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632B1 - 전류 모드 논리 회로 - Google Patents

전류 모드 논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632B1
KR100286632B1 KR1019950033798A KR19950033798A KR100286632B1 KR 100286632 B1 KR100286632 B1 KR 100286632B1 KR 1019950033798 A KR1019950033798 A KR 1019950033798A KR 19950033798 A KR19950033798 A KR 19950033798A KR 100286632 B1 KR100286632 B1 KR 10028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mode
logic circuit
mos transistors
circuit
mode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20A (ko
Inventor
후루타고이찌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1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4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MOSFET or 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e. IGFE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017Bistable circuit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input circuit
    • H03K3/356034Bistable circuit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input circuit the input circuit having a differentia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93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r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0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 H03K19/0172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by means of a pull-up or down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43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coupled sources or source coupled logic

Abstract

본 발명은 노이즈 또는 전력 변동에 의한 영향에 강한 저항력과 큰 이득을 가지며 파형 정형을 실행하는 회로를 이용하는 전류 모드 논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집적 회로의 영역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는다.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2), 부하 소자(R31 및 R32), 및 정전류원(131)으로 구성된 차동 논리쌍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는 MOS 트랜지스터(M33 및 M34)로 구성된 홀딩 트랜지스터 쌍이 제공된다.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2)는 동일한 컨덕턴스를 가지며, MOS 트랜지스터(M33 및 M34)는 동일한 컨덕턴스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의 전력 소비가 일정한 경우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3)의 컨덕턴스의 합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류 모드 논리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0B : 출력선 31,31B : 입력선
I31 : 정전류원 R31,R32 : 부하 소자
M31,M32,M33,M34 : MOS 트랜지스터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전류 모드 논리 회로, 특히 파형 저영을 실행하는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한 타입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논리 회로를 저 전원 전압 및 고속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실례로, 제 1도는 종래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대한 한 형태의 회로도이다.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차동 논리쌍으로서 MOS 트랜지스터(M11 및 M12)를 갖는 인버터/버퍼 회로(inverter/buffer circuit)이다. MOS 트랜지스터(M11)의 게이트 전극은 입력선(11)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정전류원(I11)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출력선(10) 및 부하 소자(R11)에 접속된다. MOS 트랜지스터(M12)의 게이트 전극은 입력선(11B)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정전류원(I11)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출력선(10B) 및 부하 소자(R12)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동작이 제 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입력 신호 및 그 반전 신호가 입력선(11 및 11B) 각각으로부터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입력되고, 입력선(11)의 입력 신호가 고 레벨(high level)에서 저 레벨(low level)로 변화하는 경우, MOS 트랜지스터(M11)는 도전 상태에서 비도전 상태로 전환되고, MOS 트랜지스터(M12)는 비도전 상태에서 도전 상태로 전환되어, 정전류의 경로가 전환되고, 부하 소자(R11)에서의 전압 강하 발생 없이 부하 소자(R12)에서만 전압 강하가 발생되며, 출력선(10)의 신호는 고 레벨로 변화되고, 출력선(10B)에서의 신호는 저 레벨로 변화한다.
제 2도는 종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다른 예에 대한 회로도이다. 이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N 입력 신호들 중에서 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 1도에 설명된 MOS 트랜지스터(M11 및 M12)로 구성된 차동 논리 쌍 대신에, 상기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N 세트의 입력선(211, 211B; 221, 221B, ...2N1, 2N1B)에 입력된 N 세트의 입력 신호들 및 그 반전 신호들을 증폭하는 N 세트의 MOS 트랜지스터들(M211, M212; M221, M222; ...M2N1, M2N2)과, 전류가 상기 N 세트의 MOS 트랜지스터들로 공급되는데 대한 여부를 선택하는, N 개의 입력선들(213, 223,...,2N3)각각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갖는 N 개의 MOS 트랜지스터들(M213, M223, ...,M2N3)로 이루어진 직병렬 접속 차동 논리쌍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제 2도 회로의 전력 소비가 제 1도 회로의 전력 소비와 동일하게 설계되는 경우, 부하 소자(R21 및 R22)와 정전류원(I21)의 값은 부하 소자(R11 및 R12)와 정전류원(R11)의 값과 동일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동작이 제 2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예컨데,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N 입력선들(213, 223, ... 2N3)중 입력선(213)의 입력 신호만이 고 레벨인 경우, 전류는 MOS 트랜지스터(M211 및 M212)에만 공급되고, 결과적으로, 입력선(211 및 211B)의 신호는 증폭되어, 출력선(20 및 20B)으로 출력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기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경우에 있어서, 출력 신호의 진폭이 논리 회로의 스위칭(switching)에 의해 야기된 노이즈, 전원 전압 변동, 또는 제조 프로세스의 변동을 통하여 감소되는 경우에, 논리 회로의 설계자는 출력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도록 연속되는 게이트 웨이퍼 섹션의 수(논리 회로 웨이퍼 섹션의 수)를 증가하여 회로를 추가하거나, 또는 각각의 개별 게이트(개별 논리 회로)의 이득을 증가하도록 트랜지스터 치수를 증가 시킬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노이즈의 영향 또는 전원 변동에 강한 큰 이득을 갖는 집적 회로를 설계할 경우, 동일 면적내의 집적 회로 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논리 회로 설계자는 다른 필요한 기능들을 분리된 집적 회로들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것은 집적 회로의 면적 증가와 비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적 회로 면적의 증가를 제한하며, 노이즈 또는 전력 변동에 의한 영향에 강한 저항력과 큰 이득을 갖는 파형 정형을 실행하는 회로를 이용하는 전류 모드 논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에 의해 제 1 출력선과 정전류원 사이의 도전 또는 비도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논리 수단 및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에 의해 제 2 출력선과 정전류원 사이의 도전 또는 비도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 2 논리 수단으로 구성되는 차동 논리쌍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논리 수단의 등가 컨덕턴스는 동일하게 되고,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논리 수단의 도전 또는 비도전 상태가 상보적인 논리로 동작되는, 상기 차동 논리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출력선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 1 출력선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정전류원에 접속된 소스 전극을 갖는 제 1 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출력선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출력선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 및 정전류원에 접속된 소스 전극을 갖는 제 2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홀딩 트랜지스터 쌍(holding transistor pair)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는 동일한 컨덕턴스를 갖게 되는, 상기 홀딩 트랜지스터 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에 기초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차동 논리쌍으로서의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2)를 갖는 인버터/버퍼 회로가 되며, 여기서 MOS 트랜지스터(M31)는 입력선(31)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정전류원(I31)에 접속된 소스 전극, 및 출력선(30) 및 부하 소자(R31)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갖는다. MOS 트랜지스터(M32)는 입력선(31B)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정전류원(I31)에 접속된 소스 전극, 및 출력선(30B) 및 부하 소자(R32)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갖는다.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또한 MOS 트랜지스터(M33 및 M34)로 구성된 홀딩 트랜지스터 쌍을 구비한다. MOS 트랜지스터(M33)는 출력선(30B)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정전류원(I31)에 접속된 소스 전극, 및 출력선(30)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갖는다. MOS 트랜지스터(M34)는 출력선(30)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정전류원(I31)에 접속된 소스 전극, 및 출력선(30B)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갖는다.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차동 논리쌍을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2)가 동일한 컨덕턴스를 가지며, 홀딩 트랜지스터 쌍을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M33 및 M34) 역시 동일한 컨덕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전류원(I31)은 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이들 트랜지스터의 저항 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부하 소자(R31 및 R32)는 예컨대, 확산층, 다결정 실리콘 및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이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있어서, 예컨대, 입력 신호 및 그 반전 신호가 입력선(31 및 31B)에 각각 입력되고, 입력선(31)의 입력 신호가 고 레벨(high level)에서 저 레벨(low level)로 변화될 때, MOS 트랜지스터(M31)는 도전 상태에서 비도전 상태로 변화되고, MOS 트랜지스터(M32)는 비도전 상태에서 도전 상태로 변화되어, 그에 따라 정전류 경로가 전환되고, 부하 소자(R31)에서의 전압 강하 발생 없이 전압 강하가 부하 소자(R32)에서만 발생하며, 출력선(30)의 신호가 고 레벨로 변화하고, 출력선(30B)의 신호가 저 레벨로 변화한다.
이때,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MOS 트랜지스터(M33 및 M34)의 게이트 전극에 출력선(30B) 및 출력선(30)의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MOS 트랜지스터(M33 및 M34)는 차동 논리쌍의 MOS 트랜지스터(M31 또는 M32)에 뒤이어 도전 또는 비도전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드레인 전극에 접속된 출력선(30) 및 출력선(30B)의 출력 신호 전위의 변화가 가속되고,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입력/출력 이득은 증가되며, 그 출력 파형의 정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전력 소비가 일정한 값으로 된다면,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와 출력선과 정전류원 사이의 차동 논리쌍의 등가 커패시턴스의 합은 일정한 값이 되고,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입력/출력 이득은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출력 파형의 정형이 가능하게 되고,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추가에 기인한 집적 회로 면적의 증가는 억제된다.
실례로,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전력 소비가 제 1도에 도시된 종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전력 소비와 동일한 경우, 부하 소자(R31 및 R32) 및 정전류원(I31)의 값은 제 1 도의 부하 소자(R11 및 R12) 및 정전류원(I11)의 값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3)의 컨덕턴스의 합은 제 1도의 M11의 컨덕턴스와 동일하게 된다. 채널 길이가 고정된다면, MOS 트랜지스터의 컨덕턴스는 채널 폭에 비례하므로,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3)의 트랜지스터 면적의 합은 제 1도의 M11의 트랜지스터 면적과 동일하게 되며,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추가로 인한 트랜지스터 면적의 증가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있어서, 출력선과 정전류원 사이의 홀딩 트랜지스터 싸의 컨덕턴스가 차동 논리쌍의 등가 컨덕턴스 보다 크게 된다면,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입력/출력 특성은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에 종속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것은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구동 전류가 차동 논리쌍의 구동 전류 보다 크게 되고, 출력 전위를 반전시키는데 큰 입력 전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의 회로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회로 면적의 증가를 제한하고, 전류 모드 논리 회로가 노이즈 영향에 강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제 1도의 종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있어서 본 발명과 동일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추가적인 게이트 회로 섹션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러한 추가로 인하여 논리 회로의 집적 회로 면적을 증가시킨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N 입력 신호들 중에서 하나의 입력 신호가 선택되어 출력되는 회로가 된다. 제 3도에 도시된 MOS 트랜지스터(M31 및 M32)로 구성된 차동 논리쌍을 대신하여, 상기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N 세트의 입력선들(411,411B; 421,421B; ... 4N1,4N1B) 각각에 입력되는 N 세트의 입력 신호들 및 그 반전 신호들을 증촉하는 N 세트의 MOS 트랜지스터들(M411,M412; M421,M422; ... M4N1,M4N2); 및 상기 N 세트의 MOS 트랜지스터들에 전류가 공급되는데 대한 여부를 선택하는, N 입력선(413, 423, ..., 4N3) 각각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갖는 N MOS 트랜지스터들(M413, M423, ..., M4N3)로 구성된 직병렬 접속 차동 논리쌍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가 그 전력 소비에 있어서 제 3도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전력 소비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되는 경우, 부하 소자(R41 및 R42) 및 정전류원(I41)의 값은 제 3도의 부하 소자(R31 및 R32) 및 정전류원(I31)의 값과 각각 동일하게 된다. 유사하게, MOS 트랜지스터(M401 및 M402)로 구성되는 홀딩 트랜지스터 쌍은 제 3도의 MOS 트랜지스터(M33 및 M34)로 구성된 홀딩 트랜지스터 쌍과 동일한 컨덕턴스를 갖는다.
이러한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전력 소비가 일정한 경우, 출력선(40)과 정전류원(I41) 사이 및 출력선(40B)과 정전류원(I41) 사이의 MOS 트랜지스터(M411,M412; M421,M22; ... M4N1,M4N2) 및 MOS 트랜지스터들(M413, M423, .. M4N3)로 구성되는 직병렬 접속 차동 논리쌍의 등가 컨덕턴스와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의 합이 일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의 동작이 제 4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된다. 실례로, N 입력선들(413, 423, ... 4N3)중에서, 단지 입력선(413)의 입력 신호만이 고 레벨인 경우, 전류는 MOS 트랜지스터(M411 및 M412)에만 공급되고, 결과적으로, 입력선들(411 및 411B)의 입력 신호는 증폭되어, 출력선들(40 및 40B)로 출력된다. 이때, MOS 트랜지스터들(M401 및 M402)로 구성되는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동작은 제 3도의 M33 및 M34 로 구성된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동작과 일치하게 되며, 제 3도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와 동일한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병렬 접속 차동 논리쌍이 클 경우, 출력선과 정전류원 사이의 차동 논리쌍의 등가 컨덕턱스 및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의 합이 일정하게 되는 조건은, 회로 면적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를 방생시키며, 홀딩 트랜지스터 쌍을 갖지 않는 개별의 종래 회로에 비하여도 회로 면적 감소의 효과를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MOS 트랜지스터들이 직렬 접속되고 컨덕턴스가 일정한 경우, MOS 트랜지스터들의 채널 폭 및 MOS 트랜지스터 면적은 2배가 되므로, 제 2도에 도시된 종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서와 같이 차동 논리쌍에 많은 MOS 트랜지스터가 존재할 경우 전체적인 구조내에서 차동 논리쌍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실례로, 본 실시예의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의 비율이 40% 라면, 차동 논리쌍의 컨덕턴스는 60% 가 된다. 제 2도 논리 회로의 집적 회로 면적과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차동 논리쌍은 면적의 60% 를 점유하고,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2 트랜지스터에 대한 40% 면적 증가에 대하여, 2배 크기의 차동 논리쌍의 3N 트랜지스터들에 대한 40% 면적 감소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논리 회로의 면적에 있어서 커다란 감소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는 N 입력 신호들 중에서 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전류 모드 논리 회로를 이용하지만, 직병렬 접속 차동 논리쌍을 통하여, 논리 회로 설계자는 예컨대, NAND/AND 회로, NOR/OR 회로, 합산 회로, 또는 래치 회로의 논리를 실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부가하여, 논리 회로 설계자는 MOS 트랜지스터를 대신하여 다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계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MOS 트랜지스터로 실현되는 차동 논리쌍을 갖는 종래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홀딩 트랜지스터 쌍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의 비율에 따라 입력/출력 이득을 높이고 파형 정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홀딩 트랜지스터 쌍의 컨덕턴스를 차동 논리쌍의 등가 컨덕턴스 보다 크게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입력/출력 특성으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선과 정전류원 사이의 차동 논리쌍의 등가 컨덕턴스에 부가된 홀딩 트랜지스터쌍의 컨덕턴스의 합이 일정하다면, 본 발명의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회로 영역의 증가를 제한하고 노이즈 영향에 강한 논리 회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모드 논리 회로는 차동 논리쌍의 크기가 증가할 수록 회로 면적상의 효과는 더욱 두드러지며, 홀딩 트랜지스터 쌍을 갖지 않는 종래의 개별 회로와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회로 구성은 회로 면적 축소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이점이 상술되긴 하였으나, 그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전류 모드 논리 회로에 있어서,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출력선과 정전류원간의 도전 또는 비도전 상태들을 제어하는 제 1 논리 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출력선과 상기 정전류원간의 도전 또는 비도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 2 논리 수단으로 구성되는 차동 논리 쌍(differential logic pair)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논리 수단들의 등가 컨덕턴스들은 동일하고, 상기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논리 수단들의 도전 또는 비도전 상태들은 상보적 논리로 동작하는, 상기 차동 논리 쌍(differential logic pair)과, 상기 제 2 출력선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 1 출력선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 상기 정전류원에 접속된 소스 전극을 구비한 제 1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출력선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출력선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 상기 정전류원에 접속된 소스 전극을 구비한 제 2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홀딩 트랜지스터 쌍(holding transistor pair)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컨덕턴스를 가지는, 상기 홀딩 트랜지스터 쌍(holding transistor pair)을 포함하는 전류 모드 논리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논리 수단들은 상기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가 입력되는 게이트 전극들을 구비한 MOS 트랜지스터들인, 전류 모드 논리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또는 그 반전 신호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 또는 그 반전 신호들의 조합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논리 수단들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들 또는 그 반전 신호들이 입력되는 게이트 전극들을 구비한 직병렬 접속된 MOS 트랜지스터들인, 전류 모드 논리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들의 컨덕턴스는 상기 제 1 및 제 2 논리 수단들의 등가 컨덕턴스보다 큰, 전류 모드 논리 회로.
KR1019950033798A 1994-09-28 1995-09-28 전류 모드 논리 회로 KR100286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3491A JP2600619B2 (ja) 1994-09-28 1994-09-28 電流モード論理回路
JP94-233491 1994-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20A KR960010420A (ko) 1996-04-20
KR100286632B1 true KR100286632B1 (ko) 2001-04-16

Family

ID=1695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798A KR100286632B1 (ko) 1994-09-28 1995-09-28 전류 모드 논리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50491A (ko)
JP (1) JP2600619B2 (ko)
KR (1) KR100286632B1 (ko)
DE (1) DE1953621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068A (en) * 1995-11-03 1997-09-09 Vlsi Technology, Inc. GTL input receiver with hysteresis
US5978379A (en) 1997-01-23 1999-11-02 Gadzoox Networks, Inc. Fiber channel learning bridge, learning half bridge, and protocol
US6014041A (en) * 1997-09-26 2000-01-11 Intel Corporation Differential current switch logic gate
US7430171B2 (en) 1998-11-19 2008-09-30 Broadcom Corporation Fibre channel arbitrated loop bufferless switch circuitry to increase bandwidth without significant increase in cost
US6794907B2 (en) * 2000-09-15 2004-09-21 Broadcom Corporation Low jitter high speed CMOS to CML clock converter
US7239636B2 (en) 2001-07-23 2007-07-03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virtual channels for use in network devices
US7295555B2 (en) 2002-03-08 2007-11-1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upper layer protocol message boundaries
US7346701B2 (en) 2002-08-30 2008-03-1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CP offload
US7934021B2 (en) 2002-08-29 2011-04-2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interfacing
US7411959B2 (en) 2002-08-30 2008-08-12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out-of-order frames
US7313623B2 (en) 2002-08-30 2007-12-25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CP/IP offload independent of bandwidth delay product
US8180928B2 (en) 2002-08-30 2012-05-1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read operations with CRC for iSCSI and iSCSI chimney
US20040145389A1 (en) * 2003-01-28 2004-07-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High speed current mode NOR logic circuit
JP5025171B2 (ja) * 2005-09-29 2012-09-12 エスケーハイニックス株式会社 差動増幅装置
JPWO2012176250A1 (ja) * 2011-06-23 2015-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差動スイッチ駆動回路及び電流ステアリング型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JP2017005581A (ja) * 2015-06-12 2017-01-05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信号伝達回路及び発振回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333A (en) * 1975-12-15 1977-08-09 Intel Corporation High speed input buffer circuit
US4570084A (en) * 1983-11-21 1986-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cked differential cascode voltage switch logic systems
FR2594610A1 (fr) * 1986-02-18 1987-08-21 Labo Electronique Physique Dispositif semiconducteur du type reseau de portes prediffuse pour circuits a la demande
DE3729925A1 (de) * 1987-09-07 1989-03-23 Siemens Ag Pegelumsetzschaltung
US4924116A (en) * 1988-01-19 1990-05-08 Honeywell Inc. Feedback source coupled FET logic
JPH0727717B2 (ja) * 1988-07-13 1995-03-29 株式会社東芝 センス回路
US5149992A (en) * 1991-04-30 1992-09-22 The State Of Oregon Acting By And Through The State Board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Oregon State University MOS folded source-coupled log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36217C2 (de) 1997-07-24
DE19536217A1 (de) 1996-04-11
US5550491A (en) 1996-08-27
JP2600619B2 (ja) 1997-04-16
KR960010420A (ko) 1996-04-20
JPH0897708A (ja)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632B1 (ko) 전류 모드 논리 회로
US4612466A (en) High-speed output driver
US4733110A (en) BICMOS logical circuits
US5877642A (en) Latch circuit for receiving small amplitude signals
KR960003375B1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의 출력회로
US5909127A (en) Circuits with dynamically biased active loads
US4754171A (en) High speed low power emitter coupled logic circuit
US5498980A (en) Ternary/binary converter circuit
KR930001439B1 (ko) BiCMOS용 출력회로
US4093875A (en) Field effect transistor (FET) circuit utilizing substrate potential for turning off depletion mode devices
JP2743401B2 (ja) Ecl回路
US4603264A (en) Schmitt trigger circuit with stable operation
JPH03158018A (ja) 入力回路
US4868422A (en) TTL compatible CMOS logic circuit for driving heavy capacitive loads at high speed
EP0529545A1 (en) Level shifting CMOS integrated circuits
JPH01300714A (ja) 負荷電流制御型論理回路
JPS62256531A (ja) デジタル論理駆動回路
JP2682783B2 (ja) Bi−fetロジック回路
US4841172A (en) Bipolar-MOS logic circuit with high speed operation
US4977338A (en) High speed bipolar-MOS logic circuit including a series coupled arrangement of a bipolar transistor and a logic block having a MOSFET
EP0625825B1 (en) Low-power consumption BI-CMOS circuit formed by a small number of circuit components
JPH1093419A (ja) エミッタ結合論理出力回路
US5182472A (en) Logic circuit with bipolar CMOS configuration
JP3171927B2 (ja) 半導体集積回路
US5446400A (en) GTL compatible BICMOS input s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813

Effective date: 2000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