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086B1 - 편집장치및편집방법 - Google Patents

편집장치및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086B1
KR100292086B1 KR1019980703810A KR19980703810A KR100292086B1 KR 100292086 B1 KR100292086 B1 KR 100292086B1 KR 1019980703810 A KR1019980703810 A KR 1019980703810A KR 19980703810 A KR19980703810 A KR 19980703810A KR 100292086 B1 KR100292086 B1 KR 10029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information
video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537A (ko
Inventor
겐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7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동화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음성정보의 편집장치에 있어서, 영상음성정보를 하드디스크장치(51) 등에 기억하며, 편집정보를 하드디스크장치(46)에 기억한다. 검색에 있어서 검색개시 후는 현재위치(11)에서 검색목표위치(12)까지의 도중의 영상정보(10)에서 영상을 간헐적으로 추출하여 표시한 후, 검색목표의 영상(13)을 표시한다. 이로써 임의시간에 걸쳐서 영상이 이동하는 상황을 표시한 후에 목표위치의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편집자는 검색완료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검색의 형태에는 예컨대 정시검색, 정속검색, 가ㆍ감속검색이 있다. 또 검색도중의 화면에「검색중」의 영상을 부가하여도 좋다.

Description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EDITING DEVICE AND EDITING METHOD}
동화영상정보를 포함한 영상음성정보의 편집은, 종래는 재생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와 수록용 VTR을 편집장치에 접속하여 실시하고 있다. 재생용의 VTR에서 영상음성정보를 재생하여 편집장치에 의해 편집하며 편집된 영상음성정보를 수록용 VTR에 수록한다.
근년, 영상음성정보 압축기술의 향상에 의하여 영상음성정보를 검색속도가 빠른 하드디스크장치(HDD) 등의 기억장치를 사용하여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하드디스크장치 등을 사용한 편집장치가 개발되어서 논리니어(nonlinear)편집기라고 불리고 있다.
하드디스크장치는 검색작업이 고속으로 행해지므로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중 유효정보(이벤트라고 함)의 시단(始端)과 종단(終端;편집점)을 복수설정하면, 앞의 이벤트 종단을 재생한 후 연속하여 다음 이벤트의 시단의 재생이 가능하며, 편집결과의 프리뷰(preview)가 즉시 가능하다. 즉, 논리니어 편집기에서는 편집점을 입력하는 것만으로서 편집이 완료하여 수록용 VTR로서 수록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논리니어 편집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하드디스크장치 등을 사용한 편집에 있어서, 영상음성정보의 지정위치의 재생(이하 검색이라고 함)을 실행한 경우는 희망의 영상음성정보를 투영하는 검색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현재위치의 영상에서 검색결과의 영상이행이 순간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검색전의 영상에서 검색결과의 영상의 절환이 일순에 실행됨으로써, 검색작업이 완료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렵다. 또 검색도중의 영상음성정보를 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정위치 근방의 정보를 인식할 수 없으며, 검색완료 후에 다시 한번 전후의 영상을 확인하는 일도 많다. 이에 대하여, VTR을 사용한 종래의 편집장치의 검색이면 검색중의 FF(빨리 감기)/REW(되감기)의 영상이 삽입되기 때문에, 검색완료의 인식이 가능하며 검색지정위치 근방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논리니어 편집기에 있어서도 종래의 VTR을 사용한 편집기의 감촉으로 검색이 가능하면 편집작업에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집작업에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논리니어 편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원반(하드디스크), 광 자기 원반 등의 검색속도가 빠른 기억매체를 사용한 영상음성정보를 편집하여 재생하는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편집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편집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편집장치의 정시검색 설명을 위한 도면.
도 4는 「검색중」의 영상을 부가한 화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편집장치의 정속검색 설명을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편집장치의 가ㆍ감속검색 설명을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편집장치의 검색작업 동작순서도.
본 발명에 관한 편집장치는 적어도 동화상정보와 그것에 따른 음성정보를 포함한 동화영상음성정보를 편집하는 편집장치이다. 입력되는 영상음성정보는 제1기억장치(바람직하기는 하드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검색속도가 빠른 기억장치이다)에 기억된다. 제1기억장치에서 판독, 출력된 영상은 표시장치에 표시된다. 조작장치에 의하여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에 대하여 유효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편집정보가 설정된다. 이 편집정보는 제2기억장치에 기억된다. 표시제어부는 제2기억장치에 기억된 편집정보에 의거하여 표시장치에 영상을 표시시킨다. 표시제어부는 또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위치의 현재표시중의 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간헐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즉, 현재표시중의 영상위치(제1위치)에서 검색목표위치(제2위치)로 이행할 때는 순간적으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의 도중화면을 추출하여 표시하며, 사용자가 검색결과의 영상인 것을 인식가능하게 한다. 검색형태로서는 예컨대 정속검색, 정시검색, 가ㆍ감속검색이 있다. 또한 선택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 검색의 형태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도 좋다.
정속검색에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목표위치)의 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일정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현재위치에서 목표위치까지의 영상프레임 추출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거리에 비례한 시간 후에 검색결과(제2의 위치)의 영상을 표시한다.
정시검색에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절환할 때,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에서 균등간격으로 일정수가 되도록 추출한 화면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현재위치에서 목표위치까지의 사이의 영상추출 매수(枚數)를 일정하게 하고, 일정시간 후에 검색결과의 영상을 표시한다.
가ㆍ감속검색에서는 상기 표시제어부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의 화면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이 2개의 위치중간점까지는 제1위치의 거리에 비례한 소정의 간격(간격이 최고속도로서 정한 속도값을 넘을 경우에는 최고속도의 간격)으로 추출하여 화면의 위치를 가속적으로 또한 최고속도로 이동시켜 표시시키고, 중간점 이후는 제2위치의 거리에 비례한 소정의 간격(간격이 최고속도로서 정한 값을 넘을 경우에는 최고속도의 간격)으로서 추출하여 화면의 위치를 최고속도 또는 감속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게 한다. 따라서, 현재위치에서 가속하여 거리가 멀 경우는 최고속도에 달하며, 감속하여 목표위치에 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즉, VRT의 이동상태에 유사하게 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기는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 이 2개의 위치 사이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사이는, 상기 표시장치는 검색도중인 것을 나타내는 부가영상정보를 동시에 표시한다. 따라서 검색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여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입력되는 영상음성정보를 압축장치에 의한 압축으로 제1기억장치로 보내어 압축정보로서 기억한다. 재생시는 제1기억장치에 기억한 압축정보를 신장장치에 의하여 신장하여 표시한다.
바람직하기는 음성재생장치를 갖추어서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에서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재생영상정보에 맞추어서 재생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편집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편집장치는 적어도 동화영상정보와 동화영상정보에 따른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즉, 영상음성정보)의 기억매체로서 하드디스크를 검색속도가 빠른 기억장치로서 사용한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또는 광 디스크를 사용해도 좋다. AV(이하, AV는「영상음성」의 약자이다) 정보압축부(1)는 재생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서 입력되는 영상음성정보를 압축한다. AV정보신장부(2, 3)는 영상음성압축정보를 신장하며, 수록용 VTR에 보낸다. 검색속도가 빠른 제1기억장치(5)는 영상음성정보를 기록재생한다. 제2기억장치(6)는 작업지령부(7)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기억하여 편집결정리스트(EDL)정보를 기억한다. 이 각종 정보는 공통신호로(버스)(4)를 통하여 송수신된다. 또 표시장치(8)는 동화영상정보를 표시하며, 음성재생부(9)는 음성정보를 재생한다. 작업지령부(7)는 버스(4)를 통하여 각 구성부(1, 2, 3, 5, 6, 8, 9)에 대하여 작업을 지령한다. 상기 각 작업은 작업지령부(7)에 구비되는 중앙처리장치(CPU)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CPU의 작업으로서 실행된다. 작업지령부(7)가 실행하는 작업내용은 AV정보취입작업(71), AV정보재생작업(72), EDL작성작업(73), EDL재생작업(74) 및 검색작업(75)이 있는데, 이것에 대하여는 후에 설명한다.
도 2는 편집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CPU(중앙처리장치)(40)는 편집장치를 제어한다. 메모리(41)로서는 24MB(메가바이트)에서 32MB를 실장한다. 메모리(41)는 CPU(40)가 작업을 실행할 때의 정보를 기억한다. 제1하드디스크장치(HDD)(46)에는 AV정보취입작업, AV정보재생작업, EDL작성작업, EDL재생작업의 각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며, 이 정보에 의하여 CPU(40)가 작업을 실행한다.
정보전송용의 내부 공통신호로(내부 버스)(42)는 PCI버스(정보전송용 접속선로의 일실시형태의 명칭, 이하의 버스도 동일함) 및 (E)ISA버스로 된다(ISA버스로서도 가능하다). CPU(40)의 지령으로 각 블록간의 정보전송을 실행한다. 내부 버스(42)에는 이하의 각종 구성부품이 접속된다.
VGA(비디오ㆍ그래픽스ㆍ어댑터)카드(프린트기판)(43)는 CRT(표시장치)(52)의 표시영상을 생성한다. CRT(52)는 CPU(40)가 지시하는 영상정보를 화면으로서 표시한다.
I/O카드(입력/출력 프린트기판)(44)는 키보드(53), 마우스(54), 조그패드(jog pad: 55)를 접속한다. 조그패드(55)는 편집제어를 위한 전용조작기이다. 키보드(53)에서 편집결정리스트(EDL) 명칭의 입력, 작업지령 등을 실행한다. 마우스(54)는 CRT(52)의 화면상의 화살표를 조작하여 작업지령을 실행한다. 조그패드(55)는 작업지령을 실행한다.
카드(45)는 IDE타이프의 제1의 하드디스크장치(HDD)(46)를 접속하는 카드이다. IDE는 정보전송로의 일실시형태의 명칭이다. 제1하드디스크장치(46)는 AV정보취입작업, AV정보재생작업, EDL작성작업, EDL복제작업, EDL수정작업 및 EDL재생작업의 각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정보나, 편집정보인 편집결정리스트(EDL) 등을 기억한다.
AV압축부(47)는 입력한 영상음성정보를 압축하여 PCI버스(42)를 경유해서 메모리(41)로 전송한다. 전송된 정보는 CPU(40)의 지령으로 메모리(41)에서 제2하드디스크장치(51)로 전송되어 기억된다.
제1AV신장부(48)는 제2하드디스크장치(51)에서 판독출력한 압축 AV정보를 원래의 AV신호로 신장하여 출력한다. 제2AV신장부(49)도 제2하드디스크장치(51)에서 판독출력한 압축영상음성정보를 원래의 영상음성신호로 신장하여 출력하며, 이 제2 AV신장부는 제1AV신장부(48)와 함께 2채널의 재생을 할 수 있다.
SPC(SCSIㆍ프로토콜ㆍ컨트롤)카드(50)는 SCSI타입의 제2하드디스크장치(HDD) (51)를 접속한다. SCSI는 정보전송선로의 일실시형태의 명칭이다. 제2하드디스크장치(51)는 영상음성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조가 실장되어 있으나, 영상음성정보의 기억용량에 의하여 SPC카드(50)와 병행하여 필요한 수만을 실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CPU(40)는 제1하드디스크장치(46)가 기억하고 있는 제어정보에 의하여 AV정보취입작업(71), AV정보재생작업(72), EDL작성작업(73), EDL재생작업(74)의 각 작업을 실행한다. 이하, 이 작업을 설명한다.
우선 AV정보취입작업(71)에 대하여 설명하면, AV정보입력작업(71)에서는 AV정보압축부(47)에 입력된 AV정보를 압축하여 버스(4)를 경유하여 하드디스크장치(51)에 기록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키보드(53), 마우스(54) 또는 조그패드(55)의 조작으로 CPU(40)가 작업을 개시한다. CPU(40)는 AV압축부(47)에 작업지령을 출력하고, AV압축부(47)는 입력된 AV정보를 압축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며, 압축정보가 정해진 양을 넘었을 때, CPU(40)에 전송요구를 출력한다. 이에 대응하여, CPU(40)는 AV압축부(47)에 압축정보를 메모리(41)의 지정위치로 정해진 양을 전송하는 지령을 출력한다. AV압축부(47)는 압축정보전송을 실행하여, 완료시에 CPU(40)에 완료통지를 한다. 이 동안에도 AV압축부(47)는 입력정보의 압축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CPU(40)는 메모리(41)의 지정위치의 정보를 제2하드디스크장치(51)의 지정위치에 기억하는 지령을 SPC카드(50)로 전송한다. SPC카드(50)는 작업을 실행하며, 완료보고를 CPU(40)에 통지한다. 이에 대응하여 AV압축부(47)가 재차 CPU(40)에 전송요구를 출력하며, 상기 각 작업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작업종료는 키보드(53), 마우스(54) 또는 조그패드(55)에서 지정된 양의 입력을 완료했을 때, 또는 종료의 조작을 했을 때이며, CPU(40)는 작업중지지령을 AV압축기(47)로 전송한다. AV압축부(47)가 일정시간에 생성하는 압축정보는 일정시간내에 충분히 고속으로 제2하드디스크장치(51)에 기록되며, 압축정보가 넘쳐서 제2하드디스크장치(51)의 기록정보에 결함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AV정보재생작업(72)에 대하여 설명한다. AV정보재생작업(72)에서는 기억장치(5)(50, 51)에 입력된 영상음성 AV정보를 버스(4)(42)를 경유하여 AV정보 신장부(2 또는 3)(48 또는 49)에 전송하며, 신장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한다. 복원된 영상음성정보는 모니터 텔레비전 등의 표시장치(8)(43, 52)로 전송되어 영상음성정보를 표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AV정보신장부(2, 3)(48, 49)를 사용하여 2채널의 영상음성정보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키보드(53), 마우스(54) 또는 조그패드(55)에서 재생위치지정으로 작업개시와 작업정지가 지령된다. CPU(40)는 제2하드디스크장치(5)(50, 51)의 지정위치에서의 정보를 판독출력하여, AV정보신장부(2)(48) 또는 (3)(49)로 전송하며, 정해진 정보량으로 나누어서 반복하여 전송한다. 작업종료는 키보드(53), 마우스(54) 또는 조그패드(55)에서 지정된 양의 판독출력을 완료했을 때나 종료조작을 했을 때, CPU(40)는 제2하드디스크장치(5)(50, 51)의 판독출력지령을 중지한다.
다음에, EDL작성작업(73)에 대하여 설명한다. EDL작성작업(73)에는 기록된 영상음성정보를 재생하여, 영상음성정보중의 유효부분(이벤트)의 시단(IN점)과 종단(OUT점)을 지정하여, 그 이벤트정보를 재생순으로 기술하여 편집결정리스트(EDL)를 작성한다. 이 편집작업에 있어서 유효정보군을 조합하여 정해진 내용이 되도록 또한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영상음성정보를 편집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편집정보가 편집결정리스트(EDL)이며, 편집결정리스트는 하드디스크장치(6)(46)에, EDL명칭을 붙여서 기억된다. EDL재생작업(74)은 하드디스크장치(6)(46)에 기억된 편집결정리스트를 지정하여 편집결정리스트의 임의부분 또는 전체를 재생한다.
또한 설명을 계속하면, EDL작성작업(73)에서는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중의 복수 이벤트(유효정보)를 지정하여 그 편집점(시단 및 종단)의 위치정보수록측 위치정보(이벤트 누적시간) 및 앞의 이벤트에서 본 이벤트의 스위치절환정보(커트, 특수효과 등)를 차례로 열거한다. VTR에서 영상음성정보를 재생하여 키보드(53), 마우스(54) 또는 조그패드(55)의 조작으로 영상음성정보를 이벤트의 시단 및 종단을 지정한다. 이 작업을 반복 실행하여 편집결정리스트(EDL)를 작성한다. 스위치절환정보는 통상 커트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나, 특수효과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위한 조작을 한다. EDL정보는 시단, 종단의 입력 때마다 하드디스크장치(46)에 기억된다. EDL의 명칭은 자동적으로 부여되지만 명칭을 지정할 수도 있다.
편집결정리스트에 있어서 영상정보의 위치는 타임코드와 테이프번호로서 나타낸다. 예컨대 일본이나 미국에서는 텔레비전 영상은 1초 사이에 30장이며 한 장의 영상을 프레임이라고 칭한다. 각 프레임을 01:23:45:15(1시 23분 45초 15프레임)와 같은 시각표시로서 표시한다. 이것을 타임레코드라고 칭한다. 별도의 영상에 같은 타임레코드가 부여될 때도 있으며, 타임레코드(8자리 숫자)와 테이프번호(01에서 99까지의 2자리 숫자)로서 위치를 표시한다. 영상음성정보가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도 동일하다.
EDL작성작업(73)에 있어서, 유효부분(이벤트)을 설정하는 작업에서는 영상음성정보를 시청하여 확인하기 위하여, AV정보재생작업(72)의 일형태로서 지정위치를 검색하여 그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검색작업 75)이 필요하다. 편집자는 통상 영상정보의 위치를 타임레코드로서 메모리해두며, 영상의 확인시에 타임레코드정보를 입력하여 「검색」을 지령하는 것으로서 희망위치로 이동하여 재생하고 확인한다. 통상 몇 회도 재생하여 확인하지만, 다른 영상정보의 관련을 볼 때도 많으며, 별도위치를 검색하여 재생한 후에 또 원래의 영상정보를 보기도 한다. 이와 같이, 편집작업에서는 검색작업이 연속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정위치(즉, 검색목표위치)를 검색할 경우에, 현재위치에서 지정위치까지의 영상음성정보를 간헐적으로 표시하든지, 또는 검색중인 것을 표시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검색중 및 검색완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검색중 표시의 동작형태(모드)(정시검색, 정속검색, 가ㆍ감속검색)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에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DL재생작업(74)은 하드디스크장치(46)에 기억된 지정편집결정리스트의 지정부분을 재생하는 작업이며, 키보드(53), 마우스(54) 또는 조그패드(55)의 조작으로 실행한다.
도 3은 정시검색의 일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정시검색이란 동화영상정보의 거리에 의하지 않고 일정시간에서 검색을 완료하는 동작형태(모드)이다. 영상의 현재위치(11)에서 검색목표위치(12)까지가 5분의 거리로 설정되면, 검색개시위치에서 5분의 영상정보(10)로부터 균등분할하여 15프레임의 영상(13)을 추출하여 표시하며, 0.5초에서 검색목표의 영상을 표시한다. 15프레임의 영상은 추출영상(13) 그 자체를 표시하든지, 추출영상(13)에「검색중」의 영상을 혼합하든지「검색중」의 영상을 표시할 것인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정시검색은 거리에 의하지 않고, 일정시간에서 검색이 완료하는 것이다. 도 4는「검색중」의 영상을 부가한 화면을 나타낸다. 0.5초의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서 별도의 설정도 가능하다.
도 5는 정속검색의 일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정속검색이란 일정속도로서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동작형태이다. 검색거리 5분을 100배속 상당의 프레임추출(100장의 영상에서 한 장 추출)하여 영상(14)을 표시하기 위하여 검색목표의 영상을 출력하는데 3초가 걸린다. 검색시간은 검색거리에 비례한다. 검색거리가 가까울 경우는 인식시간을 0.5초 정도로 하기 때문에 속도를 낮춰서 추출할 필요가 있다. 또 거리가 길 경우는 불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추출비율을 낮게 하는(최고속도를 크게 한다) 것도 좋다.
도 6은 가ㆍ감속검색의 일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가ㆍ감속검색이란 현재위치(11)와 검색목표위치(12)의 근방에 영상을 보다 많이 표시하도록 영상(15)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동작형태이다. 도면 아래쪽에 속도를 도시하는데, 현재위치(11)에서 가속하여 최고속도로서 이동하며, 목표위치 부근에서 감속하여 목표위치(12)에 도달한다. 목표위치 부근의 감속을 위하여 목표위치 근방의 영상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CPU(40)에 의한 검색작업의 일실시형태의 동작순서도이다. 이 순서도에 있어서 영상음성정보(10)에 있어서, G는 검색의 개시위치를 나타내며, M은 검색목표위치를 나타내고, d는 표시위치를 나타내며, a는 표시간격을 나타낸다. 검색작업은 편집결정리스트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며, 키보드(53), 마우스(54) 또는 조그패드(55)의 조작으로 개시된다. 검색작업이 개시되면 우선 표시위치(d)를 검색개시위치(G)로 한다(S10). 다음에 동작지정이 정시검색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2). 정시검색지정이면 표시간격(a)을 (목표위치(M)와 검색개시위치(G)의 거리)÷15로 산정한다(S20).
다음에, 표시위치(d)에 a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 표시위치(d)를 목표위치에 근접시키며(S24), 그 결과, 표시위치(d)가 목표위치(M)를 넘지 않는지를 판정한다(S26). 표시위치(d)가 목표위치(M)를 넘지 않는 경우는 표시위치(d)의 화면을 표시하여 1프레임분의 시간을 기다린다(S28).
그 후 S12로 복귀하며, 표시위치(d)가 목표위치(M)를 넘을 때까지 반복 실행한다. 표시위치(d)가 목표위치(M)를 넘었을 경우는(S26에서 YES), 목표위치(M)의 화면을 표시하며(S28) 검색을 종료한다.
또 정시검색지정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S12에서 NO), 다음에 정속검색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4). 정속검색지정이면, 표시간격(a)을 100배속이면 100으로 설정한다(S22).
다음에, S24로 진행하여 동일하게 표시위치(d)에 표시간격(a)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표시위치(d)를 목표위치에 근접시키며(S24), 정시검색의 경우와 동일한 순서를 반복실행하여 목표위치에 도달한다.
또, 정속검색이 아니라고 판정되면(S14에서 NO), 다음에 가ㆍ감속검색지정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6).
여기서 가ㆍ감속검색지정이 아니면(S16에서 NO), 목표위치의 화면을 표시하며(S28) 검색을 종료한다.
가ㆍ감속검색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는(S16에서 YES), 표시간격(a)을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S18). 표시위치(d)가 검색개시위치(G)와 목표위치(M)까지의 중간점보다 가까운 경우에, 검색개시위치(G)와 표시위치(d)의 거리(차값의 절대값)+1에 가속도 정수(K)를 곱한 값을 a로 한다. 표시위치(d)가 중간점보다 멀리 있을 경우는, 표시위치(d)와 목표위치의 거리+1에 가속도 정수(K)를 곱한 값을 a로 한다. 거리+1로 한 것은 a의 값이 0이 되어서 검색개시위치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에 의하여 산정된 a의 값이 최고속도(Max)보다 클 때에는 a=Max로 한다. 가속도 정수(K) 및 최고속도(Max)는 사용자가 설정가능한 정수로 한다.
다음에, 표시위치(d)에 상기에서 산정한 표시간격(a)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표시위치(d)를 목표위치에 근접시킨다(S24). a가 Max이하의 값에서는 표시위치(d)의 1차 함수로 되어서, 표시위치(d)는 등가속, 등감속처럼 이동한다. 표시위치(d)가 목표위치(M)를 넘는가를 판정하며(S26), 정속검색과 동일하게 목표위치(M)에 도달하여 목표위치의 화면을 표시하여(S28) 검색을 종료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추출영상에 「검색중」의 영상을 혼합하는 지정도 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정시검색, 정속검색 또는 가ㆍ감속검색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논리니어 편집기의 검색작업을 실행할 경우 검색완료를 인식하고, 검색목표부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VTR을 사용한 편집기의 촉감으로 검색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검색도중의 화면표시방법(모드)이 선택가능하며, 사용자가 좋아하는 방법에 맞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했으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로서는 명백하며, 이것 등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적어도 동화영상정보와 그에 따른 음성정보를 포함한 영상음성정보를 편집하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음성정보를 기억하는 제1기억장치와;
    상기 제1기억장치에서 판독출력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에 대하여 유효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편집정보를 설정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에 대하여 조작장치에 의하여 설정된 편집정보를 기억하는 제2기억장치와;
    상기 제2기억장치에 기억된 편집정보에 의거하여 표시장치에 영상을 표시하게 하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며;
    표시제어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위치의 현재표시중의 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간헐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일정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에서 균등간격으로 일정수가 되도록 추출한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화면의 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이 2개의 위치의 중간점까지는 제1위치의 거리에 비례한 소정의 간격(간격이 최고속도로서 정한 속도값을 넘는 경우에는 최고속도의 간격)으로 추출하여 화면의 위치를 가속적으로 또는 최고속도로서 이동시켜서 표시하게 하고, 중간점 이후는 제2위치의 거리에 비례한 소정의 간격(간격이 최고속도로서 정한 값을 넘을 경우에는 최고속도의 간격)으로 추출하여 화면의 위치를 최고속도 또는 감속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그 2개 위치 사이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표시장치는 검색도중인 것을 나타내는 부가영상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억장치는 하드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또는 광 디스크를 기억매체로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음성정보를 압축하여 제1기억장치에 전송하는 압축장치와,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압축정보를 신장하는 신장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에서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재생영상정보에 대응하여 재생하는 음성재생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9. 적어도 동화영상정보와 그에 따른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음성정보의 기억매체에서 편집정보에 의거하여 동화영상정보를 판독출력표시하는 영상음성정보의 편집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음성정보를 제1기억장치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영상음성정보에 대하여 유효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편집정보를 제2기억장치에 기억하는 단계와;
    표시장치에 있어서,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간헐적으로 표시하고 나서 제2위치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일정간격에서 간헐적으로 표시하고 나서 제2위치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에서 균등간격으로 일정수가 되도록 추출한 화면을 표시한 후 제2위치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현재표시중의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제1위치화면의 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화면을, 이 2개의 위치 중간점까지는 제1위치의 거리에 비례한 소정의 간격(간격이 최고속도로서 정한 속도값을 넘는 경우는 최고속도의 간격)으로 추출하여 화면위치를 가속적으로 또는 최고속도로서 이동시켜서 표시하며, 중간점 이후는 제2위치의 거리에 비례한 소정의 간격(간격이 최고속도로서 정한 값을 넘을 경우는 최고속도의 간격)으로서 추출하여 화면위치를 최고속도 또는 감속적으로 이동시켜서 표시한 후 제2위치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화면에서 제2위치화면으로 표시를 절환할 때에, 이 2개의 위치 사이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표시장치는 검색도중인 것을 나타내는 부가영상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음성정보를 압축장치에 의하여 압축하여 제1기억장치로 전송하며,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압축정보를 신장장치에 의하여 신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성정보로부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재생영상정보에 대응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KR1019980703810A 1996-09-25 1997-09-22 편집장치및편집방법 KR100292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2605 1996-09-25
JP25260596A JP3211679B2 (ja) 1996-09-25 1996-09-25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PCT/JP1997/003356 WO1998014007A1 (en) 1996-09-25 1997-09-22 Editing device and edi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537A KR19990071537A (ko) 1999-09-27
KR100292086B1 true KR100292086B1 (ko) 2001-06-01

Family

ID=1723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810A KR100292086B1 (ko) 1996-09-25 1997-09-22 편집장치및편집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08964B1 (ko)
EP (1) EP0863668A4 (ko)
JP (1) JP3211679B2 (ko)
KR (1) KR100292086B1 (ko)
TW (1) TW376647B (ko)
WO (1) WO1998014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8421B1 (en) * 1998-12-23 2004-06-08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video messages
JP3897476B2 (ja) * 1999-02-15 200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US7050110B1 (en) * 1999-10-29 2006-05-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notations video
US20030041111A1 (en) * 2001-08-27 2003-02-27 Delaney Beth M.P. System for emailing images with audio as a separate file
JP4225124B2 (ja) * 2003-06-06 2009-02-1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8588578B2 (en) * 2006-03-29 2013-11-19 Transpacific Digidata, Llc Conversion of video data to playable format
JP4596060B2 (ja) * 2008-08-29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動画像データ区間変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20247A (ko) * 2010-08-27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컨텐츠 재생을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574A (ja) * 1986-10-20 1988-05-07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デイスクプレ−ヤ
JPH04345284A (ja) * 1991-05-22 1992-12-01 Fuji Xerox Co Ltd 動画像検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181A (ja) 1986-08-29 1988-03-15 Hitachi Ltd 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2808657B2 (ja) * 1989-04-27 1998-10-08 ソニー株式会社 編集方法
US5218672A (en) 1990-01-19 1993-06-08 Sony Corporation Of America Offline editing system with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edit list generation
US5581530A (en) * 1990-09-06 1996-12-03 Casio Computer Co., Ltd. Digital recorder for processing of parallel data stored in multiple tracks and using cross-fade processing
EP0559708A1 (en) * 1990-11-30 1993-09-15 Cambridge Animation Systems Limited Image synthesis and processing
US5307456A (en) * 1990-12-04 1994-04-26 Sony Electronics, Inc. Integrated multi-media production and authoring system
DE69222102T2 (de) 1991-08-02 1998-03-26 Grass Valley Group Bedienerschnittstelle für Videoschnittsystem zur Anzeige und interaktive Steuerung von Videomaterial
EP0609352A4 (en) * 1991-10-21 1994-12-14 Accom Inc ONLINE VIDEO EDITING SYSTEM.
US5355450A (en) 1992-04-10 1994-10-11 Avid Technology, Inc. Media composer with adjustable source material compression
GB2274223B (en) 1992-12-07 1997-01-08 Quantel Ltd A video processing system
JPH06181560A (ja) * 1992-12-11 1994-06-28 Canon Inc 記録再生装置
US5583791A (en) 1992-12-11 1996-12-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5481296A (en) * 1993-08-06 1996-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viewing video information
JPH08163479A (ja) 1994-11-30 1996-06-21 Canon Inc 映像検索方法及び装置
CA2180975C (en) * 1995-07-11 2000-01-18 Tomoko Matsuzawa Scenario editor for multimedia data and scenario reproducing apparatus
US5760767A (en) * 1995-10-26 1998-06-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nd out points during video edi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574A (ja) * 1986-10-20 1988-05-07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デイスクプレ−ヤ
JPH04345284A (ja) * 1991-05-22 1992-12-01 Fuji Xerox Co Ltd 動画像検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3668A1 (en) 1998-09-09
WO1998014007A1 (en) 1998-04-02
JPH1098665A (ja) 1998-04-14
US6608964B1 (en) 2003-08-19
EP0863668A4 (en) 2000-02-23
TW376647B (en) 1999-12-11
JP3211679B2 (ja) 2001-09-25
KR19990071537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5032B2 (en) Video apparatus and method
US5577190A (en) Media editing system with adjustable source material compression
US5493345A (en) Method for detecting a scene change and image editing apparatus
US5621536A (en)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sets key frame information
JP2003009044A (ja) 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EP0860829A2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92086B1 (ko) 편집장치및편집방법
US6795640B1 (en) Data recording device, data reproducing device and data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encoded data over a plurality of recording media
US5895121A (e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JPH0877755A (ja) 圧縮画像情報の再生装置
JP2002281433A (ja) 動画像検索閲覧編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090936B2 (ja) 動画像検索装置
JPH1051734A (ja) 動画像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編集方法
US20030091334A1 (en)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6754434B2 (en) AV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V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785465B1 (en) Disk apparatus, video/audio data processor, and video/audio control method that detect audiovisual frame information to control output
JP3313794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2262240A (ja) 録画シーン検索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3666043B2 (ja) 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編集方法及びその装置
JP3466335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20030038852A (ko) 정지 화면의 캡쳐를 이용한 북 마크 정보의 기록/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4229342B2 (ja) ノンリニア映像編集システム
JP3239005B2 (ja) デジタル動画像圧縮データ複製装置及びデジタル動画像圧縮データ再生装置
JP3422423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08129859A (ja) 編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