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10Y1 -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 Google Patents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10Y1
KR0123710Y1 KR2019960031884U KR19960031884U KR0123710Y1 KR 0123710 Y1 KR0123710 Y1 KR 0123710Y1 KR 2019960031884 U KR2019960031884 U KR 2019960031884U KR 19960031884 U KR19960031884 U KR 19960031884U KR 0123710 Y1 KR0123710 Y1 KR 0123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housing
body frame
vehicl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472U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무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무
Priority to KR2019960031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8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과 같은 중기를 탑재한 차량에 설치사용되는 아우트리거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시 이러한 아우트리거 장치를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간편, 안전하게 탈거시키거나 차체 프레임에 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체 프레임(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저부에 이동바퀴(2)들이 부설된 아우트리거 하우징(3)과, 그외단부에 잭실린더(4) 및 이 잭실린더(4)에 의해 상하작동이 가능한 잭(5)을 설치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 내측에 비임실린더(6)에 의한 하우징(3) 내외로의 출몰작동이 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아우트리거 비임(7)과, 상기 아우트리거 하우징(3)의 차체 프레임(1)에 대한 착탈수단(8)(9)(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본 고안은 크레인이나 고소 콘크리트 펌핑장치와 같은 중기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관련 작업도중 차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체에 설치 사용되는 아우트리거(outrigger)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에 대한 아우트리거 장기의 탈장착이 간편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한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관련된 아우트리거 장치(20)는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럭 등의 이동 차량(21)에 예컨대 크레인(22)과 같은 중기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을 필요한 작업장소로 이동정지시킨 후 관련 작업을 행하는 도중 무게중심이동에 따른 차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체에 설치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아우트리거 장치는 보통 해당 차량의 차체 전방 및 후방적소에 차체의 측방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제공되는 아우트리거 비임(23)과 이 비임의 외단부에 잭실린더(24)(24)에 의해 상하작동이 가능하게설치제공되는 잭 및 상기 아우트리거 비임의 출몰작동을 지지하도록 차체에 설치 제공되는 아우트리거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중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은 프론트 아우트리거로, 후방에 설치되는 것은 리어 아우트리거로 각각 호칭된다.
종래의 이러한 아우트리거 장치는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하우징을 써포트(27)를 사용하여 차체 프레임(28)에 고정설치하고, 이 아우트리거 하우징(26)에 잭실린더(24) 및 잭(25)을 외단부에 설치구비한 아우트리거 비임(23)을 하우징(26)의 내외로 출몰가능하게 삽입 결합시킨 그러한 설치 구성으로되어 있었기 때문에 필요시 이 아우트리거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아우트리거 장치의 설치구비가 필요한 중기탑재 차량은 차량의 축중 및 총중량이 현 법규상의 규제범위(축중 10톤이하, 총중량40톤이하)를 벗어날 경우 도로상의 주행이 금지되기 때문에 차체상의 일부 장치를 따로 분리하여 다른 차량을 통해 목적지까지 운반한 후 해당 목적지에서 상기 분리운반된 장치를 체체상에 다시 결합시켜 사용해야 하게 되는 바, 앞에서 설명된 종래의 아우트리거 장치를 설치구비한 차량은 위와 같은 경우에도 상당한 전체중량을 가지는 그 아우트리거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운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크레인작동 붐이나 카운트웨이트와 같은 차체상의 다른 장치를 별도의 기중기 및 지게차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분리운반해야 함으로써 그작업이 매우 번잡난해하고 작업상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그목적은 크레인과 같은 중기탑재 차량에 설치사용되는 아우트리거 장치로서 필요시 차체로부터 간단히 분리운반 될 수 있고 또 차체에 대한 재결합 사용도 손쉬운 더욱 개선된 아우트리거 장치를 제공합으로써 관련 중기탑재 차량 사용상의 편리와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1은 아우트리거 장치의 한 통상적인 설치사용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아우트리거 장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발췌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우트리거 장치의 구성 및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3과 유사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아우트리거 장치의 구성 및 설치구조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차체 프레임 2:이동바퀴
3:아우트리거 하우징 4:잭실린더
5:잭 6:비임실린더
7:아우트리거 비임 8, 9:써포트
8', 9':핀구멍 10:고정핀
11:패드
상기의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체체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저부에 이동바퀴들이 부설된 아우트리거 하우징과, 그외단부에 잭실린더 및 이 잭실린더에 의해 상하작동이 가능한 잭을 설치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비임 실린더에 의한 하우징 내외로의 출몰작동이 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아우트리거비임과, 상기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차체 프레임에 대한 착탈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리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4,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아우트리거 장치의 한 바람직한 설치구성례를 보여준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아우트리거 장치는 차체 프레임(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저부에 이동바퀴(2)들이 부설된 아우트리거 하우징(3)과, 그외단부에 잭실린더(4) 및 이 잭실린더(4)에 의해 상하작동이 가능한 잭(5)을 설치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내에 이하우징(3) 내외로의 출몰작동이 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아우트리거 비임(7)과, 상기 아우트리거 하우징(3)의 차체 프레임(1)에 대한 착탈수단(8)(9)(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 하우징(3)의 차체 프레임(1)에 대한 착탈수단은 핀구멍(8')을 가지고 차체프레임(1)측에 설치제공된 써포트(8)와, 상기 차체 프레임측 써포트(8)의 핀구멍(8')에 대응되는 핀구멍(9')을 가지고 아우트리거 하우징(3)측에 설치제공된 써포트(9)와, 상기 써포트(8)(9)들의 핀구멍(8')(9')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차체 프레임(1) 및 아우트리거 하우징(3)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핀구멍(8')(9')들에 관통삽입되어 써포트(8)(9)들 사이를 연결 결합시키는 고정핀(1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아우트리거 장치를 차체 프레임(1)으로부터 탈거시키는 방법을 설명해 보면, 도4와 같이 차체 프레임(1) 및 아우트리거 하우징(3)이 상호결합되어 있는 최초 상태에서, 먼저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오른쪽 아우트리거 비임(7)을 을 연장한 상채로, 왼쪽 아우트리거 비임(7)은 하우징(3) 내측으로 몰입축소시킨 상태로 한 다음 써포트(8)(9)들 사이를 연결시키고 있는 고정핀(10)을 탈거시켜 차체 프레임(1) 및 아우트리거 하우징(3)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게하고, 이상태에서 양쪽 아우트리거 비임(7)상의 잭실린더(4)를 수축작동시키면 아우트리거 하우징(3) 및 아우트리거 비임(7)들을 포함하는 아우트리거 장치전체가 지면쪽으로 하강하여 하우징(3) 저부의 이동바퀴(2)들이 지면에 닿게 된다.
이때, 상기 아우트리거 장치는 그 이동바퀴(2)들 및 책(5) 하단부의 패드(11)들이 지면상에 동시에 닿아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조작한 후, 비임실린더(6)를 작동시켜 도면상 오른쪽 아우트리거 비임(7)을 축소작동시킴과 동시에 왼쪽 아우트리거 비임(7)은 상기 오른쪽 비임과 동일한 속도로 신장작동시키면 이동바퀴(2)들과 비임실린더(6), 패드(11)의 작용에 의해 하우징(3) 전체가 도면상 오른쪽 아우트리거 비임(7)이 하우징(3) 내측으로 완전히 몰입될 때까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후아징(3)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도면상 왼쪽의 아우트리거 비임(7) 및 잭실린더(4)를 축소작동시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아우트리거 장치 전체가 그 하우징(3) 내측에 양쪽 비임(7)이 완전히 몰입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1)의 도면상 오른쪽에 분리되어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한 후 비임실린더(6) 및 잭실린더(4)들에 대한 유압연결호스를 통상의 퀵커플링수단을 통해 분리시키면 아우트리거 장치의 탈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탈거완료된 아우트리거 장치를 작업 현장에 운반한 후 다시 차체 프레임(1)에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필요시 아우트리거 장치 전체를 차체 프레임에 간편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탈, 장착시킬 수가 있으므로 관련 중기탑재 차량 사용상의 편리와 안전성을 더울 제고할 수 있게 된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2)

  1. 차체 프레임(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저부에 이동바퀴(2)들이 부설된 아우트리거 하우징(3)과, 그 외단부에 잭실린더(4)및 이 잭실린더(4)에 의해 상하작동이 가능한 잭(5)을 설치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 내측에 비임실린더(6)에 의한 하우징(3) 내외로의 출몰작동이 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아우트리거 비임(7)과, 상기 아우트리거 하우징(3)의 차체 프레임(1)에 대한 착탈수단(8)(9)(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핀구멍(8')을 가지고 차체 프레임(1)측에 설치제공된 써포트(8)와, 이 써포트(8)의 핀구멍(8')에 대응되는 핀구멍(9')을 가지고 아우트리거 하우징(3)측에 설치제공된 써포트(9)와, 상기 핀구멍(8')(9')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차체 프레임(1) 및 아우트리거 하우징(3)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핀구멍(8')(9')들에 관통삽입되어 써포트(8)(9)들 사이를 연결결합시키는 고정핀(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KR2019960031884U 1996-09-30 1996-09-30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KR0123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884U KR0123710Y1 (ko) 1996-09-30 1996-09-30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884U KR0123710Y1 (ko) 1996-09-30 1996-09-30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72U KR19980018472U (ko) 1998-07-06
KR0123710Y1 true KR0123710Y1 (ko) 1998-08-17

Family

ID=1946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884U KR0123710Y1 (ko) 1996-09-30 1996-09-30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69B1 (ko) 2021-07-15 2021-12-07 신의페트라 주식회사 파일드라이버용 착탈식 아우트리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69B1 (ko) 2021-07-15 2021-12-07 신의페트라 주식회사 파일드라이버용 착탈식 아우트리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72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2413A (en) Counterweight arrangement
US4363412A (en) Crane counterweight and handling method
CA2078392C (en) Crane upper works to lower works alignment system
KR0123710Y1 (ko) 중기탑재 차량용 아우트리거 장치
JP6610314B2 (ja) 旋回式作業機械、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フロート装置
CN214462660U (zh) 固定转塔及设有该固定转塔的作业机械
EP0103434A2 (en) An outrigger beam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stabilising a vehicle
JPH07309589A (ja) 操重車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装置
CN211004279U (zh) 汽车起重机用配重自装卸装置
KR100513253B1 (ko) 고소작업차용 아웃트리거
JP2630464B2 (ja) リフター装置
US20150291402A1 (en) Mobile crane, support device, and assembly process for a support device
JP3271036B2 (ja) クレーン車の転倒防止装置
JPH07117640A (ja) 自走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ー装置
JP2000257116A (ja) 建設機械
JPH05246690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ェイト取外し方法,装着方法および建設機械に着脱されるカウンタウェイト
RU2106295C1 (ru) Стрела автокрана высокой грузоподъемности
JPH11255481A (ja) 大型移動式クレーンのカウンタウエイトの取付方法、取外し方法および着脱装置
US20220315395A1 (en) Mobile crane, mobile crane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nd removing guying equipment to and from a mobile crane
KR100305533B1 (ko) 견인차
KR200324683Y1 (ko)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
JP3203691U (ja) クレーン付き高所作業車
JP2599707Y2 (ja) 作業機搭載型車輌における後部補助アウトリガ装置
JP3442890B2 (ja) 自走式クレーン車のジブ
JP2648878B2 (ja) クレーン車における旋回体支持用ジャッキ装置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