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879B1 - 직렬접속된2차전지의보정장치및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직렬접속된2차전지의보정장치및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879B1
KR100283879B1 KR1019970073813A KR19970073813A KR100283879B1 KR 100283879 B1 KR100283879 B1 KR 100283879B1 KR 1019970073813 A KR1019970073813 A KR 1019970073813A KR 19970073813 A KR19970073813 A KR 19970073813A KR 100283879 B1 KR100283879 B1 KR 10028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ltage
secondary batteries
secondary battery
volt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646A (ko
Inventor
노부오 시오지마
Original Assignee
오타 야스오
도시바 덴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타 야스오, 도시바 덴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타 야스오
Publication of KR1998006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2차전지의 보정장치는 직렬 접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그 분산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차 검출회로와, 단자전압의 분산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때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중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어느 하나를 방전하기 위한 방전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회로는 방전되는 2차전지중 어느 하나가 설정값 보다 더 작을 때 방전을 중단한다.

Description

직렬 접속된 2차전지의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본 발명은 2차전지에 대한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렬 접속된 2개 혹은 그 이상의 2차전지 각각의 단자전압의 변화를 보정하거나 검출하기 위한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수 용매 2차전지(예를들어, 리튬 2차전지) 혹은 납 2차전지에 있어서, 단자전압은 오랜시간동안 방치되거나 방전될 때 지나치게 낮고 충전될 때 지나치게 높다. 이런 경우, 그 2차전지의 성능이 악화되거나 안정성이 손상되는 일이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 단자전압이 소정의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2차전지의 충전과 방전을 조절하기 위해 이러한 타입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을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리튬 2차전지의 경우에 있어서, 단자전압이 2V나 그 이하가 되면 음극에 사용된 집전체의 동이 전해액내에서 용해되고 2차전지의 성능은 저하된다. 단자전압이 4.5V나 그 이상이 되면 전해액은 분해되어 가스가 생성된다. 그 결과, 2차전지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안전밸브가 작동하고 전지에 있는 액체가 누설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리튬 2차전지의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충전과 방전동작은 단자전압이 설정 방전 금지전압 이하가 되고 설정 충전 금지전압 이상이 될 때 방전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보호회로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 방전 금지전압은 음극의 동이 분해되어지는 2V 보다 더 높은 값(예를들어, 2,3V)으로 설정된다. 상기 충전 금지전압은 전해액이 분해되어지는 값보다 더 낮은 값(예를들어, 4.35V)으로 설정된다.
직렬 접속된 복수의 2차전지에 대해 보호회로가 사용될 때, 상기 2차전지의 단자전압은 개별적으로 검출되고 동일한 보호동작이 상기 종래의 보호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모든 2차전지의 단자전압을 검출하여, 2차전지중 어느 하나의 단자전압이 방전 금지전압 이하가 되면 방전동작을 중지하고, 2차전지중 어느 하나의 단자전압이 충전 금지전압 이상이 되면 충전동작을 중지한다. 그리하여 2차전지는 보호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보호회로가 직렬 접속된 복수의 2차전지에 대해 사용될 때, 2차전지의 충전 혹은 자기방전의 양이 각기 서로 다르면 이들 2차전지의 단자전압 역시 달라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방전동작시 미충전 2차전지의 단자전압은 다른 전지 보다 더 일찍 방전 금지전압에 도달되어 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비록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치는 충분히 크다 할지라도 방전은 중단되어 질 수 있다. 반대로, 충전 동작시 과충전 2차전지의 단자전압은 다른 전지 보다 더 일찍 충전 금지전압에 도달되어 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2차전지들이 짧은 시간동안 사용되기 때문에 2차전지 전체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는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힘든과정이 요구되는바 즉, 2차전지가 직렬로 연결되기 전에 그 단자전압을 균등하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같이 휘발성 메모리(예를들어, RAM)를 내장한 장치에 있어서, 전원으로 사용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낮아지면 휘발성 메모리내에 있는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송되어 데이터는 소실되지 않고 보존된다. 그러나, 그러한 장치에 종래의 보호회로가 사용된다면 다른 전지에 비해 더 자기방전되었거나 덜 충전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은 다른 전지 보다 더 일찍 방전 금지전압으로 낮아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다른 2차전지가 충분히 높은 단자전압을 가지더라도, 즉 모든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충분히 높다 하더라도 그 순간에 보호회로는 즉시 방전을 중단할 것이다. 그 결과, 휘발성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는 소실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같이 충, 방전 동작시에 일어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렬 접속된 복수의 2차전지의 충전 혹은 방전의 양으로 분산정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요점은 직렬 접속된 복수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분산정도를 검출하고 그 분산을 보정하도록 2차전지를 방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정장치는 직렬 접속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분산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차 검출회로와; 단자전압에서 분산이 설정값을 초과할 때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2차전지중 어느 하나를 방전하기 위한 방전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는 방전되는 2차전지중 하나의 단자전압이 기준값 보다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보정장치는 검출된 분산이 설정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정방법은 직렬 접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분산을 검출하는 단계와; 분산이 설정값을 초과했을 때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중 어느 하나를 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정방법은 방전되는 2차전지중 하나의 단자전압이 기준값 보다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렬 접속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어떠한 이유로 인해 분산되고 그 분산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는 방전된다. 이러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은 다른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 대해 실질적으로 균등한 전압으로 낮아지고,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분산은 감소된다. 바꾸어 말하면, 충전이나 자기방전의 양에 기인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분산은 자동적으로 보정된다. 결과적으로, 방전동작중 방전의 급속한 중단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바, 즉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이 충분히 높을 때 방전은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2차전지가 휘발성 메모리가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같은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때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낮아지면 2차전지의 일부분의 단자전압이 다른 2차전지의 단자전압 보다 더 일찍 방전 금지전압(discharge prohibiting voltage)으로 낮아지더라도 데이터가 소실되지 않도록 휘발성 메모리내에 있는 데이터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송되고 방전 동작은 즉시 중단되지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내에 데이터의 저장이 확보되고 데이터 소실은 방지된다.
2차전지가 충전될 때, 모든 전지가 균일하게 충전되기 때문에 모든 전지의 만충전이 확보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2차전지가 사용되어질 수 있는 기간은 연장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2차전지가 직렬로 연결되기 전에 2차전지의 단자전압을 균등하게 만드는 것과 같은 어려운 과정의 수행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회로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스위치 소자와 복수의 저항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회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 각각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방전상태의 온/오프(on/off)는 스위치 소자를 온 혹은 오프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압차 검출회로는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분산의 정도를 나타내는 전압차를 검출한다.
(1) 전압차 검출회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를 검출한다.
(2)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 접속된 경우, 상기 전압차 검출회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값과 최대값 사이의 차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전압차 검출회로의 구조는 단순화 된다.
(3)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 접속된 경우,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를 제외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값과 최대값 사이의 차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전압차 검출회로의 구조는 단순화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압차 검출회로가 전압차가 설정값을 초과하였음을 판정함에 따라 제어수단은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에 연결된 방전회로를 턴온(turn on)시키고 단자전압이 기준값에 대해 더 낮을 때 상기 방전회로를 턴오프(turn off)시킨다. 상기 제어수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방전회로를 제어한다.
(1) 상기 방전회로는 방전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최소 단자전압에 대해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한다.
(2)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로 연결될 경우, 상기 방전회로는 방전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방전되는 2차전지를 제외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값에 비해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한다.
(3)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로 연결될 경우, 상기 방전회로는 방전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값에 비해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한다.
상기 방전회로는 직렬 접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및 제2단자 사이의 양단전압이 설정값 보다 더 작거나 동일한때 방전을 금지하거나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 각각의 최대 단자전압이 설정값 보다 더 작거나 동일한때 방전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에 대한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차전지군 2: 제1 방전회로
3: 제2 방전회로 4: 제3 방전회로
5: 스위칭 회로 6: 차동 증폭기
7: 마이크로콘트롤러 B1, B2, B3: 2차전지
SW1, SW2, SW3: 스위칭 소자 R1, R2, R3: 저항소자
e, f, g, h, i, j: 스위칭 접점 k, l: 공통접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전지에 대한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2차전지군(1)은 직렬 접속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2차전지 B1, B2 및 B3를 포함한다. 전지 B1의 +단자는 외부접속단자 a에 연결되고, 전지 B1의 -단자와 전지 B2의 +단자는 외부접속단자 b에 연결되고, 전지 B2의 -단자와 전지 B3의 +단자는 외부접속단자 c에 연결되며, 전지 B3의 -단자는 외부접속단자 d에 연결된다.
스위치 소자(SW1, SW2 및 SW3)와 방전저항(R1, R2 및 R3)은 방전회로(2)를 구성한다. 특히, 스위치 소자(SW1)와 저항(R1)은 제1 방전회로(2)를 형성하고, 스위치 소자(SW2)와 저항(R2)는 제2 방전회로(3)를 형성하며, 스위치 소자(SW3)와 저항(R3)은 제3 방전회로(4)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방전회로(2)의 양단은 2차전지군(1)의 외부접속단자(a 및 b)와 각기 연결된다. 상기 제2 방전회로(3)의 양단은 2차전지군(1)의 외부접속단자(b 및 c)와 각기 연결된다. 상기 제3 방전회로(4)의 양단은 2차전지군(1)의 외부접속단자(c 및 d)와 각기 연결된다.
스위칭 회로(5)는 스위칭 접점(e, f 및 g)과 공통접점(k)를 가지는 제1 스위치(SW4)와, 스위칭 접점(h, i 및 j)과 공통접점(l)을 가지는 제2 스위치(SW5)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SW4 및 SW5)는 서로 연동하여 작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통접점(k)이 스위칭 접점(e)으로 전환되면 공통접점(l)은 스위칭 접점(h)으로 전환된다. 공통접점(k)이 스위칭 접점(f)으로 전환되면 공통접점(l)은 스위칭 접점(i)으로 전환된다. 공통접점(k)이 스위칭 접점(g)으로 전환되면 공통접점(l)은 스위칭 접점(j)으로 전환된다. 상기 스위칭 회로(5)의 제1 스위치(SW4)의 스위칭 접점(e, f, g)은 2차전지군(1)의 단자(a, b, c)에 접속된다. 상기 스위칭 회로(5)의 제2 스위치(SW5)의 스위칭 접점(h, i, j)은 2차전지군(1)의 단자(b, c, d)에 접속된다.
스위칭 회로(5)의 제1 및 제2 스위치(SW4, SW5)의 공통접점(k, l)은 차동 증폭기(6)의 입력단자(m, n)에 각기 접속된다. 상기 차동 증폭기(6)는 OP앰프(operational amplifier)(A)와 복수의 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입력단자(m, n)간의 전압차에 상당하는 전압을 출력단자(P)에 발생한다. 상기 스위칭 회로(5)와 상기 차동 증폭기(6)는 2차전지군(1)의 2차전지(B1, B2, B3)의 단자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차동 증폭기(6)의 출력단자(P)는 마이크로콘트롤러(7)의 입력단자(AN)에 접속된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입력단자(AN)에 입력되는 상기 차동 증폭기(6)로 부터의 전압출력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기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획득된 디지털 값으로 부터 내부 프로그램에 따라 소프트웨어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상기 스위칭 회로(5), 상기 차동 증폭기(6) 및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2차전지(B1, B2, B3)의 단자전압에서의 분산의 정도를 나타내는 전압차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차 검출을 수행한다. 또한, 전압차가 설정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전압차 판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내부 카운터의 값(N)을 기초로 하여 스위칭 회로(5)의 스위칭 접점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단자(Q)로 부터 출력한다. 상기 출력단자(Q)로 부터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상기 공통접점(k, l)은 N=1인 때 스위칭 접점(e)와 (h)에, N=2인 때에는 스위칭 접점(f) 와 (i)에, N=3인 때에는 스위칭 접점(g) 와 (j)에 각기 접속된다.
상술한 전압차 판정에 근거하여,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방전회로(2, 3, 4)의 스위치 소자(SW1, SW2, SW3)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3개의 출력단자(R, S, T)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자(R)을 통해 방전회로(2)의 스위치 소자(SW1)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자(S)를 통해 방전회로(3)의 스위치 소자(SW2)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자(T)을 통해 방전회로(4)의 스위치 소자(SW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1에 도시된 2차전지에 대한 보정회로의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보정장치의 회로가 동작을 개시하면, 초기상태로서 N은 1로 설정된다. (단계 S1) 이 경우, 스위칭 회로(5)의 스위치(SW4, SW5)는 2차전지(B1)을 선택하고(단계 S2), 차동 증폭기(6)는 2차전지(B1)의 단자전압에 상당하는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차동 증폭기(6)로 부터의 출력전압은 마이크로콘트롤러(7)의 입력단자(AN)로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상기 차동 증폭기(6)로 부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값[V(AN)]으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값을 메모리 값[D(1)]으로 저장한다. (단계 S3) 단계 S4에서, N+1→N이 실행되고 그 결과 N=2가 획득된다. 그리고 나서, 과정은 N=4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단계 S5를 거쳐 단계 S2로 되돌아 간다.
이때, N=2로 부터 스위칭 회로(5)의 스위치(SW4, SW5)는 2차전지(B2)를 선택하고(단계 S2), 상기 차동 증폭기(6)는 2차전지(B2)의 단자전압에 상당하는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차동 증폭기(6)로 부터의 출력전압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의 입력단자(AN)로 입력된다. N=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상기 차동 증폭기(6)로 부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값[V(AN)]으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값을 메모리 값[D(2)]으로 저장한다. (단계 S3) 단계 S4에서, N+1→N이 실행되고 그 결과 N=3이 획득된다. 그리고 나서, 과정은 N=4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단계 S5를 거쳐 단계 S2로 되돌아 간다.
다음으로, N=3로 부터 스위칭 회로(5)의 스위치(SW4, SW5)는 2차전지(B3)를 선택하고(단계 S2), 상기 차동 증폭기(6)는 2차전지(B3)의 단자전압에 상당하는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차동 증폭기(6)로 부터의 출력전압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의 입력단자(AN)로 입력된다. N=1 및 N=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7)는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상기 차동 증폭기(6)로 부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값[V(AN)]으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값을 메모리 값[D(3)]으로 저장한다. (단계 S3) 단계 S4에서, N+1→N이 실행되고 그 결과 N=4가 획득된다. 단계 S5의 결과가 ″Yes″이기 때문에 과정은 단계 S6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메모리 값[D(N) (N = 1, 2, 3)]의 최소값은 메모리 값[D(min)]으로 저장되고, 최대값은 메모리 값[D(max)]로 저장된다. 또한, D(N)의 최소값 N은 Nmin으로 저장되고, D(N)의 최대값 N은 Nmax로 저장된다.
단계 S7에서, D(max)는 설정 기준 최대값(Va)(예를들어, 4V)과 비교된다. 만약 D(max)가 Va 보다 더 작거나 동일하면(만약 단계 S7의 결과가 ″No″이면), 과정은 단계 S1으로 되돌아 간다.
한편, 2차전지의 충전이 진행되어 단자전압이 상승하고, D(max)가 Va보다 더 크게되면(만약 단계 S7의 결과가 ″Yes″이면), 과정은 단계 S8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D(max) 와 D(min) 사이의 차가 설정 기준 전압차 값(R)(예를들어, 100mV)과 비교된다. (단계 S8) 일반적으로, 2차전지(B1, B2, B3)의 단자전압 사이에는 그 차가 거의 없고, D(max) - D(min)〈R이기 때문에 단계 S8의 결과는 ″No″가 되고 과정은 단계 S1으로 되돌아 간다.
한편, 2차전지(B1, B2, B3)의 단자전압이 어떤 이유, 예를들어 충전량이나 자기 방전량의 차이, 때문에 분산을 가지고 단계 S8의 결과가 ″Yes″이면 과정은 단계 S9와 그 이후 단계로 진행된다. 만약 Nmax=1이면(단계 S9의 결과가 ″Yes″이면), 스위치 소자(SW2)는 턴온된다. 만약 Nmax≠1 이고 Nmax≠2 즉, Nmax=3이면(단계 S9및 S10의 결과가 ″No″이면), 스위치 소자(SW3)는 턴온된다.(단계 S11) 또한,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B1, B2, B3)와 접속된 상기 방전회로의 스위치가 턴온됨으로써 2차전지는 방전을 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Nmax는 N으로 설정되고, 스위치(SW4, SW5)는 전환된다. (단계 S13) 만약 단계 S6에서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 상당하는 디지털 값[V(AN)]이 D(Nmin) 보다 더 크면(만약 단계 S14의 결과가 ″Yes″이면), 보정을 위한 방전을 계속하기 위해 과정은 단계 S12로 되돌아 간다. 만약 V(AN) ≤ D(Nmin)이면(만약 단계 S14의 결과가 ″No″이면), 과정은 단계 S15로 진행한다. 단계 S15에서, 스위치 SW1 내지 SW3는 방전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턴오프된다. 따라서, 방전동작은 종료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3개의 2차전지가 직렬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정장치는 2개, 4개 혹은 그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 접속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방전회로(2, 3, 4)의 동작이 2차전지(B1, B2, B3)의 단자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가 설정값 보다 더 클 때 개시되었다. 그러나, 최대 단자전압과 평균 단자전압 사이의 차가 설정값 보다 클 때 또는 최대 단자전압 혹은 최소 단자전압을 제외한 단자전압의 평균이 설정값 보다 클 때도 개시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가 최소 단자전압을 가지는 다른 2차전지의 단자전압과 동일하게 될 때 까지 방전되었다. 그러나, 방전은 최대 단자전압이 모든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이나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것을 제외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즉, 방전되지 않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으로 낮아 질 때 중단된다.
(4)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는 그 단자전압이 최소 단자전압을 가지는 다른 2차전지의 단자전압과 동등하게 될 때 까지 방전되었다. 그러나, 방전은 최대 단자전압이 소정갯수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이나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것을 제외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소정개수의 평균(즉, 방전되지 않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으로 낮아 질 때 중단된다.
(5)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충전동작중에 단자전압이 감시된다. 그러나, 단자전압이 충전동작이 개시된 직후에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감시동작은 충전동작의 개시후에 일정시간이 지나갈 때 까지 금지시켜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장점과 변형의 부가가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손쉽게 가능하다. 그것의 상위개념에 있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 전형적인 장치 및 도시되고 기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통상적인 발명의 범위와 사상으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만들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록 2차전지(B1, B2, B3)의 단자전압이 어떤 이유 때문에 분산을 가진다 하더라도,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를 그 단자전압을 낮추기 위해 방전시킴으로써 그 분산을 감소시킬수 있다.

Claims (14)

  1. 직렬 접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그 분산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차 검출회로; 및
    상기 단자전압의 분산정도가 설정치를 초과할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2차전지중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어느 하나를 방전하기 위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가 방전되는 상기 2차전지중 어느 하나의 단자전압이 기준값 보다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검출된 분산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가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저항소자와,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회로가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 각각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 검출회로가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의 최대 단자전압과 최소 단자전압 사이의 차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전압차 검출회로는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과 최대 단자전압 사이의 차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전압차 검출회로는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2차전지를 제외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과 최대 단자전압 사이의 차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가 방전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최소 단자전압에 비해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로 접속되고, 방전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방전되는 2차전지를 제외한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에 비해 더 낮을 때 상기 방전회로가 방전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가 직렬로 접속되고, 방전되는 2차전지의 단자전압이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의 평균에 비해 더 낮을 때 상기 방전회로가 방전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직렬 접속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의 제1 및 제2 단자 사이의 양단 전압이 설정값 보다 더 작거나 동일할 때 상기 방전회로가 방전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 각각의 최대 단자전압이 설정값 보다 더 작거나 동일할 때 상기 방전회로가 방전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의 보정장치.
  13. 직렬 접속된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의 단자전압에서 분산정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산정도가 설정치를 초과했을 때,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2차전지중 최대 단자전압을 가지는 어느 하나를 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접속된 2차전지의 보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방전되는 2차전지중 어느 하나의 단자전압이 기준값 보다 더 낮을 때 방전을 중단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접속된 2차전지의 보정방법.
KR1019970073813A 1996-12-26 1997-12-24 직렬접속된2차전지의보정장치및보정방법 KR100283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854496A JP3330295B2 (ja) 1996-12-26 1996-12-26 二次電池の補正回路
JP8-348544 1996-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46A KR19980064646A (ko) 1998-10-07
KR100283879B1 true KR100283879B1 (ko) 2001-03-02

Family

ID=1839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813A KR100283879B1 (ko) 1996-12-26 1997-12-24 직렬접속된2차전지의보정장치및보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94873A (ko)
JP (1) JP3330295B2 (ko)
KR (1) KR100283879B1 (ko)
TW (1) TW4085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735A (ko) * 2001-11-14 2003-05-22 주식회사 네스캡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전압 균등화 방법, 장치 및전압 균등화를 위한 단위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2426B (en) * 1998-10-06 2002-01-11 Hitachi Ltd Battery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100314937B1 (ko) * 1999-05-04 2001-11-23 최좌진 집합전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JP2002075387A (ja) * 2000-08-29 2002-03-15 Fuji Photo Film Co Ltd 電池チェック装置
KR20020027019A (ko) * 2000-10-04 2002-04-13 김광헌 충전장치 및 방법
JP2003032908A (ja) * 2001-07-19 2003-01-31 Nisshinbo Ind Inc キャパシタ組電池、その制御方法、その制御装置及び自動車用蓄電システム
KR20030037642A (ko) * 2001-11-07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배터리 불균등 제어장치
KR20030046745A (ko) * 2001-12-06 2003-06-18 이기수 배터리 보충전 장치 및 방법
DE60332182D1 (de) * 2002-01-31 2010-06-02 Saft Groupe Sa Entladungssteuerungsverfahren für eine Batterie
US7081737B2 (en) * 2003-06-19 2006-07-2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ttery cell monitoring and balancing circuit
US20070257642A1 (en) * 2003-06-19 2007-11-08 Sean Xiao Battery cell monitoring and balancing circuit
WO2005111644A1 (ja) * 2004-05-13 2005-11-24 Ntt Data Ex Techno Corporation 二次電池良否判別装置および該装置のリップル発生回路
KR100643228B1 (ko) * 2004-07-19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방법 및 충전시스템
JP2006166615A (ja) * 2004-12-08 2006-06-22 Fuji Heavy Ind Ltd 蓄電デバイスの電圧均等化制御システム
KR100669434B1 (ko) 2005-04-07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제어방법
KR100717789B1 (ko) 2005-07-29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의 전지 잔존용량 산출방법
JP4195026B2 (ja) * 2005-08-24 2008-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組電池の充電状態調整装置
KR100740097B1 (ko) 2005-10-20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soc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KR100739054B1 (ko) 2005-10-20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의 셀 전압 측정방법
KR101201121B1 (ko) 2005-12-02 2012-11-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201139B1 (ko) 2006-04-25 2012-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 회로 장치
KR100796668B1 (ko) 2006-09-26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59688B1 (ko) 2006-10-12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14884B1 (ko) 2006-10-16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839381B1 (ko) 2006-11-01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882913B1 (ko) 2007-03-19 2009-0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7782013B2 (en) * 2007-04-17 2010-08-24 Chun-Chieh Chang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recharging same
US20090155673A1 (en) * 2007-12-12 2009-06-18 Daniel Ross Northcott Battery Management System
US8350528B2 (en) * 2009-02-04 2013-01-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balancing method of battery cells
JP5573075B2 (ja) * 2009-09-28 2014-08-20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用電圧均等化装置
US20110187325A1 (en) * 2010-02-04 2011-08-04 Po Chang Lin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a battery pack
US8872478B2 (en) * 2010-03-09 2014-10-28 O2Micro Inc. Circuit and method for balancing battery cells
JP6196756B2 (ja) * 2012-06-18 2017-09-13 ローム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電池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家庭用蓄電池および車両
EP3855555B1 (en) 2017-01-09 2023-10-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JP2018117438A (ja) * 2017-01-17 2018-07-26 太陽誘電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を備えた電源モジュール
JP6633591B2 (ja) * 2017-10-13 2020-01-22 矢崎総業株式会社 均等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7775A (en) * 1991-04-26 1996-08-20 Sony Corporation Circuit for preventing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of secondary batteries
US5206578A (en) * 1991-10-15 1993-04-27 Norvik Technologies Inc. Monitoring system for batteries during charge and discharge
JP3389670B2 (ja) * 1994-03-11 2003-03-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次電池の直列接続回路
US5646503A (en) * 1995-10-04 1997-07-08 Motorola, Inc. Method for balancing power sources and structure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735A (ko) * 2001-11-14 2003-05-22 주식회사 네스캡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전압 균등화 방법, 장치 및전압 균등화를 위한 단위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46A (ko) 1998-10-07
US5994873A (en) 1999-11-30
JP3330295B2 (ja) 2002-09-30
JPH10191573A (ja) 1998-07-21
TW408520B (en) 200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879B1 (ko) 직렬접속된2차전지의보정장치및보정방법
JP3212963B2 (ja) 二次電池制御回路
JP3383607B2 (ja)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バッテリー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998302B1 (ko) 이차 전지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JP4606846B2 (ja) 電池監視装置
JP2010110208A (ja) 過電圧過渡コントローラ
JP5036341B2 (ja) パック電池
US5886502A (en) Cell balance circuit having rechargeable cells
JPH11308776A (ja)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ー装置
JP2009022078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
KR20130070630A (ko) 배터리 시스템, 및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배터리 셀의 충전 방법
KR20010060225A (ko) 전지의 급속충전 방법
JP3398304B2 (ja) 二次電池の電圧測定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保護回路
JP3934760B2 (ja) 二次電池の電圧補正回路
JP2001157369A (ja) 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KR100328888B1 (ko) 충방전 제어회로
JPH09117072A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JP3988797B2 (ja) 二次電池の保護装置
JP3872134B2 (ja) 二次電池の保護装置
JP2001309570A (ja) 組電池の容量調整方法
JPH10290530A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US20050057217A1 (en) Secondary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JP4379558B2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KR20200075075A (ko)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
US11909233B2 (en) Disconnection detection device and disconnection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