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585B1 - 데이터통신장치및팩시밀리전송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장치및팩시밀리전송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585B1
KR100294585B1 KR1019980010588A KR19980010588A KR100294585B1 KR 100294585 B1 KR100294585 B1 KR 100294585B1 KR 1019980010588 A KR1019980010588 A KR 1019980010588A KR 19980010588 A KR19980010588 A KR 19980010588A KR 100294585 B1 KR100294585 B1 KR 10029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ode
mode
speed transmission
switching
low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739A (ko
Inventor
가가와 데쯔야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8008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04N1/32641Fault detection of transmission or transmitted data, e.g. interruption or wrong number of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15Assigning priority to,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14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related to a single-mode communication, e.g.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전송모드와 고속전송모드를 갖는 데이터 통신장치 및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으로서, 수신된 절환신호에 기초하여 고속전송모드와 저속전송모드 사이의 전송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선택기를 포함한다. 모드검출기는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타이머는 고속전송모드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레이트 검출기는 고속전송모드에서 데이터 비트레이트를 검출한다. 계산기는 검출된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한다. 절단 유니트는 측정된 시간이 대기시간을 초과하면 전화선을 절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장치 및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FACSIMILE TRANSMISSION}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은 팩시밀리의 데이터 전송과 수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래프트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 sector) 권고 V.8(97.9.12)과 ITU-T 권고 V.8(94.9)과 같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는 ITU-T 권고 V.34(96.10)에서의 ITU-T 권고 V.34의 G3(Group III)표준에 기초한 전송제어과정을 사용하는 통신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의 전송과 수신에 관한 배경정보는 미국 특허 번호 5,303, 066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미국특허는 본 발명에서도 참조하고 있다.
ITU-T 권고 V.34에 기초한 전송제어과정을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팩시밀리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라이머리채널을 통하여 비교적 고속(고속전송모드)으로 전송하고, 제어 데이터를 비교적 저속으로 보조 또는 콘트롤 채널(저속전송모드)을 통하여 전송한다. 전송장치 또는 스테이션(TX)과 수신장치 또는 스테이션(RX) 사이에 통신 링크가 이루어진 이후에 이들 전송모드의 하나에서 다른 전송모드로 절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절환데이터가 하나의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되고 두 스테이션은 전송모드와 코더/디코더의 형태를 동시에 절환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제어데이터 전송에 후속하여 전송되거나 제어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에 후속하여 전송된다. 전송에러가 발생하고 수신 스테이션이 에러를 검출하였으나 절환신호가 보내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신 스테이션은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고 전송스테이션으로부터 제어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린다. 그러나 이것은 수신 스테이션이 이미지 데이터를 저속수신모드에서 수신하지 못하고 제어 데이터를 계속 기다리고 전송스테이션은 통신 링크를 절단하므로 낭비적이다. 수신 스테이션은 계속 대기하여야 할 지 또는 전송스테이션과의 링크를 절단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갖지 못한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데이터 통신장치 및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은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에러를 검출한 후 일정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 스테이션이 어떠한 모드에서 얼마 동안 대기하여야 하는지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대기시간은 전송 레이트 또는 전송 에러가 검출되기 이전에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양 또는 전송 에러가 검출된 시점에서 더 수신되어야 할 이미지 데이터의 양과 관련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수신 스테이션은 전송 에러가 검출되는 전송환경에서 의미있는 시간동안만 제어 데이터를 기다릴 수 있고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므로써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전송스테이션 또는 수신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팩시밀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V.34통신에서 권고하는 프로토콜 시퀀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ECM(Error Correction Mode) 통신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프로토콜 시퀀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의 프로토콜 시퀀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1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제3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캐너
2 ... 프린터
3 ... 코더/디코더 유니트
4 ... 통신제어 유니트
5 ... 모뎀
6 ... 네트웍제어 유니트
7 ... 조작표시 유니트
10 ... 시스템제어부
11 ... 모드검출기
12 ... 타이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속전송모드와 고속전송모드를 갖는 데이터통신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이 장치는 수신된 절환신호에 기초하여 고속전송모드와 저속전송모드 사이의 전송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선택기를 포함한다. 모드검출기는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타이머는 고속전송모드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레이트 검출기는 고속전송모드에서 데이터 비트레이트를 검출한다. 계산기는 검출된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한다. 절단 유니트는 측정된 시간이 대기시간을 초과하면 전화선을 절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송스테이션 또는 수신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팩시밀리장치를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이 팩시밀리장치는 스캐너 1와 프린터 2와 코더/디코더 유니트 3와 통신제어 유니트 4와 모뎀 5과 네트웍제어 유니트 6와 조작표시 유니트 7와 시스템제어부 10를 구비하고 있다.
스캐너 1는 수신 스테이션으로 전송 처리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원고를 스캔한다. 프린터 2는 수신 스테이션에서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프린트하거나 전송스테이션 또는 수신 스테이션에서 리포트 또는 카피와 같은다른 원고를 프린트한다. 코더/디코더 유니트 3는 선택적으로 스캐너1로부터 공급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과 같은 방법으로 부호화하고 수신 이미지 데이터를 확장 또는 복원하는 방법으로 복호화한다. 통신제어 유니트 4는 제어 프로토콜 과정을 실행한다. 모뎀 5은 선택적으로 통신 데이터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ITU-T 권고 V.8 또는V.34와 같은 적절한 표준에 맞춘다. 네트웍제어 유니트 6은 전화선 또는 이에 필적하는 통신 링크에 접속되어 발호와 착호를 제어한다. 조작표시 유니트 7는 오퍼레이터와 팩시밀리장치간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한다. 시스템제어 유니트 10는 팩시밀리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드검출기 11와 타이머 12를 포함하고 있다. 모드검출기 11는 전송모드의 절환을 검출하고, 타이머 12는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도 2는 권고 V.34 통신의 프로토콜 시퀀스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 TX는 전송스테이션을 나타내고 수평선 위의 심볼은 전송스테이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나타내며, RX는 수신 스테이션을 나타내고 수평선 아래의 심볼은 수신 스테이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저속전송모드(콘트롤 채널)의 기간(M1)은 TX와 RX에서 발생되는 PPh신호로 시작되고 RX에서 발생되는 CFR신호로 끝난다. 저속전송모드의 다른 기간(M1)은 TX에서 발생되는 Sh신호로 시작되고 TX에서 또한 발생되는 DCN신호로 끝난다. 고속전송모드(프라이머리 채널)의 기간(M2)은 TX에서 발생되는 S신호로 시작되고 TX에서 RX로의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후에 TX에서 발생되는 "1...1"신호로 끝난다. TX로부터의 "1...1"신호는 전송모드를 절환하는 명령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송스테이션에서 통신제어 유니트4가 전송모드를 절환하기 위하여 "1...1"신호를 보내고 전송시와 RX에서의 신호해석시 에러가 없으면 수신 스테이션은 "1...1"신호에 응답하여 전송모드를 절환하고 변조와 복조방식을 변환한다.
도 3은 ECM(Error Correction Mode) 통신에서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ECM 통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은 다음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플래그 : 7E
+어드레스 필드 : FF
+콘트롤 필드 : 03
+팩시밀리 콘트롤 필드 : 06
+프레임 번호 : 00-FF
이미지 데이터 : (256바이트 또는 64바이트)
+프레임체크시퀀스(FCS) : (2바이트)
도 4는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프로토콜 시퀀스, 즉 수신 스테이션이 에러를 검출하고 성공적인 리트레인(retrain) 과정을 수행하여 전송스테이션과 수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 링크의 단절없이 전송스테이션이 다시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하는 시퀀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시퀀스에서, 수신 스테이션은 에러를 검출하고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며 AC신호를 전송스테이션으로 보내고 리트레인(retrain) 과정을 시작한다. 리트레인(retrain) 과정이 성공하면 수신 스테이션은 데이터의 재송신을 요구하기 위하여 PPR신호를 전송스테이션으로 보낸다.
도 5는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의 프로토콜 시퀀스, 즉 수신 스테이션이 에러를 검출하고 AC신호를 보내지만 TX와 RX의 적절한 동작이 소정의 시간내에 수행되지 않아 수신 스테이션은 AC신호의 송신을 중단하고 전화선을 절단한다.
도 6은 전송의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수신 스테이션은 단계 s1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단계 s2에서 고속전송모드에서의 비트레이트를 체크한다. 수신 스테이션은 단계 s3에서 전송 에러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에서 전송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1으로 되돌아가며 전송이 완료되었으면 단계 s10으로 가서 과정을 종료한다. 단계 s3에서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수신 스테이션은 단계 s4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한다. 그런 다음 스테이션 RX는 단계 s5에서 타이머12를 작동시켜 클럭 펄스를 카운트하고 단계 s7에서 회복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회복되었으면 단계 s1으로 되돌아가고 회복되지 않았으면 단계 s7에서 타이머12에 의한 클럭 펄스의 카운트가 이미지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계산된 대기시간 "WP"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카운트가 대기시간 "WP"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가고 카운트가 대기시간 "WP"를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8에서 수신 스테이션을 전화선으로부터 절단시키고 단계 s10에서 종료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신 스테이션은 단지 이미지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관련한 시간 동안만 대기하여 다른 이미지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대기시간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수신 스테이션은 불필요하게 긴 시간동안 이미지 데이터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이미지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에 따른 적절한 대기시간 "WP"는 여러 방법으로 계산 또는 평가될 수 있고, 한 예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여기에서 PIX는 (프레임당 바이트)(프레임수)로서 특히 프레임당 바이트는 2+256+2로 될 수 있고 프레임의 수는 256이 될 수 있다. RCP는 각각 (4+2) 바이트가 될 수 있고, BIT RATE는 24,000이 될 수 있다. 이 예에서 WP는 22.2초이다. 다른 예를 든다면 BIT RATE는 33,800이고 WP는 15.8초이다.
도 7은 에러가 검출되기 이전에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수신 스테이션은 전송스테이션이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끝내고 수신 스테이션으로부터 AC신호를 검출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관련한 시간 WP1동안 대기한다. 그리하여 도 7의 단계 s11에서 수신 스테이션은 RN(요구되는 데이터 프레임수)을 체크하여 기록하고, 단계 s12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며, 단계 s13에서 비트 레이트를 체크하고, 단계 s14에서 에러를 체크한다. 단계 s14의 테스트에서 전송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에서 전송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전송이 완료되었으면 과정을 종료하고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단계 s14의 테스트에서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수신 스테이션은 단계 s15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고, AC신호를 보내기 시작하며 단계 s16에서 타이머12를 동작시키기 시작한다. 단계 s17에서 회복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회복되었으면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단계 s17의 테스트에서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8에서 타이머12가 계산된 대기시간 WP1을 초과하여 시간 T를 카운트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 s18에서의 결과 시간 T가 대기시간 WP1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7으로 되돌아가고, 시간 T가 대기시간 WP1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19에서 수신 스테이션을 전화선으로부터 절단시키고 종료한다. 다시, 대기시간 WP1은 여러 방법으로 계산 또는 평가될 수 있지만, 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PPR는 전송 에러가 검출되기까지 수신된 프레임의 수, 즉 요구된 프레임의 수 RN보다 적은 수를 나타내고, 관계식의 다른 요소는 앞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 예에 따라 대기 시간 WP1은 에러가 검출되기 이전에 얼마나 많은 프레임이 수신되었는가에 관련되므로 수신 스테이션은 전송스테이션이 현재의 프레임 세트를 전송한 후 불필요하게 대기할 필요가 없고, 재전송에 필요한 과정을 밟는다.
마지막으로, 도 8은 수신 스테이션에서 전송 에러가 검출된 시점에서 요구된 프레임중 보내야할 프레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에 따라 수신스테이션이 대기시간 WP2을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그리하여 도 8의 단계 s21에서 수신 스테이션은 RN(요구된 데이터 프레임수)을 체크하여 기록하고, 단계 s22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며, 단계 s23에서 비트레이트를 체크하고, 단계 s24에서 에러를 테스트한다. 단계 s24의 테스트에서 전송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5에서 예상되는 이미지 데이터중 남아 있는 프레임의 수 EF(EF는 초기에 RN으로 세트된다.)를 1만큼 감소시키고 단계 s31에서 전송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전송이 완료되었으면 과정을 종료하고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22로 되돌아간다. 단계 s24의 테스트에서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5에서 수신 스테이션은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고, AC신호를 보내기 시작하며 단계 s27에서 타이머12(또는 T)를 동작시키기 시작한다. 단계 s28에서 회복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회복되었으면 단계 s22로 되돌아간다. 단계 s28의 테스트에서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9에서 타이머12가 계산된 대기시간 WP1를 초과하여 시간 T를 카운트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 s29에서의 결과 시간 T가 대기시간 WP2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8으로 되돌아가고, 시간 T가 대기시간 WP2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30에서 수신 스테이션을 전화선으로부터 절단시키고 종료한다. 다시, 대기시간 WP2는 여러 방법으로 계산 또는 평가될 수 있지만, 한 가지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EF는 전송 에러가 검출된 때 수신되어야 할 남아 있는 프레임의 수, 즉 요구된 프레임의 수 RN에서 에러 검출 시점에서 수신된 프레임의 수를 뺀 수를 나타내고, 관계식의 다른 요소는 앞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 예에 따라 대기시간 WP2은 에러가 검출된 시점에서 수신되어야 할 얼마나 많은 프레임이 남아 있는가에 관련되므로 수신 스테이션은 전송스테이션이 현재의 프레임 세트를 전송한 후 불필요하게 대기할 필요가 없고, 재전송에 필요한 과정을 밟는다.
본 발명은 저속통신모드에서의 통신대기시간을 수신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적절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어 통신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된 프레임수가 어떤 수이라도 대응할 수 있어 통신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V.34규격의 팩시밀리장치에 대하여 불필요한 통신대기상태를 회피할 수 있어 통신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저속전송모드와 고속전송모드를 갖는 데이터통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절환신호에 기초하여 고속전송모드와 저속전송모드 사이에서 전송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선택기와,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모드검출기와,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고속전송모드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타이머와,
    고속전송모드에서 데이터 비트레이트를 검출하는 레이트 검출기와,
    검출된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계산기와,
    측정된 시간이 대기시간을 초과하면 전화선을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장치.
  2. 저속전송모드와 고속전송모드를 갖고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절환신호에 기초하여 전송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선택기와,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고속전송모드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모드검출기와,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고속전송모드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한 이후의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타이머와,
    절환선택기가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기 이전에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수를 검출하는 프레임 검출기와,
    검출된 프레임수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계산기와,
    측정된 시간이 대기시간을 초과하면 전화선을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장치.
  3. 저속전송모드와 고속전송모드를 갖고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절환신호에 기초하여 전송모드를 절환하는 절환선택기와,
    절환선택기가 고속전송모드에서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모드검출기와,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타이머와,
    절환선택기가 전송모드를 저속전송모드로 절환한 때에 전송되어야 할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수를 검출하는 프레임 검출기와,
    검출된 전송예정 프레임수에 기초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계산기와,
    측정된 시간이 대기시간을 초과하면 전화선을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장치.
  4. 저속전송모드와 고속전송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스테이션과 수신 스테이션의 사이의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송스테이션과 수신 스테이션의 사이에서 고속전송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고속전송모드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전송에러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고속전송모드에서 데이터 전송의 파라미터에 관련된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카운트된 시간과 계산된 대기시간을 비교하여 카운트된 시간이 대기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이미지 데이터를 재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송스테이션과 수신 수신스테이션 사이의 연결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계산하는 단계는 고속전송모드에서 데이터 전송의 비트레이트에 관련되는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계산하는 단계는 에러검출전에 고속전송모드에서 수신스테이션에 수신된 데이터의 프레임수에 관련되는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계산하는 단계는 에러검출시 고속전송모드에서 수신스테이션에 수신 예정인 데이터의 프레임수에 관련되는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전송 제어방법.
KR1019980010588A 1997-03-28 1998-03-26 데이터통신장치및팩시밀리전송제어방법 KR100294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77211 1997-03-28
JP7721197 199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739A KR19980080739A (ko) 1998-11-25
KR100294585B1 true KR100294585B1 (ko) 2001-08-07

Family

ID=1362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588A KR100294585B1 (ko) 1997-03-28 1998-03-26 데이터통신장치및팩시밀리전송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60637A (ko)
KR (1) KR100294585B1 (ko)
DE (1) DE1981378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1201B2 (ja) * 2000-03-06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020191B2 (ja) * 2001-09-21 2007-12-12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4166161A (ja) 2002-02-08 2004-06-10 Ricoh Co Ltd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512982B1 (ko) * 2002-09-05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JP2004248083A (ja) * 2003-02-14 2004-09-02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通信端末装置
EP1496683A3 (en) * 2003-07-09 2005-06-15 Ricoh Company, Ltd. Internet facsimile apparatus
KR100677147B1 (ko) * 2004-11-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 전송속도 설정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7547B (en) * 1988-03-31 1992-07-22 Toshiba Kk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frame size of image data in data transmission
JP2745417B2 (ja) * 1989-02-16 1998-04-28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62513B2 (ja) * 1989-11-13 1999-10-12 株式会社リコー グループ3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117067A (ja) * 1990-06-11 1992-04-17 Fujitsu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362854A (ja) * 1991-06-11 1992-12-15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
JPH05219335A (ja) * 1992-02-05 1993-08-27 Konica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50209B2 (ja) * 1995-08-21 1999-09-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13785C2 (de) 2003-11-06
US6160637A (en) 2000-12-12
DE19813785A1 (de) 1998-10-01
KR19980080739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6016B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adaptive hybrid ARQ scheme
US6381038B1 (en) Facsimile machine and facsim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94585B1 (ko) 데이터통신장치및팩시밀리전송제어방법
US6603577B1 (en) Facsimile call success rates in long delay and impaired channel environments without collision detection
US6222645B1 (en) Facsimil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US6411689B1 (en) Facsimile call success rates in long delay environments
EP05413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JP3584519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0161709B1 (ko) 데이타 통신장치
JPH10178494A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370703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とファクシミリの通信制御方法
JP3675661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186609B1 (ko) 팩시밀리에서 최저 통신 속도 지정에 의한 전송 방법
JP3512733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並びに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171379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1129870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257229A (ja) ファクシミリアダプタ装置
JPH0618151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341325A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式
JPH012518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205189A (ja) ファクシミリ通信装置
JPS63276364A (ja) 無線ファクシミリ装置のエラ−制御方式
JPH0613313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56238A (ja) フアクシミリ信号伝送方式
JP2006050068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