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438B1 -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 - Google Patents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438B1
KR100283438B1 KR1019950701891A KR19950701891A KR100283438B1 KR 100283438 B1 KR100283438 B1 KR 100283438B1 KR 1019950701891 A KR1019950701891 A KR 1019950701891A KR 19950701891 A KR19950701891 A KR 19950701891A KR 100283438 B1 KR100283438 B1 KR 10028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planar
cushion
retaining member
planar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183A (ko
Inventor
마쓰오까지까라
와다다니다께시
와끼모도구니히사
기노시다유끼히로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도시오
남바프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도시오, 남바프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도시오
Publication of KR95070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2Making upholstery from waddings, fleeces, ma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61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in different places, e.g.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aming agent, feeding one composition after the other
    • B29C44/0469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in different places, e.g.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aming agent, feeding one composition after the other provided with physical separators between the different materials, e.g. separating layers, moul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44Longitudinal or transverse tubular cavity or c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면상(面狀)계지재를 이용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재에의 표피재(表皮材)결합에 있어서, 잡음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쿠션체구조에 있어서, 면상계지체(4)의 주위에지에 따른 최소한 일부를 그 바로 가까이에 위치하는 쿠션재(2, 3)로부터 간극(11에 의하여)으로 적당량 개방하여, 면상계지체를 쿠션재에 결합한다. 면상계지체에 계착(係着)한 표피재(12)가 외력으로 인장되었을 때, 개방되어 있는 면상계지체의 측에지의 추종한 동작에 따라서, 표피재와의 사이에서 박리-재계합이 생기지 않으므로, 잡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쿠션체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면상(面狀)계지재를 개재하여 표피재(表皮材)를 쿠션재에 결합한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표피와 면상계지재와의 사이에서 박리계합의 반복에 의한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쿠션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자동차용 시트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쿠션재(발포체)와 그 표면에 장착되는 표피재와를 결합하는 방법은 이미 많은 방법이 알려지고, 또 공용(公用)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시트좌부(座部)의 요곡면(凹曲面)형상을 확보하도록 표피재를 요곡면형으로 쿠션재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 종래 표피재의 배면 전체면을 접착제로 쿠션재 표면에 붙이는 방법이나, 표피재를 쿠션재(발포우레탄)성형형틀에 세트한 상태에서 우레탄을 주입하는 일체성형방법 등이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방법에 있어서도, 이를 위한 전용생산설비가 필요하고, 시트를 완성시키기 위한 일관 조립라인내에의 전용설비의 설치는 곤란하게 되고, 그러므로 자재의 취급반송코스트를 증가시키는 난점이 있다. 또, 이 종래의 방법은 설비생산이기 때문에 그 가동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생산변동에 대응한 볼륨조절이 용이하게는 되지 않고,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효율이 나쁜 생산방법으로 되어, 코스트상승의 요인으로 되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여, 표피재의 쿠션재에의 결합을 간이하게 행하기 위하여 면상계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의도되고 있다. 이 면상계지재는 면파스너라고도 하고, 편포상(編布狀) 또는 직포상(織布狀)의 기포(基布)에 훅형 또는 링형의 소돌기가 무수히 심어 형성된 것이다. 훅형 또는 링형의 소돌기는 표피재의 배면과 계합하여 표피를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면상계지재에 의한 표피의 기계적 결합에는 실용상 뜻하지 않은 불합리한 현상을 볼 수 있다. 제4도를 참조하여 이 현상을 설명하면, 시트(15)로부터 사람이 내리려고 할 때에 표피(16)에 대하여 화살표 F1와 같은 장력이 작용한다. 표피(16)는 면상계지재(17)에 기계적 결합력으로 결합되어 있지만, 장력 F1의 분력 F2이 기계적 결합력을 상회하면 표피는 순간적으로 면상계지재로부터 박리된다. 그러나, 사람의 몸의 움직임에 따라서 힘 F1이 이완되면, 표피는 원상으로 회복하려고 하여, 곧 면상계지재와 재결합한다. 이 박리계합의 반복에 의하여 불괘한 잡음이 발생하여, 시트의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불신감을 일으키거나, 정전기(靜電氣)의 대전(帶電)이라고 착각하여 불쾌감이나 경계심을 불러일으키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면상계지재를 이용하여 표피재를 쿠션재에 결합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면상계지재와 표피재와의 박리계합의 반복을 방지하고, 불쾌한 잡음의 발생을 방지한 쿠션체구조를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발명의 개시(開示)]
그러므로, 본 발명은 표피재를 쿠션재에 계지하는 면상계지체가 일체로 성형된 자동차용 시트의 쿠션체구조에 있어서, 면상계지체의 주위에지에 따른 최소한 일부를 그 바로 가까이에 위치하는 쿠션재에 접합시키지 않고 적당량의 개방간극을 갖게 하며, 이로써 자동차용 시트에 앉거나 일어설 때에 표피재에 장력 등의 외력이 작동할 때, 면상계지재가 표피재에 추종하여 박리를 일으키지 않도록 한 쿠션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면상계지재는 슬라브우레탄폼 등의 서포트재와 적층된 면상계지체의 형태로 쿠션재에 매입된다. 슬라브우레탄의 두께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5~15㎜, 적합하게는 10㎜ 두께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면상계지체는 쿠션재의 적합하게는 좌면(座面)의 전부 또는 최소한 중앙의 주요부를 점하는 위치에 부착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면상계지체의 측에지와 적합하게는 측에지의 아래의 주위에지하면이 쿠션재의 사이드부 및 중앙부로부터 적당량 개방되어 있다. 개방량은 약 5㎜~약 20㎜의 범위가 적당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쿠션체구조를 면상계지체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횡단절단하면, 면상계지체의 측에지에 직선형의, 또는 측에지로부터 하면 주위에지에 걸쳐서 L자형의 간극이 쿠션체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면상계지체는 그 측에지부가 외력에 추종하여 신장 또는 유동(遊動)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이 상면에 계착(係着)하고 있는 표피가 장력 F1(제4도)으로 인장되어도, 이것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동작을 함께 할 수 있으므로, 분력 F2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표피재와 면상계지재와의 사이에 순간적이라 해도 박리가 생기지 않고, 박리가 없으면 재계합도 없으므로 시트상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불쾌한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횡단부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쿠션체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형틀의 횡단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쿠션체구조의 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면상계지재를 이용한 쿠션체에 있어서의 잡음발생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약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잡음방지구성을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의 쿠션체의 폭방향으로 횡단한 절단부 단면도이고, 쿠션체(1)는 발포우레탄 등의 쿠션재와 이것에 결합한 면상(面狀)계지체(4)로 이루어진다. 쿠션재는 좌면(座面)을 형성하는 본체부(2)와 그 좌우에 융기하는 사이드부(3,3)로 이루어지고, 본체부(2)의 위에 면상계지체(4)가 적합하게 일체성형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면상계지체(4)는 적합하게는 상기한 면파스너라고 하는 면상계지재(5)와, 그 서포트재로서 쿠션재와 기본적으로 동질의 발포체, 적합하게는 슬라브우레탄층(6)과를 융착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면상계지체(4)와 그 바로 가까이의 사이드부(3,3)와의 사이에는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로서 개방간극(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를 확대한 제3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면상계지재(5)의 측에지(7) 및 슬라브우레탄(6)의 측에지(8)는 함께 사이드부(3)로부터 개방간극(11)에 의하여 개방되어 있다. 간극(11)은 다시 슬라브우레탄층(6)의 하면에도 들어가서 (제3도에서 역 L자형으로), 즉 슬라브우레탄(6)의 하면주위에지(10)는 유동(遊動)가능하게 쿠션재(2,3)로부터 개방되어 있다. 슬라브우레탄층(6)의 하면주요부(9)는 쿠션재 본체부(2)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면상계지체(4)의 면상계지재(5)는 표면에 돌출형성된 무수한 소돌기(도시생략)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 쇄선으로 약시한 것과 같은 표피재(表皮材)(12)가 압착되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자동차용 시트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1도에서는 좌반분만에 표피재(12)를 나타내고 있으나, 우반분도 마찬가지로 표피재가 피착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표피재(12)가 전술한 제4도에 관하여 설명한 장력 F1과 같은 외력을 받으면, 표피재(12)는 면상계지재(5)의 측에지(7)부근을 함께 들고 일어나서, 당연히 슬라브우레탄층(6)의 자유의 측에지(8)부근의 부분도 들어 올린다. 이와 같이 표피재와 면상계지체가 연동함으로써, 표피재의 박리는 회피되고, 따라서 장력 F1이 해체되었을 때의 재계합도 없으므로, 불쾌한 잡음의 발생도 없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쿠션체(1)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형형틀에 의하여 제작된다. 성형형틀의 하형틀(20)은 그 중앙부가 바람직한 3차원 곡면형상의 저면(21)으로 되어 있다. 성형형틀저면(21)의 양 옆에는, 개방간극(11)형성용의 격벽(22)이 선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훅형부(23)를 구비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면상계지체(4)는 이 훅형부(23)의 아래에 제2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장착파지된다. 이어서, 성형형틀 위쪽으로부터 통상법에 따라서 쿠션재용의 우레탄원액 (도시하지 않음)을 주입하고, 상형틀(24)을 닫고 발포시키면, 그 성형내압에 의하여 면상계지체(4)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형틀저면(21)에 압착되면서 본체부(2)와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나, 격벽(22)과 훅형부(23)의 존재에 의하여, 면상계지체(4)의 측에지(7, 8)는 쿠션체사이드부(3)로부터 차폐되어 있고, 또 주위에지하면(10)도 사이드부 및 본체부로부터 차폐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유동가능한 측에지(7, 8)가 형성되어, 잡음방지에 유효한 작용을 행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3차원 요철곡면의 시트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면상계지재(5)(쿠라레의 면파스너)와, 서포트재로서 슬라브우레탄폼(6)(두께 5~15㎜, 밀도 0.018g/㎤~0.040g/㎤)으로 이루어지는 면상계지체(4)를 착좌감과 소요의 요철면의 형상의 정도에 따라서 적정한 두께와 밀도에서 선택한다. 실시예로서, 곡요면(曲凹面) 깊이 10㎜의 시트형상에 대하여, 우레탄폼 10㎜ 두께, 밀도 0.034g/㎤의 서포트재를 면상계지재에 융착라미네이트한 면상계지체(4)를 이용하였다. 이 면상계지체의 쿠션재(2, 3)로부터의 개방량은 시트의 버킷량에 따라서, 5~20㎜의 범위로 하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에서는, 버킷량 85㎜의 시트형상에 대하여, 외주개방량 5㎜의 설정에 의하여, 착좌감이 양호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잡음발생이 없는 우수한 시트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시트의 쿠션재에 결합되는 면상계지체의 측에지부를 소정량 쿠션재로부터 개방하여, 면상계지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표피재에 착좌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장력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표피재에 추종하여 면상계지체의 신장 또는 유동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기계적 결합력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면상계지체상에서 불쾌한 잡음을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얻는다. 그러므로, 종래의 표피결합방법에 비하여, 현격하게 경제적이고 효율이 양호한 결합방식인 면상계지재의 자동차용 시트에의 채용이 촉진되어, 코스트저감, 생산조절에의 적응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표피재(表皮材)를 쿠션재에 계지하는 면상(面狀)계지체가 일체로 성형된 자동차용 시트의 쿠션체구조에 있어서, 면상계지체의 주위에지에 따른 최소한 일부가 그 바로 가까이에 위치하는 쿠션재로부터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계지체가 면상계지재와 발포서포트재와의 적층물로 이루어지고, 이 적층물의 측에지외주가 쿠션재로부터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계지체가 면상계지재와 발포서포트재와의 적층물로 이루어지고, 이 적층물의 측에지외주 및 하면의 일부가 쿠션재로부터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의 쿠션재로부터의 개방량이 5~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구조.
KR1019950701891A 1993-09-19 1994-04-25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 KR100283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254798 1993-09-19
JP5254798A JP2892916B2 (ja) 1993-09-19 1993-09-19 雑音防止に適したクッション体構造
PCT/JP1994/000683 WO1995008506A1 (fr) 1993-09-19 1994-04-25 Structure de rembourrage empechant les bru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183A KR950704183A (ko) 1995-11-17
KR100283438B1 true KR100283438B1 (ko) 2001-03-02

Family

ID=1727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891A KR100283438B1 (ko) 1993-09-19 1994-04-25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54069A (ko)
EP (1) EP0676370B1 (ko)
JP (1) JP2892916B2 (ko)
KR (1) KR100283438B1 (ko)
AU (1) AU686618B2 (ko)
CA (1) CA2148919C (ko)
DE (1) DE69425042T2 (ko)
WO (1) WO1995008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2116B1 (en) * 1996-08-02 2003-09-24 Bridgestone Corporation Seat cushion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JP6015492B2 (ja) 2013-02-27 2016-10-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構成部材及びその製造法
JP6179458B2 (ja) * 2014-05-20 2017-08-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771857B2 (ja) * 2014-12-25 2020-10-21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23666A1 (fr) * 1978-02-13 1979-11-16 Aplix Sa Procede pour la fixation d'une bande, notamment un ruban d'accrochage, sur un article moule, et bande pour sa mise en oeuvre
JPH0325668Y2 (ko) * 1985-04-30 1991-06-04
JPH0630702B2 (ja) * 1986-11-12 1994-04-27 日本発条株式会社 シートの製造方法
AU614939B2 (en) * 1987-09-29 1991-09-19 Tachi-S Co., Ltd. Automotive seat
AU610533B2 (en) * 1987-11-24 1991-05-23 Tachi-S Co., Ltd. Method of forming an automotive seat
US4840430A (en) * 1988-01-04 1989-06-20 Tachi-S Co., Ltd. Automotive seat and method of forming same
DE3903847A1 (de) * 1989-02-09 1990-08-16 Metzeler Schau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chaeumen und festlegen des haft- oder flauschbandes eines klettbandes in ein formschaumteil
JPH0416956U (ko) * 1990-06-01 1992-02-12
JP3117747B2 (ja) * 1991-06-11 2000-12-18 アラコ株式会社 シートカバー溝部接着方法およびモールドパッ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5042T2 (de) 2001-03-08
EP0676370A1 (en) 1995-10-11
EP0676370B1 (en) 2000-06-28
EP0676370A4 (en) 1996-07-31
US5654069A (en) 1997-08-05
AU686618B2 (en) 1998-02-12
CA2148919A1 (en) 1995-03-30
JP2892916B2 (ja) 1999-05-17
WO1995008506A1 (fr) 1995-03-30
DE69425042D1 (de) 2000-08-03
KR950704183A (ko) 1995-11-17
JPH0780168A (ja) 1995-03-28
AU6581794A (en) 1995-04-10
CA2148919C (en) 200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8553A (en) Upholstered mirror,process of manufacturing said mirror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100283437B1 (ko) 착좌감이 양호한 쿠션체구조
US9707871B2 (en) Headrest
JP2757148B2 (ja) 多層異硬度座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02276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体構造
JP2009291537A (ja) クッションパッド
US6637822B1 (en) Garnish arrangement in annular headrest for vehicle seat
KR100283438B1 (ko) 잡음방지에 적합한 쿠션체구조
EP0807505A1 (en) Multi-layered different hardness seat equipped with surface ski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7020636A (ja) シートパッド及びクッション材
JP4289585B2 (ja) 係止部材及び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の製造方法
JP2019188973A (ja) 乗物用シート構成部材の製造方法
JP3391437B2 (ja) 表皮材一体発泡体
JPH05115A (ja) 車両用シート
JPH07156316A (ja) 座席用表皮材
JP3048138B2 (ja) 表皮付き多層異硬度座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95288Y2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JP3685849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H021080Y2 (ko)
JPH0976255A (ja) クッション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152810B2 (ja) 乗物用シート
JPH0481480B2 (ko)
JPH09220725A (ja) 吊り込み用面状ファスナ一体発泡型
JP2002369986A (ja) クッション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2004136600A (ja) 表皮付き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