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868B1 - 저변화 저항을 갖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변화 저항을 갖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868B1
KR100295868B1 KR1019990015990A KR19990015990A KR100295868B1 KR 100295868 B1 KR100295868 B1 KR 100295868B1 KR 1019990015990 A KR1019990015990 A KR 1019990015990A KR 19990015990 A KR19990015990 A KR 19990015990A KR 100295868 B1 KR100295868 B1 KR 10029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film
resistance layer
forming
polysilic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042A (ko
Inventor
요시카와고이치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8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20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02Resis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폴리실리콘저항층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다.

Description

저변화저항을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small variance in resistanc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층이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장치내에는 많은 저항층이 형성되고, 고집적 및 고밀도를 위하여 폴리실리콘층이 저항층으로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기판(100)상에 형성된 절연막(101,102)상에 폴리실리콘층(103)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 폴리실리콘층(103)상에 층간절연막(106)이 형성된다. 층간절연막(106)내에 콘택홀이 형성되rh 배선층(107)이 폴리실리콘층(103)에 연결된다. 따라서, 폴리실리콘의 저항층(103)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폴리실리콘저항층은 저항에서 변화를 갖는다는 것이 통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저항변화를 억제하는 방법이 일본 특개평 9-23252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폴리실리콘저항층으로 수소원자가 확산하는 경우에, 폴리실리콘층의 저항치가 변화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수소원자의 확산에 의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실리콘저항층의 표면상에 실리콘질화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리콘질화막의 형성을 위한 열처리시에, 콘택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폴리실리콘저항층에 주입되어 있는 불순물이온이, 폴리실리콘저항층의 저항영역으로 확산된다. 그 결과, 저항변화가 발생된다. 이러한 저항변화를 방지하는 방법이 일본 특개평 9-121024 호 공보에 알려져 있다.
폴리실리콘저항층의 저항변화는 콘택저항의 변화에도 기인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콘택홀이 형성될 때, 폴리실리콘저항층의 개구부가 오버에칭에 의해 제거되어, 콘택저항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콘택홀을 형성하는 경우에 오버에칭에 의한 폴리실리콘저항층의 손상을 억제하여 폴리실리콘층의 콘택저항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기초로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실리콘저항층의 콘택저항의 변화가 억제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실리콘저항층의 층저항의 변화가 억제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제조방법으로 형성된 반도체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형성된 반도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형성된 반도체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기판 101 : 필드산화막
102 : 제 1 층간절연막 103 : 폴리실리콘저항층
104 : 산화막 105 : 질화막
106 : 제 2 층간절연막 107 : 배선층
108 : 콘택홀
본 발명의 일예를 달성하기 위해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폴리실리콘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질화막이고, 이 질화막은 40Å ~ 200Å의 막두께를 갖는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600℃ ~ 630℃의 온도에서의 어닐링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절연막은 산화막, BSG막 그리고 BPSG막중 하나이다.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은 동일한 에칭조건에서 에칭된다.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은 1500Å ~ 3000Å의 막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를 달성하기 위해서,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폴리실리콘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를 달성하기 위해서,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폴리실리콘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600℃ ~ 630℃의 온도에서의 어닐링처리를 통해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을 덮도록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00)상에 소자분리영역으로서 필드산화막(101)이 형성된다. 필드산화막(101)은 2500Å ~ 5000Å의 막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소자형성영역이 정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형성영역이 정의된 후, 반도체기판(100)과 필드산화막(101)위에 제 1 층간절연막(102)이 형성된다. 이 제 1 층간절연막(102)은 1000Å ~ 2000Å의 막두께를 갖는다.
다음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층간절연막(102)상에 폴리실리콘저항층(103)용 폴리실리콘막이 1500Å ~ 3000Å의 막두께를 갖도록 증착된다. 폴리실리콘저항막의 층저항을 제어하기 위하여 폴리실리콘저항막에 붕소(B)를 이온주입한다.
다음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포토레지스트) 및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저항층(103)과 제 1 층간절연막(102)상에 산화막(104)이 형성된다. 이 산화막(104)의 막두께는 200Å ~ 1000Å의 범위이다.
산화막(104)상에 질화막(105)이 형성된다. 이 질화막(105)의 막두께는 40Å~ 200Å의 범위이다. 질화막(105)이 성장될 때, 저온어닐링처리가 수행된다. 즉, 증착공정이 600℃ ~ 63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 저온어닐링처리를 통해서, 붕소이온이 전체 폴리실리콘저항층(103)으로 확산된다. 또한, 이온주입에 의한 손상이 복구된다. 따라서,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저항 및 콘택저항의 변화가 저감될 수 있다.
고온어닐처리가 적용될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형성전에,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그러나, 고온어닐링처리가 수행될 때, 트랜지스터의 TiSi2층이 응집(cohesion)을 일으켜, 확산층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막(105)상에 제 2 층간절연막(106)이 형성된다. 예를들면, 이 제 2 층간절연막(106)은 BPSG막, BSG막 그리고 산화막중의 하나로 형성된다.
다음에, PR 및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제 2 층간절연막(106), 질화막(105) 및 산화막(104)을 관통하여 폴리실리콘저항층(103)에 도달하도록 콘택홀(108)이 형성된다. 이 콘택홀(108)은 폴리실리콘저항층(103)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에서 플라즈마에칭방법의 조건은 제 2 층간절연막(106), 질화막(105) 그리고 산화막(104)의 각각에서 동일하다. 압력은 30 ~ 40mT의 범위이고, RF전원은 1000 ~ 2000W의 범위이며, 에칭가스는 15 ~ 25sccm의 C4F8, 10 ~ 15sccm의 O2그리고 500 ~ 600sccm의 Ar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조건으로 수행되는 플라즈마에칭방법의 에칭레이트는 아래와 같다. 즉, 에칭레이트는 BPSG막에서 6000 ~ 8000Å/min, BSG막에서 5000 ~ 8000Å/min, 산화막에서 5000 ~ 7000Å/min, 그리고 질화막에서 600 ~ 700Å/min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질화막은 BPSG막, BSG막, 산화막중의 어느하나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다. 질화막(105)은 (BPSG막, BSG막, 그리고 산화막중의 하나로 구성된) 제 2 층간절연막(106)과 폴리실리콘저항층(103)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폴리실리콘저항층(103)에의 오버에칭이 억제되어, 콘택저항의 변화가 억제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홀(108)내에 제 1 배선층(107)이 형성되어 폴리실리콘저항층(103)과 연결된다. 다음에, PR 및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제 1 배선층(107)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콘택홀(108)이 형성되는 경우에, 폴리실리콘저항층(103)에의 오버에칭에 의한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손상이 질화막(105)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실리콘저항층(103)에 있어서의 콘택홀(108)의 개구부가 깍여지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콘택저항의 변화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질화막(105)을 성장될 때의 저온어닐링처리의 결과,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층저항 및 콘택저항의 변화가 저감될 수 있다.
다음에,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00)상에 소자분리영역으로서 필드산화막(101)이 형성된다. 필드산화막(101)의 막두께는 2500Å ~ 5000Å의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소자형성영역이 정의된다.
다음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형성영역이 형성된 후, 반도체기판(100)과 필드산화막(101)위에 제 1 층간절연막(102)이 1000Å ~ 2000Å의 막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층간절연막(102)상에 폴리실리콘저항층(103)용 폴리실리콘막이 1500Å ~ 3000Å의 막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폴리실리콘저항막의 층저항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온주입법에 의해 폴리실리콘저항막에 붕소이온을 주입한다.
다음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포토레지스트) 및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폴리실리콘저항막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되어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저항층(103)과 제 1 층간절연막(102)상에 질화막(105)이 형성된다. 이 질화막(105)의 막두께는 40Å ~ 200Å의 범위이다. 이 질화막(105)을 성장시에, 상술한 저온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에,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막(105)상에 제 2 층간절연막(BSG막)(106)이 형성된다. 이어서, PR 및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제 2 층간절연막(106)과 질화막(105)을 관통하여 폴리실리콘저항층(103)에 도달하도록 콘택홀(108)이 형성된다. 이 콘택홀(108)은 폴리실리콘저항층(103)과의 전기적인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에서의 에칭조건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홀(108)내에 배선층이 형성되어 폴리실리콘저항층(103)과 연결된다. 다음에, PR 및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제 1 배선층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배선층(107)을 형성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라즈마에칭방법에 의해 콘택홀(108)의 개구가 수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폴리실리콘저항층(103)에의 오버에칭에 의한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손상이 질화막(105)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폴리실리콘저항층(103)에서 콘택홀(108)의 개구부가 깍여지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콘택저항의 변화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질화막(105)이 저온어닐링방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폴리실리콘저항층(103)의 층저항 및 콘택저항의 변화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반도체기판상에 폴리실리콘저항층이 형성되고, 이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제 1 절연막이 형성되며, 다음에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콘택홀이 형성되는 경우에, 제 1 절연막의 에칭레이트가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이기 때문에 폴리실리콘저항층에의 오버에칭이 방지될수 있다. 제 1 절연막은 질화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절연막은 산화막, BSG막 또는 BPSG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2)

  1.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폴리실리콘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은 40Å ~ 200Å의 막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 형성단계는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600℃ ~ 630℃의 온도에서의 어닐링방법에 의해 상기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은 산화막, BSG막 그리고 BPSG막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형성단계는
    동일한 에칭조건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은 1500Å ~ 3000Å의 막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8.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폴리실리콘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은 40Å ~ 200Å의 막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 형성단계는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600℃ ~ 630℃의 온도에서의 어닐링방법에 의해 상기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은 산화막, BSG막 그리고 BPSG막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형성단계는
    동일한 에칭조건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4.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은 1500Å ~ 3000Å의 막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5.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폴리실리콘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600℃ ~ 630℃의 온도에서의 어닐링처리를 통해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을 덮도록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2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에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은 40Å ~ 200Å의 막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은 산화막, BSG막 그리고 BPSG막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형성단계는
    동일한 에칭조건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20.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은 1500Å ~ 3000Å의 막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21.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저항층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제 1 절연막이 상기 산화막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22.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2 절연막의 에칭레이트의 1/8이하의 에칭레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KR1019990015990A 1998-05-21 1999-05-04 저변화 저항을 갖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0295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975798A JP3214445B2 (ja) 1998-05-21 1998-05-21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10-139757 1998-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042A KR19990088042A (ko) 1999-12-27
KR100295868B1 true KR100295868B1 (ko) 2001-07-12

Family

ID=1525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990A KR100295868B1 (ko) 1998-05-21 1999-05-04 저변화 저항을 갖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80479B1 (ko)
JP (1) JP3214445B2 (ko)
KR (1) KR100295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40B1 (ko) * 2001-04-13 2007-10-17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JP5148139B2 (ja) * 2007-03-12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30298B1 (ko) * 2014-02-20 2021-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4400216A (zh) * 2018-04-25 2022-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晶硅电阻
KR102612879B1 (ko) 2021-11-02 2023-12-12 (주)일로종합건축사사무소 미세먼지 저감용 플랜트 파티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8640A (ja) 1983-03-15 1984-09-22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3248157A (ja) 1987-04-02 1988-10-14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198688A (en) * 1989-03-06 1993-03-30 Fuji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device provided with a conductivity modulation MISFET
JPH05275619A (ja) 1992-03-24 1993-10-22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4244771C2 (de) * 1992-05-20 1996-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albleitereinrichtung mit Polysiliziumwiderstandsschichten
JP2748070B2 (ja) * 1992-05-20 1998-05-06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50992B2 (ja) * 1992-08-12 1998-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72442B2 (ja) 1993-02-19 2002-04-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727910B2 (ja) * 1993-04-09 1998-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955381A (ja) 1995-08-11 1997-02-25 S I I R D Center:Kk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2825074B2 (ja) 1995-10-25 1998-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129595A (ja) 1995-10-26 1997-05-16 Applied Materials Inc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
JP2798043B2 (ja) 1996-02-28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547955B2 (ja) * 1997-10-16 2004-07-2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30365A (ja) 1999-11-30
JP3214445B2 (ja) 2001-10-02
US6180479B1 (en) 2001-01-30
KR19990088042A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1828B1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ic-components to be used at radio frequencies
US5620919A (en) Methods for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s including openings to transistor regions
KR100258493B1 (ko) 저항소자를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5175119A (en) Method of producing insulated-gate field effect transistor
US5084416A (en) Method of forming a low resistance contact by forming a contact hole within a recess
EP0465044A2 (en) Method of etching for integrated circuits with planarized dielectric
EP0391562A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ing a tungsten contact and fabrication thereof
US6350665B1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contacts and source and/or drain junctions in a semiconductor device
US539952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by forming barrier metal layer between substrate and wiring layer
US5457070A (en) Method of forming a step compensated semiconductor device
KR100295868B1 (ko) 저변화 저항을 갖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0275018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US519271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multi-layered structure
US6635938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973384A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bipolar transistor
KR100314715B1 (ko) 고저항막상에열질화막을가지는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US668627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6001681A (en) Method to reduce the depth of a buried contact trench by using a thin split polysilicon thickness
US6221745B1 (en) High selectivity mask oxide etching to suppress silicon pits
KR100223736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JP2794594B2 (ja) 半導体装置の製法
JP3065395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325601B1 (ko) 반도체 소자의 접촉구 형성 방법
KR97000570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8110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