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420B1 -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교량바닥판과주형간이음부의결합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교량바닥판과주형간이음부의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420B1
KR100296420B1 KR1019980035965A KR19980035965A KR100296420B1 KR 100296420 B1 KR100296420 B1 KR 100296420B1 KR 1019980035965 A KR1019980035965 A KR 1019980035965A KR 19980035965 A KR19980035965 A KR 19980035965A KR 100296420 B1 KR100296420 B1 KR 10029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ecast concrete
bridge deck
concrete bridg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392A (ko
Inventor
박칠림
김성운
김영진
정철헌
장성욱
심창수
윤석구
Original Assignee
남상국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국,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남상국
Priority to KR101998003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420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의 결합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를 주형 상부에 붙이는 과정을 통해 교량하부에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을 결합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의 결합방법을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의 틈새를 채움재로 충진하여 상기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설치된 상기 주형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재를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주형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채움재의 충진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채움재누출방지부재를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상기 주형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설치된 교량바닥판에 형성된 전단포켓을 통해 상기 채움재를 부어넣어 상기 교량바닥판과 주형간의 틈새를 충진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의 결합방법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조립하여 교량의 바닥판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교량의 차량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 주형과 그 위에 부설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 사이에 발생되는 좁은 틈새를 충진시키기 위해 교량하부에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그 좁은 틈새를 채움재로 충진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주형위에 부설할 경우, 교량바닥판과 주형사이에는 좁은 틈새가 발생되는데, 이 좁운 틈새를 적절한 채움재로 충진시켜서 접합해야 한다. 이 때, 충진된 채움재가 틈새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주형의 상부면의 양단을 밀봉시킨다.
이와 같은 교량바닥판과 주형 사이의 틈새를 채움재로 충진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을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을 주형(2) 상부에 거치하기 전에 주형(2) 상부에 간격재(5)를 미리 놓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을 부설한 다음, 교량하부에 작업대(8)를 설치한다. 그리고, 바닥판(1)과 주형(2)간의 틈새를 이음부충진기를 이용해 주형 상부면의 양단을 충진재로 매워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을 밀봉한다. 이것에 의해 채움재가 틈새를 통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 다음, 전단포켓(6)을 통해 채움재를 부어 교량바닥판(1)과 주형(2)간의 틈새 내부를 충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공방법은 산간지역이나 해상과 같이 교량하부에 작업대를 설치하기 어려운 작업조건에서는 시공이 곤란하고, 작업대의 설치로 인한 경비 및 공사 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사이에 발생하는 좁은 틈새를 채움재로 충진함에 있어,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를 주형 상부에 붙이는 과정을 통해 교량하부에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을 결합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의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조립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의 이음부 구조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
제2c도는 본 발명에 이용된 간격재를 나타내는 도면.
제3a도는 교량바닥판과 주형을 연결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주형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 2 : 주형
3 : 전단연결재 4 : 채움재누출방지용테이프
5 : 간격재 6 : 전단포켓
7 : 접착제보호용비닐 8 : 하부작업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 간의 틈새를 채움재로 충진하여 상기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설치된 상기 주형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재를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주형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채움재의 충진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채움재누출방지부재를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상기 주형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설치된 교량 바닥판에 형성된 전단포켓을 통해 상기 채움재를 부어넣어 상기 교량바닥판과 주형간의 틈새를 충진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채움재누출방지부재는, 일면에 접착제가 처리된 발포성고무부재이고, 상기 간격재는 시멘트 모르터로 제조되며, 상기 간격재의 높이는 상기 채움재누출방지부재의 압착 높이보다는 높게 하여 높이 조절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조립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 2는 주형, 3은 전단연결재, 4는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 5는 간격재, 6은 전단포켓을 각각 나타낸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을 주형(2)의 상부에 부설할 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과 주형(2)간의 충격완화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의 높이조절 등을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과 주형(2)사이에는 약간의 틈새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틈새는 우수 등의 침투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진재를 이용하여 틈새를 충진하여야 한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의 이음부 구조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c는 본 발명의 간격재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와 같이 주형(2)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서는 교량바닥판(1)을 상기 주형 상부에 설치하기 전에 간격재(5)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채움재의 충진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4)를 주형(2) 상부에 설치한 다음, 교량바닥판(1)을 주형 상부에 형성된 전단연결재(3)를 이용해 부착한다. 그런 다음, 채움재를 전단포켓을 통해 부어넣어 틈새를 충진한다.
여기서, 주형(2) 상부에 부설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과 주형(2) 사이에 간격재(5)를 미리 설치하게 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의 무게로 인한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4)의 압착을 방지하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의 수평이동이 허용되면서 소정의 틈새도 얻을 수 있다.
채움재누출방지용테이프(4)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과 주형(2)간 채움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성이 양호한 발포성고무재질로 제조된 것으로, 주형(2)과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4)와의 부착을 쉽게하기 위하여 일면에 접착제 처리를 하였고, 현장에서는 접착제보호용비닐(7)를 제거하여 쉽게 부착할수 있도록 하였다.
간격재(5)는 채움재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시멘트 모르터로 제작된 것이다. 이때 간격재(5)가 유지해야 되는 높이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수학식 1]
Δ com < H spacer
여기서, Δ com 은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4)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 무게에 의한 압착시 높이(cm)를 나타내고, H spacer 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과 주형(2)사이의 간격재 높이(cm)를 나타낸다.
즉, 간격재의 높이는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4)의 압착 높이보다는 높게하여 높이 조절 및 수평이동이 허용되도록 한다.
한편, 채움재는 시멘트와 잔골재(모래)가 미리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서, 현장에서는 좁은 틈새의 충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유동화제와 물을 배합한 후, 충진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과 주형(2)간 틈새(6)가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4)의 압착에 의해 밀봉되어 채움재의 타설시 누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의 상부면을 작업 공간으로 활용하여 채움재를 전단포켓(6)에 부어넣어서 틈새의 충진이 가능하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1)과 주형(2)간 틈새의 높이 유지 및 바닥판의 미끄러짐 허용은 시멘트 모르터 재질의 간격재(5)로 해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의 좁은 틈새를 채움재로 충진할 때, 확실한 밀봉성을 보장하며, 또한 바닥판과 바닥판의 소정의 간격 유지를 위해 바닥판을 조여줄 때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채움재누출방지용 테이프사이에 미끄러짐이 허용되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아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교량하부작업대의 설치가 필요없어 해상이나 산악지역과 같이 하부작업대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작업원의 안전사고방지,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 간의 틈새를 채움재로 충진하여 상기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설치된 상기 주형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재를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주형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채움재의 충진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채움재누출방지부재를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상기 주형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설치된 교량바닥판에 형성된 전단포켓을 통해 상기 채움재를 부어넣어 상기 교량바닥판과 주형간의 틈새를 충진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채움재누출방지부재는, 일면에 접착제가 처리된 발포성고무부재이고, 상기 간격재는 시멘트 모르터로 제조되며, 상기 간격재의 높이는 상기 채움재누출방지부재의 압착 높이보다는 높게 하여 높이 조절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과 주형간 이음부의 결합방법.
KR1019980035965A 1998-09-02 1998-09-02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교량바닥판과주형간이음부의결합방법 KR10029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65A KR100296420B1 (ko) 1998-09-02 1998-09-02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교량바닥판과주형간이음부의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65A KR100296420B1 (ko) 1998-09-02 1998-09-02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교량바닥판과주형간이음부의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92A KR20000018392A (ko) 2000-04-06
KR100296420B1 true KR100296420B1 (ko) 2001-10-26

Family

ID=1954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965A KR100296420B1 (ko) 1998-09-02 1998-09-02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교량바닥판과주형간이음부의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4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841B1 (ko) * 2011-02-01 2013-05-06 김근택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방법
KR20170002280A (ko) 2015-06-29 2017-01-06 이동찬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377B1 (ko) * 2009-12-10 2013-06-05 (주)대우건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와 강재 세그먼트를 구비한 합성형 거더
CN106638254B (zh) * 2016-12-30 2018-06-29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一种采用预制组合桥面板的少主梁组合梁桥及其施工方法
KR102085405B1 (ko) * 2017-10-19 2020-03-05 김동억 교량 시공 방법
KR102294467B1 (ko) * 2021-07-15 2021-08-26 (주) 효성 해안구조물용 전단연결재와 그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해안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306A (ja) * 1990-05-18 1992-01-28 Yokokawa Koji Kk プレハブ床版の設置工法
KR960037966A (ko) * 1995-04-13 1996-11-19 히가키 시게루 철근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306A (ja) * 1990-05-18 1992-01-28 Yokokawa Koji Kk プレハブ床版の設置工法
KR960037966A (ko) * 1995-04-13 1996-11-19 히가키 시게루 철근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상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841B1 (ko) * 2011-02-01 2013-05-06 김근택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방법
KR20170002280A (ko) 2015-06-29 2017-01-06 이동찬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92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420B1 (ko)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교량바닥판과주형간이음부의결합방법
JP3455081B2 (ja) 水中仮締切り設備の設置方法及び水中仮締切り設備並びに水密金物
JP2920104B2 (ja) 継手補修工法
KR200375669Y1 (ko)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CN210827532U (zh) 一种大型试验设备的隔震减震结构
JP2630902B2 (ja) 基礎ブロック
JPH0726564A (ja) 矢板仮締切り工法等における継手工法
JPH0726411B2 (ja) 止水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CN215857840U (zh) 一种地下组合机构
CN212271252U (zh) 一种新旧混凝土的接口防水结构
KR200329055Y1 (ko)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모서리부의 피씨벽부재의 측면연결부의 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CN109281292A (zh) 一种水库深水混凝土面板脱开裂缝修补方法
CN214328748U (zh) 一种水利工程用渡槽间接缝止水装置
CN217053020U (zh) 一种附加式轨道交通桥梁伸缩缝以及轨道交通桥梁
CN214994118U (zh) 一种后浇带止水结构
CN215594137U (zh) 顶板变形缝防水结构
CN217078875U (zh) 一种地下室后浇带防渗结构
JPH01223262A (ja) 組積壁構築工法
JP2868147B2 (ja) 止水板の設置方法および止水板
CN214784215U (zh) 一种后浇带防渗漏结构
JP3396851B2 (ja) 逆打ちコンクリートの打継ぎ方法及び溝形成型枠並びに打継ぎ部仕切板
JP2002294665A (ja) 水路内面のライニング工法
JP2945381B1 (ja) コンクリートの止水構造およびその処理工法
JP200014464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防音壁及びその施工法
JPH06248714A (ja) PCaスラブ板のジョイント部の止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