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050B1 -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050B1
KR102349050B1 KR1020210107944A KR20210107944A KR102349050B1 KR 102349050 B1 KR102349050 B1 KR 102349050B1 KR 1020210107944 A KR1020210107944 A KR 1020210107944A KR 20210107944 A KR20210107944 A KR 20210107944A KR 102349050 B1 KR102349050 B1 KR 10234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material
reinforcing sheet
pedestal
waterproofing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원
Original Assignee
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원 filed Critical 강재원
Priority to KR1020210107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의 균열부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균열부위 측정단계; 균열부위에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균열부위에 보강시트를 삽입하여 방수면이 형성되는 보강시트 삽입단계; 상기 보강시트 삽입단계에서 형성된 방수면에 방수지를 도포하는 방수재 재도포단계; 균열부위에 도포된 방수재가 건조되는 방수재 건조단계; 및 균열부위에 그라인딩과 같은 표면처리가 진행되는 후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Repairing and reinforcing structure method for concrete Building using Reinforcing sheet}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과 인구증가로 인하여 주택, 아파트 및 공장 등의 수많은 건축물이 증가되었다. 건축물의 시공하는 건설재료로는 철근 콘크리트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속에 강으로 된 막대를 넣은 건설재료를 총칭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경화되어 건조되면서 수축하는 성질이 있어, 수축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균열의 내부로 수부이 스며들게 되면 부식과 균열의 확장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함을 보수하기 위해 최근 방수재료를 균열에 도포하여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복합식 방수 시공 등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보수공법 중 충진공법은 0.5mm이상의 비교적 큰 균열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균열부위에 균열보수재를 충진하는 공법이다. 종래에는 균열을 보수하는 방법으로 제10-2002-00008504호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균열부위를 절단한 후 충진재를 충진하여 일정시간 경화시킴으로써 균열을 보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균열 결함을 보수하는 시공분야는 최근 불균일한 결함에 적용가능하며, 시공 후 밀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게 시공될 수 있는 공법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등록특허 제10-0396852호(2003.08.22.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굴곡지거나 방사형태로 연장되어 비균일하게 진행되는 균열의 보강 시공이 가능한 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의 균열부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균열부위 측정단계; 균열부위에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 균열부위에 보강시트를 삽입하여 방수면이 형성되는 보강시트 삽입단계; 상기 보강시트 삽입단계에서 형성된 방수면에 방수지를 도포하는 방수재 재도포단계; 균열부위에 도포된 방수재가 건조되는 방수재 건조단계; 및 균열부위에 그라인딩과 같은 표면처리가 진행되는 후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비균일하게 발생되는 균열의 보강시공을 보강시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결함에 대한 보수방법를 대체하여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싱공의 편의성이 증대된 보수 시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균열부위 측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보강시트 삽입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방수재도포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좌대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좌대설치단계에 설치되는 좌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건물의 외벽의 균열부위의 크기와 형태를 측정하는 균열부위 측정단계(S1); 와 균열부위에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S2); 와 균열부위에 보강시트(100)를 삽입하는 보강시트 삽입단계(S3); 와 균열부위에 방수재(200)를 도포하는 방수재 재도포단계(S4); 와 균열부위에 도포된 방수재가 건조되는 방수재 건조단계(S5); 균열부위에 그라인딩과 같은 표면처리가 진행되는 후처리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방수재(200)는 우레탄 실란트, 실리콘 실란트, 탄성퍼티, 에폭시 퍼티, 핸디코트 및 수용성 고무퍼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부착 효능 및 접착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경화제가 혼합된 우레탄 실란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우레탄 실란트는 한 분자당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한 분자당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폴리이소시아네이트합물과 폴리올 화합물의 배합비는 당량비로
Figure 112021094266598-pat00001
기/
Figure 112021094266598-pat00002
기가 1.5 내지 2.5일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100)는 스펀본드, 열융착, 바이컴퍼넌트, 스펀레이스, 멜트블로운, 건식적층 및 케미칼본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 순서도에서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도면에 표현된 균열부분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소정크기의 블럭형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균열부위 측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균열부위 측정단계(S1)는 결함의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는 결함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결함의 위상위치(H1)를 측정할 수 있다. 균열부위 측정단계(S1)는 복수개의 결함에서 낮은 위상의 위치에 있는 결함이 먼저 시공이 될 수 있도록 결함의 위상위치(H1)를 측정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또한,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 결함의 길이(H2)가 측정될 수 있다.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 측정된 길이를 토대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후술할 보강시트(10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 결함의 폭(W1)이 측정될 수 있다.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 측정된 폭을 토대로 방수재의 투입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균열부위 측정단계(S1)가 진행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방수재 도포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방수재 도포단계(S2)는 측정된 균열부위에 방수재를 도포하여 균열부위에 소정두께의 막을 형성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때, 방수재 도포단계(S2)에서 형성된 소정 두께의 막은 후술할 보강시트삽입단계(S3)에서 삽입되는 보강시트(100)의 저면에 방수재코팅을 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보강시트 삽입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시트 삽입단계(S3)는 균열부위 측정단계에서 가장 낮은 위상에 형성된 결함에 보강시트(100)를 삽입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삽입되는 보강시트(100)는 균열부분에 소정 깊이에 삽입되어 함몰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강시트(100)는 균열이 발생된 외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100)는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 측정된 결함폭(W1)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시트(100)는 결함폭(W1)에 비례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100)는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 측정된 결함길이(H2)에 대응되어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보강시트(100)는 메쉬형태로 직조된 망의 형태로 형성되어 조밀도가 낮은 보강시트중심부(110) 및 조밀도가 높게 형성된 보강시트외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강시트중심부(110) 및 보강시트외측부(120)의 특징을 자세히 설명키로 한다.
보강시트(100)에는 보강시트중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시트중심부(110)는 조밀도가 낮게 직조된 그물망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시트 중심부(110)는 상대적으로 조밀도 낮게 형성되어 보강시트(100)의 부분 중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중심부(110)의 크기는 보강시트(100)의 크기가 결정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보강시트(100)의 필요한 크기는 보강시트중심부(110)의 크기를 조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시트중심부(110)는 균열부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결함폭(W1) 및 결함길이(H2)에 대응되어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중심부(110)는 보강시트(100)가 균열부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변형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시트중심부(110)는 형태가 변형될 경우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구체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100)는 보강시트중심부(110)를 제외한 외측부분에 보강시트외측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시트외측부(120)는 보강시트중심부(110)보다 조밀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시트외측부(120)는 결함에 삽입되어 벽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시트외측부(120)는 보강시트(10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외측부(120)는 결함부위와 접촉되어 지지력이 형성될 수 있는 조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시트외측부(120)의 일측에는 소정면적에 복수개의 후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121)는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121)는 보강시트(100)의 임의의 위치나 외벽에 마찰되기 용이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후크(121)는 보강시트외측부(120)의 격자형태가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121)는 보강시트(10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크(121)는 보강시트(100)의 형상 유지력을 증대하는데 기여 될 수 있다. 또한, 후크(121)는 벽면과 마찰을 증대하여 위치가 변동되는 형상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보강시트(100)에는 실리콘코팅(122)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코팅(122)은 보강시트(100)의 보강시트중심부(110) 내지 보강시트외측부(120)의 직물이 교차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코팅(122)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직물이 교차된 모든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리콘코팅(122)은 소정크기의 구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시트(100)가 결함부위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개의 실리콘코팅(122)은 임의의 한지점에 수렴되어 한개의 방수면(A)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실리콘코팅(122)은 결함에 보강시트(100)가 삽입될 경우 뭉쳐져 방수면(A)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뭉쳐지는 실리콘코팅(122)으로 형성되는 방수면(A)으로 인해 결함부위(C)에는 방수면(A)이 형성되어 결함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외곽의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방수재 재도포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수재 재도포단계는 보강시트(100)의 외측에 방수재(200)를 도포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방수재(200)는 보강시트 삽입단계(S3)에서 형성된 방수면(A)에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되는 방수재(200)는 보강시트(100)가 형성하는 방수면(A)의 빈공간에 침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재(200) 및 보강시트(100)는 일체화되며 추후에 주입될 에폭시가 누출이 방지되는 틈새 없는 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수재(200)의 도포 시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이 형성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수재(200)사이의 빈위치는 좌대(300)가 안착되는 위치(A1)이 될 수 있다.
방수재 재도포단계(S4)가 진행된 결함부분에는 방수재 건조단계(S5)가 진행될 수 있다. 방수재 건조단계(S5)는 방수재 재도포단계(S4)에 도포된 방수재가 충분히 건조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재 건조단계(S4)가 진행된 후 그라인딩과 같은 표면처리가 진행되는 후처리 단계(S6)가 진행되며 공정이 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외벽균열보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결함부위 내측 심부에 충진이 필요한 부분에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구조물에서 균열의 크기와 형태를 측정하는 균열부위 측정단계(S10); 와 균열부위에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S20); 와 균열부위에 보강시트(100)를 삽입하는 보강시트 삽입단계(S30); 와 균열부위에 방수재(200)를 도포하는 방수재 재도포단계(S40); 상기 방수재(200)가 도포된 균열부위에 주입구(311)가 형성된 좌대(300)를 설치하는 좌대 설치단계(S5); 와 상기 좌대(300)가 설치된 균열부위의 방수재를 건조하는 방수재 건조단계(S60); 와 상기 좌대(300)에 형성된 상기 주입구(311)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에폭시 주입단계(S70); 와 상기 주입구(311)에 주입된 에폭시를 건조하는 에폭시 건조단계(S80); 및 에폭시가 건조된 후 상기 좌대(300)를 제거하는 좌대 제거단계(S90); 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균열부위 측정단계(S10) 내지 방수재 재도포단계(S40)는 본 실시예의 균열부위 측정단계(S1) 내지 방수재 재도포단계(S4)와 동일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방수재 재도포단계(S20)가 진행된 후 좌대 설치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의 좌대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좌대 설치단계(S50)는 방수재도포단계(S3)에서 형성된 좌대가 안착되는 위치(A1)에 좌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좌대(300)는 균열(C)의 내부로 에폭시가 투입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좌대설치단계(S50)에 설치되는 좌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좌대(30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된 안착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대(300)는 안착면(310)의 중심에 주입구(311)가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안착면(310)은 방수재가 도포된 부분에 안착되어 좌대(300)가 지지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한편, 안착면(310)의 하부에는 체인바닥면(320)이 형성될 수 있다. 체인바닥면(320)은 방수재(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체인바닥면(320)는 체인결합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럭(321)이 연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체인바닥면(320)은 복수개의 블럭(321)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직육면체 블럭(321)은 서로 체인결합이 형성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직육면체 블럭(321)의 내부는 체인이 상하 유동될 수 있는 유동공간(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공간(321a)의 크기는 복수개의 블럭(321)이 계단형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동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블럭(321)은 저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개의 블럭(321)은 횡방향으로 정렬될 경우 저면을 연결한 가상선(L)이 원호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이 종료된 후 복수개의 블럭(321)과 방수재의 탈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체인바닥면(3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블럭(321)은 방수재와 접촉여부에 따라 배열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개의 블럭(321)은 하측면이 방수재(200)와 미접촉되는 경우 도면 8과 같이 'V'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되는 복수개의 블럭(321)은 방수재(200) 방수재(200)와 접촉될 경우, 복수개의 블럭(321)은 횡방향으로 정렬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좌대(300)를 방수재(200)로 부터 이격될 경우, 체인바닥면(320)은 계단형태로 변형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인바닥면(320)의 변형에 의해 좌대(300)와 방수재(200)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좌대 설치단계(S50)가 진행된 외벽의 결함부에 방수재 건조단계(S60)가 진행될 수 있다. 방수재 건조단계(S60)는 결함부분에 도포된 방수재가 충분히 건조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방수재는 건조되어 보강시트(100)와 함께 결함부분의 외측부분에 벽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함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경우, 충진재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으며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방수재 건조단계(S60)가 진행된 후 설치된 좌대(300)에 에폭시가 주입되는 에폭시 주입단계(S7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에폭시는 결함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될 수 있다. 에폭시 주입단계(S70)에서 에폭시는 결함부분에 설치된 좌대(300)에 형성되는 주입구(311)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에폭시 주입단계(S70)에서 에폭시는 주사기와 같은 형태의 주입도구를 이용하여 에폭시를 주입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폭시 주입단계(S70)에서 결함의 내부에는 에폭시가 충진될 수 있다. 에폭시 주입단계(S70)에서 주입되는 에폭시는 액체형태로 주입되어 건조될 경우 경화되는 건축용 결함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충진재가 될 수 있다.
에폭시 주입단계(S70)가 진행된 결함부분에는 에폭시 건조단계(S80)가 진행될 수 있다. 에폭시 건조단계(S80)는 에폭시 주입단계(S70)에 충진된 에폭시가 충분히 건조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때, 에폭시의 건조 시간은 25℃기준 약 1일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에폭시 건조단계(S80)가 진행된 후 에폭시 주입을 위해 설치된 좌대(300)를 제거하는 좌대 제거단계(90)가 진행될 수 있다. 좌대 제거단계(S90)에서 좌대(300)는 좌대(300)의 측면에 응고된 방수재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좌대 제거단계(S90)에서 좌대(300)를 방수재(200)로 부터 상측방향으로 탈락시켜 좌대를 결함부분에서 제거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좌대(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직육면체 블럭(321)은 계단형태로 변형되는 동작으로 좌대(300)와 방수재(200)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이와 같은 좌대 제거단계(S90)가 진행된 후 그라인딩과 같은 표면처리가 진행되는 후처리 단계(S100)가 진행되며 공정이 마감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은 비균일하게 발생되는 균열의 보강시공을 보강시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결함에 대한 보수방법를 대체하여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싱공의 편의성이 증대된 보수 시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보강시트 200 : 방수재
300 : 좌대 S1 : 균열부위 측정단계
S2 : 방수재 도포단계 S3 : 보강시트 삽입단계
S4 : 방수재 재도포단계 S5 : 방수재 건조단계
S6 : 후처리단계 S40 : 재도포단계
S50 : 좌대 설치단계 S60 : 방수재 건조단계
S70 : 에폭시 주입단계 S80 : 에폭시 건조단계
S90 : 좌대 제거단계

Claims (6)

  1. 건물의 외벽의 균열부위의 크기인 결함폭(W1) 및 결함길이(H2)를 측정하는 균열부위 측정단계(S1);
    균열부위에 탄성퍼티, 우레탄퍼티, 에폭시퍼티로 형성된 방수재(200)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S2);
    균열부위에 보강시트(100)를 삽입하여 방수면(A)이 형성되는 보강시트 삽입단계(S3);
    상기 보강시트 삽입단계(S3)에서 형성된 방수면(A)에 방수지(200)를 도포하는 방수재 재도포단계(S4);
    균열부위에 도포된 방수재가 건조되는 방수재 건조단계(S5); 및
    균열부위에 그라인딩과 같은 표면처리가 진행되는 후처리단계(S6); 를 포함하고
    방수재 재도포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방수재(200)가 도포된 균열부위에 좌대(300)를 설치하는 좌대 설치단계(S50);
    상기 좌대(300)가 설치된 균열부위의 방수재를 건조하는 방수재 건조단계(S60);
    상기 좌대(300)를 통해 결함부위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에폭시 주입단계(S70);
    결함부위에 주입된 에폭시를 건조하는 에폭시 건조단계(S80);
    에폭시가 건조된 후 상기 좌대(300)를 제거하는 좌대 제거단계(S90); 및
    상기 좌대 제거단계(S90)가 진행된 균열부위에 그라인딩과 같은 표면처리가 진행되는 후처리단계(S1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대(30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된 안착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310)은
    중심에 주입구(311)가 형성되고 방수재(200)와 접촉되는 하부에 체인바닥면(320)이 형성되고
    상기 체인바닥면(320)은 복수개의 블럭(321)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블럭(321)은 서로 체인결합이 형성된 형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100)는
    상기 균열부위 측정단계(S1)에서 측정된 결함폭(W1) 및 결함길이(H2)에 대응되어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형성되는 보강시트 중심부(110); 및
    조밀도가 높게 형성된 보강시트 외측부(120); 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100)는
    격자형태의 복수개의 교차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체형태로 실리콘코팅(122)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인바닥면(320)은
    복수개의 블럭(321)의 저면을 연장한 선(L1)이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방법.
KR1020210107944A 2021-08-17 2021-08-17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34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944A KR102349050B1 (ko) 2021-08-17 2021-08-17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944A KR102349050B1 (ko) 2021-08-17 2021-08-17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050B1 true KR102349050B1 (ko) 2022-01-07

Family

ID=7935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944A KR102349050B1 (ko) 2021-08-17 2021-08-17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852B1 (ko) 2002-02-18 2003-09-02 우신건축환경크리닉(주)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KR20060107113A (ko) * 2005-04-07 2006-10-13 (주)알씨코리아 격자형 와이어 메쉬
US20120152439A1 (en) * 2010-04-05 2012-06-21 Daniel Hansen Surface repair patch
KR101743930B1 (ko) * 2016-08-22 2017-06-07 비봉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보강 공법
KR102000461B1 (ko) * 2018-09-14 2019-07-16 유지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 도장시 방수용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균열부위 보수 보강용 무기질 고탄성 충진제 및 그를 이용한 균열 부위 보수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852B1 (ko) 2002-02-18 2003-09-02 우신건축환경크리닉(주)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KR20060107113A (ko) * 2005-04-07 2006-10-13 (주)알씨코리아 격자형 와이어 메쉬
US20120152439A1 (en) * 2010-04-05 2012-06-21 Daniel Hansen Surface repair patch
KR101743930B1 (ko) * 2016-08-22 2017-06-07 비봉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보강 공법
KR102000461B1 (ko) * 2018-09-14 2019-07-16 유지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 도장시 방수용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균열부위 보수 보강용 무기질 고탄성 충진제 및 그를 이용한 균열 부위 보수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382B1 (ko) 콘크리트 부재 결합 방법 및 콘크리트 부재 간의 하중전달능을 개선시키는 방법
KR101701089B1 (ko) 조립형 앵커체 및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부 보수 보강 공법
US11773610B2 (en) Concrete structure strengthened using grid reinforcement material and non-shrink grout and method of strengthening the same
KR20110064142A (ko) 구조물의 방수 및 크랙 보수 공법
KR102349050B1 (ko) 보강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710304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세굴 이격부 보수 보강 공법
KR100432318B1 (ko) 탄소봉을 이용한 기존 건축·토목 구조물의 보수 및보강공법
KR100677899B1 (ko) 균열보수공법
US9290956B1 (en)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JP4378427B2 (ja) 遊間用止水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2079890B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issures in concrete structures
KR101536443B1 (ko) 건축물 내진 보수 보강 공법
JP2007285066A (ja) マンホールの補修及び補強方法
KR101259097B1 (ko) 이어치기 공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
JP2010255222A (ja) 遊間用止水材製造用ホース及び遊間用止水材の製造方法
JP2019002140A (ja) ベースモルタル構築用鋼製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ベースモルタル構築方法
CN114960978A (zh) 改扩建结构中无预留预埋结构混凝土拼缝的防水方法
KR101074647B1 (ko) 섬유관 및 이를 이용한 보강공법
CN110056203B (zh) 一种地面结构漏水的处理方法
Lanivschi State of the art for strengthening masonry with fibre reinforced polymers
CN105040583B (zh) 一种带有跨缝板的桥梁伸缩缝结构
KR101800380B1 (ko) 무기계 재료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친환경 균열보수재의 제조 방법 및 이의 도포 방법
Pattanaik Structural strengthening of damaged RCC Structures with polymer modified concrete
KR1004829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KR101778018B1 (ko) 보강토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블록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