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337B1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337B1
KR100282337B1 KR1019980062815A KR19980062815A KR100282337B1 KR 100282337 B1 KR100282337 B1 KR 100282337B1 KR 1019980062815 A KR1019980062815 A KR 1019980062815A KR 19980062815 A KR19980062815 A KR 19980062815A KR 100282337 B1 KR100282337 B1 KR 10028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uction
duct
vacuum clea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020A (ko
Inventor
이동율
윤주한
최용복
임경석
정회길
박상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6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337B1/ko
Priority to US09/237,888 priority patent/US6161251A/en
Priority to JP11024437A priority patent/JP3094012B2/ja
Priority to GB9902223A priority patent/GB2341084B/en
Priority to DE19907122A priority patent/DE19907122C2/de
Priority to CNB991118715A priority patent/CN1230113C/zh
Priority to ES009901864A priority patent/ES2187222B1/es
Priority to EA199900700A priority patent/EA001254B1/ru
Publication of KR2000002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자동적으로 분리시켜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 본체로 보내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주공기유로와,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주공기유로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는 흡입구몸체와; 상기 보조공기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등을 함유하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 본체(1)는 하부커버(1a)와 상부커버(1b)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의 상부커버(1b)에 형성된 흡입공(2)에는 흡입호스(3)가 연결되며, 상기 흡입호스(3)의 타단에는 콘트롤부를 갖는 손잡이(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에는 연장관(5)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장관(5)의 타단에는 연결관(63)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63)의 타단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체(6)가 결합된다.
본체(1)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데,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공(2)과 배출되는 배출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2)에 삽입 결합되는 흡입호스(3)의 일단에는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봉투(9)가 장착되며, 상기 배출공(11)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봉투(9)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배기필터(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봉투(9)와 상기 배출공(11)의 사이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 및 팬(8)이 설치되며, 상기 팬(8)의 전방에는 모터보호필터(1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흡입구체(6)는 사용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어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흡입구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불이나 매트리스 등과 같은 침구류를 청소할 경우에는 침구용 흡입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침구용 흡입구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구용 흡입구체(60)는 내부에 빈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흡입구체(60)의 외형을 이루는 흡입구몸체(61)와,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양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바퀴(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몸체(61)의 후면에는 연결관(63)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저면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61a)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상부면에도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바이패스공(61b)이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를 동작시키면 본체(1)에 설치된 모터(7)가 구동하여 팬(8)을 회전시켜 주므로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러면 흡입구체(6)를 통해서 먼지 등을 함유한 외부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흡입호스(3)를 통하여 집진봉투(9)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봉투(9)에서 대부분의 이물질이 걸러지며, 걸러지지 않은 미세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상기 집진봉투(9)를 빠져나와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여, 배기필터(12)에 다시 한번 걸러진 뒤 배출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침구용 흡입구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가 동작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 외부공기는 흡입구체(60)에 형성된 주흡입구(61a)를 통해 대부분이 흡입되며, 바이패스공(61b)을 통해서도 그 일부가 유입된다.
한편, 침구류의 청소시에는 침구류의 재질이 주로 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60)의 주흡입구(61a)로 상기 침구류의 일부가 흡입되어 주흡입구(61a)를 막게 되어 외부공기가 흡입구체(60)로 유입되지 않아서 실질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이때 상기 흡입구몸체(61) 상부면에 형성된 바이패스공(61b)을 통해 외부공기가 계속해서 유입되므로 주흡입구(61a)에 달라붙은 침구류가 상기 주흡입구(61a)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어 계속적인 청소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침구용 흡입구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침구용 흡입구체는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침구류의 표면에 묻어있는 먼지나 머리카락같은 각종 이물질을 단순히 흡입한다. 그러나 침구 등에 부착된 이물질은 흡입력만으로는 침구류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서 청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 위치에서의 청소작업을 수회 반복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침구류의 청소전에 상기 침구류를 털어서 상기 침구류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침구류에서 분리시킨 다음에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여야만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진공청소기를 사용시 흡입구체가 침구류에 달라붙어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청소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때 흡입구체의 주흡입구로 상기 침구류의 일부가 흡입되어 주흡입구를 막는 경우 흡입구몸체 상부면에 형성된 바이패스공을 통해 외부공기가 계속해서 유입되어 주흡입구에 달라붙은 침구류가 상기 주흡입구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청소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기능이 완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시 침구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별도로 털어내지 않고도 이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구체가 침구 등의 침구류에 쉽게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에 따른 침구용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부상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흡입구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흡입구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용 흡입구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1a는 상부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 11b는 아래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2는 도 11b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바닥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4a는 상부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 14b는 아래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도 13의 부상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c는 도 13의 진동부재의 지지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3의 흡입구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22a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7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8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a : 주흡입구 100 : 하우징
101 : 보조흡입구 102 : 통공
110 : 덕트 111 : 유로관
112a, b : 상부, 하부 가이드편 120 : 부상부재
121 : 상판 122 : 하판
123 : 연결부재 124 : 보조부상판
130 : 진동부재 131 : 상부개폐판
132 : 하부개폐판 133 : 연결축
134 : 흡음방진재 151: 오목부
210 : 진동판 300 : 흡입구몸체
310a : 상부 격벽 350a : 하부 격벽
312 : 커버 316 : 투명창
400 : 바닥지지판 500 : 과부하보호장치
700 : 마사지장치 800 : 타격장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 본체로 보내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주공기유로와,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주공기유로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는 흡입구몸체와; 상기 보조공기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관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부상부재와; 상기 부상부재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운동하면서 상기 덕트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상부재는 상기 덕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최소한 1개 이상의 부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부상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덕트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과, 상기 부상부재의 하강에 따라 상기 덕트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개폐판과,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축의 하단은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그 끝단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하강운동시 상기 진동판이 침구류를 직접 타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흡입구에는 상기 보조공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입구몸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작동상태를 볼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는 바닥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입구몸체에는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 외부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유로가 형성되어, 침구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과부하시 개방되는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의하면 별도의 동작없이도 침구류표면의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효율이 향상되며, 또한 상기 흡입구체의 주흡입구가 막히는 것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61a)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몸체(300)의 다른면에도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보조흡입구(1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몸체(300)의 후면에는 연결관(380)을 통하여 흡입구체에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 본체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38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주흡입구(61a)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직접 배출공(380a)을 통하여 진공청소기 본체로 흐르고, 보조흡입구(101)로 흡입되는 공기는 진동발생수단(200)을 경유하여 배출공(380a)로 흐를수 있도록, 흡입구몸체(300)의 내부는 분할되어 주공기유로(300a)와 보조공기유로(300b)가 형성된다.
여기서, 주공기유로(300a)와 보조공기유로(300b)는 서로 연통되어 상기 보조공기유로(300b)를 통하여 나온 공기도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공기유로(300b)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은 보조흡입구(101)와 연통되며 타측은 주공기유로(300a)와 연통되는 통공(102)이 형성된 하우징(100)을 흡입구몸체(30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서 보조공기유로(300b)를 만든다.
한편, 보조공기유로(300b) 즉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진공청소기의 동작시 상기 보조흡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200)이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진동발생수단(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덕트(110)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110)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102)과 연결되는 유로관(1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덕트(110) 내부에는 상기 덕트(110)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상부재(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상부재(1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부상부재(120)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덕트(110)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동시에 하우징(100)과 충돌함으로써 흡입구몸체(300)를 진동시켜주는 진동부재(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110)의 상,하부 외측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상부가이드편(112a) 및 하부가이드편(112b)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진동부재(130)의 상하운동을 안내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상부재(120)는 덕트(110)의 하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때 상승하는 힘을 받는 상판(121)과, 상기 덕트(110)의 상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때 하강하는 힘을 받는 하판(122)과, 상기 상판(121) 및 하판(122)을 연결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23)은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판(121) 및 하판(122) 사이에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며, 또한 서로 대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21)과 하판(122)의 사이에 보조 부상판(124)를 설치하여, 상기 보조부상판(124)에 의해 그 부상력을 더욱 원활히 받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진동부재(130)는 부상부재(120)의 상하이동에 따라 덕트(110)의 상부 및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과, 상기 상부 및 하부개폐판(131, 132)을 연결하는 연결축(1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33)은 부상부재(1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21a, 122a)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연결축(133)에 의하여 상기 부상부재(120)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개폐판(131)의 상면 및 하면중 어느 한면 또는 양면에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흡음방진재(134)가 부착되어 상기 상부개폐판(131)과 부상부재(120)의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 및 상기 상부개폐판(131)과 하우징(100)과의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하부개폐판(132)에도 흡음방진재(134)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로관(111)은 덕트(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유로관(111)은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되도록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덕트(110)의 상부 및 하부 개구면을 통해 균등히 유로관(111)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덕트(110)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부상부재(120)의 높이는 유로관(111)의 높이보다는 크고, 상기 덕트(110) 전체높이의 대략 절반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만일 상기 부상부재(120)가 덕트(110) 전체높이와 같거나 비슷할 경우 부상부재(120)가 이동하는 거리가 작아서 진동부재(130)를 타격하게 되는 충격력이 적게되기 때문이다.
또한, 덕트(110)는 상기 유로관(11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덕트(110)의 상부측길이(A)가 상기 덕트(110)의 하부측길이(B)와 대략 동일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하부측길이(B)를 상부측길이(A)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부상부재(120)의 상승거리를 길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개폐판(131, 132)의 직경은 덕트(110)의 내경보다는 크고, 진동부재(120)의 상판(121) 및 하판(122)의 직경은 상기 덕트(110)의 내경보다는 작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작용을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부상부재(120)는 자중에 의하여 덕트(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때 진동부재(130)의 상부개폐판(131)은 상기 덕트(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덕트(110)의 상부를 폐쇄하고 있으며, 하부개폐판(132)은 상기 덕트(110)의 하부보다 더 내려온 상태가 되어 덕트(110)의 하부는 개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내에 설치된 팬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몸체(300)내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몸체(300)내에 형성된 주흡입구(61a) 및 보조흡입구(101)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주흡입구(61a)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는 연결관(380)을 통하여 진공청소기 본체로 바로 유입된다.
한편,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흡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덕트(110)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를 통하여 상기 덕트(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110)내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관(111)을 경유하여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된다.
이때, 유로관(111)은 상기 덕트(11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덕트(110)의 하부에서 부터 유로관(111)이 위치된 덕트(110)의 중앙부분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부상부재(120)의 상판(121)은 상승하는 공기 및 유로관(111)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자중을 이기고 덕트(110)의 상부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상부재(120)의 연결부재(123)가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고 서로 대향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부상부재(120)가 회전하게 되어 그 상승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10)내를 상승하게 되는 부상부재(120)는 상기 덕트(110)의 상부을 폐쇄하고 있는 진동부재(130)의 상부개폐판(131)과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개폐판(131)은 상승하게 되어 상기 덕트(110)의 상부가 개방된다. 이때 진동부재(130)의 상부개폐판(131)과 하부개폐판(132)은 연결축(1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하부개폐판(132)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개폐판(132)은 일정높이 상승한 뒤 덕트(110)의 하부와 접촉하며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덕트(110)의 하부는 폐쇄된다.
그러면, 덕트(110)의 하부가 폐쇄됨에 따라 공기는 더 이상 덕트(110)의 하부를 통하여 덕트(110)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덕트(11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결국 공기는 덕트(110)의 상부를 통해 덕트(110) 내로 계속 유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덕트(110)의 상부측에 위치된 부상부재(120)는 덕트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력에 의해 다시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하강하는 상기 부상부재(120)는 진동부재(130)의 하부개폐판(132)과 충돌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개폐판(132)은 덕트(110)의 하부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우징(100)과 충돌하게 되고, 이러한 충격이 상기 하우징(100)이 결합된 흡입구몸체(300)에 전달되어 상기 흡입구몸체(300)가 진동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부개폐판(131)은 덕트(1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한편, 부상부재(120)의 하강속도는 공기의 유입력에 의한 속도 및 상기 부상부재(120)의 자중에 따른 속도의 합이 되므로 하강속도는 상승속도보다 빠르다. 따라서, 상기 부상부재(120)의 하판(122)이 진동부재(130)의 하부개폐판(132)을 치는 힘이 상기 부상부재(120)의 상판(121)이 진동부재(130)의 상부개폐판(131)을 치는 힘보다 크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110)의 하부측 길이(B)가 상기 덕트(110)의 상부측 길이(A)보다 크므로 부상부재(120)가 그 하강하는 거리가 증가되어 부상부재(120)의 하강속도가 더욱 커지게 되어 충격력이 커욱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에는 흡음방진재(134)가 부착되어 있으으로 부상부재(120)와 진동부재(130)의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 상기 진동부재(130)와 덕트(110)의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 및 상기 진동부재(130)와 하우징(100)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음방진재(134)는 소음흡수기능 이외에도 덕트(110)의 상,하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때 덕트(110)의 상부 또는 하부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부상부재(120)의 상하운동을 더욱 원활히 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동작시에 보조흡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상부재(120)가 상하운동하고, 이에 따라 진동부재(130) 역시 상하운동하게 되어,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하우징(100)에 충격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된 흡입구몸체(300) 역시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몸체(300)와 접촉되는 침구류에도 진동이 전달되어 침구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침구류에서 분리되어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침구류의 표면에서 분리된 각종 이물질들은 상기 흡입구몸체(300)의 주흡입구(61a) 및 보조흡입구(101)를 통해 청소기 본체내로 흡입되면서 청소가 이루어 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침구류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침구류의 청소 도중에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60)의 주흡입구(61a)로 상기 침구류의 일부가 흡입되어 주흡입구(61a)를 막게 된다. 이때에는 보조흡입구(101)을 통하여 흡입구몸체(300)로 더욱 많은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진동발생수단이 더욱 원활히 작동한다. 따라서 주흡입구(61a)를 막은 천이 쉽게 상기 주흡입구(61a)에서 떨어질수 있고, 강한 진동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을 다시 흡입하게 되므로 청소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동부재(130)의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이 직접 하우징(100)을 타격하는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개폐판을 연결하는 연결축(133)의 일측 끝단이 하우징(100)까지 이르도록 연장하고, 상기 연장된 연결축(133)의 일측 끝단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진동판을 더 구비하여 진동부재의 상, 하 이동시 상기 진동판이 상, 하 진동하면서 하우징(100)을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여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발생수단(200)을 흡입구몸체(300)내의 소정 위치에 다수개 설치하여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2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을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흡입구몸체를 진동시키는 방식이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구몸체을 직접 진동시키는 방식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 명칭 및 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부재(130)를 구성하는 연결축(133)의 하단부를 연장하여 하우징(100)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연장된 연결축(133)의 끝단에는 진동판(2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210)의 상면에는 흡음방진재(210a)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축(133)은 상기 진동부재(13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판(210)의 저면이 흡입구몸체(300)에 닿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시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설치된 팬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진동발생수단(200)이 작동하게 되며 작동원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진동부재(130)는 하우징(100)을 타격하는 것이 아니고 흡입구몸체(300)를 직접 타격하게 된다. 즉 진동부재(130)가 상하운동시 상기 진동부재(130)에 결합된 진동판(210)도 역시 상하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판(210)이 흡입구몸체(300)의 하부 내면을 직접 타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 뿐만아니라 흡입구몸체(300)를 직접적으로 타격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 원할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등을 상기 침구류의 표면에서 보다 원활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은 유사하나 상기 제1,2실시예와는 달리 침구류의 표면을 직접 진동시키는 방식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구조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을 생략한다.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는 오목부(151)가 상기 흡입구몸체(300)의 장변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진동부재(130)를 구성하는 연결축(133)은 연장되어, 흡입구몸체(300)의 하부를 관통하며 끝단에는 상기 오목부(151)의 형상과 대략 대응하는 형상의 진동판(210)이 결합된다.
상기 진동판(210)은 흡입구몸체(300)의 주흡입구(61a)보다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부재(130)에 끝단에 형성된 진동판(210)이 침구류의 표면을 직접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침구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등이 상기 침구류의 표면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되므로 청소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를 보다 구체화 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1b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흡입구몸체(300) 내부에 주공기유로(300a)와 보조공기유로(300b)를 만들기 위하여 별도의 하우징을 사용하지 않고 주공기유로(300a)와 보조공기유로(300b)를 형성하였다.
즉, 상부 흡입구몸체(310)의 내부에는 상부격벽(310a)이 형성되며, 하부 흡입구몸체(350)의 내부에는 하부격벽(350a)이 형성되어, 주공기유로(300a)와 보조공기유로(300b)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부격벽(310a)의 하단과 하부격벽(350a)의 상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주공기유로(300a)와 보조공기유로(300b)를 연통시키는 통공(102)이 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공기유로(300b)의 내부에 덕트(110), 부상부재(120), 진동부재(130)로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수단(20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덕트(110)는 유로관이 상기 통공(102)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진동판(210)은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210)이 침구류를 직접 타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210)의 저면에는 다수의 돌기(211)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210)이 침구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타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211)의 저면에 다수의 보조돌기(211a)를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흡입구몸체(300)에 형성되는 보조흡입구(101)에는 스펀지(314a)와 같은 흡음부재가 설치되는 커버(312)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흡입구몸체(300)의 소정 위치에는 진동발생수단(2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31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구몸체(300)의 양측면에는 돌기형 바퀴(39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흡입구몸체(300)의 저면과 침구류 사이에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는 소정 직경의 보조바퀴(39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392)는 접촉하는 침구류의 손상을 방지하지 위하여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령형상의 바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은 청소시에 침구류와 같은 피청소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이곳에는 청소시에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부착된다. 따라서 이를 용이하게 세척하기 위해서 상기 흡입구체의 저면에 바닥지지판(400)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경우에는 바닥지지판(400) 만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흡입구몸체(300)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관(380)은 높낮이, 좌우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동성을 원할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흡입구(101)에 설치되는 커버(312)는 보조흡입구(10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버(312)에는 스펀지와 같은 흡음재(314a)가 장착된다. 따라서 진동발생수단(200)의 진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보조흡입구(101)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312)에 상기 커버(312)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318)를 설치하여 필요시에 따라 보조공기유로(300b) 개방 또는 폐쇄하여 진동발생수단(200)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창(316)은 진동발생수단(200)의 작동여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여, 흡입구몸체(300)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진동발생수단(200)의 고장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투명창(316)에 볼록렌즈를 형성하거나, 진동발생수단(200)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투명창(316) 내부에 조명등을 설치하거나 하여 가시성을 더욱 높이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덕트(110)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상부재(120)와 진동부재(130)가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축(133)의 상하에는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이 결합되며, 중간에는 부상부재(120)가 상기 연결축(133)에 안내되어 상하운동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33)의 하부 끝단에는 진동판(210)이 고정된다.
즉 상기 상부개폐판(131), 하부개폐판(132) 및 진동판(210)은 연결축(133)에 나사나 접착제 등으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결축(133)의 상단 및 하단에 후크(133a)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133a)의 아래에는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리브(133b)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133a)는 연결축(133)의 외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가지며, 중간부는 절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부재(130)의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에는 부직포와 같은 흡음방진재(134)가 부착된다. 이때 흡음방진재(134)는 상부개폐판(131)의 하면 및 하부개폐판(132)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음방진재(134)를 부착시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의 일측에 다수의 돌기(134a)를 형성하여 방향성을 표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덕트(110)의 외측에는 가이드편(1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편(112)의 하부는 흡입구몸체(3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356)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덕트(110)의 상하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거나, 상하, 좌우, 전후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덕트(110)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덕트(110)와 흡입구몸체(30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는 진동판(210)이 설치된다. 이때 하부몸체(300)의 내측에는 중공형상의 다수의 안내부재(358)가 형성되고, 진동판(210)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부재(358)의 중공부에서 안내되는 다수의 돌기(2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진동판(210)의 상하운동시 상기 진동판(21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침구류의 일정부위를 타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진동판(210)의 상면에 상기 돌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형성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진동판(210)의 상면 또는 흡입구몸체(300)의 하면에 다수의 흡음재(220)를 부착시켜 진동판(210)이 흡입구몸체(300)와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탄성체를 설치하여 진동판(210)의 상하진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2,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바닥지지판(4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지지판(400)은 흡입구몸체(300)에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151)에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며, 전면부(406) 및 후면부(408)에는 걸림돌기(402, 40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02, 404)가 흡입구몸체(30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바닥지지판(400)의 내측에는 몸체(300)의 오목부(151)의 장변에 대응하는 제1가로부재(410) 및 제2가로부재(412)가 형성된다. 즉 바닥지지판(400)의 전면부(406)와 제1가로부재(4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진동판(210)이 위치되며, 제1가로부재(410)와 제2가로부재(4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에 몸체(300)의 주흡입구(61a)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진동판(210)이 작동할 때 진동판(210)이 침구류에 걸려서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지지판(400)의 전면부(406)와 제1가로부재(410)의 사이에는 다수의 세로부재(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대략 중앙에는 돌출된 세로부재(422)가 형성된다.
또한 제1가로부재(410)의 저면에는 다수의 오목부(410a)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요철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청소시에 몸체(300)의 바닥면과 침구류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침구류를 긁는 기능을 하여 청소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가로부재(410)의 후방에는 다수의 지지부(430)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430)는 소정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청소시에 몸체(300)의 바닥면과 침구류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가로부재(412)의 저면에는 가로로 돌출된 리브(440)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440)의 전단에는 오목부(442)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리브(440)에 의하여 청소시 주흡입구(61a)의 내부로 침구류가 빨려들어 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442)에 의하여 실밥이나 머리카락 등을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판에 항균제 및 대전방지제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가로부재(412)의 전방에 형성된 리브(440)에 의하여 흡입구체의 바닥면의 흡입력을 주흡입구(61a)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바닥지지체(400)는 침구용 흡입구체이외의 다른 흡입구체에도 적용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상부재(12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제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두개 또는 3개의 판을 가지는 부상부재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상부재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력을 받는 판(121, 122)의 갯수가 최소한 한개 이상이면 사용가능하다.
또한 도 1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3)의 형상은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을 사용하여 부상부재(120)에 회전력을 줄수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한 것처럼, 상판 및 하판(121, 122)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결부재(123)를 돌출시키거나, 도 1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돌기(125)를 형성시켜 충격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21) 및 하판(122)의 내부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외측에 다수의 돌기(125)를 형성시켜 충격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진동부재(130)을 안내하는 방식의 변형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편(112)에 의하여 진동부재(130)가 안내되었다. 그러나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133)을 상하로 연장시키고, 일단에 상기 연결축(133)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덕트(110)의 유로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112c)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12c)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부재를 사용한다.
또한 탄성력이 없는 재질을 사용할 때는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12d)가 상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덕트(110)의 일측에 안내공(111b)을 갖는 지지부(111a)를 형성시키고, 상기 안내공(111b)에 가이드부재(112d)의 세로축이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133)은 원형단면에 다수의 오목부를 형성시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진동판(210)이 주흡입구(61a)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210)이 주흡입구(61a)의 후방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흡입구(61a)와 동일한 위치에 진동판(210)을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공기유로(300b)에 다수의 진동발생수단(20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진동발생수단(200) 모두를 하나의 보조공기유로(300b)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보조공기유로(300b)를 다수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보조공기유로(300b)에 진동발생수단(200)을 하나씩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어느 하나의 진동발생수단(200)이 작동을 멈추어도 다른 진동발생수단이 작동하므로 진동발생수단의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를 더욱 개량한 것으로서, 진동발생수단에 침구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을 더욱 부가함으로써 침구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제공한다.
도 20은 제5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제5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은 생략한다.
흡입구몸체(300)에는 몸체(300)의 저면과 상부면을 관통하는 분사유로(450)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유로(450)의 하단은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단은 저면 이외의 다른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진공청소기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보조흡입구(101)를 통하여 흡입되어 진동발생수단(200)을 작동시킨다. 동시에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공기는 분사유로(450)로 흡입되어,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에 분사된다.
따라서 진동발생수단(200)의 진동판(210)이 침구류를 타격함과 동시에 공기가 침구류에 분사되므로 침구류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진동발생수단(200) 만을 가지는 흡입구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침구류를 청소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110)의 유로관(111)이 연결되는 통공(102)을 바로 주공기유로(300a)와 연통시키지 않고 여기서 분사유로(450a)를 설치하여 보조공기유로(300b)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를 흡입구몸체(300)의 저면으로 분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6실시예)
제5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 및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주흡입구가 침구류에 막혀 흡입구체에 과부하가 생기면 이에 의하여 흡입구체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를 제공한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구몸체(300)의 상부격벽(310a)의 소정 위치에는 통공(520)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520)에 과부하 보호장치(500)가 설치된다.
과부하 보호장치(500)는 통공(520)에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된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512)과, 상기 스프링(512)의 전단에 설치되는 개폐판(5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10)이 전단 개방부의 내측에는 상기 개폐판(514)가 상기 케이스(510)이 전단 개방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재질로 만들어진 패킹(516)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512)은 진공청소기의 흡입압력에 따라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선정하며, 상기 개폐판(514)의 크기는 상기 케이스(510)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케이스(510)의 개방부의 크기보다는 커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과부하 보호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과부하가 걸리지 않으므로 보조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과부하 보호장치(500)의 스프링(512)을 압축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진공청소기가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주흡입구가 침구류에 의하여 막히게 되면 외부공기는 보조흡입구만을 통하여 흡입되므로 압력이 상승되어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때 흡입공기는 과부하 보호장치(500)의 스프링(512)의 탄성력을 이기고 개폐판(514)을 밀게 된다.
따라서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514)을 스프링(512)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케이스(510)의 전면부가 개방된다. 그러면 공기는 케이스(510)의 내면과 개폐판(514)의 틈새를 통하여 케이스(510)의 후방으로 흐르게 되어 결국 공기는 주공기유로(300a)를 경유하여 진공청소기 본체로 흐르게 된다.
과부하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512)은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복귀하여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고 진공청소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과부하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격벽(310a)의 외측에는 통공(5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개폐판(530)이 결합된다. 즉 상기 개폐판(530)의 일측은 통공(520)의 상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통공(520)의 하부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530)의 상부는 밀봉부재(532)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판(530)의 하부내측과 상부격벽(310a)의 외측에는 밀봉을 위한 고무패킹(534, 536)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면, 보조공기유로(300b)의 공기압이 소정 압력을 넘으면 개폐판(530)의 탄성력을 이기고 개폐판(530)을 밀게 된다. 이때 개폐판(530)의 상부는 고정되어 있고 하부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하부가 열리게 되어 이곳으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압력이 소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개폐판(53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통공(520)이 다시 막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과부하 보호장치(500)가 상부격벽(310a)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보조공기유로(300b)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면 된다. 따라서 하부격벽(350a)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별도의 하우징을 갖는 구조에서는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7실시예)
본 실시예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작원리는 동일하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진동발생수단을 수직으로 설치한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발생수단을 수평으로 설치한다.
도 24는 제7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제7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조공기유로(300b) 내에는 진동발생수단(200)이 설치된다.
이때 덕트(110)는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덕트(110)의 좌우측에는 지지대(602)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602)에는 연결축(133a)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110)의 내부에는 부상부재(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부상부재(120)는 연결축(13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부상부재(120)의 좌우측에는 상부개폐판(131)과 하부개폐판(132)이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개폐판(131)과 하부개폐판(132)도 연결축(13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부상부재(120),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은 모두 연결축(133)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의 하부에는 좌우로 이동하는 가능한 이동판(610)이 일체로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축(133a)은 운동하지 않으며, 부상부재(120)의 좌우운동에 의하여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이 좌우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에 일체로 결합된 이동판(610)이 좌우로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610)의 저면에는 필요에 따라 브러쉬(612)나 걸레 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가 작동하면 흡입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진동발생수단(200)이 동작한다.
이때, 부상부재(120)는 죄우로 운동하면서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을 타격하게 되어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도 연결축(133)를 따라서 죄우로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에 결합된 이동판(610)도 좌우로 운동하게 된다.
결국 이동판(610)의 저면에 브러쉬(612) 또는 걸레를 부착하여 청소기를 사용하면 침구류를 쓸거나 닦을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청소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진동발생수단(200)을 90도 회전시켜 설치하여 이동판(61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8실시예)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수단을 이용한 자동 마사지장치 및 자동 타격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진공청소기는 통상 하루에 한번이나 며칠에 한번만을 사용하므로 진공청소기를 사용 효율를 높이기위해 고안된 것이다.
도 25는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자동 마사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사지장치(700)는 보조공기유로(300b)만을 갖는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수단(200)로 이루어진다.
즉 몸체(300)에는 보조흡입구(101)와 통공(102)만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02)의 일측에는 연결관(380)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380)이 흡입호스(미도시)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진동발생수단(200)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몸체(300)의 상면(700a) 및 하면(700b)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의 진동이 유연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 자동 마사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사지장치(700)를 사용하려면 연결관(380)을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에 연결하고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진공청소기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진동발생수단(200)이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개폐판(131) 및 하부개폐판(132)이 몸체(300)의 상면(700a) 및 하면(700b)을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300)의 상면(700a) 또는 하면(700b)을 마사지를 받으려하는 부분에 대면 자동적으로 마사지가 행해진다.
도 26은 도 25의 변형예로서 자동타격장치를 나타낸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타격장치(8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자동 마사지장치(700)와 유사하다. 다만, 하부개폐판(132)은 못 등을 타격하여야 하므로 몸체(300)의 하면은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부의 주위에는 못 등을 안내하는 지지부재(606)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개폐판(132)의 저면에는 강도가 높은 재질의 타격부재(602)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개폐판(132)과 몸체(300)의 개방부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개폐판(132)의 상하운동시에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주름형상의 벨로우즈(604)가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30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부재(606)에 못 등을 위치시키고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진동발생장치(200)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못 등을 자동적으로 박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마사지장치나 타격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진공청고기의 흡입력을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별도의 흡입력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공청소기의 동작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진동발생수단이 동작하여 침구류의 표면을 두드려서 먼지 등을 분리시켜 준다. 그리고 침구류에서 분리되어 부유하는 먼지를 주흡입구 및 보조흡입구에서 흡입하므로써 청소가 행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침구류를 털어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진공청소기의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또한 청소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침구류가 흡입구몸체의 주흡입구를 막을 경우 하우징의 보조흡입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더욱 많이 유입되어 진동발생수단의 더욱 강력한 두들김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상기 주흡입구가 침구류의 표면에서 쉽게 떨어짐과 함께 상기 침구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 등이 더욱 원활히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청소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55)

  1.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와 상기 주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 본체로 보내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주공기유로와,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주공기유로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는 흡입구몸체와; 상기 보조공기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는 상기 보조흡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구몸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개방부와 상기 주공기유로와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관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부상부재와; 상기 부상부재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운동하면서 상기 덕트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의 외측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는 상기 덕트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최소한 1개 이상의 부상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는 상기 덕트의 하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는 상판과, 상기 덕트의 상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강하는 힘을 받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가 회전하면서 상하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부상부재의 연결부재는 수직선상에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보조부상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부상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덕트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과, 상기 부상부재의 하강에 따라 상기 덕트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개폐판과,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의 상면 및 하면중 최소한 하나의 면에는 흡음방진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하강운동시 상기 진동판이 상기 흡입구몸체를 직접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상면에 흡음방진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하단은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그 끝단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하강운동시 상기 진동판이 침구류를 직접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판은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흡입구몸체의 주흡입구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 내부의 소정 위치에 진동발생수단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는 상기 흡입구몸체의 상측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격벽과,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격벽과 상기 하부격벽의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관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부상부재와; 상기 부상부재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운동하면서 상기 덕트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동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는 상기 덕트의 하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는 상판과, 상기 덕트의 상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강하는 힘을 받는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부상부재의 상승에 따라 상기 덕트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과, 상기 부상부재의 하강에 따라 상기 덕트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개폐판과,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하단은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그 끝단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하강운동시 상기 진동판이 침구류를 직접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진동판이 설치되며 상기 주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흡입구몸체의 장변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저면에는 다수의 보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상면 및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 중의 최소한 한곳에는 다수의 흡음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내측에는 다수의 중공형상의 안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부재에 의하여 안내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구에는 흡음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구에는 상기 보조공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작동상태를 볼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폐판 및 하부개폐판의 상면 및 하면 중의 어느 한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덕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연결축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중간부는 절개된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아래에는 위치고정용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바닥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지지판을 분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판은 상기 진동판의 뒤에 위치하며 저면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제1가로부재와, 상기 주흡입구의 뒤에 위치되며 저면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흡입력을 상기 주흡입구로 집중시키는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부재의 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판에는 세로로 다수의 세로부재가 설치되어 진동판의 작동중지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의 바닥과 피청소체의 표면 사이에는 소정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소정 직경의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은 연장되어, 상기 연결축의 연장부와 상기 덕트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개폐판 및 하부개폐판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탄성재질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단 및 하단은 연장되며, 상기 덕트에는 안내공을 가지는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의 연장부와 상기 안내공의 사이에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몸체에는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 외부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로는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통공과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보조공기유로의 과부하시 개방되는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는 상기 상부격벽에 설치되는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전단에 설치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는 상기 상부격벽에 형성된 통공의 상단에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통공의 하단에 긴밀히 접촉되는 탄성재질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관이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방향에 따라 수평운동하는 부상부재와; 상기 부상부재의 수평운동에 따라서 수평운동하면서 상기 덕트의 상단 및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부상부재의 수평운동에 따라 상기 덕트의 일측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부개폐판과, 상기 부상부재의 수평운동에 따라 상기 덕트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부개폐판과, 상기 상부개폐판과 하부개폐판을 안내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개폐판 및 하부개폐판에는 수평운동하는 이동판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49.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사지용 흡입구체.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용 흡입구체.
  51.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보조흡입구와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청소기의 본체로 보내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보조공기유로를 가지며, 저면에는 피타격부재를 안내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저면에 결합되는 타격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격장치용 흡입구체.
  52.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주흡입구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의 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바닥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지지판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판은 상기 주흡입구의 전방에 위치하며, 저면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제1가로부재와, 상기 주흡입구의 뒤에 위치되며 저면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흡입력을 상기 주흡입구로 집중시키는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부재의 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19980062815A 1998-09-01 1998-12-31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28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815A KR100282337B1 (ko) 1998-09-01 1998-12-31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US09/237,888 US6161251A (en) 1998-09-01 1999-01-27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JP11024437A JP3094012B2 (ja) 1998-09-01 1999-02-01 真空掃除機用の吸入口体
GB9902223A GB2341084B (en) 1998-09-01 1999-02-01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DE19907122A DE19907122C2 (de) 1998-09-01 1999-02-19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CNB991118715A CN1230113C (zh) 1998-09-01 1999-08-02 真空吸尘器的吸嘴
ES009901864A ES2187222B1 (es) 1998-09-01 1999-08-12 Boquilla de succion para aspiradora.
EA199900700A EA001254B1 (ru) 1998-09-01 1999-08-31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35908 1998-09-01
KR1019980035908 1998-09-01
KR1019980062815A KR100282337B1 (ko) 1998-09-01 1998-12-31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020A KR20000022020A (ko) 2000-04-25
KR100282337B1 true KR100282337B1 (ko) 2001-02-15

Family

ID=2663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815A KR100282337B1 (ko) 1998-09-01 1998-12-31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61251A (ko)
JP (1) JP3094012B2 (ko)
KR (1) KR100282337B1 (ko)
CN (1) CN1230113C (ko)
DE (1) DE19907122C2 (ko)
EA (1) EA001254B1 (ko)
ES (1) ES2187222B1 (ko)
GB (1) GB234108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217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1242023B1 (ko) * 2010-10-18 2013-03-12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8370D0 (en) * 2000-04-06 2000-05-24 Reckitt & Colmann Pr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GB2360935B (en) * 2000-04-06 2003-01-29 Reckitt Benckiser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inlet for drawing in airborne particles
JP2003070092A (ja) * 2001-08-23 2003-03-07 Yukio Tsunoda スポンジダンパー付きスピーカー
KR100700533B1 (ko) * 2001-10-05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안마장치
KR20040050216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DE102004011745A1 (de) * 2004-03-03 2005-09-2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aubsaugerdüse
JP2005296621A (ja) * 2004-04-13 2005-10-27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吸入ブラシ組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US7234198B2 (en) * 2004-06-18 2007-06-26 Bosses Mark D Vacuum cleaner nozzle including mechanical beater and sonic beater
US7143470B2 (en) * 2004-06-18 2006-12-05 Mark D. Bosses Vacuum cleaner nozzle including mechanical beater and sonic beater
US7225505B2 (en) * 2004-06-18 2007-06-05 Bosses Mark D Vacuum cleaner nozzle including mechanical beater sonic beater
DE102004031633A1 (de) * 2004-06-30 2006-02-09 Schott Ag Bakteriozid dotierte bzw. beschichtete Konstruktionsteile in Waschmaschinen, Wäschetrocknern oder dergleichen
KR100642076B1 (ko) * 2004-07-01 2006-11-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GB2426697B (en) * 2005-06-03 2007-09-05 Kwang Dong Prec Co Ltd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WO2009154360A2 (ko) * 2008-06-18 2009-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US8312594B2 (en) * 2008-06-27 2012-11-20 Nilfisk-Advance, Inc. Carpet cleaning wand having uniform air flow distribution
JP5286332B2 (ja) * 2010-07-15 2013-09-1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3190862B (zh) * 2012-01-06 2015-12-09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风动地刷及其真空吸尘器
GB201208873D0 (en) * 2012-05-17 2012-07-04 Eaglestone Brian J Vacuum system
US9351619B2 (en) 2012-11-02 2016-05-31 Zenith Technologies, Llc Dual suction vacuum cleaner
DE102019106215A1 (de) * 2019-03-12 2020-09-1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orsatzgerät für einen Staubsauger und Verfahren zum Ableiten einer elektrischen Aufladung bei Nutzung eines Staubsaugers mit einem Vorsatzgerä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94500C (de) * 1930-03-24 Sachsenwerk Licht & Kraft Ag Mundstueck fuer Staubsauger
US2178003A (en) * 1931-04-22 1939-10-31 Hoover Co Suction cleaner
US2031957A (en) * 1932-04-05 1936-02-25 Electrolux Corp Suction nozzle
GB446841A (en) * 1934-12-04 1936-05-07 Melvin Sivyer Hurle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ction cleaners
US2280751A (en) * 1939-07-07 1942-04-21 Helen L Davis Vacuum cleaner nozzle
GB656581A (en) * 1948-08-25 1951-08-29 Horace George Walkling Knigh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cleaners
US2658228A (en) * 1950-04-22 1953-11-10 Lewyt Corp Vacuum cleaner nozzle
DE1109844B (de) * 1952-10-21 1961-06-29 Kurt Pause Saugklopfgeraet
US2864119A (en) * 1953-09-14 1958-12-16 Wilford P Crise Vacuum cleaner for drawing air through and intermittently over surface being cleaned
US2825925A (en) * 1954-04-05 1958-03-11 Hoover Co Suction nozzle with suction powered agitator
US3203023A (en) * 1960-06-30 1965-08-31 Sunbeam Corp Cleaning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DE1844732U (de) * 1961-10-19 1962-01-11 Herbert Schmidt Mundstueck fuer staubsauger.
US3225379A (en) * 1964-01-22 1965-12-28 Rexair Inc Rug tool
DD73128B1 (de) * 1969-01-03 1980-01-30 Kurt Brendel Einrichtung zur selbsttaetigen regulierung des unterdrucks fuer teppichklopf- und -kehrgeraete
US3750221A (en) * 1971-12-30 1973-08-07 Gen Signal Corp Sonic beater nozzle
CH580476A5 (ko) * 1974-08-08 1976-10-15 Sig Schweiz Industrieges
US4091496A (en) * 1975-10-28 1978-05-30 Wilfrid Desrosiers Vacuum cleaner nozzle
US4023234A (en) * 1975-11-05 1977-05-17 Health-Mor, Inc. Edge cleaning nozzle construction for suction cleaners
DE7825557U1 (de) * 1978-08-28 1979-08-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Staubsauger mit einer ueber ein saugrohr angeschlossenen saugduese
DE3045392A1 (de) * 1980-12-02 1982-07-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5600 Wuppertal Geraet zur reinigung von textilen flaechen
US5033148A (en) * 1988-10-12 1991-07-23 Daniel J. V. D. Chauvier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submerged in a liquid
JPH09234173A (ja) * 1995-12-28 1997-09-09 Tec Corp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217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1242023B1 (ko) * 2010-10-18 2013-03-12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87222A1 (es) 2003-05-16
KR20000022020A (ko) 2000-04-25
DE19907122C2 (de) 2003-04-03
JP3094012B2 (ja) 2000-10-03
ES2187222B1 (es) 2004-04-01
DE19907122A1 (de) 2000-03-09
US6161251A (en) 2000-12-19
CN1248423A (zh) 2000-03-29
CN1230113C (zh) 2005-12-07
EA001254B1 (ru) 2000-12-25
GB2341084A (en) 2000-03-08
EA199900700A1 (ru) 2000-04-24
GB2341084B (en) 2000-11-15
JP2000070191A (ja) 2000-03-07
GB9902223D0 (en) 199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33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1356519B1 (ko) 진공 청소기
EP1535560B1 (en) Dust-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for both wet and dry cleaning using the same
AU2009261077B2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JP2006141977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070012240A (ko)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N102770057B (zh) 真空吸尘器的吸嘴
RU238002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основного корпуса пылесоса
KR20000030910A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KR10026738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불기겸용 흡입구의 구조
KR20170094629A (ko)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JP2004174044A (ja) 電気掃除機
KR20040050217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437370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JPH0947386A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KR20040050216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2592405B1 (ko) 흡배기 모드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청소기
KR100677878B1 (ko) 진공청소기
KR101223341B1 (ko) 진공 청소기
JPH09182697A (ja)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JP322518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KR20060058292A (ko) 진공청소기용 물걸레 브러쉬
KR20040096024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장치
KR830001682B1 (ko) 전기 소제기
JPH09182699A (ja)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