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852B1 -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852B1
KR100396852B1 KR10-2002-0008504A KR20020008504A KR100396852B1 KR 100396852 B1 KR100396852 B1 KR 100396852B1 KR 20020008504 A KR20020008504 A KR 20020008504A KR 100396852 B1 KR100396852 B1 KR 10039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concrete
concrete
concrete portion
c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848A (ko
Inventor
여남구
유재선
양승경
김준재
우기홍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우신건축환경크리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신건축환경크리닉(주) filed Critical 우신건축환경크리닉(주)
Priority to KR10-2002-000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8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은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 밸브실 내부 모서리부 벽체콘크리트부의 하부 모서리부를 잘려진 부분의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커팅하여 충진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 충진홈에 침투성 접착강화제를 포함하는 급결시멘트를 충진하여 이를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하부 모서리부의 잘려진 단면과 평행하게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바닥콘크리트부의 표면에 이르는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와 이 구멍에 충진제를 고압 분사하여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표면에 형성된 충진홈 및 구멍의 단면을 도포하도록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바닥콘크리트부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합성수지 방수 코팅층을 헝성하는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밸브실내부의 바닥 저면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외부로부터 벽체콘크리트에 전달되는 압축력 및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어 균열 및 누수의 원인이되는 벽체콘크리트의 하부 모서리부의 응력집중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Method for repairing crevis on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지하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준비된 변실(또는 지하 밸브실)내부에 형성된 균열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지하밸브실내부의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을 방지하고 균열에 의한 누수를 막기 위한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모서리부의 균열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땅속에 매입된 가스관이나, 상하수도관 및 전기통신 시설물 등은 유지 보수를 위해 지하에 일정한 공간, 즉 지하밸브실을 설치하여 놓고 여기에 가스관 등이 드러나도록 하여 사고발생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밸브실은 보통 내부가 사각 상자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지하에 설치되는 관계상 지하밸브실 벽체의 균열이나 누수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곤 한다.
그러나 지하밸브실에 의해 보호되는 지하밸브실 내부 시설물들은 주로 가스관, 전기통신라인 등, 물로부터 격리되어야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변실 내부에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특히 변실은 그 내부가 바닥콘크리트와 벽체콘크리트가 맞 닿아 저면에 모서리를 형성한 구조가 대부분으로서 누수는 대부분 이 변실의 저면 모서리부에서 발생한다.
종래 이러한 변실 저면의 모서리부의 지수, 방수 시공은 누수가 발행하는 부위에 몰타르를 덧 씌우거나 방수코팅제를 바르는 정도에 그쳐 임시적인 지수(止水)의 효과는 달성될 지언정 요구되는 정도의 방수(防水)에 까지는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의 일정한 공간에 매입하여 형성된 변실 내부의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을 방지하고 균열에 의한 누수를 막기 위한 변실 내부 바닥모서리부의 균열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여 시공한 지하밸브실내부 모서리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땅속에 매입된 가스관이나, 상하수도관 및 전기통신 시설물 등의 유지 보수를 위해 지하에 설치된 변실내부의 균열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누수가 발생하는 변실 내부 모서리부 벽체콘크리트부의 하부 모서리부를 잘려진 부분의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커팅하여 충진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 충진홈에 침투성 접착강화제를 포함하는 급결시멘트를 충진하여 이를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하부 모서리부의 잘려진 단면과 평행하게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바닥콘크리트부의 표면에 이르는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와 이 구멍에 충진제를 고압 분사하여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표면에 형성된 충진홈 및 구멍의 단면을 도포하도록 상기 벽체콘크리트부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바닥콘크리트부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합성수지 코팅층을 헝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여 시공한 변실내부 모서리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설치되는 변실은 내부가 사각 상자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 바닥 콘크리트부위에 벽체 콘크리트가 얹혀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벽체콘크리트부와 바닥콘크리트부의 접촉부위인 모서리부는 몰타르로 타설하여 누수를 방지하거나 에폭시수지 등의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모서리부의 균열의 진행 및 누수를 방지하고 있어 왔다.
지상의 건물이나 교통수단 등에 의한 압력 및 진동 등에 의해 변실내의 사각구조는 변형되거나 미세한 균열이 형성되기 마련인데, 특히 벽체콘크리트부와 바닥콘크리트부의 접촉부위인 모서리부에 이러한 균열이나 이 균열부위를 통한 누수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실 내부 모서리부의 빈번한 균열은 단순한 몰타르의 도포나 합성수지의 코팅만으로는 방지할 수 없으며 보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방수 내지 보강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벽체콘크리트부와 바닥콘크리트부의 접촉부위인 모서리부에 급결시멘트를 충진, 경화시켜 되도록 벽체콘크리트부와 바닥콘크리트부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켜 외부로부터의 외력에 대해 잘 견디도록 하였다. 또한 이에 의해 주로 벽체콘크리트로의 일 지점에서부터 시작하는 균열이 진행하여 바닥콘크리트로까지 전달되어 결국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변실내부의 균열은 주로 지상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고 측면의 토압(土壓)이 작용하며 위로부터는 건물이나 교통수단의 진동이 전달되는 벽체콘크리트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전달되는 바, 결국 모서리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인식하였으며, 누수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취해지던 시공법, 예컨대 모서리부 표면에 단지 몰타르나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을 개선하고자 모서리(1)를 중심으로 보다 근본적이고 보다 효과적인 방수 및 보강방법을 연구한 끝에, 벽체콘크리트(6)에 작용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또 발생한 균열의 진행을 막아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본 발명자들의 생각은 벽체콘크리트에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의 외력을 흡수 내지 완충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발생한 균열의 진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도록 모서리부에 말하자면 완충구간을 형성하는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완충구간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면부호 50은 가스관을 의미한다.
먼저, 누수가 발생하는 변실 내부의 저면 모서리부(1)에 벽체콘크리트부(6)의 하부 모서리부를 잘려진 부분의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커팅하여 충진홈(2)을 형성한다.
여기서 삼각형은 잘려진 벽체콘크리트부의 면의 길이와 새로이 드러나는 바닥콘크리트부의 길이가 같도록 직각 이등변삼각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벽체콘크리트부로부터 바닥콘크리트부의 표면으로 이어지는 경사면(7)은 대략 45도가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충진홈(2)에 침투성 접착강화제를 포함하는 급결시멘트를 충진하여 이를 경화시킨다. 이 급결시멘트에는 수지류, 구체적으로는 침투성 접착강화제(예컨대 호주 켈브라 홀딩 피티와이 리미티드 사의 Aquepox 462)를 포함하는데벽체콘크리트부(6)의 본래의 기능인 축방향의 압축력에 대한 저항뿐만아니라 벽체콘크리트부(6)의 하부 모서리부로(즉 마주보는 또 다른 벽체콘크리트벽으로) 경사지게 작용하는 외력(압축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벽체콘크리트부(6)의 하부 모서리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침투성 접착강화제 성분은 빠른 시간내에 지수(止水)가 필요한 경우에 다공질 콘크리트나, 표면이 열화된 콘크리트에 침투해서 표면을 강하게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 급결시멘트가 충진되는 충진홈(2)은 충진홈(2)의 상부측에 형성된 구멍(10)으로 수지를 충진시킬 때 압력이 상당히 고압이 되므로 이러한 고압을 견디기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 된다.
본 공정에서 주의할 점은 기존의 콘크리트, 특히 바닥콘크리트의 백화 및 백태 부분을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콘크리트 표면을 그라인더 등으로 처리한 후에는 고압세척기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홈(2)에 급결시멘트를 충진하여 이를 경화시킨 후에는 벽체콘크리트부(6)의 하부 모서리부의 잘려진 단면과 평행하게 상기 벽체콘크리트부(6)의 표면에서부터 바닥콘크리트부(5)의 표면에 이르는 구멍(10)을 일정 간격 다수개 천공하고 이 구멍에 합성수지류의 충진제를 고압 분사하여 충진한다.
충진홈(2)의 상부측에 구멍(10)을 형성하고 여기에 합성수지류를 고압분사하는 이유는 벽체콘크리트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차단토록하고 하부의 바닥콘크리트(5)로까지 연결된 균열(11)을 중간에 단절시켜 이 균열(11)부위로 수지를 주입시키고자 한 것이다.
구멍(10)은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하고 이 구멍에 주입 분사되는 수지는 경화성수지이다. 이 경화성수지는 일반적으로 충진제로 사용되는 수지, 예컨대 에폭시수지류, 폴리에스테르수지류, 폴리우레탄수지류 등 공지의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어 신축력이 뛰어난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화성수지는 고압으로 주입, 분사되어 구조물(5)의 단면 내부에 형성된 균열부위(11)로 침투하여, 말하자면 수로(水路)를 막는 역할을 하게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경화성수지는 시중에서 팩커(PACKER)(미도시)라고 불리는 관을 구멍(10)에 삽입한 후, 이 관을 통해서 고압의 압력으로 분사된다.
상기 구멍(10)의 개수는 구조물, 즉 벽체콘크리트(5)의 폭 및 누수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을 20cm정도 간격으로 천공한다. 또한 경사면(7)은 45도가 바람직하다.
구멍(10)에 경화성수지를 주입 경화시킨 후에는 벽체콘크리트부(6)의 표면에 형성된 충진홈(2) 및 구멍(10)의 단면을 도포하도록 벽체콘크리트부(6)의 표면에서부터 바닥콘크리트부(5)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합성수지 코팅층(3)을 헝성한다.
이 합성수지 코팅층(3)은 보다 추가적인 방수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방수를 위한 코팅에 사용되는 수지, 예컨대 에폭시수지류, 폴리에스테르수지류, 폴리우레탄수지류 등 공지의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록킹된 폴리우레탄 20중량부와 비정형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30중량부와 칼슘카보네이트 20중량부와 트리메틸렌헥사메티렌디아민 10중량부와 페놀의 알킬술포닉산 에스테르 2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A) 또는 포졸란 37중량부, 아크릴에멀전 47중량부 및 물 잔부를 포함하는 혼합물(B) 등이다.
상업적으로 구득가능한 상기 혼합물(A)로 호주 켈브라 홀딩 피티와이 리미티드사의 에머실(Emer-Seal)이 있으며, 다른 혼합물(B)로는 동일 회사의 키플렉스 엠투(KeyFlex-M2)가 있다. 이러한 상기의 혼합물(A, B)들은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조인트(이음부) 내지 모서리부의 실링제로 적합한 것으로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실내부의 바닥 저면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벽체콘크리트에 전달되는 압축력 및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어 균열 및 누수의 원인이되는 벽체콘크리트의 하부 모서리부의 응력집중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땅속에 매입된 가스관이나, 상하수도관 및 전기통신 시설물 등의 유지 보수를 위해 지하에 설치된 변실내부의 바닥콘크리트부 및 벽체콘크리트부 사이의 모서리부 균열보수 시공방법으로서,
    누수가 발생하는 상기 모서리부(1)의 벽체콘크리트부(6)의 하부 모서리부를 잘려진 부분의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커팅하여 충진홈(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충진홈(2)에 침투성 접착강화제를 포함하는 급결시멘트를 충진하여 이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벽체콘크리트부(6)의 하부 모서리부의 잘려진 단면(7)과 평행하게 상기 벽체콘크리트부(6)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바닥콘크리트부(5)의 표면에까지 이어지는 구멍(10)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구멍(10)에 충진제를 고압 분사하여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벽체콘크리트부(6)의 표면에 형성된 충진홈(2) 및 구멍(2)의 단면을 도포하도록 상기 벽체콘크리트부(6)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바닥콘크리트부(5)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합성수지 코팅층(3)을 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KR10-2002-0008504A 2002-02-18 2002-02-18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KR10039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04A KR100396852B1 (ko) 2002-02-18 2002-02-18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04A KR100396852B1 (ko) 2002-02-18 2002-02-18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48A KR20030068848A (ko) 2003-08-25
KR100396852B1 true KR100396852B1 (ko) 2003-09-02

Family

ID=3222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504A KR100396852B1 (ko) 2002-02-18 2002-02-18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79B1 (ko) 2010-02-09 2010-05-14 주식회사 엠디건설 압착력과 장력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방수방법
CN107514149A (zh) * 2016-06-15 2017-12-26 杭州盈润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二次结构抗渗防漏施工方法
KR102349050B1 (ko) 2021-08-17 2022-01-07 강재원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79B1 (ko) 2010-02-09 2010-05-14 주식회사 엠디건설 압착력과 장력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방수방법
CN107514149A (zh) * 2016-06-15 2017-12-26 杭州盈润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二次结构抗渗防漏施工方法
KR102349050B1 (ko) 2021-08-17 2022-01-07 강재원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48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88174B2 (en) Method for preparing in-ground tunnel structures
US4060953A (en) Artificial and natural structures
US6796745B2 (en) Soil nailing system
KR20060097293A (ko)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주입보수보강 방법
KR101680072B1 (ko) 지하주차장 바닥의 소음개선공법
KR100396852B1 (ko)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JP5273663B2 (ja) 防食pcストランドを用いたアンカー構造とその構築方法、および複合アンカー部材
KR100920963B1 (ko) 고성능 그라우트재를 이용한 이음부의 누수보강구조 및누수보강공법
KR101742919B1 (ko)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102321316B1 (ko) 수용성 지수재를 이용한 공동주택 욕실 방수 공법
KR1020781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JPH06235224A (ja) 台形処置法
KR200375669Y1 (ko)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KR100512074B1 (ko) 건축 구조물의 이음부위 방수공법
KR2016008061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를 여러 층으로 보수하는 방법
JP4726437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改善方法
KR100758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에 형성된 유실부를 보수하는 방법
US10689869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tructural repair
KR101586801B1 (ko) 연결부재 및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장치와 이를 이용한 복합보강공법
CN216041825U (zh) 一种用于混凝土构件裂缝的防水结构
KR20120099839A (ko) 케이엘라스틱 차수 공법
KR200201192Y1 (ko) 수팽창성 수밀형 고무 지수재
KR1003815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후방수 유지관리시스템
KR102585816B1 (ko) 터널 갱내 차수 그라우팅 공법
CN212428173U (zh) 一种节能环保的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