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76B1 -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76B1
KR102260576B1 KR1020200109140A KR20200109140A KR102260576B1 KR 102260576 B1 KR102260576 B1 KR 102260576B1 KR 1020200109140 A KR1020200109140 A KR 1020200109140A KR 20200109140 A KR20200109140 A KR 20200109140A KR 102260576 B1 KR102260576 B1 KR 102260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adhesive
butyl
inorgan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연
조희정
이철수
Original Assignee
박경연
조희정
주식회사 지엔에스
이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연, 조희정, 주식회사 지엔에스, 이철수 filed Critical 박경연
Priority to KR1020200109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로 이루어진 복합방수구조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 방수제는, 디수소산화물 30~50중량%, 천연방부제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10~20중량%. 마이크로시멘트 20~40중량%, 생석회 10~30중량%, 탄산칼슘 1~10중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기질의 방수제의 상면을 덮는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는, 상측 표면에 HDPE계 필름이 합지되며, 상기 HDP계 필름의 하부에 부틸고무, 무기질 필러, 점착부여제, 개질제, 안료 및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인 부틸방수점착제가 합지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습윤부착층의 하부에 이형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요건의 함수율이 아니더라도 방수 공종을 시공하여 공기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간접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난연성능 확보 및 친환경소제를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무기질 방수제의 상면에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부착함으써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방수시공을 할 수 있고, 무기물계와 부틸 자착식 시트가 복합된 방수구조로 적층 시공되어 완벽한 방수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A Multi-Waterproof structure applied by inorganic waterproofing agent and postal tape and there of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콘크리트구조물과 동일한 무기물 방수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에어포켓, 부착력 저하 등의 하자로 인해 콘크리트내의 함수율이 약 6%이내의 콘크리트 타설후 약 7일 양생이 지난 후에 후속 공종(방수공사)을 진행하고 있으나 콘크리트와 유사한 무기질 도막제를 시공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 요건의 함수율이(약6%) 아니더라도 신속하게(2일 이내) 방수 공종을 시공하여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뿜만 아니라 공기에 따른 간접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난연성능 확보 및 친환경소제를 사용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무기질 방수제의 상면에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부착함으써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방수시공을 할 수 있고, 무기물계와 부틸 자착식 시트가 복합된 방수구조로 적층 시공되어 완벽한 방수시공을 할 수 있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막방수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유성도료와 같은 유기물계의 도막방수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물계의 도막방수제는 시공이 용이하나 유기물계의 특성상 화재시 휘발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급속도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생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2차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며, 대기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불연와 친환경적인 무기질 도막방수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막방수제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방수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중성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콘크리트 성분중 시멘트와 동일한 알카리성을 갖는 폴리머 시멘트계 무기질 도막방수제가 최근에 종종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머 시멘트계 무기질 도막방수제는 도료성 방수제에 가깝지만 시멘트가 첨가되기 때문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수밀성을 증대시킨 방수제로도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시멘트계 무기질 도막방수제는 분체 성분인 시멘트, 규사, 세라믹광물 등과 혼합제인 시멘트 혼화성 아크릴계의 에멀젼 폴리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재료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에 방수공사를 하기 위하여는 시공현장에서 조성물을 제조하여야 하는데 재료의 배합율이 일정하지 못함은 물론 교반 및 배합이 소홀하게 되어 불균일한 조성물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제시된 국내의 등록특허 제10-0956955호는,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방수제로서, 아크릴 에멀젼 65 내지 75 중량%, 마이크로시멘트 12 내지 20 중량%, 생석회 10 내지 18 중량%, 유동화제 0.02 내지 0.2 중량%, 소포제 0.02 내지 0.2 중량%, 및 팽창제 0,02 내지 0.2 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수화반응을 억제시키는 여러 종류의 경화지연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혼화제(에멀젼 폴리머)와 분체(무기질 분말)를 현장에서 배합 및 교반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이중작업으로 인한 인건비상승과 불필요한 재료의 남용으로 원가 비용이 상승하는 폐단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방수 및 누수방지를 필요로 하는 구조물에 도포시 구조물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방수기능이 항상되고,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방수제로서 우수한 내화학성과 내균열성을 갖는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양생할 때까지 장시간 대기한 후 방수시공을 하여야 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며, 방수 시공후 표면노출이 장시간이 지속되면 경화가 되면서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속적인 물리적인 충격이 발생될 경우 손상되어 방수에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내화성능의 무기물 방수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에어포켓, 부착력 저하 등의 하자로 인해 콘크리트내의 함수율이 약 6%이내 인 콘크리트 타설후 약 7일 양생이 지난 후에 후속 공종을(방수공사) 진행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타설후 약 2일 전후로 콘크리트와 유사한 무기질 도막제를 시공하므로서 일정 요건의 함수율이(약6%) 아니더라 방수 공종을 시공하여 공기을 대폭 단축하면서 이에 따른 간접 공사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난연성능 확보 및 친환경소제를 사용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무기물계의 방수제의 상면에 부틸방수시트를 부착함으써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방수시공을 할 수 있고, 무기물계와 부틸 자착식 시트가 복합된 방수구조로 적층 시공되어 완벽한 방수시공을 할 수 있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혼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 방수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 방수제와 그 상면을 덮는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 방수제는, 천연방부제인 디수소산화물(dihydrogen oxcide) 30~50중량%와,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 10~20중량%와. 마이크로시멘트 20~40 중량%와, 생석회 10~30 중량%, 탄산칼슘 1~10 중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기물계의 방수제의 상면을 덮는 부틸방수시트는, 상측 표면에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계 필름이 합지되며, 상기 HDP계 필름의 하부에 부틸고무와, 무기질 필러와, 점착부여제와, 개질제와, 안료와,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인 부틸방수점착제가 합지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Polyvinyl Alcohol)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습윤부착층의 하부에 부착된 이형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디수소산화물(dihydrogen oxcide) 30~50중량%와, 천연방부제인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 10~20중량%와. 마이크로시멘트 20~40 중량%와, 생석회 10~30 중량%, 탄산칼슘 1~10 중량%로 구성된 무기질의 방수제 40~60중량%에 물 40~60중량%를 혼합하여 무기질 방수혼합제를 제조하는 방수혼합제 제조공정과; 상측 표면에 HDPE(High DensityPolyethylene)계 필름이 합지되며, 상기 HDP계 필름의 하부에 부틸방수점착제가 합지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Polyvinyl Alcohol)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습윤부착층의 하부에 이형지가 부착된 부틸자착식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부틸방수시트 제조공정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면에 롤러와 같은 표면도포기구를 이용하여 무기질 방수혼합제를 1~4mm두께로 도포하는 방수제도포공정과; 상기 무기질 방수혼합제를 도포한 후 상온에서 1~4시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상기 건조된 무기질 방수혼합제의 표면에 상기 부틸방수시트의 이형지를 벗겨내고 부착시키는 부틸방수시트 부착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콘크리트구조물과 동일한 무기물 방수제를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에어포켓, 부착력 저하 등의 하자로 인해 콘크리트내의 함수율이 약 6%이내의 콘크리트 타설후 약 7일 양생이 지난 후에 후속 공종(방수공사)을 진행하고 있으나, 콘크리트와 유사한 무기질 도막제를 시공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 요건의 함수율이(약6%) 아니더라도 신속하게(2일 이내) 방수 공종을 시공하여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단축에 따른 간접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무기물로 이루어져 난연성를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제로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무기질 방수제의 상면에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부착함으써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방수시공을 할 수 있고, 무기질과 부틸 자착식 시트가 복합된 방수구조로 적층 시공되어 완벽한 방수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방수제와 방수시트를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물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는, 도 1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의 방수제와 그 상면을 덮는 부틸방수시트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의 방수제(10)와, 무기질의 방수제의 상면을 덮는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로 구성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 방수제(10)는, 디수소산화물(dihydrogen oxcide) 30~50중량%와, 천연방부제인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 10~20중량%와. 마이크로시멘트 20~40 중량%와, 생석회 10~30 중량%, 탄산칼슘 1~10 중량%의 무기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콘크리트구조물과 동일한 무기물 방수제를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에어포켓, 부착력 저하 등의 하자로 인해 콘크리트내의 함수율이 약 6%이내의 콘크리트 타설후 약 7일 양생이 지난 후에 후속 공종(방수공사)을 진행하고 있으나, 콘크리트와 유사한 무기질 도막제를 시공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완전히 양생이 않되어도 콘크리트 구조물보다 향상된 함수율을 형성된 방수공종을 시공하여 방수시공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단축에 따른 간접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무기질로 이루어져 난연성를 확보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제로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기질 방수제(10)에는 천연 라텍스 1~10중량%와, 숯가루 1~10중량%가 추가로 혼합되고, 상기 마이크로시멘트에는 초고속경화시멘트 1~10 중량%가 추가로 혼합되어 방수시공을 즉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기질 방수제(10)의 상면을 덮는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는, 도 2에서, 상측 표면에 HDPE(High DensityPolyethylene)계 필름(21)이 합지되며, 상기 HDP계 필름의 하부에 부틸고무와, 무기질 필러와, 점착부여제와, 개질제와, 안료와,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인 부틸방수점착제(22)가 합지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Polyvinyl Alcohol)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23)이 형성되고, 상기 습윤부착층(23)의 하부에 부착된 이형지(24)로 구성되어 방수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방수시공후 장시간 경과하더라도 크랙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고, 불연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제로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상층에는 차열성 수성 세라믹 도료와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층이 혼합되어 코팅된 보호필름층(25)과, 그물구조의 유리섬유 매쉬망(26)이 추가로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방수공사에 사용되어 외부로 장시간 노출되어에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무기질 필러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점착부여제는 석유수지, 폴리부텐, 로진(송진) 및 로진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개질제는 천연고무(NR),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리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티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안료는 카본블랙, 이산화티탄,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철을 포함하는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 중 어느하나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활제 중 어느 하나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도3에서,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시공방법은, 방수혼합제 제조공정(S10)과, 부틸방수시트 제조공정(S20)과, 방수제도포공정(S30)과, 건조공정(S40)과, 부틸방수시트 부착공정(S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방수혼합제 제조공정(S10)을 통하여, 디수소산화물(dihydrogen oxcide) 30~50중량%와, 천연방부제인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 10~20중량%와.마이크로시멘트 20~40 중량%와, 생석회 10~30 중량%, 탄산칼슘 1~10 중량%로 구성된 무기질의 방수제(10) 40~60중량%에 물 40~60중량%를 혼합하여 무기질 방수혼합제(1)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부틸방수시트 제조공정(S20)을 통하여 상측 표면에 HDPE(High DensityPolyethylene)계 필름(21)이 합지되며, 상기 HDP계 필름의 하부에 부틸방수점착제(22)가 합지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Polyvinyl Alcohol)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23)이 형성되고, 상기 습윤부착층(23)의 하부에 이형지(24)가 부착된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방수제도포공정(S30)을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면에 롤러와 같은 표면도포기구를 이용하여 무기질 방수혼합제(1)를 1~4mm두께로 도포하게 된다.
상기 건조공정(S40)을 통하여, 무기질 방수혼합제(10)를 도포한 후 상온에서 1~4시간 건조하게 된다.
상기 부틸방수시트 부착공정(S50)을 통하여 건조된 무기질 방수혼합제(10)의 표면에 상기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의 이형지(24)를 벗겨내고 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요철이나 면처리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상기 무기질의 방수제(10)에는 천연 라텍스 1~10중량%가 추가로 혼합되고, 초고속경화시멘트 1~10 중량%가 추가로 혼합되어 1차로 도포된 후 2차로 무기질의 방수제(10)를 도포하여 요철이나 면처리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용이하게 방수시공할 수 있게 된다.
신축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상기 무기질의 방수제(10)에는 천연 라텍스 1~10중량%가 추가로 혼합되고, 초고속경화시멘트 1~10 중량%가 추가로 혼합되어 도포함으로써 신축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도 함수율이 기준(6%정도)의 양생이 않되더라도 즉시 방수 공종의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외부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상층에는 차열성 수성 세라믹 도료와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층이 혼합되어 코팅된 보호필름층(25)과, 그물구조의 유리섬유 매쉬망(26)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시공하여 장시간 노줄되어도 전혀 균열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디수소산화물 40중량%와,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천연방부제)15중량%와. 마이크로시멘트 28중량%와, 생석회 12 중량%, 탄산칼슘 2 중량%, 천연 라텍스 2중량%와, 숯가루 1중량%를 혼합하여 무기질의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부틸고무 45중량%, 탄산칼슘의 무기질 필러 21중량%, 로진의 점착부여제 15중량%, 천연고무의 개질제 10중량%, 산화철이 포함된 유기 안료 5중량%, 난연제와 광택제가함유된 첨가제 4중량%로 혼합된 부틸방수점착제의 상측 표면에 HDPE(High DensityPolyethylene)계 필름을 합지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습윤부착층의 하부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무기질의 방수제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3mm도포한 후 그 표면에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도포하여 자체 시험한 결과 하기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o 시험항목 본원발명의 무기물 방수구조 타사 무기물 방수제
1 인장강도 85 N/mm 45 N/mm
2 신장율 558 % 55%
3 불연성 20분간 1020℃로 연속가열하였으나
연소와 변형이 전혀발생되지 않음
500℃에서 10분 후 변형이 발생됨
4 냄 새 무취, 무연 유연
5 변 형 무변형 연소후 변형발생
상기 표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무기질의 방수제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후 무기물 방수구조와 기존제품에 대비한 결과 의 인장강도는 40 N/mm 향상되었으며, 신장율이 10배이상 향상되었으며, 1020℃로 20분간 가열하였으나, 연소와 변형이 전혀 없었으며, 무연,무독,무취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무기물 방수제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친환경소재와 불연재로 현장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신장율로 인하여 신축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면처리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사용하여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무기질 방수제
20 :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
21 : 필름
22 : 부틸방수점착제
23 : 습윤부착층
24 : 이형지
25 : 보호필름
26 : 유리섬유 매쉬망

Claims (7)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의 방수제와 그 상면을 덮는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혼합된 혼합방수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되는 무기질 방수제(10)는, 디수소산화물(dihydrogen oxcide) 30~50중량%와, 천연방부제 성분인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 10~20중량%와. 마이크로시멘트 20~40 중량%와, 생석회 10~30 중량%, 탄산칼슘 1~10 중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기질의 방수제의 상면을 덮는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는, 상측 표면에 HDPE(High DensityPolyethylene)계 필름(21)이 합지되며, 상기 HDP계 필름의 하부에 부틸고무와, 무기질 필러와, 점착부여제와, 개질제와, 안료와,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인 부틸방수점착제(22)이 합지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Polyvinyl Alcohol)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23)이 형성되고, 상기 습윤부착층(23)의 하부에 부착된 이형지(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방수제(10)에는 천연 라텍스 1~10중량%와, 숯가루 1~10중량%가 추가로 혼합되고, 상기 마이크로시멘트에는 초고속경화시멘트 1~10 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상층에는 차열성 수성 세라믹 도료와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층이 혼합되어 코팅된 보호필름층(25)과, 그물구조의 유리섬유 매쉬망(26)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구조.
  4.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디수소산화물(dihydrogen oxcide) 30~50중량%와, 천연방부제인 5-크로로-2메틸-4-이소티아조린-3-오네 10~30중량%와. 마이크로시멘트 20~40 중량%와, 생석회 10~30 중량%, 탄산칼슘 1~10 중량%로 구성된 무기질 방수제(10) 40~60중량%에 물 40~60중량%를 혼합하여 무기질 방수혼합제(1)를 제조하는 방수혼합제 제조공정(S10)과;
    상측 표면에 HDPE(High DensityPolyethylene)계 필름(21)이 합지되며, 상기 HDP계 필름의 하부에 부틸방수점착제(22)가 합지되고, 상기 부틸방수점착제(22)의 하측에 물에 녹는 PVA(Polyvinyl Alcohol)로 성형되는 습윤부착층(23)이 형성되고, 상기 습윤부착층(23)의 하부에 이형지(24)가 부착된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를 제조하는 부틸방수시트 제조공정(S20)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면에 롤러와 같은 표면도포기구를 이용하여 무기질 방수혼합제를 1~4mm두께로 도포하는 방수제 도포공정(S30)과;
    상기 무기질 방수혼합제(1)를 도포한 후 상온에서 1~4시간 건조하는 건조공정(S40)과;
    상기 건조된 무기질 방수혼합제(1)의 표면에 상기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의 이형지(24)를 벗겨내고 부착시키는 부틸방수시트 부착공정(S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요철이나 면처리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상기 무기질의 방수제(10)에는 천연 라텍스 1~10중량%가 추가로 혼합되고, 초고속경화시멘트 1~10 중량%가 추가로 혼합되어 1차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신축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상기 무기질 방수제(10)에는 천연 라텍스 1~10중량%가 추가로 혼합되고, 초고속경화시멘트 1~10 중량%가 추가로 혼합되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20)의 상층에는 차열성 수성 세라믹 도료와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층이 혼합되어 코팅된 보호필름층(25)과, 그물구조의 유리섬유 매쉬망(26)이 추가로 형성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가 적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KR1020200109140A 2020-08-28 2020-08-28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60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40A KR102260576B1 (ko) 2020-08-28 2020-08-28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40A KR102260576B1 (ko) 2020-08-28 2020-08-28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576B1 true KR102260576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140A KR102260576B1 (ko) 2020-08-28 2020-08-28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483B1 (ko) * 2021-12-17 2022-08-31 주식회사 지엔에스 폴리우레아 갤럭시 g-1 수지도막방수제 및 그 시공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065A (ko) * 2007-03-08 2007-04-09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내염성 및 방근 성능을 고려한 자착식 복합형 방수 도막시공 방법
KR100791587B1 (ko) * 2006-10-23 2008-01-03 이화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아스팔트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6514B1 (ko) * 2013-09-09 2014-03-06 오성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KR101724062B1 (ko) * 2016-08-23 2017-04-06 주식회사 정호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742919B1 (ko) * 2016-10-17 2017-06-01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102006272B1 (ko) * 2018-04-10 2019-08-01 주식회사 지엔에스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87B1 (ko) * 2006-10-23 2008-01-03 이화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아스팔트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8065A (ko) * 2007-03-08 2007-04-09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내염성 및 방근 성능을 고려한 자착식 복합형 방수 도막시공 방법
KR101366514B1 (ko) * 2013-09-09 2014-03-06 오성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KR101724062B1 (ko) * 2016-08-23 2017-04-06 주식회사 정호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742919B1 (ko) * 2016-10-17 2017-06-01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102006272B1 (ko) * 2018-04-10 2019-08-01 주식회사 지엔에스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483B1 (ko) * 2021-12-17 2022-08-31 주식회사 지엔에스 폴리우레아 갤럭시 g-1 수지도막방수제 및 그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5409A (en) Waterproofing laminate
KR100850875B1 (ko) 겔상태의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US20050139126A1 (en) Intumescent coating
KR100992952B1 (ko)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제와 양면규사시트의 접착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23975B1 (ko) 난연도료와 내화보수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1489658B1 (ko) 일체형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180092B2 (ja) 壁面材
KR102260576B1 (ko) 무기질 방수제와 부틸 자착식 방수시트를 적층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90595B1 (ko) 스프레이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US689039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unvulcanized adhesive waterproof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79215A (ko) 탄성 도막 침투방수제 제조 방법
JP3218359B2 (ja) 発泡耐火性積層体とその形成方法
JP2006257855A (ja) 床構造体、床の施工方法及び改修方法
KR100940350B1 (ko)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390467B1 (ko) 접착력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종이를 함유한 방염도료 조성물
KR100961004B1 (ko) 재분산성 폴리머 분산제 및 폐타이어를 이용한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349881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탄성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탄성도막방수재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시트
KR102438483B1 (ko) 폴리우레아 갤럭시 g-1 수지도막방수제 및 그 시공공법
KR102063653B1 (ko)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KR20130004682A (ko) 100% 냉공법이 가능한 아스팔트 방수시트, 도막형 프라이머, 아스팔트 실란트 및 벽체용 도막제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RU617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незащиты строитель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деревя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4069464B2 (ja) 発泡耐火シート用組成物及び発泡耐火シート
CN108516731B (zh) 软瓷及其制备方法
KR100888700B1 (ko) 천연 무기광물계 불연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30995A (ko) G-1 시트를 활용한 다수겹 고경질 우레탄의 주차장 바닥 및 옥상 방수방근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