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897A - 편집 시스템 및 방법, 영상 기록 장치, 편집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편집 시스템 및 방법, 영상 기록 장치, 편집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897A
KR20000064897A KR1019980708154A KR19980708154A KR20000064897A KR 20000064897 A KR20000064897 A KR 20000064897A KR 1019980708154 A KR1019980708154 A KR 1019980708154A KR 19980708154 A KR19980708154 A KR 19980708154A KR 20000064897 A KR20000064897 A KR 2000006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mark
editing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445B1 (ko
Inventor
히로후미 무라카미
가츠히코 아이하라
야스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6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23Time code signal, e.g. on a cue track as SMPTE- or EBU-time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5/926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04N5/926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with insertion of the PCM audio signals in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f the PCM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비디오 테이프의 일차 편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일차 편집 시의 표시가 되는 쇼트 마크를 정한다. 디지털 VTR 포맷의 비디오 테이프에서는 이 쇼트 마트를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에 기록할 수 있다. 편집 시에도 이 쇼트 마크를 부여할 수 있다. 일차 편집 시에, 이 쇼트 마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특정되는 일정 범위를 사용 부분으로서 마스터 테이프가 작성된다.

Description

편집 시스템 및 방법, 영상 기록 장치, 편집 장치 및 기록 매체
종래, 비디오 편집에서는 기록 소재 데이터를 편집할 때, 편집 장치의 조작 패널 상의 셔틀 다이얼 및 죠그 다이얼을 사용하여, 기록 소재 데이터를 재생하여 확인하는 동작을 몇 번이나 반복하여 편집점을 찾아 설정하였다. 또한, 편집점인 IN 점(편집 개시점) 및 OUT 점(편집 종료점)의 설정에 대해서는 조작 패널 상의 복수의 조작 스위치들을 조작하여 확정하였다.
종래의 편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편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카메라맨이 촬영한 소재 테이프(1)에, 기록 방향 또는 재생 방향을 나타내는 순서로, 신(scene:장면) A, 신 B, 신 C, 신 D, 신 E, …가 기록되어 있다. 신의 길이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동일 간격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신의 촬영 시간에 따라서 다르다.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REC」마크(「REC 스타트」마크라고도 한다)는 카메라맨이 카메라 조작으로 기록 버튼을 눌러서 각 신의 촬영을 개시한 곳을 나타낸다.
이러한 소재 테이프(1)로부터 편집 장치를 이용하여 편집 작업을 행하여 사용 부분을 시작한다. 종래의 편집 작업은 방송국의 편집 스튜디오에서 이 소재 테이프(1)의 재생·되감기를 몇 번이나 반복하면서 행하였다. 어셈블 모드 편집에서는, 조작 패널 상의 복수의 조작 스위치들을 조작함으로써, 사용 부분의 개시의 처음인 편집 개시점(IN 점)을 정확히 정하면서 순차적으로 마스터 테이프에 기록한다. 또한, 삽입 편집에서는 편집 개시점(IN 점) 및 편집 종료점(OUT 점)을 정확히 정하면서 마스터 테이프 상에 기록한다.
이들 IN 점 및 OUT 점의 정보(타임 코드)는 편집 장치의 편집 레지스터에 이의 타임 코드와 함께 축적된다. 이들 IN 점에서 OUT 점까지의 t1초간이 편집 데이터가 된다. 이와 같이, 방송에 사용되는 복수의 사용부분인 IN 점 및 OUT 점을, 재생·되감기를 몇 번이나 되풀이하면서 하나하나 정해간다.
필요한 복수의 편집 데이터를 결정한 후에 편집 장치를 자동 편집 모드로 함으로써, 마스터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이 편집 작업에서 편집점을 결정하지만, 편집점의 결정 시에 영상 및 음성에 대응하는 시간 및 타임 코드를 종이와 연필로 기록하면서 진행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혹은, 편집 전용 기재로써 프로그램을 편집할 필요가 있었다. 그 밖의 방법으로는 테이프 소재를 일단 신(장면)의 변화점에서 하드카피하고, 그것을 보면서 편집 개소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개략 편집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정확한 편집점의 결정은 편집의 최종 단계인 상세 편집 시에는 유효한 수단이다.
그러나, 일차적인 편집(「개략 편집」,「간이 편집」이라고도 한다), 즉 취재 현장에서의 편집 또는 편집 스튜디오에서의 최초의 편집에는 현 상태의 편집 방법은 부적합한 면이 많다.
또한, 카메라맨이 촬영 중에 양호한 영상을 찍었을 때 비디오 테이프에 어떠한 마킹(marking)을 할 수 있다면, 그 후의 편집 시, 표시가 되어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개략 편집에서는, 현장에서의 카메라맨 본인이 편집에 대응하면 편집 위치를 어느 정도의 확률로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1회에 전체를 통한 재생 동작에서, 사용하는 부분을 대충 특정할 수 있다면, 그 후의 편집에서 편리하다.
이와 같이 개략 편집에 알맞은 편집 방법, 편집 장치, 여기에 사용되는 VTR 테이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일차적인 편집 작업에서 이용되는 한층 더 간편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차적인 편집 작업에서 이용되는 한층 더 간편한 편집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적합한 영상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일차적인 편집작업에서 이용되는 한층 더 간편한 편집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적합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편집에서, 소재(素材) 테이프(「오리지날 테이프」라고도 한다)의 확인 중에 사용 부분(필요한 영상)을 특정하는 마크를 부여할 수 있는 편집 시스템 및 방법, 영상 기록 장치, 또한 상기 마크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의 편집을 수행하는 편집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편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되는 편집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편집 시스템이 실시하는 편집 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편집 시스템이 실시하는 편집 방법의 두 개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편집 방법을 실행하는 비디오 테이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비디오 테이프의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는 타임 코드 신호의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편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일체형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편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9에 나타낸 편집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나타낸 편집 장치의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도 7에 나타낸 편집 장치의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나타낸 편집 장치의 표시부 상의 마크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편집 장치를 2대 사용한 편집 시스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편집 장치를 3대 사용한 편집 시스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집 시스템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시스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과, 이 촬영 수단에서 촬영한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이 재생수단에서 재생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하는 편집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기록 수단은 촬영자에 의한 마킹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된 위치에, 제 1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을 가지며, 상기 편집 장치의 재생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제 1 마크 데이터를 재생하는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을 가지며,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수단은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이 재생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편집 장치는 상기 재생 수단이 재생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초로 한 편집자에 의한 마킹 조작에 응답하여 해당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와는 다른 종류의 제 2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편집 장치의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은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 및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수단은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이 재생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 및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한다.
또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는 쇼트 마크이고, 상기 제2 마크는 에디트 마크이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상기 마크 데이터는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다.
또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경사 트랙에 기록되는 기록 동작과 동시에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며,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가 이미 경사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에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에 의해서 중복 기재된다.
또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타임 코드 트랙의 1 영역 내에는,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신호 기록 영역과, 상기 타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타임 코드 기록 비트 영역과, 이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비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은 상기 이용자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1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식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2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3 비트 영역과, 상기 스타트 코드, 상기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 및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검사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4 비트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비트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소정 프레임 기간에 걸쳐서 동일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가 기록된다.
또한, 상기 제 3 비트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일련 번호 코드는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마크 데이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 기간에서의 기록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은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소정 프레임 수에 걸쳐 기록된 마크 데이터 중에서 최초에 기록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연산하여, 그 연산한 타임 코드를 조작자에 의한 마킹 시의 타임 코드로서 인식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집 시스템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시스템에서, 편집 소재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타이밍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된 위치에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고속으로 재생하면서,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상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서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된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상기 마크 데이터는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며,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헤드와는 다른 헤드에서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함으로써 상기 마크 데이터를 고속으로 검색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타임 코드 트랙의 1 영역은,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신호 기록 영역과, 상기 타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타임 코드 기록 비트 영역과, 이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비트 영역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은, 상기 이용자 데이터의 개시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식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2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3 비트 영역과, 상기 스타트 코드, 상기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 및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검사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4 비트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비트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소정 프레임 기간에 걸쳐 동일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가 기록된다. 또한, 상기 제 3 비트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일련 번호 코드는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마크 데이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 기간에서의 기록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소정 프레임 수에 걸쳐 기록된 마크 데이터 중에서 가장 최초에 기록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연산하고, 그 연산한 타임 코드를 마킹하였을 때의 타임 코드로서 인식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집 방법은 편집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타이밍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된 위치에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고속으로 재생하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상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된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집 시스템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시스템에서, 편집 소재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타이밍 및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된 위치에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종류의 마크 데이터만을 검색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서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된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상기 마크 데이터는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타임 코드 트랙의 1 영역은,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신호 기록 영역과, 상기 타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타임 코드 기록 비트 영역과, 이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비트 영역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은, 상기 이용자 데이터의 개시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비트 영역과, 상기 복수의 마크 데이터의 식별 코드를 나타내기 위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2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3 비트 영역과, 상기 스타트 코드, 상기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 및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검사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4 비트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마킹 데이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여러종류의 마크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종류의 마크 데이터만을 검색한다.
또한, 상기 제 2 비트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소정 프레임 기간에 걸쳐 동일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가 기록된다.
또한, 상기 제 3 비트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일련 번호 코드는,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마크 데이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 기간에서의 기록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소정 프레임 수에 걸쳐 기록된 마크 데이터 중에서 가장 최초에 기록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연산하고, 그 연산한 타임 코드를 마킹하였을 때의 타임 코드로서 인식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집 방법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서, 편집 소재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타이밍 및 조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된 위치에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종류의 마크 데이터만을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된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영상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집 장치는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1 임의의 기간 거슬러 올라간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제 2 임의의 기간 지나간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편집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를 재생 중에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쇼트 마크위치로부터 거슬러 올라가서 2번째의 촬영 개시 마크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직전의 촬영 개시 마크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며, 자동 편집 시, 상기 편집 개시점으로부터 편집 종료점까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편집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를 재생 중에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 1 임의의 기간 거슬러 올라간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 2 임의의 기간 내린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며, 자동 편집 시, 상기 편집 개시점으로부터 편집 종료점까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편집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를 재생 중에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 1 임의의 기간 거슬러 올라간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며, 자동 편집 시, 상기 편집 개시점에서 편집 종료점까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편집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편집 상의 가상 쇼트 마크위치가 지정되었을 때는, 이 가상 쇼트 마크를 상기 쇼트 마크와 함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각 신의 기록 개시 마크도 아울러 표시시킨다.
이 편집 장치는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기록된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편집 방법은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대하여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하며, 상기 기록 매체의 편집 중에, 상기 쇼트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되는 특정 범위를 사용 부분으로 하고, 상기 사용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 매체는, 영상 신호를 기록 시에,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대하여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록 매체는, 영상 신호를 기록 시에,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대하여 각 신의 기록 개시 마크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집 시스템이고, 휴대형의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VTR, 111)와, 휴대형의 편집 장치(112)로 이루어진다. 이 편집 시스템에 의해, 예를 들면 취재 현장에서, 취재자 자신이 카메라 일체형 VTR(111)로 테이프 카세트(115)에 기록한 영상/음성 데이터를 편집 장치(112)를 조작하여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 카세트(115)는, 예를 들면 D2용이 되는 디지털 VTR 포맷의 비디오 테이프를 감고 있다. 그리고, 상기 편집 시스템은 상기 영상/음성 소재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취급하여 편집한다.
상기 편집 시스템에 의한 편집 작업에 의해서 제작된 예를 들면 뉴스 방영용 비디오 데이터는 이동 중계차(116)나 디지털 변조기(117)에 의해, 예를 들면 위성회선 등을 이용하여 방송국(118)으로 고속 전송된다.
상기 편집 시스템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편집 방법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편집한다. 이 편집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개략 편집을 위한 표시가 되는 굿 신 마크(Good Scene Mark;GSM)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이 GSM에는 촬영 시에 부여할 수 있는 쇼트 마크와 편집 시에 부여할 수 있는 에디트 마크가 있다. 쇼트 마크란 카메라맨이 카메라 일체형 VTR(111)을 사용하여 영상 소재를 촬영하면서, 소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는 마크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버튼을 1번 누르는 것에 의해 쇼트 마크(1)를 기록하며, 2번 누르는 것에 의해 쇼트 마크(1)보다 우선도가 낮은 쇼트 마크(2)를 기록할 수 있다. 또, 에디트 마크란 편집 조작자가 편집 장치(112)의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는 마크이다. 이 에디트 마크에서도, 상술한 쇼트 마크(1 및 2)와 같이, 에디트 마크(1)와 에디트 마크(2)를 나누어 기록할 수 있다. 또, 상기 편집 시스템에서는, 취재자 자신이 카메라맨이기도 하며 편집 조작자이기도 하다.
즉, GSM이란 기록 시에 양호한 신을 특정하기 위해서 비디오 테이프상의 이러한 사용 부분의 부근에 기록하거나, 편집 시에 양호한 신을 특정하기 위해서 기록하는 마크이다. 소정의 버튼을 여러번 누름으로써, 영상 소재로부터 꺼내는 사용 부분을 특정할 수 있다. 이 GSM을 이용함으로써, 개략 편집에서 한층 더 간편한 편집을 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VTR 포맷의 비디오 테이프에서 상기 GSM을 테이프 상에 직접 기록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긴쪽 트랙 방향의 타임 코드(Longitudinal time code;LTC) 트랙에 기록한다. 상세하게는 이 타임 코드 트랙 중의 이용자 비트에 대하여 기록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일체형 VTR(111)에 의해 쇼트 마크가 부여된 소재 테이프는 편집 장치(112)에서 재생, 빨리 감기(FF) 및 되감기(REW)하였을 때에, 각 쇼트 마크 및 그것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가 판독되어,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장치(112)로부터도 에디트 마크 등의 필요한 GSM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GSM을 도입함으로써, 상기 도 1에 관련하여 설명한 종래의 편집 방법과 비교하여, 대단히 간편한 방법으로 개략 편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간편한 편집 방법에 대해서 종래의 편집 방법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 1 편집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테이프(1)를 고속 재생(또는 통상 재생)하면서 GSM을 검색하여, 이 GSM이 부여된 프레임에 큐업(cue up)하는 방법이다. 편집 조작자가, 큐업한 프레임의 전후의 영상을 보고, 임의의 시간(t2 및 t3)을 지정하여, IN 점 및 OUT 점을 결정한다. 이것을 각 GSM에 대하여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결정한 모든 IN 점 및 OUT 점의 타임 코드로부터, 편집용 리스트인 에디트 결정 리스트(EDL)를 생성한다.
다음에, 제 2 편집 방법은 도 4의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재 테이프(1)를 고속 재생(또는 통상 재생)하면서 GSM을 검색하여, 이 GSM이 부여된 타임 코드로부터 소정 설정 시간(t5)전을 IN 점의 타임 코드로 하고, 소정 설정 시간(t6) 후를 OUT 점의 타임 코드로 한다. 이 연산을 각 GSM에 대하여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결정한 모든 IN 점 및 OUT 점의 타임 코드로부터 EDL을 생성한다.
다음에, 제 3 편집 방법은 도 4의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재 테이프(1)를 고속 재생(또는 통상 재생)하면서 GSM을 검색하여, 이 GSM에 대하여 2개 앞의 REC 마크를 IN 점으로 하고, 하나 앞의 REC 마크를 OUT 점으로 한다. 이 처리를 각 GSM에 대하여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결정한 모든 IN 점 및 OUT 점의 타임 코드로부터 EDL을 생성한다.
상기 GSM을 직접 기록할 수 있는 것은, 디지털 VTR 포맷의 비디오 테이프에 대해서이다. 이 비디오 테이프의 긴쪽 방향의 타임 코드(LTC) 트랙에는, 바이 페이스 마크(Bi-phase Mark) 방식으로 변조된 타임 코드 신호가 기록된다. 이 타임 코드 트랙의 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 time code) 포맷 중의 2진 그룹 No. 1 내지 8까지의 합계 32 비트는 이용자 비트로서, 그 사용 방법을 이용자의 재량에 맡기고 있다. 그 이용자 비트에 상기 GSM을 기록한다.
도 5는 테이프 패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자기 테이프(1)의 중앙에는 회전 헤드에 의해서 디지털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기록된 경사 트랙(TD)이 생성된다. 또 경사 트랙(TD)은 디지털 영상 신호가 기록된 영역(TDV)과 디지털 음성 신호가 기록된 영역(TDA)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1)의 한쪽 끝에는, 고정 헤드에 의해서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가 기록된 음성 트랙(긴쪽 방향 트랙, TA)이 생성된다. 자기 테이프(1)의 다른 끝에는, 고정 헤드에 의해서 재생 신호가 기록된 제어 트랙(긴쪽 방향 트랙, TC)이 생성되며, 또한 제어 트랙에 인접한 위치에는 고정 헤드에 의해서 타임 코드 신호가 기록된 타임 코드 트랙(긴쪽 방향 트랙, TT)이 생성된다.
상기 타임 코드 트랙(TT)에 기록되는 타임 코드 신호 (LT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비트로 구성되는 1 프레임 영역을 1 단위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1 프레임 영역은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신호 영역, 타임 코드(HH:MM:SS:FF)를 기록하기 위한 8개의 타임 코드 기록 비트 영역, 이용자 비트(D1D2:C1C2:B1B2:A1A2)를 기록하기 위한 8개의 이용자 비트 기록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임 코드의 「Hour」정보는, 비트(48 내지 51, 56 내지 59)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 영역(H, H)에 기록되며, 타임 코드의 「Minute」정보는, 비트(32 내지 35, 40 내지 42)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 영역(M, M)에 기록되며, 타임 코드의 「Second」정보는 비트(16 내지 19, 24 내지 26)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 영역(S, S)에 기록되며, 타임 코드의 「Frame」정보는, 비트(0 내지 3,8,9)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 영역(F, F)에 기록된다.
또한, 8개의 이용자 비트 기록 영역에는, 스타트 코드와, 마크 식별 코드와, 데이터 일련 번호 코드와, 검사 합계 코드가 기록된다. 스타트 코드는 비트(60 내지 63, 52 내지 55)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 영역(D1, D2)에 기록되며, 마크 식별 코드는, 비트(44 내지 47, 36 내지 39)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C1, C2)에 기록되며, 데이터 일련 번호는 비트(28 내지 31, 20 내지 23)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 영역(B1, B2)에 기록되고, 검사 합계 코드는 비트(12 내지 15, 4 내지 7)로 나타나는 2개의 비트 영역(A1, A2)에 기록된다.
스타트 코드는 80 비트로 구성되는 1 프레임에서, 타임 코드 정보가 기록된 영역 및 이용자 영역이 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이고, 항상「0F Fh」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마크 식별 코드는 마크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이다. 카메라맨에 의해서 「Rec 스타트 마크」가 마킹된 경우에는, 마크 식별 데이터로서「20h」가 기록되며, 카메라맨에 의해서 「쇼트 마크 1」가 마킹된 경우에는, 마크 식별 데이터로서 「21h」가 기록되고, 카메라맨에 의해서「쇼트 마크 2」가 마킹된 경우에는, 마크 식별 데이터로서 「22h」가 기록된다. 또한, 편집 장치를 조작하는 편집 조작자에 의해서「에디트 마크 1」가 마킹된 경우에는, 마크 식별 데이터로서「23h」가 기록되며, 편집 조작자에 의해서「에디트 마크 2」가 마킹된 경우에는, 마크 식별 데이터로서 「24h」가 기록된다.
또, 상기 마크 식별 코드는 카메라맨이나 편집 조작자에 의해서 마킹이 지정된 그 순간의 1 프레임만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마킹이 지정된 그 때부터 20 프레임간 연속하여 기록된다. 예를 들면, 타임 코드가 「01:12:20:05」로 나타나는 타이밍에서 카메라맨에 의해서 쇼트 마크(1)가 마킹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마킹된 순간의 타임 코드 「01:12:20:05」부터 타임 코드 「01:12:20:24」까지의 20 프레임간, 「21h」의 데이터가 마크 식별 코드로서 이 타임 코드 트랙에 계속 기록된다.
이와 같이, 20 프레임간이나 연속하여 동일한 마크 식별 코드를 기록하는 이유는, 확실하게 이 마크 식별 코드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테이프의 데이터 결함이나 비트 에러 등으로 인해, 이 타임 코드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려고 한 경우에 판독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약, 이 타임 코드 「01:12:20:05」의 부분에만 이 마크 식별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테이프 상에서 마크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테이프를 고속으로 주행시킨 경우에는, CPU 등의 하드웨어의 처리 능력에 따라서, 전 프레임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이 타임 코드 「01:12:20:05」의 부분에만 이 마크 식별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테이프 상으로부터 마크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신을 검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마킹한 타이밍으로부터 20 프레임간, 동일한 마크 식별 코드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설령, 최초의 프레임에 기록된 마크 식별 코드를 판독할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그 후에 계속되는 프레임에 기록된 마크 식별 코드를 재생함으로써, 확실하게 마크 식별 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타임 코드 트랙 상의 전 프레임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을 정도로 테이프를 고속으로 주행시킨 경우에도, 20 프레임 중 적어도 1 프레임의 마크 식별 코드를 판독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확실히 마크 식별 코드를 테이프 상에서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 일련 번호 코드는 연속된 20 프레임에서 선두로부터 몇 번째의 프레임인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타임 코드「01:12:20:05」의 프레임의 데이터 일련 번호로서, 최초의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01」이 기록되며, 타임 코드 「01:12:20:24」의 프레임의 데이터 일련 번호로서, 20번째의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20」이 기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일련 번호 코드를 기록해두는 이유는, 최초의 프레임의 타임 코드, 즉, 마킹되었을 때의 타임 코드를 얻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고속 재생에 의해서, 타임 코드 트랙 상에 기록된 20 프레임의 데이터 중에서, 고속 테이프 주행에 의해서, 8번째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판독해 낼 수 있었다고 한다. 판독된 8번째의 프레임의 타임 코드는, 01:12:20:12이고, 데이터 일련 번호 코드는 「08」이다. 이 2개의 데이터로부터, 최초의 타임 코드는 용이하게 「01:12:20:05」라고 판명한다.
그런데,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각 편집 방법 중, GMS로서 쇼트 마크(1 및 2)를 기록하는 것은, 카메라 일체형 VTR(111)이다. 또한, 에디트 마크(1 및 2)를 기록하는 것은, 편집 장치(112)이다. 이하, 카메라 일체형 VTR(111), 편집 장치(112)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카메라 일체형 VTR(1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일체형 VTR(111)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과, 이 촬영 수단에서 촬영한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115)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중, 상기 쇼트 마크(1 및 2)의 기록은 기록 수단을 포함한 도 7에 도시된 기록 재생 블록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기록 재생 블록에서, 기록 동작이나 재생 동작 등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조작되는 조작 스위치부(2)는 동작 제어부(3)에 접속되어 있다. 동작 제어부(3)에서는 조작 스위치부(2)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 신호(CT)에 근거하여 모터 제어 신호(MC) 및 모드 신호(MS)를 생성한다.
모터 제어 신호(MC)는 모터 제어부(4)에 공급되며, 모드 신호(MS)는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 타임 코드 신호 재생부(31), 디지털 신호 기록부(41), 디지털 신호 재생부(42), 아날로그 신호 기록부(43), 아날로그 신호 재생부(44) 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하, 「단일 멀티」라고 한다, 17)에 공급된다.
마커 버튼(20)은 상기 쇼트 마크(1 및 2)를 기록할 때 눌러지는 버튼이다. 영상 소재를 기록 중에 이 마커 버튼(20)이 예를 들어 1번 누르면 쇼트 마크(1)를, 2번 누르면 쇼트 마크(2)를 고정 헤드(25)에 의해 자기 테이프(1)에 기록한다.
또, 조작 스위치부(2)나 동작 제어부(3) 및 마커 버튼(20)이나 후술하는 신호 변조부(23),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 및 고정 헤드(25)는, 쇼트 마크 기록 수단을 구성한다.
모터 제어부(4)에서는, 공급된 모터 제어 신호(MC)에 근거하여 모터 구동 신호(MD)가 생성된다. 이 모터 구동 신호(MD)가 캡스턴 모터(5) 및 드럼 모터(6)로 공급됨으로써, 자기 테이프(1)가 주행되는 동시에 복수의 헤드를 갖는 회전 헤드부(7)가 회전된다.
설정 스위치부(10)에서는, 시간이나 이용자 비트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터(테이프 릴 번호 등)의 설정 및 쇼트 마크 데이터나 기록 개시 데이터를 기록하는지 아닌지의 설정이 행해지며, 설정 신호(SS)를 패턴 발생 수단인 데이터 신호 발생부(11)로 공급한다.
데이터 신호 발생부(11)에서는 설정 스위치부(10)로부터의 설정 신호(SS)에 근거하여 타임 코드 데이터(DT), 이용자 데이터(DU), 및 특정 패턴의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나 쇼트 마크 데이터(DM)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에 보유되는 동시에 신호 변조부(23)에 공급된다. 또한 이용자 데이터(DU)는 이용자 데이터 보유부(13)에 보유되는 동시에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단자(a)에 공급된다.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는 기록 개시 데이터 보유부(14)에 보유되는 동시에 신호 전환 스위치(18)의 단자(a)에 공급된다. 쇼트 마크 데이터(DM)는 쇼트 마크 데이터 보유부(15)에 보유되는 동시에 신호 전환 스위치(18)의 단자(b)에 공급된다.
마커 버튼(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쇼트 마크(1 및 2)를 자기 테이프(1)에 기록하기 위해서 조작되는 스위치이며, 마커 버튼(20)이 조작되어 조작 신호(SG)가 단일 멀티(21)에 공급되면, 단일 멀티(21)로부터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의 신호(GW)가 신호 전환 스위치(18)와 논리합 회로(22)에 공급된다. 신호 전환 스위치(18)에서는, 이 GSM 신호(GW)에 의해서 가동 단자가 제어된다.
단일 멀티(17)에서는, 모드 신호(MS)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가 기록 동작으로 이행하였을 때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의 모드 타이밍 신호(MT)가 생성된다. 이 모드 타이밍 신호(MT)는 논리 합 회로(22)로 공급된다.
논리 합 회로(22)에서는, GSM 신호(GW)와 모드 타이밍 신호(MT)의 논리 합이 얻어지고, 논리 합 신호(MR)가 신호 전환 스위치(19)에 공급된다. 신호 전환 스위치(19)에서는 논리 합 신호(MR)에 의해서 가동 단자가 제어된다.
신호 변조부(23)에서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로부터 공급된 타임 코드 데이터(DT)의 갱신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갱신된 타임 코드 데이터는 신호 전환 스위치(19)에서 선택된 데이터와 함께 변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포맷의 기록 타임 코드 신호(WT)가 된다. 이 기록 타임 코드 신호(WT)는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에 공급된다.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에서는 공급된 기록 타임 코드 신호(WT)가 기록 신호(WS)로 변환되는 동시에, 동작 제어부(3)로부터 공급된 모드 신호(MS)에 근거하여 고정 헤드(25)에 공급된다.
또, 카메라 일체형 VTR(111)은 지금까지의 구성을 구비한다면, 상기 쇼트 마크(1 및 2)를 자기 테이프(1)에 기록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카메라 일체형 VTR(111)은 이하에 설명하는 신호 재생 수단을 구비하여, 재생 시에 타임 코드와 상기 쇼트 마크(1 및 2), 또한 기록 개시 마크를 재생할 수 있다.
신호 재생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헤드(25)에는 타임 코드 신호 재생부(31)가 접속되어 있고, 고정 헤드(25)로부터의 재생 신호(RS)가 재생 타임 코드 신호(RT)로 변환되어 패턴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데이터 분리부(32)에 공급된다. 또, 신호 재생 수단은 고정 헤드(25)와 타임 코드 신호 재생부(3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분리부(32)와 후술하는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 보유부(34), 패턴 비교부(35) 및 비교 패턴 발생부(36)는, 패턴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데이터 분리부(32)는 패턴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동시에 타임 코드 재생 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재생 타임 코드 신호(RT)에서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를 분리한다. 또 타임 코드 재생 수단은 데이터 분리부(32)와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33)로 구성된다. 분리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33)에 공급되며, 다음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공급될 때까지 일시 보유된다. 또한 보유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데이터 처리부(CPU, 37)에 공급된다.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는 이용자 비트 보유부(34)에 보유된다. 이용자 비트 보유부(34)에 보유된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는 패턴 비교부(35)와 CPU(37)로 공급된다.
CPU(37)에는 표시부(38)가 설정되고, 카메라맨이 부여한 GSM을 그 타임 코드와 함께 표시하며, 더욱이 원하는 바에 따라 GSM에 의해서 특정된 IN 점 및 OUT 점을 그 타임 코드와 함께 표시한다.
패턴 비교부(35)에는 비교 패턴 발생부(36)가 접속되어 있고, 비교 패턴 발생부(36)에서 생성된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나 쇼트 마크 데이터(DG)와 이용자 비트 보유부(34)로부터 공급된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비교되어,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CC)가 CPU(37)에 공급된다.
CPU(37)에서는, 패턴 비교부(35)로부터 공급된 비교 신호(CC)에 근거하여,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일치하였을 때, 및 쇼트 마크 데이터(DG)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일치하였을 때,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RAM에 기억된다. 기억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CPU(37)에 접속된 표시 수단인 표시부(38)에 공급되며, 타임 코드와 함께 표시된다.
또, 디지털 신호 기록부(41)에서는 디지털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가 기록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이 기록 신호가 동작 제어부(3)로부터 공급된 모드 신호(MS)에 근거하여 회전 헤드부(7)에 공급되어 자기 테이프(1)에 대한 신호의 기록이 수행된다. 자기 테이프(1)를 재생하여 회전 헤드부(7)로부터 얻어진 재생 신호는 디지털 신호 재생부(42)로 공급되어 디지털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 기록부(43)에서는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가 기록 신호로 변환된다. 이 기록 신호는 동작 제어부(3)로부터 공급된 모드 신호(MS)에 근거하여 고정 헤드(8)에 공급되어 자기 테이프(1)에 대하여 신호의 기록이 수행된다. 자기 테이프(1)를 재생하여 고정 헤드(8)로부터 얻어진 재생 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 재생부(44)에 공급되어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설정 스위치(10)가 조작되어 시간이나 이용자 비트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설정이 행해지면, 설정에 따라서 데이터 신호 발생부(11)에서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데이터(DU)가 생성된다. 이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데이터(DU)는, 각각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와 이용자 데이터 보유부(13)에 보유되는 동시에, 보유된 데이터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와 이용자 데이터 보유부(13)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설정 스위치(10)가 조작되어 기록 개시 마크 테이터나 쇼트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가 선택되면, 데이터 신호 발생부(11)에서는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와 쇼트 마크 데이터(DG)를 생성한다. 이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 보유부(14)와 쇼트 마크 데이터(DG)는, 각각 기록 개시 데이터 보유부(14)와 쇼트 마크 데이터 보유부(15)에 보유되는 동시에, 보유된 데이터는 기록 개시 데이터 보유부(14)와 쇼트 마크 데이터 보유부(15)로부터 출력된다.
조작 스위치부(2)가 조작되어 기록 동작이 개시되면, 동작 제어부(3)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제어 신호(MC)에 근거하여 모터 제어부(4)로부터 모터 구동신호(MD)가 캡스턴 모터(5)와 드럼 모터(6)로 공급되며, 테이프 주행이 개시되는 동시에 회전 헤드부(7)가 회전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3)로부터 출력된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모드 신호(MS)에 근거하여 디지털 신호 기록부(41)로부터 기록 신호가 회전 헤드부(7)에 공급되며, 도 5에 도시된 경사 트랙(TD)에 디지털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기록되며, 아날로그 음성 신호 기록부(43)로부터 기록 신호가 고정 헤드(8)로 공급되어 음성 트랙(TA)에 음성 신호가 기록된다.
또한,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모드 신호(MS)가 단일 멀티(17)에 공급됨으로써, 단일 멀티(17)로부터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의 모드 타이밍 신호(MT)가 출력되고,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가동단자는 모드 타이밍 신호(MT)가 하이 레벨「H」인 기간 중 단자(b)측이 된다.
마커 버튼(20)이 조작되고 있을 때에는, 단일 멀티(21)로부터 출력되는 마크스위치 신호(GW)의 신호 레벨은 로우 레벨「L」로 되어있으므로, 신호 전환 스위치(18)의 가동 단자는 단자(a)측이 되며,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가 신호 변조부(23)로 공급된다. 또한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모드 신호(MS)가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에 공급되어 있으므로, 갱신된 타임 코드 데이터와 기록 개시 데이터(DC)에 근거하여 생성된 기록 신호(WS)가 고정 헤드(25)로 공급되며, 자기 테이프(1)의 도 5에 도시된 타임 코드 트랙(TT)에는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갱신되면서 기록되는 동시에 기록 개시 데이터(DC)가 기록된다.
그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모드 타이밍 신호(MT)는 로우 레벨「L」로 되어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가동단자는 단자(a)측이 되므로, 신호 조정부(23)에는 이용자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로 인해, 타임 코드 트랙(TT)에는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갱신되면서 기록되는 동시에 이용자 데이터(DU)가 기록된다.
이 기록 동작 중,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중에 중요한 장면을 기록할 때 마커 버튼(20)이 조작되면, 단일 멀티(21)로부터 출력되는 GSM 신호(GW)는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이 되므로, 신호 전환 스위치(18)의 가동 단자는 단자(b)측이 된다. 또한 GSM 신호(GW)가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이 되므로, 논리 합 회로(22)로부터 출력되는 논리 합 신호(MR)도 소정 시간 하이 레벨「H」로 되며,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가동 단자는 단자(b)측이 된다. 이로 인해, 신호 변조부(23)에는 신호 전환 스위치(18,19)를 통하여 GSM 데이터(MD)가 공급되며, 타임 코드 트랙(TT)에는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갱신되면서 기록되는 동시에 GSM 데이터(DM)가 기록된다. 그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GSM 신호(GW)는 로우 레벨「L」이 되어 신호 전환 스위치(18,19)의 가동단자는 각각 단자(a)측이 된다. 이로 인해, 신호 변조부(23)에는 이용자 데이터(DU)가 공급되며, 타임 코드 트랙(TT)에는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갱신되면서 기록되는 동시에 이용자 데이터(DU)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기록 동작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은 타임 코드 트랙(TT)에 기록개시 데이터(DC)가 기록되며, 마커 버튼(20)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이용자 데이터(DU)로 바뀌어 소정 시간 GSM 데이터(DM)가 기록된다.
다음에,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나 쇼트 마크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조작 스위치부(2)가 조작되어 재생 동작이 개시되면, 테이프 주행이 개시되는 동시에 회전 헤드부(7)가 회전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3)로부터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모드 신호(MS)가 출력되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1)의 경사 트랙(TD)를 회전 헤드부(7)에서 조작하여 얻어진 재생 신호는, 디지털 신호 재생부(42)에서 디지털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로 되어 출력된다. 또한 음성 트랙(TA)을 고정 헤드(8)에서 조작하여 얻어진 재생 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 재생부(44)에서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되어 출력된다.
타임 코드 트랙(TT)을 고정 헤드(25)에서 조작하여 얻어진 재생 신호는 타임 코드 재생 신호 재생부(31)에서 재생 타임 코드 신호(RT)로 변환되며, 또한 데이터 분리부(32)에서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분리된다. 분리된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 또는 쇼트 마크 데이터(DM)와 같은 것이 패턴 비교부(35)에서 검출되었을 때에는, 이 때의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CPU(37)의 RAM에 기억된다.
상기 CPU(37)에 기억된 데이터는 표시부(38)에서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1)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간치 또는 쇼트 마크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1)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간치로서 일람 표시된다. 이로 인해, 자기 테이프(1)의 기록 개시점이나 예를 들면 중요한 장면을 기록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조작된 쇼트 마크의 조작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CPU(37)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동작의 개시나 정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편집 장치(112)에 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편집 장치(112)는 자기 테이프(1)로부터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이 재생 수단에서 재생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 테이프(1) 상의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편집 장치(112)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일체형 VTR(111)의 기록 재생 블록과 거의 같은 구성을 갖는다. 크게 다른 점은, 데이터 신호 발생부(11)가 상술한 에디트 마크(1 및 2)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이다. 또한, 기록 개시 데이터(DC)를 생성하지 않고, 기록 개시 데이터 보유부(14)를 불필요로 하는 점이다. 이로 인해, 스위치(18)도 불필요하다. 이하, 에디트 마크 데이터 보유부(90) 주변의 각 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마커 버튼(20)은 상기 에디트 마크(1 및 2)를 기록할 때에 눌러지는 버튼이다. 영상 소재를 기록한 자기 테이프(1)를 재생 중에 마크 버튼(20)이 예를 들면 1번 누르면 에디트 마크(1)를, 2번 누르면 에디트 마크(2)를 고정 헤드(25)에 의해 자기 테이프(1)에 기록한다. 여기서 에디트 마크(1 및 2)를 기록하는 위치는, 자기 테이프(1)상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된 위치이다.
에디트 마크를 기록하는 에디트 마크 기록 수단은, 조작 스위치부(2)나 동작 제어부(3) 및 마커 버튼(20)이나 신호 변조부(23),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 및 고정 헤드(25)로 구성된다.
설정 스위치부(10)에서는, 시간이나 이용자 비트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터(테이프 릴 번호 등)의 설정 및 에디트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지 아닌지의 설정이 수행되며, 설정 신호(SS)를 패턴 발생 수단인 데이터 신호 발생부(11)로 공급한다. 데이터 신호 발생부(11)에서는, 설정 스위치부(10)로부터의 설정 신호(SS)에 근거하여 타임 코드 데이터(DT), 이용자 데이터(DU), 및 에디트 마크 데이터(DM)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에 보유되는 동시에 신호 변조부(23)로 공급된다. 또한 이용자 데이터(DU)는 이용자 데이터 보유부(13)에 보유되는 동시에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단자(a)에 공급된다. 에디트 마크 데이터(DM)는 에디트 마크 데이터 보유부(90)에 보유되는 동시에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단자(b)에 공급된다.
마커 버튼(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트 마크(1 및 2)를 자기 테이프(1)에 기록하기 위해서 조작되는 스위치이고, 마커 버튼(20)이 조작되어 조작 신호(SG)가 단일 멀티(21)에 공급되면, 단일 멀티(21)로부터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의 신호(GW)가 논리 합 회로(22)에 공급된다.
단일 멀티(17)에서는, 모드 신호( MS)에 근거하여 조작 모드가 기록 동작으로 이행하였을 때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의 모드 타이밍 신호(MT)가 생성된다. 이 모드 타이밍 신호(MT)는 논리 합 회로(22)로 공급된다.
논리 합 회로(22)에서는, GSM 신호(GW)와 모드 타이밍 신호(MT)의 논리 합이 얻어지며, 논리 합 신호(MR)가 신호 전환 스위치(19)에 공급된다. 신호 전환 스위치(19)에서는, 이 논리 합 신호(MR)에 의해서 가동 단자가 제어된다.
신호 변조부(23)에서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로부터 공급된 타임 코드 데이터(DT)의 갱신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갱신된 타임 코드 데이터는 신호 전환 스위치(19)에서 선택된 데이터와 함께 변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포맷의 기록 타임 코드 신호(WT)가 된다. 이 기록 타임 코드 신호(WT)는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에 공급된다.
타임 코드 신호 기록부(24)에서는 공급된 기록 타임 코드 신호(WT)가 기록 신호(WS)로 변환되는 동시에 동작 제어부(3)로부터 공급된 모드 신호(MS)에 근거하여 고정 헤드(25)에 공급된다.
또 이 편집 장치(112)는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된 상기 쇼트 마크나 기록 개시 마크를 재생하는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 재생 수단은 고정 헤드(25)와 타임 코드 신호 재생부(31)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헤드(25)로부터의 재생 신호(RS)가 재생 타임 코드 신호(RT)로 변환되어 패턴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데이터 분리부(32)에 공급된다.
신호 재생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헤드(25)에는 타임 코드 신호 재생부(31)가 접속되어 있고, 고정 헤드(25)로부터의 재생 신호(RS)가 재생 타임 코드 신호(RT)로 변환되어 패턴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데이터 분리부(32)에 공급된다. 또, 신호 재생 수단은 고정 헤드(25)와 타임 코드 신호 재생부(3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분리부(32)와 후술하는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 보유부(34), 패턴 비교부(35) 및 비교 패턴 발생부(36)는 패턴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데이터 분리부(32)는 패턴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동시에 타임 코드 재생 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재생 타임 코드 신호(RT)로부터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를 분리한다. 또 타임 코드 재생 수단은, 데이터 분리부(32)와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33)로 구성된다. 분리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33)로 공급되며, 다음의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공급될 때까지 일시 보유된다. 또한 보유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데이터 처리부(CPU, 37)에 공급된다.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는 이용자 비트 보유부(34)에 보유된다. 이용자 비트 보유부(34)에 보유된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는 패턴 비교부(35)와 CPU(37)에 공급된다.
CPU(37)에는,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각 편집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 및 작업 영역을 갖는 RAM이 내장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부(2)에 의해 편집 동작이 지정되며, 선택·설정 스위치(39)로, 어느 한 편집 방법이 선택되었을 때, 그 프로그램이 RAM에 전송된다.
또한 CPU(37)에는 표시부(38)가 설치되고, 조작자가 부여한 GSM을 그 타임 코드와 함께 표시하며,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GSM에 의해서 특정된 IN 점 및 OUT 점을 그 타임 코드와 함께 표시한다.
패턴 비교부(35)에는 비교 패턴 발생부(36)가 접속되어 있고, 비교 패턴 발생부(36)에서 생성된 쇼트 마크 데이터나 에디트 마크 데이터와 이용자 비트 보유부(34)로부터 공급된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비교되며,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CC)가 CPU(37)에 공급된다.
CPU(37)에서는, 패턴 비교부(35)로부터 공급된 비교 신호(CC)에 근거하여,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일치하였을 때, 및 쇼트 마크 데이터(DG)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일치하였을 때, 흔히 에디트 마크 데이터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일치하였을 때,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RAM에 기억된다. 기억된 타임 코드 데이터(DT)는 CPU(37)에 접속된 표시수단인 표시부(38)에 공급되며, 타임 코드와 함께 표시된다.
다음에 이 편집 장치(112)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설정 스위치(10)가 조작되어 시간이나 이용자 비트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설정이 행해지면, 설정에 따라서 데이터 신호 발생부(11)에서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데이터(DU)가 생성된다. 이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데이터(DU)는, 각각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와 이용자 데이터 보유부(13)에 보유되는 동시에, 보유된 데이터는 타임 코드 데이터 보유부(12)와 이용자 데이터 보유부(13)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설정 스위치(10)가 조작되어 에디트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가 선택되면, 데이터 신호 발생부(11)에서는 에디트 마크 데이터(DM)를 생성한다. 이 에디트 마크 데이터(DG)는 에디트 마크 데이터 보유부(90)에 보유되는 동시에, 이 에디트 마크 데이터 보유부(90)로부터 출력된다.
조작 스위치부(2)가 조작되어 편집 동작이 개시되면, 동작 제어부(3)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제어 신호(MC)에 근거하여 모터 제어부(4)로부터 모터 구동 신호(MD)가 캡스턴 모터(5)와 드럼 모터(6)에 공급되어, 테이프 주행이 개시되는 동시에 회전 헤드부(7)가 회전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3)로부터 출력된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모드 신호(S)에 근거하여 디지털 신호 재생부(42)로부터 영상 소재의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또, 편집 동작 중에 에디트 마크를 기록한다고 설정되어 단일 멀티(17)로부터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의 모드 타이밍 신호(MT)가 출력되면,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가동 단자는 모드 타이밍 신호(MT)가 하이 레벨「H」의 기간 중 단자(b)측이 된다.
상기 편집 동작 중에 에디트 마크의 기록이 설정되어, 마커 버튼(20)이 1번 조작되면, 단일 멀티(21)로부터 출력되는 GSM 신호(GW)는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이 되고, GSM 신호(GW)가 소정 시간 하이 레벨「H」이 되므로, 논리 합 회로(22)로부터 출력되는 논리 합 신호(MR)도 소정시간 하이 레벨「H」로 되며, 신호 전환 스위치(19)의 가동 단자는 단자(b)측이 된다. 이로 인해, 신호 변조부(23)에는 신호 전환 스위치(18,19)를 통하여 에디트 마크(1)에 관한 쇼트 마크 데이터(MD)가 공급되며, 타임 코드 트랙(TT)에는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갱신되면서 기록되는 동시에 에디트 마크(1)의 쇼트 마크 데이터(DM)가 기록된다.
다음에, 이 편집 장치(112)에 의해서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나 쇼트 마크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조작 스위치부(2)가 조작되어 편집 재생 동작이 개시되면, 테이프 주행이 개시되는 동시에 회전 헤드부(7)가 회전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3)로부터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모드 신호(MS)가 출력되므로, 자기 테이프(1)의 경사 트랙(TD)을 회전헤드부(7)에서 조작하여 얻어진 재생 신호는 디지털 신호 재생부(42)에서 디지털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로 되어 출력된다. 또한 음성 트랙(TA)을 고정 헤드(8)에서 조작하여 얻어진 재생 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 재생부(44)에서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되어 출력된다.
타임 코드 트랙(TT)을 고정 헤드(25)로 조작하여 얻어진 재생 신호는 타임 코드 재생 신호 재생부(31)에서 재생 타임 코드 신호(RT)로 변환되며, 또한 데이터 분리부(32)에서 타임 코드 데이터(DT)와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분리된다. 분리된 이용자 비트 영역 데이터(DE)가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DC) 또는 쇼트 마크 데이터(DM)와 동일한 것이 패턴 비교부(35)에서 검출되었을 때는, 이 때의 타임 코드 데이터(DT)가 CPU(37)의 RAM에 기억된다.
상기 CPU(37)에 기억된 데이터는 표시부(3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 개시 마크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1)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간치 또는 쇼트 마크 데이터(1 및 2)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1)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간치, 또한 에디트 마크 데이터(1 및 2)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1)의 시간치로서 일람 표시된다. 이로써, 자기 테이프(1)의 기록 개시점이나, 상기 쇼트 마크(1 및 2), 또는 에디트 마크(1 및 2)가 지정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CPU(37)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동작의 개시나 정지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각 마크를 지정함으로써 간단히 그것에 대응한 영상 소재에 큐업할 수 있다.
각 마크를 모두 지정한 경우, 또는 하나의 마크, 예를 들면 쇼트 마크(1)만을 지정한 경우, 편집 장치(112)의 CPU(37)는 지정된 마크가 기록되어 있는 모든 타임 코드에서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38)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편집 장치(112)의 구체예의 외관 사시도를 도 9에 도시한다. 이 편집 장치의 본체(51)는 표시 패널(52)과 조작 패널(53)로 이루어진다. 조작 패널(53)의 하부에는 기록 재생 블록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편집 장치의 표시 패널(52)을 도 10에 도시한다. 이 표시 패널(52)의 전면(52a)에는, 편집용의 재생 화상을 표시하거나, 후술하는 쇼트 마크 리스트를 일람표시하는 액정(LCD) 모니터(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LCD 모니터(61)는 상기 도 8의 표시부(38)에 상당한다. 또한, 표시 패널(52)에는 밝기/콘트라스트(Bright/Contrast) 손잡이(62), 타임 코드 조작 버튼(63), 오디오 레벨 미터(64), 서브 LCD(65), 오디오 모니터 스피커(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브 LCD(65)의 주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홈페이지의 희망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67)과, 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P/DOWN 패턴(68)과, 페이지 지정 버튼(6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편집 장치(50)의 조작 패널(53)을 도 11에 도시한다. 이 조작 패널(53)의 표면(53a)에는, 테이프 주행계 제어부(70), 편집 조작부(71), 오디오 제어부(72), 타임 코드/세트업 메뉴 조작부(73), 죠그/셔틀 다이얼(74)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편집 장치나, 또는 상기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 GSM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단일의 마커 버튼(20)을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간이 편집을 할 수 있다. 이 GSM 설정 조작은 사용 부분을 대충 결정하기 위해서이고, 카메라맨 또는 편집자에게는 조작이 감각적으로 알기 쉽다.
이러한 개략 편집을 함으로써, 예를 들면 카메라맨이 현장에서, 간이 편집을 하여, 방송에 사용하는 개연성이 강한 부분만을 방송국에 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VTR 포맷의 비디오 테이프에서는, 카메라 일체형 VTR에서 소재의 영상을 촬영 중에 쇼트 마크를 자기 테이프에 직접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장치에서는, VTR 테이프에 기록된 소재의 영상을 재생 중에 에디트 마크를 직접 기록할 수 있다. 이 에디트 마크에 따라서, 용이하게 최종적인 편집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쇼트 마크 데이터나, 에디트 마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이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연결 위치나 마크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정보가 패턴화되어 기록되므로, 재생 시에 이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용이하게 기록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수단이 조작되었을 때, 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부(2)가 조작되어 기록동작이 개시되었을 때, 또는 마커 버튼(20)이 조작되었을 때에, 연결을 나타내는 특정 패턴이나 마커 버튼(20)이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특정 패턴이 소정 시간만 자동적으로 기록되므로, 이 기록 정보의 기록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재생 장치에서는, 신호 재생 수단에 의해서 이용자 비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가 재생되며, 패턴 검출 수단에 의해서 이 재생 신호로부터 기록 정보를 나타내는 특정 패턴이 검출되고, 기록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검출된다. 또한 특정 패턴이 검출되었을 때의 타임 코드 데이터가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며, 기록된 타임 코드 데이터가 시간치로서 표시 수단에 일람 표시된다. 이로 인해, 표시 수단에 표시된 기록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치를 이용하여 편집 작업 등을 효율적이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타임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편집 장치 및 방법에서는, 상기 디지털 VTR 포맷의 비디오 테이프 상에 기록된 GSM을 판독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표시부(38)를 구성하는 LCD 표시부(61)에 일람 표시하는 기능을 첨가하고 있다.
상기 GSM으로서는, 비디오 테이프 상에 기록된 기록 개시 마크나, 쇼트 마크, 또한 에디트 마크가 있다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이들 GSM은 기록 장치나, 편집 장치의 테이프 되감기나 빨리감기 조작에 의해, 마크위치의 타임 코드와 함께 기억하여, 마크 리스트로서 표시부(38 (61))에 일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에디트 마크로서는, 가상 쇼트 마크를 포함시킬 수 있다. PLAY/ SEARCH 모드 중에 마음에 드는 신이 있었을 때, 기록한 마크를 가상 쇼트 마크로 정의하여, 상기 에디트 마크와 마찬가지로 타임 코드와 함께 기억하여, 마크 리스트에 표시한다. 가상 쇼트 마크는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몇 개라도 기억할 수 있다. 그래서, 먼저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하여 가상 쇼트 마크를 표시해두고, 마크의 위치로 민첩히 큐업한다.
여기서, 기록 개시 마크란, 촬영의 개시 시나, 중단으로부터의 기록 개시 시에 기록되는 마크이다. LTC 기록 개시를 트리거에 즉석으로 타임 코드 트랙(TT)에 기록된다.
쇼트 마크 데이터(1)는 기록중에 마커 버튼(20)이 1번 눌려지는 것에 의해, 트리거를 받아들이고 나서 1초 후에 기록된다. 또한, 쇼트 마크 데이터(2)는 기록 중에 마커 버튼(20)이 2번 이상 연속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 최초의 트리거를 받다들이고 나서 1초 후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 개시 마크와 2개의 쇼트 마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독시의 에러 대책을 위해, 20 프레임 연속으로 기록된다.
또한, 에디트 마크로서 정의되는 가상 쇼트 마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런데, 편집 장치(112)의 CPU(37)는 상기 마크 데이터를 기초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리스트도 RAM에 기억되어, 전원을 Rm더라도 보존된다.
상기 리스트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표시부(61, (도 12에서는 표시부12)에 표시된다. 도 12에서, 선택 마크겸 큐업 마크(100)는 메뉴와 마찬가지로, 죠그 다이얼(74)등에서 선택할 수 있고, 마크된 상태에서 프리롤 버튼(77)을 누르면 그 타임 코드에 큐업할 수 있다. 또한, 쇼트 마크 번호(101)는 미리 준비된 번호이고, 기억 가능한 수가 최초로부터 매겨져 있다. 예를 들면, 1 내지 200 정도이다.
메모 마크(102)는 편집자의 메모용으로 쓰인다. 쇼트 마크 번호의 오른쪽에 붙는다. 선택 마크(100)가 붙은 상태에서, "SET" 버튼을 누름으로써 표시된다. 끄는 경우는 또 한번 "SET" 버튼을 누르면 된다. 메모 마크(102)는 수의 제한은 없고, 리스트 상의 임의의 쇼트 마크에 붙일 수 있다.
마크 종류(103)는 마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R은 기록 개시 마크를 나타내며, S1은 쇼트 마크(1)를 나타내고, S2는 쇼트 마크(2)를 나타낸다. 또한, S2→S3은 추가 쇼트 마크를 나타내며, V는 후술하는 가상 쇼트 마크를 나타낸다. 타임 코드(104)는 각 마크가 있는 장소의 타임 코드이다. 또한, 분리 기호 표시(105)는 판독 중단 후, 새롭게 쇼트 마크를 판독하였을 때에 표시된다.
도 12의 LCD 표시부(61)에 나타낸 마크 리스트의 총수는 2행번째에 마크 번호/마크 총 수(003/180)의 형으로 표시된다. 또한, 큐업에 들어가면 이 리스트는 꺼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 마크겸 큐업 마크(100)를 붙인 상태에서, 프리롤 버튼(77)을 누르면 그 타임 코드에 큐업할 수 있다. 또한, 가장 가까운 쇼트 마크에 도 큐업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록·재생장치에서는, CPU(37)가 PLAY 모드나 죠그/셔틀 모드(SEARCH 모드) 중에, 설정 스위치(10)의 엔트리 버튼(20)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새롭게 쇼트 마크를 상기 가상 마크로서 상기 리스트에 추가한다.
가상 쇼트 마크 추가를 실행하면, CPU(37)는 표시부(38)를 구성하는 서브 LCD(65)의 하부에, 예를 들면 "쇼트 마크 인"을 3초간 표시한다.
타임 코드 인서트가 인에이블로 되어 있을 때는 테이프에 쇼트 마크를 실제로 기록하지만, 디스에이블일 때는 리스트에 추가할 뿐이다. 전자를 추가 쇼트 마크, 후자를 가상 쇼트 마크라고 부른다. 이들 조작 중에 상기 리스트를 열어놓을 필요는 없다. 추가 쇼트 마크는 마커 버튼(20)을 3초 이상 눌러서 마크 입력 가능하게 한 후, 엔트리 버튼이 점멸하면, 마커 버튼과 엔트리 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테이프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마크 리스트의 표시나, 가상 마크의 부여, 또한 가상 마크로의 큐업 기능을 갖추는 기록·재생 장치를 편집 장치로서 이용함으로써, 리스트 상으로부터 이것이다고 생각하는 점에 대하여 큐업할 수 있으며, 그 점 근방을 죠그/셔틀 서치로 확인하여, 필요하다라고 생각되는 신을 IN/OUT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그 후, 다시 리스트 상으로 되돌아가, 같은 조작으로 다른 필요한 편집점을 결정하며, 최종적으로 복수의 편집점을 등록할 수 있다.
복수의 에디트 마크 및 쇼트 마크나, 기록 개시 마크를 이 리스트로써 지정하는 것에 의해, 각 마크가 부여된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 위치에 큐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쇼트 마크(1)만을 지정한 경우에는, 쇼트 마크(1)가 부여된 비디오 데이터의 모두에 큐업할 수 있다. 또한, 에디트 마크(1)만을 지정한 경우에도, 에디트 마크(1)가 부여된 모든 비디오 데이터에 큐업할 수 있다. 이 때, 타임 코드를 표시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모든 마크를 지정하였을 때는, 마크가 부여된 비디오 데이터 모두를 타임 코드와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작은 재생 장치 측에서 수행되고, 편집을 위한 멀티 이벤트로서 재생 중으로 유지되고 있다.
재생 장치 측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멀티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의 기록 장치 측으로부터의 자동 편집은, 통상과 같이 실행되지만, 실행후, 다음 이벤트가 존재한다면 호출하는 것과 같은 요구를 기록 장치 측으로부터 수행하는 것에 의해, 멀티 이벤트 편집을 할 수 있다.
도 1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편집 장치(112)를 2대 이용하여 비디오 편집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즉, 이 편집 시스템에서는 2대의 편집 장치(112,113)를 조작하여, 카메라 일체형 VTR(111)의 테이프 카세트(115)에 촬영되어 있는 영상/음성을 편집한다.
또한, 도 14에는, 3대의 편집 장치(112,113 및 114)를 이용하여 비디오 편집을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일체형 VTR(111)에서 기록한 영상/음성을 편집 장치(112)로 재생하여 얻어지는 소스(A)와, 카메라 일체형 VTR(121)에서 기록한 영상/음성을 편집 장치(114)에서 재생하여 얻어지는 소스(B)를, 편집 장치(113)에 의해 편집하는 시스템이다.

Claims (39)

  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한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으로 재생한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상 소재의 비디오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하는 편집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기록 수단은, 촬영자에 의한 마킹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을 갖고,
    상기 편집 장치의 재생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제 1 마크 데이터를 재생하는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을 가지며,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수단은,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이 재생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장치는, 상기 재생 수단이 재생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초로 한 편집자에 의한 마킹 조작에 응답하여 해당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와는 다른 종류의 제 2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장치의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은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 및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수단은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이 재생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 및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는 쇼트 마크이고, 상기 제 2 마크는 에디트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상기 마크 데이터는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경사 트랙에 기록되는 기록 동작과 동시에 상기 제 1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고,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가 이미 경사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에 상기 제 2 마크 데이터 기록 수단에 의해 덮어 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타임 코드 트랙의 1 영역 내에는,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신호 기록 영역과, 상기 타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타임 코드 기록 비트 영역과, 이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비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은, 상기 이용자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식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2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3 비트 영역과, 상기 스타트 코드, 상기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 및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검사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4 비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소정 프레임 기간에 걸쳐서 동일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비트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일련 번호 코드는,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마크 데이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 기간에서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은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소정 프레임 수에 걸쳐 기록된 마크 데이터 중에서 최초에 기록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연산하고, 그 연산한 타임 코드를 조작자에 의한 마킹 시의 타임 코드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2.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편집 소재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타이밍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고속으로 재생하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상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상기 마크 데이터는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며,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헤드와는 다른 헤드로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함으로써 상기 마크 데이터를 고속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타임 코드 트랙의 1 영역은,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신호 기록 영역과, 상기 타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타임 코드 기록 비트 영역과, 이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비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은, 상기 이용자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식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2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3 비트 영역과, 상기 스타트 코드, 상기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 및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검사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4 비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소정 프레임 기간에 걸쳐 동일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3 비트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일련 번호 코드는,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마크 데이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 기간에서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소정 프레임 수에 걸쳐 기록된 마크 데이터 중에서 가장 최초에 기록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연산하고, 그 연산한 타임 코드를 마킹하였을 때의 타임 코드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19.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 소재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타이밍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된 위치에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고속으로 재생하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상기 마크 데이터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20.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편집 소재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타이밍 및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소정 종류의 마크 데이터만을 검색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상기 마크 데이터는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타임 코드 트랙의 1 영역은, 동기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동기 신호 기록 영역과, 상기 타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타임 코드 기록 비트 영역과, 이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비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용자 데이터 기록 영역은, 상기 이용자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비트 영역과, 상기 복수의 마크 데이터의 식별 코드를 나타내기 위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2 비트 영역과, 상기 마크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제 3 비트 영역과, 상기 스타트 코드, 상기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 및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검사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4 비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마킹 데이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종류의 마크 데이터만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소정 프레임 기간에 걸쳐 동일한 마크 데이터 식별 코드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비트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일련 번호 코드는, 상기 마크 데이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마크 데이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 기간에서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타임 코드 트랙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일련 번호 코드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소정 프레임 수에 걸쳐 기록된 마크 데이터 중에서 가장 최초에 기록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를 연산하고, 그 연산한 타임 코드를 마킹하였을 때의 타임 코드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시스템.
  28.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소재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 소재가 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의 타이밍 및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대응된 위치에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여러 종류의 마크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소정 종류의 마크 데이터만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마크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억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편집 소재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29.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30.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 1 의 임의의 기간 소급한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제 2 의 임의의 기간 후의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재생 중에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쇼트 마크 위치에서 2번째의 촬영 개시 마크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직전의 촬영 개시 마크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며, 자동 편집 시, 상기 편집 개시점에서 편집 종료점까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재생 중에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홀수 번째의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 1 의 임의의 기간 소급한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짝수 번째의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 2 의 임의의 기간 후의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며, 자동 편집 시, 상기 편집 개시점에서 편집 종료점까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를 재생 중에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쇼트 마크 위치로부터 제 1 의 임의의 기간 소급한 위치를 편집 개시점으로 하고, 상기 쇼트 마크 위치를 편집 종료점으로 특정하며, 자동 편집 시, 상기 편집 개시점에서 편집 종료점까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편집 상의 가상(假想) 쇼트 마크 위치가 지정된 때에는, 상기 가상 쇼트 마크를 상기 쇼트 마크와 함께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각 신(scene)의 기록 개시 마크도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6. 제 30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기록된,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7. 기록 매체의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대하여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편집 중에, 상기 쇼트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되는 특정 범위를 사용 부분으로 하며,
    상기 사용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38. 영상 신호 기록 시에,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대하여 일차 편집의 지표가 되는 쇼트 마크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9. 영상 신호 기록 시에, 타임 코드 트랙의 이용자 비트 영역에 대하여 각 신의 기록 개시 마크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19980708154A 1997-02-14 1998-02-16 편집시스템및방법,영상기록장치,편집장치및기록매체 KR100556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0560 1997-02-14
JP3056097 1997-02-14
PCT/JP1998/000628 WO1998036566A1 (fr) 1997-02-14 1998-02-16 Procede et systeme d'edition, enregistreur d'image, dispositif d'edition et support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97A true KR20000064897A (ko) 2000-11-06
KR100556445B1 KR100556445B1 (ko) 2006-06-16

Family

ID=1230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154A KR100556445B1 (ko) 1997-02-14 1998-02-16 편집시스템및방법,영상기록장치,편집장치및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564002B1 (ko)
EP (1) EP0909088A4 (ko)
JP (1) JP3528183B2 (ko)
KR (1) KR100556445B1 (ko)
CN (1) CN1331351C (ko)
WO (1) WO1998036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1442B1 (en) 1997-09-17 2004-06-15 Aerosat Corp. Low-height, low-cost, high-gain antenna and system for mobile platforms
JP4051658B2 (ja) * 1998-11-30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EP1102271B8 (en) * 1999-11-05 2016-12-07 Sony Europe Limited Method of generating audio and/or video signals and apparatus therefore
EP1102277A1 (en) * 1999-11-05 2001-05-23 Sony United Kingdom Limited Method of recording and accessing metadata
AU2001279304A1 (en) 2000-07-13 2002-01-30 Christopher J. Feola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historical information with sensory data and distribution thereof
US7251223B1 (en) * 2000-09-27 2007-07-31 Aerosat Corporation Low-height, low-cost, high-gain antenna and system for mobile platforms
EP1422714A4 (en) * 2001-06-04 2010-08-11 Panasonic Corp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DIA, PLAYING DEVICE, PROGRAM AND METHOD
US6915176B2 (en) 2002-01-31 2005-07-05 Sony Corporation Music marking system
JP3889672B2 (ja) * 2002-06-19 2007-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4151640B2 (ja) * 2004-10-22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編集装置
WO2006054244A2 (en) * 2004-11-18 2006-05-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ccurate editing audio-visual streams
GB2425216A (en) * 2005-04-13 2006-10-18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System and method of video editing
FR2887106B1 (fr) * 2005-05-27 2009-07-31 Christophe Malassis Procede de generation d'un signal source, signal source, procede et dispositif de montage, moyens de stockage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s
JP4315139B2 (ja) * 2005-08-19 2009-08-19 船井電機株式会社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dvdレコーダ、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ディジタル録画装置
JP4907267B2 (ja) * 2006-08-29 201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4829839B2 (ja) * 2007-05-08 2011-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CN102741916A (zh) * 2012-01-20 2012-10-17 日本影像系统株式会社 摄影机用显示器
JP5979949B2 (ja) * 2012-04-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送信装置及び画像データ受信装置
JP5979948B2 (ja) 2012-04-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送信装置及び画像データ受信装置
US9621962B2 (en) * 2015-01-06 2017-04-1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cording and sharing digital video
KR102478500B1 (ko) * 2015-08-20 2022-12-15 소니그룹주식회사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FR3052949B1 (fr) * 2016-06-17 2019-11-08 Alexandre Courtes Procede et systeme de prise de vues a l'aide d'un capteur virtuel
US10978110B2 (en) * 2018-03-30 2021-04-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364391B (zh) * 2022-10-21 2023-01-24 四川省中能医疗科技发展有限公司 Sbrt放疗体位固定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843A (en) * 1980-04-11 1982-11-23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me code addresses at low tape speed
US4685003A (en) * 1983-12-02 1987-08-04 Lex Computing & Management Corporation Video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imultaneous inputting and sorting of video source material
US6240241B1 (en) 1991-08-19 2001-05-29 Index Systems, Inc. Still frame video in index
US5488409A (en) * 1991-08-19 1996-01-30 Yuen; Henry 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the playing of VCR programs
CA2327070C (en) * 1992-07-01 2001-12-25 Avid Technology, Inc. Electronic film editing system using both film and videotape format
JP3245997B2 (ja) * 1992-10-19 2002-0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3723981B2 (ja) * 1994-08-12 2005-12-07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装置および映像信号編集装置
JPH08130701A (ja) * 1994-10-31 1996-05-21 Sanyo Electric Co Ltd 動画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6154207A (en) * 1994-12-22 2000-11-28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Interactive language editing in a network based video on demand system
US5642285A (en) * 1995-01-31 1997-06-24 Trimble Navigation Limited Outdoor movie camera GPS-position and time code data-logging for special effects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9088A1 (en) 1999-04-14
EP0909088A4 (en) 2005-09-28
CN1331351C (zh) 2007-08-08
CN1219323A (zh) 1999-06-09
US7391958B2 (en) 2008-06-24
KR100556445B1 (ko) 2006-06-16
US20030095788A1 (en) 2003-05-22
US6564002B1 (en) 2003-05-13
JP3528183B2 (ja) 2004-05-17
WO1998036566A1 (fr) 199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445B1 (ko) 편집시스템및방법,영상기록장치,편집장치및기록매체
US4956725A (en) Imag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US57607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nd out points during video editing
US5051845A (en) Closed-loop post production process
US6546186B2 (en) Video/audio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using video camera and its editing system
US5331474A (en)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in video tape duplicating system
JPH0554602A (ja) 画像編集装置
US6968115B2 (en) Editing-function-integrated reproducing apparatus
JP2840742B2 (ja) 映像信号記録装置
JP4232122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US6560402B1 (en) Video recording medium,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video retrieving method
JP309693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983642B2 (ja) ビデオカメラを用いた映像音声情報取材システムとその編集システム
KR970010139B1 (ko) 비스(viss)화면 처리방법과 그 장치
JPH05198141A (ja) ビデオ編集システム
WO2000033311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dition
KR970008235B1 (ko) 비스(viss)화면 편집처리방법과 그 장치
JP4207275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故障診断方法
JPH0919068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方法
JP3768669B2 (ja) 編集機能内蔵再生装置
JP2004072744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2158954A (ja) 記録再生装置
JPH09205604A (ja) 番組検索機能付き記録再生装置
JP2004007724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4007725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