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919B1 -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2919B1 KR101742919B1 KR1020160134465A KR20160134465A KR101742919B1 KR 101742919 B1 KR101742919 B1 KR 101742919B1 KR 1020160134465 A KR1020160134465 A KR 1020160134465A KR 20160134465 A KR20160134465 A KR 20160134465A KR 101742919 B1 KR101742919 B1 KR 1017429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e
- layer
- forming
- weight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53—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involving the removal of at least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 e.g. etching, drying of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joint fill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에 접촉면적을 확대하는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서리함몰공간의 접촉면적의 확대에 따라 바닥방수층 및 측면방수층에 대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타일을 이용하여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 방식성능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모서리부에 일정폭 및 깊이를 가지는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하는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S1)와,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하여 바닥방수층을 형성하는 바닥방수층 형성단계(S2) 및 벽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측면방수층 형성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타일을 이용하여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 방식성능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모서리부에 일정폭 및 깊이를 가지는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하는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S1)와, 바닥면에 타일을 시공하여 바닥방수층을 형성하는 바닥방수층 형성단계(S2) 및 벽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측면방수층 형성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에 접촉면적을 확대하는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서리함몰공간의 접촉면적의 확대에 따라 바닥방수층 및 측면방수층에 대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서 하수도 고도처리 과정에서 산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산이 포함된 하수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가 급속히 진행된다.
또한, 상수도 구조물 중 염소를 사용하여 정수처리하는 경우 정수지 및 배수지에 잔류염소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수돗물과 직접 접촉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열화가 급속히 진행된다.
최근들어 상수도 고도정수처리장의 경우 오존을 사용하게 되고, 오존은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물속의 미량 유기오염물질 등을 산화분해 제거하며, 내염소성 원생동물에 대하여 소독력이 염소에 비해 약 100배 이상 강하다.
이는 액체산소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며 사이드 스트림방식을 이용하여 오존을 주입한 이후 배오존은 배오존 파괴기를 이용하여 대기에 방출시키고 물속에 녹아 있는 잔류용존오존은 친환경오존접촉지인 안트라사이트 층을 통과시켜 제거 후에 입상활성탄지로 보내어진다.
이로 인해, 오존접촉지 콘크리트 구조물이 급속히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수처리시설물의 방수재료로는 크게 도막재료와, 합성 고분자 시트재료 및 타일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중 타일이 마감재로 적용되는 시설물에 시공되는 타일 시공방법은 수화 바인더, 골재, 시멘트, 유기 첨가물의 혼합물인 폴리머계 시멘트를 기초로 하여, 물이나 기타 액상과 함께 혼합하여 압착방법으로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과, 합성수지, 무기질 필러, 유기 첨가물 등이 화학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로 2 ~ 3액형 타입으로 부착ㅎ는 시공방법으로 나눈다.
또한, 타일 시공 후 타일과 타일 사이에 사용되는 줄눈제로는 백시멘트, 규사, 혼화재 등을 첨가한 분말과 물을 사용한 시멘트계의 줄눈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선등록 특허 제10-1274012호의 상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면 처리방법은 콘크리트 내벽을 고압수 분사로 중성화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고압수 바탕처리단계와, 균열, 누수 부위를 확인하고 단면복구재를 충전하여 마감하는 균열, 누수 보강단계와, 단면복구재 겸 접착재 처리단계와, 타일압착 처리단계 및 줄눈처리단계로 이루어진다.
공개특허 제10-2010-69196호의 저수조용 유리타일의 시공방법은 저수조의 벽체에 평탄작업을 하는 단계와, 평탄작업된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타공하여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통공에 실리콘이나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투입하여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벽체에 모르타르를 바르는 단계와, 고정부재에 유리타일의 체결공을 끼워넣어 유리타일을 고정부재에 거는 단계와, 고정부재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유리타일을 고정하는 단계와, 체결부재를 제거한 후 체결공과 각각 부착된 유리타일의 사이를 세라믹으로 마감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등록특허 제10-961484호의 조립식 타일 패널을 이용한 수영장용 벽체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전면에 지지구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구에 연결구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구에 타일 패널의 측면을 결합하여 타일 패널을 콘크리트 구조체의 전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전면과 타일패널의 배면 사이에 채움재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 타일패널, 연결구 및 지지구를 일체로 결합하여 벽체구조물을 형성한다.
공개특허 특2002-76212호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방법은 바탕면에 요철 및 파진 곳 등을 정리하는 바탕면 고르기 공정과, 바탕면 위에 기초침투방수, 접착력 증강을 위한 기초침투방수공정과, 접착 경화제가 경화된 후 그 위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도막방수공정과, 도막방수제의 상단에 부직포를 부착시키는 부직포 부착공정과, 부직포의 상면에 부직포침투 방수제 도포 및 침투시키는 부직포 침투방수공정과, 부직포 위에 부직포 하도방수제를 일정두께 도포하는 부직포 하도 방수공정과, 경화된 하도 방수제의 상면에 부직포 중도 방수제를 도포하는 부직포 중도 방수공정과, 중도 방수제의 상면으로 색소가 포함된 칼라 탑코팅 초벌방수제를 도포하는 칼라 탑코팅 초벌방수공정과, 그 위에 증강방수 및 칼라구현, 마감처리를 위해 칼라 탑코팅 마감방수제를 도포하는 칼라 탑코팅 마감방수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수처리장 콘크리트 방수에는 가각부 즉, 바닥면과 수직벽체가 만나는 코너부에 대한 방수가 단순히 겹침이음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시공불량 등의 이유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에 접촉면적을 확대하는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서리함몰공간의 접촉면적의 확대에 따라 바닥방수층 및 측면방수층에 대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일을 이용하여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 방식성능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와, 바닥방수층 형성단계 및 측면방수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는 신축일 경우 바닥면과 벽체 사이의 모서리부에 보강재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되면 상기 보강재를 제거하여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존 건축물일 경우 모서리부에 일정폭 및 깊이를 가지는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바닥방수층 형성단계는 부직포 도포단계와, 도막층 도포단계와, 타일접착제 도포단계와, 타일 부착단계와, 줄눈 형성단계 및 코팅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도포단계는 바닥면에 부직포를 도포하는 단계이고; 상기 도막층 도포단계는 상기 부직포 도포단계를 통해 바닥면에 부직포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부직포가 함침되도록 1 ~ 3mm의 도막층을 형성하여 1차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도막층은 아크릴 고무수지 에멀젼 40 ~ 60중량부와, 마이셈8000 5 ~ 10중량부와, 흙시멘트 10 ~ 15중량부와, 생석회 5 ~ 10중량부와, 화산석 3 ~ 10중량부와, 탄소 1 ~ 5중량부와, 탄산칼슘 1 ~ 5중량부와, 소포제 1 ~ 5중량부와, 유동화제 1 ~ 5중량부 및 분산제 1 ~ 5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타일접착제 도포단계는 상기 도막층 도포단계를 통해 도막층이 형성되면, 상기 도막층 상에 일정두께의 타일접착제를 도포하며; 상기 타일접착제에는 1 ~ 3 중량부의 철분을 포함하고; 상기 타일 부착단계는 상기 타일접착제 도포단계를 통해 바닥면에 타일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타일접착제에 접착되도록 타일을 부착하되, 상기 타일은 타일보강브라켓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줄눈 형성단계는 상기 타일 부착단계를 통해 바닥면 상에 타일이 시공되면, 상기 타일들 사이공간에 줄눈을 메워줌에 따라 타일 간의 부착력 및 방수성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이며;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는 상기 줄눈 형성단계를 통해 타일들 사이에 줄눈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줄눈을 포함하여 타일 일부 또는 전체에 도포하여 상기 줄눈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보호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의 저면에는 상기 타일접착제에 포함된 철분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여 수처리시설물에 거동이 작용하여도 상기 타일의 부착상태가 유지되어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타일보강브라켓은 내측에 타일이 안착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도록 둘레에 일정두께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의 하단부에 상기 함몰부를 통해 삽입된 타일(140)의 저면 일부가 받침되도록 지지하는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에 일정깊이를 가지고 내측에 수팽창물질이 삽입되는 삽입홈으로 구성되어, 타일의 이동중 깨지거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방수층으로 수분이 침투할 경우 삽입홈에 삽입된 수팽창물질의 팽윤작용으로 수분침투가 이루어진 공간을 메워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측면방수층 형성단계는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 및 타일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는 벽체에 일정두께의 폴리우레아를 도포하여 폴리우레아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며; 상기 타일층 형성단계는 상기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를 통해 벽체에 일정두께의 폴리우레아층이 형성되면, 상기 폴리우레아층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층에 시공되는 타일과 맞닿는 바닥방수층의 타일에는 상기 타일층의 타일 일단이 삽입되어 접촉면적 확대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에 접촉면적을 확대하는 모서리함몰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서리함몰공간의 접촉면적의 확대에 따라 바닥방수층 및 측면방수층에 대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설물의 방수공법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보강브라켓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보강브라켓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설물의 방수공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방수층의 시공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방수층의 시공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보강브라켓에 구성된 수팽창물질에 의해 누수부위가 보수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보강브라켓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보강브라켓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설물의 방수공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방수층의 시공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방수층의 시공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보강브라켓에 구성된 수팽창물질에 의해 누수부위가 보수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과 벽체(2)가 만나는 부분인 모서리에 일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모서리함몰공간(3)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1)에 형성하는 바닥방수층(10) 및 벽체(2)에 형성하는 측면방수층(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방수층(10)은 수처리시설물의 바닥면(1)을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층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바닥방수층(10)은 부직포(110)와, 도막층(120)과, 타일접착제(130)와, 타일(140)과, 타일보강브라켓(150)과, 줄눈(160) 및 코팅층(170)을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110)는 바닥면(1)에 도포하여, 도막층(120)의 부착강도를 향사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110)에 한정하지 않고, 직포 또는 메쉬망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닥면(1)에 도막층(120)의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도막층(120)은 상기 부직포(110) 상에 일정두께 도포되어 1차방수층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도막층(120)은 아크릴 고무수지 에멀젼 40 ~ 60중량부와, 마이셈8000 5 ~ 10중량부와, 흙시멘트 10 ~ 15중량부와, 생석회 5 ~ 10중량부와, 화산석 3 ~ 10중량부와, 탄소 1 ~ 5중량부와, 탄산칼슘 1 ~ 5중량부와, 소포제 1 ~ 5중량부와, 유동화제 1 ~ 5중량부 및 분산제 1 ~ 5중량부로 조성된다. 이 경우, 상기 마이셈 8000은 쌍용에서 나오는 마이크로시멘트의 제품명으로서, 상기 마이셈 8000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마이크로시멘트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도막층(120)은 1 ~ 3mm의 도포두께로 형성된다.
즉, 상기 도막층(120)은 상기 부직포(110) 상에 도포되면서 상기 부직포(110)의 특성상 형성된 공극으로 침투되면서 바닥면(1)에 도포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국 부직포(110)를 사이에 두고 1 ~ 3mm의 도포두께로 바닥면(1)에 1차방수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막층(120)은 바닥면(1)에 대하여 1차방수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처리시설물에 진동 또는 충격 등의 거동이 작용하여도 부직포(110)의 질김성질에 의해 상기 도막층(120)이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타일접착제(130)는 상기 도막층(120) 상에 도포되어 타일(140)을 접착, 고정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타일접착제(130)는 1 ~ 3중량부의 철분을 포함한다.
상기 타일(140)은 상기 타일접착제(130)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타일(140)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 제1607680호(수처리용 자기질 타일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수압이 작용하는 콘크리트구조물 방수, 방식 시공방법)에서 제시한 타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타일(140)의 저면에는 일정부분 또는 전체에 자석(142)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일(140)이 타일접착제(130)에 접착, 고정시키고, 이후 수처리시설물에 진동 또는 충격 등의 거동이 작용할 때, 상기 타일접착제(130)에 포함된 철분에 의해 상기 타일(140)에 구성된 자석의 자력으로 부착된 상태여서 상기 타일접착제(130)와 타일(140) 간에 다소의 유동이 발생하여도 부착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타일(140)에 의한 2차방수층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고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은 상기 타일(14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타일(140)이 바닥면(1)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상기 타일(140)의 이동 중 깨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은 타일(140) 간의 기밀한 밀착이 이루어져 기밀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폭을 가지고 둘레를 형성하여 내측에 타일(140)이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함몰부(154)가 형성되는 테두리(152)를 형성한다.
상기 테두리(152)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함몰부(154)에 삽입되는 타일(14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타일(140)의 저면을 지지하는 단턱(15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의 함몰부(154)에 삽입되는 타일(140)은 상기 테두리(152)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웃하는 타일(140) 사이의 공간에 줄눈(160)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일(140)은 타일보강브라켓(150)의 함몰부(154)에 삽입되면서 상기 타일(140)의 저면이 단턱(15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타일(140)을 바닥면(1)에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고무망치 등으로 눌러주면, 바닥면(1)에 도포된 타일접착제(130)가 단턱(156)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어 타일(140)의 저면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은 복수의 함몰부(154)를 포함한다. 즉, 복수의 테두리(152)와 함몰부(154) 및 단턱(156)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타일(140)이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타일보강브라켓(150)은 가로 2개, 세로 2개인 2 * 2배열 또는 3 * 3배열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의 테두리(152)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홈(158)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158)은 상기 테두리(152)를 따라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간격으로 간헐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58)에는 일정량의 수팽창물질(180)이 구성된다. 상기 수팽창물질(180)은 수분이 닿으면 부피가 팽윤하는 물질을 통칭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140)들 사이 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되면 상기 타일(140)이 삽입된 타일보강브라켓(150)의 삽입홈(158)에 구성된 수팽창물질(180)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팽창물질(180)의 팽윤작용으로 수분의 침투경로가 형성된 공간을 메워줌으로써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결국 타일(140)에 의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수팽창물질(180)은 수분을 맞닿으면 원래 부피의 7 ~ 10배 팽윤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벤토라이트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디움 벤토라이트와 부틸고무를 합성한 벤코나이트 볼크레이 지수재, 수팽창고무지수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줄눈(160)은 바닥면(1)에 접착, 고정되는 타일(140) 사이공간에 메워 방수성을 가지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줄눈(160)은 자기질타일 시멘트 줄눈제, 폴리머시멘트계 줄눈제, 에폭시 줄눈제, 아크릴 수지계 줄눈제 중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170)은 상기 타일(140)과 상기 타일(140)들 사이에 구성되는 줄눈(160) 상에 일정폭 도포되어 상기 타일(140)과 줄눈(160) 사이에 수밀성을 유지함으로써,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코팅층(170)은 폴리우레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방수층(20)은 벽체(2)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측면방수층(20)은 일정두께 도포되는 폴리우레아층(210)이다.
또한, 상기 측면방수층(20)에는 상기 바닥방수층(10)에 시공되는 타일(140)을 이용하여 타일층(220)을 형성함으로써, 벽체(2)에 대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즉, 상기 폴리우레아층(210)에 타일접착제를 도포한 후 타일을 접착, 고정한 타일층(22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타일은 상기한 타일보강브라켓(150) 및 줄눈(160)을 구성하여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아층(210)에는 폴리우레아용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이후 타일층(220)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타일접착제가 상기 폴리우레아층(210)에 안정적으로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폴리우레아용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바닥방수층(10)에 형성되는 타일(140) 중 모서리함몰공간(3)에 삽입되는 일단의 타일(140) 상면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홈(14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44)에 측면방수층(20)의 타일층(220)에 구성되는 타일의 일단이 삽입되어 모서리부분에 대한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바닥방수층(10)의 타일(140)과 측면방수층(20)에 시공되는 타일이 상호 맞닿는 모서리부분에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방수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코팅층은 폴리우레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수구조에 따른 방수공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S1)와, 바닥방수층 형성단계(S2) 및 측면방수층 형성단계(S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S1)는 바닥면(1)과 벽체(2)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일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모서리함몰공간(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모서리함몰공간(3)은 수처리시설물이 신축일 경우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보강재를 구성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보강재를 제거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모서리함몰공간(3)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는, 기준에 건축된 수처리시설물일 경우, 그라인딩 또는 기타 공구등을 이용하여 모서리부에 모서리함몰공간(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모서리함몰공간(3)은 방수층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방수층 형성단계(S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도포단계(S21)와, 도막층 도포단계(S22)와, 타일접착제 도포단계(S23)와, 타일 부착단계(S24)와, 줄눈 형성단계(S25) 및 코팅층 형성단계(S26)를 포함한다.
부직포 도포단계(S21)는 바닥면(1) 전체에 부직포(110)를 도포한다.
도막층 도포단계(S22)는 상기 부직포 도포단계(S21)를 통해 바닥면(1)에 부직포(1)의 도포가 완료되면, 1 ~ 3mm의 두께로 도막층(120)을 형성하여 1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도막층(120) 사이에는 부직포(110)가 함침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처리시설물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대응력을 발휘하여 상기 도막층(120)의 파손을 방지하여 방수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타일접착제 도포단계(S23)는 상기 도막층 도포단계(S22)를 통해 일정두께의 도막층(120)이 형성되면, 일정두께의 타일접착제(130)를 도포한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110)와 도막층(120) 및 타일접착제(130)는 모서리함몰공간(3)까지 형성한다.
타일 부착단계(S24)는 상기 타일접착제 도포단계(S23)를 통해 바닥면(1)에 일정두께의 타일접착제(130)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타일접착제(130)에 타일(140)이 부착시켜 2차방수층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타일(140)은 타일보강브라켓(150)의 함몰부(15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타일접착제(130) 상에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의 측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일(140)에 의해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일(140)은 고무망치 등을 이용하여 눌르거나 타격을 가해서 상기 타일(140)의 저면이 타일접착제(130)에 밀착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상기 타일(140)이 타일접착제(130)의 접착력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에는 테두리(152)에 형성된 삽입홈(158)에 수팽창물질(180)이 삽입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타일(140)의 외주연에 타일보강브라켓(1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타일(140)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보관 또는 이동 중, 적층된 타일(140)들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타일(140)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타일 시공을 위해 이동 또는 시공과정 중 타일보강브라켓(150)에 의해 상기 타일(140)의 모서리가 보호됨에 따라 파손이 방지된다.
줄눈 형성단계(S25)는 상기 타일 부착단계(S24)를 통해 바닥면(1) 상에 타일(140)이 안착된 타일보강브라켓(150)의 테두리(152)에 의해 상기 타일(140)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이면, 상기 타일(140)들 사이공간을 줄눈(160)에 의해 메워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줄눈(160)에 의해 타일(140) 간에 부착상태 유지 및 방수성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코팅층 형성단계(S26)는 줄눈 형성단계(S25)를 통해 바닥면(1)에 시공된 타일(140)들 사이공간에 줄눈(16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줄눈(160)을 포함하여 상기 타일(140)의 일정폭 또는 타일(140) 전체에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코팅층(17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팅층(170)에 의해 상기 타일(140) 및 줄눈(160)에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170)에 의해 타일(140)들 사이에 형성된 줄눈(160)이 물과의 접촉에 의해 백화현상 또는 임의 탈락 등과 같은 열화작용을 방지하여, 상기 줄눈(160)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방수층 형성단계(S3)는 벽체(2)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벽방수층 형성단계(S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S32) 및 타일층 형성단계(S34)를 포함한다.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S32)는 바닥면(1)에 바닥방수층(10)을 형성한 상태에서 벽체(2)에 일정두께의 폴리우레아를 도포하여 폴리우레아층(2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타일층 형성단계(S34)는 상기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S32)를 통해 벽체(2)에 일정두께의 폴리우레아층(210)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폴리우레아층(210)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22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타일층(220)은 상술한 바닥방수층(10)에서 시공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이거나 또는 종래와 같이 타일을 시공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닥방수층(10)의 방식을 채용할 경우, 상기 폴리우레아층(210)에 일정두께의 타일접착제를 도포한 후 타일보강브라켓(150)에 삽입된 타일(140)을 상기 타일접착제(130)에 접착되도록 고정한 후 상기 타일(140)들 사이공간에 줄눈(160)을 메워줌에 따라 타일층(220)을 완성한다. 또한, 타일들 사이에 형성된 줄눈의 보호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코팅층(170)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S32)를 통해 벽체(2)에 도포가 완료된 일정두께의 폴리우레아층(210)에 폴리우레아 전용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타일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바닥방수층 110: 부직포
120: 도막층 130: 타일접착제
140: 타일 150: 타일보강브라켓
152: 테두리 154: 함몰부
156: 단턱 158: 삽입홈
160: 줄눈 170: 코팅층
180: 수팽창물질 20: 측면방수층
210: 폴리우레아층 220: 타일층
120: 도막층 130: 타일접착제
140: 타일 150: 타일보강브라켓
152: 테두리 154: 함몰부
156: 단턱 158: 삽입홈
160: 줄눈 170: 코팅층
180: 수팽창물질 20: 측면방수층
210: 폴리우레아층 220: 타일층
Claims (1)
- 타일을 이용하여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 방식성능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에 있어서,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S1)와, 바닥방수층 형성단계(S2) 및 측면방수층 형성단계(S3)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함몰공간 형성단계(S1)는 신축일 경우 바닥면(1)과 벽체(2) 사이의 모서리부에 보강재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되면 상기 보강재를 제거하여 모서리함몰공간(3)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존 건축물일 경우 모서리부에 일정폭 및 깊이를 가지는 모서리함몰공간(3)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바닥방수층 형성단계(S2)는 부직포 도포단계(S21)와, 도막층 도포단계(S22)와, 타일접착제 도포단계(S23)와, 타일 부착단계(S24)와, 줄눈 형성단계(S25) 및 코팅층 형성단계(S26)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 도포단계(S21)는 바닥면(1)에 부직포(110)를 도포하는 단계이고;
상기 도막층 도포단계(S22)는 상기 부직포 도포단계(S21)를 통해 바닥면(1)에 부직포(110)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부직포(110)가 함침되도록 1 ~ 3mm의 도막층(120)을 형성하여 1차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도막층(120)은 아크릴 고무수지 에멀젼 40 ~ 60중량부와, 마이크로시멘트(마이셈8000) 5 ~ 10중량부와, 흙시멘트 10 ~ 15중량부와, 생석회 5 ~ 10중량부와, 화산석 3 ~ 10중량부와, 탄소 1 ~ 5중량부와, 탄산칼슘 1 ~ 5중량부와, 소포제 1 ~ 5중량부와, 유동화제 1 ~ 5중량부 및 분산제 1 ~ 5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타일접착제 도포단계(S23)는 상기 도막층 도포단계(S22)를 통해 도막층(120)이 형성되면, 상기 도막층(120) 상에 일정두께의 타일접착제(130)를 도포하며;
상기 타일접착제(130)에는 1 ~ 3 중량부의 철분을 포함하고;
상기 타일 부착단계(S24)는 상기 타일접착제 도포단계(S23)를 통해 바닥면(1)에 타일접착제(130)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타일접착제(130)에 접착되도록 타일(140)을 부착하되, 상기 타일(140)은 타일보강브라켓(150)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줄눈 형성단계(S25)는 상기 타일 부착단계(S24)를 통해 바닥면(1) 상에 타일(140)이 시공되면, 상기 타일(140)들 사이공간에 줄눈(160)을 메워줌에 따라 타일(140) 간의 부착력 및 방수성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이며;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S26)는 상기 줄눈 형성단계(S25)를 통해 타일(140)들 사이에 줄눈(16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줄눈(160)을 포함하여 타일(140) 일부 또는 전체에 도포하여 상기 줄눈(160)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보호하는 코팅층(17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140)의 저면에는 상기 타일접착제(130)에 포함된 철분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여 수처리시설물에 거동이 작용하여도 상기 타일(140)의 부착상태가 유지되어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142)을 포함하며;
상기 타일보강브라켓(150)은 내측에 타일(140)이 안착되도록 함몰부(154)가 형성되도록 둘레에 일정두께의 테두리(152)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152)의 하단부에 상기 함몰부(154)를 통해 삽입된 타일(140)의 저면 일부가 받침되도록 지지하는 단턱(156)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152)에 일정깊이를 가지고 내측에 수팽창물질(180)이 삽입되는 삽입홈(158)으로 구성되어, 타일(140)의 이동중 깨지거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방수층으로 수분이 침투할 경우 삽입홈(158)에 삽입된 수팽창물질(180)의 팽윤작용으로 수분침투가 이루어진 공간을 메워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측면방수층 형성단계(S3)는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S32) 및 타일층 형성단계(S34)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S32)는 벽체(2)에 일정두께의 폴리우레아를 도포하여 폴리우레아층(21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며;
상기 타일층 형성단계(S34)는 상기 폴리우레아층 형성단계(S32)를 통해 벽체(2)에 일정두께의 폴리우레아층(210)이 형성되면, 상기 폴리우레아층(210)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2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층(220)에 시공되는 타일과 맞닿는 바닥방수층(10)의 타일(140)에는 상기 타일층(220)의 타일 일단이 삽입되어 접촉면적 확대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삽입홈(1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465A KR101742919B1 (ko) | 2016-10-17 | 2016-10-17 |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465A KR101742919B1 (ko) | 2016-10-17 | 2016-10-17 |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2919B1 true KR101742919B1 (ko) | 2017-06-01 |
Family
ID=5922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4465A KR101742919B1 (ko) | 2016-10-17 | 2016-10-17 |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291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287B1 (ko) * | 2017-12-13 | 2018-07-20 | 설태윤 | 수처리 시설물에 대한 다수의 기능층 구조를 가지는 타일 방수방식공법 |
KR20200064847A (ko) * | 2018-11-29 | 2020-06-08 | 윤춘동 | 건축물용 실런트 차폐덮개 |
KR102260576B1 (ko) * | 2020-08-28 | 2021-06-07 | 박경연 |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3590A (ja) | 2000-05-12 | 2001-11-22 | National House Industrial Co Ltd | 排水床構造 |
JP2010071049A (ja) | 2008-09-22 | 2010-04-02 | Toyota Home Kk | 床化粧材の敷設構造 |
-
2016
- 2016-10-17 KR KR1020160134465A patent/KR1017429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3590A (ja) | 2000-05-12 | 2001-11-22 | National House Industrial Co Ltd | 排水床構造 |
JP2010071049A (ja) | 2008-09-22 | 2010-04-02 | Toyota Home Kk | 床化粧材の敷設構造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287B1 (ko) * | 2017-12-13 | 2018-07-20 | 설태윤 | 수처리 시설물에 대한 다수의 기능층 구조를 가지는 타일 방수방식공법 |
KR20200064847A (ko) * | 2018-11-29 | 2020-06-08 | 윤춘동 | 건축물용 실런트 차폐덮개 |
KR102169729B1 (ko) * | 2018-11-29 | 2020-10-23 | 윤춘동 | 건축물용 실런트 차폐덮개 |
KR102260576B1 (ko) * | 2020-08-28 | 2021-06-07 | 박경연 |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2919B1 (ko) |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 |
KR101892997B1 (ko) | 옥상방수공법 | |
CN110206073B (zh) | 格构柱桩与主体结构节点防水施工方法 | |
CN108797651A (zh) | 一种地下室底板渗漏水修缮系统 | |
CN108868176A (zh) | 一种厨卫间渗漏水修缮系统 | |
KR101699210B1 (ko) |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 |
KR101902836B1 (ko) |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 |
CN107165434B (zh) | 一种用于卫生间楼面的高压注浆堵漏方法 | |
KR101438727B1 (ko) |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 | |
KR101743401B1 (ko) | 잔갈라짐 또는 거동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합성고무계 방수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 |
CN108868186B (zh) | 一种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 |
KR101551747B1 (ko) | 신축이음용 고탄성 mma레진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방법 | |
KR20060097293A (ko) |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주입보수보강 방법 | |
KR101752214B1 (ko) |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 |
CN204609007U (zh) | 一种厨房结构的防水系统 | |
KR101259097B1 (ko) | 이어치기 공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 | |
KR102072273B1 (ko) | 탄성을 가지는 방수막 시공방법 | |
KR101112579B1 (ko) | 비노출 친환경 다기능 복합방수공법 | |
KR102177134B1 (ko) | 우레탄 발포 방수 몰타르 시공장치 및 방법 | |
KR101593026B1 (ko) | 지하벽체 난연 배수공법 | |
KR100684666B1 (ko) | 조적식 스테인레스 콘크리트 복합 구조를 갖는 저장탱크 및시공방법 | |
KR100396852B1 (ko) |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 |
CN210315689U (zh) | 一种桩头防水结构 | |
JP2001200548A (ja) | 地下構造物壁面の先防水工法 | |
CN215104389U (zh) | 一种耐久性混凝土裂缝修复结构体系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