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669Y1 -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669Y1
KR200375669Y1 KR20-2004-0033097U KR20040033097U KR200375669Y1 KR 200375669 Y1 KR200375669 Y1 KR 200375669Y1 KR 20040033097 U KR20040033097 U KR 20040033097U KR 200375669 Y1 KR200375669 Y1 KR 200375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sealant
filling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득환
Original Assignee
정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득환 filed Critical 정득환
Priority to KR20-2004-0033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는, 그 종단면 형상이 “W"자 형상을 가지며,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소정 간격의 틈새에 삽입, 설치되는 신축이음 구조체; 및 상기 신축이음 구조체의 상측 공간부에 충전되며, 신축이음 구조체와 함께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틈새를 밀봉하는 채움재와 실런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특정 형태로 정형화된 신축이음 구조체에 미리 채움재와 실런트를 충전하여, 그 채움재와 실런트가 충전된 구조체를 각종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틈새에 간편히 삽입, 설치하게 되므로, 이음 부위의 신축이음 처리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채움재 설치 및 실런트의 충진에 따른 각종 작업과 신축이음부 주변 각종 보수작업이 필요없게 되며 콘크리트를 신축이음부의 양측에 동시에 타설하게 되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신축이음부 주변의 콘크리트 탈락 및 처짐을 방지 할 수 있고 투입되는 실런트를 고르게 충전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키며 불충분한 실런트 채움으로 인한 구조물의 하자 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equipment in jointing point of structure}
본 고안은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몸체의 일측에 미리 채움재와 실런트가 충전되어 있는 특정 형태의 구조체를 구조물의 이음 부위에 삽입, 시공함으로써, 이음 부위에 신축이음처리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 시키고, 이음 부위의 신축 변화에 원활히 대응하게 하여 구조물의 하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은 온도 및 기상변화에 따라 신수축되어 그 연결부의 간격이 가변되므로 각종 구조물의 연결부는 그것을 고려하여 적당한 간격을 가지도록 시공한다. 즉,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고온일 때는 구조물이 신장되어 연결부의 간격이 좁아지고,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저온일 때는 구조물이 수축되어 연결부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이와 같은 신축 작용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연결부에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종 구조물 신축이음(조인트)을 시공하는 기술에는 신축이음부에 시공성, 구비하고 주행성, 내구성, 방수성, 유지관리 등이 용이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구조물 신축 이음부에 미리 성형된 고무 채움재(filler)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끼워붙이는 방법과,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실런트를 주입 봉합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도로구조물의 옹벽, BOX 구조물 등의 신축이음 장치를 시공하는 경우 채움재로 사용되는 스치로폴, 조인트 필러 등이 시공중 파손되기 쉽고, 연약하여 합판 등을 덧대어 설치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타설시에 변형 파괴되어 설치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BOX 구조물의 경우 하부슬래브 신축이음부 시공시 채움재에 구멍을 뚫어 다웰바를 설치하는데 이 경우 채움재 파손이 더욱 심하다. 채움재의 변형과 설치위치를 벗어나 있는 신축이음부위는 실런트 충진도 어렵고 구조물의 하자 원인이 되고 또한 차량 등의 반복하중 및 충격 등으로 인하여 함몰, 파손되어 차량의 주행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도1 및 도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부에 실런트(102)를 채움에 있어서, 실런트 채움 부위를 청소하고, 접착제를 도포하며, 실런트(102)의 주재와 부재를 섞어 시공하게 되는 바, 실런트(102)의 주재와 부재의 혼합비율을 적절히 맞추어 배합하기가 쉽지 않고, 실런트 양조절이 어렵고, 실런트 채움 부위의 콘크리트가 탈락되어 공극 채움부위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런트(102)의 채움작업으로 인해 시공부위의 청소 작업이 어렵고, 테이프 등으로 시공부위 주위를 표시후 실런트를 주입하지만, 시공주변이 깨끗하지 못하여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가 있다.
또한, 통로암거나, 공항, 고속도로 등 각종 구조물 콘크리트(108)의 신축이음부 신축이음 장치 시공시 팽창, 수축, 굽힘 등의 여유와 온도 응력 등의 응력을 경감하고, 균열을 유도하고 방수할 목적으로 채움재(104) 지수판(105), 다웰바(108) 등이 설치되며, 실런트 주입기로 실런트를 주입한후 실런트 시공면을 평탄하게 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업에 있어서, 상기 줄눈에 실런트 및 채움재를 채우는 작업은 줄눈이 설치될 각종 구조물 시공면의 위치에 따라 채움재 파손과 수직도 유지와 다웰바 설치의 어려움과 가설비계작업, 쏘커팅, 청소, 접착, 채움, 마무리 작업 등과 같이 매우 번거로운 작업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려울 뿐만이 아니라 콘크리트를 일정간격 및 시간을 두고 시공해야 됨으로 공사비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몸체의 일측에 미리 채움재와 실런트가 충전되어 있는 특정 형태의 구조체를 구조물의 신축이음 부위에 삽입하여 콘크리트 처짐, 탈락 등을 방지하고, 채움재, 다웰바 설치, 지수판을 설치, 시공함으로써, 신축이음 처리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이음 부위의 신축 변화에 원활히 대응하게 하여 구조물의 하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는, 그 종단면 형상이 “W"자 형상을 가지며,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소정 간격의 틈새에 삽입, 설치되는 신축이음 구조체; 상기 신축이음 구조체의 상측 공간부에 충전되며, 신축이음 구조체와 함께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틈새를 밀봉하는 채움재와 실런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도 6,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 장치의 구조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이음 구조체로 앵카부(401), 수평연결부(401H), 벽체부(404) 및 채움재(406)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신축이음 구조체는 그 종단면 형상이“W"자 형상을 가지며,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소정 간격의 틈새에 삽입 설치된다. 이 W형 신축이음 구조체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연질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알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 및 비철금속 등의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신축이음 구조체는 구조물 종류에 따라 일정 높이와 폭으로 제작되어, 시공시 신축이음부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W형 신축이음 구조체는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므로, 재질 자체의 신축 특성으로 콘크리트의 신축작용에 대해 대응할 수는 있지만, 콘크리트의 신축작용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형 신축이음 구조체의 수평 연결부(401H)를 V형, 파형 등의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런트(402)는 상기 신축이음 구조체의 상측 공간부에 충전되고 하부에는 채움재로 충진되며, 신축이음 구조체와 함께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틈새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W형 신축이음 구조체는 주입 줄눈재인 실런트의 채움 깊이와 폭으로 제작되고, 그 W형 신축이음 구조체의 상측 공간부에 채움재와 실런트(402)를 미리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런트(402)가 충전된 W형 신축이음 구조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조인트 필러의 상부(도 5)나, 도6, 도7과 같이, 구조물의 벽체, 하부에 설치하여 콘크리트(109)를 신축이음부 양측에 동시에 타설하게 되며, 따라서 실런트 및 채움재 설치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실런트(402)가 충전된 W형 신축이음 구조체를 슬래브 상부 및 벽체 하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W형 신축이음 구조체의 상부는 상부 슬래브 거푸집에 벽체부는 벽체 내부 거푸집 외측에, 하부는 기초바닥에 신축이음부 구조체 hole(403)을 이용 못 등으로 밀착시켜 결합하고, 신축이음 구조체와 일체가 되도록 하고, 지수판 설치시 신축이음 구조체 벽체 hole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은 W형 신축이음 구조체에 의한 실런트 처리의 특징은 시멘트 콘크리트(109)의 타설 전에 W형 신축이음 구조체를 신축이음부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구조체의 주변 콘크리트 타설면을 레벨링(leveling)하여 마감처리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는 특정 형태로 정형화된 신축이음 구조체에 미리 실런트와 채움재를 설치 충전하여, 그 실런트가 충전된 구조체를 각종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틈새에 간편히 삽입, 설치하게 되므로, 이음 부위의 신축이음 처리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실런트의 현장 채움에 따른 각종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투입되는 실런트를 고르게 충전하고 채움재를 견고히 설치함으로써 구조물의 하자 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물의 상부슬래브 신축이음부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은 종래 구조물의 벽체 신축이음부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구조물의 하부 슬래브 신축 이음부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상부슬래브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를 구조물
의 신축이음부에 적용시의 조인트 필러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벽체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를 구조물의 신축
이음부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 하부 슬래브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가 설
치된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상부 콘크리트 102 : 실런트
103 : 철근 104 : 채움재(조인트 필러)
105 : 지수판 106 : 다웰바캡
107 : 페인트 108 : 다웰바
109 : 콘크리트
401 : W형 신축이음 구조체 앵카부 401H : 신축이음 구조체 수평 연결부
402 : 실런트 403 : hole(소)
404 : W형 신축이음 구조체 벽체부 405 : hole(대)
406 : 채움재(조인트 필러) 407 : 못

Claims (1)

  1. 종단면 형상이 “W”자 형상으로서 신축이음 구조체 내부에 실런트와 채움재가 내장되고 구조체 상부 및 벽체부 양측에 홀을두며 하부에 수평 연결부를 두며 구조물의 신축이음부에 소정 간격의 틈새에 삽입, 설치되는 신축이음 구조체; 상기 신축 이음구조체의 내부는 실런트와 채움재를 충전 설치하고, 상단은 앵카 기능과 하부 및 벽체부는 채움재 및 실런트 주변보호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부 수평재에도 Hole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채우는 기능과 벽체부 및 하부 신축이음 설치시 거푸집 및 지반부 고정시 못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벽체부는 홀을 두어 다웰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KR20-2004-0033097U 2004-11-23 2004-11-23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KR200375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097U KR200375669Y1 (ko) 2004-11-23 2004-11-23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097U KR200375669Y1 (ko) 2004-11-23 2004-11-23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669Y1 true KR200375669Y1 (ko) 2005-03-11

Family

ID=4367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097U KR200375669Y1 (ko) 2004-11-23 2004-11-23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66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9B1 (ko) 2006-10-02 2007-02-22 강명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33086B1 (ko) 2007-01-22 2007-06-28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1078782B1 (ko) 2011-03-08 2011-11-02 이형훈 트러스 신축이음 지지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826319B1 (ko) * 2016-06-21 2018-02-06 (주)한양이엔씨 균열 저감을 위한 신축 줄눈대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의 시공방법
KR102082965B1 (ko) * 2018-12-27 2020-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이음부 연속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N112609747A (zh) * 2020-12-16 2021-04-06 湖北盛达泰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清水池超长砼结构防抗裂后浇带结构及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9B1 (ko) 2006-10-02 2007-02-22 강명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33086B1 (ko) 2007-01-22 2007-06-28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1078782B1 (ko) 2011-03-08 2011-11-02 이형훈 트러스 신축이음 지지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826319B1 (ko) * 2016-06-21 2018-02-06 (주)한양이엔씨 균열 저감을 위한 신축 줄눈대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의 시공방법
KR102082965B1 (ko) * 2018-12-27 2020-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이음부 연속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N112609747A (zh) * 2020-12-16 2021-04-06 湖北盛达泰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 清水池超长砼结构防抗裂后浇带结构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49B1 (ko)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KR200375669Y1 (ko)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JP2006144534A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2920104B2 (ja) 継手補修工法
JPH06235224A (ja) 台形処置法
CN213951931U (zh) 一种伸缩缝装置
KR101593998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JP3895107B2 (ja) 土木用止水コンクリートクラック誘発目地材とその使用方法
KR1020781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JP6057325B2 (ja) 既設水路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JP6400934B2 (ja) プレキャスト構造物の設置方法
KR200266614Y1 (ko)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JP2000045433A (ja) 型枠の取付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415263B1 (ko) 교량 구조물의 슬라브 연결부 보수방법 및 그 구조
KR20080000618U (ko) 이음매 없는 신축음장치용 보강 플레이트 구조
KR100396852B1 (ko)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KR200201192Y1 (ko) 수팽창성 수밀형 고무 지수재
KR200375722Y1 (ko) 구조물 이음부의 수축이음 장치
JP720884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せん断補強方法
KR20030043781A (ko) 구조물 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JP200107355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ノロ止め材
KR100538832B1 (ko)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JP4093427B2 (ja) 高強度鉄筋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版
KR200246507Y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매립식 앵커
KR100824242B1 (ko) 교량의 신축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