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889B1 - 주형중합용수지조성물및광학재료 - Google Patents

주형중합용수지조성물및광학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889B1
KR100285889B1 KR1019970006461A KR19970006461A KR100285889B1 KR 100285889 B1 KR100285889 B1 KR 100285889B1 KR 1019970006461 A KR1019970006461 A KR 1019970006461A KR 19970006461 A KR19970006461 A KR 19970006461A KR 100285889 B1 KR100285889 B1 KR 10028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aterial
polymerization
formula
weight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955A (ko
Inventor
가츠요시 다나카
슈지 스야마
데츠로 다시로
Original Assignee
우노 마사야스
닛폰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노 마사야스, 닛폰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노 마사야스
Publication of KR1998002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08F222/1025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of aromatic dialcoho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Figure pat00001
(R1: H, -CH3, R2: C2∼4 의 알킬렌기, m, n 은 2∼5의 정수)로 표시되는 단량체(1) 20∼60중량%,
Figure pat00002
(R3: H, CH3, R4, R5: C2∼4 의 알킬렌기, j, k 는 0 또는 1)로 표시되는 단량체(2) 10∼40중량%, 상기 단량체(1) 및 (2) 이외의 1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 (3) 5∼70중량%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중합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재료.

Description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및 광학재료{RESIN COMPOSITION FOR POLYMERIZATION CASTING AND OPTICAL MATERIAL}
본발명은 플라스틱렌즈 등의 광학재료로 유용한 주형(注型) 중합용 조성물 및 내충격성 등에 우수한 저 비중으로 경량의 광학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기유리를 대신하는 유기유리에 대해서 여러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나, 결점도 많고 충분히 만족할 성상의 것은 얻지 못했다. 유기유리의 대표적인 것은 폴리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를 들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 내찰상성, 주형성형성, 염색성, 하드코트피막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플라스틱렌즈등의 광학재료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는 굴절률이 1.50 정도로 낮고, 이 때문에 가령 마이너스렌즈의 경우, 렌즈의 모서리두께가 두꺼워질 뿐아니라 비중이 1.32정도로 크고, 얻어지는 렌즈가 무거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광학용렌즈에 있어서, 고 굴절률화와 함께 저 비중화의 소재로의 요구가 강해진다. 그래서, 이들 결점을 개량한 고 굴절률 수지도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가령, 화학식 3 (R1및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m 및 n은 0∼2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합성수지렌즈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공소 58-17527호 공보, 특공평 3-45362호 공보).
Figure pat00003
그러나, 이들 합성수지렌즈는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이 여전히 충분하다고 하기 어렵다.
화학식 4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및 R3은 탄소수 2∼6의 알킬렌기, X는 수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렌기, Y 는 탄소수 1∼3 의 직쇄상 또는 분기할 알킬렌기, -O-, -S-, -SO- 및 -SO2-에서 선택되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m + n 은 0 또는 1∼4 의 정수, k + 1 은 0∼12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합성수지렌즈로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특공평 6-93041호 공보).
Figure pat00004
이 공보에는 화학식 4 로 표시되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Y나 k + 1 이 각각 상이한 많은 종류의 단량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단량체의 단독중합체는 비중이 1.25 이상으로 크며 내충격성도 여전히 충분하다고 할수 없다. 또, 화학식 4 로 표시되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2종류 이상 혼합할 수 있을 것, 및 타 단량체를 조합시키는 것도 표시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기재된 조합은 경량성,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충분히 만족할수 있는 것이 못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굴절률, 무색투명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 등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더욱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저 비중으로 경량화된 광학재료 및 그 광학재료등의 원재료가 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탄소수 2∼4 개의 알킬렌기, m 및 n은 2∼5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단량체(1) 20∼60중량%,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식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4및 R5는 동일 또는 상이한 기로서, 탄소수 2∼4 의 알킬렌기, j 및 k 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단량체(2) 10∼40중량%, 상기 단량체(1)과 (2)이외의 1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3) 5∼70 중량%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이 제안된다.
또, 본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을 중합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재료가 제공된다.
본발명의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1), 상기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단량체(2), 이들 이외의 특정단량체(3)을 특정배합비율로 함유한다.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표시하나, 조성물을 중합경화시킬때의 수지재료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데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m 및 n은 조성물을 중합경화시킬때의 수지재료의 굴절률, 내열성 및 내충격성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2-5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이다. m 및 n의 적어도 한쪽이 2미만일 경우, 굴절률 및 내열성은 문제없으나, 내충격성이 충분치 않다. m 및 n은 적어도 한쪽이 5를 초과할 경우, 수지재료의 경도가 저하되고, 내열성도 저하된다. 단량체(1)에 있어서 -(OR2)-는 상이한 원자단을 1분자중에 갖는 화합물, 가령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등도 함유한다.
단량체(1)은 조성물을 중합경화시킬때의 수지재료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또 연마성 등을 향상시킨다. 단량체(1)은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프로필옥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프로필옥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프로필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2-(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등을 들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단량체(1)의 혼합비율은 조성물중의 단량체 전량에 대하여 20-60중량%, 바람직하게는 25∼55중량%이다. 20중량% 미만은 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서 얻은 수지재료의 경량화가 충분치 않고, 또한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60중량%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수지재료의 경도와 내열성이 저하된다.
화학식 2 에 있어서,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표시하나, 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수지재료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데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R4및 R5의 탄소수는 조성물을 중합경화시킬때의 수지재료의 굴절률 및 내열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2∼4이고,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이다. j 및 k 는 조성물을 중합경화시킬때의 수지재료의 굴절률 및 내열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0 또는 1이다.
단량체(2)는 카보네이트기를 가지고, 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서 얻은 수지재료의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단량체(2)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고, 사용에 있어서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Figure pat00007
단량체(2)의 함유비율은 조성물중의 단량체 전량에 대하여, 10∼40중량%, 바람직하게는 15∼35중량%이다. 10중량% 미만은 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서 얻은 수지재료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단단해져서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비중도 커지며, 또한 조성물 점도가 상승하여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취급이 곤란해진다.
단량체(3)는 상기 단량체(1) 및 (2)이외의 1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로서, 가령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p-클로로스티렌, o-클로로스티렌, p-브롬스티렌, o-브롬스티렌, 디비닐벤젠, 디비닐비페닐,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벤조산비닐, (메타)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p-클로로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p-클로로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p-브롬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p-브롬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3-아크릴로일옥시글리세린모노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프로판, 디이소프로필푸마레이트, 디이소프로필말레이트, 디벤질 푸마레이트, 디벤질말레이트, 디벤질메사코네이트,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등을 들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특히 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등의 사용에 의해 중합경화시켜서 얻은 수지재료의 굴절률을 향상시킬수 있고, 더더욱 저 비중화가 달성된다. 또,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등의 가교성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중합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수지재료의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다.
단량체(3)의 함유비율은 조성물중의 단량체 전량에 대하여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이다.
본발명의 조성물은 가령 경화제를 첨가하여 소망하는 형내에 유입 가열경화반응시키는 방법등에 의해 후기하는 광학재료등의 각종 수지재료로 할수 있다.
본발명의 조성물을 경화반응시킴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염료, 안료등의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각종 안정제; 대전방지제; 광색성 화합물; 형광증백제; 내부이형제; 중합도 조정제 등을 적절히 첨가할수 있다.
중합도 조정제로는 사염화탄소, 티올, α-메틸스티렌다이머등을 들수 있으나, 취급과 악취점에서 α-메틸스티렌다이머 사용이 바람직하다. 중합도 조정제를 첨가할 경우의 첨가량은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 특히 1∼3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0.01 중량부 미만으로는 중합도 조정이 충분하지 않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중합도 저하에 따른 내열성과 내후성 저하가 현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발명의 광학재료는 상기 본발명의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을 중합경화시켜 얻어진다. 광학재료를 조제할 때,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화제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120℃ 이하의 아조계 중합개시제, 유기과산화물 중합개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등이 사용된다. 아조계 중합개시제는 가령, 2,2-아조비스(2,4-디메틸바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 카르보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수 있다. 유기과산화물 중합개시제는 가령, 과산화벤조일,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등을 바람직하게 들수 있다. 경화제 사용량은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5중량부, 특히 1∼4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0.05중량부 미만은 조성물 경화가 불충분하여 얻어지는 광학재료의 물성이 저하되고,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경화반응 제어가 곤란하여 성형물 표면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의 중합경화반응은 산소에 의한 경화속도 저하나 얻은 광학재료의 착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활성가스, 가령 질소,헬륨,이산화탄소 등으로 치환 또는 그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온도 및 경화시간은 사용하는 경화제에 따라 상이하나, 20∼130℃ 로 5∼48 시간의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경화반응시에는 경화시간의 단축, 경화반응의 완결 및 미반응의 경화제 분해처리를 목적으로 적시 승온된다. 가령, 사용하는 경화제의 10시간 반감기 온도보다 약 30℃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승온하고, 최종적으로 10시간 반감기 온도보다 30℃ 높은 온도 정도에서 경화반응을 완결시킬수 있다.
이와같은 가열에 따른 경화반응에 의해 얻어진 경화성형물은 내부변형이 존재하므로, 바람직하게는 100∼14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 130℃에서 30분간 이상 6시간미만, 특히 1∼4시간 어니일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점도가 낮을 경우, 또는 경화수축이 큰 경우에는 예비중합을 행한후에 소망하는 형내에 넣고서 중합경화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의 광학재료나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을 중합경화시킨 수지재료 성형물 표면에는 통상의 하드코트 피막을 설치하고, 표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하드코트피막을 설치하는데는 공지의 하드코트제를 도포, 건조시키면 되나 하드코트피막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광학재료 등의 표면에 미리 프라이머액을 도포한후에 하드코트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액은 폴리우레탄, 멜라민 등의 용액을 들수 있다. 하드코트제 및 프라이머액 도포는 디핑법, 스핀코트법, 프로코트법, 스프레이법 등이 채용된다. 또한, 광학재료나 수지재료성형물 표면에 반사방지피막을 설치하고, 표면 반사를 억제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일수 있다.
본발명의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중합시에 내부 변형이 적고, 성형성이 우수하다. 또, 본발명의 광학재료는 필요한 물성을 균형좋게 구비하고 있어, 투명성, 굴절률 외에 내충격성, 내열성, 경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저 비중으로 경량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안경, 콘택트렌즈 등의 렌즈재료등으로 유용하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나,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단량체(1) 로서는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55 중량부, 단량체(2)로서의 화학식 6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중량부 및 단량체(3)으로서의 스티렌 25중량부를 혼합하여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에 중합개시제로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0중량부를 혼합하고, 2매의 유리판과 실리콘제 가스켓으로 되는 주형 주형(注型 鑄型)에 주입하여 70℃ 의 항온조중에서 12시간 가열하고, 다시 100℃에서 4시간 가열하였다. 가열경화후, 형에서 경화한 성형물을 꺼내고, 120℃에서 4시간 어니일링을 행하여 광학재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광학재료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단량체 조성 및 중합개시제 종류와 사용량을 표 1에,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굴절률, 압베수: 압베굴절계 (아타고(주)제)를 사용하여, 광학재료의 굴절률 및 압베수를 측정하였다. 압베수는 높을수록 파장의존성이 적어 바람직하다.
비중: 수중치환법에 따라 (광학재료중량/광학재료체적)의 비율에서 구하였다.
내충격성: 광학재료(직경 8cm, 두께 1.0mm) 5매씩으로 127cm 높이에서 16.3g, 28.2g, 35.8g, 44.7g 및 66.8g 의 강구를 가벼운 순으로 낙하시켜, 광학재료가 파손되지 않는 가장 무거운 강구의 중량의 평균으로 평가하였다.
왜곡: 왜곡검사기(상품명「SVP-200」도시바 유리(주)제)로 광학재료의 왜곡을 관찰, 왜곡발생이 없는 것을 ○, 발생한 것을 × 로 하였다.
내열성: 성형물을 130℃ 의 건조기안에 2시간 방치후, 육안 및 왜곡 검사기로 광학재료를 관찰, 변형, 균열, 표면열화, 착색 등의 변화가 전혀 확인되지 않는 것을 ○, 확인된 것을 × 로 하였다.
내용제성: 광학재료를 아세톤중에 2시간 방치후, 성형물에 변형, 균열, 착색등의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 것을 ○, 확인된 것을 × 로 하였다.
경도: 연필경도(JIS K-5400)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2∼12
표 1 에 표시하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화반응, 성형, 어니일링을 행하여 광학재료를 조제하였다. 단,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이용할 경우에는 가열을 65℃에서 12시간, 다시 100℃에서 4시간으로 하였다. 중합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시드 및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가열을 70℃에서 12시간, 다시 100℃에서 4시간으로 하였다. 중합개시제로서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가열을 40℃에서 12시간, 다시 90℃에서 4시간으로 하였다. 얻어진 광학재료에 대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비교예1∼7
표 1 에 표시하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화반응, 성형, 어니일링을 행하여 광학재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광학재료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중의 약기는 이하와 같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St: 스티렌, C-St: p-클로로스티렌, DEGDM: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TEGDM: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BzMA: 벤질메타크릴레이트,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DBzF:디벤질푸마레이트, CR-39: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 TBPE: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BPN: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AIBN: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MAIB: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BPO: 벤조일퍼옥시드, IPP: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단량체(1) (중량%) 단량체(2) (중량%) 단량체(3) (중량%) 중합개시제 (중량부)
실시예1 화학식5 의 화합물 (55) 화학식6 의 화합물 (20) St (25) TBPE (1.0)
실시예2 화학식5 의 화합물 (40) 화학식6 의 화합물 (15) St, TEGDM (25), (20) TBPE (1.2)
실시예3 화학식5 의 화합물 (50) 화학식6 의 화합물 (20) MMA, DBzF (20),(10) TBPN (2.0)
실시예4 화학식7 의 화합물 (50) 화학식6 의 화합물 (30) St (20) AIBN (1.5)
실시예5 화학식7 의 화합물 (40) 화학식6 의 화합물 (30) St, DEGDM (20),(10) MAIB (1.5)
실시예6 화학식7 의 화합물 (30) 화학식6 의 화합물 (20) St, MMA (30),(20) TBPE (1.0)
실시예7 화학식9 의 화합물 (35) 화학식6 의 화합물 (35) BzMA (30) TBPE (1.0)
실시예8 화학식5 의 화합물 (55) 화학식10 의 화합물 (20) MMA (25) TBPN (1.5)
실시예9 화학식8 의 화합물 (50) 화학식10 의 화합물 (20) St (30) BPO (1.0)
실시예10 화학식5 의 화합물 (40) 화학식11 의 화합물 (20) C-St, MMA (15),(25) TBPN (1.5)
실시예11 화학식7 의 화합물 (40) 화학식11 의 화합물 (15) St, DEGDM (20),(25) TBPE (1.2)
실시예12 화학식8 의 화합물 (50) 화학식11 의 화합물 (20) C-St, DBzF (20),(10) TBPN (2.0)
비교예1 - - CR-39 (100) IPP (3.5)
비교예2 - 화학식6 의 화합물 (100) - TBPN (1.5)
비교예3 - 화학식11 의 화합물 (50) DEGDM (50) TBPN (1.5)
비교예4 - 화학식6 의 화합물 (70) BzMA (30) TBPE (1.2)
비교예5 화학식5 의 화합물 (60) - St (40) TBPE (1.2)
비교예6 화학식9 의 화합물 (70) 화학식6 의 화합물 (5) St (25) TBPE (1.2)
비교예7 화학식7 의 화합물 (10) 화학식11 의 화합물 (50) BzMA (40) TBPE (1.2)
굴절률 비 중 내충격성 왜곡 내열성 내용제성 경도
실시예1 1.57 1.169 66.8g 3H
실시예2 1.55 1.159 66.8g 3H
실시예3 1.55 1.179 66.8g 2H
실시예4 1.56 1.179 66.8g 3H
실시예5 1.56 1.189 66.8g 3H
실시예6 1.56 1.159 66.8g 3H
실시예7 1.55 1.189 66.8g 2H
실시예8 1.54 1.189 66.8g 3H
실시예9 1.57 1.159 66.8g 2H
실시예10 1.55 1.179 66.8g 3H
실시예11 1.55 1.179 66.8g 2H
실시예12 1.57 1.169 66.8g 2H
비교예1 1.5 1.320 44.7g 2H
비교예2 1.54 1.260 28.2g 3H
비교예3 1.53 1.254 35.8g 2H
비교예4 1.55 1.233 35.8g × H
비교예5 1.57 1.139 16.3g H
비교예6 1.56 1.172 44.7g × HB
비교예7 1.55 1.215 35.8g × H
본발명의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중합시에 내부 변형이 적고, 성형성이 우수하다. 또, 본발명의 광학재료는 필요한 물성을 균형좋게 구비하고 있어, 투명성, 굴절률 외에 내충격성, 내열성, 경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저 비중으로 경량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안경, 콘택트렌즈 등의 렌즈재료등으로 유용하다.

Claims (5)

  1. (화학식 1)
    Figure pat00015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2는 탄소수 2∼4 의 알킬렌기, m 및 n은 2∼5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단량체(1) 20∼60중량%,
    (화학식 2)
    Figure pat00016
    (식중,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4및 R5는 동일 또는 상이한 기로서, 탄소수 2∼4 의 알킬렌기, j 및 k 는 0 또는 1을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단량체(2) 10∼40중량%,
    상기 단량체(1)및 (2)이외의 1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3) 5∼70 중량%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2. 제1항의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을 중합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경화를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120℃ 이하인 아조계 중합개시제, 유기과산화물 중합개시제 및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화제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경화를 20~ 130℃에서 5~48 시간의 조건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
  5. 제2항에 있어서, 하드코트피막 및 반사방지피막의 적어도 1종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재료.
KR1019970006461A 1996-09-05 1997-02-28 주형중합용수지조성물및광학재료 KR100285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35295A JPH1081720A (ja) 1996-09-05 1996-09-05 注型重合用樹脂組成物及び光学材料
JP96-235295 1996-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55A KR19980023955A (ko) 1998-07-06
KR100285889B1 true KR100285889B1 (ko) 2001-04-16

Family

ID=1698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461A KR100285889B1 (ko) 1996-09-05 1997-02-28 주형중합용수지조성물및광학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42303A (ko)
EP (1) EP0828167B1 (ko)
JP (1) JPH1081720A (ko)
KR (1) KR100285889B1 (ko)
AU (1) AU683816B1 (ko)
DE (1) DE69713695T2 (ko)
SG (1) SG49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4372A1 (en) * 1996-05-23 1997-11-27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Uv curable high index vinyl esters
CN1418318A (zh) * 2000-11-20 2003-05-14 日本油脂株式会社 光学材料用组合物、光学材料和透镜
JP4504669B2 (ja) * 2003-12-15 2010-07-14 三井化学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N105175445A (zh) * 2014-06-23 2015-12-23 三星Sdi株式会社 丙烯酸化合物、其制备方法、用于光学图案的组合物及光学薄片
WO2020008879A1 (ja) * 2018-07-05 2020-01-09 本州化学工業株式会社 末端(メタ)アクリレートポリカーボネートオリゴマー
CN113544177B (zh) * 2019-03-19 2023-04-18 本州化学工业株式会社 末端(甲基)丙烯酸酯聚碳酸酯寡聚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32187A1 (de) * 1969-06-25 1971-01-14 Inst Physikalische Chemie Der Polymerisationsfaehige Oligomere-Oligokarbonatakryl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S61117746A (ja) * 1984-11-13 1986-06-05 Hitachi Ltd 光デイスク基板
US6201037B1 (en) * 1986-01-28 2001-03-13 Ophthalmic Research Group International, Inc. Plastic lens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7107750B2 (ja) * 1986-02-21 1995-11-15 コニカ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
DE3780337T2 (de) * 1986-03-28 1993-02-11 Hitachi Ltd Optische platte.
EP0305048A3 (en) * 1987-08-27 1990-05-09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enses and lens blanks made from a polymeric co-polymer
JP2553359B2 (ja) * 1987-08-27 1996-11-13 藤森工業株式会社 光テ−プ
JPH07105066B2 (ja) * 1989-04-28 1995-11-13 ホーヤ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用基板
IT1231775B (it) * 1989-08-03 1991-12-21 Enichem Sintesi Composizione liquida polimerizzabile in vetri organici ad elevato indice di rifrazione.
EP0453149B1 (en) * 1990-04-20 1995-03-15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imited Casting composition
FR2699541B1 (fr) * 1992-12-22 1995-04-28 Essilor Int Compositions polymères à faible indice de jaune, compositions polymérisables et lentilles les mettant en Óoeuv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3695T2 (de) 2002-10-17
EP0828167A3 (en) 1998-12-02
EP0828167B1 (en) 2002-07-03
SG49356A1 (en) 1998-05-18
AU683816B1 (en) 1997-11-20
KR19980023955A (ko) 1998-07-06
US5942303A (en) 1999-08-24
JPH1081720A (ja) 1998-03-31
DE69713695D1 (de) 2002-08-08
EP0828167A2 (en) 199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7132B2 (ja) 共重合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光学共重合体
JPH0710897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
KR100285889B1 (ko) 주형중합용수지조성물및광학재료
EP1316820A1 (en) Len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55633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H05125120A (ja) 光学用注型成形樹脂
JPH05303003A (ja) 光学材料用組成物及び光学材料
JPH07206944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H01182314A (ja) 高アッベ数レンズ用組成物
JP2867638B2 (ja) 光学用樹脂
JP2900597B2 (ja) 光学用樹脂
JP3363990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H08176240A (ja) 透明樹脂、その製造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H11158229A (ja) 眼鏡レンズ用組成物および眼鏡レンズ
JPH04225007A (ja) 高屈折率高強度光学用樹脂
JPH11116625A (ja) プラスチック光学材料
JPH05125121A (ja) 光学用注型成形樹脂
JP3141457B2 (ja) 光学用注型成形樹脂の製造法及び光学用注型成形樹脂組成物
JP2002014201A (ja) 合成樹脂製レンズ
JPH051116A (ja) 光学用樹脂
JPH07304778A (ja) チオアセタール化合物、単量体組成物及び光学用材料
JPH11174201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H04296307A (ja) 光学用樹脂
JPH01103616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材料
JP2001302755A (ja) 光学材料用単量体組成物、合成樹脂製レンズの製造法及び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