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552B1 - 자동차의 차체단부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체단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552B1
KR100294552B1 KR1019980031371A KR19980031371A KR100294552B1 KR 100294552 B1 KR100294552 B1 KR 100294552B1 KR 1019980031371 A KR1019980031371 A KR 1019980031371A KR 19980031371 A KR19980031371 A KR 19980031371A KR 100294552 B1 KR100294552 B1 KR 10029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cross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cross
impac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336A (ko
Inventor
다츠히사 야마네
야스카즈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신구 이이치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구 이이치,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구 이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1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의 길이 방향에서의 차체 단부의 구조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의 양 사이드 프레임의 각 전단부 및/또는 각 후단부에 가설되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데에 적합한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 차체 단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 부재의 각 단부내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벽을 설치하여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의 가상 연장선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양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의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구성 부재에 비드를 형성하고, 중도부의 단면적을 그 각부의 단면적 보다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체단부구조체{AUTOMOBILE BODY END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의 길이 방향에서의 차체 단부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의 양사이드 프레임의 각 전단부 및/또는 각 후단부에 가설되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데에 적합한 크로스 부재를 구비한 차체단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 전단부의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즉, 각각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이 양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에 걸쳐지는 크로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각 단부가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의 단면에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차체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의 단면이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의 차체 전부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다음의 작용이 생긴다.
즉, 자동차가 예를 들어 전진중에 그 전방에 존재하는 어떤 물체에 충돌했을때에는 이 물체로부터 받는 충격력으로,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가 그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어 소성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 부재도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어 소성 변형되고, 이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충격력에 기초하여 충돌 에너지가 흡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충돌 에너지의 흡수에 의해 차체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는 운전실을 포함하는 차내측에, 상기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런데, 충돌시의 충격력이 차내측에 전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도 충격 에너지의 흡수를 보다 확실하게 하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충돌시의 물체가 차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가령 우측부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다고 하면, 좌우 사이드 프레임 중 우측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와, 크로스부재의 우측 단부가 상기 물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충격력을 받는 충돌(이하 이것을, "오프셋 충격"이라고 함)하는 것이 된다. 이 "오프셋 충돌"시에는 그 충격력으로 상기 우측 사이드프레임의 전단부와, 크로스부재의 우측 단부가 소성 변형하여 충격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프셋 충돌" 시에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와, 크로스 부재의 좌측 단부에는 충격력이 충분하게는 전달되지 않는 것이 있고, 이 경우 이것에는 충분한 소성 변형은 얻어지지 않으므로, 그 만큼 충돌 에너지의 흡수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크로스 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오프셋 충돌"시에 차체의 한측부에 주어진 충격력의 일부가 상기 크로스 부재를 통하여 차체의 타단부에도 전달되도록 하여, 이 타측부에도 충분한 소성변형이 얻어지도록 하고 또한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크로스부재의 강성을 단순히 향상시키면 상기 충격력에 대항하는 차체의 강성이 전체적으로 과도하게 향상하여 상기 충격력에 의한 전체적인 소성변형의 양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시에 그 충격력으로 차체의 전단부, 및/또는 후단부가 충분히 소성 변형하여 상기 충격력에 기초하여 충돌 에너지가 충분하게 흡수되도록 하고, 또한 차체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는 차내측에 큰 충격력이 주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충돌이 "오프셋 충돌"인 경우에도, 충돌 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차내측에 큰 충격력이 보다 확실하게 주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차체 전부(前部)의 좌측부의 사시전개도,
도 2는 차체전부의 측면도,
도 3은 차체전부의 정면도,
도 4는 차체전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3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5의 7-7 화살표선 단면도,
도 8은 도 4의 부분 확대도 및
도 9는 도 3의 9-9 화살표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차 2: 차체
9: 차내 20: 사이드 프레임
21,23: 단부 22: 크로스 부재
26: 아우터 패널(판형상 부재) 30: 연결판(판형상 부재)
36: 인너패널(구성부재) 41: 내부 공간
43: 칸막이벽 44,55: 비드(bead)
54: 중도부 F: 충격력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차체 단부 구조체는 다음과같다.
또한, 상기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서, 하기한 ( )내의 용어는 특허청구범위의 용어에 대응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각각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0)과, 상기 차체(2)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이 양 사이드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각 단부(21)에 걸쳐지는 크로스 부재(22)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길이 방향에서의 각 단부(23)를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의 단면에 각각 결합시키며, 상기 차체(2)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단면을 상자형상으로 한 자동차의 차체 단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각 단부(23) 내에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벽(43)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벽(43)을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서의 가상 연장선 상에 위치시킨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더하여 상기 차체(2)의 폭방향으로,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에서의 상기 크로스 부재(22) 중도부(54)의 인너패널(구성부재)(36)에, 비드(55)를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더하여 상기 차체(2)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22) 중도부(54)의 단면적을 상기 각 단부(23)의 단면적 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1"은 자동차이고, 화살표(Fr)는 이 자동차(1)의 전방을 나타내며, 하기하는 좌우는 상기 전방을 향한 차체(2)의 폭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1)의 차체(2)는 이 차체(2)의 길이방향에서의 전후 각부에 걸쳐진 각각 좌우 한쌍의 차바퀴(3)에 의해 주행로면 상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차체(2)는 차체 프레임(6)과, 상기 차체 프레임(6) 상에 기재된 차체 본체(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차체 본체(7)의 전부의 내부 공간이 주행 구동용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룸(8)이 되고, 상기 차체 본체(7)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의 내부 공간이 운전석을 포함하는 차내(9)가 되고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6)은 상기 차체 본체(7)를 지지하는 주 프레임(11), 상기 차 바퀴(3)를 현가하고 엔진을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12)과, 상기 주프레임(11)에 서브 프레임(12)을 지지시키는 지지구(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구(13)는 상기 주 프레임(11) 전부에서의 전단부에 부착된 좌우 한쌍의 판금제 리테이너(14)와, 상기 주프레임(11) 전부에서의 후단부에 부착된 좌우 한쌍의 판금제 레테이너(15)와, 상기 각 레테이너(14,15)에 상기 서브 프레임(12)의 전,후단부를 각각 착탈 가능 자유롭게 지지시키는 체결구(16,1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 프레임(11)은 각각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판금제 사이드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양 사이드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각 단부, 즉 그 각 전단부(21)에 차체(2)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금제의 크로스 부재(22)가 걸쳐져 있다. 상기 크로스부재(22)의 길이 방향에서의 각 단부(23)는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의 전단면에, 상하 한쌍의 체결구(24)와 스폿 용접(도면 중 ×표, 이하 동일)에 의해 각각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은 차체(2)의 폭방향으로 서로 대면하여 결합되어지는 프레스 성형품인 아우터 패널(26)과 인너패널(2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우터 패널(2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너패널(27)은 상하로 떨어져 대면하는 상판(28), 하판(29)과, 이 상판(28), 하판(29)의 차체(2)의 폭방향에서의 각 내측 가장자리를 일체적으로 결합시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판(30)과, 상기 상판(28), 하판(29)의 각 외측 가장자리에 일체 성형되는 바깥 방향 플렌지(31)를 구비하고,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본 단면이 거의 역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패널(26)의 상,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인너패널(27)의 상기 각 플렌지(31)가 서로 접합되어 스폿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차체(2)의 정면, 배면에서 본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면은 상자형상으로 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내부에는 닫혀진 내부 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에서의 상기 아우터 패널(26)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33)가 전후에 복수의 3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 부재(22)는 차체(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면하여 결합되어지는 프레스 성형품인 아우터 패널(35)과 인너패널(3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우터 패널(35)은 상하로 떨어져 대면하는 상판(37), 하판(38)과, 이들 상판(37), 하판(38)의 각 전단 가장자리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연결판(39)과, 상기 상판(37), 하판(38)의 각 전단 가장자리에 일체 성형되는 플렌지(40)를 구비하고, 차체(2)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이 거의 역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너패널(3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패널(35)의 각 플렌지(40)와, 상기 인너패널(36)의 상, 하단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어 스폿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차체(2)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단면은 상자형상으로 되고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내부에는 닫혀진 내부 공간(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의 단부(21)에서는 상기 아우터 패널(26)과, 이너 패널(27)의 연결판(30)의 각 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23) 내에는 각각 차체(2)의 길이 방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판금제 칸막이벽(4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칸막이벽(43)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아우터 패널(35)과 이너패너(36)에 각각 접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폿 용접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칸막이벽(43)은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서의 가상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칸막이벽(43)은 차체(2)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의 상기 판상재, 즉 아우터 패널(26)과 연결판(30)의 거의 가상 연장선 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칸막이벽(43)은 차체(2)의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보아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의 상기 각 판상재와 거의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로 되어 겹쳐져 만나고 있다.
상기 각 칸막이벽(43)은 이에 대한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으로 소성 변형 가능해져 있다. 상기 각 칸막이벽(43)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44)가 형성되고, 이 비드(44)에 의해 각 칸막이벽(43)의 강성이 높아지는 한편, 상기한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으로 상기 소성 변형이 보다 원활하게 얻어지게 된다.
상기 주프레임(11)은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각 단부(21)에 가설되는 판금제의 라지에터 서포트(4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라지에터 서포트(46)는 좌우 한쌍의 서포트 본체(47)를 구비하고, 상기 각 서포트 본체(47)는 상기 라지에터 서포트(46)의 하단부(48)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각 서포트 본체(47)의 하단부는 이에 대응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에 스폿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서프트 본체(47)의 각 상단부에는 크로스 부재(50)가 가설되어 상기 양 서프트 본체(47)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라지에터 서포트(46)의 상단부(49)를 구성하는 상기 크로스 부재(50)에는 도시하지 않는 라지에터의 상부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지에터 서포트(46)의 상단부(49)를 구성하는 상기 각 서포트 본체(47)의 상단부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는 헤드 램프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램프를 끼워 넣어 전방으로의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헤드 램프 부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본체(47)에는 상기 차체 본체(7)의 일부인 펜다에프론(53)이 지지되고, 상기 펜다에프론(53)은 상기 엔진룸(8)의 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1)와 어떤 물제가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충돌했을 때는 상기 물체로부터 받는 충격력(F)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가 소성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 부재(22)도 소성 변형되고 상기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충격력(F)에 기초하여 충돌 에너지가 흡수되고, 상기 충격력(F)이 차체(2)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는 차 내(9)측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의 경우, 크로스 부재(22)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0)에 충격력(F)이 전달될 때, 상기 충격력(F)을 지탱하도록 하여 상기 판상재(아우터 패널(26), 연결판(30))에 발생하는 반력은 상기 판형상재(26,30)가 연정되어 있는 길이 방향이고, 상기 충격력(F)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판상재(26,30)의 거의 가상연장선 상에 위치된 상기 각 칸막이벽(43)에는 상기 충격력(F)과, 그 반력에 의해 큰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벽(43)은 충분히 소성 변형되고, 충돌 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칸막이벽(43)은 크로스 부재(22)의 내부 공간(4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충돌 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칸막이벽(43)을 설치해도, 차체(2)의 외형에는 거의 변화가 없고, 따라서 차체(2)의 미관이 양호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내부의 잉여 공간이 이용되므로 상기 크로스 부재(22)에 대한 다른 차체 구성 부품이 관련되는 구성에 대해서, 지장이나 크기 상의 변경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하여, 차체(2)의 성형상 유익하다.
도 1,6,8,9에 있어서, 차체(2)의 폭 방향으로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0) 사이에서의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중도부(54)의 구성 부재에는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비드(55)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중도부(54)에서의 인너패널(36)의 상하 방향의 중도부에 상기 비드(55)가 형성되고 상기 비드(55)에 의해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내부 공간(41)은 상하로 간막이되며, 2개의 상자형상의 단면이 겹쳐 쌓여, 또한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중도부(54)의 강성이 충분히 높아져 있다.
따라서, 특히 상기 "오프셋 충돌"시에 차체(2)의 폭방향에서의 상기 차체(2)의 한 측부에 주어진 충격력(F)의 일부는 상기와 같이 강성이 높아진 크로스 부재(22)를 통하여 차체(2)의 타측부에, 보다 확실하게 전달되고 이에 의해 상기 타측부에서도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나 크로스 부재(22)의 단부(23)가 충분히 소성 변형하게 되어 충돌 에너지의 흡수가 충분해진다.
또한, 이상은 도시한 예에 따르지만, 상기 구성을 사이드 프레임(20)의 각 후단부에 가설된 크로스 부재에 적용해도 좋다.
특히 도 1에 있어서, 상기 차체(2)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22)의중도부(54)의 단면적은 상기 각 단부(23)의 단면적 보다도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크로스 부재(22)의 중도부(54)의 강성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이 방지되고 즉 상기 충격력(F)에 대항하는 차체(2)의 강성이 전체적으로 과도하게 향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오프셋 충돌"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차(1)의 충돌시에는 각 사이드 프레임(20)의 단부(21)와 크로스 부재(22)의 각 단부(23)가 각각 충분히 소성 변형하여 충돌 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된다.
또한, 이상은 도시한 예에 따르지만, 상기 구성을 양 사이드 프레임(20)의 각 후단부에 가설된 크로스 부재에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각각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이 양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각 단부에 걸쳐지는 크로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각 단부를 상기 양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의 단면에 각각 결합시키며, 상기 차체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의 단면을 상자 형상으로 한 자동차의 차체 단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의 각 단부내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벽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벽을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의 가상 연장선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와 어떤 물제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충돌했을 때에는 상기 물체로부터 받는 충격력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가 소성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 부재도 소성 변형되고 상기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충격력에 기초하여 충돌 에너지가 흡수되어, 상기 충격력이 길이 방향의 중도부에 위치하는 차내측에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의 경우, 크로스 부재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에 충격력이 전달될 때, 이 충격력을 지탱하도록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발생하는 반력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연장되어 있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충격력에 대항하는 방향을 향하게 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의 가상 연장선 상에 위치된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충격력과, 그 반력에 의해 큰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벽은 충분히 소성 변형되고 충돌 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은 크로스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충돌 에너지 흡수를 위해 칸막이벽을 설치해도 차체의 외형에 거의 변화는 없고, 따라서 차체의 미관이 양호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 부재의 내부의 잉여 공간이 이용되어, 상기 크로스 부재에 대한 다른 차체 구성부품이 관련하는 구성에 대해서 지장이나 크기 상의 변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체의 성형상 유익하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차체의 폭 방향에서,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의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구성부재에, 비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비드에 의해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특히 "오프셋 충돌"시에 차체의 폭 방향으로 한측부에 주어진 충격력의 일부는, 상기와 같이 강성이 높아진 크로스 부재를 통하여 차체의 타측부에 보다 확실하게 전달되고, 이에 의해 이 타측부에서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나 크로스 부재의 단부가 충분히 소성 변형되어 충돌 에너지의 흡수가 충분히 이루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차체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단면적을 상기 각 단부의 단면적 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강성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이 방지되고 즉, 상기 충격력에 대항하는 차체의 강성이 전체적으로 과도하게 향상되는 것은 방지된다.
따라서, "오프셋 충돌"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차의 충돌시에는 각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와, 크로스 부재의 각 단부는 각각 충분히 소성 변형하여 충돌 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단면적을 작게 할수록 이 크로스 부재가 가벼워지고, 즉 충돌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면서 차체를 가볍게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각각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양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각 단부에 걸쳐지는 크로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 각 단부를 상기 양사이드 프레임 단부의 단면에 각각 결합시키며, 상기 차체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의 단면을 상자형상으로 한 자동차의 차체 단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의 각 단부 내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벽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벽을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 가상 연장선 상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단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양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구성부재에 비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단부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측면에서 보아,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도부의 단면적을 각 단부의 단면적 보다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단부 구조체.
KR1019980031371A 1997-07-28 1998-07-28 자동차의 차체단부 구조체 KR100294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09597A JP3315898B2 (ja) 1997-07-28 1997-07-28 自動車の車体端部構造
JP9-218095 199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36A KR19990014336A (ko) 1999-02-25
KR100294552B1 true KR100294552B1 (ko) 2001-07-20

Family

ID=1671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371A KR100294552B1 (ko) 1997-07-28 1998-07-28 자동차의 차체단부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15898B2 (ko)
KR (1) KR100294552B1 (ko)
DE (1) DE1983160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9437B4 (de) * 2002-03-05 2007-10-31 Thyssenkrupp Drauz Nothelfer Gmbh Verfahren zur Anpassung der Länge der Enden der Längsträger von Kraftfahrzeugkarosserien
DE10359408A1 (de) * 2003-12-18 2005-07-14 Volkswagen Ag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KR100787670B1 (ko) * 2006-12-07 2007-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유아시트 장착에 따른 에어백 미전개 장치
JP5557285B2 (ja) * 2010-09-25 2014-07-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8075A (ja) * 1991-04-26 1992-11-17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0927C2 (de) * 1976-05-12 1985-06-2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Längsträger für einen Kraftfahrzeugrahmen
US4431221A (en) * 1982-02-26 1984-02-14 The Budd Company Bumper beam for an automobile
JPS58152673A (ja) * 1982-03-08 1983-09-1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8075A (ja) * 1991-04-26 1992-11-17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15898B2 (ja) 2002-08-19
DE19831608A1 (de) 1999-02-04
KR19990014336A (ko) 1999-02-25
JPH1143072A (ja) 1999-02-16
DE19831608B4 (de)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688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1163882B1 (ko) 자동차의 차체 구조
CA2439821C (en) Hybrid space frame for motor vehicule
JP438420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4950031A (en) Automobile rear underbody structure
JP2002120766A (ja) 車両のサイドシル構造
CN211076063U (zh) 车辆及下边梁横梁
WO2014097513A1 (ja) 車体構造
JP2021041817A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9029202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294552B1 (ko) 자동차의 차체단부 구조체
JP2013203111A (ja) 車体構造
EP1177968B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for car body front of automobile
KR100929528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 어셈블리
JP3321065B2 (ja)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補強構造
JP3307857B2 (ja) 自動車の車体前端部構造
JP4012131B2 (ja) 車体の後部構造
JP472829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280940B1 (ko) 자동차의 차체 하부 보강구조
JPH11348813A (ja) 自動車のサイドフレーム補強構造
JP2020045071A (ja) 車体構造
JPH11180351A (ja) キャブオーバ型トラックのキャブ構造
JP2997332B2 (ja) 自動車の車体組立方法
JP2020111068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4049298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における衝撃力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