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771B1 - 다목적크레인 - Google Patents

다목적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771B1
KR100285771B1 KR1019980037460A KR19980037460A KR100285771B1 KR 100285771 B1 KR100285771 B1 KR 100285771B1 KR 1019980037460 A KR1019980037460 A KR 1019980037460A KR 19980037460 A KR19980037460 A KR 19980037460A KR 100285771 B1 KR100285771 B1 KR 10028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drill
bucket
cra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710A (ko
Inventor
양창학
Original Assignee
양창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창학 filed Critical 양창학
Priority to KR101998003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7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5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hydraul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톤 내지 2.5톤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버켓을 이용한 고소작업이나 오가드릴을 이용한 드릴작업 및 마그네틱 리프트를 이용한 리프팅작업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오가드릴을 적재함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레인은 한가지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수한 목적으로 제조되며 전용기로 제작되므로 고가의 장비인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상에서 회전되는 몸체의 상측에서 제1붐대와 제2붐대 및 제3붐대가 다단으로 연결되는 붐대인출장치와, 상기 제3붐대의 일측에서 버켓이 연결되는 버켓대의 걸림축을 조립식하며 버켓을 탈착하도록 하는 버켓연결장치와, 상기 제3붐대의 하측에서 드릴연결핀을 이용하여 오가드릴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연결장치와, 상기 오가드릴을 적재함에서 보관하는 드릴보관장치로 이루어져 버켓과 오가드릴 및 리프팅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가드릴을 적재함에 간편하게 보관하는 동시에 자동차의 어느 방향에서 든지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크레인
본 발명은 1톤 내지 2.5톤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버켓을 이용한 고소작업이나 오가드릴을 이용한 드릴작업 및 마그네틱 리프트를 이용한 리프팅작업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오가드릴을 적재함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레인은 크레인작업을 위한 전용크레인을 설치함으로 고가장비 이어서 구입이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상기의 크레인중 오가드릴을 설치한 크레인은 오가드릴이 연결되어 있어서 드릴작업밖에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가장비인 것이었다.
또한 본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발명특허 제122287호(명칭: 고소작업용 크레인)에 제시된 바와같이 대부분 물품을 적재 및 하역과, 버켓을 이용한 고소작업용으로 1톤의 소형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어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크레인은 작업시 작동시키는 작동레버가 어느한쪽에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위치와 작동레버의 작동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작업이 매우 불편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단순한 목적을 수행하던 크레인의 단점을 보완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3단으로 인출되는 붐대의 선단에서 버켓을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버켓의 필요시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붐대인출장치의 선단에어 오가드릴연결장치에 의하여 오가드릴의 사용할 때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오가드릴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재함의 필요한 곳에 설치되는 드릴보관장치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버켓연결장치와 드릴연결장치 및 리프팅장치와 드릴보관장치를 동시에 수용하는 동시에 이중 한가지 만을 전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레버를 양쪽에 설치하여 작업방향에서 작업환경을 확인하면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크레인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을 자동차에 설치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하기위한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맨홀을 들어내는 상태의 작동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붐대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붐대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중 오가드릴을 이용하는 작동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중 버켓을 이용하는 작동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도 2 에 대한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중 오가드릴을 연결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중 드릴보관장치의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중 버켓을 연결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중 버켓연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중 작동레버의 연결상태 평면도.
1 : 본체 2 : 몸체
3 : 붐대인출장치 4 : 버켓연결장치
5 : 드릴연결장치 6 : 리프팅장치
7 : 드릴보관장치 8' : 적재함
14 : 작동레버 30 : 제1붐대
31 : 제2붐대 32 : 제3붐대
40 : 버켓연결판 41 : 걸림홈
42 : 돌축 42' : 구멍
43 : 버켓 45 : 받침대
46 : 걸림축 47, 65 : 와이어
48 : 고정고리 50 : 드릴연결핀
51 : 드릴연결구 53 : 오가드릴
60 : 마그네틱 리프트 61 : 맨홀뚜껑
70 : 드릴받침대 71 : 걸림집
72 : 걸림홈 73, 73a, 73b : 다리
74, 74' : 돌출판 75, 75' : 고정보울트
76, 76' : 고정홀 77 : 귀
78 : 이동선 79 : 이동고리
본 발명은 1톤 이나 2.5톤의 경트럭인 자동차(8)의 적재함(8')에서 설치되는 것으로 운전석의 후방에서 본체(1)를 형성하여 사방에서 설치공(1')을 이용하여 적재함(8')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대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보울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고정된 본체(1)의 상단에는 유압실린더(10')를 양측으로 설치하여 내부에서 기어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몸체(2)를 설치하여 원하는 방향으로의 전환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린더(2a)에 의하여 붐대인출장치(3)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설치한다.
본체(10)의 양측에는 크레인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14)를 양측에 설치하여 양측중 어느 방향에서든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이 상호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한다.
붐대인출장치(3)는 몸체(2)에 직접연결되는 제1붐대(30)와 제2붐대(31) 및 제3붐대(32)를 연질의 알루미늄으로 성형하여 한번에 다단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2,3붐대(30)(31)(32)는 상측은 ∧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은 ∨형으로 형성하여 보강한다.
제1붐대(30)에는 절첩판(30d)를 통하여 몸체(2)와 연결되는 선단에 보강대(30a)로 감싸서 다수개의 보울트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며, 중앙에 보강대(30b)를 설치하고 우측선단에도 1단 보강대(30c)를 설치하여 알루미늄재질의 약함을 보완하여 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것이다.
제1붐대(30)의 좌측 절첩판(30d)에는 상판(33)을 설치하여 내부에서 제3붐대(32)의 내측에까지 진입하여 와이어 고정로울러(33a)를 설치하여 와이어(33)를 고정하도록 한다.
제2붐대(31)의 좌측에는 실린더(34)를 고정시키고 실린더축(34a)은 제1붐대(30)의 장판(33)에 고정한다.
실린더(34)의 우축에는 삼각형의 로울러 고정판(36)을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상,하측에상하로울러(36a)가 설치되어 제3붐대(32)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하고, 선단에는 로울러(31a)를 통과한후 와이어 고정로울러(33a)를 통과하여 고정된 것이다.
제2붐대(31)의 선단에는 2단 보강대(31b)로 감싸서 보강하며, 제3붐대(32)의 선단에는 연결판(37)을 철판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며, 와이어(35)는 제3붐대(32)의 좌측에서 와이어 고정판(32a)에 의하여 고정한다.
붐대인출장치(3)의 실린더(34)에 유압을 공급하면 실린더축(34a)이 인출되면서 실린더(34)가 고정된 2단붐(31)이 인출되기 시작하며, 동시에 외이어(35)에 의하여 연결된 와이어 고정로울러(33a)부분이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 고정판(32a)에 의하여 와이어(35)가 고정되어 있어서 제3붐대(32)가 인출된다.
즉, 실린더(34)가 구동되면서 제2붐대(31)가 인출되면 실린더축(34a)에 고정된 와이어(35)와 와이어 고정로울러(33a)의 거리와, 와이어 고정로울러(33a)와 와이어 고정판(32a)의 거리는 상호 고정되어 있어서 변하지 않게 되므로 제2붐대(31)가 인출되면서 제3붐대(32)가 인출되어진다.
여기서 로울러(31a)는 제2붐대(31)에 고정되고 로울러(36b)는 로울러 고정판(36)에 고정되어 와이어(35)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하로울러(36a)는 제3붐대(32)의 인출을 안내하면서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붐대인출장치(3)는 실린더(34)의 구동으로 제2붐대(31)와 제3붐대(32)가 동시에 인출되어진다.
제3붐대(32)의 일측으로는 유압호스(39')가 유압연결구(39)와 연결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제1붐대(30)의 일측에서 보호대(38)로 보호되어 있어서 제2붐대(31)와 제3붐대(32)가 입출되어질 때 동시에 이동되어서 오가드릴(53)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3붐대(32)의 선단에는 버켓(43)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버켓연결장치(4)를 설치한다.
버켓연결장치(4)는 제3붐대(32)의 선단에 버켓연결판(40)을 설치하여 외측으로 양측에 걸림홈(41)이 형성되며 그 하측으로 돌축(42)이 두곳에서 돌출되어 구멍(42')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1)에는 버켓(43)이 연결되며 손잡이(44')가 형성된 버켓대(44)의 중앙에서 받침대(45)를 돌출시켜 중앙에서 연결된 걸림축(46)이 걸리도록 하고 와이어(47)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에 연결된 고정고리(48)를 돌축(42)의 구멍(42')에 삽입하여 버켓(43)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때 버켓(43)은 적재함(8')에 보관되면서 필요시 붐대인출장치(3)에 의하여 버켓(43)의 버켓대(44)에 가까이 이동시킨후 걸림축(46)을 걸림홈(41)에 걸고서 붐대인출장치(3)를 상승시키면 버켓(43)을 이용하여 고소작업을 할 수 있으며, 고정고리(48)를 돌축(42)의 구멍(42')에 끼워놓는 이유는 걸림축(46)이 이탈되는 경우 안전하게 버켓(43)을 지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버켓(43)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재함(8')에 올려놓고 고정고리(48)를 분리함과 동시에 걸림축(46)을 걸림홈(41)에서 분리하면 간단히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3붐대(32)의 하측으로 약간의 공간을 두고서 오가드릴(53)을 착탈하는 드릴연결장치(5)를 설치한다.
드릴연결장치(5)는 제3붐대(32)의 하측으로 약간의 공간을 두고서 양측에서 드릴연결핀(50)을 설치하며 오가드릴(53)의 상측으로 모터(52)가 설치되는 동시에 양측으로 유동되는 드릴연결구(51)가 설치된다.
드릴연결핀(50)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한후 붐대인출장치(3)와 실린더(2a) 및 유압실린더(10')를 이용하여 제2붐대(31)와 제3붐대(32)를 작동시켜 드릴보관장치(7)에 보관된 오가드릴(53)의 상측에 이동시킨다.
드릴연결구(51)를 이동시켜 드릴연결핀(50)이 있는 위치에 이동시킨후 드릴연결핀(50)을 조립하여 드릴연결구(51)와 연결시키며 모터(52)에 연결되는 호스는 유압연결구(39)의 선단에 연결시켜 유압을 공급받아 구동시킨다.
붐대인출장치(3)를 작동시켜 오가드릴(53)을 세워서 도 6 의 범위내에서 오가드릴(53)을 이용하여 드릴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드릴보관장치(7)는 적재함(8')에 일렬로 여러개의 고정홀(76)(76')을 설치하며, 적재함(8')에서 바닥면과 일치되도록 다리(73)(73a)(73b)를 형성하여 상측으로 드릴받침대(70)를 설치한다.
드릴받침대(70)의 일측으로 오가드릴(53)의 축이 조립되는 걸림홈(72)이 형성되어 내부에 날개의 일부분이 보관되는 걸림집(71)을 형성하며 양측으로 귀(77)를 형성하여 이동선(78)의 선단에 이동고리(79)를 설치한다.
다리(73)(73b)의 바닥에는 고정홀(76)(76')과 일치되는 돌출판(74)(74')을 형성하여 고정보울트(75)(75')로 고정한다.
이러한 드릴보관장치(7)는 걸림홈(72)에 오가드릴(53)의 축이 조립되고 걸림집(71)에는 날개가 보관되며 상단에도 모터(52)가 보관되어진다.
또한 고정보울트(75)(75')를 분리하고 이동고리(79)를 고리(62)에 연결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드릴보관장치(7)를 적재함(8')의 중앙이나 어느한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홀(76)(76')과 고정보울트(75)(75')로 고정시켜 오가드릴(53)을 보관할 수 있게되며, 나머지의 적재함(8')공간에 필요한 물품을 적재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오가드릴(53)을 사용하지 않으면 별도의 장소에 내려놓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버켓연결장치(4)의 일측에는 리프팅장치(6)를 설치하는 것으로 몸체(2)의 일측으로 와이어(65)를 감거나 풀어주는 모터(67)를 설치하고 로울러(66)를 통하여 고정판(63)의 로울러(64)를 통과하여 버켓연결판(40)의 내부에 고정된다.
고정판(63)의 하측에는 고리(62)를 연결하며 고리(62)에는 마그네틱 리프트(60)를 연결하여 전기.통신 공사시 맨홀뚜껑(61)을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리(62)는 드릴보관장치(7)를 이동시키는 외에도 중량물을 적재함(8')에 적재 및 하역하거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함(8')의 전후방으로 지지대(80)를 설치하여 전봇대(82)를 실어 이동시키거나 길이가 매우긴 물체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사방으로 적재함(8')의 하측에 받침다리(9)를 설치하여 중량작업을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6 과 도 7 에서와 같은 작업범위를 갖는 것이며, 상기에 설명된 내용 외에도 간편한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된 것만이 본 발명의 범위는 아닌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버켓연결장치에 의하여 버켓을 고정홈에 올려놓으면 간단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고정고리를 돌축의 구멍에 끼워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고소작업시 버켓을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드릴연결장치인 드릴연결핀을 이용하여 오가드릴을 간편하게 연결하여 유압으로 드릴작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가드릴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재함에 설치되는 드릴보관장치에 의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드릴보관장치를 적재함의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리에 마그네틱리프트를 연결하여 맨홀의 뚜껑을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등 중량물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레버를 양쪽에 설치하여 자동차를 이용함에도 작업방향에서 작업의 진행상황을 판단하면서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적재함에 설치되는 본체의 상측으로 몸체와 붐대를 설치하여 다단으로 붐대를 인출시켜 작업하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본체(1) 상에서 회전되는 몸체(2)의 상측에서 제1붐대(30)와 제2붐대(31) 및 제3붐대(32)가 다단으로 연결되며 일측으로 유압연결구(39)에 유압호스(39')를 연결시켜 상기 제2붐대(31)와 제3붐대(32)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유압을 공급하는 붐대인출장치(3)와, 상기 제3붐대(32)의 버켓연결판(40) 양측으로 걸림홈(41)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구멍(42')이 형성되는 돌축(42)을 설치하고 버켓대(44)의 중앙에서 돌출된 받침대(45)의 선단에서 걸림축(46)으로 버켓(43)을 연결하는 버켓연결장치(4)와, 상기 제3붐대(32)의 하측에 드릴연결핀(50)을 설치하여 오가드릴(53)의 모터(52) 상에 형성된 드릴연결구(51)를 조립하여 오가드릴(53)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연결장치(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버켓연결장치(4)는 버켓(43)의 중앙에서 받침대(45)를 돌출시켜 걸림축(46)을 설치하고 와이어(47)을 고정고리(48)의 양측에 설치하여 구멍(42')에 조립하여 안전성이 유지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크레인.
KR1019980037460A 1998-09-11 1998-09-11 다목적크레인 KR10028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460A KR100285771B1 (ko) 1998-09-11 1998-09-11 다목적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460A KR100285771B1 (ko) 1998-09-11 1998-09-11 다목적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710A KR19980087710A (ko) 1998-12-05
KR100285771B1 true KR100285771B1 (ko) 2001-04-16

Family

ID=3751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460A KR100285771B1 (ko) 1998-09-11 1998-09-11 다목적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61B1 (ko) * 2017-04-21 2019-03-28 서영곤 맨홀뚜껑 각인방법 및 맨홀뚜껑 각인용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710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3317A (zh) 用于起重机连接的拔销器
EP3556716B1 (en) Construction machine
US4363412A (en) Crane counterweight and handling method
KR100639721B1 (ko) 자주식 작업 기계
EP3556717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0285771B1 (ko) 다목적크레인
JP2005519570A (ja) 空中ケーブルを持ち上げ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3201089A (ja) 自走式クレーンおよびその自力着脱方法
JP6460132B2 (ja) 建設機械
CN214456296U (zh) 一种舟艇架设作业机构用吊架装置
JP3801511B2 (ja) 電気駆動型作業車
JP2000211888A (ja) 建設機械の連結ピン着脱装置
JPH0995965A (ja) バックホウ装着用の巻上げ装置
JP5324970B2 (ja) 旋回台付き作業車の油圧ホース接続構造
JP6996376B2 (ja) アウトリガ装置
JPH0535201Y2 (ko)
KR101363369B1 (ko) 베이스블록이 구비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AU2011244854A1 (en) Carriage frame and fork pin lock assembly
US3024916A (en) Vehicle derrick
JP6565949B2 (ja) 建設機械
JP2939775B2 (ja) クレーンの頂部ブームへのジブの装脱操作用取手取付部構造
JP2003081579A (ja) 建設機械
JPH072890Y2 (ja) 建柱車
KR0123710Y1 (ko)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KR101409869B1 (ko) 크레인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