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611B1 - 푸시온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온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611B1
KR100293611B1 KR1019970048244A KR19970048244A KR100293611B1 KR 100293611 B1 KR100293611 B1 KR 100293611B1 KR 1019970048244 A KR1019970048244 A KR 1019970048244A KR 19970048244 A KR19970048244 A KR 19970048244A KR 100293611 B1 KR100293611 B1 KR 10029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ush button
switch
tubula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877A (ko
Inventor
야수노리 야나이
히로시 마추이
히사시 와타나베
코지 사코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2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6Minimise height

Abstract

푸시 온 스위치는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가 제공된 접촉 기판, 및 상기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 상에 설치된 탄성 변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푸시 온 스위치는 판부와 관형부를 가진 푸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형부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상부를 포위하기 위하여 상기 판부의 주변 에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상기 판부에는 그 중앙에 하부면 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의 바닥면은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윗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푸시 온 스위치는 상기 접촉 기판에 고정된 관형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형 케이스는 이 관형 케이스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 버튼의 관형부를 지지한다.

Description

푸시 온 스위치
[발명 분야]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의 키보드에 활용되는 긴 작동 타격(stroke)을 가진 푸시 온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최근, 전자 장치의 크기 감소 및 기능 진보에 이어, 오작동을 회피하기 위해 긴 작동 타격을 가지고 있고 또한 감소된 크기 및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개선된 피드백 작동 느낌을 제공하는 푸시 온 스위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일본 특허 공개 제 3-214519 호에는 긴 타격 푸시 온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8,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되게 된다.
도 8은 종래의 긴 타격 푸시 온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은 몰딩(molding)에 의해 수지로 제조된 박스형 스위치 케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1)의 바닥에서, 한 쌍의 외측 고정 접촉부(2) 및 중앙 고정 접촉부(3)가 삽입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2)는 연결 단자(2A)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 고정 접촉부(3)는 연결 단자(3A)에 연결되어 있다. 탄성 금속 박판형의 가동 접촉 부재(4)가 외측 고정 접촉부(2)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가동 접촉 부재(4)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 부재(4)는 금속 박판을 블랭킹(blanking)함으로써 중앙에 형성된 돌출 접촉부(tongue contact portion)(4A) 및, 루트부(4B)에서 상기 돌출 접촉부(4A)에 연속된 주변부(4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 접촉부(4A)는 위로 돌출되도록 루트부(4B)에서 만곡된다. 주변부(4C)는 외측 고정 접촉부(2) 상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중앙의 돌출 접촉부(4A)는 스위치의 비활성 상태에서 갭을 두고 중앙 고정 접촉부(3)와 대면한다.
도면 부호 6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 돔(dome)형 스프링 부재이다. 스프링 부재(6)는 그 하단이 가동 접촉 부재(4)의 주변부(4C) 상에 설치된 돔형 중공 몸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6)는 또한 돔형 몸체(6A)의 상부에 제공된 상향 돌출부(6B) 및 하향 돌출부(6C)를 구비하고 있다. 푸시 버튼(7)이 상기 상향 돌출부(6B) 상에 제공되어 있고. 하향 돌출부(6C)는 가동 접촉 부재(4)의 돌출 접촉부(4A)와 대면한다.
푸시 버튼(7)은 외측 주변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7B)를 가진 하부(7A), 및 이 하부(7A)에 연속된 상부(7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부(7A)는 하부(7A)의 외측 주변이 경사 없이 스위치 케이스(1)의 측벽(1A)의 내부 주변을 따라 수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스위치 케이스(1)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7B)는 회전 및 위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1A)의 내부 주변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홈(1B)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제, 종래의 푸시 온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푸시 버튼(7)의 윗면이 사용 장치의 작동 버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눌리면, 스위치 케이스(1)의 돔형 스프링 부재(6)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피드백되는 촉각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푸시 버튼(7)에 의해 아래로 눌린다. 다음에, 스프링 부재(6)의 하향 들출부(6C)가 돌출 접촉부(4A)의 아래쪽이 중앙 고정 접촉부(3)에 인접하도록 상기 가동 접촉 부재(4)의 돌출 접촉부(4A)를 아래로 누른다. 이와 같이, 전기적 연결이 외측 고정 접촉부(2)와 중앙 고정 접촉부(3)사이에서, 즉, 연결 단자(2A)와 연결 단자(2B) 사이에서 실현된다. 그 후. 푸시 버튼(7)이 해제될 때, 연결 단자(2A)와 연결 단자(3A)가 서로 분리되도록 상기 스위치는 돔형 스프링 부재(6)와 가동 접촉 부재(4)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푸시 온 스위치에서, 스위치 케이스(1)내의 돔형 스프링 부재(6)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피드백되는 촉각으로 탄성 변형 되도록 푸시 버튼(7)에 의해 아래로 눌린다. 그러나, 경사 없이 측벽(1A)의 내주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위치 케이스(1) 내에 푸시 버튼(7)을 유지하기 위해서, 푸시 버튼(7)의 하부(7A)의 길이(H1)가 상당히 길어야 한다. 또한, 스위치를 신뢰성있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위치 케이스(1)로부터 돌출되는 상부(7C)의 길이(H2)가 스위치의 작동 타격보다 길어야 한다. 따라서, 스위치의 높이를 줄이기가 어렵다.
더욱이, 수지로 몰딩함으로써 스위치 케이스(1)의 측벽(1A)의 내주 상의 수직 홈(1B)을 특히 작은 크기의 스위치에서 높은 정확도로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발명의 개요]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긴 타격의 푸시 온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가 제공된 접촉 기판과, 상기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 상에 설치된 탄성 변형 부재와; 판부(plate portion) 및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상부를 포위하기 위하여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윗면 아래의 위치까지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관형부(tubular portion)를 가지고 있는 푸시 버튼과, 관형 케이스로서, 이 관형 케이스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 버튼의 상기 관형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 기판에 고정된 관형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 버튼의 판부의 하부면이 상기 탄성 면형 부재의 윗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푸시 버튼의 판부는 중앙에서 하부면 상의 홈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윗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푸시 버튼의 관형부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된 멈춤쇠가 그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 케이스에는 상기 푸시 버튼이 상기 관형 케이스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멈춤쇠를 수용하기 위한 대응 홈이 내주 상에 형성된다.
상기 푸시 버튼의 관형부에는 각각 상기 푸시 버튼의 전체 수직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돌출부들이 외주 상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 케이스에는 상기 돌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대응 안내 홈이 내주 상에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는 상기 접촉 기판 상에 고정되어 제공된 중앙 고정 접촉부 및 외측 고정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촉 기판에는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 근처가 아닌 부분에 아크형 리브(rib)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형 리브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의 외주에 인접하고, 상기 푸시 버튼의 관형부의 하단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푸시 버튼의 하향 변위를 제한한다.
상기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는, 상기 접촉 기판 상에 고정되어 제공된 외측 고정 접촉부 및 중앙 고정 접촉부와, 주변 에지부에서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 상에 배치된 가동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동 접촉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촉 기판의 부분들이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보다 약간 낮게 설정된다.
작은 직경의 돌출부가 중앙에서 상기 푸시 버튼의 판부의 윗면 상에 제공되어 있다.
오목부가 상기 관형 케이스의 하단부에 인접한 상기 접촉 기판의 윗면 상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접촉 기판에는 그 주면 에지부 상에 결합 못(coupling dowel)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 케이스는 상기 결합 못을 죔으로써 상기 접촉 기판에 고정된다.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와 상기 중앙 고정 접촉부가 삽입 몰딩에 의해 상기 접촉 기판 상에 고정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시 온 스위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푸시 온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푸시 온 스위치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푸시 온 스위치의 정면도.
제5도는 작동 버튼이 눌릴 때 푸시 온 스위치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푸시 온 스위치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푸시 온 스위치에 사용된 접촉 기판의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푸시 온 스위치의 정면도.
제9A 및 9B도는 각각 종래의 푸시 온 스위치에 사용된 가동 접촉 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접촉 기판 12A : 돌출 접촉부
13A : 하향 돌출부 14A : 평판부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도 8 내지 도 9B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l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시 온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1은 몰딩에 의해 수지로 제조된 접촉 기판을 나타낸다. 종래의 스위치(1)의 바닥과 같이, 한 쌍의 외측 고정 접촉부(2) 및 중앙 고정 접촉부(3)가 삽입 몰딩을 통해 상기 접촉 기판(11)에 고정된다. 외측 고정 접촉부(2)는 접촉 기판(11)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 위치로 배열되어 연결 단자(2A)에 연결된다. 한편, 중앙 고정 접촉부(3)는 연결 단자(3A)에 연결된다. 각각의 외측 고정 접촉부(2)는 중앙 돌출 접촉부와 이 접촉부 주위의 약간 낮은 주변부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 기판(11)에는 또한 그 주변 에지에서 위로 뻗어 있는 4개의 결합 못(11A)이 제공되어 있다.
탄성 금속 박판형의 가동 접촉 부재(12)가 외측 고정 접촉부(2) 상에 설치된다. 가동 접촉 부재(12)는 상기 금속 박판을 블랭킹함으로써 중앙에 형성된 돌출 접촉부(12A), 및 그 루트부에서 상기 돌출 접촉부(12A)에 연속된 주변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 접촉부(12A)는 위로 돌출하도록 상기 루트부에서 만곡된다. 주변부(12B)는 가동 접촉 부재(12)가 외측 고정 접촉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 고정 접촉부(2) 상에 설치된 한 쌍의 외측 돌출부(12C)를 가지고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12C)는 가동 접촉 부재(12)의 위치 결정이 달성되도록 접촉기판(11)의 안쪽 주변 상에 형성된 홈부(11B)에 끼워진다. 돌출 접촉부(12A)는 스위치의 비활성 상태에서 갭을 가진 중앙 고정 접촉부(3)와 대면한다. 가동 접촉부재(12)와 대면한 접촉 기판(11)의 부분들은 외측 고정 접촉부(2)의 접촉부보다 매우 낮게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외측 고정 접촉부(2), 중앙 고정 접촉부(3), 및 가동 접촉 부재(12)는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도면 부호 13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 돔형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13)는 돔형의 중공(hollow) 몸체(13A)를 가지고 있고, 그 하부 단부가 상기 가동 접촉 부재(12)의 주변부(12B) 상에 설치된다. 스프링 부재(13)는 또한 상기 돔형 몸체(13A)의 윗부분에 제공된 상향 돌출부(13B) 및 하향 돌출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13)의 위치 결정은 접촉 기판(11) 상에 고정된 한 쌍의 아크(arc)형 리브(rib)(11C)와 돔형 중공 몸체(13A)의 하부 단부간의 맞물림에 의해 달성된다.
푸시 버튼(14)이 상기 상향 돌출부(13B) 상에 배치되고, 하향 돌출부(13C)는 가동 접촉 부재(12)의 돌출 접촉부(12A)와 대면한다.
푸시 버튼(14)은 평판부(14A)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부(14A)는 그 중앙의 하측 상에 홈부(14B)를 가시고 형성된다. 스프링 부재(13)의 상향 돌출부(13B)가 상기 홈부(l4B)에 수용되고, 홈부(14B)의 바닥면은 상향 돌출부(13B)의 윗면 상에 배치된다. 이 배열은 푸시 버튼(14)의 이동 동안에도 스프링 부재(13)와 푸시 버튼(14)간의 안정된 위치 관계를 보장한다.
푸시 버튼(14)은 또한 스프링 부재(13)의 상부를 포위하도록 평판부(14A)의 주변 에지로부터 아래로 뻗어 있는 관형부(tubular portion)(14C) 또는 중공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관형부(14C)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멈춤쇠(pawl portion)(14D)가 그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멈춤쇠(14D)는 접촉 기판(11)의 내부에 형성된 홈부(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14)의 관형부(14C)는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중공 원통형 또는 관형 케이스(15)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관형 케이스(15)는 결합 못(11A)을 죔으로써 접촉 기판(11) 상에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14)의 멈춤쇠(14D)는 푸시 버튼(14)이 멈춤쇠(14D)와 수직 홈부(15A)의 윗 벽간의 맞물림에 의해 윗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관형 케이스(15)의 내주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홈(15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시 버튼(14)은 상기 관형부(14C)의 외주 상에 제공된 한 쌍의 돌출부(14E)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 각각은 푸시 버튼(14)의 전체 수직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다. 돌출부(14E)는 멈춤쇠(14D)가 위치된 직경 방향에 수직인 푸시 버튼(14)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 위치로 배열된다. 돌출부(14E)는 스위치의 높이가 감소된 경우에도 푸시 버튼(14)의 평활한 수직 변위를 보장하기 위하여 관형 케이스(15)의 내주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안내 홈(15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제, 제 1 실시예에 따른 푸시 온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스위치는 사용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16)에 부착된다.
푸시 버튼(14)의 윗면이 사용 장치의 작동 버튼(17)에 의해 눌릴 때,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피드백되는 촉각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접촉 기판(11) 상의 돔형 스프링 부재(13)가 푸시 버튼(14)에 의해 아래로 눌린다. 다음에, 스프링 부재(13)의 하향 돌출부(13C)가 돌출 접촉부(12A)의 아래쪽이 중앙 고정 접촉부(3)와 인접하도록 가동 접촉 부재(12)의 돌출 접촉부(12A)를 아래로 누른다. 이와 같이, 전기 연결이 외측 고정 접촉부(2)와 중앙 고정 접촉부(3) 사이에서, 즉, 연결 단자(2A)와 연결 단자(3A)사이에서 달성된다.
동시에, 스프링 부재(13)의 돔형 중공 몸체(13A)의 하단부가 외측 고정 접촉부(2)에 대해 가동 접촉 부재(12)의 주변부(12B)를 강하게 민다.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2)의 접촉부가 그 주변부 및 접촉 기판(11)의 관련 부분보다 약간 높으므로,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2)의 접촉부 및 가동 접촉 부재(12)는 가동 접촉 부재(12)가 변형되지 않도록 신뢰성 있게 접촉된다.
또한, 푸시 버튼(14)의 하향 변위는 접촉 기판(11) 상의 아크형 리브(11C)와 관형부(14C)의 하단부간에 맞물림에 의해 제한된다. 그 후, 작동 버튼(17)을 통해 푸시 버튼(14)에 가해진 누르는 힘이 해제될 때, 스위치는 연결 단자(2A)와 연결단자(3A)가 서로 분리되도록 가동 접촉 부재(]2)와 돔형 스프링 부재(13)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도 1에서 도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고정 접촉부(3)의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는 부분적으로 아래로 만곡된다. 이는 중앙 고정 접촉부(3)가 떨어지지 않도록 삽입 몰딩을 통해 접촉 기판(11)에 대해 중앙 고정 접촉부(3)의 보다 신뢰성 있는 고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바람직한 실시예는 푸시 버튼(14)이 푸시 버튼(18)으로 대체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18)은 중앙에 평판부(18A)의 윗면에 제공된 작은 직경의 돌출부(18B)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배열로, 보다 신뢰성 있는 누르는 동작이 달성되도록 사용 장치의 동작 버튼(17)을 통해 푸시 버튼(18)의 중앙 부분을 항상 누를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바람직한 실시예는 접촉 기판(11)이 접촉 기판(19)에 의해 대체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기판(19)은 관형 케이스(15)의 하단에 인접한 윗면 상의 그루브 또는 다운 스텝(down step)의 형태로 오목부(19A)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배열로, 사용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16)에 푸시 온 스위치를 부착할 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스위치의 내부로의 결합선(soldering flux--) 침입이 오목부(19A)에서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긴 타격의 푸시 온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스위치는 높이가 낮고 제조가 용이하며, 사용 장치에 부착할 때 문제가 거의 없으며, 우수한 탄성 감촉을 보장하기 위하여 푸시 버튼의 평활한 수직 변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발명의 원리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1)

  1.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가 제공된 접촉 기판과;
    상기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 상에 설치된 탄성 변형 부재와;
    판부(plate portion), 및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상부를 포위하기 위하여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윗면 아래의 위치까지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관형부(tubular portion)를 가지고 있는 푸시 버튼과;
    관형 케이스로서, 이 관형 케이스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푸시 버튼의 상기 관형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 기판에 고정된 관형 케이스를 구비한 푸시 온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의 판부의 하부면이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윗면 상에 배치된 푸시 온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의 판부는 중앙에서 하부면 상의 홈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윗면 상에 배치된 푸시 온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의 관형부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된 멈춤쇠가 그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 케이스에는 상기 푸시 버튼이 상기 관형 케이스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멈춤쇠를 수용하기 위한 대응 홈이 내주 상에 형성된 푸시온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의 관형부에는 각각 상기 푸시 버튼의 전체 수직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돌출부들이 외주 상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 케이스에는 상기 돌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대응 안내 홈이 내주 상에 형성된 푸시 온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는 상기 접촉 기판 상에 고정되어 제공된 중앙 고정 접촉부 및 외측 고정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촉 기판에는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 근처가 아닌 부분에 아크형 리브(rib)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아크형 리브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의 외주에 인접하고, 상기 푸시 버튼의 관형부의 하단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푸시 버튼의 하향 변위를 제한하는 푸시 온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접촉 어셈블리는,
    상기 접촉 기판 상에 고정되어 제공된 외측 고정 접촉부 및 중앙 고정 접촉부와,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 상에서 주변 에지부에 배치된 가동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동 접촉 부재에 대면하는 상기 접촉 기판의 부분들이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보다 약간 낮게 설정된 푸시 온 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작은 직경의 돌출부가 상기 푸시 버튼의 판부의 윗면 상에서 중앙에 제공되어 있는 푸시 온 스위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오목부가 상기 관형 케이스의 하단부에 인접한 상기 접촉 기판의 윗면 상에 제공되어 있는 푸시 온 스위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기판에는 그 주변 에지부 상에 결합 못(coupling dowel)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 케이스는 상기 결합 못을 죔으로써 상기 접촉 기판에 고정되는 푸시 온 스위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 접촉부와 상기 중앙 고정 접촉부가 삽입 몰딩에 의해 상기 접촉 기판 상에 고정되는 푸시 온 스위치.
KR1019970048244A 1996-09-17 1997-09-18 푸시온스위치 KR100293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439296A JP3794068B2 (ja) 1996-09-17 1996-09-17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96-244392 1996-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77A KR19980024877A (ko) 1998-07-06
KR100293611B1 true KR100293611B1 (ko) 2001-09-17

Family

ID=1711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244A KR100293611B1 (ko) 1996-09-17 1997-09-18 푸시온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5901A (ko)
JP (1) JP3794068B2 (ko)
KR (1) KR100293611B1 (ko)
CN (1) CN1093316C (ko)
MY (1) MY1161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832B1 (ko) * 2005-08-17 2007-02-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용 디스플레이부의 단방향 버튼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0789B2 (ja) * 1998-12-21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3762564B2 (ja) * 1999-03-11 2006-04-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3526775B2 (ja) * 1999-03-11 2004-05-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0260259A (ja) * 1999-03-11 2000-09-22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040194930A1 (en) * 1999-06-22 2004-10-07 Societe Meusienne De Constructions Mecaniques Tube for use in fluid evaporation techniques, in particular food fluid
DE10027446B4 (de) * 2000-06-02 2004-05-2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lmington Elektrischer Schalter
FR2811468B1 (fr) * 2000-07-06 2003-01-31 Mafelec Bouton poussoir
JP4058892B2 (ja) 2000-08-22 2008-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US6441331B1 (en) * 2000-12-21 2002-08-27 Shin Jiuh Corp. Press switch
KR100402463B1 (ko) * 2000-12-29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버튼 조립체
JP2002328775A (ja) * 2001-04-27 2002-11-15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JP4039030B2 (ja) * 2001-10-29 2008-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6521852B1 (en) * 2002-05-06 2003-02-18 Shin Jiuh Corp. Pushbutton switch
US6670566B1 (en) * 2002-10-09 2003-12-30 Shin Jiuh Corp. Tact switch
JP2004235006A (ja) 2003-01-30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FR2859818B1 (fr) * 2003-09-12 2013-07-26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de commutation equipe d'une source lumineuse
JP2006120395A (ja)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985315B2 (ja) * 2007-10-29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5056451B2 (ja) * 2008-02-13 2012-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JP5256066B2 (ja) * 2009-02-02 2013-08-07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5199937B2 (ja) * 2009-04-07 2013-05-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CN102142332A (zh) * 2010-12-29 2011-08-03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无声开关
JP2014116274A (ja) * 2012-12-10 2014-06-26 Smk Corp 押圧スイッチ
KR101529479B1 (ko) * 2013-11-01 2015-06-17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
DE102013223843A1 (de) * 2013-11-21 2015-06-03 Zf Friedrichshafen Ag Tastenknopf, Tastenschalter, Tastenrahmen und Leiterplatte für eine Dateneingabevorrichtung, Datenein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eines Schaltweges eines Tastenschalters einer Dateneingabevorrichtung
CN105489427B (zh) * 2016-01-06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按键结构及移动终端设备
JP6607573B2 (ja) * 2016-08-10 2019-11-2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534A (ja) * 1987-12-01 1989-06-06 Fujitsu Ltd 押釦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1612A (en) * 1971-08-30 1973-08-07 Colorado Instr Inc Snap action capacitive type switch
US3773998A (en) * 1972-10-16 1973-11-20 Chomerics Inc Pedestal and spring member for key actuator of diaphragm switch
DE2740902A1 (de) * 1977-09-10 1979-03-22 Marquardt J & J Elektrischer schalter
JPS5852981Y2 (ja) * 1979-08-10 1983-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US4385218A (en) * 1981-04-21 1983-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 switch
JPS6233123U (ko) * 1985-08-14 1987-02-27
US5199557A (en) * 1988-01-28 1993-04-06 Mec A/S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ic or electronic component, a method of producing a key and a key
US5228561A (en) * 1991-04-01 1993-07-20 Hewlett-Packard Company Long traveling button switch with enhanced user feedb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534A (ja) * 1987-12-01 1989-06-06 Fujitsu Ltd 押釦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832B1 (ko) * 2005-08-17 2007-02-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용 디스플레이부의 단방향 버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5901A (en) 1999-04-20
JPH1092260A (ja) 1998-04-10
CN1093316C (zh) 2002-10-23
CN1179613A (zh) 1998-04-22
KR19980024877A (ko) 1998-07-06
MY116148A (en) 2003-11-28
JP3794068B2 (ja)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611B1 (ko) 푸시온스위치
EP1202311B1 (en) Slide switch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US6664491B2 (en) Push switch
US5803243A (en) Latching rocker switch
KR101685188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EP10491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EP0423924B1 (en) Long traveling button switch with enhanced user feedback
CN112053874A (zh) 一种按键结构及使用该按键结构的温控器
US7009127B2 (en) Switch comprising an operating rocker button
JP200612039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CN114141564A (zh) 按钮开关
JP4105432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H10289631A (ja) 押釦スイッチ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JPH0334021Y2 (ko)
JPH0334022Y2 (ko)
JPH036992Y2 (ko)
JPH0322826Y2 (ko)
KR950004943Y1 (ko) 누름버튼형 스위치의 구조
JP2518255Y2 (ja) 押釦スイツチ
JPH0538500Y2 (ko)
JPH0441541Y2 (ko)
JPH0448583Y2 (ko)
JP2558596Y2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