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922B1 - 편집 장치 - Google Patents

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922B1
KR100284922B1 KR1019940007583A KR19940007583A KR100284922B1 KR 100284922 B1 KR100284922 B1 KR 100284922B1 KR 1019940007583 A KR1019940007583 A KR 1019940007583A KR 19940007583 A KR19940007583 A KR 19940007583A KR 100284922 B1 KR100284922 B1 KR 10028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signal
input
display
c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끼 다나까
소지로 기즈
다까시 다부찌
아끼라 기꾸찌
유따까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863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021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50874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021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08741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021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5087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021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08741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8250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8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with computer assist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복수의 영상 신호에 편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작성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출력 영상 신호를 얻고,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의 비디오·클립,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3, 제4의 비디오·클립 및,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5, 제6의 비디오·클립을 얻고, 제1, 제2, 제3 및 제4의 비디오 클립을, 각 비디오·클립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 정보에 따라, 시간축 상에서의 상호의 위치 관계가 표현 되도록 표시함과 동시에 제5, 제6의 비디오·클립을 표시한다.

Description

편집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편집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2(a)도 내지 제2(g)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편집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의 세트 업 파일 및 에디트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6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7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8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9(a)도 내지 제9(d)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10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11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에서의 비디오 클립(clip)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12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에서의 비디오 클립의 표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13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에서의 비디오 클립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27, 37 : 모니터 1 : 편집기
2, 3, 6, 30, 31 : VTR 4 : 스위쳐
25 : 포인팅 디바이스 26 : 키보드
28 : 디스크 드라이버 32, 33 : 디스크 레코더
36 :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영상 신호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양호한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USP 5,103,348호에 편집 장치가 알려져 있고, 또, 종래 편집 장치로서,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제1도에 나타내는 편집 장치는, VTR(2, 3)과 이들 VTR(2, 3)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VTR(6)에 조상(調相)을 걸어, 각종 제어를 행하는 편집기(1)와, VTR(2, 3)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쳐(4)와, 이 스위쳐(4)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각종 이펙트(effect) 처리를 실시하여 스위쳐(4)로 되돌리는 DME(디지탈·멀티·이펙트)와, 스위쳐(4)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VTR(6)로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편집 장치의 기본적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편집기(1)의 모니터(1A) 상의 메뉴화면 상에서 VTR(2)에 세트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 및 VTR(3)에 세트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되어 있는 소재의 사용 부분의 지정, VTR(2)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소재 혹은 VTR(3)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소재를 어떻게 사용할까 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VTR(2)의 소재를 A롤(roll), VTR(3)의 소재를 B롤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A롤의 소재의 사용 부분 및 B롤의 소재의 사용 부분의 지정을 타임 코드의 입력, 혹은 재생시에 VTR(2) 또는 (3)으로부터 공급되는 타임 코드 등을 스위치의 압압(押壓) 등으로 인점(IN) 및 아웃 점(OUT)으로서 지정하는 것으로써 소재의 원하는 부분을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인점(IN)이라는 것은 사용 소재의 최초의 화상의 타임코드, 아웃점이라는 것은 사용소재의 최후의 화상의 타임 코드이다.
또, 스위쳐(4)로 VTR(2, 3)으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트랜지션처리(예를 들면 와이프(wipe), 디졸브(dissolve) 등)을 행함과 동시에, 또한 DME(5)(혹은 스위쳐(4))로 타임라인이라고 칭해지는 시간 축 상의 처리의 지정 등을 행하고, 이후 VTR(6)에 기록하기도 하고, 프리뷰(preview) (기록하지 않고, 상술한 처리에 의한 영상을 재현한다)를 행하기도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타임 라인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모니터의 관면상에서, 화상에 커브를 그리게 하기 위한 궤적이나, 화상의 왜곡 등을 시간축 상에서 지정하여 영상 특수 효과를 얻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a)도 내지 제2(g)도를 참조하여 제1도에 나타낸 편집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 설명으로서, 먼저, VTR(2)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 소재(Va) 및 VTR(3)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 소재(Vb)를 스위쳐(4)로 트랜지션 처리하여 하나의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고, 이것을 VTR(6)에 기록, 혹은 편집기(1)의 모니터 상에 영출하도록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제2(a)도 및 제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도에 나타낸 VTR(2)에 세트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소재 중,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지정에 의해 사용소재(Va)가 지정되고, 한편, 제1도에 나타낸 VTR(3)에 세트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소재 중,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지정에 의해 사용소재(Vb)가 지정되고 있다.
편집기(1)의 제어에 의해 VTR(2)이 재생 동작하게 되어, 이것에 의해, 먼저 사용 소재(Va)가 스위쳐(4)에 공급되고, DME(5)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시되며, 이후 VTR(6)에 공급되어 기록, 혹은 편집기(1)의 모니터의 관면상에 화상으로서 영출된다. 이 VTR(2)로부터의 타임코드를 편집기(1)은 상시 감시하고, 사용소재(Va)의 아웃점의 타임코드로부터 약간 이전의 타임코드를 읽어들임과 동시에 VTR(3)을 재생시킨다. VTR(3)로부터의 사용소재(Vb)는 스위쳐(4)에 공급된다.
스위쳐(4)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트랜지션에 따라 사용소재(Va) 및 사용소재(Vb)를 전환함과 동시에, 사용소재(Vb)를 DME(5)에 공급한다. DME(5)에 공급된 사용소재(Vb)는 이 DME(5)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시된 후, 다시 스위쳐(4)에 공급된다. 그리고 스위쳐(4)는 DME(5)로부터의 사용소재(Vb)를 VTR(6)에 공급한다. VTR(6)에 공급된 사용소재(Vb)는 이 VTR(6)에 기록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2개의 사용 소재에 각각 트랜지션 처리를 실시하여 하나로 종합하여, 프리뷰(preview)를 행하거나 기록하거나 하는 경우에 생각할 수 있는 각종 처리, 예를 들면 프리롤, 포스트롤, 타임코드의 읽어들임, 혹은 타임코드의 편집기(1)에서의 발생 등에 대해서의 설명을 생략하고,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된 결과, VTR(6)에 세트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는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 상에 시간축에 따라, 먼저 VTR(2)로부터 공급된 사용소재(Va)가 기록되고, 이어서 VTR(3)으로부터 공급된 사용 소재(Vb)가 기록된다. 따라서, 프리뷰는 이 자기 테이프를 재생한 재생 신호와 동일하게, 먼저 사용 소재(Va)가 편집기(1)의 모니터의 관면상에 영출되고, 지정된 트랜지션의 상태에 의해 사용소재(Vb)로 변화되어 이후 사용소재(Vb)가 영출되게 된다.
한편, 제2(d)도에 도시하듯이, 사용소재(Va, Vb)가 모두 예를 들면 VTR(2)에 세트되어 있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VTR(2)로 사용소재(Vb, 혹은 Va)를 재생하고, 이것을 VTR(3)에 세트되어 있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하고, 이후, 제2(e)도 및 제2(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처리 수순으로 VTR(2)로 사용소재(Va)를 재생하고, 이후 VTR(3)로 사용소재(Vb)(단, 미리 VTR(3)으로부터 더빙한 것이다)를 재생하여, 이들 사용 소재(Va, Vb)를 VTR(6)에 의해 기록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VTR(6)에 세트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는 제2(g)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 상에 시간축에 따라, 먼저 VTR(2)로부터 공급된 사용 소재(Va)가 기록되고, 다음에 VTR(3)로부터 공급된 사용 소재(Vb)가 기록된다. 따라서, 프리뷰는 이 자기 테이프를 재생한 재생 신호와 동일하게, 먼저 사용 소재(Va)가 편집기(1)의 모니터의 관면상에 영출되고, 지정된 트랜지션의 상태에 의해 사용 소재(Vb)로 변화되어, 이후 사용 소재(Vb)가 영출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편집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어떤 편집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 시간축 상에서의 전체의 처리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는, 각 편집 소재의 타임 코드를 보든가, 혹은 편집할 때마다 메모를 하게 할 수 밖에 없어서, 편집 과정에서의 시간축의 관리를 만족스럽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집 처리 과정에 존재하는 복수 편집점의 시간축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영상 신호에 편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작성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얻고,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제1, 제2의 비디오·클립,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하여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제3, 제4의 비디오 클립 및,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하여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제5, 제6의 비디오·클립을 얻고, 제1, 제2, 제3 및 제4의 비디오 클립을, 각 비디오·클립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 정보에 따라, 시간축 상에서의 상호의 위치 관계가 표현되도록 표시함과 동시에,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을 표시한다.
이하에,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편집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제3도에 있어서, 도면 참조 부호(20)는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편집하기 위한 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고,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21), 버스(어드레스, 콘트롤 및 데이타 버스로 구성된다) (22), 워크(work)용 등의 RAM, 후술하는 프로그램 데이타를 기록한 ROM(24)으로 기본 부분을 구성한다[따라서, 각종 포트나 증설보드류(메모리 등)은 도시 생략하였지만, 당연히 준비되거나, 혹은 별도 증설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제어 장치(20)에 조작용의 키보드(26)나 포인팅 디바이스(마우스, 트랙볼 등), 모니터(27), 디스크 드라이버(28)[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장치(본체 유닛으로부터 착달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도 포함), 실리콘 디스크 장치, 광자기 디스크 장치, 프로프티컬 디스크장치, 플로피 디스크 장치 등]을 각각 접속한다.
그리고, 이 제어 장치(20)에 예를 들면 RS-422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VTR(30, 31), 디스크 레코더(32, 33) [대용량 하드 디스크 장치(본체 유닛으로부터 착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도 포함), 대용량 실리콘 디스크 장치, 광자기 디스크 장치, 프로프티컬 디스크 장치)]를 접속한다.
여기서, 이 제어 장치(20)는, RS-422 인터페이스 등의 제어 인터페이스의 포맷으로 이펙트 정보, 커트 정보(더빙의 것이다), 믹스나 와이프 등의 트랜지션 정보, 키정보 및 영상 신호의 번지를 나타내는 타임 코드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VTR(30, 31), 디스크 레코더(32, 33)를 제어함과 동시에, 스위쳐(29)의 믹스, 와이프나 키 등의 스위치, 혹은 DME(디지탈·멀티·이펙터, 35)의 각종 특수 효과의 발생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 제어 장치(20)에 VTR(30, 31), 디스크 레코더(32, 33)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전환하거나, 이들 영상 신호에 믹스나 와이프 등의 트랜지션 처리를 실시하는 스위쳐(29), 스위쳐(29)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대하여 변형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DME(35), 제어장치(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쳐(29)로부터의 영상 신호의 프레임화를 비디오 클립(video clip)으로서 압축(예를 들면 추출 등)하여 기억하고, 모니터(37)에 공급하는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캡쳐(화상 데이타를 취입하는 것)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는 예를 들면 대용량의 메모리(예를 들면 RAM)과 압축 회로를 갖고, 스위쳐(29)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압축하거나, 후술하지만, 인점(IN) 및 아웃 점(OUT)으로 지정된 영상 신호를 오프 세트 부분을 포함하여 기억하기도 한다.
또, 스위쳐(29)의 영상 신호용의 출력단을 VTR(30, 31), 디스크 레코더(32, 33)의 각 영상 신호 입력 단에 접속함과 동시에, VTR(30, 31), 디스크 레코더(32, 33)의 각 영상 신호 출력단을 스위쳐(29)의 영상 신호 입력 단에 각각 접속한다.
이어서, 제4도를 참조하여 제3도에 도시한 편집장치본체(20)의 기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ROM(24) 혹은 디스크 드라이버(28)로부터 버스(22)를 통해 RAM(23)에 로드된 프로그램(prog)에 의해 CPU(21)를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prog)에 의해, 제3도에 도시한 제어장치(20)에 접속된 모니터(27)의 관면상에서, 셋업 파일(SET1∼SETn) 및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작성하게 한다.
여기서 셋업 파일(SET1∼SETn)이라는 것은, 사용 목적에 각각 대응하여 제3도에 도시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파라미터, 예를 들면 기록기의 할당이나 크로스 포인트 등을 설정하기 위한 셋업 데이타 파일이다. 결국, 이 셋업 파일(SET1∼SETn)의 내용을 CPU(21)에서 실행시킴으로써, 제3도에 도시한 각 구성 요소의 상태, 예를 들면 접속, 동작, 모드 등의 기기마다의 각종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에디트 파일(EDL1∼EDLn)이라는 것은, 편집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타 파일이고, 제4도에 있어서 에디트 파일(EDL1∼EDLn)은 각각 하나의 목적에서의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타 파일이다.
이들 셋업 파일(SET1∼SETn)과 에디트 파일(EDL1∼EDLn)과는 각각 대응하며 통상은 제3도에 도시한 디스크 드라이버(28)에 세트된 디스크에 기록하게 한다. 예를 들면 에디트 파일(EDL1∼EDLn)에 각각 대응하는 셋업 파일(SET1∼SETn)을 기록하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은 경우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에디트 파일(EDL1∼EDLn)의 선택용 메뉴 화면상에서 원하는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선택했을 때에, 디스크 드라이버(28)에 세트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선택된 에디트파일(EDL1∼EDLn)의 데이타가 독출되고, 이 에디트 파일(EDL1∼EDLn)의 내용에 따른 편집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응하는 셋업 파일(SET1∼SETn)이 디스크로부터 독출되며, 이 셋업 파일 (SET1∼SETn)의 데이타가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한 RAM(23)에 공급되어, RAM(23)에서 유지(소위 상주)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기기의 셋업이 행해진다.
또, 프로그램 상에서 미리 에디트 파일(EDL1∼EDLn)과 셋업 파일(SET1∼SETn)을 대응시켜두고, 예를 들면 RAM(23) 상에 사용 영역과 대기 영역을 설치하며, 대기 영역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디트 파일(EDL1∼EDLn)과 셋업 파일(SET1∼SETn)을 상호 대응시켜 기억해두고, 사용할 때에는 사용 영역에 상술한 메뉴에서 선택된 에디트 파일(EDL1∼EDLn) 및 대응하는 셋업 파일(SET1∼SETn)을 기억함으로써, 순식간에 제3도에 도시한 편집 장치의 각 기기의 셋업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술한 방법보다도 시간적으로 고속이 된다.
여기서, 제5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에디트 파일(EDL1∼EDLn)의 선택 및 이것에 대응한 셋업 파일(SET1∼SETn)에 의한 기기의 설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S1)에서는 전환 메뉴를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S2)으로 이행한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모니터(27)에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예를 들면 사용자가 붙인 파일명 등으로 표시한다.
스텝(S2)에서는 입력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예 「YES」이면 스텝(S3)으로 이행한다. 즉, 사용자가 전환 메뉴 양면상에서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 (26)에 의해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선택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3)에서는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전환한다. 그리고 스텝(S4)으로 이행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지정된 에디트 파일(EDL1∼EDLn)을 RAM(23)의 대기 영역으로부터 사용 영역에 카피한다.
스텝(S4)에서는 전환이 행해진 것을 사용자에게 보고해 알린다. 그리고 스텝(S5)으로 이행한다. 이 전환의 알림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정되고, 전환된 에디트 파일(EDL1∼EDLn)의 파일명, 혹은 파일 번호의 표시 위치의 커서를 브링크(간헐적 리버스)시키거나, 리버스(반전)시키거나 한다.
스텝(S5)에서는 대응 셋업 파일(SET1∼SETn)을 서치한다. 그리고 스텝(S6)으로 이행한다. 즉, RAM(23)의 대기 영역내의 대응 셋업 파일(SET1∼SETn)을 탐색한다.
스텝(S6)에서는 서치한 셋업 파일(SET1∼SETn)을 사용 영역에 카피한다. 그리고 스텝(S7)으로 이행한다. 즉, RAM(23)의 대기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셋업 파일(SET1∼SETn)을 사용 영역에 카피한다.
스텝(S7)에서는 독출한 셋업 파일에 따라 각 기기의 각종 설정을 행한다. 그리고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에디트 파일 EDL1∼EDLn 및 대응하는 셋업 파일(SET1∼SETn)을, 모니터(27) 상에 영출되는 편집을 위한 각종 설정의 화면이나, 구성 기기의 화면을 보면서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26) 등으로 작성하고, 이것을 디스크 드라이버(28)의 디스크에 기억하거나, 작성한 에디트 파일(EDL1∼EDLn) 및 셋업 파일(SET1∼SETn)을 예를 들면 편집 장치 본체(20)의 기동시에, 디스크 드라이어(28)의 디스크로부터 독출하고, 이들의 데이타를 상술한 바와 같이 RAM(23)의 대기 영역에 기억하고, 이후에, 메뉴화면 상에서 에디트 파일(EDL1∼EDLn)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에디트 파일(EDL1∼EDLn) 및 이것에 대응한 셋업 파일(SET1∼SETn)을 RAM(23)의 대기 영역으로부터 독출하고, 이것을 사용 영역에 카피하고, 이 사용영역에 카피한 셋업 파일(EDL1∼EDLn)로 각종 셋업을 행하고, 이후에 에디트 파일(EDL1∼EDLn)에 따라 편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작성할 때에 셋업 데이타도 동시에 작성하도록 하여, 에디트 파일(EDL1∼EDLn)에 셋업 데이타도 포함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제6도를 참조하면서, 제3도에 도시되는 편집 장치의 스위쳐(29)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서, 스위쳐(29)는 매트릭스·스위쳐(50),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로 구성된다. 매트릭스·스위쳐(50)의 입력 단자(53, 54, 55, 56)에는, 제3도에 도시되는 VTR(30, 31) 및 디스크 레코더(32, 33)가 접속되며, 이들에 의해 재생된 영상 신호가 입력 단자(53, 54, 55, 56)에 공급된다. 입력 단자(53, 54, 55, 56)에 공급된 영상 신호는, 제어 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크로스 포인트(제6도에서, X로 표시되어 있다)의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 DME(35) 및, 캡쳐·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는, 상호 동일한 구성이며, 입력된 제1의 영상 신호와 제2의 영상 신호를, 예를 들면, 와이프 효과, 디졸브(dissolve) 효과, 페이드(fade) 효과, 커트 등의 각종 영상 효과를 수행하여, 전환 출력을 하거나, 한쪽의 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예를 들면, VTR(30)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디스크 레코더(32)에 의해 기록하고, VTR(30)에 장착되어 있는 영상 신호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하나 더 작성하는 경우에는, 크로스 포인트(58)의 스위치를 온으로 함으로써, 입력 단자(53)으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버스(57)에 의해 디스크 레코더(32)로 전송하고, 전송된 영상 신호를 디스크 레코더(32)에 기록한다. 이때, 버스(57)는 VTR(30, 31) 및 디스크 레코더(33)에도 접속되어 있지만, 버스(57)을 통해 영상 신호가 공급되고 있을 때에, 기록 모드로 되어 있는 VTR 또는 디스크 레코더에 의해서만, 전송된 영상 신호가 기록되게 된다.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 및 입력된 영상 신호에 3차원적인 변형 처리, 예를 들면, 입력 영상이 원통면이나 구면에 부착된 것 같이 보이게 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비디오·이펙터인 DME(35)의 출력 신호는, 다시 매트릭스·스위쳐(50)의 입력 단자(59, 60, 61)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들의 입력 단자(59, 60, 61)에 입력된 영상 신호는, 제어 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매트릭스·스위쳐(50)의 각 크로스 포인트 중 원하는 크로스 포인트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 DME(35) 및,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 중 원하는 것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VTR(30, 31)에 의해 각각 재생된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와이프 효과를 수행하여 전환하고, 더우기, 디스크 레코더(32)로부터 재생된 제3의 영상 신호에, 구면에 부착된 것과 같은 변형 처리를 실시한 후에, 와이프 효과를 수행하여 전환된 후의 제2의 영상 신호가 배경으로 되도록, 변형후의 제3의 영상 신호와 제2의 영상 신호를 합성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스위쳐(29)의 동작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VTR(30)에 의해 재생된 제1의 영상 신호는 입력 단자(53)으로부터 매트릭스·스위쳐(50)에 입력되고, 크로스 포인트(62)의 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 VTR(3)에 의해 재생된 제2의 영상 신호는 입력 단자(54)로부터 입력되고, 크로스 포인트(63)의 스위치가 온 되어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는, 제1의 기간만큼 제1의 영상 신호를 출력한 후에, 와이프 효과를 전환의 트랜지션으로서, 제1의 영상 신호 대신에 제2의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출력 영상 신호는, 입력 단자(59)로부터 다시 매트릭스·스위쳐(50)에 입력되고, 크로스 포인트(64)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됨으로써,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디스크 레코더(32)로부터 재생된 제3의 영상 신호는, 입력 단자(55)로부터 입력되고, 크로스 포인트(65)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DME(35)에 공급된다. DME(35)는, 공급된 제3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구면에 부착된 것과 같은 변형 처리를 실시한다. DME(35)의 출력 신호는, 입력 단자(61)로부터 다시 매트릭스·스위쳐(50)에 입력되고, 크로스 포인트(66)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는, 한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되어 있는 제2의 영상 신호에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되어 있는 제3의 영상 신호를 키잉에 의해 합성한다. 이 키잉 처리를 위한 키 신호는, DME(35)로부터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에 공급된다.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출력 신호는, VTR(67)에 의해 기록됨과 동시에, 모니터(68)에 의해 표시된다.
이어서, 제7도 내지 제9도를 순차 참조하여, 제3도에 도시한 편집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으로써 예를 들면 VTR(30) (VTR(31)에서도 동일하다)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제2(d)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소재(Va, Vb)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소재(Va, Vb)를 트랜지션 처리에 의해 편집하고, 이것을 리뷰 혹은 기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7로부터 설명하면, 스텝(S10)에서는 롤 번호의 지정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예 「YES」이면 스텝(S20)으로 이행한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모니터(27)의 관면상에 영출되는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25) 혹은 키보드(26)를 사용하여 롤 번호를 지정한다.
여기서, 롤 이라는 것은, 재생 소재인 것을 나타내며, A 롤은 재생측(이 경우에는 VTR(30, 31))에서 선택한 테이프의 첫번째, B롤은 재생측(이 경우에는 VTR(30, 31))에서 선택한 테이프의 2번째라고 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롤 번호를 예를 들면 VTR(30) 혹은 VTR(31)을 나타내는 ID로 한 경우, 만약 A롤 및 B롤의 양방에 대하여 사용자가 동일의 VTR(30) 또는 (31)을 나타내는 ID를 지정한 경우는, 제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30) 또는 (31)에 세트되어 있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사용 소재(Va, Vb)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메뉴 화면 상에서의 지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VTR(30) 또는 VTR(31)에 대하여 A롤 및 B롤, 혹은 A롤 또는 B롤로 지정해도 좋다.
스텝(S20)에서는 기록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예 「YES」이면 스텝(30)으로 이행하고, 아니오 「NO」이면 스텝(S40)으로 이행한다. 기록인지 아닌지의 여부의 지정도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27)의 관면상에서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26)를 사용하여 지정한다.
여기서 스텝(S30) 및 스텝(S40)을 제8도를 참조하여 종합해 설명한다.
먼저 스텝(S31, S41)에서는 A롤 및 B롤에 대하여 지정된 번호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해 예 「YES」이면 스텝(S32, S42)으로 이행하고, 아니오 「NO」이면 스텝 (S34, S44)으로 이행한다.
스텝(S32, S42)에서는 사용 소재(Vb)는 이미 준비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예 「YES」이면 스텝(S34, S44)으로 이행하고, 아니오 「NO」이면 스텝(S33, S43)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이미 준비 완료인가」라는 것은, 이 예에서는 사용 소재(Vb)가 VTR(30)으로부터 VTR(31), 혹은 디스크 레코더(32, 33)에 기록, 혹은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스텝(S33, S43)에서는 사용 소재(Vb)를 자동적으로 버퍼링한다. 그리고 스텝(S34, S44)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버퍼링이라는 것은 제9(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31), 혹은 디시크 레코더(32, 33)에 사용소재(Vb)를 기록 혹은 기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9(b)도 및 제9(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화적(等化的)으로 원래 VTR(30)에 소재(Va)가, VTR(31)에 소재(Vb)가, 혹은 VTR(30)에 소재(Va)가, 디스크 레코더(32) 또는 (33)에 소재(Vb)가 기록 혹은 기억되어 있던 것으로 된다.
스텝(S34, S44)에서는 미리 설정된 트랜지션으로 편집한다. 그리고 스텝(S35, S45)으로 이행한다.
스텝(S35, S45)에서는 프리뷰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빠져나와, 다시 제7도에 도시한 프로그램의 스텝(S50) (스텝 (S40)으로부터의 경우는 스텝(S70))으로 이행한다. 즉, 편집 설정에 따라 제3도에 도시한 모니터(68) 상에 사용 소재(Va, Vb)를 영출한다.
스텝(S50)에서는 결과가 좋은지(OK),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예 「YES」 이면 스텝(S60)으로 이행한다. 즉, 사용자가 마우스(25) 혹은 키보드(26)에 의해 프리뷰의 결과가 OK인 것을 입력한 경우에, 다음의 스텝으로 이행한다.
스텝(S60)에서는 기록을 실행한다. 그리고 종료한다. 즉, 이 예에서는 VTR(30)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재생 상태로 되게 하여, 사용 소재(Va)를 재생시킴과 동시에, 타임 코드를 감시하고, 트랜지션 기간의 약간 앞에서부터 VTR(31)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재생 상태로 하고, 사용 소재(Vb)의 인점(IN)보다 앞에서부터 재생시키고, 트랜지션의 기간이 된 때에 스위쳐(29)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와이프, 디졸브 혹은 믹스 등의 트랜지션 처리를 행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 소재(Va, Vb)를 예를 들면 디스크 레코더(32, 33)에 기억시킨다. 또한, 사용소재(Vb)를 예를 들면 디스크 레코더(32) 또는 (33)에 미리 버퍼링 한 경우, VTR(31)에 제어 신호를 공급해 기록 상태로 하고, VTR(30)으로부터의 사용 소재(Va) 및 디스크 레코더(32) 혹은 (33)으로부터의 사용 소재(Vb)를 VTR(31)에 기록하는 것으로 된다. 결국, 제9(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소재(Va, Vb)가 VTR(31), 혹은 디스크 레코더(32) 또는 (33)에 편집되어 기록된다.
한편, 스텝(70)에서는 결과가 OK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예 「YES」이면, 스텝(80)으로 이행한다. 즉, 사용자가 마우스(25) 혹은 키보드(26)에 의해 프리뷰의 결과가 OK인 것을 입력한 경우에, 다음의 스텝으로 이행한다.
스텝(S80)에서는 프리뷰를 실행한다. 그리고 종료한다. 즉, 이 예에서는 VTR(30)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재생상태로 되게 하여, 사용 소재(Va)를 재생시킴과 동시에, 타임코드를 감시해, 트랜지션 기간의 약간 앞에서부터 VTR(31)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재생 상태로 하고, 사용소재(Vb)의 인점(IN)보다 앞에서부터 재생시키고, 트랜지션의 기간으로 된 때에 스위쳐(29)에 제어 신호를 공급해 와이프, 디졸브 혹은 믹스 등의 트랜지션 처리를 행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 소재(Va, Vb)를 예를 들면 모니터(68)에 공급하여, 그 관면상에 화상으로서 영출시킨다. 또한, 사용 소재(Vb)를 예를 들면 디스크 레코더(32) 또는 (33)에 미리 버퍼링한 경우는, VTR(30)으로부터의 사용 소재(Va) 및 디스크 레코더 (32) 혹은 (33)으로부터의 사용 소재(Vb)를 모니터(68)의 관면상에 영출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이 경우에서는, VTR(30) 또는 (31)에 세트되어 있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2개의 편집 소재가 지정된 경우, 혹은 2개의 소재에 동일 VTR(30) 또는 (31)이 지정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한쪽의 소재를 버퍼링 하게 했기 때문에, 수동으로 다른 VTR이나 레코더에 한쪽의 소재를 기록, 혹은 기억시키는 번거러운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술한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이중으로 작성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하나의 VTR(30) 또는 (31)에 2개의 사용 소재가 지정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3개 혹은 4개라도 좋다. 이 경우는, 버퍼링 해야 할 VTR이나 디스크 레코더 등을 대응하는 부분만큼 준비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상술한 사용 소재(Va)나 (Vb)를 지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9(a)도 내지 제9(d)도로 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사용 소재는 인점(IN) 및 아웃점(OUT)을 지정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결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VTR(30) 혹은 (31)을 재생하고, 그 영상을 모니터(27) 혹은 (37)로 보는 것과 동시에, 원하는 인점(IN) 및 아웃 점(OUT)에서 포인팅 디바이스(25) 혹은 키보드(26) 등으로 지시(마크인, 마크아웃)하고, 그때의 타임 코드를 편집장치 본체(20)에 기억시키게 한다.
한편, 상술한 버퍼링을 행하는 경우나, 혹은 단순히 사용 소재의 인점(IN) 및 아웃 점(OUT)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VTR(30, 31), 디스크 레코더(32, 33) 이외에 제3도에 도시한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메모리(도시 생략)나 RAM(23)을 이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3도, 제6도,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서,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VTR(30) 및, VTR(31)로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각각 재생하고, 이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에 의해 와이프 효과를 수행하면서 전환해 출력하는 경우의 인점 및 아웃점을 모니터(37)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VTR(30, 31)으로부터 각각 재생된 제1, 제2의 영상 신호는, 매트릭스·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9, 70)을 통해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및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는 입력된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와이프 효과를 수행하면서 전환해 모니터(68)에 공급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키보드(26)을 통하여 제어 데이타를 입력하고, VTR(30)을 재생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포인트(69)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또한 VTR(30)으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직접 모니터(68)에 공급되도록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를 제어한다. 그리고, 인점 및 아웃점으로서 적합한 비디오 프레임이 재생된 때에, 각각 키보드로부터 비디오 클립의 지시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20)는, 그때의 비디오 프레임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포인트(70)을 통하여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각각 공급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쳐(50)을 제어함과 동시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그 비디오 프레임을 기억하도록 캡쳐 콘크롤러 및 메모리(36)를 제어한다.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의해 기억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제13도의 IV2, OV2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로 모니터(37)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20)는, 제어선을 통해 VTR(30)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타임 코드 중, IV2 및, OV2로 표시되는 비디오 프레임 즉, 인점 및 아웃 점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RAM(23)에 기억시킨다.
동일하게, 오퍼레이터는, 키보드(26)을 통해 제어 데이타를 입력하고, VTR(31)을 재생 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70)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또한, VTR(31)으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직접 모니터 (68)에 공급되도록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를 제어한다. 그리고, 인점 및 아웃점으로서 적합한 비디오 프레임이 재생된 때에, 각각 키보드로부터 비디오 클립의 지시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20)는, 그때의 비디오 프레임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71)를 통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각각 공급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쳐(50)을 제어함과 동시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그 비디오 프레임을 기억하도록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를 제어한다.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의해 기억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제13도의 IV3, OV3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모니터(37)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20)는, 제어선을 통해 VTR(31)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타임 코드 중, IV3 및 OV3으로 표시되는 비디오 프레임 즉, 인점 및 아웃점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RAM(23)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오퍼레이터는, VTR(30, 31)을 동시에 재생상태로 함과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9) 및 (70)의 스위치를 동시에 온 상태로 하여, VTR(30, 31)로부터 재생된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에 공급한다.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는, 예를 들면 와이프 효과를 수행하고,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하여, 모니터(68)에 공급한다. 오퍼레이터는 모니터(68)을 보면서 인점 및 아웃점으로서 적합한 비디오 프레임이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로부터 출력된 때에 키보드에 의해 비디오 클립의 지시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20)는, 그때의 비디오 프레임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72) 통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각각 공급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쳐(50)을 제어함과 동시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그 비디오 프레임을 기억하도록 캡쳐 콘크롤러 및 메모리(36)를 제어한다.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의해 기억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제11도의 5115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로 모니터(37)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20)는, 제어선을 통해 VTR(30, 31)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타임 코드 중, 제11도에 5115로 도시되어 있는 비디오 프레임 즉, 인점 및 아웃 점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RAM(2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한쪽의 단자에 입력되는 제1의 영상 신호에 설정되는 인점 및 아웃 점,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다른쪽의 단자에 입력되는 제2의 영상 신호에 설정되는 인점 및 아웃 점,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 (52)의 출력 신호에 설정되는 인점 및 아웃 점이 원하는 점으로 될 때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각 인점 및 아웃점이 원하는 점으로 된 후에, 제어 장치(20)는 RAM(23)으로부터 각 편집점을 나타내는 타임 코드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 타임 코드 데이타에 따라 각 VTR(30, 31)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1도에 도시되는 인점으로부터 아웃 점까지의 영상에서, 또 이 인점과 아웃점 사이에서, 제13도의 OV2 및 IV3로 도시되는 비디오 프레임에 제1의 영상과 제2의 영상의 전환이 발생하는 출력 영상 신호만을 VTR(67)에 기록함으로써, 편집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VTR(30,31)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 신호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각각 설정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을 모니터(68)에 표시할 수가 있으므로, 편집시의 각 편집점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TR(30,31)에 의해 재생되는 제1, 제2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설정된 인점 및 아웃 점의 비디오 프레임을 시간축을 기준으로하여 나란히 표시하게 한 것이므로, 서로의 시간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비디오 프레임에 인접시켜, 그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값을 표시하게 한 것이므로, 각 비디오 프레임의 시간 관계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VTR(30)에 의해 재생된 제1의 영상 신호와 VTR(31)에 의해 재생된 제2의 비디오 신호를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에서 와이프 등의 효과를 수행하여 전환함과 함께, 디스크 레코터(32)로부터 재생된 영상 신호를 DME(35)에 공급하여 화상 변형 처리를 실시하고, 이 DME(35)에 의해 화상 변형된 영상 신호를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키잉에 의해 합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VTR(30,31)에 의해 각각 재생된 제1, 제2의 영상 신호는, 매트릭스·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2,63)를 통해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한쪽의 입력 단자 및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또,디스크 레코더(32)로부터 재생된 제3의 영상 신호는 매트릭스·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5)를 통해 DME(35)에 공급된다.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는 입력된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와이프 효과를 수행하여 전환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입력단자(59)에 공급한다. 또, DME(35)는, 공급된 제3의 영상 신호에 화상 변형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매트릭스 스위쳐(50)의 입력 단자(61)에 공급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키보드(26)를 통해 제어 데이타를 입력하고, VTR(30)을 재생 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2)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또한, VTR(30)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직접 모니터(68)에 공급되도록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크로스 포인트(64)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를 제어한다. 그리고, 인점 및 아웃점으로서 적합한 비디오 프레임이 재생된 때에, 각각 키보드에 의해 비디오 클립의 지시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장치(20)는, 그 때의 비디오 프레임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70)를 통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각각 공급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쳐(50)를 제어함과 동시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그 비디오 프레임을 기억하도록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를 제어한다.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의해 기억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제13도에 IV2, OV2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로 모니터(37)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20)는, 제어선을 통하여 VTR(3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타임코드 중, IV2 및 OV2로 도시되는 비디오 프레임 즉, 인점 및 아웃점에 대응하는 타임코드를 RAM(23)에 기억시킨다.
동일하게, 오퍼레이터는, 키보드(26)를 통해 제어 데이타를 입력하고, VTR(31)을 재생 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3)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하고, 또한 VTR(31)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직접 모니터(68)에 공급되도록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크로스 포인트(64)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를 제어한다. 그리고, 인점 및 아웃 점으로서 적합한 비디오 프레임이 재생된 때에, 각각 키보드에 의해 비디오 클립의 지시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20)는, 그 때의 비디오 프레임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71)를 통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각각 공급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쳐(50)를 제어함과 동시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그 비디오 프레임을 기억하도록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를 제어한다.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의해 기억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제13도에 IV3, OV3로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모니터(37)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장치(20)는, 제어선을 통해 VTR(31)로부터 전송되어오는 타임 코드 중, IV3 및, OV3로 표시되어 있는 비디오 프레임 즉, 인점 및 아웃점에 대응하는 타임코드를 RAM(23)에 기억 시킨다.
동일하게, 오퍼레이터는, 키보드(26)를 통해 제어 데이타를 입력하고, 디스크 레코더(32)를 재생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5)의 스위치를 온상태로 하고, 또한 디스크 레코드(32)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직접 모니터(68)에 공급되도록 DME(35),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 크로스 포인트(66)를 제어한다. 그리고, 인점 및 아웃점으로서 적합한 비디오 프레임이 재생 되었을 때 각각 키보드에 의해 비디오 클립의 지시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20)은 그때의 비디오 프레임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73)를 통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각각 공급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쳐(50)를 제어함과 동시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그 비디오 프레임을 기억하도록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를 제어한다.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의해 기억된 인점 및 아웃 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제13도에 IV1, OV1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로 모니터(37)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장치(20)는, 제어선을 통하여 디스크 레코더(3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타임 코드 중, IV1 및, OV1으로 표시되는 비디오 프레임 즉, 인점 및 아웃점에 대응하는 타임코드를 RAM(23)에 기억시킨다.
이어서, 오퍼레이터는, VTR(30,31) 및 디스크 레코더(32)를 동시에 재생 상태로 함과 동시에,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62,63)의 스위치를 동시에 온 상태로 하여, VTR(30,31)로부터 재생된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에 공급한다.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는, 예를 들면 와이프 효과를 수행하여 제1, 제2의 영상 신호를 전환해 출력하고, 매트릭스·스위쳐의 입력 단자(59)에 공급한다. 또, 크로스 포인트(65)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디스크 레코더(32)로부터 재생된 제3의 영상 신호를 DME(35)에 공급하고, DME(35)는 이 공급된 제3의 영상 신호에 화상 변형 처리를 실시하여, 매트릭스·스위쳐의 입력단자(61)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크로스 포인트(64,66)를 온상태로 함으로써,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출력신호 및 DME(35)의 출력 신호를 각각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한쪽의 입력 단자 및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한다. 또, DME(35)의 출력 신호를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출력 신호에 키잉하기 위한 키신호가 DME(35)로부터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에 공급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모니터(68)를 보면서 인점 및 아웃점으로서 적합한 비디오 프레임이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로부터 출력된 때에 키보드로부터 비디오 클립의 지시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장치(20)는, 그 때의 비디오 프레임이 매트릭스 스위쳐(50)의 크로스 포인트(72)를 통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각각 공급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쳐(50)를 제어함과 동시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가 그 비디오 프레임을 기억하도록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를 제어한다.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의해 기억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은, 예를 들면 제11도에 5115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로 모니터(37)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장치(20)는, 제어선을 통하여 VTR(30,31) 및, 디스크 레코더(3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타임코드중, 제11도에 5115로 표시되어 있는 비디오 프레임 즉, 인점 및 아웃점에 대응하는 타임코드를 RAM(2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한쪽의 단자에 입력되는 제1의 영상 신호에 설정되는 인점 및 아웃점,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의 다른쪽의 단자에 입력되는 제2의 영상 신호에 설정되는 인점 및 아웃점, DME(35)에 입력되는 제3의 영상 신호에 설정되는 인점 및 아웃점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출력 신호에 설정되는 인점 및 아웃점이 원하는 점으로 될 때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각 인점 및 아웃점이 원하는 점으로 된 후에, 제어장치(20)는 RAM(23)으로부터 각 편집점을 나타내는 타임코드 데이타를 독출하며, 이 타임 코드 데이타에 따라 각 VTR(30,31), 디스크 레코더(32), 제1의 믹스/이펙트 회로(51)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1도에 표시되는 인점으로부터 아웃점까지의 영상에서, 또 이 인점과 아웃점 간에서, 제13도에 OV2 및 IV3로 표시되는 비디오 프레임에서 제1의 영상과 제2의 영상의 변환이 발생하고, 또 제13도에 IV1 및 OV1으로 표시되는 비디오 프레임 간의 영상이 키잉에 의해 제1의 영상신호 또는 제2의 영상 신호에 합성되어 있는 출력 영상 신호만을 VTR(67)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편집 동작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VTR(30,31) 및 디스크 레코더(32)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 신호 및, 제2의 믹스/이펙트 회로(5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각각 설정된 인점 및 아웃점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을 모니터(68)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편집시의 각 편집점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TR(30,31) 및, 디스크 레코더(32)에 의해 재생되는 제1, 제2 및 제3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설정된 인점 및 아웃점의 비디오 프레임을 시간축을 기준으로 나란히 표시하도록 한 것이므로, 서로의 시간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비디오 프레임에 인접시켜, 그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값을 표시하도록 한 것이므로, 각 비디오 프레임의 시간 관계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소재(Va) 혹은 (Vb)의 인점(IN)을 지정한 경우, 인점(IN)보다 앞선 지점(시간축상)으로부터 화상 데이타를 기억시키고, 아웃점(OUT)을 지정한 경우는 아웃점(OUT)보다 이후 지점(시간축상)까지의 화상 데이타를 크로스 포인트(70∼73)를 통해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VTR(30,31), 디스크 레코더(32,33)로부터 제어선을 통해 제어 장치에 각 영상에 대응하는 타임코드 데이타가 전송되어, RAM(23)에 기억된다.
제10도에 있어서, 도면 참조 부호,(It)는 인점(IN)의 오프세트 부분이고, 도면 참조 부호(Ot)는 아웃점(OUT)의 오프세트 부분이다. 따라서, 실제로 지정한 시간보다도 긴 기간(Vt)간 화상 데이타를 취입하게 된다.
이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결정도 상술한 에디트 파일(EDL1∼EDLn) 및 대응하는 셋업 파일(SET1∼SETn)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VTR(30)의 재생 소재로부터 사용소재(Va) 혹은 (Vb)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VTR(30)을 재생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인점(IN) 및 아웃점(OUT)에서 마크 인 및 마크 아웃을 행한다.
마크인 및 마크 아웃을 행하면, RAM(23) 혹은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상술한 오프 세트부분을 포함하는 기간 (Vt)부분의 화상 데이타가 기억된다. 그리고 이하,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26)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모니터(37)에 제9도에 도시한 기간(Vt)의 화상 데이타를 영출시킨다.
이때의 화상 데이타는 VTR(30)로부터 재생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타 이므로,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 (26)에 의해 정확한 코마(coma) 전송을 원하는 속도로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결정을 리허설(rehearsal)을 반복하면서 몇번이고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버퍼링에 있어서도, 자동적으로 오프세트를 포함해 버퍼링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8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의 스텝(S33, S43)의 후에 사용자에 의한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결정을 재차 행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이어서, 제11도를 참조하여,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오프세트 부분을 포함한 화상 데이타의 기억 및 인점 및 아웃 점을 재차 지정하는 것에 대하여 모니터(37)의 관면상에 영출하는 화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 도면 참조 부호(a1)는 예를 들면 이벤트 마다의 타임코드를 표시하는 에리어, 도면 참조 부호(a2)는 예를 들면 기기의 접속 상태 등을 나타내는 에리어이다.
도면 참조 부호(a3)는 상술한 프리뷰를 행하고 있는 화상 데이타를 표시하는 에리어이고, 이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에리어(a3)에 화상 데이타를 표시하는 경우는 제3도에 도시한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서 압축해 표시한다. 그리고 그 하부에 이 화상에 할당된 번호(p2)가 표시됨과 동시에, 타임 코드(TC)가 표시된다.
도면 참조 부호(a4)는 에디트 파일(EDL1∼EDLn)로 편집된 화상 데이타, 즉 상술한 예에서는 사용소재(Va, Vb)[이 경우는 3개의 소재(에디트 단위)를 표시하고 있다]를 각각 표시하는 에리어 이고,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사용소재(이 예에서는 각각“5201”, “5115”, “3028” 등의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의 인점(IN)의 화상과, 아웃 점(OUT)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사용 소재의 에리어(a5∼a7) 마다에 타임 코드를 표시하는 타임 코드 표시 에리어(Ta1∼Ta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3개의 사용 소재 중, 에리어(a6)의 사용 소재만이 타임코드 표시 에리어(Ta2)만에 인점(IN)의 타임코드(Tin)와, 아웃점(OUT)의 타임코드(Tout)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을 현재 에디트, 즉,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재차 지정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했지만, 소재의 지정시에, 마크인 및 마크 아웃를 행함으로써, 실제로 지정한 인점(IN) 및 아웃 점(OUT)에 오프세트(혹은 전후 수초분)를 부가하여 화상 데이타를 취입하게 한다.
제11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a8)가 오프 세트 부분을 포함하여 취입한 인점(IN) 혹은 아웃점(OUT)(이 예에서는 인점(IN)의 화상)의 화상 데이타를 표시하는 어레이이고,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인정(IN)의 편집을 행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인점(IN)의 전후의 화면 데이타(V1∼V6)를 나타내고 있다. 또, 각 화상 데이타(V1∼V6)의 아래에 나타나는 수값 -2 ∼ +3은 마크인 한 인점(IN)을 제로 “0”로 한 경우에 시간적으로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또, 제11도에서, 화상 데이타(V3)의 주위에만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것은 마크인 한 화상 데이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26)의 커서키 등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타(V1∼V6)(실제는 양단에 각각 화상 데아타가 연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로부터 원하는 화상 데이타를 선택(리콜 등 이라 한다)할 수 있고, 선택한 화상 데이타(V1∼V6)에 표시가 되며, 예를 들면 이후 결정을 나타내는 입력을 행함으로써 인점(IN)을 변경하고, 이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키보드(26)에 FS(포워드·스페이스), BS(백·스페이스) 등의 정(+) 혹은 부(-) 방향으로 코마 전송을 행하기 위한 키를 독립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재지정의 경우는 예를 들면 에리어(a5∼a7)의 원하는 에리어(a5∼a7)의 인점(IN)혹은 아웃점(OUT)의 에리어에 커서를 이동시켜, 여기서 크릭(click) 혹은 리턴을 행하는 것으로, 인점(IN) 혹은 아웃점(OUT)의 편집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인점(IN) 및 아웃점(OUT)을 일단 마크인 및 마크 아웃에 의해 임시로 설정한 경우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임시로 지정한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전후의 화상 데이타도 기억시키고, 그후, 임시로 지정한 인점(IN) 및 아웃점(OUT) 및 그 전후의 화상 데이타를 압축해 모니터(37)로 표시하고, 그 관면상에서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로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재지정을 행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VTR(30,31)의 사용 빈도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사용하기 쉽고, 정밀도가 높은 편집을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제12도를 참조하여 에디트 파일(EDL1∼EDLn)의 각 에디트 데이타의 삭제, 위치교환, 카피, 이동에 관해서 제11도와 동일한 모니터(37)에 영출되는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제11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2도에 있어서, 도면 참조 부호(a9)는 에디트 파일(EDL1∼EDLn)의 에디트 데이타의 선두의 화상 데이타(p1∼p6)를 표시하는 에리어이며, 이때, 아래 방향의 에리어(a4)에는 제11도와 동일하게, 에디트 데이타의 인점(IN) 및 아웃점(OUT)의 화상 데이타가 각각 에리어(a5∼a7)에 표시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리어(a6)만이 타임 코드 에리어(Ta2)에 타임 코드(Tin) 및 (Tout)가 표시되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에리어(a4) 중 에리어(a6)가 포인팅 디바이스(25) 혹은 키보드(26)에 의해 선택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는, 에리어(a5∼a7)를 직접 선택하여, 선택한 에리어(a5∼a7)의 에디트 데이타의 삭제, 카피, 이동, 위치 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삭제의 경우는 삭제하고 싶은 에디트 데이타의 에리어(a5∼a7)에 커서 등을 이동시키고, 거기서 크릭, 혹은 리턴하는 것에 의해 삭제할 수 있게 한다.
또, 카피의 경우는, 카피하고 싶은 에디트 데이타의 에리어(a5∼a7)에 커서 등을 이동시켜, 거기서 크릭하고, 그대로 유지해 커서(혹은 포인터)를 원하는 에리어(a5∼a7)로 이동시키고, 그 에리어(a5∼a7) 내에서는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카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동의 경우, 이동 시키고 싶은 에디트 데이타의 에리어(a5∼a7)에 커서 등을 이동시켜, 거기서 크릭하고, 그대로 유지하여 커서(혹은 포인터)를 원하는 에리어(a5∼a7)로 이동시켜, 이 에리어(a5∼a7) 내에서는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 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위치 교환의 경우는, 한쪽의 에디트 데이타의 에리어(a5∼a7)에 커서 등을 이동시켜, 거기서 크릭하고, 그후 커서를 원하는 에리어(a5∼a7)로 이동시켜, 그 에리어(a5∼a6) 내에서는 다시 크릭 함으로써 위치 교환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내부적 처리는, 먼저, 삭제는 예를 들면 간단히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대응 에리어를 소거함과 동시에, 에디트 파일(EDL1∼EDLn)의 대응하는 에디트 데이타에 연관된 데이타를 삭제한다.
카피는 예를 들면 간단히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대응 에리어의 에디트 데이타를 지정 에리어에 재차 기억함과 동시에, 에디트 파일(EDL1∼EDLn)의 대응하는 에디트 데이타에 관련하는 데이타를 이동전에 대응한 기억 에리어에 기입하게 한다.
이동은 예를 들면 간단히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대응 에리어의 에디트 데이타를 지정 에리어에 재차 기억함과 동시에, 에디트 파일 EDL1∼EDLn의 대응하는 에디트 데이타에 관련하는 데이타를 이동전에 대응한 기억 에리어에 기입하게 한다.
위치 교환은 예를 들면 간단히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대응 에리어의 2개의 에디트 데이타를 서로의 에리어에 재차 기억함과 동시에, 에디트 파일(EDL1∼EDLn)의 대응하는 2개의 에디트 데이타에 관련하는 데이타를 상호 기억 에리어에 기입하게 한다.
그리고, 화면상에서 행한, 삭제, 카피, 이동, 위치 교환 등의 각종 처리를,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의 메모리 내용을 변경하여, 일단 확인하고 그후에 실제로 에디트 파일(EDL1∼EDLn)의 내용을 변경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화면상에 표시한 에디트 단위의 화상 데이타를 포인팅 디바이스(25)나 키보드(26)를 사용하여 삭제, 카피, 이동, 위치 교환함으로써, 에디트 파일(EDL1∼EDLn)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게 했으므로, VTR(30,31)을 재생하여 재 체크하거나, 키보드(26) 등으로 기억 어드레스 등을 확인하고, 이것을 입력하기도 하는 등의 번거러운 작업을 일체 행하지 않고 편집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이것에 의해, 편집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3도를 참조하여, 제3도에 도시한 각종 기기에 의한 각종 효과의 변화점의 시간축상의 스케일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도에서, 가장 좌측에는 기록되는 레코더, 예를 들면 VTR(30,31), 디스크 레코더(32,33)의 타임코드를 나타내고, 각 타임 코드에는 마커(Ma)를 부여하고, 그 마커(Ma)로부터 그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선을 긋도록 한다. 또, 타임 코드의 란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순차 DME의 란, 스위쳐의 란, 스위쳐의 란을 설치하고, 각 란에는 각각 타임코드가 표시하는 시간에 처리되는 화상 데이타의 최초와 최후의 화상 데이타, 즉, DME의 란에는 화상 데이타(Iv1, Ov1)을 타임코드에 맞추어 표시하고, 스위쳐의 란에는 화상 데이타(Iv2, Ov2)를 타임 코드에 맞추어 표시하고, 또 하나의 스위쳐의 란에는 화상 데이타(Iv3, Ov3)를 타임 코드에 맞추어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더우기, 각 화상 데이타(Iv1, Ov1), (Iv2, Ov2), (Iv3, Ov3)의 좌측에는 그 시간을 나타내는 바(b1,b2,b3)가 표시되어 있다. 즉,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도에 도시한 각종 기기에 의한 처리의 변화점을 타임 코드 및 마커(Ma)로 표시함과 동시에, 그 변화점의 화상 데이타(Iv1, Ov1), (Iv2, Ov2), (Iv3, Ov3)를, 처리되는 기기의 란에 표시하고, 또한 그 좌측에 그 시간을 표시하는 바(b1,b2,b3)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제13도에 도시하는 표시는 예를 들면 에디트 파일(EDL1∼EDLn)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지정에 의해 표시하게 해도, 또 실행과 동시에 나오게 하도 좋다.
모니터(37)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에 에디트 파일(EDL1∼EDLn)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편집 처리의 상황이 시시각각으로 전송되고, 캡쳐 콘트롤러 및 메모리(36)는 그 정보에 따라 타임코드, 마커(Ma), 바 그래프(b1), 화상 데이타(Iv1, Ov1), (Iv2, Ov2), (Iv3, Ov3)를 메모리에 기억함과 동시에 이것을 독출해 모니터(37)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실행되고 있는 처리 상태를 리얼 타임에서 화상 데이타와 동시에 쉽게 알 수 있게 표시하게 했기 때문에, 편집 작업의 효율화를 큰폭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에 있어서 각 효과의 시간을 변경하면, 리얼 타임에 반영되기 때문에, 그것에 추종해야 할 다른 효과도 확인 할 수 있다. 또, 추종하는 관계를 미리 알고 있으면, 이 화면으로부터 그 관계를 등록하여, 자동적으로 링크 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예이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외의 여러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집 처리용의 기기에서의 처리를 기록 혹은 프리뷰 측의 기기의 시간축을 기준으로 한 시간축 상에서 편집 처리용의 기기에 관련한 화상 데이타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키고, 이 표시 수단에 기록 혹은 프리뷰 측의 기기 및 편집 처리용의 기기에 관련한 정보를 공급하고, 표시 수단에 의해 전체의 편집 처리 상태를 표시시키도록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하게 했으므로, 편집 처리 과정에 존재하는 복수의 편집점의 시간 축 관리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어지는 화상 데이타에 관련하여 처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하게 했으므로, 상술한 효과에 부가해, 처리 시간의 판단을 즉석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처리의 최초의 포인트의 화상 데이타 및 그 처리의 최후의 포인트의 화상 데이타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했으므로, 상술한 효과에 부가해, 전체의 처리의 흐름, 처리 시간 등을 즉석에서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영상 신호에 편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작성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처리 수단;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제1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3, 제4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제2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5, 제6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제3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및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제2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의 비디오·클립을 각 비디오·클립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 정보에 따라, 시간축 상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표현되도록 표시하고, 또는 상기 제3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2. 복수의 영상 신호에 편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작성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처리 수단;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의 비디오·클립,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3, 제4의 비디오·클립, 및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5, 제6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비디오 클립 생성 수단; 및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의 비디오·클립을 각 비디오·클립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 정보에 따라, 시간축 상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표현되도록 표시하고, 또는 상기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를 전환해 출력하는 커트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와이프 효과를 발생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믹스 효과를 발생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페이드 효과를 발생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의 각각 부가되어 있는 타임코드 정보를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의 표시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8. 복수의 영상 신호에 편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작성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제1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제1의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제1의 처리 수단; 제3의 입력 영상 신호에 제2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제2의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제2의 처리 수단; 상기 제1의 출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해 제3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제3의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제3의 처리 수단;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제1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3, 제4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제2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상기 제3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5, 제6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제3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상기 제3의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7, 제8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제4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및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을 각 비디오·클립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 정보에 따라, 시간축 상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표현되도록 표시하고, 또는 상기 제7 및 제8의 비디오·클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를 전환해 출력하는 커트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와이프 효과를 발생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믹스 효과를 발생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는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로부터 페이드 효과를 발생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에 각각 부가되어 있는 타임 코드 정보를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의 표시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4. 복수의 영상 신호에 편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작성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제1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제1의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제1의 처리 수단; 제3의 입력 영상 신호에 제2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제2의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제2의 처리 수단; 상기 제1의 출력 영상 신호와 상기 제2의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해 제3의 영상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해 제3의 출력 영상 신호를 얻는 제3의 처리 수단; 상기 제1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의 비디오·클립,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3, 제4의 비디오·클립, 상기 제3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5, 제6의 비디오·클립, 및 상기 제3의 출력 영상 신호에 대해 설정된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제7, 제8의 비디오·클립을 얻는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및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을 각 비디오·클립에 부가되어 있는 시간 정보에 따라, 시간축 상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표현되도록 표시하고, 또는 상기 제7 및 제8의 비디오·클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에 의해 상기 제5, 제6의 비디오·클립이 생성될 때에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상기 개시 위치보다 소정량 만큼 이전의 위치로부터 상기 종료 위치보다 소정량 만큼 앞선 위치간의 영상 신호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3의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에 각각 부가되어 있는 타임 코드 데이타를 상기 제5 및 제6의 비디오·클립의 표시 위치의 근방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재생 수단;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영상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처리 수단, 상기 비디오·클립 생성 수단, 상기 재생 수단, 상기 기록 수단,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2의 입력 영상 신호가 동일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미리 상기 제2의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상기 재생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1, 제2의 영상 신호가 상기 처리수단에 제공되도록 상기 재생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편집 정보 및 복수의 셋업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들인 상기 복수의 편집 정보 중 하나에 대응하는 셋업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들여, 그 셋업 정보에 따라 상기 처리 수단, 상기 재생 수단, 상기 기록 수단,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의 셋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KR1019940007583A 1993-04-13 1994-04-12 편집 장치 KR100284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86386A JPH06302160A (ja) 1993-04-13 1993-04-13 編集装置
JP93-086386 1993-04-13
JP5087413A JPH06302157A (ja) 1993-04-14 1993-04-14 編集装置
JP93-087415 1993-04-14
JP5087416A JPH06302159A (ja) 1993-04-14 1993-04-14 編集装置
JP5087414A JPH06302161A (ja) 1993-04-14 1993-04-14 編集装置
JP08741593A JP3438250B2 (ja) 1993-04-14 1993-04-14 編集装置
JP93-087413 1993-04-14
JP93-087414 1993-04-14
JP93-087416 1993-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4922B1 true KR100284922B1 (ko) 2001-03-15

Family

ID=2752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583A KR100284922B1 (ko) 1993-04-13 1994-04-12 편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926603A (ko)
EP (1) EP0625781B1 (ko)
KR (1) KR100284922B1 (ko)
DE (1) DE694248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348A (en) * 1993-04-16 1995-08-08 Avid Technology, Inc.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specifying and adjusting motion picture transitions
GB2277847B (en) * 1993-05-03 1997-08-20 Grass Valley Group Method of creating video effects by use of keyframes
US6888998B1 (en) 1994-11-28 2005-05-03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data transferring device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data between multiple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s
EP0764951B1 (en) * 1995-04-08 2002-09-18 Sony Corporation Editing system
US6324335B1 (en) * 1996-11-29 2001-11-27 Sony Corporation Editing system and editing method
JPH10199214A (ja) * 1997-01-17 1998-07-31 Sony Corp 複合記録・再生装置
JP3736706B2 (ja) * 1997-04-06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US6317885B1 (en) * 1997-06-26 2001-11-13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system using television set-top box
GB2328550B (en) * 1997-08-01 2000-02-09 Discreet Logic Inc Editing image data
GB9716248D0 (en) 1997-08-01 1997-10-08 Discreet Logic Inc Editing image data
US6166731A (en) * 1997-09-24 2000-12-26 Sony Corporation Editing digitized audio/video data across a network
WO1999031663A1 (fr) 1997-12-17 1999-06-24 Sony Corporation Dispositif pour generer une liste de montage, procede et dispositif de montage
JP3944807B2 (ja) * 1998-04-02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素材選択装置及び素材選択方法
JP3351352B2 (ja) * 1998-09-24 2002-11-25 ヤマハ株式会社 映像切換装置
JP4264784B2 (ja) * 1999-10-05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516682B2 (ja) * 2000-10-06 2010-08-04 富士通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
JP3738843B2 (ja) * 2002-06-11 2006-01-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検出装置、画像検出方法および画像検出プログラム
US7729992B2 (en) * 2003-06-13 2010-06-01 Brilliant Digital Entertainment, Inc. Monitoring of computer-related resourc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isbursing compensation
US7752548B2 (en) * 2004-10-29 2010-07-06 Microsoft Corporation Features such as titles, transitions, and/or effects which vary according to positions
US7450124B2 (en) * 2005-03-18 2008-11-11 Microsoft Corporation Generating 2D transitions using a 3D model
US7511767B2 (en) * 2005-03-29 2009-03-31 Snell & Wilcox Limited Video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storage device and video mixer
US10692536B1 (en) 2005-04-16 2020-06-23 Apple Inc. Generation and use of multiclips in video editing
US7644364B2 (en) * 2005-10-14 2010-01-05 Microsoft Corporation Photo and video collage effects
KR100793752B1 (ko) * 2006-05-02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물의 부분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JP2008065895A (ja) 2006-09-06 2008-03-21 Sony Corp 編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65584B2 (en) * 2007-02-02 2013-10-22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EP3627831A4 (en) * 2017-05-18 2020-06-0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7626A (en) * 1969-05-16 1971-11-02 Technicolor High-definition color picture editing and recording system
CA1217559A (en) * 1982-12-22 1987-02-03 Ronald C. Barker Video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US4979050A (en) * 1983-12-02 1990-12-18 Lex Computer And Management Corporation Video composition method for assembling video segments
US4858011A (en) * 1988-04-04 1989-08-15 Jackson Richard A Video switcher system with modular architecture
JPH023134A (ja) * 1988-06-09 1990-01-08 Sony Corp 編集装置
JPH0229983A (ja) * 1988-07-18 1990-01-31 Canon Inc 磁気記録再生装置
US5119474A (en) * 1989-06-16 1992-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Computer-based, audio/visual creation and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US5218672A (en) * 1990-01-19 1993-06-08 Sony Corporation Of America Offline editing system with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edit list generation
US5237648A (en) * 1990-06-08 1993-08-17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video recording by selecting and displaying video clips
US5191645A (en) * 1991-02-28 1993-03-02 Sony Corporation Of America Digital signal processing system employing icon displays
DE69222102T2 (de) * 1991-08-02 1998-03-26 Grass Valley Group Bedienerschnittstelle für Videoschnittsystem zur Anzeige und interaktive Steuerung von Videomaterial
US5999173A (en) * 1992-04-03 1999-12-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diting with video clip representations displayed along a time line
WO1994001971A2 (en) * 1992-07-01 1994-01-20 Avid Technology, Inc. Electronic film editing system using both film and videotape format
US5404316A (en) * 1992-08-03 1995-04-04 Spectra Group Ltd., Inc. Desktop digital video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4896D1 (de) 2000-07-20
EP0625781A2 (en) 1994-11-23
EP0625781A3 (en) 1996-07-17
US5926603A (en) 1999-07-20
US6314231B1 (en) 2001-11-06
EP0625781B1 (en) 2000-06-14
DE69424896T2 (de) 200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922B1 (ko) 편집 장치
JP3837746B2 (ja) 編集システム
US6324336B1 (en) Editing system and its method
EP0803873B1 (en) Editing control apparatus and editing control method
JPH11203837A (ja) 編集システムおよび編集方法
JP4110528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US20010031131A1 (en) Video/audio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using video camera and its editing system
KR20000064897A (ko) 편집 시스템 및 방법, 영상 기록 장치, 편집 장치 및 기록 매체
JPH08317324A (ja) 電子カメラ
US20090067805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6302161A (ja) 編集装置
JP4281120B2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102944B2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06302159A (ja) 編集装置
JP3438250B2 (ja) 編集装置
JP4232122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H06302160A (ja) 編集装置
JPH06302157A (ja) 編集装置
JPH1051734A (ja) 動画像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編集方法
JP4245083B2 (ja) 加工再収録機能を有するノンリニア映像編集システム
JP4051658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2983642B2 (ja) ビデオカメラを用いた映像音声情報取材システムとその編集システム
JPH11203835A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4281121B2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038888B2 (ja) 映像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