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650B1 -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650B1
KR100297650B1 KR1019980063207A KR19980063207A KR100297650B1 KR 100297650 B1 KR100297650 B1 KR 100297650B1 KR 1019980063207 A KR1019980063207 A KR 1019980063207A KR 19980063207 A KR19980063207 A KR 19980063207A KR 100297650 B1 KR100297650 B1 KR 10029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ata
value
input digital
inter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520A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이정태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태,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태
Priority to KR101998006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650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97Details of time redundant execution on a single processing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시 회로(10)는 내부 기준 계수값을 이용하여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 변환을 감지하고, 변환된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 유지 시간을 발진부(11)의 클럭을 계수하여 감시하고, 디지탈 데이타가 소정 시간 이상으로 소정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경우에는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표시부(12)에 에러 상태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 변환 상태를 발진 클럭을 이용하여 감시하므로서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정확히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METHOD FOR ERROR CHECKING RECEIVING DIGITAL SYGNAL)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타를 수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탈 데이타의 수신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송 시스템에서 수신측은 송신측의 디지탈 데이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가를 감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멀티바이브레이터 등을 사용하고 있다. 즉, 입력 데이타들은 최소한의 데이타 변화 주기를 가지고 로우 또는 하이 레벨로 변화하므로 이 입력 데이타들을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클럭 단자에 인가하였다.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클럭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타에 의하여 트리거되며, 트리거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내부 시정수에 따라 설정된다. 여기서, 클럭 단자에 인가되는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예컨데 무입력 등의 상태가 설정된 내부 시정수 이상인 경우에는 멀티바이브레이터가 트리거되지 않는 바,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 단자의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멀티바이브레이터내의 시정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정확히 감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정확히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내부 계수값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내부 계수값을 초기화한 후에 외부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과 내부 변수의 로직값이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과 내부 변수의 로직값이 상이하면, 내부 변수의 로직값을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으로 변경하고, 내부 계수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과 내부 변수의 로직값이 동일하면, 내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내부 계수값이 소정 계수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내부 계수값이 계수 기준값 이상이면,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을 표시하고, 내부 계수값이 계수 기준값 이하이면, 외부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로 귀환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지 방법을 행하는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데이타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데이타 감지 방법의 수행중에 주요 상태를 도시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1 : 발진부
12 :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디지탈 데이타는 감시 회로(10)에 제공되며, 감시 회로(10)에는 발진기(11) 및 표시부(12)가 연결되어 있다.
감시 회로(10)에 인가되는 디지탈 데이타는 최소한의 데이타 변화 주기를 가지며, 감시 회로(10)내에는 이러한 최소 데이타 변화 주기에 대응하는 내부 계수 기준값이 저장된다.
또한, 감시 회로(10)에는 발진기(11)의 발진 클럭이 제공되며, 발진기(11)의 발진 클럭은 수신 디지탈 데이타보다 최소한 3배의 주파수를 가지고 발진한다.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진 클럭이 디지탈 데이타보다 3배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경우에는 더욱 정밀한 감시를 행할 수 있다.
감시 회로(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진기(11)의 발진 클럭 및 내부 계수 기준값을 이용하여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상태시에는 표시부(12)를 통하여 이상 상태임을 표시한다.
발진기(11)로부터의 발진 클럭을 이용하여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상태를 감하는 감시 회로(10)의 작동 방법의 흐름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감시 회로(10)는 작동이 개시되면, 단계(S1)에서 내부 계수값을 초기화하고, 발진기(11)로부터의 발진 클럭을 입력한다(S2).
그리고, 감시 회로(10)는 단계(S3)로 진행하여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 즉,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상태가 내부 변수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내부 변수는 후술하는 단계(S4)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내부 변수의 초기 상태가 0이고, 입력 디지탈 데이타가 하이 레벨 즉 "1"상태인 경우에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와 내부 변수가 상이하므로 감시 회로(10)는 단계(S4)로 진행한다.
단계(S4)에서 감시 회로(10)는 내부 변수값을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 즉, "1"상태로 전환시킨 후에 단계(S1)로 귀환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내부 변수값과 입력 디지탈의 상태값이 동일한 경우에 감시 회로(10)는 단계(S5)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계수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고, 계수값이 기준값 이하일 때에는 단계(S6)로 진행한다.
단계(S6)에서 감시 회로(10)는 발진부(10)의 발진 클럭을 계수하여 계수값을 1 증가시킨다. 도 3의 예에서는 계수 기준값을 4로 설정하였다. 즉, 내부 변수값은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 상태 즉, "0", 또는 "1"의 상태가 "1" 또는 "0'의 상태로 변환되었는가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진 클럭을 계수하는 것은 입력 디지탈 데이타가 변환된 로직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감시 회로(10)는 단계(S5)의 판단 결과, 발진 클럭의 계수값이 내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계수값을 1증가시키고 단계(S2)로 귀환한다. 이때, 단계(S2)로 귀환하여 단계(S3)를 재수행할 때에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가 도 3에서와 같이 "0"로 변화되면 감시 회로(10)는 단계(S4)를 수행하여 내부 변수를 0로 설정하게 될 것이다.
한편, 단계(S5)의 판단 결과, 발진기(11)의 클럭 계수값이 계수 기준값 이상일 때에는 단계(S7)로 진행하여 표시부(12)에 수신된 디지탈 데이타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고, 내부 계수값을 1감소시킨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내부 기준값이 4로 설정된 경우에 비정상 신호 즉,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최소 데이타 변화 주기 이상으로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가 반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클럭의 계수값이 4이상이 될 것이며, 클럭의 계수값이 4이상일 될 때에 데이타 에러 신호를 표시부(12)에 인가하므로써 입력 디지탈 데이타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에서의 계수값이 5인 상태는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내부 기준 계수값을 이용하여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 변환을 감지하고, 변환된 입력 디지탈 데이타가 소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는가를 감시하여, 소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표시부(12)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상태 변환 상태를 발진 클럭을 이용하여 감시하므로서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정확히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내부 계수값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계수값을 초기화한 후에 외부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과 내부 변수의 로직값이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과 내부 변수의 로직값이 상이하면, 상기 내부 변수의 로직값을 상기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내부 계수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로직값과 내부 변수의 로직값이 동일하면, 상기 내부 계수값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 계수값이 소정 계수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계수값이 상기 계수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내부 계수값이 상기 계수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외부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로 귀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럭은 상기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데이타 변화 주기에 대하여 최소 1/3의 주기를 갖는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기준값은, 입력 디지탈 데이타의 최소 데이타 변화 주기 이상으로 상기 외부 클럭이 계수되는 값이상으로 설정되는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KR1019980063207A 1998-12-31 1998-12-31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KR10029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07A KR100297650B1 (ko) 1998-12-31 1998-12-31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07A KR100297650B1 (ko) 1998-12-31 1998-12-31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520A KR20000046520A (ko) 2000-07-25
KR100297650B1 true KR100297650B1 (ko) 2001-08-07

Family

ID=1956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207A KR100297650B1 (ko) 1998-12-31 1998-12-31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6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7737A (ja) * 1992-05-26 1993-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通信異常監視装置
KR940017397A (ko) * 1992-12-29 1994-07-26 양승택 클럭 감시 회로
JPH0746226A (ja) * 1993-08-03 1995-02-14 Fujitsu Ltd エラーモニタ回路
KR950012751U (ko) * 1993-10-12 1995-05-17 디지틀신호 감시장치
JPH0846603A (ja) * 1994-07-29 1996-02-16 Nec Corp 信号断監視回路および信号周期検出回路
JPH10107775A (ja) * 1996-10-03 1998-04-24 Fuji Electric Co Ltd 伝送エラー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7737A (ja) * 1992-05-26 1993-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通信異常監視装置
KR940017397A (ko) * 1992-12-29 1994-07-26 양승택 클럭 감시 회로
JPH0746226A (ja) * 1993-08-03 1995-02-14 Fujitsu Ltd エラーモニタ回路
KR950012751U (ko) * 1993-10-12 1995-05-17 디지틀신호 감시장치
JPH0846603A (ja) * 1994-07-29 1996-02-16 Nec Corp 信号断監視回路および信号周期検出回路
JPH10107775A (ja) * 1996-10-03 1998-04-24 Fuji Electric Co Ltd 伝送エラー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520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8418B2 (en) Monitoring system
US5157699A (en) Watchdog timer employing plural counters and discriminator for determining normal operating frequency range of input
US20020008548A1 (en)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clock signal
KR100297650B1 (ko) 수신 디지탈 데이타의 감시 방법
EP184962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tire position in a tire pressure measurement system
JP6733349B2 (ja) 異常診断装置及び異常診断方法
CA1089539A (en) Count logic circuit
JP2980304B2 (ja) クロック障害検出回路
US6058487A (en) Period measuring circuit with maximum frequency cutoff
JPH03267833A (ja) クロック断検出回路
JPH0918306A (ja) クロック異常検出回路
US5796272A (en) Frequency deviation detection circuit
JPH06204993A (ja) クロック断検出回路
KR19990060348A (ko) 자체클럭을 이용한 클럭 감시회로
KR100301576B1 (ko)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의 직렬 통신 부하 감시장치 및 방법
KR100400928B1 (ko)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463846B1 (ko) 교환 시스템의 클럭 모니터링 장치
CN111239517B (zh) 一种高稳晶振状态监测方法及装置
KR100208295B1 (ko) 클럭 감시장치
JPH11355110A (ja) クロック異常検出回路
JPH07161921A (ja) 使用環境温度監視半導体装置
JP2576293B2 (ja) 位相同期発振器の位相監視回路
EP2698717A1 (en) Integrated circuit
KR20010038984A (ko) 병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통신부하 감시장치
JP2970690B2 (ja) 同期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