수소, 메틸 또는 t-부틸이고, 또
R″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 또는 치환된 티오에테르이다.
상기 유형의 입체장애 페놀의 예는 다음과 같다:
2,6-디-t-부틸-4-메틸페놀, 2-t-부틸-4,6-디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2,6-디-t-부틸-4-n-부틸페놀, 2,6-디-t-부틸-4-i-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t-부틸-4-메톡시메틸페놀, 2,6-디노닐-4-메틸페놀, 2,6-디-t-부틸-4-메톡시페놀, 2,5-디-t-부틸히드로퀴논, 2,5-디-t-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2′-티오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2-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t-부틸-2-메틸페놀),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t-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술파이드, 이소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비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디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및 모노에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의 칼슘염.
성분 a는 한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I)의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중에서, R′는 메틸 또는 t-부틸이고, 또
R″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 또는 치환된 티오에테르이다.
이러한 입체장애 페놀의 예는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살아미드 및 상기 산의 아미드와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또는 β-(5-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의 에스테르, 예컨대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및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이다.
특히 하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2-프로펜온산 2-(1,1-디메틸에틸)-6-[(3-(1,1-디메틸에틸)-2-히드록시-5-메틸-페닐]메틸]-4-메틸페닐에스테르};
{벤젠프로판산 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1,6-헥산디일에스테르};
{벤젠프로판산 3-(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5-메틸-1,2-에탄디일비스(옥시-2,1-에탄디일)에스테르} ;
{2-메틸-4,6-비스[(옥틸티오)메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벤젠프로판산 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티오디-2,1-에탄디일에스테르};
{4,4′,4″-[(2,4,6-트리메틸-1,3,5-벤젠트리일)트리스-(메틸렌)]트리스[2,6-비스(1,1-디메틸에틸)페놀};
{1,3,5-트리스[[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성분 a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또는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또는 옥타데실 에스테르이다.
성분 b로 사용된 유기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또한 플라스틱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특히 폴리올레핀에 대한 가공 안정화제로서 사용된다.
이들은 주로 방향족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컨대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토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3,9-비스(2,4-디-t-부틸-4-메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 3,9-트리스(2,4,6-트리스-t-부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 및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닐)플루오로포스파이트.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이다: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성분 b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이다.
성분 c는 금속이 주기율표의 주족 또는 아족(II)의 원소 또는 주석일 수 있는 지방산의 금속염이다.
이들은 특히 지방족 포화 C2-C22카르복실레이트, 지방족 올레핀성 C3-C22카르복실레이트, 한개 이상의 OH기에 의해 치환된 지방족 C2-C22카르복실레이트,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C5-C22카르복실레이트, 방향족 C7-C22카르복실레이트, 한개 이상의 OH기에 의해 치환된 방향족 C7-C22카르복실레이트, C1-C16알킬-치환된 페닐카르복실레이트 및 페닐 C1-C16알킬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정된 아연염, 마그네슘염, 주석염 또는 칼슘염이다. 스테아레이트, 라우레이트 및 베헤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c는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또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양한 성분 a, b 및 c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성분 c는 라우르산 칼슘 및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스테아르산 아연 및 스테아르산 칼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a) 한개 이상의 입체장애 페놀, b) 한개 이상의 유기 아인산 에스테르 또는 아포스폰산 에스테르 및 c) 지방산의 한개 이상의 금속염을 포함하는 안정화제 혼합물 및 가정, 상업 및 공업 폐기물, 유용물질 수집 및 중고 플라스틱으로 부터 수득되는 주로 열가소성수지의 재생 혼합물에 대한 상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안정화제 혼합물은 100 부(중량기준)당 다음을 포함한다:
(A) 성분 a)로서 5 내지 50 중량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 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B)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및 스테아르산 아연의 혼합물;
(C)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옥타데실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 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D) 성분 a)로서 10 내지 4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10 내지 4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20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본 발명은 또한 가정, 상업 및 공업의 쓰레기, 유용물질 수집 및 중고 플라스틱으로 부터 수득되는 플라스틱, 주로 열가소성수지의 재생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이들 재생 혼합물은 a) 한개 이상의 입체장애 페놀, b) 한개 이상의 유기 아인산 에스테르 또는 아포스폰산 에스테르 및 c) 지방산의 한개 이상의 금속염을 함유한다.
주로 열가소성수지의 바람직한 재생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 혼합물 및 이들의 용도는 상기 방법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 성분 및 혼합비에서 일치한다.
이들 조합물을 재생물질에 부가하면 분해가 감소된 열가소성수지 가공이 가능하고 및/또는 재생물질로 부터 생산된 물질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는 재생물질에 상용제가 부가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실이다. 그러나, a, b 및 c 조합물의 부가는 개별 플라스틱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이 부가되는 재생물질의 경우 특히 중요한데 이는 상기 중합체가 일반적으로 안정화를 요하기 때문이다.
기타 통상의 플라스틱 첨가제는 손상을 입은 플라스틱, 예컨대 탄성중합체(충격개질제) 및 상용제의 물질 특성을 향상시키는 중합체일 수 있다. 충격 개질제는 부서지기 쉬운 중합체를 개질할 수 있어 저온에서도 강하게 유지시키는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EP(D)M 중합체, ABR, BR 및 SBR 그라프트 중합체가 상기 목적에 특히 적합하다.
상용제는 공중합체, 특히 스티렌과 부타디엔 및 필요하다면 아크릴로니트릴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또 제3의 단량체 성분, 예컨대 부타디엔을 함유할 수 있다.
염소화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재생물질의 특정 조성에 따라서 상용제로서 적합하다.
기타 적합한 상용제는 특히 극성기를 함유하며, 예컨대 아크릴기, 무수 말레인산기 또는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무수 말레인산-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이들 중합성 상용제는 일반적으로 안정화될 플라스틱을 기준하여 2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a, b 및 c의 혼합물의 안정화 작용, 특히 장기간 안정성은 소위 티오상승제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상승작용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들은 지방족 티오에테르, 특히 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이다. 그 예는 티오디프로피온산의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및 트리데실 에스테르이거나 또는 디스테아릴 디술파이드이다. 이들 티오상승제는 바람직하게는 재생물질을 기준하여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젖산염, 예컨대 젖산 칼슘 또는 칼슘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 또는 락톤, 예컨대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정된 적합한 안정화제가 부가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재생물질로 부터 제조된 물품에 높은 광안정성이 필요한 경우, 한개 이상의 광안정화제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광안정화제의 예는 특히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옥사닐리드 및 입체장애 아민류로 구성된 계로 부터 선정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5′-메틸, 3′,5′-디-t-부틸, 5′-t-부틸, 5′-(1,1,3,3-테트라메틸부틸), 5-클로로-3′,5′-디-t-부틸, 5-클로로-3′-t-부틸-5′-메틸, 3′-sec-부틸-5′-t-부틸, 4′-옥톡시, 3′,5′-디-t-아밀 및 3′,5′-비스(α,α-디메틸벤질)유도체.
옥살아미드, 예컨대 4,4′-디옥틸옥실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t-부틸옥사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t-부틸옥사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살아미드, 2-에톡시-5-t-부틸-2′-에틸옥사닐리드 및 이들과 2-에톡시-2′-에틸-5,4′-디-t-부틸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메톡시- 및 o- 및 p-에톡시-이치환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입체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n-부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t-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 또는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과의 축합 생성물,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오에이트, 비스(2,6,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α-도데실숙신이미드,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α-도데실숙신이미드, 2,4,6-트리스[N-(펜틸-2-(3,3,5,5-테트라메틸-2-옥소-피페라지노)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21-옥소-디스피로[5,1,11,2]헨에이코산, 2,2,4,4-테트라메틸-20-(2-도데실옥시카르보닐에틸)-7-옥사-3,20-디아자-21-옥소-디스피로[5,1,11,2]-헨아이코산, 8-아세틸-3-도데실-1,3,8-트리아자-7,7,9,9-펜타메틸[4,5]데칸-2,4-디온,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1,3,5-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 도데칸 및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디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실옥산.
광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혼합물을 기준하여 0.01 내지 2 중량%, 특히 0.05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부가된다. 사용된 광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과 입체장애 아민의 조합물이다.
필요에 따라 상술한 첨가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 혼합물은 압축 형태 또는 압출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담체물질상에 담지된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혼합물 또는 분말 형태로 재생물질에 직접적으로 부가된다.
필요에 따라서 톱밥 또는 운모와 같은 충전제, 강화제, 예컨대 유리 섬유, 유리 비이드 또는 광물 섬유, 안료, 가소제, 윤활제, 금속 스테아레이트 또는 라우레이트, 방염제, 대전방지제 또는 취입제와 같은 통상의 플라스틱 첨가제가 재생 플라스틱 혼합물에 부가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들은 재생물질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다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사용된 윤활제는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스테아르산 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런 방식으로 안정화된 재생물질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예컨대 관, 프로필, 시트, 케이블 절연, 스포츠 용품, 원예 가구, 필름, 건축 부품, 자동차 및 기계의 부품 및 모든 종류의 용기, 예컨대 병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재생물질은 신규 플라스틱과 혼합될 수 있거나 또는 공압출 공정에 의해 새로운 플라스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공정과 안정화제 혼합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나머지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모든 부와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기준이다.
과립형태인 중고 플라스틱 물질(중고 뱃터리 케이싱으로 부터 얻은 PP 공중합체)을 스크류 혼합기내에서 안정화제(표 1)와 함께 균질화시킨 다음 2축 스크류 배합기(온도 260℃)에서 5회 압출한다. 용융유동지수(MFI, 230℃, 2.16㎏)는 압출전 및 1회, 3회 및 5회 압출후에 DIN 53 735M(ISO 1133/12)에 따라서 측정한다.
상기 과립을 240℃, 사출 성형기(Arburg 100)중에서 쉬트(두께 2㎜)로 전환시킨다. 이들 쉬트를 팬-보조되는 오븐중, 135℃에서 부서질때 까지 인공 노화처리시킨다(표 2).
[표 1]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샘플은 반복 압출후 용융유동지수에서 약간의 증가만을 나타낸다. 중합체의 분해반응 및 조성분해(사슬파괴)에 의해, 용융유동지수는 증가한다.
[표 2]
[실시예 2 내지 5]
과립 형태인 중고 플라스틱 물질(BOPP: 2축 연신된 폴리프로필렌으로 부터 응집된 생산 찌꺼기)을 스크류 혼합기에서 안정화제(표 2)와 함께 균질화시킨 다음 2축 스크류 배합기(온도 230℃)에서 5회 압출한다. 용융 유동지수(MFI, 230℃, 2. 16㎏)는 1회, 3회 및 5회 압출후에 DIN 53 735 M(ISO 1133/12)에 따라서 측정한다.
[표 3]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샘플은 반복 압출후 용융유동지수에서 약간의 증가만을 나타낸다. 중합체의 분해반응 및 조성분해(사슬파괴)에 의해, 용융유동지수는 증가한다.
상기 과립을 230℃, 사출 성형기(Arburg 100)중에서 쉬트(두께 2㎜)로 전환시킨다. 이들 쉬트를 팬-보조되는 오븐중, 135℃에서 부서질때 까지 인공 노화처리시킨다(표 4).
[표 4]
시편을 팬-보조되는 건조캐비넷증 135℃에서 저장한다. 500 시간, 1000 시간, 1500 시간 및 2000 시간후에 샘플을 취하여 DIN 53448에 따라서 인장충격강도를 측정한다(표 5).
[표 5]
[실시예 6 내지 8]
과립 형태인 중고 BOPP(2축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생산 찌꺼기)를 스크류 혼합기에서 안정화제(표 6)와 함께 균질화시킨 다음 2축 스크류 배합기에서 1회 압출한다. 이 과립을 230℃, 사출성형기(Arburg 100)에서 시편으로 전환시킨다. 노출 시험하기 위해, 이들 시편을 Atlas Ci 65A Weather-O-Meter에서 저장한다. 500 시간, 1000 시간, 1500 시간 및 2000 시간 동안 UV 노출시킨 후 5개 시편을 취하여 DIN 53448에 따라서 인장충격강도를 측정한다.
[표 6]
[실시예 9]
과립 형태의 중고 HDPE 물질(드럼 물품)을 스크류 혼합기에서 안정화제(표 7)와 함께 균질화시킨 다음 230℃의 2축 스크류 배합기(ZSK)에서 5회 압출한다. 1회, 3회 및 5회 압출한 후 DIN 53735 M(ISO 1133/12)에 따라서 용융유동지수(MFI, 230℃/10㎏)를 측정한다.
[표 7]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샘플은 반복 압출후에 용융유동지수에서 전혀 증가를 나타내지 않는다. 중합체의 가교반응 때문에. 안정화되지 않은 샘플의 용융유동지수는 감소된다.
[실시예 10 내지 22]
중고 플라스틱 물질(평균 조성: HDPE/PP=90/10, 중공물품으로 부터 유래)을 240℃에서 안정화제(표 8)와 함께 압출한다. 상기 과립을 220℃에서 사출성형기(Arburg 100)를 이용하여 쉬트(두께 2㎜)로 전환시킨다. 이들 시편을 팬-보조되는 오븐중, 120℃에서 부서질 때 까지 인공노화시킨다.
시편을 120℃, 팬-보조되는 건조 캐비넷중에서 저장한다. 500시간, 1000 시간 및 1500 시간후에 5개 시편을 취하여 DIN 53448에 따라서 인장충격강도(표9)를 측정한다.
[표 8]
[표 9]
[실시예 23 및 24] : 36.14g의 BOPP 필름 과립, 0.029g의 AO-1, 0.014g의 P-1 및 0.029g의 F-1(또는 실시예 24의 경우 0.014g의 AO-1, 0.029 g의 P-1 및 0.029 g의 F-1)의 혼합물을 200℃, 질소하, 브라밴더 혼합기(브라밴더 플라스티코더 PL 2001/3, W50 혼합실)에서 30분간 배합한다. 동시에 배합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인 토크에서의 변화를 기록한다(표 10).
30분간 혼합한 후, 브라밴더 혼합기로 부터 중합체 용융물을 빼내고 200℃에서 압축하여 2㎜ 두께의 쉬트를 생성한다. 이들 쉬트로 부터 시편을 샘플링하고 노치화되지 않은 시편상에서 DIN 54 448에 따라서 인장충격 강도를 측정한다.
상기 쉬트의 단편상에서 용융유동지수(MFI, 230℃, 2.16㎏)를 DIN 53 735M(ISO 1133/12)에 따라서 측정한다(표 10).
[표 10]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샘플은 안정화제를 갖지 않는 샘플에 비하여 토크에서 약간의 저하, 낮은 인장충격강도 및 낮은 용융유동지수를 나타낸다. 중합체의 분해반응 및 조성분해(사슬파괴)에 의해 토크는 저하되고 또 용융유동지수는 증가된다.
[실시예 25 내지 40]
[혼합 플라스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 조성을 갖는 중고 플라스틱 혼합물을 사용한다:
80%의 PO 경량분획
15%의 PS
2%의 PET 및
3%의 PVC.
39g의 중고 플라스틱 혼합물을 브라밴더 W50 혼합기내 200℃(40 rpm)에서 10분간 배합한다. 상기 혼합기에 첨가제(표 11)를 플라스틱 혼합물과 함께 처음부터 직접 부가한다. 10분후 혼합을 중지하고 중합체 물질을 혼합기로 부터 빼내어 20 kN, 30℃에서 1 분간 예비압축시킨다.
상기 압축에 의해 두께가 2㎜인 쉬트를 200℃/50 kN에서 제조한다.
시편을 상기 쉬트로 부터 취하여 팬 보조되는 오븐중 110℃에서 노화시킨다. 샘플이 부서질 때 까지 계속 노화시켜 굴곡 시험을 측정한다. 열 노화의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
10분 브라밴더 200℃
2 ㎜ 압축쉬트
[실시예 41 내지 44]
S(EB)S 블록 공중합체를 기본한 상용제 7.5부를 중고 플라스틱 혼합물에 부가한다.
과정은 실시예 25에서와 유사하다.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낸다.
[표 12]
10분 브라밴더 200℃
2 ㎜ 압축쉬트
[실시예 45 내지 47]
45g의 EPS 재생물질(과립)을 200℃(40 rpm)로 유지되는 브라밴더 W50 혼합실에서 10분간 배합한다. 첨가제(표 13)를 플라스틱 혼합물과 함께 처음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혼합실에 부가한다. 10분후에 혼합을 중지하고, 중합체 물질을 혼합실로 부터 빼내며 30℃, 20 kN에서 1분간 압축한다.
상기를 200℃/50 kN 에서 압축하는 것에 의해 두께 2 ㎜의 쉬트를 제조한다.
배합한 후 압축함으로써 용융부피지수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샘플은 안정화되지 않은 샘플에 비교하여 용융부피지수(표 13)에서 약간의 증가만을 나타낸다.
[표 13]
[실시예 48 및 49]
36g의 중고 LDPE를 200℃(40 rpm)로 유지되는 브라밴더 W 50 혼합실에서 10분간 배합한다. 첨가제(표 14)를 플라스틱 혼합물과 함께 처음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혼합실에 부가한다. 10분후에 혼합을 중지하고, 중합체 물질을 혼합실로 부터 빼내어 30℃, 20 kN에서 1분간 압축한다.
상기를 200℃/50 kN 에서 압축하는 것에 의해 두께 2㎜의 쉬트를 제조한다.
상기 쉬트로 부터 시편을 절단해내어 팬-보조되는 오븐, 110℃에서 노화시킨다. 샘플이 부서질 때 까지 노화를 계속하고 굴곡 시험을 확인한다. 인공 노화의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표 14]
10분 브라밴더 200℃
2 ㎜ 압축쉬트
OIT: 산소 유도 시간, 200℃, ASTM D 3895-80 에 따라 측정, 가열속도 10℃/분
[실시예 50 내지 52]
PP/LDPE 응집물을 본 시험에 사용한다. 상용제를 상기 응집물에 부가한다.
comp. = 상용제(무수 말레인산으로 그라프트된 PE를 기본으로 함)
36.7 g의 응집물 및 상용제의 혼합물을 200℃(40 rpm)로 유지되는 브라밴더 W 50 혼합실에서 10분간 배합한다. 첨가제(표 15)를 플라스틱 혼합물과 함께 초기부터 혼합실에 도입한다. 10분후, 혼합을 중지하고 중합체 물질을 혼합실로 부터 빼내어 30℃, 20 kN에서 1본간 예비압축한다.
200℃/50 kN 에서 상기를 압축하여 두께 2㎜의 쉬트를 생산하고 DIN 53448에 따라서 인장충격강도를 측정한다.
상기 압축으로 부터 분쇄시킨 후 용융부피 지수를 측정한다.
[표 15]
2㎜ 압축 쉬트
하기 안정화제가 상기 예에서 사용된다:
A0-1: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A0-2: β-(3,5-디-t-부티-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옥타데실 에스테르
A0-3: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A0-4: 벤젠프로피온산 3-(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5-메틸-1,2-에탄디일비스(옥시-2,1-에탄디일)에스테르
F-1: 스테아르산 칼슘
F-2: 스테아르산 아연
F-3: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LS-1: 5-클로로-3′,5′-디-t-부틸-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LS-2: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P-1: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T-1: 3.3′-티오비스프로피온산-디옥타데실 에스테르
Z-1: 펜타에리트리톨

Claims (9)

  1. 혼합물 100 중량부당, (A) 성분 a)로서 5 내지 50중량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B)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및 스테아르산 아연의 혼합물; (C)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옥타데실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D) 성분 a)로서 10 내지 4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10 내지 4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20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을 포함하는 안정화제 혼합물 0.01 내지 10중량%를, 5중량% 이하의 비 열가소성 수지를 갖는 실질적으로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된 재생 플라스틱에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 플라스틱 물질은 55 내지 95중량%의 폴리올레핀, 5 내지 25중량%의 폴리스티렌, 0 내지 15중량%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0 내지 10중량%의 기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플라스틱의 안정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b의 중량비가 20:1 내지 1:20이고 또(a+b):c의 중량비가 10:1 내지 1:20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재생 플라스틱이 공업적 분리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올레핀 혼합물 형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 b 및 c의 혼합물 0.05 내지 5중량%를 재생 플라스틱에 부가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생물질이 추가적으로 개별 플라스틱의 상용성을 상호 증가시키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을 플라스틱 재생물질 혼합물의 양을 기준하여 2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로 구성된 계로부터 선정되는 티오상승제를 플라스틱 재생물질을 기준하여 0.1 내지 1중량%의 양으로 플라스틱 재생물질에 추가적으로 부가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옥사닐리드 및 입체장애 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정된 한 개 이상의 광안정화제를 부가적으로 재생 플라스틱 혼합물에 부가하고, 또 광안정화제의 양이 재생 플라스틱 혼합물을 기준하여 0.01 내지 2중량%인 방법.
  8. 혼합물 100 중량부당, (A) 성분 a)로서 5 내지 50중량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B)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및 스테아르산 아연의 혼합물; (C)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옥타데실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D) 성분 a)로서 10 내지 4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10 내지 4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20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을 포함하는, 가정, 상업 및 공업 폐기물 또는 유용물질 수집으로부터 수득되는 재생 플라스틱, 주로 열가소성수지에 대한 안정화제 혼합물.
  9. 혼합물 100 중량부당, (A) 성분 a)로서 5 내지 50중량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B)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및 스테아르산 아연의 혼합물; (C) 성분 a)로서 5 내지 50부의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옥타데실에스테르, 성분 b)로서 5 내지 5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5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D) 성분 a)로서 10 내지 40부의 β-(3,5-디-t-부틸_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성분 b)로서 10 내지 40부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성분 c)로서 20 내지 50부의 스테아르산 칼슘을 포함하는 안정화제 혼합물을 0.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5중량% 이하의 비 열가소성수지를 갖는 실질적으로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된 재생 플라스틱.
KR1019950701092A 1992-09-25 1993-09-14 재생된플라스틱을안정화시키는방법및이를위한안정화제혼합물 KR100297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2-0/3012 1992-09-25
CH301292 1992-09-25
PCT/EP1993/002486 WO1994007946A1 (en) 1992-09-25 1993-09-14 Process for the stabilization of and stabilizer mixtures for recycled pla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603A KR950703603A (ko) 1995-09-20
KR100297672B1 true KR100297672B1 (ko) 2001-11-14

Family

ID=424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092A KR100297672B1 (ko) 1992-09-25 1993-09-14 재생된플라스틱을안정화시키는방법및이를위한안정화제혼합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5643985A (ko)
EP (1) EP0662101B1 (ko)
JP (1) JP3593597B2 (ko)
KR (1) KR100297672B1 (ko)
CN (1) CN1060187C (ko)
AT (1) ATE430779T1 (ko)
AU (1) AU686110B2 (ko)
BR (1) BR9307106A (ko)
CA (1) CA2143754C (ko)
DE (1) DE69334283D1 (ko)
MX (1) MX9305877A (ko)
TW (1) TW254955B (ko)
WO (1) WO1994007946A1 (ko)
ZA (1) ZA937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6136A (ja) * 1994-09-23 1998-06-16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安定化された再利用プラスチック
JP3766990B2 (ja) * 1995-10-02 2006-04-19 住友化学株式会社 亜リン酸エステル類、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0215479B1 (ko) * 1995-11-24 1999-08-16 장용균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868278B1 (en) * 1995-12-12 2003-08-13 Uponor Innovation Ab Method for producing homogeneous material with an extruder, and extruder
DE19625110A1 (de) * 1996-06-17 1997-12-18 Finacor Anstalt Kunststoff-Recyclingverfah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werkstoffen
EP0905181B1 (de) * 1997-09-29 2003-01-15 Ciba SC Holding AG Stabilisatorgemisch für organische Materialien
US6107377A (en) * 1998-09-17 2000-08-2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ropylenic resin and blow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US8404257B1 (en) 1998-11-02 2013-03-26 Basf Se Stabilisation of body-care and household products
US6100320A (en) * 1999-03-24 2000-08-08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thermoplastic profiles having reduced melt fracture
ES2246821T3 (es) 1999-05-21 2006-03-01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Aumento del peso molecular y modificaciones de policondensados.
GB2355463B (en) * 1999-10-18 2001-12-05 Ciba Sc Holding Ag Stabilisers for emulsion crude rubbers, synthetic latex and natural rubber latex
KR100727524B1 (ko) * 2000-02-22 2007-06-14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올레핀용 안정화제 혼합물
ATE308584T1 (de) * 2000-08-16 2005-11-15 Alterungsschutzmittel auf basis von phenolischen salzen
US6706793B2 (en) 2002-01-23 2004-03-16 Delphi Technologies, Inc. Intumescent fire retard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809129B2 (en) * 2002-01-23 2004-10-26 Delphi Technologies, Inc. Elastomeric intumescent material
CN1659225B (zh) 2002-04-12 2012-06-27 Mba聚合物公司 包含回收塑料的组合物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4046214A2 (en) 2002-10-15 2004-06-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JP4041034B2 (ja) * 2002-11-07 2008-01-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材料、成形体、土木資材、並びに水の貯留又は浸透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BRPI0407255B1 (pt) * 2003-02-14 2018-03-13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Composições de resina, artigo conformado, processos para provimento de uma poliolefina e para o aumento de temperatura de cristalização desta, filme orientado monoaxial ou biaxialmente, sistemas multicamadas, compostos e seus usos, e mistura
US20060011108A1 (en) * 2004-07-13 2006-01-19 Abu-Isa Ismat A Fire resistant plastic pallet
US20060142452A1 (en) * 2004-12-23 2006-06-29 Sonya Wolters Polyolfins, methods of making polyolefins and related plastic additive compositions
US20090092561A1 (en) * 2007-10-09 2009-04-09 Lupia Joseph A Body-care and household product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pecific sulfur-containing compounds
US20090186177A1 (en) * 2008-01-22 2009-07-23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melt phase product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SG154418A1 (en) 2008-01-31 2009-08-28 Sumitomo Chemical Co Granular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SG160319A1 (en) 2008-10-06 2010-04-29 Sumitomo Chemical Co Granular stabilizer for polym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101792596A (zh) * 2010-03-25 2010-08-04 从化市聚赛龙工程塑料有限公司 回收利用废旧汽车尼龙制件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5563905B2 (ja) * 2010-06-25 2014-07-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サイクル樹脂含有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を押出成形してなるパイプ成形品、及びポリエチレン系樹脂リサイクル方法
WO2013072070A1 (en) 2011-11-18 2013-05-23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Sabic) Use of polyethylene composition in wire and cable jacketing and /or insulation.
CN103010561A (zh) * 2012-11-30 2013-04-03 杨之冬 一种真空压缩袋
ES2917174T3 (es) 2015-06-15 2022-07-07 Imertech Sas Artículo obtenido por moldeo por inyección
JP2017222425A (ja) * 2017-07-04 2017-12-21 グリーンプラ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より製造された梱包用バンド
DE102017217312A1 (de) 2017-09-28 2019-03-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halogenfrei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ezyklaten sowie stabilisierte Kunststoffzusammensetzungen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massen und Formteile
DE102019200905A1 (de) 2019-01-24 2020-07-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halogenfrei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ezyklaten, Kunststoff-Zusammensetzung, Stabilisator-Zusammensetzung sowie Verwendung der Stabilisator-Zusammensetzung
DE102019204160A1 (de) 2019-03-26 2020-10-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ezyklaten sowie stabilisierte Kunststoffzusammensetzungen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massen und Formteile
WO2022179949A1 (en) 2021-02-25 2022-09-01 Basf Se Pelletization of a polymer stabilizer mixture
US20240158613A1 (en) 2021-02-25 2024-05-16 Basf Se Pelletization of a polymer stabilizer mixture
DE102021202103A1 (de) 2021-03-04 2022-09-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Verwendung einer Stabilisatorzusammensetzung zur Stabilisierung von halogenfrei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ecyclaten, eine Stabilisatorzusammensetzung, ein Masterbatch oder Konzentrat, eine stabilisierte Kunststoffzusammensetzung, hier ein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halogenfrei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ecyclaten sowie Verwendung von Zusammensetzungen
US20240165851A1 (en) 2021-03-09 2024-05-23 Basf Se Pelletization of a polymer stabilizer mixture
CA3211483A1 (en) 2021-03-09 2022-09-15 Thomas Georg Gfroerer Pelletization of a polymer stabilizer mixture
DE102021202508A1 (de) 2021-03-15 2022-09-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Verwendung einer Stabilisatorzusammensetzung zur Stabilisierung von Polyolefin-Recyclaten, Stabilisatorzusammensetzung, Masterbatchkonzentrat, Kunststoffzusammensetzung, Formmasse oder Formteil,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eines Polyolefin-Recyclats sowie Verwendung einer Kunststoffzusammensetzung
DE102021205168A1 (de) 2021-05-20 2022-11-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Verwendung mindestens einer Schwefel enthaltenden Aminosäure zur Stabilisierung vo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ecyclaten, stabilisiertes thermo-plastisches Kunststoffrecyclat, Stabilisatorzusammensetzung, Masterbatch sowie Formmasse bzw. Formteil
CN113527793A (zh) * 2021-08-04 2021-10-22 安徽豪洋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hdpe双壁波纹管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249A (en) * 1987-07-14 1989-01-24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Polyolefin composition of improved 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98281A (en) * 1972-03-03 1975-06-18 Akzo Nv Additives for resins
DE2660746C3 (de) * 1975-02-20 1993-07-15 Ciba Geigy Ag Verwendung von stabilisatorensystemen aus triarylphosphiten und phenolen
CA1084646A (en) * 1976-03-29 1980-08-26 Carl W. Schroeder Polypropylene compositions
CH655510B (ko) * 1982-02-08 1986-04-30
US4443572A (en) * 1982-09-22 1984-04-17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olefin stabilizers
DE3322938A1 (de) * 1983-06-25 1985-01-1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nwendungstechnisch besonders gut geeigneten homo- und copolymerisaten des propylens
JPS60196921A (ja) * 1984-03-19 1985-10-05 東洋紡績株式会社 エレクトレツト化材料の製造法
US5227418A (en) * 1992-12-17 1993-07-13 Phillips Petroleum Company Thermally stabilized stereoregular, branched-mono-1-olefin polymer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249A (en) * 1987-07-14 1989-01-24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Polyolefin composition of improved s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54955B (ko) 1995-08-21
DE69334283D1 (de) 2009-06-18
KR950703603A (ko) 1995-09-20
CA2143754A1 (en) 1994-04-14
AU4816693A (en) 1994-04-26
US5804623A (en) 1998-09-08
WO1994007946A1 (en) 1994-04-14
EP0662101A1 (en) 1995-07-12
EP0662101B1 (en) 2009-05-06
BR9307106A (pt) 1999-05-25
AU686110B2 (en) 1998-02-05
JP3593597B2 (ja) 2004-11-24
ZA937075B (en) 1994-03-25
CN1084528A (zh) 1994-03-30
JPH08501814A (ja) 1996-02-27
MX9305877A (es) 1994-03-31
CN1060187C (zh) 2001-01-03
CA2143754C (en) 2004-11-23
US5643985A (en) 1997-07-01
ATE430779T1 (de)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672B1 (ko) 재생된플라스틱을안정화시키는방법및이를위한안정화제혼합물
KR100394565B1 (ko) 재생된플라스틱혼합물을안정화시키는방법및이를위한안정화제혼합물
KR100303592B1 (ko) 단일물질성재생플라스틱을안정화시키는방법및이를위한안정화제혼합물
CA2063970C (en) Process for stabilising recycled mixed plastics
US7375149B2 (en) Stab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US5597857A (en) Low-dust granules of plastic additives
US5789470A (en) Stabilized recycled plastics
KR19980024827A (ko) 대전방지성조성물
AU2014336388A1 (en) Triazine, piperidine and pyrrolidine based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KR20020079770A (ko) 물과 장기간 접촉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용 상승적 안정화제조성물
JP3653615B2 (ja) 損傷した熱可塑性樹脂の安定化
EP0799254A1 (en) Pyrrolidinone-containing compatibilisers
JPH08511045A (ja) 損傷した熱可塑性樹脂の安定化
JPH0830129B2 (ja) 改質プロピレ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H0796589B2 (ja) 架橋プロピレ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H0920842A (ja) 安定化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H0749497B2 (ja) 架橋エ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