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757B1 - 광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757B1
KR100293757B1 KR1019970003344A KR19970003344A KR100293757B1 KR 100293757 B1 KR100293757 B1 KR 100293757B1 KR 1019970003344 A KR1019970003344 A KR 1019970003344A KR 19970003344 A KR19970003344 A KR 19970003344A KR 100293757 B1 KR100293757 B1 KR 10029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ser light
optical disc
light amoun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089A (ko
Inventor
아키히코 도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7006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01S5/4087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emitting more than one waveleng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광디스크를 취급함에 있어서, 취급할 수 있는 광디스크 중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부터 순서대로 광량을 크게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광디스크에 대한 광량 설정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최초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에 의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으로부터 1 단계 위의 광량 설정을 행하고, 이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에 의해, CD-R, DVD-R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으로부터 2 단계 위의 광량 설정을 행하며, 이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에 의해 DVD-RAM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장치{OPTICAL DISK DEVICE}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광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이들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하는 기록, 재생용의 광디스크 장치, 또는 여러 가지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학 헤드에 탑재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에 의해, 기록 트랙을 갖는 광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또는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 장치에서는 단지 2 종류의 광디스크를 취급할 정도이며, 그 광디스크의 종류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는 카트리지의 유무나 카트리지에 부속되어 있는 ID 홀 등의 다른 센서에 의해 판정하고 있다.
취급하는 광디스크의 종류가 많은 경우, 종래의 방법으로는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정할 수 없었으며, 또한 ID 홀용 센서를 증가시킴으로써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래 카트리지에 들어가 있는 광디스크를 떼어내게 되는 사태가 되어도 판정이 잘못되어 버린다. 만일 잘못된 경우, 각각의 광디스크에 의한 가장 적합한광출력에 대하여 현저히 큰 출력을 광디스크에 조사할 우려가 있으며, 그로 인해 특히 기록용 광디스크의 경우는 정보 데이타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한 센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장착된 여러 가지 광디스크에 대하여 적정치 이상의 광량이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광디스크상의 데이타를 파괴할 우려를 없앨 수 있는 광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제어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의 광량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레이저 제어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의 광량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디스크
3 : 모터
4 : 모터 제어 회로
5 : 광학 헤드
6 : 선형 모터
7 : 구동 코일
8 : 선형 모터 제어 회로
13 : 레이저 제어 회로
19 :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고, 또는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복수 단계의 상이한 광량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광 발생 수단과, 이 레이저광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에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반사 광량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에 의해 광량의 가장 작은 레이저광부터 순서대로 발생시키고, 각 광량마다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반사 광량이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이 판단 수단에 의해 반사 광량이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정보 기록 장치로서의 광디스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광디스크장치는 광디스크(1)에 대하여 집속광을 이용하여 데이타(정보)의 기록, 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의 재생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광디스크(1)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장전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광디스크(1)로서는 재생 전용의 CD(컴팩트 디스크), 데이타 기록용 CD-R0M, 한번만 기록할 수 있는 CD-R, 재생 전용의 DVD(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디지탈 바사타이트 디스크)-ROM, 기록과 재생을 반복 행할 수 있는 DVD-RAM, 한번만 기록할 수 있는 DVD-R이 장전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CD, CD-ROM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광이 광량(0.3mW)에서 파장(780nm)으로 되고, DVD-R0M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광이 광량(0.5mW)에서 파장(680nm)으로 되며, CD-R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광이 광량(0.5mW)에서 파장(780nm)으로 되고, DVD-RAM, DVD-R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광이 광량(1.0mW)에서 파장(680nm)으로 되어 있다.
광디스크(1)의 표면에는 나선형 또는 동심 원형에 그루브와 랜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1)는 개구 간격에 의한 것이더라도, 상변화를 이용하고 있는 기록층이나 다상 기록막의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를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의 경우, 광학 헤드 등의 구성도 각각 적당히 변경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광디스크상에서 신호를 기록하고 있는 곳을 트랙이라고 칭하며, 트랙은 그루브및 랜드, 또는 그루브만으로, 랜드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1)는 모터(3)에 의해서 예컨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 모터(3)는 모터 제어 회로(4)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상기 광디스크(1)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광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재생은 광학 헤드(5)에 의해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광학 헤드(5)는 선형 모터(6)의 가동부를 구성하는 구동 코일(7)에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 코일(7)은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는 속도 검출기(9)가 접속되어 있으며, 광학 헤드(5)의 속도 신호를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형 모터(6)의 고정부에는 도시 생략한 영구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코일(7)이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의해서 여자됨으로써, 광학 헤드(5)는 광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광학 헤드(5)에는 대물 렌즈(10)가 도시 생략한 와이어 또는 판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이 대물렌즈(10)는 구동 코일(11)에 의해서 포커싱 방향(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구동 코일(12)에 의해서 트래킹 방향(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 제어 회로(13)에 의해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가 구동되고, 후술하는 CPU(30)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따라 여러 가지 광디스크(1)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레이저 제어 회로(13)는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모니터용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의 모니터 전류에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에 의한 레이저광의 광량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레이저 제어 회로(13)는 도시 생략한 PLL 회로로부터의 기록용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PLL 회로는 발진기(도시 생략)로부터의 기본 클록 신호를 광디스크(1)상의 기록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분주하여 기록용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레이저 제어 회로(13)의 레이저 구동 회로(45)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 발생된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 렌즈(20), 하프 프리즘(21), 대물 렌즈(10)를 통해 광디스크(1)상에 조사되고, 이 광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은, 대물 렌즈(10), 하프 프리즘(21), 집광 렌즈(22) 및 원통형 렌즈(23)를 통해 광검출기(24)로 유도된다.
상기 광검출기(24)는 4 분할의 광검출 셀(24a, 24b, 24c, 24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검출기(24)의 광검출 셀(24a)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a)를 통해 가산기(26a)의 일단에 공급되고, 광검출 셀(24b)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b)를 통해 가산기(26b)의 일단에 공급되며, 광검출 셀(24c)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c)를 통해 가산기(26a)의 타단에 공급되고, 광검출 셀(24d)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d)를 통해 가산기(26b)의 타단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광검출기(24)의 광검출 셀(24a)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a)를 통해 가산기(26c)의 일단에 공급되고, 광검출 셀(24b)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b)를 통해 가산기(26d)의 일단에 공급되며, 광검출 셀(24c)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c)를 통해 가산기(26d)의 타단에 공급되고, 광검출 셀(24d)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d)를 통해 가산기(26c)의 타단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산기(26a)의 출력 신호는 차동 증폭기(OP2)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고, 이 차동 증폭기(OP2)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가산기(26b)의 출력 신호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차동 증폭기(OP2)는 상기 가산기(26a, 26b)의 차에 따라서 포커스에 관한 신호(포커스 오차 신호)를 포커싱 제어 회로(27)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 포커싱 제어 회로(27)의 출력 신호는 포커싱 구동 코일(11)에 공급되어 레이저광이 광디스크(1)상에서 항상 꼭 맞는 포커스가 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가산기(26c)의 출력 신호는 차동 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고, 이 차동 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상기 가산기(26d)의 출력 신호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차동 증폭기(OP1)는 상기 가산기(26c, 26d)의 차에 따라서 트래킹 오차 신호를 트래킹 제어 회로(28)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 트래킹 제어 회로(28)는 차동 증폭기(OP1)로부터 공급되는 트래킹 오차 신호에 따라서 트랙 구동 신호를 작성하는 것이다.
상기 트래킹 제어 회로(28)로부터 출력되는 트랙 구동 신호는 상기 트래킹 방향의 구동 코일(12)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트래킹 제어 회로(28)로 이용된 트래킹 오차 신호는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커싱, 트래킹을 행한 상태에서의 광검출기(24)의 각 광검출 셀(24a∼24d)의 출력의 합신호, 즉 가산기(26c, 26d)에서의 출력 신호를 가산기(26e)에서 가산한 신호는 트랙상에 형성된 피트(기록 정보)로부터의 반사율의 변화가 반영되어 있다. 이 신호는 데이타 재생 회로(18)에 공급되어 이 데이타 재생 회로(18)에서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가 재생된다.
이 데이타 재생 회로(18)에서 재생된 재생 데이타는 버스(29)를 통해 에러 정정 회로(33)에 출력된다. 에러 정정 회로(33)는 재생 데이타내의 에러 정정 코드(ECC)에 의해 에러를 정정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35)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데이타에 에러 정정 코드(ECC)를 부여하여 메모리(2)에 출력한다.
이 에러 정정 회로(33)에서 에러 정정된 재생 데이타는 버스(29) 및 인터페이스 회로(35)를 통해 외부 장치로서의 광디스크 제어 장치(36)에 출력된다. 광디스크 제어 장치(36)로부터는 기록 데이타가 인터페이스 회로(35) 및 버스(29)를 통해 에러 정정 회로(33)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트래킹 제어 회로(28)에서 대물 렌즈(10)가 이동되고 있을 때, 선형 모터 제어 회로(8)는 대물 렌즈(10)가 광학 헤드(5)내의 중심 위치 근처에 위치하도록 선형 모터(6), 즉, 광학 헤드(5)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광디스크 장치에는 각각 포커싱 제어 회로(27), 트래킹 제어 회로(28),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와 광디스크 장치의 전체를 제어하는 CPU(30)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신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D/A 변환기(31), A/D 변환기(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 제어 회로(4), 선형 모터 제어 회로(8), 레이저 제어 회로(13), 데이타 재생 회로(18), 포커싱 제어 회로(27), 트래킹 제어 회로(28), 에러 정정 회로(33) 등은 버스(29)를 통해 CPU(30)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이CPU(30)는 메모리(2)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소정의 동작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1)가 이 광디스크 장치에 장전되어 최내주부의 반사 광량을 판독할 때, 광검출기(24)의 각 광검출 셀(24a∼24d)의 출력의 합신호, 즉 가산기(26e)의 가산 신호가 A/D 변환기(32) 및 버스(29)를 통해 CPU(3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 제어 회로(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량 제어 회로(41), 모니터 광검출 회로(42),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 변조 회로(44) 및 레이저 구동 회로(45)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량 제어 회로(41)는 CPU(30)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 레이저광을 여러 가지 발광량으로 설정하는 회로이다.
모니터 광검출 회로(42)는 모니터용의 포토 다이오드(PD)에서의 모니터 전류의 전류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는 발광량 제어 회로(41)에 의해 설정되는 발광량에 따른 전압치를 레이저 구동 회로(45)에 인가하는 동시에, 모니터 광검출 회로(42)로부터의 검출 전류치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에 인가하는 전압치를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는 발광량 제어 회로(41)로부터의 설정내용에 따라서, 최소 광량(0.3mW)에서 최고 파장(780nm), 최소 광량보다 1 단계 위의 광량(0.5mW)에서 최고 파장보다도 낮은 파장(650nm), 최소 광량보다 1 단계 위의광량(0.5mW)에서 최고 파장(780nm), 또는 최소 광량보다 2 단계 위의 광량(1.0mW)에서 최고 파장보다도 낮은 파장(650nm)에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의 레이저광의 발광을 설정하고,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변조 회로(44)는 에러 정정 회로(33)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데이타를 기록에 알맞은 신호, 즉 2-7 변조 데이타로 변조하는 것이다.
레이저 구동 회로(45)는 재생시,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치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로 광학 헤드(5)내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하는 것이고, 데이타의 기록시,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치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로 광학 헤드(5)내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변조 회로(14)에 의해 변조된 2-7 변조 데이타에 따라서 기록용의 구동 전류로 광학 헤드(5)내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하는 것이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광디스크(1)의 장전시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광량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광디스크(1)가 장전되었을 때(ST1), CPU(30)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의해 발광량 제어 회로(41)는 최소 광량의 발광으로 설정되고, 그 설정 내용이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는 발광량 제어 회로(41)로부터의 설정 내용에 따라서, 최소 광량(0.3mW)에서 최고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고,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2).
이 상태에서, CPU(30)는 광학 헤드(5)를 이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1)의 최내주에 광학 헤드(5)로부터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태로 설정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함으로써 포커스 인입을 행하며, 포커스가 있었던 상태에서, 가산기(26e)로부터 A/D 변환기(32)를 통해 공급되는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3, ST4).
이 때, 광디스크(1)가 CD, CD-ROM, DVD-ROM인 경우 반사율은 90∼100%이고, 광디스크(1)가 DVD-R, CD-R인 경우 반사율은 70%이며, 광디스크(1)가 DVD-RAM인 경우 반사율은 30%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PU(30)에 의해,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이 완료된다(ST5).
이 후, 상기 광량(0.3mW), 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의 레이저광의 발광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장전된 광디스크(1)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해진다(ST6). 이것에 의해, CPU(30)는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하여졌을 때(ST7), CD 또는 CD-ROM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CD 또는 CD-ROM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8).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해졌는지의 여부는 광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의 판독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ID나 프리헤더 등의 판독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T7에서,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았을 때, CPU(30)는 DVD-ROM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고, 발광량 제어 회로(41)의 설정을 전환하며,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의해 광량(0.5mW)에서 파장(65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고,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9). 이것에 의해, CPU(30)에 의해 DVD-ROM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10).
상기 단계 4에서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았을 때, CPU(30)는 발광량 제어 회로(41)의 설정을 전환하고,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의해 최소 광량보다 1 단계 위의 광량(0.5mW)에서 최고 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며,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11).
이 상태에서, CPU(30)는 광학 헤드(5)를 이동함으로써 광디스크(1)의 최내주에 광학 헤드(5)로부터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태로 설정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함으로써 포커스 인입을 행하며, 포커스가 있던 상태에서, 가산기(26e)로부터 A/D 변환기(32)를 통해 공급되는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CD-R, DVD-R의 광디스크(1)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12, ST13).
CPU(30)에 의해,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CD-R, DVD-R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이 완료된다(ST14).
이 후, 상기 광량(0.5mW), 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의 레이저광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장전된 광디스크(1)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15). 이것에 의해, CPU(30)는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하여졌을 때(ST16), CD-R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CD-R에 대한 1 회째만의 기록 처리, 또는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17).
상기 단계 ST16에서,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았을 때, CPU(30)는 DVD-R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고, 발광량 제어 회로(41)의 설정을 전환하며, 오차신호 발생 회로(43)에 의해 광량(1.0mW)에서 파장(650nm)에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며,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18). 이것에 의해, CPU(30)에 의해 DVD-R에 대한 1 회째만의 기록 처리 또는 재생 처리가 행해진다(ST19).
상기 단계 ST13에서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CD-R, DVD-R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았을 때, CPU(30)는 발광량 제어 회로(41)의 설정을 전환하고,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의해 최소 광량보다 2 단계 위의 광량(1mW)에서 최고 파장보다 짧은 파장(65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고,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20).
이 상태에서, CPU(30)는 광학 헤드(5)를 이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1)의 최내주에 광학 헤드(5)로부터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태로 설정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함으로써 포커스 인입을 행하며, 포커스가 있었던 상태에서, 가산기(26e)로부터 A/D 변환기(32)를 통해 공급되는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DVD-RA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21, ST22).
CPU(30)에 의해,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DVD-RA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이 완료된다(ST23).
이 후, 장전된 DVD-RAM의 광디스크(1)에 대한 기록 처리 또는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24).
상기 단계 ST22에서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이 DVD-RA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았을 때, CPU(30)는 에러 처리되어 광디스크(1)를 장치로부터 배출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광디스크를 취급함에 있어서, 취급할 수 있는 광디스크 중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부터 순서대로 광량을 크게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이러한 여러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한 광량 설정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최초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에 의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으로부터 1 단계 위의 광량 설정을 행하고, 이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에 의해 CD-R, DVD-R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으로부터 2 단계 위의 광량 설정을 행하며, 이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에 의해 DVD-RAM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특별한 센서를 이용하지 않아도, 장착된 광디스크에 대하여 적정치 이상의 광량을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광디스크상의 데이타(정보)를 파괴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DVD의 광디스크와 CD의 광디스크를 체크할 때에, 파장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파장 의존성도 고려되고 있다.
또한, 상기예에서는 반사 광량에 의해 광디스크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조사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광디스크로부터 실제로 데이타를 판독, 데이타가 판독되는지 여부로 광디스크가 적정한지 여부를 조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데이타 재생 회로(18)에 의해 재생된 데이타로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예에서는 광학 헤드에 의한 레이저광이 광디스크에 대하여 포커스 인입이 행해진 후에, 그 레이저광의 광디스크에 대한 반사 광량에 의해 광디스크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조사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광학 헤드에 의한 레이저광이 광디스크에 대하여 포커스 인입이 행해지기 전에,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 광량의 진폭의 폭(반사율에 비례함)에 의해 광디스크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조사하도록 하여도 좋다. 포커스를 곱하지 않고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설정을 하더라도 광디스크의 데이타를 파손시킬 우려가 없다.
이 경우의 광디스크(1)의 장전시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광량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광디스크(1)가 장전되었을 때(ST31), CPU(30)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의해 발광량 제어 회로(41)는 최소 광량의 발광으로 설정되고, 그 설정 내용이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는 발광량 제어 회로(41)로부터의 설정 내용에 따라 최소 광량(0.3mW)에서 최고 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고,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32).
이 상태에서, CPU(30)는 광학 헤드(5)를 이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1)의 최내주에 광학 헤드(5)로부터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태로 설정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시키고, 포커스가 벗어난 상태에서 대물 렌즈(10)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가산기(26e)에서 A/D 변환기(32)를 통해 공급되는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으로 반사 광량의 진폭을 체크하고, 그 진폭의 폭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33, ST34).
이 때, 광디스크(1)가 CD, CD-ROM, DVD-ROM인 경우, 반사율은 90∼100%이고그 진폭은 크게 변화하는 것이며, 광디스크(1)가 DVD-R, CD-R인 경우, 반사율은 70%이고 그 진폭은 CD, CD-ROM, DVD-ROM의 경우보다는 작게 변화하는 것이며, 광디스크(1)가 DVD-RAM인 경우 반사율은 30%이고 그 진폭은 DVD-R, CD-R의 경우보다도 더 작게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PU(30)에 의해, 반사 광량의 진폭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이 완료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함으로써 포커스 인입을 행한다(ST35).
이 후, 상기 광량(0.3mW), 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의 레이저광의 발광이 이루어지진 상태에서, 장전된 광디스크(1)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36). 이것에 의해, CPU(30)는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하여졌을 때(ST37), CD 또는 CD-ROM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CD 또는 CD-ROM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38).
상기 단계 ST37에서,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았을 때, CPU(30)는 DVD-ROM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고, 광량(0.5mW)에서 파장(65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며,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39). 이것에 의해, CPU(30)에 의해 DVD-ROM 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40).
상기 단계 ST34에서 반사 광량의 진폭이 CD, CD-R0M, DVD-RO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았을 때, CPU(30)는 발광량 제어 회로(41)의설정을 전환하고,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의해 최소 광량보다 1 단계 위의 광량(0.5mW)에서 최고 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며,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41).
이 상태에서, CPU(30)는 광학 헤드(5)를 이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1)의 최내주에 광학 헤드(5)로부터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태로 설정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하며, 포커스가 벗어난 상태에서 대물 렌즈(10)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가산기(26e)에서 A/D 변환기(32)를 통해 공급되는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으로 반사 광량의 진폭을 체크하고, 그 진폭의 폭이 CD-R, DVD-R의 광디스크(1)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42, ST43).
CPU(30)에 의해, 반사 광량의 진폭이 CD-R, DVD-R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이 완료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함으로써 포커스 인입을 행한다(ST44).
이 후, 상기 광량(0.5mW), 파장(78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의 레이저광의 발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장전된 광디스크(1)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45). 이것에 의해, CPU(30)는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하여졌을 때(ST46), CD-R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CD-R에 대한 1 회째만의 기록 처리 또는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47).
상기 단계 ST46에서,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하여지지 않았을 때, CPU(30)는 DVD-R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여 발광량 제어 회로(41)의 설정을 전환하고,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의해 광량(1.0mW)에서 파장(65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며,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48). 이것에 의해, CPU(30)에 의해 DVD-R에 대한 1 회째만의 기록 처리 또는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49).
상기 단계 ST43에서 반사 광량의 진폭이 CD-R, DVD-R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았을 때, CPU(30)는 발광량 제어 회로(41)의 설정을 전환하고,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에 의해 최소 광량보다 2 단계 위의 광량(1mW)에서 최고 파장보다 짧은 파장(65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을 설정하며, 이 설정에 따라서 레이저 구동 회로(45)를 제어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ST50).
이 상태에서, CPU(30)는 광학 헤드(5)를 이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1)의 최내주에 광학 헤드(5)로부터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태로 설정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하며, 포커스가 벗어난 상태에서 대물렌즈(10)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가산기(26e)에서 A/D 변환기(32)를 통해 공급되는 반사 광량에 대응하는 디지탈 값으로 반사 광량의 진폭을 체크하고, 그 진폭의 폭이 DVD-RA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51, ST52).
CPU(30)에 의해, 반사 광량의 진폭이 DVD-RA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이 완료되고, 포커싱 제어 회로(27)를 제어하여 구동 코일(11)을 여자함으로써 포커스 인입을 행한다(ST53).
이 후, 장전된 DVD-RAM의 광디스크(1)에 대한 기록 처리 또는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54).
상기 단계 ST52에서 반사 광량의 진폭이 DVD-RAM의 광디스크(1)에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았을 때, CPU(30)는 에러 처리 되어 광디스크(1)를 장치로부터 배출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광디스크를 취급함에 있어서, 취급할 수 있는 광디스크 중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부터 순서대로 광량을 크게 하여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이러한 여러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한 광량 설정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최초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의 진폭에 의해 CD, CD-ROM, DVD-ROM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으로부터 1 단계 위의 광량 설정을 행하고, 이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의 진폭에 의해 CD-R, DVD-R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광량 설정이 낮은 것으로부터 2 단계 위의 광량 설정을 행하며, 이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광을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디스크의 반사 광량의 진폭에 의해 DVD-RAM의 광디스크에 적정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특별한 센서를 이용하지 않아도, 장착된 광디스크에 대하여 적정치 이상의 광량을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광디스크상의 데이타(정보)를 파괴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DVD의 광디스크와 CD의 광디스크를 체크할 때에, 파장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파장 의존성도 고려되고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반사 광량에 의해 광디스크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조사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광디스크로부터 실제로 데이타를 판독하여 데이타를 판독할 수 있는지의 여부로 광디스크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조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데이타 재생 회로(18)에 의해 재생된 데이타로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광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또는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 장치의 경우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하는 광학 헤드(5)는 재생 전용이고, 광학 헤드(5)내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는 재생용의 레이저광만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 제어 회로(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하는 레이저 제어 회로(13)로부터 변조 회로(44)를 제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제어 회로(13)내의 레이저 구동 회로(45)는 재생 전용이고, 발광 오차 신호 발생 회로(43)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치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로 광학 헤드(5)내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에러 정정 회로(32)는 재생 데이타내의 에러 정정 코드(ECC)에 의해 에러를 정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광학 헤드(5)에 의한 레이저광이 광디스크(1)에 대하여 포커스 인입이 행해진 후에, 그 레이저광의 광디스크(1)에 대한 반사 광량에 의해 광디스크(1)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조사함으로써, 광디스크(1)의 장전시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광량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술한 도 3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부분만 단계 번호를 변경하여 설명한다.
즉, 단계 ST16에서, 재생처 리가 정확하게 행하여졌을 때에, CD-R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CD-R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61). 또한, 단계 ST18에서, 광량(1.0mW)에서 파장(65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이 설정되었을 때에, DVD-R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62). 또한, 단계 ST23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이 완료되었을 때에, 장전된 DVD-RAM의 광디스크(1)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63).
또한, 광학 헤드(5)에 의한 레이저광이 광디스크(1)에 대하여 포커스 인입이 행해지기 전에, 그 레이저광의 광디스크(1)에 대한 반사 광량의 진폭의 폭(반사율에 비례함)에 의해 광디스크(1)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조사함으로써, 광디스크(1)의 장전시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광량 제어 처리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하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술한 도 4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부분만 단계 번호를 변경하여 설명한다.
즉, 단계 ST46에서, 재생 처리가 정확하게 행해졌을 때에, CD-R이 장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CD-R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71). 또한, 단계 ST48에서 광량(1.0mW)에서 파장(650nm)으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이 설정되었을 때에, DVD-R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72). 또한, 단계 ST53에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의 발광 설정 완료가 되었을 때에, 장전된 DVD-RAM의 광디스크(1)에 대한 재생 처리가 행하여진다(ST73).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별한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장착된 광디스크에 대하여 적정치 이상의 광량이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광디스크상의 데이타를 파괴할 우려를 없앨 수 있는 광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광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제1 광량의 레이저광 또는 이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레이저광 발생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반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대응되는 출력을 제공하는 광전 변환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1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광전 변환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1 실행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제2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광전 변환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수단과,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상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2 실행 수단
    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장치.
  2.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제1 광량의 레이저광 또는 이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레이저광 발생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반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대응되는 출력을 제공하는 광전 변환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1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광전 변환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1 실행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2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광전 변환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수단과,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상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2 실행 수단
    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장치.
  3.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 상기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 또는 상기 제2 광량보다 큰 제3 광량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레이저광 발생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광량 중 어느하나의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반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대응되는 출력을 제공하는 광전 변환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1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광전 변환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1 실행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2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광전 변환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수단과,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상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2 실행 수단과,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상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2 광량보다 큰 제3 광량 및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3 처리 수단과,
    상기 제3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광전 변환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3 광량 및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 수단과,
    상기 제3 판단 수단이 상기 제3 광량 및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3 광량 및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3 실행 수단
    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장치.
  4.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 상기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 또는 상기 제2 광량보다 큰 제3 광량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레이저광 발생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광량 중 어느 하나의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집광하는 집광 수단과,
    상기 집광 수단을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로부터발생된 제1 내지 제3 광량 중 어느 하나의 레이저광을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여 얻어지는 반사 광량의 진폭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을 때,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1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사 광량의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1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1 실행 수단과,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제1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1 광량보다 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2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반사 광량의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수단과,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상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2 광량 및 제1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2 실행 수단과,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상기 제2 광량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레이저광 발생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2 광량보다 큰 제3 광량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제3 처리 수단과,
    상기 제3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반사 광량의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제3 광량 및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의 장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 수단과,
    상기 제3 판단 수단이 상기 제3 광량 및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광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제3 광량 및 제2 주파수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행하는 제3 실행 수단
    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장치.
KR1019970003344A 1996-02-07 1997-02-04 광디스크장치 KR100293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129396A JP3691894B2 (ja) 1996-02-07 1996-02-07 光ディスク装置
JP96-021293 1996-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89A KR970063089A (ko) 1997-09-12
KR100293757B1 true KR100293757B1 (ko) 2001-07-12

Family

ID=1205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344A KR100293757B1 (ko) 1996-02-07 1997-02-04 광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01125A (ko)
EP (1) EP0789354B1 (ko)
JP (1) JP3691894B2 (ko)
KR (1) KR100293757B1 (ko)
DE (1) DE69737540T2 (ko)
TW (1) TW3936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39B1 (ko) 2009-11-09 2010-11-26 최정임 언어 학습장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5055B2 (ja) * 1997-04-07 2004-08-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リピット検出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KR100272493B1 (ko) * 1997-08-30 2000-11-15 윤종용 디지탈비디오디스크및컴팩트디스크공용데이타프로세서장치
JPH11120683A (ja) * 1997-10-15 1999-04-30 Mitsum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KR100268486B1 (ko) * 1997-11-01 2000-10-16 윤종용 광디스크기록및재생방법과그장치
JP3890737B2 (ja) * 1998-04-14 2007-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映像信号または音声信号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GB9906762D0 (en) 1999-03-25 1999-05-19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disc player
JP2000353332A (ja) 1999-04-19 2000-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光出力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採用した互換型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1351252A (ja) * 2000-06-07 2001-12-21 Sony Corp ディスクの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の再生方法
KR20030075794A (ko) * 2002-03-20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서보동작 제어방법
JP2005056543A (ja) 2003-07-23 2005-03-03 Ricoh Co Ltd 2層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7157193A (ja) * 2005-12-01 2007-06-21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7609599B2 (en) * 2006-02-17 2009-10-27 Mediatek Inc. Method of identifying a type of an optical disc and the device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6446A1 (en) * 1992-02-21 1993-08-2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pickup control system of an optical disc play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939A (ja) * 1984-12-12 1986-06-27 Canon Inc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557896B2 (ja) * 1987-07-31 1996-11-27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装置
JPH01276440A (ja) * 1988-04-26 1989-11-07 Ricoh Co Ltd 半導体レーザ制御装置
JPH03122821A (ja) * 1989-10-06 1991-05-24 Hitachi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4117626A (ja) * 1990-09-07 1992-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装置および光学情報記録部材
JPH087280A (ja) * 1994-06-16 1996-01-12 Hitachi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6446A1 (en) * 1992-02-21 1993-08-2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pickup control system of an optical disc p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39B1 (ko) 2009-11-09 2010-11-26 최정임 언어 학습장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01125A (en) 1999-05-04
EP0789354B1 (en) 2007-04-04
DE69737540T2 (de) 2007-12-20
KR970063089A (ko) 1997-09-12
JP3691894B2 (ja) 2005-09-07
JPH09212865A (ja) 1997-08-15
DE69737540D1 (de) 2007-05-16
EP0789354A2 (en) 1997-08-13
TW393638B (en) 2000-06-11
EP0789354A3 (en) 199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501B1 (ko) 광디스크기록장치
KR100293757B1 (ko) 광디스크장치
JP2002170266A (ja) チルトサーボ制御装置及び方法
US7436742B2 (en) Optical recording device and aberration correction method
JP2001101771A (ja) ディスク判別方法
JP200200830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ディスク判別方法
US73079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control
JP2000090554A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装置
JP3458502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4152452A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装置
JPH11144251A (ja) 光ディスクにおける記録及び再生方法とその装置
JP420351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判別方法
JP2008299957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EP1426936A2 (en) Method and apparatus to generate tracking error signal, optical storage drive and lead-in control method
US6185170B1 (en) Method for tracking an optical disc of a shallow/deep groove type and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2000276743A (ja)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H0850722A (ja) データ記録装置
JP4130194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85633B1 (ko) 광디스크 장치의 트랙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60021145A (ko) 디스크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08004227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8255387A (ja) 光磁気ディスクのサーボ制御方法及び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4120509B2 (ja) 光ディスク装置
EP1777703A2 (en) Focus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04171616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