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682B1 - 전기 소제기 - Google Patents

전기 소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682B1
KR830001682B1 KR1019800003134A KR800003134A KR830001682B1 KR 830001682 B1 KR830001682 B1 KR 830001682B1 KR 1019800003134 A KR1019800003134 A KR 1019800003134A KR 800003134 A KR800003134 A KR 800003134A KR 830001682 B1 KR830001682 B1 KR 83000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dust collecting
fine
collect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199A (ko
Inventor
고우이찌 사가와
요시히로 마쓰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682B1/ko
Publication of KR83000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소제기
도면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전기 소제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전기 소제기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더스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더스트 케이스의 덮개 본체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집진 필터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1 세목 집진 필터를 끄집어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집진 필터 유니트를 떼어내어 더스트 케이스로 부터 진애를 버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더스트 케이스에 제1 세목 집진 필터를 취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더스트 케이스로부터 제1 세목 집단 필터를 끄집어내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조목 집진 필터의 배면 확대도.
제12도는 조목 집진필터와 제1 세목 집진필터의 관계에서 제1 세목 집진 필터의 먼지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제1 세목 집진 필터에 진애 기류가 유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제1 세목 집진 필터의 집진 성능 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제1 세목 집진 필터와 제2 세목 집진 필터를 병합한 경우의 집진 성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집진완료 시마다 버리는 재사용할 수 없는 종이 등의 집진포를 구비한 전기 소제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기 소제기는 먼지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반면에 집진포의 유효집진 용적에 비해 실제의 집진량은 1/2~1/3정도여서 집진율이 대단히 나쁘다.
이것은 진애가 가득차기 전에 집진포의 통기구멍(濾過面)이 부착하는 진애에 의해 통기성이 상실되어 실질적으로 집진이 불가능 해지기 때문이다.
집진율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집진포의 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각종으로 시도해 보았으나, 가장 큰 문제점은 종이로 된 집진 포는 강도적인 면에 있어서 약하기 때문에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생기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집진포의 외주면을 철사등으로 형성한 제진자(除塵子)로 문지르면 각종의 진애에 의해 집진포의 외주면이
Figure kpo00001
형, 또는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진자(除塵子)가 접접(摺接)면을 할퀴어 버려 결국 집진포는 찢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종이 등의 집진포의 먼지 제거를 검토함에 있어 상기한 결점을 고려하여 집진포의 파손이 생기지 않으며, 집진 능력이 한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통기성 및 가요성(可橈性)을 가진 종이 등의 얇은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자루처럼 되어있으며 재사용 할 수 없는 세목집진 필터를 구비하여, 그 집진필터의 외면에 접촉되어 그 집진 필터를 지지하는 통기성의 필터지지체를 설치하고 이 필터지지체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필터지지체를 진동 시킴으로써 필터지지체를 통하여 자루모양의 세목집진 필터가 진동력을 받게 되므로 세목집진 필터의 통 기구멍에 부착된 진애가 제거되어 세목집진 필터의 통기성이 회복된다. 또, 제진 진동은 필터지지체를 개재하여 행해지므로 제진자로 세목집진 필터의외 주면을 문지르는 경우에 생기는 찢어지는 등의 파손은 전혀 없어진다. 또한, 필터지지체는 통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필터지지체가 닿는 세목집진 필터 부분은 진애부착이 집중된다. 그러나 필터지지체에 의한 제진력은 그 부분이 가장 크므로 이 부분의 제진에 의한 통기성 회복은 집진능력 향상에 가일층 기여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 소제기는 본체 케이스(1)와 더스트케이스(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와 더스트 케이스(2)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은 제1도,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 홈(3)에 더스트 케이스(2)의 하부에 설치한 괘지부(掛止部)(4)를 밀어넣어 더스트 케이스(2)의 상부에 설치한 핸들(5)의 기판(6)의 후측을 본체 케이스(1)의 핸들의 기판 받침凹부 (7)에 삽입하여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한 클램프(8)의 계합클로오(係合 claw)(9)를 핸들(5)의 기판(6)에 계합함으로써 결합된다.
본체 케이스(1)는 내부에 전등 송풍기(10)및 코오드 권취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본체 케이스(1)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세로의 분할면을 가지며 좌우로 분할 되는 좌측 본체 케이스부(1a)와 우측본체 케이스부(1b)로 구성되어 있다. 좌, 우 본체 케이스부(1a, 1b)는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된다.
좌우 본체 케이스부(1a, 1b)는, 앞벽(12)에는 연통구(공기 취입구)(13)가 설치되어 있고, 뒷벽(14)에는 배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전동 송풍기 수납실(16)과 하측의 코오드 권취 장치의 수납실(17)은 간막이판(18)으로 간이막혀져 있다. 전동 송풍기 수납실(16)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제1 세목 집진필터(19)의 예비품을 수납하는 예비 필터수납실(20)이 마련되어 있다.
예비필터 수납실(16)과 전동 송풍기 수납실(21)은 간막이판(1)으로 간막이가 되어 있다.
상기 간막이판(18), (21)은 본체 케이스(1)의 분할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재해 있고, 또한 좌우 본체 케이스(1a, 1b)의 내측으로 각각 연재해 있다.
상기 예비 필터 수납실(20)은, 우측본체 케이스부(1b)에 관해서는 외측 벽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데, 이 개구부를 통하여 예비 제1 세목 집진 필터(19)가 예비 필터 수납실(20)대로 출입된다. 통상은 그 개구부에 착탈 자재인 덮개(22)를 취부하여 개구부를 닫아둔다.
이 덮개(22)는 손잡이 구멍(23) 및 계지용(係止用) 클로오(24)를 가지고 있으며, 이클로오(24)에 의해 덮개(22)는 개구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계지된다.
본 전기 소제기를 사용할 때에 전동 송풍기(10)에서 발생된 소리는 본체 케이스(1)의 외부로까지 들려오게 되나, 본체케이스(1)의 내부 상측은 예비 필터 수납실(20)에 의하여 2중 간막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로까지 들려오는 소리를 줄일 수 있어, 따라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 예비 필터 수납실(20), 전동송풍기 수납실(16) 및 코오드 권취(卷取)장치 수납실(17)은 본체 케이스(1)의 분할 면측으로 빠지는 성형용 금형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가령, 예비 필터 수납실(20)를 본체 케이스(1)의 외측면 벽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려면, 성형용 금형이 복잡해짐과 동시에 성형 작업성도 나빠진다.
더스트 표시기(25)는 우측본체 케이스부(1b)의 개구부 하측에 설치된다. 이 더스트표시기(25)는 부압(負壓) 연통구(26)에 접속됨과 동시에 더스트 표시기용 커버(27)에 의해 고정된다. 이 커버(27)는 우측 본체 케이스부(1b)의 내측으로 부터 삽입되는 나사(2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부압연통구(26)는 예비 필터 수납실(20)의 개구부와 같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성형용 금형의 발취(拔取)가 간단해 진다.
상기 코오드 권취장치(11)는 코오드(30)를 권취하는 코오드리일(reel)(31)을 갖는다.
이 코오드 리일(31)의 외주에 톱니부(32)가 형성되고, 이 톱니부(32)는 본체 케이스(1)의 앞벽(12)측에회전 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는 중간치차(33)에 맞물려 있다.
이 중간치차(33)에는 구동 커플링(34)이 설치되고, 이 구동 커플링(34)는 앞벽(12)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 구동 커플링(34)은 더스트 케이스(2)측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집진 필터유니트의 제진 장치측에 연결된다.
다음은 더스트 케이스(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스트 케이스(2)는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모양으로 되어 있다.
더스트 케이스(2)의 앞쪽에는 제1 세목 집진 필터(19)가 출입되는 제1 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에는 개폐 자재로운 필터지지판(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 지지판(36)은 제1 세목 집진필터용 개구부의 하부에 설치된 지축(支軸)(37)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되게 되어 있으며, 이 지축(37)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필터 지지판(37)은 앞쪽으로 쓰러지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필터 지지판(36)의 높이는 제3 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의 대략 1/2정도의 높이이므로, 필터 지지판(36)을 닫으면 제1 세목 집진 필터용 개구부의 아래쪽 반절은 막히게된다.
필터 지지판(36)의 표면에는 상단으로 빠지는 凹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凹부(38)의 좌우 상단에는 상기 제1 세목 집진 필터(19)의 일부를 받혀주는 계단형상의 받침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의 상측에도 또한 제1 세목 집진 필터(19)의 일부를 받혀주는 계단형상의 받침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받침부(39), (40) 및 凹부(38)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더스트 케이스의 덮개 본체(43)는 제1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를 필터 지지판(36)의 바깥쪽에서 닫는 것으로서, 더스트 케이스(2)의 하부에지축(44)을 끼워 자유롭게 회동되게 지지되며 이 지축(44)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의 덮개본체(43)는 앞쪽으로 쓰러지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이 더스트 케이스 덮개본체(43)는 흡입 호오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는 호오스 접속구(45) 및 클램프(46)가 있다. 클램프(46)에는 계합클로오(47)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계합클로오(47)는 더스트 케이스(2)에 설치되어 있는 계합부(48)에 계합 또는 이탈된다. 더스트 케이스(2)의 제1 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는 클램프(46)의 계합클로오(43)를 계합부(47)에 계합함으로써 더스트 케이스 덮개 본체(48)로 닫혀진다. 또 더스트 케이스 덮개 본체(43)의 내측면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더스트 케이스(2)의 뒤쪽은 본체 케이스(1)가 착탈 자재롭게 결합된다. 이 더스트 케이스(2)의 뒤쪽에는 결합부측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부측 개구부에 의하여 후술하는 집진 필터 유니트(49)는 더스트 케이스(2)내에 출입하게 된다.
더스트 케이스(2)는 내벽면에 제1 세목 집진필터(19)를 외주(外周)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필터 지지리브(sib)(50)가 있다. 이 필터지지 리브(50)는 상기 결합부측 개구부의 안쪽 부분으로 부터 제1 세목 집진필터용 개구부를 향하여 연재해 있다.
또 필터 지지리브(50)의 사이에는 필터지지리브(50)와 동일방향으로 신장하는 필터인출(引出) 안내리브(50')가 제1 세목 집진 필터용 개구부측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 인출 안내리브(50')는 제1 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측을 향하여 높아지게 경사져 있다.
더스트 케이스(2)의 내측 상부에는 천정판(55)이 형성되고, 이 천정판(55)의 상측에는 상기 핸들(5)의 기판(6)을 삽입하는 삽입부(56)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5)은 핸들부편(部片)(5a),(5b)을 서로 맞추어 나사(57)로 일체로 조여 구성하고 있다.
핸들(5)의 나사받이(58)는 핸들 부편(5a),(5b)의 받침부(59)에 감합(嵌合)되어 있다.
받침부(59)에 나사 받이(59)를 취부할 때는 핸들 부편(5b), (5)을 서로 맞추는 조립 과정으로 행한다.
핸들(5)은, 상기 삽입부(56)에 삽입한 후, 더스트 케이스 (2)의 내측으로부터 천정판(55)를 통해 나사받이(58)에 나합(螺合)하는 나사(60)에 의해 더스트 케이스(2)에 고정된다.
이 나사 받이(58)는 핸들(5)의 거의 중앙부 즉, 전기 소제기를 운반할 때의 중심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나사받이(58)를 지지하고 있는 받침부(59)에 무리한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다음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구성에 관하여 기술한다. 제1도, 제2도,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제1 세목 집진 필터(19)는 포상체(袋狀體)(65)와 지지판(66)으로 구성된다. 포상체(65)는 얇은 통기성을 가진 가요성의 종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66)은 마분지등의 경질지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66)과 포상체(65)는 접착제로서 접착되어 있다. 지지판(66)은 진애흡입구(67) 및 막음 덮개부(68)를 가지고 있다. 막음 덮개부(68)는 지지판(66)의 일변(一邊)에 형성한 절곡선(折曲線)(69)으로 간단하게 절곡(折曲) 할 수 있다. 막음 덮개부(68)의 선단에는 두개의 절입선(切
Figure kpo00002
線 : 필요한 만큼 자르는선)(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두개의 절입선(70)으로 형성된 계합편(係合片)(71)은 절입선(70)에 의해 비교적 쉽게 구부러 진다. 이 지지판(66)은 한장의 판재(板材)를 타발하여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막음 덮개부(68)는 이것을 절곡 하여 지지판(66)에 맞춤으로써 진애 흡입구(67)를 닫는다.
이러한 상태로 막음덮개부(68)를 유지하기 위하여 계합선(71)을 약간 구부려 진애 흡입구(67)의 내측구의 연부(緣部)에 계합시킨다.
제1 세목 집진 필터(19)는 사용전에는 포장체(65) 및 막음 덮개부(68)를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하고 있으므 대단히 콤팩트하다.
이 때문에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보관은 큰 장소를 차지하지 않으며, 또 제1 세목필터 수납실(20)에 필터(19)를 출입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제1 세목집진 필터(19)를 더스트 케이스(2)의 취부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막음 덮개부(68)를 열어,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음 덮개부(68)를 필터 지지판(36)의 凹부(38)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포상체(65)를 더스트 케이스(2)내에 삽입하여 지지판(66)의상부와 하부를 받침부(39), (40)에 끼워 줌으로써 제1집진 필터(19)는 더스트 케이스(2)의 제1세목집진 필터용 개구부측에 지지된다.
그 후 더스트 케이스 덮개 본체(43)를 닫으므로서, 본 발명의 전기 소재기는 준비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취부는 더스트 케이스 (2)의 받침부(39), (40)에 지지판(66)을 끼워넣으므로서 간단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더스트 케이스 덮개 본체(43)의 내측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스트 케이스 덮개본체(43)의 내측에는 내측 커버판(7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측 커버판(75)은 나사받이(76)에 나합하는 나사(77)에 의해 더스트 케이스 덮개본체(43)에 고정된다.
내측 커버판(75)의 중앙보다 상측에는 편향 흡입구(7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편향 흡입구(78)의 토출부는 아래족으로 향하고, 안내부(79)의 곡부(曲部)에는 통기공(80)이 설치되어 있다. 편향 흡입구(78)의 접속구부는 시일패킹(seal packing)(85)을 개재하여 상기 호오스 접속구(45)의 내측 선단에 접속된다. 시일 패킹(85)에는 역류방지 밸브(86)는 고부 또는 연질(軟質) 염화 비닐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역류방지 밸브(68)는 시일패킹(86)과의 연접부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역류 방지밸브(85)는 편향 흡입구(86)(87)의 내측에 위치하고, 호오스 접속구(45)를 통과하는 기류(氣流)의 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열리며, 기류가 없을 때는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편향 흡입구(78), 통기공(80) 및 역류 방지밸브(86)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내측 커버판(75)은 외주에 덮개용 시일패킹(90)이 취부되어 있다. 덮개용 시일 패킹(90)의 내측면에는 환상(環狀)의 설편(舌片)(9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91)은 상기 더스트 케이스 덮개 본체(43)을 닫으면 더스트 케이스(2)의 제1 세목 집진필터 개구부의 외주측 단면에 접합되어, 더스트 케이스(2)와 더스트 케이스 덮개본체(43)와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편향 흡입구(78)의 외주에는 흡입구용 시일 패킹(92)이 취부되어 있다.
이 흡입구용 시일 패킹(92)에는 계지용 돌기(9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용 돌기(93)를 내측 커버판(75)의 계지구멍에 끼워 넣음으로써 흡입구용 시일패킹(92)은 내측 커버판(75)에 취부된다. 또 흡입용 시일 패킹(92)은 상기 덮개용 시일 패킹(90)에 연결부(94)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용 시일 패킹(92)은 더스트 케이스 덮개본체(43)를 닫았을 때 상기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지지판(66)에 당접함으로써 지지판(66)과 내측커버판(75)측과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또 더스트 케이스 덮개본체(43)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편향 흡입구(78)가 지지판(66) 의진애 흡입구(67)를 거쳐 포상체(65)내로 향한다.
다음에 집진 필터 유니트(48)의 구성에 관하여 기술한다. 진애필터 유니트(49)는 제1도, 제6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주로 조목집진 필터본체(100)와 제2 세목집진 필터본체(102)와 필터 지지기판(103)과 지지용 시일패킹(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목집진 필터본체(100)는 전면에 평탄한 모양을 가진 조목집진 필터(105)가 장설되어 있고, 측면및 상면에 보조 조목 집진필터(106)가 장설(張說)되어 있다.
양 필터(105), (106)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실을 그물 모양으로 짠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의 통기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통기구멍 보다도 대단히 큰 것이다.
즉, 제1 세목 집진필터(19)는 모래등의 작은 먼지를 포집할 수 있음에 대해, 양 필터(105), (106)는 작은 먼지를 통과시킨다. 제2 세목집진 필터본체(102에는 부직포(不織布)를 파상(波狀)으로 형성한 제2세목 집진필터(10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2) 세목집진 필터(107)의 통기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1 세목 집진 필터(19)와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세목 집진 필터(19)의 하류측에 제2 세목집진 필터(107)를 배치하여 2단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제1 세목 집진 필터(19)에서 포집되지 않았던 진애는 제2 세목 집진 필터(107)에서 포집될 수 있어 본체 케이스(1)의 배기구(15)로부터 작은 먼지가 나오지는 않는다. 필터 지지기판(103)은 앞쪽에 제진자용 치자제(108)를, 뒷쪽에 제진자용 수동핸들(109)을 각각 회전 자재롭게 지지하고 있다. 제진자용 치차체(108)의 앞면에 탄성체로 형성된 제진자(110)를 나사(111)로 고정하고, 이 나사(111)를 제진자용 수동핸들(109)에 나합함으로써 제진자(110), 제진자용 치차체(108)와 제진자용 수동핸들(109)은 모두 필터 지지기판(103)에 취부된다.
제2 세목 집진 필터본체(102)의 뒤쪽과 필터 지지기판(103)의 앞쪽을 맞춰, 양자의 외주에 지지용 시일패킹(104)을 끼워 일조(一組)로 하고, 이것에 조목집진 필터본체(100)를 제2 세목집진필터(107)에 덮어 씌워 취부함으로써 집진 필터 유니트(49)는 구성된다.
이 집진필터 유니트(49)는 이를 더스트 케이스(2)내에 끼워 넣음으로서 4자가 지지용 시일패킹(104)의 외주가 더스트 케이스(2)의 내측벽면에 기밀하게 접합된다.
제진자(110)의 선단부는 제2 세목집진필터(107)의 뒷면(이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진자용 수동핸들(109)을 돌림으로써 뒷면이 제진자(110)의 선단부로 튀겨지듯이 문질러진다. 이와 같이 문질러짐으로써 제2세목집진필터(107)는 진동하여 상기 필터(107)의 앞면(표면)에 부착한 작은 먼지는 제거된다. 조목 집진 필터 본체(100)의 내측에는 타격진동식 제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즉, 제1도, 제6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목 집진필터(105)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불통기부(不通氣部)(120)의 뒷면(이면)에는 지지보스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보스부(121)에 탄성재로 형성된 타격레버(122)가 취부되어 있다.
이것은 타격레버(122(의 일단을 지지보스부(121)에 나합되는 나사(123) 및 나사받이판(124)으로써 취부된다. 타격레버(122)의 타단인 자유단측에 대향하는 수격돌기체(受擊突起體)(125)는 조목집진 필터(105)의 뒷족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격돌기체(125)의 밑부에서 좌우로 연재(뻗어나게 함)시켜 조목집진 필터(105)에 장설한 진동 전달체(126)는 U자(音叉) 형상을 하고 있다.
타격레버(122)로 수격돌기체(125)를 때리면, 조목집진 필터(105)는 진동한다.
진동전달체(126)는 U짜 형상으로 되어있음으로 진동은 조목 집진필터(105)전체에 잘 전달된다.
진동 전달체(126)는 수격돌기체(125)의 밑부에서도 선단측 근처를 때리게 되므로 조목집진필터(105)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격돌 기체(125)를 중심으로 하여 시이소 처럼 진동한다. 이 시이소 모양의 진동에 의해 조목집진 필터(105)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제1 세목 집진 필터(19)는 외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두들겨 지므로, 필터(19)의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진애는 제거된다. 제2세목 집진필터 본체(102)의 상측에 설치한 축받이(130)는 시일패킹(131)을 개재하여 캠체(132)를 회전 자재롭게 지지하고 있다. 축받이 (130)의 뒷면측에는 아이들 기어(idle gear)(133), 클러치환(環)(134), 용수철(135), 연결통체(136)가 취부되고, 이것들은 상기 캠체(132)에 나합되는 나사(137)에 의해 고착된다. 캠체(132)의 회전은 아이들 기어(133)를 돌림으로써 행해진다. 단, 아이들기어(133)로 부터 캡체(132)에 전달되는 회전은 클러치환(134)에 의해 일방으로만 회전한다.
캠체(132)는 상기 타격레버(122)의 자유단에 접합관계로 위치하고, 또 아이들기어(133)의 톱니부는 상기 제진용 치차체(108)의 톱니부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진자용 수동핸들(109)을 돌림으로써 제진용 치차체를 거쳐 캠체(108)는 회전한다. 이 캠체(132)의 회전에 의해 타격레버(132)의 자유단은 튀겨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격레버(122)는 수격돌기체(122)를 대리게 된다. 필터 지지기판(125)의 축받이(103)는 용수철(140)을 개재하여 수동커플링(141)을 회전 자재롭게 지지하고, 이 수동 커플링(142)의 이탈 방지는 이 수동커플링(142)의 받이판(143)을 거쳐 축받이(140)에 나나합되는 나사(144)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동 커플링(142)은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부는 상기 제전용 치차체(108)의 톱니부에 맞물려져 있다.
또 수동 커플링(142)은 본체 케이스(10)에 더스트 케이스(2)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동 커플링(234)에 계합되어 양 커플링(34), (142)은 연결된다.
이 연결로 코오드 권취장치(11)의 코오드리일(31)의 회전력은 집진 필터에 설치되어 있는 제진장치에 전달된다.
상기한 캠체(132)의 일방향 회전은 코오드(30)를 일출할 때의 코오드리일(31)의 회전 방향과 같기 때문에 코오드(30)를 권취할 때의 코오드 리일(31)의 회전시에는 캠체(132)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은 코오드리일(31)을 돌리는 코오드 권취장치(11)의 되감기 용수철을 소형으로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상은 일 실시예로 나타낸 전기소 제기를, 주로 구성상의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나 다음에 이 구성에 의거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동송풍기(10)를 동작시키면 진애를 포함한 기류는 흡입호오스, 호오스 접속구(45) 및 편향 흡입구(78)를 거쳐 제1 세목 집진 필터(19)의 포상체(65)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조진 및 세진은 포집되고 공기 및 약간의 미세한 진애는 포상체(65)의 통기구멍을 통과하여, 다시 조목집진 필터(105), 보조조목집진필터(106)를 통과하여 제2 세목집진필터(107)쪽으로 흐른다.
여기서 미세진애는 재포집 되고, 공기는 제2 세목 집진 필터(107)의 통기구멍을 통해본체 케이스(1)의 배기구(15)에서 배기된다.
제1 세목 집진 필터(19)는, 더스트 케이스(2)에 취부된 단계에서는 포상체(65)가 접철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포상체(65)내에 공기가 유입되면 풍압(風壓) 및 포상체(65)의 외주면에 걸리는 정압(靜壓)에 의하여 포상체(65)는 부풀어지게 된다. 부풀어진 포상체(65)는 조목집진 필터(105) 및 필터 지지리브(50)로 외주가 눌려져 있으므로 그 이상은 더 부풀어 오르지 않고 그 상태에서 집진이 행해진다.
포상체(65)의 외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목집진 필터(105) 및 필터 지지리브(50)로 눌려져 있으나, 포상체(65)의 통기성은 손상되지 않는다. 즉, 조목집진필터(105)는 통기성이 충분하며 필터 지지리브(50)의 각 사이에는 통기로가 있으므로 포상체(65)의 외주로 의기류는 저지되지 않는다.
포상체(65)내의 집진은 조목집진 필터(105)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진행된다.
이 대향하는 부분의 구멍이 막하게 되면 대부분의 기류는 필터 지지리브(50)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하게 되고, 또 조목집진 필터 본체(100)의 측면 및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조목집진 필터(106)내를 통과하여 제2 세목집진 필터(107)쪽으로 흐르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세목 집진필터(19)의 포상체(65)의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포상체(65) 및 제2 세목집진 필터(107)의 진애부착량이 증가하여 흡입력이 저하되었을 경우는 코오드 권취장치(1)의 코오드 리일(31)을 회전 시키거나 또는, 제진자용 수동 핸들(109)을 회전 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진자(110)의 작동에 의해 제2 세목 집진 필터(107)의 제진이 행해짐과 동시에, 타격레버(122)의 작동에 의해 포상체(65)의 제진도 이루어진다.
포상체(65)의 제진은 상기한 바와 같이 타격레버(22)의 작동에 의한 조목집진 필터(105)측의 진동에 의해 행 해지므로 포상체(65)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즉, 포상체(65)는 종이등의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진자(110)와 같은 것으로써 포상체(65)의 외면을 직접 문지르면 찢어져 버린다.
그러나 조목집진 필터(105)를 거쳐 포상체(65)에 제진진동력을 가하게 되므로, 포상체(65)를 찢어지게 하는 무리한 힘은 가해지지 않는다.
또, 조목집진 필터(1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격돌 기체(15)를 중심으로 하여 시이소모양으로 진동하므로, 이 시이소모양의 진동에 의해 포상체(65)는 외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반복적으로 튀어져 타격력을 받게되므로, 포상체(65)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진애의 박리(剝離)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목집진 필터(105)에 당접하는 포상체(64)의 부분은 진애가 심하게 부착되나, 이 부분에 제진 진동을 가하게 되므로 제진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집진 능력회복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세목집진 필터(19)등의 제진을 적시에 반복 사용함으로써, 제1 세목집진 필터(19)내에 여분의 공간을 남기지 않고 진애는 가득차게 된다.
이때에는 진애가 가득찬 제1 세목집진 필터(19)를 더스트 케이스(2)로부터 떼어내어 새로운 제1 세목집진필터(19)를 취부한다. 즉,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제거는 우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46)를 조작하여 더스트 케이스 덮개본 체(43)를 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세목 집진필터(19)의 막음덮개부(68)로 진애 흡입구(67)를 닫는다. 그 다음 지지판(66)으로 제1 세목 집진필터(19)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필 터지지판(36)이 열려 제1 세목집진 필터(19)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스트 케이스 (2)의 외부로 간단하다 끌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끌어낼때에 막음 덮개부(68)로 진애흡입구(67)는 닫혀져 있으므로 진애 흡입구(67)로 부터 진애가 쏟아지지는 않는다. 끌어낸 제1 세목 집진 필터(19)는 진애가 들어있는 그대로 버리게 된다. 또, 필터인출 안내리브(50')에 의해 보다 더 용이하게 제1 세목집진 필터(19)는 인출된다. 새로운 제1 세목 집진 필터(19)의 취부에 대해서는 앞서 말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제거 및 취부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더스트 케이스 덮개 본체(43)를 열어, 더스트 케이스(2)의 앞쪽에 있는 제1 세목 집진 필터용 개구부에서 행해지므로, 상기 집진필터 유니트(49)의 제거와는 관계없이 행할 수가 있어 취급 성면에서도 좋다.
집진 필터 유니트 (49)속의 제2 세목집진 필터(107)에 집진되는 진애량은 대단히 적기 때문에 (95% 이상이 제1 세목집진 필터(19)에 집진된다. 제2 세목집진 필터(107)의 진애를 버리는 일은, 제1 세목 집진 필터(19)의 교환에 비해 대단히 적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제2 세목집진 필터(107)의 제진을 하거나, 또는 진애를 버리게 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즉, 제1 세목집진 필터(19)를 새로운 것과 교환해도 제2 세목집진 필터(107)에 진애가 부착되어 있으면 본 전기소 재기의 흡입능력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게 된다.
애써서 새로운 제1 세목집진 필터(19)로 교환했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흡입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으므로 제2 세목 집진 필터(107)의 먼지를 제거하여 필터(107)의 흡입능력을 회복시킬 필요가있다.
또, 제2 세목집진 필터(107)측의 집진량이 어느정도 이상이 되면 제진을 해도 이 제진된 진애가 다시 되날아붙어 얼마 안가서 핀터(107)는 진애 부착에 의해 흡입능력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진필터 유니트(49)를 더스트 케이스(2)로부터 떼어내어 진애를 버려야 된다.
제 2 세목집진 필터(107)축의 진애를 버린다든가, 또는 집진 필터유니트(49)의 보수, 점검은 더스트 케이스(2)의 뒤쪽에 있는 결합부측 개구부로 부터 집진 필터 유니트(49)를 떼어내어야 되므로, 상기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제거와는 관계없이 별도로 할 수가 있어 취급하는 데도 좋다.
상기 제1,2세목집진 필터(19), (107)의 제진에 대한 필요성을 제14도, 제15도에 도시한 그래프에 따라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14도, 제15도는 상기 양필터(19), (107)의 흡입강도와 집진 량과의 관계를 제진의 유무와의 대비(對比)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제14도(제1 세목집진 필터(19)만의 특성을 나타낸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세목 집진필터(19)의 제진을 하지 않을 경우는, (가)로 나타낸 집진 성능을 나타낸다.
즉, 집진량의 증가에 따라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구멍이 막히게 되어 흡입강도(흡입강력)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흡입강도는 포화(더스트 표시기(25)의 포화 표시를 기준으로 한다)된다. 이 경우의 집진 용량을 V라 한다.
제1 세목 집진필터(19)의 제진을 적시에 했을 경우는, (나)로 표시하는 집진 성능 특성을 나타낸다.
즉, 적시에 제진을 하면서 사용하면, 제1 세목집진 필터(19)에 부착되어 있는 진애가 제진되어 구멍이 막히는 것이 해소되므로, 흡입강도가 회복되어 집진량의 증가에 다른 흡입강도는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흡입강도가 포화에 달했을 때 집진용량은 2.5~3V 즉, 제진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2.5~3배로 집진용량은 증가하게 된다.
다음에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소제기 전체의 집진 성능 특성(다)은 제1 세목 집진 필터(19)의 집진성능 특성(라)과 제2 세목 집진 성능 특성(마)과의 합이된다.
또한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흡입강도가 포화될 때까지, 양 필터(19), (107)의 제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흡입강도가 포화된 시점에서 새로운 제1 세목 집진 필터(19)로 교환하면, 이것에 대해서는 저화된 흡입력의 흡입량(b)은 완전히 회복된다.
그러나 본 발명 전기소 제기 전체의 저하된 흡입강도의 량은, C이므로 전체적으로 흡입강도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다.
즉, 제2 세목집진 필터(107)의 흡입강도의 저하량(a)은 남게 된다. 그러므로 제2 세목집진 필터(107)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필터(107)의 흡입강도가 회복되어, 본 발명 전기소제기 전체의 흡입강도도 완전하게 회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세목집진 필터(19)의 하류측에 제2 세목집진 필터(107)를 설치한 2단구성으로 된 것에서는 제1 세목집진 필터(19)를 교환하여 흡입능력의 회복을 기대하기 위해 제2 세목집진 필터(107)의 제전을 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포상체(65)에 유입되는 진애기류는 편향 흡입구(78)에 의해 아래쪽으로 편향되고, 이에 의해 유속은 감쇠되므로 포상체(65)로의 진애기류의 충돌력은 약화되어 포상체(65)의 손상은 방지되게 된다. 특히 평향 흡입구(78)의 내측에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역류방지 밸브(8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애 기류의 감쇠효과는 보다 더 기대된다.
즉,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애기류에 의해 역류방지 밸브(86)는 편향흡입구(78)에서 저지되는 위치까지 개방된다. 역류 방지밸브(86)의 개방각도는 대략 45°이므로 진애기류는 역류 방지밸브(86)에 충돌하여 아래족으로 편류(偏流)한다. 역류방지 밸브(86)는 탄성을 가지므로 진애기류의 충돌에 의해 충돌면이 휘어져 기류의 유속은 크게 감쇠 된다.
또 편향 흡입구(78)를 구성하는 안내부(79)의 곡부에 통기공(80)을 설치한 것은 진애기류에 의해 역류 방지 밸브가 덜커덩 거리며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역류 방지 밸브(86)로의 진애기류의 충돌로 충돌면이 휘어지면, 역류방지 밸브(86)와 안내부(79)로 형성되어 있는 공간내의 공기는 통기공(80)으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나 이 통기공(80)을 설치하지 아니하면 공간내의 공기는 압축되고, 이 압축에 의해 역류 방지 밸브(86)에 반발력이 작용된다. 그리리하여 진애기류의 역류방지 밸브(86)로의 충돌력은 변동하므로 상기 압축에 따른 반발력도 변화되고, 이 반발력의 변화에 의해 역류방지 밸브는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79)의 곡부에 통기공(8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의 압축에 따른 여류 방지밸브(86)에 대한 반발력이 생기지 않게 되어, 역류방지 밸브(2)는 진도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은 더스트 케이스(2)내지 제1 세목집진필터(19)를 세트하지 않고도 사용을 할수 있다.
이 경우에는 조목집진필터(105)의 앞쪽에 해당하는 더스트 케이스(2)의 내측공간에 조진이 집진되고, 세진은 제2 세목집진 필터(107)에 집진된다.
집진된 진애는 집진필터 유니트(49)를 떼어내어 더스트 케이스(2)의 결합부측 개구부로부터 버리게 되나, 조진 및 제진을 한꺼번에 버릴 수가 없게 되므로 편리하다.
제1 세진 필터(19)를 사용한 경우에 보조 조목집진 필터(106)는 집진필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으며, 주로 제1 세목지빈 필터(19)를 외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대해 제1 세목집진 필터(19)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조목 집진 필터(106)는 본래의 집진필터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조목집진 필터(105)는 조진만을 집진하며 세진의 집진은 제2 세목 집진 필터(107)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제2 세목 집진필터(107)는 본래의 세진 집진기능을 발휘한다.
제2 세목집진 필터(105)의 제진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지나, 조목집진필터(122)의 제진은 타격헤버 의타격에 의한 조목집진 필터(105)의 진동에 의해 행해진다.

Claims (1)

  1. 전동 송풍기(10)가 내장되어 공기 배기구(15)를 가진 본체 케이스(1), 이 본체 케이스에 취부되어 연통구(공기 취업구)(13) 가진 더스트 케이스(2), 상기의 더스트 케이스 내에 착탈자재로 내장되어 통기성 및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사용 후 버리는 식의 자루 모양의 제1 세목 집진 필터(19), 이 세목 집진필터의 외면에 접촉하여 세목집진 진터를 지지하는 필터지지체, 세목 집진필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세목집진필터를 통과한 세진을 포집하기 위한 세목 집진 필터의 교환과는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제2 세목 집진 필터(107)등을 구비한 전기 소제기.
KR1019800003134A 1980-08-07 1980-08-07 전기 소제기 KR83000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134A KR830001682B1 (ko) 1980-08-07 1980-08-07 전기 소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134A KR830001682B1 (ko) 1980-08-07 1980-08-07 전기 소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99A KR830003199A (ko) 1983-06-18
KR830001682B1 true KR830001682B1 (ko) 1983-08-29

Family

ID=1921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134A KR830001682B1 (ko) 1980-08-07 1980-08-07 전기 소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6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99A (ko) 198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4012B2 (ja) 真空掃除機用の吸入口体
EP0024636B2 (en) Vacuum cleaner
KR830001682B1 (ko) 전기 소제기
KR100414808B1 (ko) 전기청소기
JPH0251B2 (ko)
JP4550692B2 (ja) 電気掃除機
JPS6058647B2 (ja) 電気掃除機
JPH03188823A (ja) 電気掃除機
JPS646779B2 (ko)
JPS646778B2 (ko)
KR101282536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S6354375B2 (ko)
JPH0310326B2 (ko)
JPH023605B2 (ko)
JPH0212569B2 (ko)
JP3762359B2 (ja) 電気掃除機
JPH0140611B2 (ko)
JP2501262B2 (ja) 電気掃除機用集塵フィルタ―
JPS61234831A (ja) 電気掃除機の除塵装置
JP4673166B2 (ja) 電気掃除機
JP4602873B2 (ja) 電気掃除機
JP2004215680A (ja) サイクロン式掃除機およびサイクロン式掃除機用補助捕塵装置
JPS6038131B2 (ja) 電気掃除機
KR200160463Y1 (ko) 진공청소기 손잡이의 이물질막힘 방지장치
JPH027650B2 (ko)